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009A - 전동킥보드 정원 초과 탑승 방지를 위한 자동 제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동킥보드 정원 초과 탑승 방지를 위한 자동 제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009A
KR20200109009A KR1020190027942A KR20190027942A KR20200109009A KR 20200109009 A KR20200109009 A KR 20200109009A KR 1020190027942 A KR1020190027942 A KR 1020190027942A KR 20190027942 A KR20190027942 A KR 20190027942A KR 20200109009 A KR20200109009 A KR 20200109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kickboard
information
weight
electric
kick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이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석 filed Critical 이원석
Priority to KR102019002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9009A/ko
Publication of KR20200109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20Cycle computers as cycle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동킥보드에 탑재되어 있으며,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 인원 정보를 산출하는 무게 감지 센서; 전동킥보드에 탑재되어 있으며, 접촉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 인원 정보를 산출하는 접촉 인지 센서; 및 전동킥보드에 탑재되어 전동킥보드의 운행을 제동하는 유닛으로서,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 접촉 인지 센서를 통해 산출된 탑승 인원 정보를 기반으로 전동킥보드 운행의 자동 제동을 수행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킥보드 정원 초과 탑승 방지를 위한 자동 제동 시스템 {Electric Kickboard automatic Braking System to prevent multiple riders boarding}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 자동 제동 시스템으로서, 전동 킥보드를 운행할 때 정원인 1명이 아닌, 복수의 인원이 탑승하게 될 경우 운행을 하지 않도록 하는 전동킥보드 자동 제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단거리 이동 수단으로서 편리함과 사용상의 재미에 따른 수요 증가로 인해 최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라는 1인용 차량의 개발이 증대되고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이 확산되어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전동킥보드를 활용한 공유서비스가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가는 추세이다.
퍼스널 모빌리티 중에서도 전동킥보드라는 운송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전동킥보드의 구성은 크게 사람이 탑승하는 발판부와 핸들이 구비된 핸들부로 구성된다.
전동 킥보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퍼스널 모빌리티는 다양한 안전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관련 제도 및 법규가 구비되지 않았고, 이에 따라 안전에 따른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전동킥보드와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는 무엇보다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전동킥보드는 바퀴가 작아 균형을 잃기 쉬우며, 운전자를 보호하는 별도의 장치도 없다. 요철이 있는 도로를 주행하거나, 돌발상황에 의해 쉽게 균형을 잃기 쉬우며, 바로 상해사고 위험에 노출되기 쉽다. 따라서 전동킥보드 운행 시, 안정성을 높이도록 해야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전동킥보드는 1명이 타는 이동수단이다. 그런데 전동킥보드의 발판부는 다른 퍼스널 모빌리티에 비해 길게 되어 있어, 2명 이상의 인원이 탑승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동킥보드에 1명이 아닌, 2명 이상이 타게 되면 주행의 안정성은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조종이 둔해져서 상황 대응력이 떨어지며, 과중한 무게로 인해 작은 흔들림에도 균형을 잃기 쉽다. 아울러 정원 이상의 인원들이 탑승함에 따라 전동킥보드에 가해지는 과중한 무게는 기능고장이나 부품탈락 등의 파손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이러한 전동킥보드 파손 문제는 바로 안전사고와 직결되는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킥보드에는 정원만 탑승하여 주행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046621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동킥보드의 탑승 인원을 인지하여, 정원인 1명을 초과할 경우 전동킥보드를 자동으로 제동하여 운행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사람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동킥보드에 탑재되어 있으며, 전동킥보드의 발판부에 전해지는 무게를 감지하여 탑승 인원을 인지하는 무게 감지 센서; 전동킥보드의 발판부에 접촉하는 발의 개수를 감지하여 탑승 인원을 인지하는 접촉 인지 센서; 및 전동킥보드에 탑재되어 전동킥보드의 운행을 제동하는 유닛으로서, 상기 무게 감지 센서를 통해 산출된 탑승 인원 정보를 기반으로 운행 제동을 수행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승 인원 인지를 통한 운행 제동은, 전동킥보드에 탑승한 사람의 인원을 파악한 후, 정원인 1명을 초과할 경우 운행 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동킥보드에서 탑승한 인원의 수는 무게 감지 센서의 정보와 접촉 인지 센서의 정보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전동킥보드를 운행하기 위해서는 발판부에 사람이 발을 올려 놓고 탑승하게 되는데, 이때 무게 감지 센서와 접촉 인지 센서는 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무게 감지 센서를 통해 전동킥보드의 발판부에 가해지는 사람 체중 무게의 개수를 인지하게 되면, 전동킥보드의 탑승 인원 수를 파악할 수 있다.
접촉 인지 센서를 통해 전동킥보드 발판부에 접촉되는 발의 개수를 인지하면, 전동킥보드에 탑승해 있는 인원의 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전동킥보드 자동 제동 시스템는, 전동킥보드에 탑재된 무게 감지 센서, 모션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구비하며, 접촉 인지 센서도 추가된다. 상기 제동 유닛은, 무게 감지 센서와 접촉 인지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인원이 정원을 초과할 경우 전동킥보드의 운행을 자동으로 제동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정원 이상의 인원들이 전동킥보드에 탑승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정원 이상의 인원이 탑승할 경우, 전동킥보드의 운행을 자동으로 제동함으로써 전동킥보드의 안전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과중한 무게로 인하여 전동킥보드가 파손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전동킥보드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전동킥보드를 안전하게 운행하도록 함으로써 퍼스널 모빌리티 저변확대를 위한 사회적 인식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예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제동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발판부에서 무게 감지 센서를 기반으로 탑승 인원 인지 방법을 도시한 그림.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발판부에서 접촉 인지 센서를 기반으로 탑승 인원 인지 방법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예시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자동 제동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발판부에서 무게 감지 센서를 기반으로 탑승 인원 인지 방법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발판부에서 접촉 인지 센서를 기반으로 탑승 인원 인지 방법을 도시한 그림이다.
전동킥보드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1인용 이동수단으로 해외에서의 정식 명칭은 스쿠터(Scooter)이다. 영어권에서는 한국에서 흔히 말하는 오토바이 형식의 타고 다니는 스쿠터를 모터스쿠터(Motor Scooter)라 하여 오히려 따로 구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전동킥보드라 함은 스쿠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설명 및 그림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킥보드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은 도1에서 구현한 모양의 전동킥보드 뿐만 아니라 형태와 기능이 유사한 다른 모든 전동킥보드와 스쿠터에 해당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전동킥보드 제동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킥보드에 탑재되어 있으며 무게를 감지하여 탑승인원을 인지하는 무게 감지 센서(160)와, 접촉 인지 센서(170), 전동킥보드에 탑재되어 전동킥보드 운행을 제동하는 유닛으로서 무게 감지 센서(160)를 통해 산출된 무게 정보와 접촉 인지 센서(170)를 통해 접촉 개수 정보를 기반으로 전동킥보드의 제동을 수행하는 제어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모션 감지 센서(180), 움직임 감지 센서(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다.
무게 감지 센서(160)는, 전동킥보드에 탑재되어 있으며, 전동킥보드 발판부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 인원 정보를 산출한다. 접촉 인지 센서(170)는, 전동킥보드에 탑재되어 있으며, 전동킥보드 발판부 접촉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 인원 정보를 산출한다. 또한 발판부 모션 감지 센서(180), 발판부 움직임 감지 센서(190)를 통해 탑승 인원 인지에 대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제어 유닛(200)은, MCU(Main Control Unit)와 같은 연산 유닛으로서, 전동킥보드에 탑재되어 전동킥보드의 운행을 제동하는 유닛이다. 전동킥보드의 구동계를 제어하여 전동킥보드의 바퀴를 제동한다.
제어 유닛(200)은, 상기 무게 감지 센서(160)와 접촉 인지 센서(170)를 통해 산출된 탑승 인원 정보를 기반으로 전동킥보드 운행 제동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운행 제동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킥보드 발판부에 감지되는 무게 정보를 기반으로 한다. 발판부에 감지되는 사람 무게의 개수를 통해 정원을 초과한 인원이 탑승했을 경우 자동 운행 제동이 수행된다.
다른 하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킥보드 발판부에서 인지되는 접촉 정보를 기반으로 감지되는 발의 개수를 통해 정원을 초과하여 탑승하면 자동 운행 제동을 수행한다.
이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동킥보드 발판부에 감지되는 무게의 수를 통한 자동 제동
전동킥보드 발판부에 감지되는 무게의 수를 통한 자동 제동은, 전동킥보드 발판부에 감지되는 무게를 통해 탑승 인원을 인지한 후, 인지된 인원이 정원인 1명을 초과할 경우 자동 제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사람이 전동킥보드를에 타기 위해서는 발판부에 올라가야 하는데, 이때 발판부에는 사람 체중만큼의 무게가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발판부에 무게 감지 센서(160)를 탑재하여 가해지는 사람 무게의 수를 인지할 수 있으면 탑승한 인원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판부에 하나의 무게가 가해지면 정상 운행하며,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일정 이상의 무게가 인지되면, 이는 2명이 탑승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발판부 모션 감지 센서(180), 발판부 움직임 감지 센서(190)를 통해 탑승 인원 인지에 대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2) 전동킥보드 발판부에 접촉되는 발의 수를 인지하여 자동 제동
전동킥보드 발판부에 접촉되는 발의 개수를 통한 자동 제동은, 탑승자가 전동킥보드를 운행하기 위해서 발판부에 발을 올려놓게 되는데, 이때 접촉되는 발의 개수를 통해 탑승 인원을 인지한 후, 인지된 인원이 정원인 1명을 초과할 경우 자동 제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발판부에 접촉 인지 센서(170)를 탑재하여 사람의 발과 전동킥보드의 발판부가 접촉할 때 인지되는 발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판부에 접촉한 발의 개수가 2개 이하로 인지되면 정상 운행하며, 3개 이상으로 인지되면 이는 2명이 탑승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발판부 모션 감지 센서(180), 발판부 움직임 감지 센서(190)를 통해 탑승 인원 인지에 대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무게 감지 센서(160)와 접촉 인지 센서(170)를 중심으로 모션 감지 센서(180)와 움직임 감지 센서(190)는 각각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탑승 인원에 대한 정밀하고, 종합적인 판단을 하도록 한다.
200:제어 유닛
160:무게 감지 센서
170:접촉 인지 센서
180:모션 감지 센서
190:움직임 감지 센서

Claims (3)

  1. 전동킥보드에 탑재되어 있으며,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 인원 정보를 산출하는 무게 감지 센서;
    전동킥보드에 탑재되어 있으며, 접촉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 인원 정보를 산출하는 접촉 인지 센서; 및
    전동킥보드에 탑재되어 전동킥보드의 운행을 제동하는 유닛으로서, 상기 무게 감지 센서와 접촉 인지 센서를 통해 산출된 탑승 인원 정보를 기반으로 전동킥보드 운행의 자동 제동을 수행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자동 제동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무게 정보를 이용한 탑승 인원 정보 산출은,
    전동킥보드 발판부에서 무게 감지 센서를 통해 인지되는 사람 무게의 개수를 파악한 후, 파악된 무게의 수를 기반으로 탑승 인원을 파악하여, 파악된 인원이 정원을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제동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자동 제동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촉 정보를 이용한 탑승 인원 정보 산출은,
    전동킥보드 발판부에서 접촉 인지 센서를 통해 발판부와 접촉되는 탑승자 발의 개수를 파악한 후, 파악된 발의 수를 기반으로 탑승 인원을 파악하여, 파악된 인원이 정원을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제동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자동 제동 시스템.
KR1020190027942A 2019-03-12 2019-03-12 전동킥보드 정원 초과 탑승 방지를 위한 자동 제동 시스템 KR20200109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942A KR20200109009A (ko) 2019-03-12 2019-03-12 전동킥보드 정원 초과 탑승 방지를 위한 자동 제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942A KR20200109009A (ko) 2019-03-12 2019-03-12 전동킥보드 정원 초과 탑승 방지를 위한 자동 제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009A true KR20200109009A (ko) 2020-09-22

Family

ID=72707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942A KR20200109009A (ko) 2019-03-12 2019-03-12 전동킥보드 정원 초과 탑승 방지를 위한 자동 제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009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9864A (zh) * 2021-02-04 2021-05-25 武汉小安科技有限公司 单车载人检测方法及系统
KR102271321B1 (ko) * 2020-12-14 2021-07-01 주식회사 모빌린트 인공지능 기반의 사고 방지용 전동 킥보드 및 그의 사고 방지 방법
US20220055563A1 (en) * 2020-08-20 2022-02-24 Hyundai Motor Company Personal mobilit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tability using the same
KR102387894B1 (ko) * 2020-11-30 2022-04-18 주식회사 에이텍 전동 킥보드의 이용자 판별장치 및 방법
KR102390845B1 (ko) * 2021-11-16 2022-04-26 김현우 안전 전동 킥보드 장치
KR20220077717A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유테크 전동킥보드에 장착되는 다인원 탑승 알림장치
KR20220135964A (ko) *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올룰로 탑승 인원에 따른 속도제한 기능을 갖는 전동 킥보드
KR20230031466A (ko) *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매스아시아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전동 킥보드의 다인 탑승 감지 방법 및 장치
KR20230101108A (ko) * 2021-12-29 2023-07-06 김병건 퍼스널 모빌리티용 안전 가이드 장치
WO2023152009A1 (en) * 2022-02-14 2023-08-17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and method for determining vehicle occupancy
KR20230139094A (ko) 2022-03-25 2023-10-0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을 위한 개인형 모빌리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71736A (ko) 2022-06-14 2023-12-21 한국자동차연구원 카트모드를 구비한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621A (ko) 2012-10-09 2014-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621A (ko) 2012-10-09 2014-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55563A1 (en) * 2020-08-20 2022-02-24 Hyundai Motor Company Personal mobilit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tability using the same
KR102387894B1 (ko) * 2020-11-30 2022-04-18 주식회사 에이텍 전동 킥보드의 이용자 판별장치 및 방법
KR20220077717A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유테크 전동킥보드에 장착되는 다인원 탑승 알림장치
WO2022131393A1 (ko) * 2020-12-14 2022-06-23 주식회사 모빌린트 인공지능 기반의 사고 방지용 전동 킥보드 및 그의 사고 방지 방법
KR102271321B1 (ko) * 2020-12-14 2021-07-01 주식회사 모빌린트 인공지능 기반의 사고 방지용 전동 킥보드 및 그의 사고 방지 방법
CN112829864A (zh) * 2021-02-04 2021-05-25 武汉小安科技有限公司 单车载人检测方法及系统
KR20220135964A (ko) *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올룰로 탑승 인원에 따른 속도제한 기능을 갖는 전동 킥보드
KR20230031466A (ko) *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매스아시아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전동 킥보드의 다인 탑승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2390845B1 (ko) * 2021-11-16 2022-04-26 김현우 안전 전동 킥보드 장치
KR20230101108A (ko) * 2021-12-29 2023-07-06 김병건 퍼스널 모빌리티용 안전 가이드 장치
WO2023152009A1 (en) * 2022-02-14 2023-08-17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and method for determining vehicle occupancy
KR20230139094A (ko) 2022-03-25 2023-10-0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을 위한 개인형 모빌리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71736A (ko) 2022-06-14 2023-12-21 한국자동차연구원 카트모드를 구비한 전동킥보드의 안전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9009A (ko) 전동킥보드 정원 초과 탑승 방지를 위한 자동 제동 시스템
JP6648181B2 (ja) 制御装置
CN205022764U (zh) 一种轮外侧站立式自平衡电动滑板车
CN104085475A (zh) 自动平衡独轮车
CN107000804B (zh) 前后自平衡装置
KR20200101544A (ko) 퍼스널 모빌리티 속도 제어 시스템
Hassan Design and fabrication of a motorized prototype tricycle for the disable persons
KR101929397B1 (ko) 주행 안전성을 높인 고령자 및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수단 및 이의 구동 제어 방법
US11938936B2 (en) Stand-up vehicle having safety posture determination process and upper limit speed management process
US8132634B1 (en) Electronic steering assembly for dual motor vehicle
KR20170012510A (ko) 자전거
CN103126830A (zh) 电动轮椅的煞车控制系统及方法
KR20210017146A (ko) 주행 속도의 제어가 가능한 전동킥보드
CN206985461U (zh) 楼道代步电梯的载物平台
CN106275140A (zh) 智能自行车灯及其系统
GB2406315A (en) Light personal vehicle
JP7364446B2 (ja) ライダー支援システム、及び、ライダー支援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200957141Y (zh) 具有自平衡功能的电动轮椅车
US20220258822A1 (en) Drive module for a small or mini vehicle, and small or mini vehicle having the drive module
CN105035014A (zh) 具有防滑防摔功能的足部安全带装置
CN110613564A (zh) 一种基于轮毂检测的爬楼轮椅保护方法、系统和可读存储介质
JP2018015293A (ja) 歩行補助車両
CN105150897A (zh) 多功能定位绳支杆装置
CN205759416U (zh) 配重可调的动感单车
CN204998684U (zh) 一种轮外侧站立式的电动双轮平衡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