KR20230172305A -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305A
KR20230172305A KR1020220073010A KR20220073010A KR20230172305A KR 20230172305 A KR20230172305 A KR 20230172305A KR 1020220073010 A KR1020220073010 A KR 1020220073010A KR 20220073010 A KR20220073010 A KR 20220073010A KR 20230172305 A KR20230172305 A KR 20230172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quid
carbon dioxide
liquid contact
captur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갭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갭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갭텍
Priority to KR1020220073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305A/ko
Publication of KR20230172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3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75Removing 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01D53/185Liquid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무된 흡수액의 분무탑 내 체류시간을 극대화시킴으로써 기-액 접촉면적이 극대화되도록 하여 포집 효율을 높이는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단의 가스공급부; 중단의 기-액 접촉공간; 및 상단의 가스배출로가 구비된 분무탑을 포함하며,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흡수액이 상기 기-액 접촉공간에 분무되고, 상기 가스공급부에 공급된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가 상승하면서 상기 기-액 접촉공간을 거쳐 배출되는 과정에서 분무된 흡수액 액적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Carbon dioxied capture system by spraying absorbent liquid}
본 발명은 분무된 흡수액의 분무탑 내 체류시간을 극대화시킴으로써 기-액 접촉면적이 극대화되도록 하여 포집 효율을 높이는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분별한 화석연료 사용으로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였고, 이산화탄소의 온실효과로 인한 지구 온난화 문제가 심각하다.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은 전 지구적인 화두이고,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확대 적용을 통해 석탄 화력발전을 억제하는 한편, 좀 더 적극적으로는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 즉, 이산화탄소를 포집, 활용 및 저장하는 기술이 각광받게 되었다.
이산화탄소 포집(Capture), (Utilization)기술 및 저장(Storage)은 각각 독자적인 기술 영역을 점하고 있는 큰 과제이며,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의 포집(Capture) 기술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이산화탄소 포집은 비교적 저 농도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압축, 냉각을 통해 액화가 가능한 상태의 고농도로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액화된 이산화탄소는 그 부피가 520분의 1로 줄어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현재까지 정립된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은 크게 흡수, 흡착, 막 분리법 등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기술들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지만 이 중 흡수법은 기술적 역사가 가장 길고, 대용량 처리에 강점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흡수법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포집 시스템(이하, '이산화탄소 흡수 포집 시스템')은 크게 흡수탑(Absorber)과 탈거탑(Stripper)으로 구성된다. 흡수탑에서는 흡수액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흡수액은 탈거탑으로 보내져 흡수된 이산화탄소가 흡수액으로부터 고농도로 분리된다. 이 과정 중 특히 탈거탑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가 필요한데, 이산화탄소 1톤을 포집하는데 소요되는 탈거(재생) 에너지량이 포집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제1의 지표가 된다. 통상적으로 탈거(재생)에 필요한 에너지는 2~4 GJ/ton-CO2 범위에 있다. 이러한 탈거비용은 흡수액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여러 경우에 대한 최적의 흡수제를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외에도 이산화탄소 흡수 포집 시스템의 초기투자비용, 압력손실, 부식 및 마모 문제, 운영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인건비 그리고 흡수액의 수명기간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결국 관건은 1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데 소요되는 이산화탄소 흡수 포집 시스템 운영비용이다. 이산화탄소 흡수 포집 시스템의 경제성은 흡수액의 성능 외에도 물질전달효율에 영향을 받는다. 이산화탄소와 흡수액 간의 물질전달계수는 흡수액의 특성에 의하지만 기-액 접촉면적은 물질전달효율에 있어 또 하나의 중요한 인자가 된다.
지금까지는 주로 넓은 기-액 접촉면적 확보를 위해 흡수탑과 탈거탑의 형식으로 대향류 충전탑(對向流 充塡塔, Counter current flow packing tower)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도 1] 참조). 충전탑의 기-액 접촉면적은 충전물의 비표면적에 비례하므로 넓은 기-액 접촉면적의 확보를 위해 비표면적이 큰 충전물이 선호되었다. 하지만 비표면적이 큰 충전물은 가격이 비싸며 운전압력손실이 커서 초기투자비용 및 운전비용의 증가를 가져온다.
과거의 연구결과를 비추어볼 때, 이산화탄소와 아민(Amine) 베이스 흡수액 간에는 물질전달계수가 매우 작아 매우 높은 충전고가 필요하고 이로 인해 과도한 초기투자비용과 높은 압력손실로 인한 높은 운전비용이 문제되고 있다.
일반적인 산가스(HCl. HF, SO2... 등)를 NaOH 수용액으로 중화하는 흡수시스템의 물질전달계수는 이산화탄소를 아민베이스 흡수액으로 흡수하는 시스템의 물질전달계수와 비교할 때 약 10배 정도가 크다.
등록특허 10-1874068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 등록특허 10-1561465 "자가발전 수단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 및 방법" 등록특허 10-1645975 "에너지 소비가 최적화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기존의 대향류 충전탑에서 기-액 접촉면적의 증대는 충전물의 비표면적의 증대와 흡수액 유량의 증가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흡수탑 또는 탈거탑의 부하를 생각하면 흡수액 유량을 과도하게 증가시킬 수 없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비표면적이 큰 충전물을 채택하는 방법이 선호된다.
그러나, 비표면적이 큰 충전물을 적용하는 것은 초기투자비용과 운전압손의 증가에 따른 운전비용의 증가가 단점으로 대두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대향류 충전탑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분무된 흡수액 액적을 이용하여 물질전달면적을 확보하는 단순한 구조의 분무탑이 적용되어 초기투자비용 및 운전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하단의 가스공급부; 중단의 기-액 접촉공간; 및 상단의 가스배출로가 구비된 분무탑을 포함하며,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흡수액이 상기 기-액 접촉공간에 분무되고, 상기 가스공급부에 공급된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가 상승하면서 상기 기-액 접촉공간을 거쳐 상기 가스배출로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분무된 흡수액 액적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기-액 접촉공간 상부에는 상기 흡수액을 분무하는 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가스공급부 상부에는 정류판(Distributing Plate)이 구비되고, 상기 가스배출로 하부에는 액적분리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공급부의 하부에는 낙하한 액적을 수용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의 흡수액을 펌핑하여 상기 노즐에 공급하는 펌프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액 접촉공간은 흡수액 분무지점에서 하방향으로 횡단면적이 점감(漸減)하는 역 테이퍼 구조로 구성되어, 액적경에 따른 액적 분산 및 기-액 접촉공간 체류시간 극대화에 따라 기-액 접촉면적 극대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액 접촉공간은 DV0.9 입경의 액적이 역 테이퍼 구조 하부에 체류하고, DV0.1 입경의 액적이 역 테이퍼 구조 상부에 체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액 접촉공간은 복수 단이 종방향으로 반복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의 분무탑 적용에 의해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의 초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분무된 흡수액 액적이 가스와 접촉하는 공간 내에서의 체류시간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물질전달면적을 확보하므로 시스템 운전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특히, 기-액 접촉공간의 역 테이퍼 구조에 의해 분무된 흡수액 액적이 액적경별 종말속도에 따라 분산 체류하여 물질전달면적이 극대화된다.
[도 1]은 종래 대향류 충전탑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분무된 흡수액 액적의 입경(액적경)별 수, 표면적, 부피 및 누적부피의 분포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무탑의 모식도이다.
[도 4]는 기-액 접촉공간이 2단으로 구성된 분무탑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초기투자비용 및 운전비용의 절감을 위해, 종래의 대향류 충전탑(對向流 充塡塔, Counter current flow packing tower)을 대신하여, 분무된 액적을 이용하여 물질전달면적을 확보하는 대향류 분무탑(對向流 噴霧塔, Counter current flow spray tower)이 적용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흡수탑과 탈거탑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가스공급부(10); 중단의 기-액 접촉공간(20); 및 상단의 가스배출로(30)가 구비된 분무탑(100)을 포함하며,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흡수액이 상기 기-액 접촉공간(20)에 분무되고, 상기 가스공급부(10)에 공급된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가 상승하면서 상기 기-액 접촉공간(20)을 거쳐 상기 가스배출로(30)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분무된 흡수액 액적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흡수액으로는 아민계 흡수액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기-액 접촉공간(20) 상부에 단수 또는 복수개 구비된 노즐(40)에 의해 상기 흡수액이 분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스공급부(10)에는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가스가 공급되며, 상기 가스공급부(10) 상부에는 정류판(Distributing Plate, 50)을 설치하여, 상기 기-액 접촉공간(20)에 유입된 가스가 횡단면상에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액 접촉공간(20)의 노즐(40) 상부에는 액적분리장치(60)를 설치하여, 상기 노즐(40) 위로 비산하는 작은 액적들을 분리하여 가스와 함께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스공급부(10)의 하부에는 낙하한 액적을 수용하는 저장공간(70)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70)의 흡수액을 펌핑하여 상기 노즐(40)에 공급하는 펌프(80)를 함께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흡수액 분무지점에서 하방향으로 횡단면적이 점감(漸減)하는 역 테이퍼 구조의 기-액 접촉공간(20)을 제공한다. 이러한 역 테이퍼 구조는 분무된 흡수액 액적이 액적경에 따라 분포 위치가 분산되면서 상기 기-액 접촉공간(20) 체류시간을 장기화하여 물질전달면적(즉, 기-액 접촉면적)이 극대화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기-액 접촉공간(20)은 횡단면적 변화에 따라 DV0.9 입경의 액적이 역 테이퍼 구조 하부에 체류하고, DV0.1 입경의 액적이 역 테이퍼 구조 상부에 체류하도록 구성하여 분무된 대부분의 흡수액 액적이 유효한 기-액 접촉면적으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액 접촉공간(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단이 종방향으로 반복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본 발명 시스템의 도출 과정과 기술적 의의를 물질전달관련 식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식 1]은 대향류 충전탑의 물질전달관련 식이다.
[식 1]
상기 기상 총괄 물질전달 단위높이 HOG는 하기 [식 2]로 표현된다.
[식 2]
상기 기상 총괄 물질전달 단위수 NOG는 하기 [식 3]으로 표현된다.
[식 3]
만약 이산화탄소 흡수 포집 시스템이 완전한 화학적 흡수계라면 y*=0이 되어 NOG는 하기 [식 4]와 같이 간단하게 표현될 수 있다.
[식 4]
따라서 대향류 충전탑에서의 물질전달 효율식은 하기 [식 5]와 같이 표현된다.
[식 5]
따라서 흡수탑 또는 탈거탑에 있어 높은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물질전달계수(KG), 기-액 비표면적(a), 흡수계의 전압력(Pt), 접촉부 높이(Z)가 커야하고 가스의 유량(GM)이 적어야 한다.
여기서 접촉부의 높이(Z)가 커지는 것과 가스의 유량(GM)이 적어지는 것은 초기투자비용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물질전달계수(KG)는 흡수액 특성에 크게 좌우되고, 계의 전압력(Pt)를 높이는 방법은 운전비용이 과도하게 증대되므로 현실적이지 못하다.
현실적으로 물질전달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기-액 비표면적(a)을 높이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대향류 충전탑에서 기-액 접촉면적의 증대는 충전물의 비표면적의 증대와 흡수액 유량의 증가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흡수탑 또는 탈거탑의 부하를 생각하면 흡수액 유량을 과도하게 증가시킬 수 없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비표면적이 큰 충전물을 채택하는 방법이 선호된다.
그러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부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비표면적이 큰 충전물을 적용하는 것은 초기투자비용과 운전압손의 증가에 따른 운전비용의 증가가 단점으로 대두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대향류 충전탑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압력손실이 적어 초기투자비용 및 운전비용이 저렴한 대향류 분무탑을 적용한다.
상기 분무탑(Spray tower)은 내부의 빈 공간(기-액 접촉공간)에 흡수액을 분무하여 기-액이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물질전달을 행할 수 있는 구조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무탑의 각부(즉, 하단의 가스공급부, 중단의 기-액 접촉공간 및 상단의 가스배출로)의 횡단면은 원형, 사각형 등 그 단면 형상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으며, 이산화탄소 흡수를 위해 가스와 흡수액의 유동방향이 반대가 되는 대향류 형식을 채택한다. 이하에서는, 중력 작용 방향인 순방향으로 흡수액 분무가 이루어지고,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는 역방향으로 흐르는 구조를 특정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분무탑 하부에는 가스 정류를 위한 다공판 등의 정류판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분무탑의 기-액 접촉공간에 분무된 흡수액 액적은 곧바로 종말속도(Terminal velocity, Vt)에 이르게 되어 아랫방향으로 침강하게 된다. 이때의 속도는 Vd/g로 표현하는데 이는 액적(droplet)의 가스(gas)에 대한 상대속도를 의미한다. 가스의 속도는 Vg/w로 표현하는데 이는 가스(gas)의 벽(wall, 분무탑 내벽)에 대한 상대속도를 의미한다. 결국 물방울(액적)의 벽에 대한 상대속도 Vd/w은 하기 [식 6]과 같이 쓸 수 있다. [참고도 1]은 상기 Vd/g, Vg/w 및 Vd/w의 개념을 나타낸 것이다.
[식 6]
[참고도 1]
여기서 Vd/g는 액적의 종말속도(Vt)이며, 액적의 종말속도(Vt)는 하기 [식 7]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식 7]
하기 [표 1]은 구형 입자에 대해 흐름의 전 영역에 대해 항력계수를 정리한 것이다.
[표 1] - 구형 입자에 대한 레이놀즈(Re) 수 전 영역 항력계수 식
만약 Vg/w가 Vd/g가 보다 크게 되면 Vd/w의 값이 음(-)이 되고 즉, 액적은 하부로 하강하지 못하고 상부로 비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운전에 있어 액적은 하강하여 순환조로 돌아가야 하므로 Vg/w < Vd/g가 되도록 설계한다. 즉 가스의 유속은 액적의 종말속도보다 느려야 한다. 만약 Vg/w = Vd/g라면 이론적으로 액적의 벽에 대한 상대속도 Vd/w = 0이 되어 액적은 공간에 정지하게 되며, 이 때문에 공간에 액적이 많아지게 되고, 그 결과 기-액 접촉 면적이 커지게 되어 물질전달 및 집진효율의 증가가 예상된다. 그러나 실제 노즐로부터 분무된 액적의 크기는 정규분포를 이루므로 평균액적경보다 작은 액적들은 모두 비산되어 후단의 액적분리장치로 유입되고 평균보다 큰 크기의 액적들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액적분리장치가 감당할 수 있는 미스트 부하와 노즐에서 분무된 액적의 액적분포 및 평균액적경의 종말속도를 고려하여 가스의 유속(Vg/w)를 결정해야 한다.
아래 [참고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효한 기-액 접촉공간의 높이가 Z라면 액적이 공간에 체류하는 시간(t)은 [식 8]과 같다.
[참고도 2]
[식 8]
분무탑 내부에서 단위횡단면적당 분무되는 흡수액 유량이 QL (m3/s)라면 이 유량이 Z 길이의 공간에서 t 초간 머무르고 있는 것이므로 이 공간에 체류하고 있는 액부피(VL)는 하기 [식 9]와 같다.
[식 9]
따라서, 기-액접촉공간 횡단면적을 A라 할 때, 공간(A×Z)내에 존재하는 액적의 체적분율(Liquid holdup, Hd)은 [식 10]과 같이 나타난다.
[식 10]
단위 액적의 부피는 이므로 공간에 체류하는 액적의 개수(Nd)는 [식 11]로 나타낼 수 있다.
[식 11]
단위 액적의 표면적은 이므로 공간에서 액적이 이루는 총 면적(Ad)은 [식 12]로 나타낼 수 있다.
[식 12]
분무탑 횡단면적을 A (m2)라 하면 공간의 체적(VT)은 AZ이고,
여기서 분무탑 횡단면적 A는 처리풍량 QG (m3/s)을 이용하여 [식 1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13]
이상의 결과를 공간의 체적(VT)으로 다시 정리하면 [식 14]와 같다.
[식 14]
따라서 기-액 접촉공간에서의 액적이 이루는 비표면적(a)은 [식 1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분무탑에서 물질전달이 이루어지는 기-액 비접촉면적이 커지기 위해서는 흡수액량(QL), 가스와 액적의 절대속도 비(Vg/w/Vd/w)가 커야하고 가스의 유량(QG)가 적고 흡수 액적의 직경 dd가 작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설계상으로 조절 가능한 인자인 흡수액적의 하 방향 절대속도 Vd/w를 작게 하고 액적경 dd가 작아야 한다.
문제는 분무탑의 단면이 일정하다면 가스유속과 종말속도가 같은 흡수액의 액적경은 단 하나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분무된 흡수액 액적의 직경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정규분포를 이루고 있으므로 기-액 비접촉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분무탑의 직경이 변해야 한다.
정규분포를 이루는 흡수 액적들을 효율적으로 공간에 머무르게 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분무탑의 횡단면이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커지는 역 테이퍼 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노즐에서 분무된 액적 직경 중 DV0.9 입경을 큰 입경의 한계로 하여 분무탑 하부에 머물게 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DV0.1 입경을 작은 입경의 한계로 하여 분무탑 상부에 머물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대부분의 분무 액적경을 유효한 흡수 기-액 계면적으로 형성하는데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역 테이퍼 구조의 기-액 접촉공간은 높은 물질전달 효율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평균 분무 액적경을 작게 하고 기-액 접촉공간 높이를 충분히 길게 하며, 하부의 면적은 큰 액적경의 한계인 DV0.9를 기준으로 하여 결정하고, 상부의 면적은 작은 액적경의 한계인 DV0.1을 기준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역 테이퍼 구조의 기-액 접촉공간이 구성된 분무탑은 저렴한 초기 투자비와 낮은 압력손실에서도 큰 기-액 접촉면적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역 테이퍼 구조의 기-액 접촉공간은 필요에 따라 2단 이상의 복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10 : 가스공급부 20,20a : 기-액 접촉공간 30 : 가스배출로
40 : 노즐 50 : 정류판 60 : 액적분리장치
70 : 수용공간 80 : 펌프
100,100' : 분무탑

Claims (8)

  1. 하단의 가스공급부; 중단의 기-액 접촉공간; 및 상단의 가스배출로가 구비된 분무탑을 포함하며,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흡수액이 상기 기-액 접촉공간에 분무되고,
    상기 가스공급부에 공급된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가 상승하면서 상기 기-액 접촉공간을 거쳐 상기 가스배출로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분무된 흡수액 액적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기-액 접촉공간은 흡수액 분무 지점에서 하방향으로 횡단면적이 점감(漸減)하는 역 테이퍼 구조로 구성되어, 액적경에 따른 액적 분산 및 기-액 접촉공간 체류시간 극대화에 따라 기-액 접촉면적 극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기-액 접촉공간은 DV0.9 입경의 액적이 역 테이퍼 구조 하부에 체류하고, DV0.1 입경의 액적이 역 테이퍼 구조 상부에 체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기-액 접촉공간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수액을 분무하는 노즐;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기-액 접촉공간의 노즐 상부에 구비된 액적분리장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가스공급부 상부에 구비된 정류판(Distributing Plate);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가스공급부의 하부에는 낙하한 액적을 수용하는 저장공간; 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의 흡수액을 펌핑하여 상기 노즐에 공급하는 펌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기-액 접촉공간은 복수 단이 종방향으로 반복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
KR1020220073010A 2022-06-15 2022-06-15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 KR20230172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010A KR20230172305A (ko) 2022-06-15 2022-06-15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010A KR20230172305A (ko) 2022-06-15 2022-06-15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305A true KR20230172305A (ko) 2023-12-22

Family

ID=8930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010A KR20230172305A (ko) 2022-06-15 2022-06-15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30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465B1 (ko) 2014-11-26 2015-10-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645975B1 (ko) 2015-07-02 2016-08-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 소비가 최적화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KR101874068B1 (ko) 2016-09-20 2018-07-03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465B1 (ko) 2014-11-26 2015-10-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645975B1 (ko) 2015-07-02 2016-08-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 소비가 최적화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KR101874068B1 (ko) 2016-09-20 2018-07-03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5817B2 (en) Ammonia-based multi-zone double-loop process for ultralow emission of multi-pollutant
US94688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t desulfurization spray towers
CN204469533U (zh) 一种分级反应复合脱硫塔
WO2018103340A1 (zh) 一种高效率脱除气溶胶的水洗装置
CA3022784C (en) Multi-level gas scrubber with multiple flooded scrubber heads
CN102764582B (zh) 湿法烟气脱硫喷淋吸收塔
JP2023162258A (ja) 二酸化炭素回収システムおよび二酸化炭素回収システムの運転方法
CA2130086C (en) Method and device for gas cleaning or gas cooling
KR20230172305A (ko) 흡수액 분무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시스템
CN202778265U (zh) 改进型湿法烟气脱硫喷淋吸收塔
CN214693383U (zh) 化工生产含氨废水处理装置
CN204193780U (zh) 一种高效脱硫吸收塔
CN103357246A (zh) 一种用于烟气净化的海水脱硫吸收塔、脱硫系统及其方法
WO2003031028A1 (en) Apparatus for continuous carbon dioxide absorption
CN1201852C (zh) 烟气脱硫脱硝下行流化床反应器
CN202778267U (zh) 高品质湿法烟气脱硫喷淋吸收塔
CN212701273U (zh) 一种气相物料液膜床脱硫化氢的装置
WO2012023634A1 (ja) 気液接触方法および気液接触装置
CN103521066A (zh) 强制紊流烟气脱硫塔
CN2905195Y (zh) 气动波脱硫脱硝除汞一体化装置
CN203577623U (zh) 强制紊流烟气脱硫塔
CN208553516U (zh) 低阻力的尿素造粒塔粉尘回收装置
CN206295797U (zh) 一种带浮动角钢塔盘的湿法脱硫装置
CN2629794Y (zh) 高效多功能液体初始分布器或除沫器
CN1319629C (zh) 具有吸收剂浆液再分布装置的喷淋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