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641A -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641A
KR20230167641A KR1020220067756A KR20220067756A KR20230167641A KR 20230167641 A KR20230167641 A KR 20230167641A KR 1020220067756 A KR1020220067756 A KR 1020220067756A KR 20220067756 A KR20220067756 A KR 20220067756A KR 20230167641 A KR20230167641 A KR 20230167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handle assembly
razor handle
weight memb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다운
한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to KR1020220067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7641A/ko
Publication of KR20230167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68Mounting devices; Manufacture of razors or cartridges
    • B26B21/4075Moun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카트리지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헤드부,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며 적재공간이 구비되는 적재부, 적재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중량부재 및 중량부재가 적재된 적재부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헤드부의 타측과 탈착가능하게 구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안전하게 분리하여, 소재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 면도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Razor handle assembly}
본 발명은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분리하여, 소재별로 분류할 수 있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면도기는 체모를 제거하기 위한 도구로서, 성별과 무관하게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위생용품이다.
면도기는 내구성과 편의성, 그리고 체모 절제를 위한 기능을 갖도록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면도기 핸들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33681 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면도기 핸들은 주로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각 부품들의 분리배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문제점은 전세계적으로 최근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리사이클링 운동이 확대되면서 더욱 부각되고 있어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의 구조적 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면도 시 핸들을 조작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은 개인차에 따라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핸들은 무게가 일률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면도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연령 또는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핸들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면도기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33681 호
본 발명은 종래의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의 부품을 리사이클링 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개시에 따라, 일측에 카트리지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헤드부,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며 적재공간이 구비되는 적재부, 적재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중량부재 및 중량부재가 적재된 적재부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헤드부의 타측과 탈착가능하게 구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헤드부는 타측에 구비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그립부는 제1 연결부와 결합 및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는 헤드부 측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제1 연결부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는 결합 홀을 포함하며, 제2 연결부는 결합 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합 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결합 돌부의 단부는 제1 연결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부를 포함하며, 걸림부는 헤드부측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제1 연결부와 결합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적재부는 핸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중량부재가 핸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재공간에 적재될 수 있도록 측벽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나아가 적재부는,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적재부의 내주면 상에 구비되며, 적재된 중량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중량부재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재부는 핸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된 복수의 적재공간이 구비되며, 중량부재는 적재공간 각각에 적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헤드부, 적재부 및 그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생분해성(Biodegradable), 생붕괴성(Disintegrable), 광분해성(Photodegradable) 소재 및 재활용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는 분리된 부품을 소재에 따라 분류하여 재활용 또는 분리수거 할 수 있으므로,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전체 구성을 폐기하는 경우에 비하여 환경 친화적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연령 또는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핸들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의 탈착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c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의 탈착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d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의 다른 탈착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무게중심이 조절되는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 부분을 각 부품별로 쉽게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1)는 각 부품이 서로 다른 소재로 구성되더라도 종래의 핸들 어셈블리의 외형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1)는 종래의 일체형 핸들 어셈블리(1)와 유사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는 헤드부(120), 적재부(140), 중량부재(300) 및 그립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20)의 일측에는 면도날을 포함하는 카트리지(110)가 형성된다. 카트리지(110)는 면도날, 윤활밴드 등 널리 알려진 면도기 카트리지(11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20)는 카트리지(110)와 연결된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120)의 타측에는 그립부(200)가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적재부(140)는 중량부재(300)가 적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재부(140)는 헤드부(120)의 타측으로부터 핸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적재부(140)는 헤드부(120)와 일체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헤드부(120)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조립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적재부(140)는 내측에 중량부재(300)가 적재될 수 있도록 적재공간(150)이 형성될 수 있다. 적재부(140)는 핸들의 길이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중량부재(300)를 적재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재부(140)는 측벽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적재부(140)는 전체적으로 반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재부(140)는 중량부재(300)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반원통 이외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적재부(140)는 헤드부(120)와 인접한 지점에 형성되는 가압부(1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재부(140)의 타측 단부에는 단부벽(156)이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141)는 적재부(140)의 내면으로부터 길이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41)의 단부는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다. 적재공간(150)에 적재되는 중량부재(300)는 가압부(141)와 단부벽(156)에 의해 핸들의 길이방향으로 지지되면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141)는 탄성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중량부재(300)가 가압부(141)에 의해 충분히 탄성 지지되도록, 가압부(141)와 단부벽(156) 사이의 거리는 중량부재(300)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더 작을 수 있다. 즉, 중량부재(300)의 길이가 가압부(141)와 단부벽(156)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경우에도 가압부(141)가 변형되면서 중량부재(300)의 수용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가압부(141)는 적재된 중량부재(300)를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중량부재(300)의 유격으로 인한 바람직하지 않은 유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재부(140) 및 중량부재(300) 생산 시 치수에 대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적절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즉 중량부재(300)는 실질적으로 가압부(141)와 단부벽(156)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면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헤드부(120)와 인접한 적재부(140)의 일측에 가압부(141)가 형성되고 헤드부(120)와 이격된 적재부(140)의 타측에 단부벽(156)이 위치한 것으로, 적재부(140)는 재료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일부의 벽을 소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내측에 적재된 중량부재(300)를 안정적으로 지지 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조만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측벽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측벽에 개구(154)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면도기를 파지하여 사용할 때의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중량부재(300)를 이용하여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의 중량 및 무게중심을 조정할 수 있다.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가 너무 가볍거나 너무 무거운 경우 또는 무게중심의 위치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사용감을 저감시키므로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는 적절한 무게와 무게중심을 가져야 한다. 중량부재(300)는 그립부(200)가 경량화됨에 따라 전체적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의 무게를 보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그립부(200)는 분해성 소재 또는 재활용 소재와 같이 리사이클링 가능한 경량 소재로 구성되거나, 그립부(200)의 내부에 삽입공간(154)이 마련됨으로써 경량화되는데, 중량부재(300)는 그립부의 무게를 보상하기 위한 구성이 될 수 있다.
중량부재(300)는 일 예로서 적재부(140)의 적재공간(150)에 적재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며, 적재공간(15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적재공간(140)이 반원통 형상을 가진다면, 중량부재(300)는 그에 대응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중량부재(300)는 적재부(140)의 가압부(141)와 단부벽(156)에 의해 양측면이 지지될 수 있다.
그립부(200)는 사용자가 면도기를 사용할 때 실질적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 그립부(200)는 내측에 적재부(1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200)의 타단은 폐쇄되어 사용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물 등이 삽입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립부(200)의 일단은 헤드부(120)와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립부(200)와 헤드부(120)의 연결을 위하여, 헤드부(120)와 그립부(200)에는 제1 연결부(130) 및 제2 연결부(21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30)는 그립부(200)와 인접한 헤드부(120)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210)는 헤드부(120)와 인접한 그립부(200)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30)와 제2 연결부(210)는 연관되어, 서로 결합 및 해제 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부(130)와 제2 연결부(210)는 스냅핏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부(130)와 적재부(140)는 헤드부(120)의 타측 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부(130)는 헤드부(120) 타측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적재부(140)는 헤드부(120) 타측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30)가 헤드부(120) 타측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결합 해제를 위한 동작, 예컨대, 걸림부(도 3a의 212)를 손가락으로 미는 동작을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헤드부(120), 적재부(140) 및 그립부(200) 중 적어도 하나는 생분해성(Biodegradable), 생붕괴성(Disintegrable), 광분해성(Photodegradable) 소재 및 재활용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재활용 소재는 재사용(reuse) 가능한 소재 및 재생이용(recovery) 가능한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요소들은 재생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의 탈착시의 사용상태도이다.
제2 연결부(210)는 그립부(200)의 일측 단부에서 헤드부(120)를 향하여 연장되는 결합 돌부(211)를 포함한다. 결합 돌부(211)는 단부에 구비되는 걸림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10)는 그립부(200)를 헤드부와 연결할 때 제1 연결부(130)의 결합 홀(131)에 걸림부(212)의 일부가 삽입되면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부(212)에서 그립부(200)의 타측을 향하는 면 중 외측 모서리에는 경사면(213)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213)은 제1 연결부(130)와 제2 연결부(210)의 결합을 해제할 때 사용자가 용이하게 걸림부(212)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사면(213)은 제1 연결부(130)와 제2 연결부(21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걸림부(212)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걸림부(212)가 결합 홀(13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를 각 부품별로 분리하기 위하여, 먼저 그립부(200)와 헤드부(120) 간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먼저 걸림부(212)를 헤드부(12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경사면(213)이 형성된 걸림부(212)를 헤드부(120) 측으로 가압하는 경우에도 걸림부(212)가 제1 연결부(130)로부터 이탈되는 방향, 즉 적재부(140)의 적재공간(150)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걸림부(212)를 더 가압하면 걸림부(212)의 단부가 제1 연결부(130)의 외측면 이하로 하강하며, 이때 사용자가 가압하는 힘이 헤드부(120)에 전달되면서 헤드부(120)와 그립부(200)의 결합이 해제된다. 즉 사용자는 한번의 터치만으로 손쉽고 안전하게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를 분리할 수 있다.
도 3c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의 탈착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헤드부(120)와 그립부(200)는 나사 방식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30)는 헤드부(120)의 단부의 외면상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10)는 헤드부(120)와 연결되었을 때 제1 나사산(13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나사산(21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립부(200)와 헤드부(120)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도 3d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의 다른 탈착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헤드부(120)와 그립부(200)는 자력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30)는 헤드부(120)의 단부면에 구비된 제1 자석(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10)는 그립부(200)의 단부에서 제1 자석(133)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제2 자석(2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력을 이용하여 그립부(200)를 헤드부(200)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그립부(200)를 잡아당겨 헤드부(120)와 그립부(200)를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는 적재부(140)의 적재공간(150)이 복수로 분할될 수 있다. 적재부(140)는 적재공간(150)을 그립부(200)의 길이방향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격벽(155)이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격벽(155)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적재공간(151, 152, 153)에는 각각 중량부재(300)가 선택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중량부재(3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중량부재(300)의 개수 및 적재 위치를 선택하여 적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경우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의 전체적인 무게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무게 중심을 그립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중량부재(300)의 개수와 위치의 서로 다른 조합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무게와 무게중심의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는 적재공간(150)이 3 개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 5(a)와 같이, 중량부재(300)를 헤드부(120)와 인접한 제1 적재공간(151)에 적재하거나, 도 5(b)와 같이, 적재부(140)의 중간부분인 제2 적재공간(152)에 적재하거나, 도 5(c)와 같이 적재부(140)의 단부와 인접한 제3 적재공간(153)에 선택하여 적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의 전체 무게는 동일하되, 무게중심의 상하방향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중량부재(300)를 복수 개 적재할 수 있으며, 적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두 개의 중량부재(300)를 도 6(a)와 같이 제1 적재공간(151) 및 제3 적재공간(153)에 적재하거나, 도 6(b)와 같이, 제2 적재공간(152) 및 제3 적재공간(153)에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도 6(c)와 같이 사용자는 세 개의 중량부재(300)를 모든 적재공간(151, 152, 153)에 채워 넣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무게중심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는, 적재공간(150)이 세 개로 분할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적재공간(150)은 두 개 또는 네 개 이상의 개수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는 전술한 실시예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되는 중량부재(300)를 포함하며, 중량부재(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중량부재 케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그립부(20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무게중심을 편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중량부재 케이스(400)는 중량부재(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량부재 삽입홀(410)이 형성될 수 있다. 중량부재 케이스(400)는 전체적인 외형이 원기둥형으로 구성되며, 원기둥의 높이 방향으로 내측에 중량부재 삽입홀(410)이 형성될 수 있다. 중량부재 삽입홀(410)은 중량부재(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량부재(300)가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며, 중량부재 삽입홀(410)은 중량부재(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중량부재 삽입홀(410)은 중량부재 케이스(400)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량부재 케이스(400)는 중량부재(300)보다 가벼운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량부재 케이스(400)에 중량부재(300)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경우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치우진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중량부재 케이스(400)에 하나의 중량부재(300)가 끼워지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중량부재 케이스(400)에 끼워지는 중량부재(300)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무게중심이 조절되는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중량부재 케이스(400)의 각도를 조절하여 무게중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부재(300)를 적재부(140)의 내면(142)에 배치하여 무게중심을 하측으로 치우치게 하거나, 또는 도 8(b)와 같이 중량부재(300)를 적재부(140)의 상부면보다 더 높게 배치하여 무게중심을 상측으로 치우친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중량부재(300)가 생략된 상태로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가 실시될 수 있다. 이처럼 중량부재(300)가 없는 경우에도 그립부(200)가 헤드부(120)에 연결되어 지지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1)의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그립부(200), 중량부재(300) 및 적재부(140)의 형상은 전체적인 외형이 원통형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외형을 갖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라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 따른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는 각 부품별로 분리배출이 가능하여 실제 폐기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재생 소재를 활용할 수 있어 탄소 배출량 감소에 기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중량을 사용자가 선택하고 무게중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110: 카트리지
120: 헤드부
130: 제1 연결부
131: 결합 홀
132: 제1 나사산
133: 제1 자석
140: 적재부
141: 가압부
150: 적재공간
151: 제1 적재공간
152: 제2 적재공간
153: 제3 적재공간
154: 개구
155: 격벽
156: 단부벽
200: 그립부
210: 제2 연결부
211: 결합 돌부
212: 걸림부
213: 경사면
214: 제2 나사산
215: 제2 자석
300: 중량부재
400: 중량부재 케이스
410: 중량부재 삽입홀

Claims (9)

  1. 일측에 카트리지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며 적재공간이 구비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중량부재; 및
    상기 중량부재가 적재된 상기 적재부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타측과 탈착가능하게 구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타측에 구비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 및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헤드부 측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연결부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결합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결합 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합 돌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부의 단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헤드부측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핸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중량부재가 상기 핸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적재공간에 적재될 수 있도록 측벽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적재부의 내주면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적재된 상기 중량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중량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핸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된 복수의 상기 적재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중량부재는 상기 적재공간 각각에 적재가능하게 구성되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상기 적재부 및 상기 그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생분해성(Biodegradable), 생붕괴성(Disintegrable), 광분해성(Photodegradable) 소재 및 재활용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KR1020220067756A 2022-06-02 2022-06-02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KR20230167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756A KR20230167641A (ko) 2022-06-02 2022-06-02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756A KR20230167641A (ko) 2022-06-02 2022-06-02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641A true KR20230167641A (ko) 2023-12-11

Family

ID=8916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756A KR20230167641A (ko) 2022-06-02 2022-06-02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76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681B1 (ko) 2000-10-26 2007-06-28 더 지렛트 캄파니 면도기 손잡이의 제조를 위한 다단계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681B1 (ko) 2000-10-26 2007-06-28 더 지렛트 캄파니 면도기 손잡이의 제조를 위한 다단계 성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44564B1 (en) Level with removable end cap
JP5079684B2 (ja) レザーカートリッジ用ディスペンサ
US11446837B2 (en) Razor
US7032274B2 (en) Fittings for use in files
KR20230167641A (ko)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US20160346941A1 (en) Knife assembly
JP3140607U (ja) 収納及び交換機能を持つ修正テープ
JP4542968B2 (ja) 替芯ケース
CN213734149U (zh) 一种把手式定位墨盒
JP7206149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2008174259A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KR200493812Y1 (ko) 탄성클립유닛을 구비한 서류보관파일
JP4345022B2 (ja) 多段式廃棄物収容容器
KR200388594Y1 (ko) 날클립 디스펜서가 설치된 호치키스
JP2000052680A (ja) 綴じ具
CN217256453U (zh) 一种防摔的剃须刀架
KR870003685Y1 (ko) 톱날을 결합 분리할 수 있는 톱
CN217049853U (zh) 缓冲件与可拆卸式装置
KR20050045051A (ko) 러기지 박스
JP4471530B2 (ja) ファイル用綴じ具の固定装置
KR200418326Y1 (ko) 착탈식 서류보관용 파일
KR880002164Y1 (ko) 스킬 자수용 바늘
KR200189201Y1 (ko) 인테리어상자(interior baskets)
KR970011366A (ko) 에어 클리너의 필터 교환 방법
KR200158875Y1 (ko) 분리재생이 가능케한 수도미터 케이스 뚜껑의 개량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