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456A -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456A
KR20230170456A KR1020220070949A KR20220070949A KR20230170456A KR 20230170456 A KR20230170456 A KR 20230170456A KR 1020220070949 A KR1020220070949 A KR 1020220070949A KR 20220070949 A KR20220070949 A KR 20220070949A KR 20230170456 A KR20230170456 A KR 20230170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rum
rotation
dry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곽은경
오민환
김휘중
차혜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0456A/ko
Priority to PCT/KR2023/003281 priority patent/WO2023239020A1/ko
Priority to US18/183,600 priority patent/US20230399792A1/en
Publication of KR20230170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2Preventing or reducing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의 적어도 일 면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 및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개시된 발명은 의류 등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드럼을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의류, 타월, 이불 등과 같은 세탁물이 수용된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건조기의 드럼은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드럼의 회전 시에 드럼과 함께 회전하면서 드럼이 효율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드럼과 맞닿는 롤러의 표면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드럼이 회전하지 않는 동안에는 드럼의 회전축이 장착된 후면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롤러 등이 드럼의 무게를 지탱하게 된다. 따라서, 건조기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 드럼의 무게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변형이 생길 수 있고, 이러한 롤러의 변형은 드럼의 초기 회전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은 드럼의 초기 회전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와 회전 시간을 결정하는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의 적어도 일 면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 및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상기 드럼이 정지해 있는 동안 상기 드럼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고,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변형이 회복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는,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드럼의 회전을 포함하는 회전 행정을 선택하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 저감 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소음 저감 행정의 수행 후에 상기 회전 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소음 저감 행정의 수행 시에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드럼의 회전이 마지막으로 종료된 시간과, 상기 회전 행정의 시작 시작 또는 현재 시간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상기 모터의 최대 RPM을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은,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드럼의 제1 회전수와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제1회전수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변형이 복구되는데 필요한 상기 드럼의 최소 회전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 및 주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캐배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의 적어도 일 면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상기 드럼이 정지해 있는 동안 상기 드럼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고,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변형이 회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드럼의 회전을 포함하는 회전 행정을 선택하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 저감 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소음 저감 행정의 수행 후에 상기 회전 행정을 시작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 저감 행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드럼의 회전이 마지막으로 종료된 시간과, 상기 회전 행정의 시작 시작 또는 현재 시간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상기 모터의 최대 RPM을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은,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드럼의 제1 회전수와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제1회전수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변형이 복구되는데 필요한 상기 드럼의 최소 회전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 및 주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된 모터의 회전 속도와 회전 속도에 따라 소음 저감 행정을 수행함으로써 드럼의 회전 초기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드럼과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따른 롤러의 변형 정도를 나타낸 테이블과 그래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실험에 사용된 건조기의 모터와 드럼의 풀리비를 나타낸 표이다.
도 9는 롤러의 형상이 변형된 정도에 따른 소음 미 발생 조건을 나타낸 표이다.
도 10은 롤러의 변형 정도에 따라 회전 초기 소음이 사라질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11 및 도 12는 롤러의 변형 정도에 따라 회전 초기 소음이 사라질 때까지 필요한 드럼의 회전수를 나타낸 테이블 및 그래프이다.
도 13은 주변 온도와 미사용 시간에 따른 최적의 모터 회전 속도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14는 주변 온도와 미사용 시간에 따른 최적의 모터 회전 시간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소음 저감 행정을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요소 앞에 사용되는 "제1~", "제2~"와 같은 서수는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뿐, 이들 구성요소들 사이의 연결 순서, 사용 순서, 우선 순위 등의 다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요소들의 리스트를 언급할 때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의 표현은, 요소들의 조합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오직 a, 오직 b, 오직 c, a 와 b 둘, a와 c 둘, b와 c 둘, 또는 a, b, c 모두의 조합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일 측면에 따른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외관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는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는 캐비닛(101)과 캐비닛(10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20)을 포함한다. 드럼(20)에는 건조 대상인 세탁물이 수용될 수 있다.
캐비닛(101)는 베이스 플레이트(102), 전면 커버(103), 탑 커버(104) 및 측/후면 커버(10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커버(103)에는 개구(103a)가 마련되고, 개구(103a)는 전면 커버(10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06)에 의해 개폐된다. 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드럼(20) 역시 도어(106)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전면 커버(103)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 장치(171a, 171b)와 건조기(1)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72)가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장치(171a, 171b)는 조그 셔틀(jog shuttle) 또는 다이얼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입력 장치(171a)를 잡고 돌리거나 누르는 등의 방식으로 명령을 입력하게 할 수도 있고, 터치 패드나 버튼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입력 장치(171b)를 터치하거나 누르는 방식으로 명령을 입력하게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72)는 LCD, LED, OLED, QLE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전면에 터치 패드가 마련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드럼(20)의 전면에는 투입구(121a)가 형성된 전면 프레임(121)이 배치될 수 있고, 투입구(121a)를 통해 세탁물이 드럼(2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드럼(20)의 후면은 고온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2a)가 마련된 후면 프레임(12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21)에는 세탁물의 건조에 사용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121b)가 마련될 수 있고, 유출구(121b)에는 세탁물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12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드럼(20)의 내벽에는 돌출된 형상의 리프터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세탁물의 텀블링을 보조할 수 있다.
드럼(20)은 드럼 모터(125)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드럼(20)은 벨트(126)에 의해 드럼 모터(125)에 연결되고, 벨트(126)는 드럼 모터(125)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드럼(20)에 전달할 수 있다.
드럼(20)은 그 회전축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드럼(20)의 회전축은 후면 프레임(122)에 장착될 수 있다.
건조기(1)가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방식으로는 히터에 의해 데워진 공기가 드럼 내부로 공급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히터 방식과, 세탁물의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히트펌프 방식이 있다. 당해 실시예에서는 건조기(1)가 히트펌프 방식에 의해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드럼(20)을 통과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으로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건조기(1)의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 벤트(Air-vent) 방식과, 고온 다습한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한 후 다시 드럼(20) 내부로 순환시키는 컨덴싱 방식이 있다. 당해 실시예에서는 건조기(1)가 컨덴싱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건조기(1)는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140)을 포함할 수 있다. 팬(140)은 드럼(20)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덕트(150)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팬(140)에 의하여, 드럼(20) 내부의 공기는 드럼(20)과 덕트(150)를 순환할 수 있다.
드럼(2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덕트(150) 상에는 히트 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 히트 펌프는 압축기(미도시), 응축기(162), 증발기(164) 및 팽창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상태로 압축하고,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 또는 회전차의 회전 운동을 통해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배출된 냉매는 응축기(162)로 전달된다.
응축기(162)는 압축된 기체 냉매를 액체로 응축하면서 주위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응축기(162)는 덕트(150)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냉매의 응축 과정에 발생된 열을 통하여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된 공기는 드럼(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응축기(162)에서 응축된 액체 냉매는 팽창기(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팽창기는 응축기(162)에서 응축된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체 냉매로 팽창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팽창기는 액체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모세관 및 전기 신호에 의하여 개도량이 가변될 수 있는 전자식 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64)는 팽창기에서 팽창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증발기는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기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증발기(164)는 저압의 액체 냉매를 기체 냉매로 변화시키는 증발 과정을 통해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증발기(164)는 덕트(150)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증발 과정에서 증발기(164)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증발기(164)에 의하여 주변 공기가 냉각되고, 주변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보다 낮아지면 증발기(164) 주변 공기는 응결될 수 있다. 증발기(164)에 응결된 물은 증발기(164) 하부에 마련되는 물받이 통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물받이 통에 수집된 물은 별도의 저장소로 이동하거나, 건조기(1)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증발기(164) 주변에서 응결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증발기(164)를 통과하는 공기의 절대 습도는 낮아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증발기(164)를 통과하는 공기가 포함하는 수증기의 량이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증발기(164) 주변에서의 응결을 이용하여 건조기(1)는 드럼(20)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의 량을 감소시키고,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증발기(164)는 팬(14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응축기(162)보다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팬(140)에 의하여 순환하는 공기는 증발기(164)를 통과하는 중에 증발기(164)에 의하여 건조(수증기가 응축)되며, 이후 응축기(162)를 통과하는 동안 응축기(162)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한편, 덕트(150)에는 응축기(162)를 보조하여,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55)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히터(155)는 팬(14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응축기(162)보다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 펌프(160)의 응축기(162)에서 가열된 공기를 히터(155)가 추가적으로 가열함으로써, 덕트(150) 내의 공기를 충분히 가열할 수 있다.
응축기(162)를 보조하는 히터(155)에 의하여 드럼(20) 내부의 온도는 더욱 빠르게 상승할 수 있으며, 세탁물의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드럼과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전면 프레임(121)에는 드럼(20)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30)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롤러(30)는 드럼(20)의 하부에서 드럼(20)과 맞닿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20)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30)가 드럼(20)의 무게를 적어도 일부 지탱할 수 있다.
드럼(20)의 회전 시에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30)가 드럼(2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롤러(30)는 드럼(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드럼(20)의 회전을 효율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드럼(20)과 맞닿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30)의 표면은 고무 재질로 구현함으로써, 드럼(20)과 적어도 하나의 롤러(30)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30)가 드럼(20)의 하부에서 드럼(20)과 맞닿는 위치에만 마련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건조기(1)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 의한 설계 변경에 따라, 드럼(20)의 상부에서 드럼(20)과 맞닿는 위치에도 마련되어 드럼(20)의 회전을 더 원활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30)가 전면 프레임(121)에만 마련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건조기(1)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 의한 설계 변경에 따라, 후면 프레임(122)에도 적어도 하나의 롤러(30)가 마련되어 드럼(20)의 전방 및 후방에서 드럼(20)을 지지하고 드럼(20)의 회전을 보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따른 롤러의 변형 정도를 나타낸 테이블과 그래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20)이 회전하지 않는 동안에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30), 특히 드럼(20)의 하부에서 드럼(20)과 맞닿는 위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30)가 드럼(20)의 무게를 적어도 일부 지탱하게 된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롤러(30)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표면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롤러(30)는 드럼(20)이 정지해 있는 동안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압축, 비틀림 등 그 형상에 변형이 생길 수 있다.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에 따라 고무 재질의 롤러(30)의 표면이 드럼(20)에 의해 눌리는 정도를 주변 온도를 달리하여 측정하였고, 그 측정 결과를 도 5의 테이블과 도 6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주변 온도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30)의 주변 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온도는 건조기(1)가 위치하는 공간의 온도를 나타낼 수도 있고, 건조기(1) 내부의 롤러(30) 주변에 마련된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일 수도 있다.
주변 온도는 건조기(1)가 사용되는 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고, 같은 지역이라도 계절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고무 재질의 특성 상 롤러(30)는 동일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주변 온도에 따라 그 변형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이 증가할 수록 롤러(30)의 표면이 눌리는 양, 즉 롤러(30)의 변형 정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온도가 높을 수록 롤러(30)의 변형 정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롤러(30)의 변형 정도가 계속 증가하는 것은 아니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롤러(30)의 변형 정도가 일정해지는 것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된 롤러(30)의 형상은, 정지해 있던 드럼(20)이 다시 회전하면 다시 원래대로 복구될 수 있다. 즉, 정지해 있는 드럼(20)의 무게에 의한 롤러(30)의 변형은 단기적인 변형이다.
그러나, 롤러(30)가 변형된 상태에서 드럼(20)이 회전할 경우, 불균형한 형상의 롤러(30)와 드럼(20) 사이의 마찰에 의해 회전 초기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 및 그 제어 방법은, 건조기(1)의 메인 행정 시작 전에, 롤러(30)의 변형된 형상에 의해 드럼(20)의 회전 초기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저감 행정을 수행함으로써 소음으로 인한 건조기(1)의 사용 상 불편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소음 저감 행정과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는 앞서 설명한 히트 펌프(160), 입력 장치(171), 디스플레이(172), 스피커(173) 및 모터 드라이버(180)를 포함하고, 여기에 더하여 컨트롤러(110) 및 센서 모듈(130)를 더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센서 모듈(130)은 건조기(1)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30)은 드럼(20)에 투입되는 세탁물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건조기(1)의 주변 온도 또는 건조기(1) 내부의 온도(예를 들어, 롤러(30)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건조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입력 장치(171)가 수신한 사용자 입력 또는 센서 모듈(130)에서 측정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건조기(1)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11)와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11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장치(171)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행정은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행정과 부가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 행정은 먼지 털기 행정, 패딩이나 아웃도어 의류와 같은 기능성 의류 케어 행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71)를 통해 건조 행정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컨트롤러(110)는 드럼(20)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 모터(125)의 회전 속도와 회전 시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회전 속도와 회전 시간에 따라 모터 드라이버(180)를 제어하여 드럼 모터(125)를 회전시킬 수 있다.
건조 행정을 위한 드럼 모터(125)의 회전 속도와 회전 시간은 건조 대상인 세탁물의 무게, 세탁물의 습도, 세탁물의 종류 등의 인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세탁물의 습도는 전술한 습도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세탁물의 종류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171)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 장치(171)를 통해 이불, 타월, 섬세 의류, 울, 셔츠, 데님 등의 세탁물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센서 모듈(130)이 세탁물의 종류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탁물의 무게는 무게 감지를 위한 다양한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10)는 건조 행정의 시작 전에 무게 감지 행정을 수행하여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무게 감지 행정에서는 컨트롤러(110)가 정해진 시간동안 드럼(20)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드럼(20)이 회전하는 동안 드럼 모터(125)에 가해지는 부하에 기초하여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동안 드럼(20)의 무게에 의해 롤러(30)의 형상에 변형이 생길 수 있고, 롤러(30)의 형상이 변형된 상태에서 드럼(20)이 회전하면 불균형한 형상의 롤러(30)와 드럼(20)의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10)는 드럼(20)의 회전이 포함되는 행정을 시작하기 전에 드럼(20)의 회전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저감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20)의 회전이 포함되는 행정은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행정과 이불이나 카펫 등의 먼지를 털기 위한 먼지 털기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드럼(20)의 회전을 포함하는 행정을 회전 행정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20)의 무게에 의해 발생된 롤러(30)의 변형은 일시적인 것으로서, 드럼(20)과 롤러(30)가 맞닿은 상태에서 다시 회전하게 되면 롤러(30)의 변형된 형상이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컨트롤러(110)는 소음 저감 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드럼(20)을 적정 속도로 적정 시간동안 회전시킬 수 있고, 드럼(20)을 적정 속도로 적정 시간동안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 모터(125)의 회전 속도와 회전 시간은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당해 실시예에서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은 드럼(20)이 정지 상태로 유지된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에 대응되는 드럼 모터(125)의 회전 속도와 회전 시간은 실험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에 대응되는 드럼 모터(125)의 회전 속도와 회전 시간은 건조기(1)를 해당 시간만큼 미사용 후 드럼(20)을 회전시킬 때, 드럼(20)의 회전에 의한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롤러(30)의 형상을 원상복귀 시킬 수 있는 드럼 모터(125)의 회전 속도와 회전 시간을 의미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드럼 모터(125)의 회전 속도와 회전 시간을 각각 제1회전 속도와 제1회전 시간이라 칭하기로 한다.
드럼 모터(125)의 제1회전 속도와 제1회전 시간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는 건조기(1)의 제조 과정에서 실험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개별 건조기(1)마다 획득될 수도 있고, 건조기(1)의 모델 별로 획득될 수도 있으며, 드럼(20)의 크기 또는 무게 별로 획득될 수도 있다.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준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롤러(30)의 변형 특성과 원복 특성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나타내는 건조기(1)에 대한 데이터이면 복수의 건조기(1)가 이를 상호 공유할 수 있다.
이하, 드럼 모터(125)의 제1회전 속도와 제1회전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예를 설명한다.
도 8은 실험에 사용된 건조기의 모터와 드럼의 풀리비를 나타낸 표이고, 도 9는 롤러의 형상이 변형된 정도에 따른 소음 미 발생 조건을 나타낸 표이다.
실험에 사용된 건조기(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모터(125)의 회전 속도가 400RPM일 때 드럼(20)의 회전 속도는 8.8RPM이고, 드럼 모터(125)의 회전 속도가 800RPM일 때 드럼(20)의 회전 속도는 17.7RPM이고, 드럼 모터(125)의 회전 속도가 1200RPM일 때 드럼(20)의 회전 속도는 26.5RPM이다. 즉, 풀리(pulley) 비가 45.2이다.
도 9는 동일한 모델의 건조기(1) 5대에 대해 롤러(30)의 변형 정도(고무 표면의 눌림 양)을 달리하여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드럼 모터(125)의 최대 RPM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9의 테이블에서는 각각의 건조기(1)를 SET 1, SET 2, SET 3, SET 4, SET 5로 표시하였다.
롤러(30)가 변형된 상태에서 드럼(20)이 회전할 때 회전 초기에 발생하는 회전 초기 소음은 드럼 모터(125)의 회전 속도가 클수록 증가한다. 따라서, 실험을 통해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드럼 모터(125)의 최대 RPM을 롤러(30)의 변형 정도 별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가 도 9의 테이블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롤러(30)의 고무 표면이 눌린 정도가 0.2mm인 경우에는 5대의 건조기(1)에 대해 측정된 회전 초기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최대 RPM 중 최대 값은1550RPM이고, 롤러(30)의 고무 표면이 눌린 정도가 0.3mm인 경우에는 최대 값이 1450RPM이며, 롤러(30)의 고무 표면이 눌린 정도가 0.4mm인 경우에는 1400RPM이다.
롤러(30)의 변형 정도가 클수록 회전 초기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드럼 모터(125)의 최대 RPM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롤러(30)의 고무 표면이 눌린 정도가 1.5mm인 경우에는 회전 초기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최대 RPM 중 최대 값이 850RPM까지 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롤러의 변형 정도에 따라 회전 초기 소음이 사라질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나타낸 테이블이고, 도 11 및 도 12는 롤러의 변형 정도에 따라 회전 초기 소음이 사라질 때까지 필요한 드럼의 회전수를 나타낸 테이블 및 그래프이다.
도 10은 롤러(30)의 눌림량을 0.4mm, 0.8mm, 1.2mm, 1.6mm으로 달리하고, 드럼 모터(125)의 회전 속도를 1600RPM, 2000RPM, 2400RPM으로 달리하여 회전 초기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드럼 모터(125)의 회전 속도와 롤러(30)의 눌림량에 따라서 회전 초기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상이하다.
도 10에 표시된 시간을 아래 식 1에 적용하여 회전 초기 소음이 사라지는데 필요한 드럼(20)의 회전수(Adrum)를 계산하였다.
[식 1]
Adrum = (RM*T)/(P*60)
여기서, RM은 드럼 모터(125)의 회전 속도(RPM)를 나타내고, T는 회전 초기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s)을 나타내며, P는 드럼 모터(125)와 드럼(20)의 풀리(pulley) 비를 나타낸다.
상기 [식 1]에 의해 계산된 결과를 도 11의 테이블과 도 12의 그래프에 도시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롤러(30)의 눌림량이 0.4mm인 경우에 드럼 모터(125)의 회전속도가 1600RPM 이든 200RPM이든 2400RPM이든 회전 초기 소음이 사라지는데 필요한 드럼(20)의 회전수는 모두 17에서 19의 범위에 포함되어(평균: 18) 매우 작은 변동폭을 갖는다.
또한, 롤러(30)의 눌림량이 0.8mm인 경우에도 드럼 모터(125)의 회전속도가 1600RPM 이든 200RPM이든 2400RPM이든 회전 초기 소음이 사라지는데 필요한 드럼(20)의 회전수는 모두 31에서 32의 범위에 포함되어(평균: 31) 매우 작은 변동폭을 갖는다.
또한, 롤러(30)의 눌림량이 0.8mm인 경우에는 드럼 모터(125)의 회전속도가 1600RPM 이든 200RPM이든 2400RPM이든 회전 초기 소음이 사라지는데 필요한 드럼(20)의 회전수는 모두 31에서 32의 범위에 포함되어(평균: 31) 매우 작은 변동폭을 갖는다.
또한, 롤러(30)의 눌림량이 1.2mm인 경우에는 드럼 모터(125)의 회전속도가 1600RPM 이든 200RPM이든 2400RPM이든 회전 초기 소음이 사라지는데 필요한 드럼(20)의 회전수는 모두 40에서 42의 범위에 포함되어(평균: 41) 매우 작은 변동폭을 갖는다.
또한, 롤러(30)의 눌림량이 1.6mm인 경우에도 드럼 모터(125)의 회전속도가 1600RPM 이든 200RPM이든 2400RPM이든 회전 초기 소음이 사라지는데 필요한 드럼(20)의 회전수는 모두 47에서 50의 범위에 포함되어(평균: 49) 매우 작은 변동폭을 갖는다.
도 11의 결과는 롤러(30)의 변형 정도가 동일하면 회전 초기 소음이 사라질 때까지 필요한 드럼(20)의 회전 수도 거의 동일함을 나타낸다.
즉, 드럼(20)의 회전 속도 또는 드럼 모터(125)의 회전 속도에 관계없이, 롤러(30)의 변형 정도에 따라서 정해진 수만큼 회전하기만 하면 롤러(30)의 형상이 원상복귀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의 테이블에 도시된 평균값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12의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롤러(30)의 변형 정도가 클수록 롤러(30)의 형상이 회복되는데 필요한 드럼(20)의 회전 수도 늘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주변 온도와 미사용 시간에 따른 최적의 모터 회전 속도를 나타낸 테이블이고, 도 14는 주변 온도와 미사용 시간에 따른 최적의 모터 회전 시간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주변 온도와 미사용 시간에 따른 롤러(30)의 변형 정도를 나타낸 데이터(도 5)와 롤러(30)의 변형 정도에 따른 회전 초기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드럼 모터(125)의 회전 속도를 나타낸 데이터(도 9)를 결합하면, 주변 온도와 미사용 시간에 따른 모터의 최적 속도를 얻을 수 있고, 그 결과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주변 온도와 미사용 시간에 따른 롤러(30)의 변형 정도를 나타낸 데이터(도 5), 롤러(30)의 변형 정도에 따른 회전 초기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드럼 모터(125)의 회전 시간을 나타낸 데이터(도 11), 주변 온도와 미사용 시간에 따른 모터의 최적 속도 및 드럼 모터(125)와 드럼(20)의 풀리 비를 결합하면, 주변 온도와 미사용 시간에 따른 모터의 최적 동작 시간(회전 시간)을 얻을 수 있고, 그 결과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컨트롤러(110)는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주변 온도와 미사용 시간에 따른 모터의 최적 동작 시간을 나타내는 테이블을 저장하고 저장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드럼 모터(125)의 제1회전 속도와 제1회전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도 13 및 도 14와 같은 테이블로부터 주변 온도와 미사용 시간 및 모터의 최적 동작 시간의 관계식 생성이 가능한 경우에는 생성된 관계식을 저장하고, 컨트롤러(110)가 저장된 관계식에 기초하여 드럼 모터(125)의 제1회전 속도와 제1회전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컨트롤러(110)가 도 13 및 도 14와 같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딥러닝 모델을 저장하고 저장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드럼 모터(125)의 제1회전 속도와 제1회전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 컨트롤러(110)가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 및 주변 온도에 기초하여 드럼 모터(125)의 제1회전속도와 제1회전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방법과 함께 순서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소음 저감 행정을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건조기(1)에 관한 내용은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고, 후술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내용 역시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의 순서도는 모두 건조기(1)의 전원이 온(on) 된 상태를 가정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회전 행정이 선택되면(1100의 예), 즉 입력 장치(171)를 통해 회전 행정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컨트롤러(110)는 롤러(30)의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 저감 행정을 수행하고(1200), 소음 저감 행정이 완료되면 선택된 회전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1300). 회전 행정은 건조 행정이나 먼지 털기 기능과 같이 드럼(20)의 회전이 포함되는 행정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20)을 지지하고 드럼(20)의 회전 시에는 드럼(20)과 함께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30)는, 그 표면이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드럼(20)이 정지해 있는 동안 드럼(20)을 지지하면서 받는 압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롤러(30)의 표면에 변형이 생길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롤러(30)가 변형된 상태에서 드럼(20)이 다시 회전하면 드럼(20)와 변형된 롤러(30) 사이의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방법은, 드럼(20)의 회전을 포함하는 회전 행정을 시작하기 전에 소음 저감 행정을 수행하여 소음 발생 없이 적어도 하나의 롤러(30)의 형상을 다시 복구시킬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10)는 소음 저감 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을 연산할 수 있다(1210).
컨트롤러(110)는 마지막으로 행정이 종료된 시간과 소음 저감 행정의 시작 시간 또는 현재 시간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을 연산할 수 있다.
당해 실시예에서,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은 드럼(20)의 미회전 시간, 즉 드럼(20)의 정지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10)는 마지막으로 회전 행정이 종료된 시간, 즉 드럼(20)의 회전이 마지막으로 종료된 시간과 소음 저감 행정의 시작 시간 또는 현재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및 제1회전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1220).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에 따른 모터의 최적 회전 속도와 최적 회전 시간에 관한 데이터가 컨트롤러(110)에 저장될 수 있다.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에 따른 모터의 최적 회전 속도는 해당 시간만큼 사용되지 않은 드럼(20)을 다시 회전 시킬 때 회전 초기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드럼 모터(125)의 최대 RPM을 나타낼 수 있다.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에 따른 모터의 최적 회전 시간은 해당 시간만큼 사용되지 않은 드럼(20)을 전술한 최적 회전 속도의 드럼 모터(125)로 회전시킬 때, 롤러(30)의 형상이 원상복귀 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롤러(30)의 형상이 복구되는데 필요한 모터의 회전 속도와 회전 시간은 롤러(30) 주변의 온도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에 따른 모터의 최적 회전 속도와 최적 회전 시간에 관한 데이터는 주변 온도 별로 획득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회전 행정이 선택되면 컨트롤러(110)는 센서 모듈(130)로부터 롤러(30) 주변의 온도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 모듈(130)이 측정한 데이터는 건조기(1)가 위치하는 공간의 온도를 측정한 데이터일 수도 있고, 건조기(1) 내부의 롤러(30) 주변에 마련된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일 수도 있다.
또는, 컨트롤러(110)가 롤러(30) 주변의 온도에 관한 데이터를 외부에서 가져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건조기(1)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통신 모듈을 통해 댁내의 다른 가전 기기로부터 온도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고,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로부터 온도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110)는 롤러(30)의 주변 온도와 건조기(1)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및 제1회전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제1회전속도와 제1회전시간에 기초하여 모터 드라이버(180)를 제어함으로써(1230), 드럼 모터(125)를 제1회전속도로 제1회전시간동안 회전시킬 수 있다.
제1회전시간이 경과하면(1240의 예), 사용자가 선택한 회전 행정을 수행한다(1300). 또는, 제1회전 시간 경과 후에 추가로 일정 시간이 더 경과한 후에 회전 행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선택된 회전 행정은 건조 행정 또는 먼지 털기 행정일 수 있고, 최적의 행정 수행을 위해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행정을 먼저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게 감지 행정은 정해진 속도로 드럼(20)을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이 때 드럼(20)을 회전시키는 속도는 소음 저감 행정에서 드럼(20)을 회전시키는 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일 수 있다.
소음 저감 행정에 의해 소음 발생없이 롤러(30)의 변형이 복구된 상태이므로, 고속으로 드럼(20)을 회전시키면서 무게 감지 행정을 수행하더라도 회전 초기 소음의 발생없이 행정을 진행할 수 있다.
전술한 건조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즉, 기록 매체에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가 저장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기록매체는 비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이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1: 건조기
110: 컨트롤러
111: 메모리
112: 프로세서
20: 드럼
130: 센서 모듈
160: 히트 펌프
180: 모터 드라이버

Claims (2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의 적어도 일 면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 및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상기 드럼이 정지해 있는 동안 상기 드럼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고,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변형이 복구되는 건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드럼의 회전을 포함하는 회전 행정을 선택하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 저감 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소음 저감 행정의 수행 후에 상기 회전 행정을 시작하는 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소음 저감 행정의 수행 시에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건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드럼의 회전이 마지막으로 종료된 시간과, 상기 회전 행정의 시작 시작 또는 현재 시간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을 결정하는 건조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상기 모터의 최대 RPM을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로 결정하는 건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을 결정하는 건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은,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드럼의 제1 회전수와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건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제1회전수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변형이 복구되는데 필요한 상기 드럼의 최소 회전수에 대응되는 건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 및 주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건조기.
  1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의 적어도 일 면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상기 드럼이 정지해 있는 동안 상기 드럼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고,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변형이 회복되는 건조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회전을 포함하는 회전 행정을 선택하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 저감 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소음 저감 행정의 수행 후에 상기 회전 행정을 시작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 행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드럼의 회전이 마지막으로 종료된 시간과, 상기 회전 행정의 시작 시작 또는 현재 시간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상기 모터의 최대 RPM을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은,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드럼의 제1 회전수와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건조기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제1회전수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변형이 복구되는데 필요한 상기 드럼의 최소 회전수에 대응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건조기의 미사용 시간 및 주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의 제1회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 방법.
KR1020220070949A 2022-06-10 2022-06-10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70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949A KR20230170456A (ko) 2022-06-10 2022-06-10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3/003281 WO2023239020A1 (ko) 2022-06-10 2023-03-10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US18/183,600 US20230399792A1 (en) 2022-06-10 2023-03-14 Dr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949A KR20230170456A (ko) 2022-06-10 2022-06-10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456A true KR20230170456A (ko) 2023-12-19

Family

ID=8911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949A KR20230170456A (ko) 2022-06-10 2022-06-10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70456A (ko)
WO (1) WO202323902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270B1 (ko) * 2009-03-19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게감지장치를 갖는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제어방법
JP2013094325A (ja) * 2011-10-31 2013-05-20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乾燥機
JP7245725B2 (ja) * 2019-06-07 2023-03-24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洗濯機および洗濯機の異常診断方法
KR20210090415A (ko) * 2020-01-10 202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33684A (ko) * 2020-09-10 2022-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9020A1 (ko)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6458A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drying machine and a corresponding laundry drying machine
US10544542B2 (en)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746457A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 pump system for a laundry drying machine and a corresponding laundry drying machine
US20140059881A1 (en) Drying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656315B (zh) 用于根据目标相对湿度控制衣物处理设备的方法
US915717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arget relative humidity
EP3754095B1 (en) Clothes dryer
EP3077588A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drying machine of the type comprising a heat pump system and a corresponding laundry drying machine
EP3746594B1 (en) Dryer and drying method thereof
JP6421336B2 (ja) 乾燥機
KR20230170456A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JP5934617B2 (ja) 衣類乾燥装置
CN109373746B (zh) 一种干燥系统及其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20230399792A1 (en) Dr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18765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 pump laundry drying machine
KR20170068820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7345082B2 (ja) 衣類乾燥機
KR20210037131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N115323738A (zh) 确定运行参数的方法、衣物处理设备及存储介质
KR102455222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N112127129A (zh) 无线传感装置、烘干机及其控制方法
US20130047638A1 (en) Dryer appliance with accelerated refrigerant cycle
KR100434371B1 (ko)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