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452B1 - 방호부재를 가지는 모듈형 비계시스템 - Google Patents

방호부재를 가지는 모듈형 비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452B1
KR102619452B1 KR1020230064692A KR20230064692A KR102619452B1 KR 102619452 B1 KR102619452 B1 KR 102619452B1 KR 1020230064692 A KR1020230064692 A KR 1020230064692A KR 20230064692 A KR20230064692 A KR 20230064692A KR 102619452 B1 KR102619452 B1 KR 102619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ing
module
protective member
lay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제
Original Assignee
(주)신의환경
양희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의환경, 양희제 filed Critical (주)신의환경
Priority to KR1020230064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조립 가능한 복수의 비계모듈을 포함하는 비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비계모듈은, 복수의 선재를 상호 결합하여 작업자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에 대하여 기립 설치된 복수의 측벽부를 가지는 프레임; 및 목재 판상체로 상기 프레임의 측벽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고정 마련되는 목판층과, 폴리우레아(Polyurea) 소재로 상기 목판층의 일면에 도포된 경질탄성층을 가지는 방호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분진 비산 방지와 소음 확산 방지뿐만 아니라, 해체된 건물 잔해가 비계모듈로 쓰러지더라도 강성이 강화된 방호부재가 건물 잔해의 하중을 견딜 수 있으므로 수용공간 내 작업자 부상과 비계모듈 파손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호부재를 가지는 모듈형 비계시스템 {MODULAR SCAFFOLDING SYSTEM WITH PROTECTIVE MEMBER}
본 발명은 건물 해체 현장 등에서 작업자의 안정적인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모듈형 비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계시스템은 건물 해체 현장, 건설 현장 등에서 작업자가 올라가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을 가리킨다. 비계시스템은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모듈형 비계시스템은 소정 크기를 갖도록 일괄 제작된 비계모듈을 현장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거나 수직방향으로 적층한다. 이러한 모듈형 비계시스템은 작업자가 강관을 상하로 일일이 연결하는 종래 비계시스템 대비 비계모듈의 설치와 해체의 편의성, 비계모듈의 강성과 안전성 등이 우수하다.
비계모듈은 분진 비산 방지와 소음 확산 방지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예컨대 건물 해체 작업 중 고하중의 건물 잔해가 비계모듈을 덮치는 경우 건물 잔해가 수용공간에 있는 작업자를 가격하여 부상을 입히거나 건물 잔해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비계모듈이 파손되는 문제점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분진 비산 방지와 소음 확산 방지뿐만 아니라 고하중의 건물 잔해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모듈형 비계시스템에 대한 요청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진 비산 방지와 소음 확산 방지뿐만 아니라, 해체된 건물 잔해가 비계모듈로 쓰러지더라도 작업자 부상과 비계모듈 파손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비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조립 가능한 복수의 비계모듈을 포함하는 비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계모듈은, 복수의 선재를 상호 결합하여 작업자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에 대하여 기립 설치된 복수의 측벽부를 가지는 프레임; 및 목재 판상체로 상기 프레임의 측벽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고정 마련되는 목판층과, 폴리우레아(Polyurea) 소재로 상기 목판층의 일면에 도포된 경질탄성층을 가지는 방호부재를 포함하는 비계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판상의 방호부재에 의해 분진 비상 방지와 소음 확산 방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해체된 건물 잔해가 비계모듈로 쓰러지더라도 강성이 강화된 방호부재가 건물 잔해의 하중을 견딜 수 있으므로 수용공간 내 작업자 부상과 비계모듈 파손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상기 방호부재는 상기 경질탄성층과 중첩되며 폴리우레탄, PVC, 에폭시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는 보조피복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질탄성층은 상기 목판층의 일면에 부분적으로 도포된다.
이와 같이 경질탄성층 대비 저가의 보조피복층을 함께 사용하면 방호부재의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고가의 경질탄성층의 도포량과 도포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비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방호부재는 상기 목판층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한 후 상기 경질탄성층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목판층의 표면 분자를 활성화시켜 목판층의 표면에 대한 경질탄성층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질탄성층의 부착력이 향상되면 방호부재의 강성이 좀더 향상될 뿐만 아니라 경질탄성층의 도포량과 도포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비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평방향 모서리에서 교차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비계모듈 사이에 설치 결합되는 코너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너모듈은,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수직기둥; 한 쌍의 상기 수직기둥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안전바; 및 개구를 가진 U자형상체로 상기 한 쌍의 수직기둥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안전바의 양단부가 상기 개구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바탈착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안전바와 안전바탈부착부를 사용하면 한 쌍의 비계모듈에 대한 코너모듈의 설치 방향과 무관하게 한 쌍의 비계모듈의 수용공간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비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한 쌍의 비계모듈의 수용공간을 이동하는 작업자가 한 쌍의 비계모듈과 연결되지 않은 방향으로 나가지 않도록 유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선재는 관상체이고, 상하 적층되는 한 쌍의 상기 비계모듈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은 상기 관상체의 단부에 적층수용부를 가지며,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적층수용부에 수용되도록 돌출되며 돌출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고리형상을 가지는 적층고리부를 가진다.
이와 같이 적층고리부의 고리형상은 비계모듈 간의 적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층고리부는 비계모듈의 이송과 적층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므로 각각의 기능을 위한 구성을 마련하는 경우 대비 비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판상으로 상기 프레임의 상변을 따라 설치되며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마련된 방음판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건물 해체 작업 소음으로 인한 주변의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목재 판상체는 중밀도 섬유판(Medium-density fiberboard, MDF)을 포함한다. 중밀도 섬유판은 다른 목재 판상체 대비 고른 표면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경질탄성층의 도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조립 가능한 복수의 비계모듈을 포함하는 비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계모듈은, 복수의 선재를 상호 결합하여 작업자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에 대하여 기립 설치된 복수의 측벽부를 가지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선재는 관상체이고, 상하 적층되는 한 쌍의 상기 비계모듈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은 상기 관상체의 단부에 적층수용부를 가지며,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적층수용부에 수용되도록 돌출되며 돌출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고리형상을 가지는 적층고리부를 포함하는 비계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층고리부의 고리형상은 비계모듈 간의 적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적층고리부는 비계모듈의 이송과 적층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므로 각각의 기능을 위한 구성을 마련하는 경우 대비 비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상의 방호부재를 비계모듈에 장착하여 분진 비산 방지와 소음 확산 방지뿐만 아니라 강성이 강화된 방호부재로 건물 잔해가 비계모듈로 쓰러지더라도 작업자 부상과 비계모듈 파손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비계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비계모듈이 조립되어 마련되는 비계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비계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비계모듈에 마련되는 방호부재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서 한 쌍의 비계모듈 사이에 설치 결합되는 코너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비계모듈에 마련되는 적층수용부와 적층고리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에서 프레임 상변에 설치되는 방음판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비계모듈(2)이 조립되어 마련되는 비계시스템(1)을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비계모듈(2)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1의 비계모듈(2)에 마련되는 방호부재(7)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3을 함께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비계시스템(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계시스템(1)은 건물 해체 현장 등에 설치하는 임시가설물이며 상호 조립 가능한 복수의 비계모듈(2)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건물 영역(P)에 설치된 건물을 해체하는 경우 건물 영역(P)의 주변 일부를 둘러싸도록 비계모듈(2)을 상호 조립하면, 작업자는 비계모듈(2)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S)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건물 해체에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다. 비계모듈(2)의 조립은 비계모듈(2)의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의 상호 연결과 Z축방향으로의 상호 적층을 포함할 수 있다. 비계모듈(2)의 조립을 위해 크레인, 호이스트 등을 이용될 수 있다. 이처럼 비계시스템(1)은 모듈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강관을 상하로 일일이 연결하는 종래 비계시스템 대비 비계모듈(2)의 설치와 해체의 편의성, 비계모듈(2)의 강성과 안전성 등이 우수하다. 다만 비계시스템(1)은 건물 해체 현장에 한정되어 설치되는 것은 아니므로 건축 현장에서도 설치되어 작업자가 건물 축조를 위해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좀더 상세하게 비계시스템(1)의 비계모듈(2)은 프레임(6)과 방호부재(7)를 포함한다. 프레임(6)은 복수의 선재(3)를 상호 결합하여 작업자의 수용공간(S)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발판부(4)와 발판부(4)에 대하여 기립 설치된 복수의 측벽부(5)를 가진다.
복수의 선재(3)는 상호 용접되어 작업자를 위한 수용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용접 이외에 클램프 등과 같은 연결부재로 복수의 선재(3)가 연결될 수도 있다. 선재(3)는 사각형 관상체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원형 등과 같은 관상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발판부(4)는 작업자가 수용공간(S) 내에서 안정적으로 왕래할 수 있도록 X축-Y축방향에 평행한 판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4개의 측벽부(5)가 발판부(4)의 모서리로부터 Z축방향으로 수직하게 기립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발판부(4)의 모서리 이외의 영역에서부터 추가로 수직하게 기립 설치될 수도 있다.
방호부재(7)는 건물 해체 작업 중에 발생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고, 소음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방호부재(7)는 목재 판상체로 프레임(6)의 측벽부(5)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고정 마련되는 목판층(21)과, 폴리우레아 소재로 목판층(21)의 일면에 도포된 경질탄성층(22)을 가진다. 일 예로 측벽부(5)가 X축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도록 내측 측벽부(11)와 외측 측벽부(12)를 포함하는 경우 목판층(21)은 내측 측벽부(11)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고정 마련될 수 있다. 내측 측벽부(11)는 외측 측벽부(12)보다 건물 영역(P)에 인접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내측 측벽부(11)가 2개의 방호부재(7)에 커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내측 측벽부(11)가 Y축방향으로 좀더 연장된 하나의 방호부재(7)에 의해 전부 커버되거나, Y축방향으로 좀더 축소된 3개 이상의 방호부재(7)에 의해 나눠져서 커버될 수 있다.
목판층(21)은 목재의 신축성, 유연성, 탄력성 등을 가지고 있으므로 물리적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고, 충격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원래 상태를 회복하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금속판은 금속의 높은 유동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물리적 충격에 의해 쉽게 찌그러지고 원래 상태를 회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경질탄성층(22)은 충격에 대한 강성 한계치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즉 목판층(21)에 경질탄성층(22)이 도포된 방호부재(7)를 사용하면 목판층(21)의 자체 강성 한계치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목판층(21)이 파손되지 않게 한다. 반면에 목판층에 경질탄성층(22)이 도포되지 않은 채 목판층에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그 충격이 목판층의 자체 강성을 초과하면 목판층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경질탄성층(22)의 소재로서 폴리우레아는 통상적으로 방수성이 우수하여 액체의 침투 방지가 필요한 수조 등의 방수제로 사용되지만, 유사한 화학 구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이 목판층(21)에 도포되는 경우 대비 목판층(21)으로 하여금 높은 인장강도와 굽힘강도를 가지게 하여 충격에 대한 강성 한계치를 최대한 높일 수 있다.
폴리우레아는 목판층(21)에 스프레이 코팅, 캐스팅 코팅 등의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다. 스프레이 코팅 방법은 고압 스프레이 기계를 이용해 폴리우레아를 목판층(21)의 표면에 분사하는 방법이고, 캐스트 코팅 방법은 폴리우레아를 목판층(21)의 표면에 바르는 방법이다. 폴리우레아는 목판층(21)의 양면 중 일면에 도포될 수 있지만 강성 향상 효과를 좀더 높이기 위해서 양면에 모두 도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방호부재(7)는 분진 비산을 방지하고 소음 확산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경질탄성층(22)에 의해 강성이 향상되어 건물 해체 작업 중 건물 잔해가 비계모듈(2)을 덮치더라도 방호부재(7)의 파손을 최대한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건물 잔해에 의한 수용공간(S) 내 작업자의 부상과 비계모듈(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의 (a)와 같이 방호부재(7)는 목판층(21)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한 후 경질탄성층(22)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일 예로 플라즈마 장치(23)가 목판층(2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게 하면서 목판층(21)의 표면에 대해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플라즈마 처리는 목판층(21)의 표면 분자를 활성화시켜서 목판층(21)의 표면에 대한 경질탄성층(22)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질탄성층(22)의 부착력이 향상되면 방호부재(7)의 강성이 좀더 향상될 수 있고 경질탄성층(22)의 도포량과 도포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비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호부재(7)는 경질탄성층(22)과 중첩되며 폴리우레탄, PVC, 에폭시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는 보조피복층(24)을 더 포함한다. 폴리우레탄, PVC, 에폭시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우레아 대비 저가인 장점이 있지만, 목판층(21)의 강성 향상 효과가 폴리우레아 대비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목판층(21)의 강성 강화를 위해 보조피복층(24)을 단독으로 도포하는 것보다는 경질탄성층(22)과 함께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 3의 (b)와 같이 보조피복층(24)이 먼저 목판층(21)의 표면에 먼저 도포되고 경질탄성층(22)이 보조피복층(24) 위에 도포되거나, 도 3의 (c)와 같이 경질탄성층(22)이 먼저 목판층(21)의 표면에 먼저 도포되고 보조피복층(24)이 경질탄성층(22) 위에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질탄성층(22) 대비 저가의 보조피복층(24)을 함께 사용하면 방호부재(7)의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고가의 경질탄성층(22)의 도포량과 도포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비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질탄성층(22)과 보조피복층(24)을 함께 도포하는 경우 경질탄성층(22) 또는 보조피복층(24) 중 어느 하나는 목판층(21)의 일면에 격자상, 산점상 등의 형태와 같이 부분적으로 도포된다.
이에 의하면 방호부재(7)의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고가의 경질탄성층(22)의 도포량과 도포횟수를 좀더 최소화하여 비용 효율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목판층(21)은 중밀도 섬유판(MDF)을 포함한다. 일반 합판은 목재를 복수의 층으로 쌓고 접착제로 붙여 제조되므로 층 사이에 공기가 존재하는 반면에, 중밀도 섬유판(MDF)은 목재를 분쇄한 후 접착수지와 함께 압축하여 제조되며 이 과정에서 공기가 제거된다.
따라서 중밀도 섬유판(MDF)은 일반 합판 대비 강성과 밀도가 높고 고른 표면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고른 표면 특성으로 인해 경질탄성층(22)의 도포 품질이 우수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호부재(7)는 목판층(21)의 외연을 따라 마련되는 가이드부재(2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26)는 철(Fe),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마련될 수도 있다. 가이드부재(26)는 목판층(21)의 외연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방호부재(7)의 강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방호부재(7)는 볼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25)로 프레임(6)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6)의 외측 측벽부(12)에도 보조방호부재(8)를 마련할 수 있다. 보조방호부재(8)도 방호부재(7)와 같은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보조방호부재(8)도 외측 측벽부(12)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고정 마련되는 목판층(21)과 목판층(21)의 일면에 도포된 경질탄성층(22)을 가질 수 있다. 이 외에 보조방호부재(8)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보조방호부재(8)는 방호부재(7)와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계모듈(2)은 와이어(39)가 걸리는 와이어체결고리(38)가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39)는 고무줄, 밧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체결고리(38)는 선재(3)에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39)는 인접한 비계모듈(3) 사이뿐만 아니라 이격된 비계모듈(3) 사이를 단단히 결속하거나 이어서 이들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39)와 와이어체결고리(38)를 사용하면 비계시스템(1) 전반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서 한 쌍의 비계모듈(2) 사이에 설치 결합되는 코너모듈(30)의 일 예를 도시한다. 코너모듈(30)은 비계시스템(1)의 형태에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너모듈(30)이 제1비계모듈(31)과 제2비계모듈(32) 사이에 설치 결합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즉 코너모듈(30)은 수평방향 모서리에서 교차 배치되는 제1비계모듈(31)과 제2비계모듈(32) 사이에 설치 결합된다.
코너모듈(30)은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수직기둥(33), 복수의 수직기둥(33) 중 한 쌍의 수직기둥(33)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안전바(34) 및 개구를 가진 U자형상체로 한 쌍의 수직기둥(33)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마련되어 안전바(34)의 양단부가 개구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바탈착부(35)를 포함한다. 일 예로 코너모듈(30)이 4개의 면을 가지는 경우 4면 중 제1비계모듈(31) 및 제2비계모듈(32)와 연결된 2면(37)에 대해서는 안전바탈착부(35)에 안전바(34)를 장착하지 않는다. 이에 의하면 제1비계모듈(31)과 제2비계모듈(32)의 수용공간(S)이 상호 연결되므로 작업자가 한 쌍의 수용공간(S)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4면 중 나머지 2면에 대해서는 안전바탈착부(35)에 안전바(34)를 장착하여 한 쌍의 수용공간(S) 사이를 이동하는 작업자가 제1비계모듈(31) 및 제2비계모듈(32)과 연결되지 않은 2면을 통해 나가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바(34)와 안전바탈부착부(35)를 사용하면 제1비계모듈(31)과 제2비계모듈(32)에 대한 코너모듈(30)의 설치 방향과 무관하게 제1비계모듈(31)과 제2비계모듈(32)의 수용공간(S)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비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비계모듈(31)과 제2비계모듈(32)의 수용공간(S)을 이동하는 작업자가 제1비계모듈(31) 및 제2비계모듈(32)과 연결되지 않은 면을 통해 나가지 않도록 유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서는 안전바탈착부(35)의 개구가 Z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개구의 방향을 코너모듈(30)의 내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하면 제1비계모듈(31) 및 제2비계모듈(32)과 연결되지 않은 방향으로 나가려는 작업자를 좀더 용이하게 저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비계모듈(2)에 마련되는 적층수용부(44)와 적층고리부(45)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하 적층되는 제3비계모듈(41)과 제4비계모듈(42)를 예로 들지만 이하의 설명은 제3비계모듈(41)과 제4비계모듈(4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제3비계모듈(41)와 제4비계모듈(42)의 선재(3)는 관상체로 마련되는 경우 상측의 제3비계모듈(41)의 프레임(6)은 관상체의 단부에 적층수용부(44)를 가지며, 하측의 제4비계모듈(42)의 프레임(6)은 적층수용부(44)에 수용되도록 돌출되며 돌출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고리형상을 가지는 적층고리부(45)를 가진다. 적층고리부(45)는 제4비계모듈(42)을 이송할 때 사용될 수도 있고, 제3비계모듈(41)을 제4비계모듈(42)에 적층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적층고리부(45)가 돌출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고리형상을 가지므로 제3비계모듈(41)을 제4비계모듈(42)에 적층할 때 적층고리부(45)가 적층수용부(44)에 용이하게 수용될 뿐만 아니라, 완전 수용 시 적층고리부(45)와 적층수용부(44) 간의 이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층고리부(45)의 고리형상은 비계모듈(2) 간의 적층을 용이하게 하고, 적층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적층고리부(45)는 비계모듈(2)의 이송과 적층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므로 각각의 기능을 위한 구성을 마련하는 경우 대비 비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서 프레임(6) 상변에 설치되는 방음판(53)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시스템(1)은 판상으로 프레임(6)의 상변을 따라 설치되며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마련된 방음판(53)을 포함한다. 방음판(53)은 일부 프레임(6)에만 설치될 수도 있으며, 설계 방법에 따라 경사 각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방음판(53)은 별도의 프레임을 매개로 프레임(6) 상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방음판(53)을 가지면 건물 해체 작업 소음으로 인한 주변의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비계시스템
2: 비계모듈
3: 선재
4: 발판부
5: 측벽부
6: 프레임
7: 방호부재
8: 보조방호부재

Claims (5)

  1. 상호 조립 가능한 복수의 비계모듈을 포함하는 비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계모듈은,
    복수의 선재를 상호 결합하여 작업자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에 대하여 기립 설치된 복수의 측벽부를 가지는 프레임; 및
    목재 판상체로 상기 프레임의 측벽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고정 마련되는 목판층과, 폴리우레아 소재로 상기 목판층의 일면에 도포된 경질탄성층을 가지는 방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비계모듈이 크레인에 걸려 이송되도록 상방 돌출되는 고리형상을 가지는 적층고리부를 가지며,
    상기 선재는 관상체이고, 상기 프레임은 하부에, 한 쌍의 상기 비계모듈이 적층될 때 다른 상기 비계모듈의 적층고리부를 수용하는 적층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적층고리부의 폭은 상기 적층수용부에 수용되도록 돌출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며 상기 적층수용부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비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부재는 상기 경질탄성층과 중첩되며 폴리우레탄, PVC, 에폭시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는 보조피복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질탄성층은 상기 목판층의 일면에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비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부재는 상기 목판층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한 후 상기 경질탄성층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비계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수평방향 모서리에서 교차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비계모듈 사이에 설치 결합되는 코너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너모듈은,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수직기둥;
    한 쌍의 상기 수직기둥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안전바; 및
    개구를 가진 U자형상체로 상기 한 쌍의 수직기둥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안전바의 양단부가 상기 개구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바탈착부를 포함하는 비계시스템.
  5. 삭제
KR1020230064692A 2023-05-19 2023-05-19 방호부재를 가지는 모듈형 비계시스템 KR102619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692A KR102619452B1 (ko) 2023-05-19 2023-05-19 방호부재를 가지는 모듈형 비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692A KR102619452B1 (ko) 2023-05-19 2023-05-19 방호부재를 가지는 모듈형 비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452B1 true KR102619452B1 (ko) 2024-01-02

Family

ID=8951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4692A KR102619452B1 (ko) 2023-05-19 2023-05-19 방호부재를 가지는 모듈형 비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4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412A (ja) * 1994-09-02 1996-03-19 Sekisui Chem Co Ltd 建築用足場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199308B1 (ko) * 2012-04-02 2012-11-09 주식회사 동성진흥 경량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분진 및 소음 차단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0656U (ko) * 2012-07-19 2014-02-03 백문자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의 안전 레일
JP2018123491A (ja) * 2017-01-30 2018-08-09 竹本 直文 足場板、落下物受取装置、及び落下物受取装置用パネ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412A (ja) * 1994-09-02 1996-03-19 Sekisui Chem Co Ltd 建築用足場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199308B1 (ko) * 2012-04-02 2012-11-09 주식회사 동성진흥 경량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분진 및 소음 차단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0656U (ko) * 2012-07-19 2014-02-03 백문자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의 안전 레일
JP2018123491A (ja) * 2017-01-30 2018-08-09 竹本 直文 足場板、落下物受取装置、及び落下物受取装置用パネ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3426A (en) Wood frame construction system with prefabricated components
TWI662176B (zh) 鷹架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KR100824062B1 (ko)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판넬구조
JP7044353B2 (ja) 屋根ユニットの施工方法
KR102619452B1 (ko) 방호부재를 가지는 모듈형 비계시스템
KR20120078108A (ko) 기둥-보 접합 장치
JP3627184B2 (ja) 変形吸収層を有する木質耐震壁
JP2000265678A (ja) 構造材同士の接合箇所における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KR101585769B1 (ko) 모듈러 구조물
JP4945428B2 (ja) 補強構造
KR102567304B1 (ko) 응력 보강브레이스가 부착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보강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 보강공법
CN102733586A (zh) 一种脚手车
JP6470672B2 (ja) 張出プラットフォームを備えた仮設足場
KR101277978B1 (ko) 에너지 소산형 계단 구조
KR101138805B1 (ko) 안전 작업대유닛
TWI508908B (zh) Shelters
CN209872068U (zh) 一种框架式轻型复合轿底
JP3178783U (ja) ハツリ工事用防護装置
WO2021097762A1 (zh) 附着升降作业安全防护平台金属防护网的全方位防护连接结构
CN217480296U (zh) 驾驶室加高基座和作业机械
JP7133444B2 (ja) メッシュシート
JP3814265B2 (ja) 塔状建物の構築方法
CN215107168U (zh) 一种高层建筑物电梯井安全防护平台
CN211037739U (zh) 一种适用于篷房搭建的工程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