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166A -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166A
KR20230168166A KR1020230072353A KR20230072353A KR20230168166A KR 20230168166 A KR20230168166 A KR 20230168166A KR 1020230072353 A KR1020230072353 A KR 1020230072353A KR 20230072353 A KR20230072353 A KR 20230072353A KR 20230168166 A KR20230168166 A KR 20230168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frame unit
corner
conne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805B1 (ko
Inventor
고정숙
Original Assignee
고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정숙 filed Critical 고정숙
Publication of KR20230168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건물의 시공 시 벽체나 기둥의 인코너부분의 성형을 위하여 거푸집폼에 연결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를 제시하며, 상기 인코너부분을 이루는 2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폼과의 연결면을 제공하는 연결부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강성을 갖는 금속재로 제작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바깥쪽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인코너부분의 성형면 및 상기 거푸집폼과 대면하며, 적어도 한 겹의 합성수지재 판으로 구성되는 커버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INCORNER COUPLING EQUIPMENT FOR CONSTRUCTION MOLD}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에 의한 콘트리트의 양생을 통해 건물의 벽체나 기둥을 시공할 경우, 거푸집폼과 함께 벽체나 기둥의 인코너부분을 성형할 수 있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시공 시 적용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액체상태의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하여 굳힘으로서 구조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조형성이 매우 뛰어난 공법이다.
구체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슬래브나 벽체와 같은 구조물을 축조할 경우에는 다수개의 거푸집폼(Form)을 이용하여 일정 면적이나 일정 형상의 거푸집을 만든 다음, 그 위나 틀 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거푸집들을 탈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일반적인 거푸집폼은 기본적으로 평판인 패널 형태의 것으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슬래브(Slab), 벽체, 보 또는 내력 기둥과 같은 각종 구조물을 형성할 때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면을 지지하여 평면으로 형성하여 주는 지지부재이다.
이러한 거푸집폼은 초기에는 나무 재질의 판재(주로, 합판 또는 널판)와 해당 판재의 후면 측에 결합되어 보강하는 각 빔으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였으며, 근래에는 금속 재질의 거푸집폼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금속 재질로 되는 거푸집을 유로폼(Euroform) 또는 스틸 폼(Steel form) 등으로 칭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구조 강도가 강한 합금 알루미늄 재질로 되는 알폼(Al-form)이라 칭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거푸집폼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면과 평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 다시 말해서 벽면 과 벽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이나 기둥과 천장 또는 바닥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는 코너부가 형성되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거푸집폼을 연결하면서 코너에 적용되는 거푸집이 요구된다.
이러한 코너 거푸집은 바깥쪽에서 모서리 부분의 압력을 지탱하는 아웃코너 거푸집과, 안쪽 코너 모서리 부분의 압력을 지탱하는 인코너 거푸집으로 나눠질 수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0482호에 개시된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가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통상 금속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다른 거푸집폼과의 연결 과정에서 망치로 핀을 박을 경우나, 콘크리트의 타설 후 해체 과정에서 망치에 의한 타격음이나 낙하소음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공현장에서 소음에 의한 민원이 발생함으로써 공사가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금속재질의 특성 상 콘크리트와 쉽게 융화되기 때문에 성형면에 전용 박리제를 최대한 도포해야만 하는데, 이와 같은 박리제는 독성이 있는 물질이어서 인체에 묻을 경우 살이 부르트게 되는 부상의 위험이 있으며, 심한 악취가 발생하여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박리제가 작업 과정에서 철근에 묻을 경우에는 철근과 콘크리트의 결합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성형면의 콘크리트 양생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거푸집폼과 함께 건물 벽체나 기둥의 인코너부분을 성형할 수 있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금속재를 통해 골조를 형성하고 합성수지재를 통해 골조의 커버를 형성함으로써 설치 또는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박리제의 사용이 없이도 쉽게 콘크리트에서 분리할 수 있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골조를 커버하는 합성수지재 커버를 복수 개로 적층함으로써 커버의 손상 시 현장에서 즉시 교체할 수 있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인코너의 양측에 연결되는 거푸집폼이 벽체에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벽체나 기둥의 인코너부분은 물론, 벽체판넬과 슬라브 판넬을 연결하는 SL(SOFFIT LENGTH)나 SLB(DECK)에도 적용할 수 있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시공 시 벽체나 기둥의 인코너부분의 성형을 위하여 거푸집폼에 연결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로서, 상기 인코너부분을 이루는 2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폼과의 연결면을 제공하는 연결부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강성을 갖는 금속재로 제작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바깥쪽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인코너부분의 성형면 및 상기 거푸집폼과 대면하며, 적어도 한 겹의 합성수지재 판으로 구성되는 커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절곡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거푸집폼에 걸리면서 상기 거푸집폼이 벽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규제하는 밀림방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합성수지재 판이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지지부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합성수지재 판을 통한 상기 인코너부분의 성형면의 투시를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시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유닛은, 앵글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상기 지지부의 일부분을 이루는 앵글프레임; 상기 앵글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앵글프레임과 함께 상기 지지부를 이루며,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앵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간격을 사이에 두고 고정되면서 상기 이격간격을 통해 상기 투시창을 형성하는 이음판; 및 상기 앵글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된 상기 이음판의 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이음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를 이루는 폼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폼연결판의 단부에 절곡형성되어 상기 폼연결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폼연결판과 연결되는 상기 거푸집폼에 걸리면서 상기 거푸집폼이 벽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규제하는 밀림방지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폼연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폼에 체결되는 체결핀의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복수의 타이홀; 및 상기 밀림방지턱에 절개된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핀의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복수의 추가타이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합성수지재 판이 복수 개로 구성되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적층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판 중 최외곽에 적층된 최외곽판을 통해 상기 인코너부분의 성형면 및 상기 거푸집폼과 대면하며, 상기 프레임유닛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최외곽판의 적층위치 교체 또는 뒤집힘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코너 연결장치는, 상기 프레임유닛의 안쪽 공간에 대응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안쪽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프레임유닛의 휨을 방지하는 복수의 휨방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거푸집폼과 함께 건물 벽체나 기둥의 인코너부분을 성형할 수 있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커버유닛의 바깥쪽면에 합성수지재의 커버유닛이 구비되므로 금속재의 프레임유닛을 통해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합성수지재의 커버유닛을 통해 설치 및 해체 과정에서의 소음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박리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박리제에 의한 부상이나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유닛의 연결부에 절곡형성되는 밀림방지턱이 거푸집폼에 걸리면서 거푸집폼이 벽체에서 밀려나는 것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양생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커버유닛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판이 복수 개로 구성되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적층되므로 최외곽판의 손상 시 현장에서 즉시 다른 판으로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커버유닛이 투명재질로 형성되면서 프레임유닛의 지지부에 투시창이 형성됨으로써 콘트리트의 성형면을 투시할 수 있으므로 콘트리트의 타설 및 양생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프레임유닛의 연결부에 체결핀의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타이홀이 형성되고, 프레임유닛의 밀림방지턱에도 추가타이홀이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거푸집폼에 적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벽체나 기둥의 인코너부분은 물론, 벽체판넬과 슬라브 판넬을 연결하는 SL(SOFFIT LENGTH)나 SLB(DECK)에도 적용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의 휨방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의 휨방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시공 시 벽체나 기둥을 이루는 구조물의 인코너부분의 성형을 위하여 유로폼이나 알폼과 같은 거푸집폼(1)과 연결되어 거푸집폼(1)과 함께 콘크리트의 성형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유닛(100) 및 커버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유닛(100)은 인코너 연결장치(10)의 골조를 이루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강성을 갖는 금속재로 제작됨으로써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유닛(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1)를 통해 구조물의 인코너부분을 지지할 수 있으며, 연결부(102)를 통해 거푸집폼(1)과의 연결면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01)는 앵글형태의 단면을 이룸으로써 인코너부분을 이루는 2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01)는 건물 구조물의 성형부위의 두께에 맞도록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02)는 지지부(101)의 양단에 각각 지지부(101)와 직교상태로 형성되어 거푸집폼(1)과의 연결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02)는 유로폼이나 알폼과 같은 규격폼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될 수 있으며, 벽체판넬과 슬라브 판넬을 연결하는 SL(SOFFIT LENGTH)에 적용될 경우에는 비규격폼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되어 연결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연결부(10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타이홀(131)이 형성되어 거푸집폼(1)과의 연결시 미도시된 체결핀의 체결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홀(131)은 원형이나 일자형 체결핀을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규격폼 또는 비규격폼의 체결홀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유닛(100)은 연결부(102)의 단부에 밀림방지턱(150)이 형성될 수 있다. 밀림방지턱(150)은 연결부(102)에 연결된 거푸집폼(1)이 벽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밀림방지턱(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02)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면서 연결부(10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연결부(102)에 연결된 거푸집폼(1)에 걸림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과정에서 거푸집폼(1)이 벽체에서 밀려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한편, 밀림방지턱(1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추가타이홀(151)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타이홀(151)은 절개된 홈형태를 이루면서 체결핀의 체결부위를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인코너 연결장치(10)가 벽체판넬과 슬라브 판넬을 연결하는 SL(SOFFIT LENGTH)에 적용될 경우 비규격폼의 체결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커버유닛(200)은 프레임유닛(100)의 바깥쪽면을 커버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부재이며, 성형면에 박리제를 도포하지 않고도 프레임유닛(100)을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커버유닛(200)은 합성수지재 판(210)으로 이루어지면서 프레임유닛(100)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고정볼트(220)를 통해 프레임유닛(100)의 바깥쪽면에 고정되어 인코너부분의 성형면 및 거푸집폼(1)과 대면할 수 있다.
또한, 합수수지재 판(210)은 전술한 프레임유닛(100)의 타이홀(131)과 동일한 타이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합성수지재 판(2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유닛(10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절곡되거나 압출성형을 통해 단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볼트(220)를 통해 프레임유닛(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각 면을 이루는 부재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프레임유닛(100)의 각 면에 고정볼트(220)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합성수지재 판(210)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소재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중합체(ABS),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A),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멜라민, 에폭시, 불포화폴리에스테르(PET), 알키드 수지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합성수지재 판(210)은 실시예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PC), 트라이탄(Tritan: PCT 소재의 플라스틱) 및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글로콜이 첨가된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가 접촉되는 표면에는 PETG성분이 포함된 첨가제가 코팅층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재 판(210)은 PETG 성분이 포함된 첨가제의 코팅층을 통해 콘크리트와 접촉됨으로서 알카리성의 콘트리트에 대하여 내화학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커버유닛(200)은 합성수지재 판(210)이 한 겹을 이루면서 프레임유닛(100)을 커버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 판(210)이 복수 겹의 커버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재 판(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면을 이루는 부재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되면서 복수로 제작되어 프레임유닛(100)의 각 면에 고정볼트(220)로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합성수지재 판(210)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적층된 상태로 프레임유닛(100)에 고정볼트를 통해 조립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최외곽의 위치에 적층된 최외곽판(210)의 표면을 통해 인코너부분의 성형면 및 거푸집폼(1)의 연결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재 판(210)들은 프레임유닛(100)에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최외곽판의 손상 시 프레임유닛(100)에서 분리를 통해 새로운 성형면이나 거푸집폼(1)의 연결면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합성수지재 판(210)들은 프레임유닛(100)에서 분리된 후, 최외곽판의 적층위치를 교체하여 새로운 패널을 최외곽에 배치하거나, 최외곽판을 뒤집어 배치함으로써 새로운 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10)는 최외곽에 배치된 합성수지재 판(210)이 손상되었을 경우, 별도의 판을 구비하지 않고도 현장에서 즉시 새로운 성형면으로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복수 겹으로 적층된 합성수지재 판(210)들은 적어도 한 층의 두께가 나머지의 두께와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두께에 따라 서로 다른 강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라 합성수지재 판(210)들이 복수 겹으로 적층될 경우에는, 프레임유닛(100) 쪽에 배치된 판은 폴리카보네이트(PC)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깥쪽에 배치된 판은 트라이탄(Tritan: PCT 소재의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의 판은 강화유리의 150배에 해당하는 강도를 가짐으로써 충격에 강한 특징이 있어서 안쪽에 배치되는 것이 적합하며, 트라이탄 소재의 판은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보다 내화학성이 높고 스크래치에 강한 특징이 있으므로 바깥쪽판에 적합하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재 판(210)을 교환할 경우에는 바깥쪽에 배치된 트라이탄 소재의 판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합성수지재 판(210)들이 복수 겹으로 적층될 경우에는, 각 겹을 이루는 합성수지재 판(210)들이 단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단일체의 판들의 내경이 점점 커지도록 제작되어 또 다른 판의 외주면에 끼워져 적층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커버유닛(20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판(210)은 투명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투시를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유닛(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1)의 일부분에 적어도 투시창(103)이 형성되어 투명재질의 합성수지재 판(210)을 통한 인코너부분의 성형면의 투시를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인코너 연결장치(10)를 설치한 후, 투시창(103)과 투명의 합성수지재 판(210)을 통해 콘트리트의 타설 및 양생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유닛(100)은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져 절곡형성되면서 지지부(101), 연결부(102) 및 밀림방지턱(150)이 형성된 후, 타공을 통해 투시창(10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판부재들이 서로 고정되면서 지지부(101), 연결부(102) 및 투시창(103)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유닛(100)은 앵글프레임(110), 이음판(120) 및 폼연결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앵글프레임(110)은 앵글형태의 단면을 이루면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전술한 지지부(101)의 일부분을 이룰 수 있다.
이음판(120)은 복수로 구성되어 앵글프레임(110)의 양단부에 용접되거나 별도의 고정부재로 고정되어 앵글프레임(110)과 함께 지지부(101)를 이룰 수 있으며, 소정의 이격간격을 사이에 두고 앵글프레임(110)에 고정됨으로써 이격간격을 통해 투시창(103)을 형성할 수 있다.
폼연결판(130)은 앵글프레임(110)에 양측에 각각 고정된 이음판(120)의 단부에 제각기 고정될 수 있으며, 이음판(12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술한 연결부(102)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폼연결판(130)은 크랭크형태의 단면으로 제작되어 이음판(120)의 단부에 용접되거나 별도의 고정부재로 고정될 수 있으며, 단부에 절곡된 부분을 통해 전술한 밀림방지턱(15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폼연결판(130)에는 전술한 타이홀(131)들이 형성되며, 밀림방지턱(150)에는 전술한 추가타이홀(15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유닛(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방지판(300)이 안쪽에 삽입되어 내주면을 지지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휨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휨방지판(300)은 프레임유닛(100)의 안쪽 공간에 대응하는 단면의 판으로 제작되어 프레임유닛(100)의 안쪽면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10)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건물의 콘크리트 시공 시 벽체나 기둥과 같은 구조물을 성형할 경우, 인코너 연결장치(10)는 구조물의 인코너부분에 배치되어 거푸집폼(1)에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유닛(100)은 체결핀을 통해 연결부(102)에 거푸집폼(1)이 체결될 수 있으며, 지지부(101)를 통해 인코너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합성수지재로 판(210)으로 이루어진 커버유닛(200)은 프레임유닛(100)의 외주면에 배치된 상태로 인코너부분의 성형면 및 거푸집폼(1)과 대면함으로써 설치 과정에서 박리제의 도포 없이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또는 해체 과정에서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인코너 연결장치(10)가 설치된 후에는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프레임유닛(100)의 투시창(103)과 투명의 합성수지재 판(210)을 통해 성형면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거푸집폼(1)은 프레임유닛(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밀림방지턱(150)에 걸려서 벽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과정에서 밀림이 없이 견고하게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10)에 의하면, 금속재질의 프레임유닛(100)을 통해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합성수지재의 커버유닛(200)을 통해 소음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밀림방지턱이 거푸집폼에 걸리면서 거푸집폼이 벽체에서 밀려나는 것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양생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콘트리트의 성형면을 투시할 수 있으므로 콘트리트의 타설 및 양생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
100 : 프레임유닛
101 : 지지부 102 : 연결부
103 : 투시창
110 : 앵글프레임 120 : 이음판
130 : 폼연결판 131 : 타이홀
150 : 밀림방지턱 151 : 추가타이홀
200 : 커버유닛
210 : 합성수지재 판 220 : 고정볼트
300 : 휨방지판

Claims (8)

  1. 건물의 시공 시 벽체나 기둥의 인코너부분의 성형을 위하여 거푸집폼에 연결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로서,
    상기 인코너부분을 이루는 2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폼과의 연결면을 제공하는 연결부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강성을 갖는 금속재로 제작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바깥쪽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인코너부분의 성형면 및 상기 거푸집폼과 대면하며, 적어도 한 겹의 합성수지재 판으로 구성되는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절곡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거푸집폼에 걸리면서 상기 거푸집폼이 벽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규제하는 밀림방지턱을 포함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합성수지재 판이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지지부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합성수지재 판을 통한 상기 인코너부분의 성형면의 투시를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시창을 포함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앵글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상기 지지부의 일부분을 이루는 앵글프레임;
    상기 앵글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앵글프레임과 함께 상기 지지부를 이루며,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앵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간격을 사이에 두고 고정되면서 상기 이격간격을 통해 상기 투시창을 형성하는 이음판; 및
    상기 앵글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된 상기 이음판의 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이음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를 이루는 폼연결판을 포함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폼연결판의 단부에 절곡형성되어 상기 폼연결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폼연결판과 연결되는 상기 거푸집폼에 걸리면서 상기 거푸집폼이 벽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규제하는 밀림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폼연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폼에 체결되는 체결핀의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복수의 타이홀; 및
    상기 밀림방지턱에 절개된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핀의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복수의 추가타이홀을 더 포함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합성수지재 판이 복수 개로 구성되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적층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판 중 최외곽에 적층된 최외곽판을 통해 상기 인코너부분의 성형면 및 상기 거푸집폼과 대면하며, 상기 프레임유닛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최외곽판의 적층위치 교체 또는 뒤집힘을 허용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너 연결장치는,
    상기 프레임유닛의 안쪽 공간에 대응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안쪽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프레임유닛의 휨을 방지하는 복수의 휨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
KR1020230072353A 2022-06-03 2023-06-05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 KR102658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326 2022-06-03
KR20220068326 2022-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166A true KR20230168166A (ko) 2023-12-12
KR102658805B1 KR102658805B1 (ko) 2024-04-18

Family

ID=89159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353A KR102658805B1 (ko) 2022-06-03 2023-06-05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8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871Y1 (ko) * 2000-11-28 2001-05-15 평산에스아이주식회사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KR20050024501A (ko) * 2005-02-15 2005-03-10 (주)씨에스티개발 타설감지용 건축유로폼
KR20090003307U (ko) * 2007-10-05 2009-04-09 방정운 걸이형 슬라브 거푸집
KR20140089820A (ko) * 2013-01-07 2014-07-16 김시용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20150057968A (ko) * 2013-11-18 2015-05-28 김시용 합성수지 거푸집용 폼패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871Y1 (ko) * 2000-11-28 2001-05-15 평산에스아이주식회사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KR20050024501A (ko) * 2005-02-15 2005-03-10 (주)씨에스티개발 타설감지용 건축유로폼
KR20090003307U (ko) * 2007-10-05 2009-04-09 방정운 걸이형 슬라브 거푸집
KR20140089820A (ko) * 2013-01-07 2014-07-16 김시용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20150057968A (ko) * 2013-11-18 2015-05-28 김시용 합성수지 거푸집용 폼패널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805B1 (ko)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3141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の仕口構造
JP4018740B2 (ja) 内外装材下地兼用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KR102519366B1 (ko) 건축용 거푸집폼
KR102658805B1 (ko)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
KR101679666B1 (ko) 중고층 모듈러 건축물용 코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658806B1 (ko) 거푸집용 아웃코너 연결장치
KR20190073298A (ko) 기존 조적벽체의 합성 보강을 통해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보강구조 시스템
KR102375456B1 (ko) 성형된 충전강관구조와 일체화되는 3차원 콘크리트 프린팅 방법 및 그 프린팅 방법으로 제작된 합성구조물
JP4945428B2 (ja) 補強構造
KR20170111300A (ko) 탈형 보조 판넬을 갖는 거푸집 판넬
JP4796325B2 (ja) 発泡性断熱体の型枠部材と改良されたセパレータ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US20160060885A1 (en) Support bracket and method for temporary guard railing
KR101326176B1 (ko) 거푸집용 폼
KR100452977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AU2017301093B2 (en) Improved formwork assembly
US10584501B2 (en) Formwork panel assembly with releasable connecting member and method of removing the formwork
JP6595239B2 (ja) 建築土木構造物及び橋梁
KR101615270B1 (ko) 콘크리트 일체화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101849335B1 (ko)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널
DE102016013843A1 (de) Wiederverwendbares Leichtbauelement
DE202016007124U1 (de) Wiederverwendbares Leichtbauelement
KR102683303B1 (ko) 일체형 결합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패널
JP7451843B2 (ja) 型枠、型枠セット及び型枠構造体
JP4913404B2 (ja) 建築物の防蟻基礎角部構造及び建築物の防蟻基礎の施工方法
JPH0726494U (ja) 型枠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