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736A - 로킹 수단이 제공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조절 부재 - Google Patents

로킹 수단이 제공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조절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736A
KR20230167736A KR1020230070362A KR20230070362A KR20230167736A KR 20230167736 A KR20230167736 A KR 20230167736A KR 1020230070362 A KR1020230070362 A KR 1020230070362A KR 20230070362 A KR20230070362 A KR 20230070362A KR 20230167736 A KR20230167736 A KR 20230167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movement
balance
index
adjus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0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줄리앙 크리스땅
Original Assignee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22177059.7A external-priority patent/EP4286960A1/fr
Application filed by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filed Critical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Publication of KR20230167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73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7/00Mechanisms for stabilising frequency
    • G04B17/04Oscillators acting by spring tension
    • G04B17/06Oscillators with hairsprings, e.g. balance
    • G04B17/063Balance construction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7/00Mechanisms for stabilising frequency
    • G04B17/32Component parts or constructional details, e.g. collet, stud, virole or piton
    • G04B17/325Component parts or constructional details, e.g. collet, stud, virole or piton for fastening the hairspring in a fixed position, e.g. using a block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7/00Mechanisms for stabilising frequency
    • G04B17/32Component parts or constructional details, e.g. collet, stud, virole or piton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7/00Mechanisms for stabilising frequency
    • G04B17/32Component parts or constructional details, e.g. collet, stud, virole or piton
    • G04B17/34Component parts or constructional details, e.g. collet, stud, virole or piton for fastening the hairspring onto the balanc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8/00Mechanisms for setting frequency
    • G04B18/006Mechanisms for setting frequency by adjusting the devices fixed on the balanc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8/00Mechanisms for setting frequency
    • G04B18/02Regulator or adjustment devices; Indexing devices, e.g. raquettes
    • G04B18/026Locking the hair spring in the indexing device, e.g. goupille of the raquett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8/00Mechanisms for setting frequency
    • G04B18/04Adjusting the beat of the pendulum, balance, or the like, e.g. putting into beat
    • G04B18/06Adjusting the beat of the pendulum, balance, or the like, e.g. putting into beat by setting the collet or the stud of a hair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ring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성 질량체, 예를 들어 밸런스 (23), 밸런스 스프링 (25), 및 상기 밸런스 스프링 (25) 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60) 을 포함하는 측시 무브먼트 (horological movement) 를 위한 조절 부재 (40) 에 관한 것이고, 상기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60) 은 제 1 부분 (52) 및 제 2 부분 (53) 을 포함하는 스터드-홀더 (51)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 (52) 은 상기 제 2 부분 (53) 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조절 부재 (40) 는 상기 무브먼트의 플레이트 (21) 에 대해 하나의 포지션에서 상기 스터드 홀더 (51) 의 상기 제 2 부분 (33) 을 블로킹하도록 구성된 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로킹 수단이 제공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조절 부재{TIMEPIECE REGULATING MEMBER COMPRISING AN INDEX-ASSEMBLY SYSTEM PROVIDED WITH LOCKING MEANS}
본 발명은 측시 분야 (field of horology) 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티브 에너지 (motive energy) 가 조절 부재에 의해 조절되는 기계적 역학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정밀 인덱스-조립체 시스템이 제공된 조절 부재, 이러한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측시 무브먼트 (horological movement), 및 이러한 측시 무브먼트를 포함하는 타임피스 (timepiece) 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기계식 와치에서, 침들 (예를 들어, 분침 및 시침) 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배럴에 저장되고, 그후 스프링형 밸런스 시스템 (sprung balance system) 에 의해 전달되며, 상기 스프링형 밸런스 시스템은 밸런스 스프링 (balance spring) 으로 지칭되는 나선 코일형 스트립 형태의 스프링과 연관된 밸런스로 지칭되는 플라이휠을 포함한다.
내부 단부에서, 밸런스 스프링은 밸런스와 회전식으로 고정된 샤프트 상에 체결되고; 외부 단부에서, 밸런스 스프링은 그 자체가 고정된 브리지 (또는 콕 (corck)) 에 고정된 스터드-홀더 상에 장착된 스터드 상에 체결된다.
이스케이프 휠 (escape wheel) 의 치형부에 대해 작용하는 2개의 팰릿-스톤 (pallet-stone) 을 구비는, 낮은 진폭의 요동 모션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 팰릿-레버를 포함하는 이스케이프먼트 기구에 의해 밸런스의 회전이 유지되고 - 그의 요동이 카운팅된다. 따라서, 충격을 받은, 이스케이프 휠에는 스텝-바이-스텝 회전 모션 (step-by-step rotational motion) 이 주어지고, 그 진동수는 스프링형 밸런스의 요동의 진동수로 그 자체가 설정되는 팔레트-레버의 요동의 진동수에 의해 결정된다.
종래의 이스케이프먼트 기구에서, 요동 진동수는 약 4 Hz, 또는 약 28,800 vph (vibrations per hour) 이다. 우수한 시계제작자의 한 가지 목표는 밸런스의 요동 (또는 속도의 일정성) 의 등시성과 규칙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밸런스의 속도는 밸런스 스프링의 내부 단부와 카운트 포인트 (count point) 사이의 곡선 길이로서 정의되고, 밸런스 스프링의 외부 단부 부근에 위치되고, 전형적으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상에 장착된 키에 의해 캐리되는 뱅킹들의 쌍에 의해 정의되는, 밸런스 스프링의 활성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공지된 방식으로 조절된다.
작동 중에, 이 인덱스-조립체 시스템은 밸런스 스프링의 축에 대해 그것이 회전하도록 고정된다. 그러나, 각도 포지션은 수동 개입에 의해, 예를 들어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상의 캠과 같이 작용하는, 편심을 피봇하도록 스크류드라이버를 사용함으로써,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다.
브릿지,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키, 스터드-홀더, 밸런스 스프링 및 밸런스를 포함하는 세트는 일반적으로 "조절 부재"로 불린다. 조절 부재의 예는 유럽 특허 EP3304215 및 유럽 특허 EP 2 876 504 에 의해 제안되며, 둘 다 시계제작자 ETA 에 의해 출원되었다.
밸런스 스프링의 하나의 단부가 체결되고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키가 백래시 (backlash) 를 남겨 밸런스 스프링이 2개의 뱅킹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스터드-홀더를 포함하는 인덱스-조립체 시스템이 존재한다. 그러나 크로노미터 특성, 특히 비등시성은 인덱스-조립체 키의 백래시에 매우 민감하지만 이 백래시는 정확하게 제어하기 어렵다.
일부 디바이스에서, 특히 밸런스 스프링의 작동 중에, 뱅킹은 밸런스 스프링을 압착하고 따라서 유격을 제거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덱스 키를 이동시킴으로써 처음에 속도가 조절되고, 그후 밸런스 스프링이 키에 대해 압착된다. 그러나 인덱스 키에 대한 밸런스 스프링의 압착은 그것을 스트레인 하에 놓일 수 있게 하고 특히 턴을 디센터링함 (decentring) 으로써 크로노미터 결함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유격의 제거는 속도를 변경시키고, 일단 밸런스 스프링이 압착되면, 인덱스 키는 더 이상 밸런스 스프링을 따라 이동될 수 없어서 속도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을 완료할 수가 없다.
다른 밸런스 스프링은 통합된 조절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들 밸런스 스프링에서, 속도는 밸런스 스프링의 유효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조절되지 않지만, 밸런스 스프링과 일렬로 배열된 탄성 요소에 힘 또는 토크를 인가함으로써 조절된다. 탄성 요소의 강성 및 따라서 전체적으로 밸런스 스프링의 강성이 변경될 수 있다. 밸런스 스프링의 강성의 조정은 조절 부재의 속도가 조절될 수 있게 허용한다. 탄성 요소를 갖는 이러한 밸런스 스프링은 예를 들어 특허 출원 EP4009115 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전형적인 인덱스-조립체 시스템은 사용될 수 없는데, 왜냐하면 이들이 밸런스 스프링 조절기 디바이스와 호환되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 속도는 매우 미세하게 조절되기 때문에, 밸런스 스프링과, 인덱스-조립체와 상호작용하는 그 구역 사이에 유격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는 반대로 밸런스 스프링이 충격 후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자체로 재위치설정되지 않으면 충격의 경우에 속도를 변경할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준을 변경하지 않고, 조절 부재의 속도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 필수적이다. 실제로, 무브먼트에 조절 부재를 장착할 때, 기준은 밸런스가 팔레트-레버와 적절히 협동하도록 설정된다. 일단 기준이 설정되면, 특히 조절 부재의 속도를 조정할 때, 그 설정을 방해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타입의 조절기 디바이스와 호환되는 인덱스-조립체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단점의 일부 또는 전부를 극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관성 질량체, 예를 들어 밸런스, 밸런스 스프링, 및 상기 밸런스 스프링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을 포함하는 측시 무브먼트를 위한 조절 부재에 관한 것이고, 상기 인덱스-조립체 시스템은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스터드-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조절 부재의 속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무브먼트의 플레이트에 대해 하나의 포지션에서 상기 스터드 홀더의 상기 제 2 부분을 블로킹하도록 구성된 로킹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기준의 설정 후에 스터드-홀더의 제 2 부분을 로킹할 수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제 1 부분이 조절 부재의 속도를 조정하도록 작동될 때 그 설정을 방해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조절 부재의 밸런스 브릿지 상에 장착되는 편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편심과 협동하는 원호 형상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킹 수단은 로킹 플레이트와, 상기 로킹 플레이트를 상기 제 2 부분 상에 조립하고 상기 로킹 플레이트의 포지션을 로킹하기 위한 로킹 나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킹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부분을 블로킹하도록 하나의 측면 상에서 상기 조절 부재의 밸런스 브릿지와 협동하고, 다른 측면 상에서 상기 조절 부재의 베어링과 협동하는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킹 나사는 상기 로킹 플레이트를 교차하여 상기 조절 부재의 상기 밸런스 브릿지에 나사결합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덱스-조립체 시스템은 상기 캠에 대해 상기 제 1 부분의 아암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런스 스프링은 코일형 스트립 및 상기 코일형 스트립과 일렬로 배열된 탄성 요소로 피팅된 상기 밸런스 스프링의 강성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홀더는 상기 탄성 요소에 기계적으로 링크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가요성 요소 상에 가변력 또는 토크를 인가하기 위한 사전응력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부분은 제 1 스터드를, 그리고 제 2 부분은 제 2 스터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요소 및 상기 사전응력 수단은 상기 제 1 스터드와 상기 제 2 스터드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제 1 스터드는 상기 사전응력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스터드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1 스터드의 이동은 상기 밸런스 스프링의 강성을 변경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전응력 수단은 상기 가요성 요소에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터드는 상기 레버의 자유 단부와 일체형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전응력 수단은 상기 가요성 요소와 평행하게 배열된 반-강성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반-강성 구조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요성 요소는 강성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터드는 상기 강성 지지부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중첩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분은 제 2 부분에 대해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측시 무브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측시 무브먼트를 포함하는 타임피스, 예를 들어 와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이점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만 주어진 몇몇 실시예를 정독한다면 나타날 것이다.
-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 부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조절 부재는 측시 무브먼트에 배열되고,
- 도 2 는 밸런스 브릿지 및 인덱스-조립체 시스템이 없는 상태로 도 1 의 조절 부재의 제 1 실시예의 일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 도 3 은 조절 부재의 밸런스 스프링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 부재의 일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조절 부재는 측시 무브먼트에 배열되고,
- 도 5 는 도 4 의 조절 부재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 도 6 은 제 2 실시예의 스터드-홀더의 변형예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 도 7 은 도 6 의 변형예의 스터드-홀더의 제 2 부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 도 8 은 밸런스 브릿지 상에 장착된 스터드-홀더의 제 2 부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 및 도 2 는 측시 무브먼트 (10) 내측에 배열된 조절 부재 (1) 의 제 1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측시 무브먼트 (10) 는 플레이트 (21), 관성 질량체가 제공된 조절 부재, 및 관성 질량체를 요동시키도록 구성된 관성 질량체의 탄성 바이어싱 요소를 포함한다.
조절 부재 (1) 는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20), 관성 질량체로서의 환형 밸런스 (23), 밸런스 샤프트 (24), 탄성 편향 요소로서의 밸런스 스프링 (25), 및 밸런스 브릿지 (22) 를 더 포함한다.
플레이트 (21) 에는 조절 부재 (1) 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 (26) 가 제공되고, 그 내측에는 밸런스 (23), 밸런스 스프링 (25), 밸런스 브릿지 (22) 및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20) 이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중첩된다.
밸런스 스태프 (24) 는 리세스 (26) 내측에 센터링되고 밸런스 (23), 밸런스 스프링 (25) 및 밸런스 브릿지 (22) 의 중심을 통과한다. 밸런스 스태프 (24) 는 밸런스 스태프 (24) 의 2개의 단부에 배열된 2개의 쇼크방지 베어링 (28) 에 의해 유지된다. 제 1 베어링은 리세스 (26) 의 바닥에 배열되고, 제 2 베어링 (28) 은 리세스 (26) 위에 배열되며, 밸런스 브릿지 (22) 에 의해 유지되고, 밸런스 브릿지 (22) 는 리세스 (26) 의 중심 축을 통해 리세스 (26) 의 상단을 통과한다. 밸런스 브릿지 (22) 는 제 2 베어링 (28) 이 내측에 유지되는 구멍, 여기서 관통 구멍을 갖는다.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20) 은 밸런스 브릿지 (22) 상에 장착되고, 본 실시예에서 리세스 (26) 의 중심 축을 따라 배치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 스프링 (25) 은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하나의 평면에서 연장된다. 밸런스 스프링 (25) 은 그 자체로 몇번의 턴으로 코일링된 가요성 스트립 (2) 을 포함하며, 스트립 (2) 은 미리규정된 강성을 갖는다. 스트립 (2) 의 내부 단부 (9) 는 일반적으로 콜릿 (collet) 으로 불리우는 지지부 (3) 와 조립되거나 또는 그와 단일 피스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지지부 (3) 는 형상이 실질적으로 삼각형이고, 밸런스 스태프 (24) 주위에 나사산결합된다.
밸런스 스프링 (25) 은 그 강성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조정 수단은 특히 조절 부재가 측시 무브먼트의 플레이트 상에 장착될 때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조정 수단은 스트립 (2) 과 일렬로 배열된 가요성 요소 (5) 를 포함하고, 가요성 요소 (5) 는 상기 스트립 (2) 의 하나의 단부 (4, 9) 를 강성 지지부 (17) 에 연결하고 스트립 (2) 의 단부들 (4, 9) 중 하나에 고정된다. 가요성 요소 (5) 는 스트립 (2) 의 외부 단부 (4) 와 일체형이다. 탄성 요소 (5) 는 스트립 (2) 과 상이한 요소이다.
가요성 요소 (5) 는 스트립 (2) 의 것에 추가적인 강성을 부가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요소 (5) 는 스트립 (2) 의 강성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다. 가요성 요소 (5) 는 이 경우에 스트립 (2) 의 연속부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정 수단 및 스트립 (2) 은 하나의 피스로 제조되거나, 또는 심지어 동일한 재료, 예를 들어 규소로 제조된다.
밸런스 스프링 (25) 의 가요성 요소 (5) 는 비교차형 (uncrossed) 굴곡 피봇을 포함한다. 피봇은 2개의 가요성 비교차 블레이드 (11, 12) 및 강성 부분 (18) 을 포함한다. 가요성 블레이드 (11, 12) 는 서로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한편으로 강성 지지부 (17) 에 측방향으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강성 부분 (18) 에 결합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블레이드 (11, 12) 는 강성 부분 (18) 으로부터 시작하여 강성 지지부 (17) 까지 서로로부터 벗어난다. 스트립 (2) 의 외부 단부 (4) 는 강성 부분 (18) 에 결합된다. 강성 지지부 (17) 는 플레이트 (21) 에 대해 이동할 수 없다. 강성 지지부 (17) 는 L-형 형상을 갖고, L 의 제 1 브랜치 (46) 는 가요성 블레이드 (11, 12) 와의 연결부로서 기능하고, L 의 제 2 브랜치 (47) 는 측시 무브먼트 (10) 에 대한 그 조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비교차형 피봇에 대향하는 측면 상으로 지향된다.
밸런스 스프링 (25) 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가변력 또는 토크를 가요성 요소 (5) 에 인가하는 사전응력 수단 (6) 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밸런스 스프링의 강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토크 또는 힘은 사전응력 수단 (6) 에 의해 연속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즉, 토크 또는 힘은 포인트 값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요성 요소 (5) 의 강성을 매우 정확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전응력 수단 (6) 은 비교차형 피봇의 연속부에 강성 부분 (18) 의 대향하는 측면에 배열된 제 2 가요성 블레이드 (19) 를 포함한다. 2차 가요성 블레이드 (19) 는 외부 단부 (4) 에서 스트립 (2) 에 접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2 가요성 블레이드 (19) 는 다른 단부에서 스트립 (2) 주위로 진행하는 만곡된 레버 (14) 에 연결된다. 2차 가요성 블레이드 (19) 이외에, 레버 (14) 는 강성 지지부 (17) 에 연결된 반-강성 구조체 (27) 에 연결된다. 반-강성 구조체 (27) 은 레버 (14) 가 힘 또는 토크에 의해 작동될 때 부분적으로 변형된다.
힘 또는 토크는 레버 (14) 의 자유 단부 (15) 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사전응력 수단 (6) 의 레버 (14) 는 밸런스 스프링 (25) 의 강성을 변경시키도록 2차 가요성 블레이드 (19) 와 반강성 구조체 (27) 를 통해 가요성 요소 (5) 에 힘 또는 토크를 전달한다.
가변력 또는 토크를 밸런스 스프링 (25) 에 인가할 수 있도록, 조절 부재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20) 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 의 제 1 실시예에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20) 에는 2개의 부분들, 즉 제 1 부분 (32) 및 제 2 부분 (33) 에 스터드-홀더 (31) 가 제공된다. 스터드-홀더 (31) 의 제 1 부분 (32) 은 제 1 스터드 (34) 를 고정 (hang) 시키는 반면, 스터드-홀더 (31) 의 제 2 부분 (33) 에는 제 2 스터드 (35) 가 제공된다. 스터드-홀더 (31) 는 탄성 요소 (5) 에 기계적으로 링크되지만, 그것은 스트립 (2) 을 블로킹하지 않는다.
스터드-홀더 (31) 의 제 1 부분 (32) 은 밸런스 브릿지 (22) 와 접촉하는 스터드-홀더 (31) 의 제 2 부분 (33) 위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스터드-홀더 (31) 의 2개의 부분들은 댐퍼 (28) 에 의해 유지되고 위치설정된다.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20) 은 2개의 편심 (36, 37) 을 포함한다. 제 1 편심 (36) 은 스터드-홀더 (31) 의 제 2 부분 (33) 상에 장착되고, 스터드-홀더 (31) 의 2개의 부분들 사이의 각도 설정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속도를 설정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 부재 (1) 는 무브먼트의 플레이트 (21) 에 대해, 본원에서 각진, 하나의 포지션에서 스터드 홀더 (31) 의 제 2 부분 (33) 을 블로킹하도록 구성된 로킹 수단을 더 포함한다. 로킹 수단은 제 2 편심 (37) 을 포함한다.
제 2 편심 (37) 은 밸런스 브릿지 (22) 상에 장착되고, 플레이트 (21) 에 대해 스터드-홀더 (31) 의 각도 포지션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기준을 설정하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20) 을 장착할 때, 이동가능한 스터드-홀더 (31) 의 제 2 부분 (33) 은 먼저 위치설정된 후, 그것은 제 2 편심 (37) 으로 인해 블로킹되어 플레이트 (21) 에 대해 이동할 수 없게 유지되된다. 그후, 스터드 홀더 (31) 의 제 1 부분 (32) 이 위치설정되고, 그후, 그것은 제 1 편심기 (36) 로 인해 각지게 블로킹되어 제 2 부분 (33) 에 대해 이동할 수 없게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제 2 편심기 (37) 를 작동시킴으로써, 전체 스터드-홀더 (31) 는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밸런스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 1 부분 (32) 을 블로킹해제하고 이동시키기 위해, 제 1 편심기 (36) 가 작동된다. 이 경우, 스터드 홀더 (31) 의 제 1 부분 (32) 만이 밸런스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이는 제 1 스터드 (34) 를 이동시키고 탄성 요소 (5) 에 작용하여 속도를 변화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스터드-홀더 (31) 의 제 1 부분 (32) 만이 제 1 스터드 (34) 를 이동시키고 탄성 요소 (5) 에 작용할 수 있도록, 장착 후에 밸런스 브릿지 (22) 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2개의 부분들 (32, 33) 은 제 2 베어링 (28) 을 둘러싼다. 이를 위해, 각각의 부분 (32, 33) 은 제 2 베어링 (28) 주위에 배열된 중심 링 (38, 39) 을 포함하고, 2개의 중심 링 (38, 39) 은 중첩된다.
제 1 부분 (32) 은 중심 링 (38) 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돌출부 (41, 42) 를 포함하고, 제 1 돌출부 (41) 는 제 1 나사 (74) 를 사용하여 리세스 (26) 에서 하향으로 제 1 스터드 (34) 를 유지하고, 제 2 돌출부 (42) 는 제 1 편심 (36) 과 협동하는 원호 형상을 갖는다.
제 2 부분 (33) 은 중심 링 (39) 으로부터 연장되는 3개의 돌출부 (43, 44, 45) 를 포함한다. 제 1 돌출부 (43) 는 제 2 나사 (75), 제 1 편심 (36) 주위로 연장되는 제 2 돌출부 (44), 및 제 2 편심 (37) 과 협동하는 원호 형상을 갖는 제 3 돌출부 (45) 를 사용하여 리세스 (26) 에서 하향으로 제 2 스터드 (35) 를 유지한다.
기준 배열에서, 제 1 스터드 (34) 및 제 2 스터드 (35) 는, 예를 들어, 밸런스 (24) 의 스태프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배열된다.
제 1 스터드 (34) 는 레버 (14) 의 자유 단부 (15) 와 협동하고, 제 2 스터드 (35) 는 강성 지지부 (17) 의 제 2 브랜치 (47) 와 협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전응력 수단 (6) 및 탄성 부재 (5) 는 그것들이 현수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20) 에 의해 지지된다.
2개의 스터드 (34, 35) 는 사전응력 수단 (6) 및 탄성 요소 (5) 의 어느 한 측에 배열된다. 또한, 2개의 스터드 (34, 35) 는 레버 (14) 및 강성 지지부 (17) 에 강성으로 연결된다. 즉, 제 1 스터드 (34) 및 제 2 스터드 (35) 는 자유 단부 (15) 에 의해 레버 (14) 에 그리고 제 2 브랜치 (47) 에 의해 강성 지지부 (17) 에 각각 고정된다. 스터드와 밸런스 스프링 (25) 은 예를 들면, 본딩, 브레이징, 용접, 금속 유리 변형, 또는 기계적 체결에 의해 조립된다.
제 1 스터드 (34) 는 제 2 스터드 (35) 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부분 (32) 은 제 2 부분 (33) 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제 1 부분 (32) 은 제 2 베어링 (28) 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스터드 (34) 는 제 1 부분 (32) 과 함께 이동하고, 제 1 스터드 (34) 는 제 2 베어링 (28) 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터드 (34) 는 20°, 또는 10°의 각도 범위에 걸쳐 이동될 수 있다.
무브먼트가 사전응력 수단 (6) 의 레버 (14) 상에 보다 크거나 또는 보다 작은 힘 또는 토크를 가할 때, 제 2 스터드 (35) 에 대한 제 1 스터드 (34) 의 이동은 탄성 요소 (5) 의 강성을 변경시켜서, 탄성 요소 (5) 의 강성이 변화되고, 따라서 전체 밸런스 스프링 (25) 의 강성이 변화된다. 따라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20) 은 조절 부재 (1) 의 속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20) 은 제 1 편심 (36) 및 제 2 부분 (32) 의 원호 형상 제 2 돌출부 (42) 으로 인해 제 2 스터드 (35) 에 대한 제 1 스터드 (34) 의 포지션을 변경할 수 있다. 원호는 제 1 편심기 (36) 의 헤드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져서, 제 1 편심기 (36) 의 이동은 제 2 돌출부 (42) 의 그리고, 따라서 제 2 부분 (33) 에 대한 제 1 부분 (32) 의 무브먼트를 제 2 베어링 (28) 주위에서 원형으로 유발시키는 반면, 제 1 부분 (32) 이 작동될 때, 제 2 부분 (33) 은 제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제 1 편심기 (36) 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호 형상 제 2 돌출부 (42) 가 제 2 베어링 (28) 주위로 원형으로 이동한다. 제 1 부분 (32) 은 제 2 부분 (33) 에 대해 이동하고, 그 결과로서, 제 1 스터드 (34) 는 제 2 스터드 (35) 에 대해 이동하여, 밸런스 스프링 (25) 의 사전응력 수단 (6) 에 인가되는 힘 또는 토크를 변경한다. 편심 (36, 37) 과 원호 (42, 45) 사이의 백래시의 부재는 히스테리시스 없는 (hystrtesis-free)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편심기 (36) 주위에 원호 형상 제 2 돌출부 (42) 상에는 설정 기준들 (29) 이 배치된다. 따라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20) 을 설정하기 위해, 제 1 편심 (36) 은 우선 기준에 따라 배향된다.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20) 은 하루 당 1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하루 당 0.5초 이하, 가능하게는 하루 당 0.1초 이하의 분해능 (resolution) 으로 조절 부재 (1) 의 속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20) 은 그 작동이 그러한 분해능을 가능하게 하도록 교정된다. 조절 부재 (1) 의 구성은 이러한 정확성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설정 기준 (29) 은 분해능에 대응한다. 즉, 2개의 연속 기준 사이의 차이는 하루 당 1초, 0.5초, 가능한 경우 0.1초에 대응한다.
도 4 및 도 5 의 조절 부재 (40) 의 제 2 실시예에서, 조절 부재 (40) 의 특징들은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60) 의 설정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60) 의 제 1 부분 (52) 은 단일 평면에서 제 1 부분 (52) 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아암 (63) 을 포함한다. 제 2 부분 (53) 은 원호 형상 돌출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60) 은 제 1 편심 대신 회전 이동가능한 캠 (55) 을 포함한다. 캠 (55) 은 제 1 부분 (52) 의 아암 (63) 과 협동하여 그것이 제 2 베어링 (28) 에 대해 회전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아암 (63) 의 단부 (56) 는 캠 (55) 과 항상 접촉하여, 캠 (55) 의 회전은 캠 (55) 의 각도 포지션에 따라 아암 (63) 에 무브먼트를 가한다. 따라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60) 의 제 1 부분 (52) 은 제 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동한다. 캠 (55) 이 피팅된 이러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60) 은 밸런스 스프링 (25) 의 강성이 선형적으로 변하도록 한다.
제 1 부분 (52) 의 아암 (63) 을 캠 (55) 과 접촉하게 유지하기 위해,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60) 은 제 1 부분 (52) 상에 편향력을 가하는 스프링 (57) 을 포함한다. 스프링 (57) 은 로킹 나사 (77) 를 둘러싸는 실질적으로 U 형상이고, U 의 제 1 단부 (58) 는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20) 의 제 2 부분 (53) 과 조립되고, U 의 제 2 단부 (59) 는 제 1 부분 (52) 상에 배열된 리테이닝 후크 (61) 에 의해 유지된다. 스프링 (57) 은 제 2 베어링 (28) 에 대해 캠 (55) 에 대칭적으로 스터드 홀더 (31) 의 제 2 부분 상에 배열된다.
따라서, 스프링 (57) 은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60) 의 2개의 부분 (52, 53) 에 복귀력을 가하며, 복귀력은 캠 (55) 과 접촉하는 제 1 부분 (52) 의 아암 (63) 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캠 (55) 이 작용될 때, 제 1 부분 (52) 은, 특히 캠 (55) 의 주변 벽 (64) 이 아암 (63) 으로부터 멀리 이동할 때, 제 1 부분 (52) 의 아암 (63) 이 캠 (55) 과 접촉하게 하도록, 스프링 (57) 에 의해 가해지는 복귀력을 받으면서, 제 2 스터드 (35) 에 대해 제 1 스터드 (34) 를 이동시키도록 회전한다.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60) 은 하루 당 1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하루 당 0.5초 이하, 가능하게는 하루 당 0.1초 이하의 분해능 (resolution) 으로 조절 부재 (40) 의 속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조절 부재 (40) 의 구성은 이러한 정확성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 부재 (40) 는 무브먼트의 밸런스 (22) 에 대해, 하나의 포지션에서 스터드 홀더 (51) 의 제 2 부분 (53) 을 블로킹하도록 구성된 로킹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로킹 수단은 로킹 플레이트 (62) 와, 상기 로킹 플레이트 (62) 를 상기 제 2 부분 (53) 상에 조립하고 상기 로킹 플레이트의 포지션을 로킹하기 위한 로킹 나사 (77)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로킹 플레이트는 하나의 측면에서 밸런스 브릿지 (72) 와 협동하고 다른 측면에서 제 2 베어링 (28) 과 협동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로킹 나사 (77) 는 로킹 플레이트 (62) 의 아래에 배치되는 밸런스 브릿지 (72) 에 나사결합되도록 로킹 플레이트 (62) 를 교차한다. 따라서, 로킹 나사 (77) 를 조임으로써, 로킹 플레이트 (62) 는 스프링 (57) 의 U 의 제 1 단부 (58) 의 슈 (78) 에서, 스터드 홀더 (51) 의 제 2 부분 (53)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힘을 가하고, 슈는 스터드 홀더 (51) 의 제 2 부분 (53) 상에 안착된다.
따라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20) 을 장착할 때, 이동가능한 스터드-홀더 (51) 의 제 2 부분 (53) 은 먼저 위치설정된 후, 그것은 로킹 플레이트 (62) 및 록킹 나사 (77) 로 인해 블로킹되어 밸런스 브릿지 (72) 에 대해 이동할 수 없게 유지된다. 단지 제 1 부분 (52) 만이 제 1 스터드 (34) 를 이동시키고 탄성 요소 (5) 에 작용할 수 있도록, 장착 후에 밸런스 브릿지 (72) 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유지된다.
설정 기준 (49) 이 또한 캠 (55)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60) 을 설정하기 위해, 캠 (55) 은 예를 들어 설정 버튼 (도 4 및 도 5 에 도시되지 않음) 에 의해 이동되고, 캠 (55) 상에 배치되고,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60) 을 설정하기 위해, 캠 (55) 은 우선 기준에 따라 배향된다.
바람직하게는, 설정 기준 (49) 은 분해능에 대응한다. 즉, 2개의 연속적인 기준들 사이의 차이는 하루 당 1초, 0.5초, 및 가능하게는 0.1초만큼 속도를 변경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6 에서 설정 기준 (49) 의 분해능은 0.1초이다.
도 6 및 도 7 에서, 스터드-홀더 (51) 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이며, 여기서 제 2 부분 (53) 은 하나의 측면 상에 벤딩된 아암 (70) 을 포함하고, 다른 측면 상에 핀 (71) 의 쌍 뿐만 아니라 미들에서 실질적으로 원형의 관통 오리피스 (68) 를 포함한다. 벤딩된 아암 (70) 은 로킹 플레이트 (62) 와 협동하도록 의도된다. 한 쌍의 핀 (71) 은 캠 (55) 의 축을 유지하고 무브먼트의 밸런스 브릿지 (72) 상에 놓이도록 의도된다.
관통 오리피스 (68) 는 밸런스의 쇼크 흡수기 베어링 (28) 을 삽입할 수 있게 하며, 이 베어링 주위에 스터드-홀더 (51) 가 장착되어 유지된다. 관통 오리피스 (68) 는 오리피스 (68) 와 경계를 이루는 세그먼트 (73) 상에 가요성을 부여하기 위해 슬롯 (69) 에 의해 개방된다. 따라서, 베어링 (28) 은 오리피스 (68) 에 피팅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가요성으로 인해, 세그먼트 (73) 는 베어링 (28) 을 오리피스 (68) 내로 삽입하는 길을 열 수 있고, 그것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있다. 오리피스 (68) 및 쇼크 흡수 베어링 (28) 의 형상은 함께 협동하도록 구성되며, 베어링 (28) 의 형상은 바람직하게 오리피스 (68) 의 형상보다 약간 더 크다.
또한, 오리피스 (68) 의 기하학적 형상은 스터드 홀더 (51) 의 회전 안내를 허용한다. 실제로, 가요성 세그먼트 (73) 는 밸런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의 축의 동심도를 보존하면서 쇼크 흡수 베어링 주위에서 스터드 홀더 (51) 를 회전 안내하게 허용한다.
도 6 에서, 로터리 설정 버튼 (65) 은 캠 (55) 상에 장착되고, 버튼 (65) 은 주변 설정 기준 (66) 을 포함하고, 설정 기준 (66) 은 본 발명에 따른다.
도 8 은 로킹 수단이 밸런스 브릿지 (72) 상에서 스터드-홀더 (51) 의 제 2 부분 (53) 을 어떻게 블로킹하는지를 도시한다. 로킹 플레이트 (62) 는 벤딩된 아암 (70) 상에 지지되어 그것을 밸런스 브릿지 (72) 에 대해 압착한다. 로킹 나사 (77) 는 로킹 플레이트 (62) 를 교차하고 벤딩된 아암 (70) 을 통과하여 아래에 위치된 밸런스 브릿지 (72) 에 도달한다. 따라서, 스터드-홀더 (51) 의 제 2 부분 (53) 은 로킹 플레이트 (62) 와 밸런스 브릿지 (72)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또한, 로킹 플레이트 (62) 는 스프링 (57) 을 유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조절 부재들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7)

  1. 관성 질량체, 또는 밸런스 (23), 밸런스 스프링 (25), 및 상기 밸런스 스프링 (25) 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20, 60) 을 포함하는 측시 무브먼트 (horological movement) 를 위한 조절 부재 (1, 40) 로서,
    상기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20, 60) 은 제 1 부분 (32, 52) 및 제 2 부분 (33, 53) 을 포함하는 스터드-홀더 (31, 51)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 (32, 52) 은 상기 조절 부재 (1, 40) 의 속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부분 (33, 53) 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조절 부재 (1, 40) 는 상기 무브먼트의 플레이트 (21) 에 대해 하나의 포지션에서 상기 스터드 홀더 (31, 51) 의 상기 제 2 부분 (33) 을 블로킹하도록 구성된 로킹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시 무브먼트를 위한 조절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조절 부재 (1) 의 밸런스 브릿지 (22) 상에 장착되는 편심 (3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시 무브먼트를 위한 조절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 (33) 은 상기 편심 (37) 과 협동하는 원호 형상 돌출부 (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시 무브먼트를 위한 조절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은 로킹 플레이트 (62) 와, 상기 로킹 플레이트 (62) 를 상기 제 2 부분 (53) 상에 조립하고 상기 로킹 플레이트의 포지션을 로킹하기 위한 로킹 나사 (7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시 무브먼트를 위한 조절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플레이트 (62) 는 상기 제 2 부분 (33) 을 블로킹하도록 하나의 측면 상에서 상기 조절 부재 (40) 의 밸런스 브릿지 (72) 와 협동하고, 다른 측면 상에서 상기 조절 부재의 베어링 (28) 과 협동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시 무브먼트를 위한 조절 부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나사는 (77) 는 상기 로킹 플레이트 (62) 를 교차하여 상기 조절 부재 (40) 의 상기 밸런스 브릿지 (72) 에 나사결합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시 무브먼트를 위한 조절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조립체 시스템 (60) 은 캠 (55) 에 대해 상기 제 1 부분 (52) 의 아암 (63) 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부분 (52) 과 상기 제 2 부분 (53) 사이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 (5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시 무브먼트를 위한 조절 부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스프링 (25) 은 코일형 스트립 (2) 및 상기 코일형 스트립 (2) 과 일렬로 배열된 탄성 요소 (5) 로 피팅된 상기 밸런스 스프링의 강성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 (30, 50) 을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홀더 (31, 51) 는 상기 탄성 요소 (5) 에 기계적으로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시 무브먼트를 위한 조절 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 (30,50) 은 가요성 요소 (5) 상에 가변력 또는 토크를 인가하기 위한 사전응력 수단 (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시 무브먼트를 위한 조절 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32, 52) 은 제 1 스터드 (34) 를, 그리고 제 2 부분 (33, 53) 은 제 2 스터드 (35)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요소 (5) 및 상기 사전응력 수단 (6) 은 상기 제 1 스터드 (34) 와 상기 제 2 스터드 (35)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제 1 스터드 (34) 는 상기 사전응력 수단 (6) 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스터드 (35) 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1 스터드 (34) 의 무브먼트는 상기 밸런스 스프링의 강성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시 무브먼트를 위한 조절 부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응력 수단 (6) 은 가요성 요소 (5) 에 연결되는 레버 (14)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터드는 레버 (14) 의 자유 단부 (15) 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시 무브먼트를 위한 조절 부재.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응력 수단 (6) 은 가요성 요소 (5) 와 평행하게 배열된 반-강성 구조체를 포함하고, 레버 (14) 는 상기 반-강성 구조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시 무브먼트를 위한 조절 부재.
  13. 제 8 항에 있어서,
    가요성 요소 (5) 는 강성 지지부 (17) 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터드 (35) 는 상기 강성 지지부 (17) 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시 무브먼트를 위한 조절 부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32, 52) 과 상기 제 2 부분 (33, 53) 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시 무브먼트를 위한 조절 부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32, 52) 은 상기 제 2 부분 (33, 53) 에 대해 회전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시 무브먼트를 위한 조절 부재.
  16. 제 1 항에 따른 조절 부재 (1,40) 를 특징으로 하는 측시 무브먼트.
  17. 제 16 항에 따른 측시 무브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KR1020230070362A 2022-06-02 2023-05-31 로킹 수단이 제공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조절 부재 KR202301677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177059.7A EP4286960A1 (fr) 2022-06-02 2022-06-02 Organe réglant d'horlogerie muni d'un système de raquetterie
EP22177059.7 2022-06-02
EP22215645.7A EP4286961A1 (fr) 2022-06-02 2022-12-21 Organe reglant d'horlogerie muni d'un systeme de raquetterie de precision
EP22215645.7 2022-12-21
EP23167376.5 2023-04-11
EP23167376.5A EP4286962A1 (fr) 2022-06-02 2023-04-11 Organe réglant d'horlogerie comprenant un système de raquetterie muni de moyens de verrouil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736A true KR20230167736A (ko) 2023-12-11

Family

ID=85795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0362A KR20230167736A (ko) 2022-06-02 2023-05-31 로킹 수단이 제공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조절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230393526A1 (ko)
EP (1) EP4286962A1 (ko)
JP (2) JP2023178233A (ko)
KR (1) KR20230167736A (ko)
CN (2) CN117170208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7464A (en) * 1960-09-10 1963-05-29 Parechoc Sa Watch or clock regulating mechanism
CH521620A (fr) * 1968-01-12 1971-12-31 Leo Glocker Paul Dispositif de fixation de l'extrémité extérieure d'un spiral réglant dans un mouvement d'horlogerie
EP2876504B1 (fr) 2013-11-20 2017-07-26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Porte-piton d'horlogerie sans vis
US10474104B2 (en) 2015-06-03 2019-11-12 Eta Sa Manufacture Horlogere Suisse Resonator with fine adjustment via an index-assembly
CH714791B1 (fr) * 2018-03-16 2022-03-15 Hublot Sa Geneve Organe denté pour pièce d'horlogerie.
FR3094804B1 (fr) * 2019-04-02 2021-10-22 Vianney Halter « Dispositif de couplage de deux oscillateurs d’horlogerie »
JP6703203B1 (ja) * 2020-01-29 2020-06-03 セイコーウオッチ株式会社 ひげぜんまい調整機構、てんぷ受ユニット、ムーブメント及び時計
EP4009115A1 (fr) 2020-12-02 2022-06-08 Omega SA Ressort-spiral pour mécanisme résonateur d horlogerie muni de moyens d'ajustement de la rigidit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78244A (ja) 2023-12-14
JP2023178233A (ja) 2023-12-14
US20230393527A1 (en) 2023-12-07
CN220064632U (zh) 2023-11-21
EP4286962A1 (fr) 2023-12-06
US20230393526A1 (en) 2023-12-07
CN117170208A (zh)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4525A (ko) 일체형 시계 조절기, 시계 무브먼트 및 상기 시계 조절기를 구비한 시계
JP6678210B2 (ja) 機械式計時器ムーブメントのためのひげ持ち保持器
CN110692022A (zh) 用于钟表的装置以及包括这种装置的钟表机芯和钟表
JP6650922B2 (ja) ヒゲゼンマイを組み立ておよび調整するための装置
CN109991826B (zh) 用于自动调节游丝的有效长度的设备
JP7012657B2 (ja) 時計のための装置、このような装置を備える時計仕掛けムーブメントおよび時計
KR20230167736A (ko) 로킹 수단이 제공된 인덱스-조립체 시스템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조절 부재
US3736743A (en) Timepiece regulating mechanism
JP6703203B1 (ja) ひげぜんまい調整機構、てんぷ受ユニット、ムーブメント及び時計
US20230393528A1 (en) Horological regulating member provided with an index-assembly system
US20230052485A1 (en) Inertial mass equipped with a flexible inertial element, particularly for horology
CN117170209A (zh) 设有精密快慢针组件系统的钟表调速机构
JP3230221U (ja) 機械式時計におけるてんぷ受けの支持構造
JP7407028B2 (ja) ひげぜんまい調整機構、てんぷ受ユニット、ムーブメント及び時計
CN111610707B (zh) 温度补偿型摆轮游丝机构、机芯以及钟表
JP7476768B2 (ja) テンプ、ムーブメント、機械式時計およびテンプの製造方法
US20230168629A1 (en) Balance-spring for timepiece resonator mechanism provided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stiffness
US20220413437A1 (en) Oscillator for a timepiece movement and timepiece comprising such an oscillator
CH719747A2 (fr) Organe réglant d'horlogerie muni d'un système de raquetterie.
JP2021177171A (ja) 計時器のディテントエスケープ
CH719743A2 (fr) Organe réglant d'horlogerie comprenant un système de raquetterie muni de moyens de verrouill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