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175U - 가변형 카우치소파 - Google Patents

가변형 카우치소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175U
KR20080005175U KR2020070007222U KR20070007222U KR20080005175U KR 20080005175 U KR20080005175 U KR 20080005175U KR 2020070007222 U KR2020070007222 U KR 2020070007222U KR 20070007222 U KR20070007222 U KR 20070007222U KR 20080005175 U KR20080005175 U KR 200800051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frames
couch
sof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영근
Original Assignee
표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영근 filed Critical 표영근
Priority to KR2020070007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175U/ko
Publication of KR200800051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1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34Joining seats, chairs, or couches to form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47C13/005Modular se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변형 카우치소파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하나의 카우치소파가 3분할된 프레임과 시트로 하여금 개별적으로 분리, 조합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취향과 거실모양, 크기, 형태에 따라 가변되며 카우치형, 원-쓰리형, 투투형 등으로 자유로운 변형이 용이하여 사용공간에 따른 배치가 편리함은 물론, 변경된 주거공간에 대해 공간 효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카우치소파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카우치소파에 있어서, 2인용 좌대(110) 후방에 등받이(120)가 부설되는 제1프레임(100)과; 1인용 좌대(210) 후방에 등받이(220)가 부설되는 제2프레임(200)과; 1인용 좌대(310)로 형성되는 제3프레임(300)과; 상기 제1프레임의 좌대(110) 상단부 또는 제2프레임과 제3프레임의 좌대(210,310)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2인용 쿠션체로 형성되는 제1시트(400)와; 상기 제1프레임의 좌대(110) 상단부 어느 일측 또는 제2프레임, 제3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좌대(210,310)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1인용 쿠션체로 형성되는 제2시트(500)와; 상기 제1프레임의 좌대(110) 상단부 어느 일측 또는 제2프레임, 제3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좌대(210,310)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1인용 쿠션체로 형성되는 제3시트(6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카우치, 가변형, 프레임, 좌대, 등받이, 딸랑이, 시트, 팔걸이

Description

가변형 카우치소파{Variableness type couch sofa}
도 1은 본 고안의 카우치소파가 기본형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우치소파의 일 변형설치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카우치소파의 다른 일 변형설치 실시예,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과 시트의 구조변화를 나타낸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프레임 110, 210, 310 ... 좌대
200 ... 제2프레임 120, 220 ... 등받이
300 ... 제3프레임 400 ... 제1시트
500 ... 제2시트 600 ... 제3시트
본 고안은 가변형 카우치소파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하나의 카우치소파가 3분할된 프레임과 시트로 하여금 개별적으로 분리, 조합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취향과 거실모양, 크기, 형태에 따라 가변되며 카우치형, 원-쓰리형, 투투형 등으로 자유로운 변형이 용이하여 사용공간에 따른 배치가 편리함은 물론, 변경된 주거공간에 대해 공간 효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카우치소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우치소파는 주거공간이 비교적 대형 평수인 거실에 설치(배치)되어 소파와 침대 기능을 일정부분 겸용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카우치소파는 침대와 소파의 중간적인 구실을 하는 긴 의자로서, 18세기 무렵부터 이탈리아와 프랑스 등지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몸을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한쪽을 완만하게 경사가 지도록 만들고 다른 한쪽은 등받이를 두어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여러가지 변형된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에 종래의 카우치소파는 좌대 및 쿠션체로 형성된 프레임(몸체)이 고정식으로 형성되어 거실 등에 한번 설치되면 다른 방식으로 재설치 및 이동이 어려워 사용자의 다양한 분위기 연출 등에 어려움이 따랐으며 특히, 사용자의 이사에 따라 거실 모양, 크기 등 형태가 변경되면 고정식으로 형성된 종래 카우치소파를 적절하게 설치 및 배치시키는데 적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하나의 카우치소파가 3분할된 프레임과 시트로 하여금 개별적으로 분리, 조합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취향과 거실모양, 크기, 형태에 따라 가변되며 카우치형, 원-쓰리형, 투투형 등으로 자유로운 변형이 용이하여 사용공간에 따른 배치가 편리함은 물론, 변경된 주거공간에 대해 공간 효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카우치소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카우치소파에 있어서, 2인용 좌대(110) 후방에 등받이(120)가 부설되는 제1프레임(100)과; 1인용 좌대(210) 후방에 등받이(220)가 부설되는 제2프레임(200)과; 1인용 좌대(310)로 형성되는 제3프레임(300)과; 상기 제1프레임의 좌대(110) 상단부 또는 제2프레임과 제3프레임의 좌대(210,310)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2인용 쿠션체로 형성되는 제1시트(400)와; 상기 제1프레임의 좌대(110) 상단부 어느 일측 또는 제2프레임, 제3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좌대(210,310)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1인용 쿠션체로 형성되는 제2시트(500)와; 상기 제1프레임의 좌대(110) 상단부 어느 일측 또는 제2프레임, 제3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좌대(210,310)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1인용 쿠션체로 형성되는 제3시트(6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은 일측단에 조립식 팔걸이(130,230)가 각각 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카우치소파를 사용자의 취사선택에 따라 카우치형, 원-쓰리형, 투투형 등의 소파 형태로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1,2,3프레임(100,200,300)과 제1,2,3시트(400,500,600)가 각각 분리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1프레임(100)은 2인용 좌대(110) 후방에 등받이(120)가 부설되는 바, 상기 좌대(110)는 원목 또는 합판 등으로 형성된 목재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좌대(110)는 두 사람이 앉아 착석할 수 있는 정도의 넓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프레임(200)은 1인용 좌대(210) 후방에 등받이(220)가 부설되는 바, 상기 좌대(210)는 원목 또는 합판 등으로 형성된 목재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좌대(210)는 한 사람이 앉아 착석할 수 있는 정도의 넓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프레임(300)은 1인용 좌대(310)로 형성되되 등받이 없이 단순 의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되는 이동 결합성을 위해 그러하다.
이때, 상기 제1시트(400)는 제1프레임의 좌대(110) 상단부 또는 제2프레임과 제3프레임의 좌대(210,310)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2인용 쿠션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3시트(500,600)보다 일방향으로 1인석을 더 확보함으로써 의자용으로보다는 침대용으로 활용하기 편리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2시트(500)는 제1프레임의 좌대(110) 상단부 어느 일측 또는 제2프레임, 제3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좌대(210,310)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1인용 쿠션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시트(500)는 용이한 가변 이동성을 갖도록 제1,2,3프레임(100,200,300)에 대해 탈,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시트(600)는 제1프레임의 좌대(110) 상단부 어느 일측 또는 제2프레임, 제3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좌대(210,310)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1인용 쿠션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3시트(600)는 용이한 가변 이동성을 갖도록 제1,2,3프레임(100,200,300)에 대해 탈,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은 일측단에 조립식 팔걸이(130,230)가 각각 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일방향 기대어 앉거나 누울수 있도록 도모하기 위함이다.
다음은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카우치형 소파>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틀로써 제1프레임의 좌대 상단부에 제1시트와 제2시트가 안착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일측단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기억자(ㄱ) 또는 니은자(ㄴ) 형태로 직교되는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3프레임 좌대 상단부에는 제3시트가 안착되어 하나의 카우치소파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카우치소파는 대형 거실 등에 공간의 제약 없이 설치(배치)된다.
<원-쓰리형 소파>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변형예로써 제2,3프레임 좌대에 안착되었던 제3시트를 걷어 제1프레임에 대응되게 안착하고 상기 제1프레임에 최초 결합되었던 제1시트와 제2시트를 각각 제2프레임 또는 제3프레임에 각각 대응되도록 안착시킨다.
이렇게 재 배열된 제1,2,3프레임과 제1,2,3시트 중 특히 제2시트와 제3프레임은 업계 용어로서 통상 '딸랑이' 로 분리되어 별도의 의자(좌석)를 제공하거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보조의자로써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은 일체로 나란히 연결되어 3인용 소파를 형성하며 원-쓰리 형태 소파를 이루게 된다.
<투투형 소파>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변형예로써 제2,3프레임 좌대에 안착되었던 제3시트를 걷어 제1프레임에 대응되게 안착하고, 상기 제1프레임에 최초 결합되었던 제1시트와 제2시트를 각각 제2프레임 또는 제3프레임에 각각 대응되도 록 안착시킨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분리시켜 소형 평수의 거실 등에 분할 배치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재 배열된 제1,2,3프레임과 제1,2,3시트 중 특히 제2시트와 제3프레임은 업계 용어로서 통상 '딸랑이' 로 분리되어 별도의 의자(좌석)를 제공하거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보조의자로써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은 별도로 분리되어 2인용 소파 및 1인용 소파로 구분되며, 이에 추가로 딸랑이를 분할함으로써 투투 형태의 소파를 이루게 된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은 세가지 변형 예를 사용자의 취사선택에 따라 실시 가능함으로써 설치 공간의 제약없이 용이한 구조변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카우치소파가 3분할된 프레임과 시트로 하여금 개별적으로 분리, 조합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취향과 거실모양, 크기, 형태에 따라 가변되며 카우치형, 원-쓰리형, 투투형 등으로 자유로운 변형이 용이하여 사용공간에 따른 배치가 편리함은 물론, 변경된 주거공간에 대해 공간 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카우치소파에 있어서,
    2인용 좌대(110) 후방에 등받이(120)가 부설되는 제1프레임(100)과;
    1인용 좌대(210) 후방에 등받이(220)가 부설되는 제2프레임(200)과;
    1인용 좌대(310)로 형성되는 제3프레임(300)과;
    상기 제1프레임의 좌대(110) 상단부 또는 제2프레임과 제3프레임의 좌대(210,310)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2인용 쿠션체로 형성되는 제1시트(400)와;
    상기 제1프레임의 좌대(110) 상단부 어느 일측 또는 제2프레임, 제3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좌대(210,310)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1인용 쿠션체로 형성되는 제2시트(500)와;
    상기 제1프레임의 좌대(110) 상단부 어느 일측 또는 제2프레임, 제3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좌대(210,310)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1인용 쿠션체로 형성되는 제3시트(6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카우치소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은
    일측단에 조립식 팔걸이(130,230)가 각각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카우치소파.
KR2020070007222U 2007-05-02 2007-05-02 가변형 카우치소파 KR200800051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222U KR20080005175U (ko) 2007-05-02 2007-05-02 가변형 카우치소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222U KR20080005175U (ko) 2007-05-02 2007-05-02 가변형 카우치소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175U true KR20080005175U (ko) 2008-11-06

Family

ID=4150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222U KR20080005175U (ko) 2007-05-02 2007-05-02 가변형 카우치소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175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59Y1 (ko) * 2009-09-14 2012-03-21 이규섭 분리 조합형 침대 겸용 소파세트
CN104622086A (zh) * 2014-12-30 2015-05-20 林圣玉 改变空间的组合沙发床
KR20160025129A (ko) 2014-08-26 2016-03-08 김양선 가변형 소파
KR20160025427A (ko) 2014-08-26 2016-03-08 김양선 가변형 소파
KR20200014392A (ko) 2020-01-22 2020-02-10 김양선 가변형 소파
KR20200083690A (ko) 2018-12-28 2020-07-09 김양선 가변형 소파
KR102168626B1 (ko) * 2020-02-26 2020-10-21 주식회사 페르모사 소파의 가변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59Y1 (ko) * 2009-09-14 2012-03-21 이규섭 분리 조합형 침대 겸용 소파세트
KR20160025129A (ko) 2014-08-26 2016-03-08 김양선 가변형 소파
KR20160025427A (ko) 2014-08-26 2016-03-08 김양선 가변형 소파
CN104622086A (zh) * 2014-12-30 2015-05-20 林圣玉 改变空间的组合沙发床
KR20200083690A (ko) 2018-12-28 2020-07-09 김양선 가변형 소파
KR20200014392A (ko) 2020-01-22 2020-02-10 김양선 가변형 소파
KR102168626B1 (ko) * 2020-02-26 2020-10-21 주식회사 페르모사 소파의 가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5175U (ko) 가변형 카우치소파
US9420894B2 (en) Convertible seat/bed having noncoplanar bed base sections
US8997274B2 (en) Adjustable furniture apparatus
KR200438559Y1 (ko) 착탈식 팔걸이소파
JP2006174931A (ja) マルチチェア
KR200431273Y1 (ko) 형상 변형이 용이한 카우치 시스템
KR200459159Y1 (ko) 분리 조합형 침대 겸용 소파세트
KR20090007215U (ko) 소파
CN210748268U (zh) 一种多功能的组合沙发
KR102168626B1 (ko) 소파의 가변 방법
KR102552180B1 (ko) 변형이 가능한 기능성 소파
JP3214686U (ja) モジュール式ソファ及びそれを用いたソファベッド
KR200395547Y1 (ko) 침대겸용 소파
KR20020021584A (ko) 절첩식 매트리스 겸용 안락좌의자
CN212066266U (zh) 一种便于办公的多功能沙发
KR200494939Y1 (ko) 기능성 소파
CN212678713U (zh) 一种舒适休闲椅
JP3147976U (ja) ユニット式マルチシェーズロングソファー
CN220001324U (zh) 一种连接性强的组合式沙发
CN214156786U (zh) 一种摩登实木沙发组件
JP4657158B2 (ja) ソファー
KR200307441Y1 (ko) 공간확장이 가능한 소파
JP2005334204A (ja) 椅子および椅子セット
KR20230172125A (ko)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한 장의자
JP3097695U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