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736A - 카트모드를 구비한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카트모드를 구비한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736A
KR20230171736A KR1020220072244A KR20220072244A KR20230171736A KR 20230171736 A KR20230171736 A KR 20230171736A KR 1020220072244 A KR1020220072244 A KR 1020220072244A KR 20220072244 A KR20220072244 A KR 20220072244A KR 20230171736 A KR20230171736 A KR 20230171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kickboard
unit
control unit
sensor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환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72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1736A/ko
Publication of KR20230171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86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7/00Safet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00Acoustic signal devices; Arrangement of such devices on cycles
    • B62J3/10Electrical devices
    • B62J3/14Electrical devices indicating functioning of other devices, e.g. acoustic warnings indicating that lights are switched 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22Warning or information lights
    • B62J6/24Warning or information lights warning or informing the rider, e.g. low fuel warnin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부(110), 본체프레임(120), 발판부(130) 및 상기 본체프레임(120)과 상기 발판부(13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123)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100)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카트모드를 구비한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Safety control method of electric kickboard equipped with cart mode}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카트모드로 가변되는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전륜이나 후륜에 전동모터가 구비된 전동킥보드가 널리 보급되어 개인의 이동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기업들이 전동킥보드 공유 사업을 시작하여 접근성이 좋기 때문에, 출퇴근, 통학 등 이동수단으로 다양하게 이용된다.
전동킥보드 이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보행자, 자동차 등과 충돌하는 교통사고가 급증했는데, 2인 이상 탑승 금지 등 관련 법규를 지키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2018년 12만6000대 규모였던 개인형 이동장치 시장은 2020년 18만8000대 수준까지 커졌다. 앞으로 그 규모가 더 커져 2029년에는 49만3000대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전동킥보드 자체에 안전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전동킥보드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동수단 외 짐을 싣는 용도로 활용하기 위한 가변형 전동킥보드도 개발되었는데, 가변되지 않는 전동킥보드 외 가변형 전동킥보드에도 함께 적용할 수 있는 안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여 다양한 전동킥보드에 안전수단을 제공하여 사용자를 폭 넓게 보호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01540호는 전동킥보드의 안전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종 센서를 사용하여 속도, 도로상태, 장애물 존재여부 등의 상태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상태정보를 토대로 소정 속도 이상으로 운행되거나 추돌위험이 있는 경우 경보신호를 시각, 청각, 촉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나, 가변형 전동킥보드를 고려한 발명은 아니어서, 가변되는 타입의 전동킥보드에 적용 가능한 제어방법은 마련되어있지 않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9009호는 전동킥보드 정원 초과 탑승 방지를 위한 자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게 감지 센서와 접촉 인지 센서를 통해 산출된 탑승 인원 정보를 기반으로 전동킥보드 운행의 자동 제동을 수행할 수 있으나, 가변형 전동킥보드를 고려한 발명은 아니어서, 가변되는 타입의 전동킥보드에 적용 가능한 제어방법은 마련되어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9009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84387호 미국등록특허공보 제102662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카트모드로 가변되는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전동킥보드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잡이부(110), 본체프레임(120), 발판부(130) 및 상기 본체프레임(120)과 상기 발판부(13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123)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100)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제어부(101)가 상기 본체프레임(120)과 상기 발판부(130)가 이루는 각도와 상기 손잡이부(110)의 회전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전동킥보드(100)를 운전모드 또는 카트모드로 판단하는 단계; (b) 운전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손잡이부(110)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악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111) 및 상기 발판부(130)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131)의 센싱값을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무게감지센서(131)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이상이거나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 미만일 경우,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전동킥보드(100)의 가속 기능을 차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120)에 구비된 조명부(121) 및 경고음출력부(122)를 작동시키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 2 기준은 상기 제 1 기준보다 작음 (d) 상기 제어부(101)가 입력된 상기 압력감지센서(111)의 센싱값이 0일 경우 상기 (b)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입력된 센싱값이 0 이 아닐 경우 상기 제어부(101)에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킥보드(100)가 정상 작동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전동킥보드(100)의 속도를 확인하여 기설정된 기준 이상 속도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어부(101)에 상기 제동부(115)의 제동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b) 단계를 다시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101)에 상기 제동부(115)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압력감지센서(111)의 입력값을 더 확인하여, 상기 제동부(115)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되 상기 압력감지센서(111)의 입력값이 0일 경우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전동킥보드(100)의 가속 기능을 차단하고 상기 조명부(121) 및 상기 경고음출력부(122)를 작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본체프레임(120)과 상기 발판부(130)의 각도는 상기 각도조절부(123)에 구비된 각도센서(123s)에 의해 판단되고, 상기 손잡이부(110)의 회전각도는 상기 손잡이부(110)에 구비된 회전센서(111s)에 의해 판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각도센서(123s)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고 상기 회전센서(111s)의 센싱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카트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각도센서(123s)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이거나 상기 회전센서(111s)의 센싱값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운전모드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카트모드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가 종료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d) 단계 이전에, (c1)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무게감지센서(131)의 무게가 상기 제1 기준 미만이되 상기 제2 기준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101)에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킥보드(100)가 정상 작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의 상기 각도센서(123s)의 센싱값의 기설정된 값은 9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동킥보드(100)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스마트헬멧(200)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전개 가능한 에어백(210) 및 상기 전동킥보드(100)와 송수신 가능한 통신부(203)를 구비하고, 단말기(10)는 가속도 변화를 통해 충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전동킥보드(100)와 송수신 가능한 통신부(13)를 구비하고, 상기 (f)단계 이후에, (g) 상기 전동킥보드(100)의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1)에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스마트헬멧(200)의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1)에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10)가 충격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여 상기 제어부(101)에 전달한 경우,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전동킥보드(100)에 충격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g) 단계 이후, 상기 (h)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전동킥보드(100)에 충격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스마트헬멧(200)에 구비된 상기 에어백(210)을 전개시키는 신호를 상기 스마트헬멧(200)에 전송하고, 상기 전동킥보드(100)의 상기 조명부(121) 및 상기 경고음출력부(122)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가변된 전동킥보드에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모드와 카트모드에 따라 각각 다른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전동킥보드를 이동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안전 제어방법을 제공하고 카트모드시 물품 수송을 유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동킥보드 운전자의 긴급상황을 감지하여 운전자가 제어를 못하는 상황이더라도 전동킥보드가 자동으로 제어되어 추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어 스마트 기기와 연동된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운전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운전모드를 카트모드로 가변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카트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트모드를 구비한 전동킥보드와 이에 마련된 안전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전동킥보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10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탑승한채 운전하여 목적지까지의 이동에 사용할 수 있는 운전 용도 외에도 가변시켜 수송용 카트로 사용가능하며, 카트로 사용할 경우 전동킥보드(100)의 제어부(101)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카트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전동킥보드(100)는 제어부(101), 센서부(102), 통신부(103), 손잡이부(110), 본체프레임(120), 각도조절부(123), 발판부(130), 및 한 쌍의 바퀴(140)를 포함한다.
제어부(101)는 전동킥보드(100)에 포함되어 센서부(102)에서 감지된 센싱값을 입력받거나, 센서부(102)에서 센싱된 센싱값을 이용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든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02)는 전동킥보드(100)에 내장된 센서들을 포함하며, 손잡이부(110)에 포함되는 압력감지센서(111), 회전센서(111s), 본체프레임(120)에 포함되는 충돌감지센서, 발판부(130)에 포함되는 무게감지센서(131) 등 전동킥보드(100)에 내장된 센서라면 모든 포함되어 센싱 결과를 제어부(101)에 실시간으로 입력할 수 있다.
통신부(103)는 별도로 마련된 단말기(10) 및/또는 스마트헬멧(200)의 통신부(13, 203)와 송수신할 수 있다.
손잡이부(110)는 본체프레임(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압력감지센서(111), 회전센서(111s), 및 제동부(115)를 포함한다.
압력감지센서(111)는 사용자의 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회전센서(111s)는 손잡이부(110)의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동부(115)는 손잡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될 때, 전동킥보드(100)의 제동을 수행한다.
본체프레임(120)의 상부에 손잡이부(110)가 위치하고 하부에 발판부(130)가 연결되며, 조명부(121) 및 경고음출력부(122)를 포함한다.
본체프레임(120)은 각도조절부(123)에 의해 발판부(130)와의 각도가 조절된다. 본체프레임(120)과 발판부(130)가 이루는 각도는 제어부(101)가 전동킥보드(100)의 모드를 판단하는 척도 중 하나로 이용된다. 예를들면, 본체프레임(120)과 발판부(130)가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110~120도일 경우, 제어부(101)가 1차로 카트모드로 판단할 수 있고, 본체프레임(120)과 발판부(130)가 이루는 각도가 90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70도~90도일 경우, 제어부(101)가 1차로 운전모드로 판단할 것이다.
조명부(121)는 제어부(101)에 의해 제어되며, 야간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작동되거나, 비상시 주변 사람들에게 위험을 알리기 위해 작동될 수 있다.
경고음출력부(122)는 바람직하게는 스피커일 수 있으며 제어부(101)에 의해 제어되고, 주변의 사람들에게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해 작동되거나, 비상시 주변 사람들에게 위험을 알리기 위해 작동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123)는 본체프레임(120)과 발판부(130)를 연결하며, 본체프레임(120)과 발판부(130)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123)는 각도센서를 포함하여 본체프레임(120)과 발판부(130)가 이루는 각도를 센싱하여 제어부(101)에 입력할 수 있다.
발판부(130)는 하나 이상의 무게감지센서(131)를 포함한다.
무게감지센서(131)는 발판부(130)에 하나 이상 내장되어 발판부(130)에 탑승한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한다.
발판부(130)는 카트모드일 경우, 별도로 구성되는 발판확장부(135)를 더 설치하여 발판부(130)의 면적을 확장시켜 많은 짐의 수송을 용이하게할 수 있다.
바퀴부(140)는 발판부(130)의 전후 각각에 위치하여 제어부(101)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동킥보드(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100)는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 헬멧(200) 및/또는 단말기(10)와 더 연동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10)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 등 스마트기기일 수 있으며, 가속도센서 및 통신부(13)를 구비하여 가속도 변화를 통해 충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결과를 제어부(10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는 제어부(101)의 제어신호를 받아 긴급메세지를 생성하여 112,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연락처로 생성된 긴급메세지를 발송할 수 있다.
스마트 헬멧(200)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전개 가능한 하나 이상 에어백(210) 및 통신부(203)를 포함하여, 충격감지센서의 센싱결과를 제어부(101)로 전송하거나 제어부(101)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에어백(210)을 전개할 수 있다(도 1 참고).
제어방법
도 5를 더 참조하여,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01)가 전동킥보드(100)의 가변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전동킥보드(100)가 운전모드로 운행 가능한지, 카트모드로 운행 가능한지를 확인한다(s100).
제어부(101)가 전동킥보드(100)의 본체프레임(120)과 발판부(130)가 이루는 각도를 각도조절부(123)에 구비된 각도센서(123s)를 이용해 판단하고, 손잡이부(110)에 구비된 회전센서(111s)를 이용해 회전각도를 판단하여 전동킥보드(100)가 운전모드로 운행 가능한 상태인지, 카트모드로 운행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여 모드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1)가 각도센서(123s)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고 회전센서(111s)의 센싱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카트모드로 판단하고, 각도센서(123s)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이거나 상기 회전센서(111s)의 센싱값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운전모드로 판단한다. 즉, 본체프레임(120)과 발판부(130)가 이루는 각도뿐만 아니라 손잡이부(110)의 방향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모드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체프레임(120)과 발판부(130)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전동킥보드(100)의 운전이 용이해지거나 수송이 용이해지기 때문인데, 일반적으로, 본체프레임(120)과 발판부(130)가 이루는 각도가 90도 미만일 경우 사용자가 전동킥보드(100)의 발판부(130)에 탑승한 채 손을 뻗었을 때 바른 자세가 갖춰지기 때문에 전동킥보드(100)를 운전모드로 이용시 본체프레임(120)과 발판부(130)가 이루는 각도는 90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70~80도(α)로 권장된다(도 2 참고).
만약, 이 상태에서 가변없이 카트모드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발판부(130)에서 하차하고 발판부(130)에 짐을 싣고 전동킥보드(100)의 전면 외측에서 손잡이부(110)를 반대 방향으로 잡고 짐을 수송하게 되는데, 손잡이부(110)가 발판부(130)쪽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전동킥보드(100) 전면 외측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손을 뻗어 손잡이부(110)를 잡아 밀며 수송할 경우 바르지 못한 자세가 되어 척추에 무리가 갈 것이다. 따라서, 카트모드의 경우 본체프레임(120)과 발판부(130)가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110~120도(β)로 권장되어, 사용자는 전동킥보드(100)를 카트모드로 사용하기 원할 경우 본체프레임(120)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즉, 도 3과 같이 본체프레임(120)과 발판부(130)가 이루는 각도를 둔각으로 변경하고, 손잡이부(110)를 회전시켜, 전동킥보드(100)의 전면 외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손을 뻗었을 때 발판부(130)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는 손잡이부(110)를 쥘 수 있게 되어 전동킥보드(100)에 실린 짐을 용이하게 수송할 수 있다(도 4 참조).
언급한 바와 같이, 운전모드와 카트모드 판단시, 제어부(101)가 손잡이부(110)의 회전각도를 함께 판단하는데, 손잡이부(110)는 일반적으로 전동킥보드(110)의 발판부(130)에 탑승한 채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쥐는 것을 고려하여 전동킥보드(100)의 진행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카트모드의 경우 달라진 사용자의 사용위치를 고려하여 회전시킨 후 사용할 필요가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전동킥보드(100)를 카트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전동킥보드(100)의 발판부(130)에서 하차한 후 발판부(130)에 짐을 싣고 전동킥보드(100)의 손잡이부(110)의 전면 외측에서 손잡이부(110)를 쥔 후 밀어서 발판부(130)에 실린 짐을 수송할 것이다. 만약, 손잡이부(110)를 회전시키지 않은 채 사용할 경우, 손잡이부(110)는 전동킥보드(100)의 진행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방향성을 가져서 사용자는 손잡이를 반대로 쥐고 짐을 수송하게되기 때문에 불편함을 호소하게 될 것이며, 가속과 제동의 버튼을 혼동하여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카트모드로 사용할 때 본체프레임(120)과 발판부(130)의 각도를 가변시킨 후, 손잡이부(110)를 회전시키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선행될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이러한 가변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별도 설정 없이도 자동으로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카트모드시, 손잡이부(110)를 회전시키면 손잡이부(110)의 방향성은 카트모드의 전동킥보드(100) 진행방향과 일치되어 전술한 문제가 해결된다. 이 때, 손잡이부(110)의 회전센서(111s)의 센싱 값은 90도 이상, 즉, 180도 내외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1) 운전모드(s200)
제어부(101)가 전동킥보드(100)의 본체프레임(120)과 발판부(130)가 이루는 각도와 손잡이부(110)의 방향을 판단하여 운전모드로 판단했을 경우 자동으로 제어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01)는 발판부(130)에 위치하는 무게감지센서(131)의 센싱 값과 손잡이부(110)에 위치하는 압력감지센서(111)의 센싱 값과 본체프레임(120)에 내장된 속도센서의 센싱 값과 각도조절부(123)에 내장된 각도센서(123s)의 센싱 값을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전동킥보드(100)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로 전동킥보드(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1)가 전동킥보드(100)를 운전모드로 판단한 경우, 손잡이부(110)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악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111) 및 발판부(130)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131)의 센싱값을 입력받는다(S210).
제어부(101)는 무게감지센서(131)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이상이거나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 미만일 경우, 전동킥보드(100)의 가속 기능을 차단하고 본체프레임(120)에 구비된 조명부(121) 및 경고음출력부(122)를 작동시킨다(S220).
제1 기준은 100kg 내지 110kg일 수 있으며, 성인여성 평균 몸무게 기준으로 산정하여 성인 2인의 탑승을 감지하여 경고음출력부(122)에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경고음은 2인 이상 탑승을 경고하는 내용이거나 미리 설정된 경고음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조명부(121)에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조명이 조사될 것이다.
제2 기준은 제1 기준보다 작으며, 40kg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성년자가 탑승할 경우 경고음과 조명을 출력하여 미성년자의 탑승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것이다.
제어부(101)는 무게감지센서(131)에서 입력받은 무게를 제2 기준 이상이되 제1 기준 미만으로 판단할 경우, 제어부(101)에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전동킥보드(100)를 정상 작동시킨다. 즉, 가속 신호, 방향조절 신호 등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전동킥보드(100)가 정상 작동될 것이다.
다음, 제어부(101)가 전동킥보드(100)의 손잡이부(110)에 위치하는 압력감지센서(111)의 압력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악력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고, 손잡이부(110)에서 압력이 감지된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자가 전동킥보드(100)를 탑승 후 손잡이부(110)를 쥐고있다고 판단하여, 전동킥보드(100)의 속도를 더 확인한다(S230, S240). 이 때, 손잡이부(110)의 압력감지센서(111)의 센싱값이 0일 경우, 제어부(101)는 다시 전동킥보드(100)의 발판(130)에 위치하는 무게감지센서(131)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탑승여부를 다시 판단한 후, 다시 주행속도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손잡이부(110)의 압력감지센서(111)에서 감지되는 센싱값이 0일 경우, 사용자가 없거나 탑승할 준비가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다시 사용자 탑승여부를 확인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손잡이부(110)의 압력감지센서(111)에서 감지되는 센싱값이 0이 아닐 경우 전동킥보드(100)는 제어부(101)에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정상 작동될 것이다.
다음, 제어부(101)가 전동킥보드(100)의 속도를 확인하여 기설정된 기준 이상 속도인지 판단하고, 기설정된 기준 이상 속도로 판단될 경우, 가속운전 상태로 판단하여 전동킥보드(100)의 가속 기능을 차단하고 본체프레임(120)에 구비된 조명부(121) 및 경고음출력부(122)를 작동시킨다.
다음, 제어부(101)는 제동부(115)의 제동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제동부(115)가 정상 작동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사용자의 탑승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동부(115)의 제동 신호가 제어부(101)로 입력되지 않을 경우, 압력감지센서(111)의 입력값을 더 확인하여, 제동부(115)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되 압력감지센서(111)의 센싱값이 0일 경우 제어부(101)가 전동킥보드(100)의 가속 기능을 차단하고 조명부(121) 및 경고음출력부(122)를 작동시킨다(S250, S260). 제동부(115)가 작동되지 않으며 손잡이부(110)의 압력감지센서(111)에서 센싱값이 0으로 감지된다면 사용자에게 긴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충돌사고 등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전동킥보드(100)가 감속한 뒤 정차시키는 것이다. 가속 기능을 차단하면 전동킥보드(100)의 바퀴와 바닥의 마찰력으로 인해 서서히 감속하다 자동으로 정지될 것이나, 경사가 있는 도로의 경우 제어부(101)가 전동킥보드(100)를 긴급 제동시킴으로써 정차시킬 수 있다.
2) 카트모드(s300)
제어부(101)가 전동킥보드(100)의 본체프레임(120)과 발판부(130)가 이루는 각도와 손잡이부(110)의 방향을 판단하여 카트모드로 판단했을 경우 자동으로 제어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전동킥보드(100)가 카트모드일 경우, 제어부(101)의 제어가 종료되어 사용자의 수동제어에 의해 전동킥보드(100)가 작동되는 수동모드로 전환된다(S310). 카트모드의 경우 발판부(130)에 사용자 대신 짐이 실려 수송이 우선시되며, 사용자가 전동킥보드(100) 전방 외측에서 직접 제어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전동킥보드(100)가 카트모드일 경우 자동 제어되지 않는 것이 맞으나, 일 실시예에서, 전동킥보드(100)는 기울기센서를 더 포함하여, 기울기센서에 의해 카트모드의 전동킥보드(100)가 내리막길인 것을 감지할 경우, 긴급 안전 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카트모드의 전동킥보드(100)가 내리막길 등 경사가 있는 길에서 주행될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쥐고 있더라도 무게중심이 쏠려 사용자도 중심을 잃어 전동킥보드(100)와 돌출물과의 충돌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긴급 안전 제동이 수행될 경우, 수동 제어이기 때문에 내리막길에서 가속도로 인해 사용자의 손에서 이탈될 경우 발생하는 충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단말기
12: 센서부
13: 통신부
100: 전동킥보드
101: 제어부
102: 센서부
103: 통신부
110: 손잡이부
111: 압력감지센서
111s: 회전센서
115: 제동부
120: 본체프레임
121: 조명부
122: 경고음출력부
123: 각도조절부
123s: 각도센서
130: 발판부
135: 발판확장부
200: 스마트헬멧
202: 센서부
210: 에어백

Claims (8)

  1. 손잡이부(110), 본체프레임(120), 발판부(130) 및 상기 본체프레임(120)과 상기 발판부(13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123)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100)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제어부(101)가 상기 본체프레임(120)과 상기 발판부(130)가 이루는 각도와 상기 손잡이부(110)의 회전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전동킥보드(100)를 운전모드 또는 카트모드로 판단하는 단계;
    (b) 운전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손잡이부(110)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악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111) 및 상기 발판부(130)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131)의 센싱값을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무게감지센서(131)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이상이거나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 미만일 경우,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전동킥보드(100)의 가속 기능을 차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120)에 구비된 조명부(121) 및 경고음출력부(122)를 작동시키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 2 기준은 상기 제 1 기준보다 작음
    (d) 상기 제어부(101)가 입력된 상기 압력감지센서(111)의 센싱값이 0일 경우 상기 (b)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입력된 센싱값이 0 이 아닐 경우 상기 제어부(101)에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킥보드(100)가 정상 작동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전동킥보드(100)의 속도를 확인하여 기설정된 기준 이상 속도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어부(101)에 상기 제동부(115)의 제동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b) 단계를 다시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101)에 상기 제동부(115)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압력감지센서(111)의 입력값을 더 확인하여, 상기 제동부(115)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되 상기 압력감지센서(111)의 입력값이 0일 경우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전동킥보드(100)의 가속 기능을 차단하고 상기 조명부(121) 및 상기 경고음출력부(122)를 작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본체프레임(120)과 상기 발판부(130)의 각도는 상기 각도조절부(123)에 구비된 각도센서(123s)에 의해 판단되고,
    상기 손잡이부(110)의 회전각도는 상기 손잡이부(110)에 구비된 회전센서(111s)에 의해 판단되는,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각도센서(123s)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고 상기 회전센서(111s)의 센싱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카트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각도센서(123s)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이거나 상기 회전센서(111s)의 센싱값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운전모드로 판단하는 단계;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카트모드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가 종료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d) 단계 이전에,
    (c1)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무게감지센서(131)의 무게가 상기 제1 기준 미만이되 상기 제2 기준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101)에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킥보드(100)가 정상 작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상기 각도센서(123s)의 센싱값의 기설정된 값은 90도인,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킥보드(100)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스마트헬멧(200)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전개 가능한 에어백(210) 및 상기 전동킥보드(100)와 송수신 가능한 통신부(203)를 구비하고,
    단말기(10)는 가속도 변화를 통해 충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전동킥보드(100)와 송수신 가능한 통신부(13)를 구비하고,
    상기 (f)단계 이후에,
    (g) 상기 전동킥보드(100)의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1)에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스마트헬멧(200)의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1)에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10)가 충격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여 상기 제어부(101)에 전달한 경우,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전동킥보드(100)에 충격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이후,
    상기 (h)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전동킥보드(100)에 충격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스마트헬멧(200)에 구비된 상기 에어백(210)을 전개시키는 신호를 상기 스마트헬멧(200)에 전송하고, 상기 전동킥보드(100)의 상기 조명부(121) 및 상기 경고음출력부(122)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
KR1020220072244A 2022-06-14 2022-06-14 카트모드를 구비한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 KR20230171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244A KR20230171736A (ko) 2022-06-14 2022-06-14 카트모드를 구비한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244A KR20230171736A (ko) 2022-06-14 2022-06-14 카트모드를 구비한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736A true KR20230171736A (ko) 2023-12-21

Family

ID=8932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244A KR20230171736A (ko) 2022-06-14 2022-06-14 카트모드를 구비한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173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223B1 (ko) 1998-01-16 2000-09-15 구자홍 광픽업 장치
KR20200109009A (ko) 2019-03-12 2020-09-22 이원석 전동킥보드 정원 초과 탑승 방지를 위한 자동 제동 시스템
KR20210084387A (ko) 2020-08-25 2021-07-07 주식회사 크림슨 개량형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223B1 (ko) 1998-01-16 2000-09-15 구자홍 광픽업 장치
KR20200109009A (ko) 2019-03-12 2020-09-22 이원석 전동킥보드 정원 초과 탑승 방지를 위한 자동 제동 시스템
KR20210084387A (ko) 2020-08-25 2021-07-07 주식회사 크림슨 개량형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540B1 (ko) 전동킥보드의 안전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245231B2 (en) Collision avoidance system
CN106985901A (zh) 坡道驻车辅助
JPH08239007A (ja) 車両のタイヤ空気圧感知方式のエアバック装置
WO2020039270A1 (en) Safe vehicle
JP6815973B2 (ja) 移動装置システム
WO2001021448A1 (en) Air bag suppression system
KR101361661B1 (ko) 차량용 통합 지능형 안전 시스템
KR20230171736A (ko) 카트모드를 구비한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
KR101514419B1 (ko)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595504B2 (ja) 車両の可動装備品の調整安全装置
JP3054488B2 (ja) 乗用型ゴルフカート
JP2006117046A (ja) 乗員保護システム、及び乗員保護装置
KR20130114959A (ko) 급발진 방지 기능이 제공된 전동 자전거 및 그의 제어 방법
EP2839997B1 (en) Arrangement for control of vehicle seat belt alert arrangement, a seat, a vehicle, a method and use of the arrangement
KR102546089B1 (ko) 안전 주행을 위한 안전 휠체어 및 운전 방법
KR102322300B1 (ko)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
JP2005178698A (ja) 安全発進支援装置
JP6964761B2 (ja) 鞍乗型車両
KR101925814B1 (ko) 고령자 및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수단 및 이의 주행 밸런스 유지 제어 방법
JP2003006796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2009090848A (ja) 車両の警報装置
KR101409226B1 (ko)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20240181962A1 (en) Message transmission system for mobility vehicle
JP2005263176A (ja) シートベルト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