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125A -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한 장의자 - Google Patents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한 장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125A
KR20230172125A KR1020220072552A KR20220072552A KR20230172125A KR 20230172125 A KR20230172125 A KR 20230172125A KR 1020220072552 A KR1020220072552 A KR 1020220072552A KR 20220072552 A KR20220072552 A KR 20220072552A KR 20230172125 A KR20230172125 A KR 20230172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vertical seat
angle adjustment
vertical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재
Original Assignee
이봉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재 filed Critical 이봉재
Priority to KR102022007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125A/ko
Publication of KR20230172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12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한 장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골판지로 형성된 다수개의 수직 좌판을 일렬로 배열하고, 상기 수직 좌판 사이에 각도 조절편을 각각 삽입한 다음 수직 좌판의 좌·우측 끝단에 좌·우측 고정판을 각각 위치시키고, 상기 좌·우측 고정판의 외주면에 고정 브라켓을 밀착한 다음 좌·우측 고정판, 수직 좌판, 각도 조절편, 각도 조절편에 형성된 연결공으로 와이어를 삽입하여 연결한 다음 와이어의 끝단을 체결하여 일렬로 조립된 장의자를 제공하면 사용자는 원형, U자형을 포함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한 장의자{deformable chair}
본 발명은 골판지로 성형되어 구성된 다수개의 수직 좌판을 일렬로 배열하고, 상기 수직 좌판 사이에 각도 조절편을 상황과 조건에 따라 1개 또는 다수개를 각각 삽입한 다음 수직 좌판의 좌·우측 끝단에 좌·우측 고정판을 각각 위치시키고, 상기 좌·우측 고정판의 외주면에 고정 브라켓을 밀착한 다음 좌·우측 고정판, 수직 좌판, 각도 조절편, 각도 조절편에 형성된 연결공으로 와이어를 삽입하여 연결한 다음 와이어의 끝단을 체결하여 일렬로 조립된 장의자를 제공하면 사용자는 원형, U자형을 포함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만든 벤치(bench)형 장의자를 기본으로 하는 장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의자는 사람이 걸터앉을 때 사용하는 가구의 한 종류로, 그 형태에 따라 등받이가 없는 간의 장의자, 스툴, 팔걸이 장의자, 안락장의자, 소파, 흔들장의자 등이 있고, 용도에 따라 사무용, 학습용, 휴식용 등으로 구분되며 재질은 목재, 철재, 합성수지재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장의자는 고정식, 조립식, 일반장의자, 장의자를 포함하여 조립한 상태에서 모양이 변형되지 않고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한다.
장의자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여러명이 앉을 수 있도록 일렬로 좌판을 배열하여 고정한 상태이므로 설치공간에 맞게 원형 또는 타원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부에서는 운반 및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하고, 경량화하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골판지를 이용한 조립식 장의자를 제공한다.
종래에 한국 특허출원번호 제 2007 - 0097482 호 "격자 조립식 골판지 복층 결합구조를 가지는 동물형 장의자 "가 출원되어 등록되었다.
상기 선등록된 동물형 장의자는 골판지를 미리 동물모양에 맞게 재단하여 절단한 다음 각 장의자 본체는 동물형태를 취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교체에 따른 다양한 동물로 변신하도록 조립하는 구성입니다.
따라서 종래의 장의자는 골판지를 사용하는 것은 동일하나 설치공간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설령 장의자 자체가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장의자를 다른 모양으로 변형하기 위해서는 각 부위를 분리한 다음 결합하는 과정을 거쳐야 함으로 조립공정이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출원번호 제 2007 - 0097482 호 "격자 조립식 골판지 복층 결합구조를 가지는 동물형 장의자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장의자는 골판지를 사용하는 것은 동일 하나 분리 및 결합 공정 없이 설치공간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본 구조를 유지하며 다양한 모양으로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부에 앉을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일렬로 배열된 다수개의 수직 좌판과, 상기 수직 좌판 사이에 각각 삽입된 각도 조절편과, 좌·우측 끝단에 위치한 수직 좌판의 일면에 각각 위치하여 보호하는 좌·우측 고정판과,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는 좌·우측 고정판의 전면에 밀착되고 상부는 좌·우측 고정판과 수직 좌판의 상면에 밀착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 좌·우측 고정판, 수직 좌판, 각도 조절편에 형성된 연결공으로 와이어를 삽입하여 인출된 와이어 끝단을 연결하여 고정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수직좌판을 좌우로 구부려 모양을 변형하는 과정에서 각도 조절편의 두께 및 수직 좌판의 길이(폭)에 비례하게 수직 좌판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각도 조절편의 개수를 추가하여 좌우로 자유자재로 장의자 모양을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자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의자는 수직 좌판을 일렬로 배열하고, 수직 좌판 사이에는 각도 조절편이 각각 삽입되어 와이어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직 좌판을 좌우로 구부려지는 과정에서 각도 조절편의 두께 및 삽입 개수에 비례하게 수직 좌판의 각도가 변형되는 만큼 다양한 모양으로 장의자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장의자는 일자형 장의자, 원형 장의자, U자형 장의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 좌판은 등받이부, 엉덩이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수직 좌판의 일면에 그림 및 문양을 표현하여 디자인적으로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각도 조절편의 양면에 텐션 지지편을 삽입하여 각도 조절시 각도의 크기와 텐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수직 좌판, 각도 조절편, 좌·우측 고정판의 재질은 골판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경량화로 초대형 장의자임으로 DIY(do-it-yourself)로 현장에서 조립하고 분해하여 사용할 수 있어, 그 운반이 편리하고 환경친화적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의자는 우측 고정판과 수직 좌판 일부를 분리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장의자는 결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장의자에서 일부를 확대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의자에서 일부를 확대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장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를 도시해 보인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장의자에서 수직 좌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장의자를 원형으로 형성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장의자를 U자형으로 형성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장의자를 일자형에서 일부를 구부린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장의자에서 상면 일부에 착석홈을 형성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장의자에서 좌·우측 고정판에 문양이 형성된 정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의자는 우측 고정판과 수직 좌판 일부를 분리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의자는 결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장의자에서 일부를 확대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장의자에서 일부를 확대해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 장의자는 설치공간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부리거나 펼쳐서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크게 좌·우측 고정판, 수직 좌판, 각도 조절편, 고정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 좌판(2)은 사용자가 상부에 앉을 수 있도록 골판지 재질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다수개가 일렬로 배열된다.
상기 수직 좌판(2)은 상하부 방향으로 연결공(5)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5)으로 와이어(4)를 삽입 인출하여 일렬로 배열된 다수개의 수직 좌판을 임의로 분리되지않도록 연결한다.
상기 수직 좌판(2) 내부에 형성된 골은 사용자가 수직 좌판(2) 상부에 착석하였을때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한다.
또한, 수직 좌판(2) 사이에 골판지 재질의 각도 조절편(14)이 각각 삽입된다.
상기 각도 조절편(14)은 수직 좌판(2)보다 크기를 더 작게 형성하고, 수직 좌판(2)에 형성된 연결공(5)과 일치하도록 연결공(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각도 조절편(14)은 수직 좌판(2) 사이에 위치하여 일렬로 배열된 수직 좌판(2)을 구부릴때 각도 조절편(14)의 두께에 비례하게 수직 좌판(2)의 움직인 각도만큼 지지한다.
따라서 각도 조절편(14)은 수직 좌판(2)이 원형으로 절곡되도록 유도하고 이를 지지한다.
또한, 좌·우측 끝단에 위치한 수직 좌판(2)의 일면에 각각 위치하여 보호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골판지 재질의 좌·우측 고정판(3, 3')이 위치한다.
상기 좌·우측 고정판(3, 3')은 연결공(5)이 형성된 고정편(9)과, 상기 고정편(9)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되어 삽입공(6)이 형성된 마감편(10)으로 구성되어 삽입공(6)으로 고정 브라켓(7)의 하부가 끼움 결합되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 고정판(3, 3')은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수직 좌판(2)이 사용자의 하중에 뭉게지는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견고함을 유지한다.
또한, 좌·우측 고정판(3, 3')은 좌·우측 고정판(3, 3')에 인접된 수직 좌판(2)을 보호하고, 좌·우측 고정판(3, 3')에 형성된 연결공(5)으로 와이어(4)를 삽입 인출하여 끝단을 연결되게 체결한 다음 수직 좌판(2)을 구부리는 과정에서 골판지 재질인 좌·우측 고정판(3, 3')과 연결공(5)이 손상되지않도록 보호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 브라켓(7)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면은 좌·우측 고정판(3, 3')의 전면에 밀착되어 삽입공으로 삽입되고, 수직면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수평면은 좌·우측 고정판(3, 3')과 좌·우측 고정판(3, 3')과 인접된 수직 좌판(2)의 상면에 밀착된다.
상기 수직면에는 수직 좌판(2)에 형성된 연결공(5)과 일치하도록 연결공(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7), 좌·우측 고정판(3, 3'), 수직 좌판(2), 각도 조절편(14)에 형성된 연결공(5)으로 와이어(4)를 삽입하여 인출된 와이어(4) 끝단을 연결하여 고정수단(8)으로 고정하여 장의자(1)를 완성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조립된 장의자(1)는 수직 좌판(2)사이에 각도 조절편(14)이 위치하고, 각도 조절편(14)의 크기가 수직 좌판(2)보다 크기가 작아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만큼 수직 좌판(2)의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각도 조절편(14)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수직 좌판(2)의 움직이는 각도가 더 커진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장의자(1)는 일렬로 형성된 상태에서 수직 좌판(2)을 구부리거나 펼치는 과정에서 각도 조절편(14)의 두께에 비례하게 수직 좌판(2)의 각도가 조절되어 자유자재로 모양을 변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장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를 도시해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 장의자(1)는 수직 좌판(2) 사이에 위치한 각도 조절편(14)의 양측으로 텐션 지지편(11)을 위치하고, 상기 텐션 지지편(11)의 양면으로 수직 좌판(2)이 위치한다.
상기 텐션 지지편(11)에는 연결공이 형성되어 와이어(4)가 삽입 인출되어 연결된다.
상기 각도 조절편(14)의 양측으로 텐션 지지편(11)의 갯수를 한개 이상 늘리며 수직 좌판(2)의 각도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텐션 지지편(11)은 각도 조절편(14)보다 크기를 더 크게형성하여 각도 조절편(14)을 중심으로 텐션 지지편(11)과 수직 좌판(2)은 동일한 각도로 함께 기울어지고, 기울어진 상태에서 텐션 지지편(11)은 수직 좌판(2)을 지지하여 보호하고, 원상태로 복귀시 텐션 지지편(11)의 텐션력에 의해 수직 좌판(2)이 용이하게 복원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 장의자에서 수직 좌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상기 수직 좌판(2)은 상부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등받이부(12)와 상기 등받이부(12)의 상부 배면에는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어 엉덩이 받침부(13)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사용자가 수직 좌판(2)에 착석하면 등받이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있어 허리 및 등을 기댈 수 있으며, 등받이부(12) 반대방향에는 엉덩이 받침부(13)가 형성되어 있어 엉덩이를 걸칠 수 있어 양쪽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 하였으나 수직 좌판(2)의 모양은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재질을 골판지만 사용하는게 아니라 다른 재질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 장의자를 원형으로 형성한 사시도로서, 길게 형성된 장의자를 원형으로 변형하기위해 좌·우측 고정판을 잡고 원형으로 구부리면 좌·우측 고정판, 수직 좌판, 각도 조절편, 고정 브라켓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고, 수직 좌판사이에 각도 조절편이 위치함으로 동일한 각도로 수직 좌판이 이동하여 원형모양의 장의자를 형성하고, 원형모양의 장의자를 유지하기위해서는 좌·우측 고정판을 밀착된 상태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원형모양의 장의자로 형성하면 수직 좌판의 안쪽은 수직 좌판끼리 근접되고, 수직 좌판의 바깥쪽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도 9는 본 발명 장의자를 U자형으로 형성한 사시도로서, 좌우측 고정판을 잡고 U자형으로 구부리면 수직 좌판의 일부는 절곡되어 U자 모양으로 장의자를 변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 장의자를 일자형에서 일부를 구부린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로서, 일렬로 배열된 장의자는 수직 좌판 일부를 구부리면 수직 좌판은 와이어와 연결된 상태에서 절곡된 부위의 각도를 달리하여 구부려진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장의자의 모양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 장의자에서 상면 일부에 착석홈을 형성한 사시도로서, 수직 좌판의 상면에는 내측으로 홈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착석할때 엉덩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착석홈을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수직좌판의 형상을 나무, 조형물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 장의자에서 좌·우측 고정판에 문양이 형성된 정면도로서, 디자인적으로 장의자에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도록, 문양, 그림 등을 인쇄하거나 스티커 등을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직 좌판 및 좌우측 고정판의 재질을 평판 압축스펀지, 우레탄 등 발포성 석유화합물, PE, PP등 프라스틱류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장의자 2: 수직 좌판
3, 3': 좌·우측 고정판 4: 와이어
5: 연결공 6: 삽입공
7: 고정 브라켓 8: 고정수단
9: 고정편 10: 마감편
11: 텐션 지지편 12: 등받이부
13: 엉덩이 받침부 14: 각도 조절편
15: 착석홈

Claims (4)

  1. 사용자가 상부에 앉을 수 있도록 골판지 재질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일렬로 배열된 다수개의 수직 좌판(2); 과
    상기 수직 좌판(2) 사이에 각각 삽입된 골판지 재질의 각도 조절편(14); 과
    좌·우측 끝단에 위치한 수직직각 좌판(2)의 일면에 각각 위치하여 보호하는 골판지 재질의 좌·우측 고정판(3, 3');과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면은 좌·우측 고정판(3, 3')의 전면에 밀착되고 수직면에서 절곡된 수평면은 좌·우측 고정판(3, 3')과 수직 좌판(2)의 상면에 밀착되는 고정 브라켓(7); 과
    상기 고정 브라켓(7), 좌·우측 고정판(3, 3'), 수직 좌판(2), 각도 조절편(14)에 맞추어 형성된 연결공(5)으로 와이어(4)를 삽입하여 인출된 와이어(4) 끝단을 연결하거나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고리를 만들어 착탈 방식으로 고정한 고정수단(8); 으로 구성되어 수직 좌판(2)을 구부리거나 펼치는 과정에서 각도 조절편(14)의 두께에 비례하게 수직 좌판(2)의 각도가 조절되어 자유자재로 장의자 모양을 변형하며 장의자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한 장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편(14)의 양면에는 텐션 지지편(11)이 위치하여 텐션 지지편(11)과 각도 조절편(14)의 두께에 비례하여 다수의 각도 조절편을 삽입하여 각도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한 장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고정판(3, 3')은 연결공(5)이 형성된 고정편(9)과, 상기 고정편(9)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되어 삽입공(6)이 형성된 마감편(10)으로 구성되어 삽입공(6)으로 고정 브라켓의 하부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한 장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좌판(2)은 상부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등받이부(12)와 상기 등받이부(12)의 상부 배면에는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어 엉덩이 받침부(13)가 일체로 형성하는 듯 다양한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모양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한 장의자.
KR1020220072552A 2022-06-15 2022-06-15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한 장의자 KR20230172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552A KR20230172125A (ko) 2022-06-15 2022-06-15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한 장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552A KR20230172125A (ko) 2022-06-15 2022-06-15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한 장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125A true KR20230172125A (ko) 2023-12-22

Family

ID=8930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552A KR20230172125A (ko) 2022-06-15 2022-06-15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한 장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12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482A (ko) 2005-01-06 2007-10-04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액정 실링제 및 이것을 사용한 액정표시 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482A (ko) 2005-01-06 2007-10-04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액정 실링제 및 이것을 사용한 액정표시 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8744B2 (en) Chair
US7267408B2 (en) Article of rattan furniture having a seat support cushion
US7219962B2 (en) Design and assembly technique for ready to assemble furniture
US7278691B2 (en) Article of furniture having a recessed surface for a cushion
US4639042A (en) Chair back arrangement
US20050017554A1 (en) Portable chair
US10813463B2 (en) Compliant backrest
ITPD20080209A1 (it) Seduta variamente componibile
US7052083B2 (en) Bumper edge chair
US20050099052A1 (en) Stackable chair with modular slide-on seat back
KR20080005175U (ko) 가변형 카우치소파
US5727849A (en) Modular chair
US4026567A (en) Upholstered seating system
KR20230172125A (ko)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한 장의자
US5890761A (en) Pew having discrete seating portions
US20120104824A1 (en) Modular convertable furniture assembly using stackable components
KR20160002665U (ko) 조립식 소파
JPH07231831A (ja) ダンボール製ソファー
KR200427977Y1 (ko) 조립식 의자
JP5390664B2 (ja) 長椅子の構造
KR102552180B1 (ko) 변형이 가능한 기능성 소파
KR200299212Y1 (ko) 조립식 소파
JP6494102B2 (ja) 椅子
KR102640856B1 (ko) 긴장 견인 및 고정수단이 부가된 등받이 의자용 메쉬형 좌판
JP3238023U (ja) 家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