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335B1 -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널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9335B1 KR101849335B1 KR1020170101570A KR20170101570A KR101849335B1 KR 101849335 B1 KR101849335 B1 KR 101849335B1 KR 1020170101570 A KR1020170101570 A KR 1020170101570A KR 20170101570 A KR20170101570 A KR 20170101570A KR 101849335 B1 KR101849335 B1 KR 1018493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ynthetic resin
- panel
- resin panel
- support frame
- foa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거푸집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복합패널에 있어서,
주입되는 콘크리트를 수용하여 모양을 형성시키는 합성수지 패널; 상기 합성수지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합성수지 패널을 지지하면서 강성을 보강하고, 각각이 연결 가능한 형태로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며 거푸집의 모양을 형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합성수지 패널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입되는 콘크리트를 수용하여 모양을 형성시키는 합성수지 패널; 상기 합성수지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합성수지 패널을 지지하면서 강성을 보강하고, 각각이 연결 가능한 형태로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며 거푸집의 모양을 형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합성수지 패널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에 거푸집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폼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패널을 합성수지 소재의 복합패널로 구성한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건물이나 수로(水路) 등의 벽체를 건축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규격화된 거푸집패널을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대형 거푸집을 구성하고 이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이나 수로의 벽체 등을 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패널이 금속재질의 사각틀로 된 패널틀의 전면에 장방형으로 된 목재재질의 합판이 고정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패널틀의 내측에는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복수개의 보강대가 합판 후면부에 고정부착되어 합판의 강도를 보완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거푸집패널은 패널틀의 재질이 하중이 큰 금속재질로 되어 있어 자체 중량이 많이 나가 운반 및 취급이 어려울 뿐 아니라 상기 합판이 나무재질로 되어 있어 물기에 의해 쉽게 썩거나 부서지고 상기 패널틀과의 연결부분이 못질처리되어 있어 못질된 부분이 쉽게 손상되면서 합판이 패널틀로부터 분리되는 등 장기간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거푸집패널은 패널틀의 외측면을 따라 장방형으로 된 복수개의 타이핀삽입공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어 복수개의 거푸집패널을 상하좌우로 연속적으로 위치시키면서 거푸집패의 개방된 후방을 통해 패널틀에 형성된 타이핀 삽입공에 바(bar)형상의 타이핀을 좌우수평방향 또는 상하수직방향으로 삽입하여 서로 인접된 거푸집패널들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대형 거푸집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거푸집패널은 평면으로 된 패널틀의 외측면끼리 서로 단순하게 맞닿은 상태에서 복수개의 타이핀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복수개의 거푸집패널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지 않아 바람이나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고 위치이탈 될 뿐 아니라 시공되는 벽체의 전후방에 위치되는 양측 거푸집패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시공되는 벽체의 두께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거푸집의 현장 제작이 용이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이 구비된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강성이 보강된 소재의 복합패널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시 복합패널의 충겨을 완화시키는 기능이 구비된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널은, 콘크리트 건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거푸집을 구성하는 폼패널에 있어서, 주입되는 콘크리트를 수용하여 모양을 형성시키는 합성수지 패널; 상기 합성수지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합성수지 패널을 지지하면서 강성을 보강하고, 각각이 연결 가능한 형태로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며 거푸집의 모양을 형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합성수지 패널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합성수지 패널과 상기 지지프레임이 접촉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 형성된 체결공들을 관통하는 체결볼트; 및 상기 각각의 체결공들을 관통한 상기 체결볼트와 결합하는 체결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패널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합성수지 패널의 일측면과 결합하여 상기 합성수지 패널의 강성을 보강하고, 상기 합성수지 패널에 가해지는 충격를 완화시키는 충격흡수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강성을 보강하고 상기 합성수지 패널과의 접촉면적을 늘려서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패널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나일론-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의 축중합체, 폴리에스테르-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축중합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널은, 지지프레임과 합성수지 복합패널을 커넥터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합성수지 패널을 이용하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소음의 발생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 패널을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강성이 강한 소재로 제작하여 강서을 보강하고, 충격흡수재를 덧대어서 복합패널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시 복합패널의 충겨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폼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각각 상기 폼패널의 측면도(a)와 상기 충격흡수재가 구비된 폼패널의 측면도(b)이다.
도 4는 상기 폼패널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상기 폼패널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폼패널에 보강리브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폼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각각 상기 폼패널의 측면도(a)와 상기 충격흡수재가 구비된 폼패널의 측면도(b)이다.
도 4는 상기 폼패널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상기 폼패널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폼패널에 보강리브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폼패널의 정면도이며, 도 3은 각각 상기 폼패널의 측면도(a)와 상기 충격흡수재가 구비된 폼패널의 측면도(b)이고, 도 4는 상기 폼패널의 배면도이며, 도 5는 상기 폼패널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폼패널에 보강리브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건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거푸집을 구성하는 폼패널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패널(100), 지지프레임(200) 및 커넥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합성수지 패널(100)은 주입되는 콘크리트를 수용하여 모양을 형성시킬 수 있다.
지지프레임(200)은 합성수지 패널(100)에 결합되어 합성수지 패널(100)을 지지하면서 강성을 보강하고, 각각이 연결 가능한 형태로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며 거푸집의 모양을 형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일 수 있다.
커넥터(300)은 합성수지 패널(200)과 지지프레임(300)을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커넥터(300)는 체결볼트(310)와 체결너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볼트(310)는 합성수지 패널(200)과 지지프레임(300)이 접촉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들을 관통할 수 있다.
체결너트(320)은 각각의 체결공들을 관통한 체결볼트(310)와 결합할 수 있다.
커넥터(300)와 더불어 접착 몰탈을 합성수지 패널(100)과 지지프레임(200)에 각각 도포하고 접착시켜서 볼트 체결시 보다 거푸집의 표면처리가 깔끔해 콘크리트 양생의 퀄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300)와 접착 몰탈을 같이 사용하여 합성수지 패널(100)과 지지프레임(200)의 접착력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 폼패널(10)은 충격흡수재(400)와 보강리브(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격흡수재(400)는 합성수지 패널(1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합성수지 패널(100)의 일측면과 결합하여 합성수지 패널(100)의 강성을 보강하고, 합성수지 패널(100)에 가해지는 충격를 완화시킬 수 있다.
충격흡수재(400)의 재료로는 연질고무, 연질P.V.C, 연질실리콘 등의 합성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충격흡수재(400)는 합성수지 패널(100)에 커넥터(300)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거나 에폭시 등의 일반적인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보강리브(500)는 지지프레임(200)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강성을 보강하고 합성수지 패널(100)과의 접촉면적을 늘려서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즉, 보강리브(500)는 지지프레임(200)의 내측 모서리부분에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200)의 강성을 보강함과 동시에 지지프레임(200)의 면적을 증가시켜서 합성수지 패널(100)과의 접촉면적을 늘려주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 패널(100)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나일론-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의 축중합체, 폴리에스테르-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축중합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고분자 수지에 대해서 알아보면, 우선, 폴리에틸렌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은 선형 폴리에틸렌으로 매우 분자량이 큰 재료로, 평균 분자량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자량의 10배 정도이다.
폴리우레탄은 화학적으로 고분자 사슬 내에 우레탄 결합(~NH-COO~)을 갖는 고분자의 총칭으로 2가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등의 활성수소 화합물과의 결합에 의해 합성된다.
나일론-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의 축합중합체로 "거밀줄보다 가늘고 실크보다 아름답고 강철보다 강한섬유"로 유명하며 섬유나 밧줄 그물 전선절연재로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축합중합체로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합성섬유로, 와이셔츠나 블라우스 의류의 소재, 필름 녹음테이프로 사용된다.
이외에도, 페놀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아크릴수지, 우레아/메라민 수지, 실리콘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폼패널(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현장에서 연결바 등을 이용하여 폼패널(10)을 연결하고 연결볼트를 이용하거나 용접 등을 통해서 각각의 폼패널(10)과 연결바를 결합시키면서 일정한 모양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폼패널
100 : 합성수지 패널
200 : 지지프레임
300 : 커넥터
310 : 체결볼트
320 : 체결너트
400 : 충격흡수재
500 : 보강리브
100 : 합성수지 패널
200 : 지지프레임
300 : 커넥터
310 : 체결볼트
320 : 체결너트
400 : 충격흡수재
500 : 보강리브
Claims (5)
- 콘크리트 건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거푸집을 구성하는 폼패널에 있어서,
주입되는 콘크리트를 수용하여 모양을 형성시키는 합성수지 패널;
상기 합성수지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합성수지 패널을 지지하면서 강성을 보강하고, 각각이 연결 가능한 형태로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며 거푸집의 모양을 형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
상기 합성수지 패널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넥터; 및
상기 합성수지 패널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합성수지 패널의 일측면과 결합하여 상기 합성수지 패널의 강성을 보강하고, 상기 합성수지 패널에 가해지는 충격를 완화시키는 충격흡수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가로방향으로 복수개의 보강대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합성수지 패널 및 보강대와 상기 지지프레임이 접촉하는 부분 내측을 따라 설정 간격마다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합성수지 패널과 상기 지지프레임이 접촉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 형성된 체결공들을 관통하는 체결볼트; 및
상기 각각의 체결공들을 관통한 상기 체결볼트와 결합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널.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강성을 보강하고 상기 합성수지 패널과의 접촉면적을 늘려서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패널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나일론-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의 축중합체, 폴리에스테르-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축중합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1570A KR101849335B1 (ko) | 2017-08-10 | 2017-08-10 |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1570A KR101849335B1 (ko) | 2017-08-10 | 2017-08-10 |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9335B1 true KR101849335B1 (ko) | 2018-04-16 |
Family
ID=6208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1570A KR101849335B1 (ko) | 2017-08-10 | 2017-08-10 |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9335B1 (ko) |
-
2017
- 2017-08-10 KR KR1020170101570A patent/KR101849335B1/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66856B2 (en) | Reinforced structural member and frame structures | |
KR101791819B1 (ko) |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둥의 안정성을 높인 강판프레임 콘크리트 내진보강공법 | |
CN102105644B (zh) | 对模板和配件的改进 | |
EP3652391B1 (en) | Fiber reinforced elongate profiled object | |
KR101083698B1 (ko) |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 |
KR101849335B1 (ko) | 합성수지 복합패널이 적용된 폼패널 | |
KR102046573B1 (ko) | 기존 조적벽체의 합성 보강을 통해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보강구조 시스템 | |
CN202299394U (zh) | 组合式建筑面模板系统 | |
KR102258311B1 (ko) |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 |
CN216239693U (zh) | 一种稳定性强的建筑模壳 | |
KR102658806B1 (ko) | 거푸집용 아웃코너 연결장치 | |
KR101326176B1 (ko) | 거푸집용 폼 | |
KR102658805B1 (ko) |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 | |
CN101952522B (zh) | 通过互锁两侧件获得的预应力混凝土梁及对接两梁的方法 | |
KR102066919B1 (ko) | 웨지핀의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한 콘크리트 거푸집 프레임 | |
WO2021049952A1 (en) | A method of reducing shrinkage in the production of structural panels for a building. | |
KR200464742Y1 (ko) | 합성목재 울타리 결합구조 | |
KR200482779Y1 (ko) | 조립식 거푸집용 수평 보강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거푸집 | |
KR102553046B1 (ko) | 거푸집용 프로파일과, 이를 포함하는 거푸집 프레임 및 거푸집 | |
KR102246944B1 (ko) | 콘크리트를 이용한 물류창고용 조립식 덱판넬 | |
KR102619452B1 (ko) | 방호부재를 가지는 모듈형 비계시스템 | |
KR20110011050U (ko) | 청소구를 구비한 판넬 | |
KR102066924B1 (ko) | 십자 반턱 맞춤 구조를 갖는 거푸집 프레임 | |
JP2021088832A (ja) | 型枠、型枠セット及び型枠構造体 | |
AU5762799A (en) | Concrete form pa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