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169A - 인테리어 유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유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169A
KR20230167169A KR1020220065871A KR20220065871A KR20230167169A KR 20230167169 A KR20230167169 A KR 20230167169A KR 1020220065871 A KR1020220065871 A KR 1020220065871A KR 20220065871 A KR20220065871 A KR 20220065871A KR 20230167169 A KR20230167169 A KR 20230167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glass
cutting
functional
p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충현
Original Assignee
(주) 글라스닛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글라스닛시 filed Critical (주) 글라스닛시
Priority to KR1020220065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7169A/ko
Publication of KR20230167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07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glass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비용으로 다기능의 고급 인테리어 유리를 제조할 수 있는 인테리어 유리 제조방법 및 그 유리를 개시한다.
개시된 인테리어 유리 제조방법은, 베이스 판유리와 기능성 판유리를 준비하는 단계와, 디자인된 커팅 형상에 따라 베이스 판유리를 커팅하여 커팅 홀을 형성하고, 기능성 판유리를 상기 커팅 홀에 끼울 수 있게 커팅하는 단계와, 베이스 판유리의 커팅 테두리를 샌딩처리하는 단계와, 베이스 판유리의 커팅 테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커팅 홀에 기능성 판유리를 끼워 접합하는 단계와, 접착제를 자외선(UV)으로 경화시키는 단계와, 접착면을 알코올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테리어 유리 및 그 제조방법{Decorative glas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유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비용으로 다기능의 고급 인테리어 유리를 제조할 수 있는 인테리어 유리 제조방법 및 그 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Glass)는 규산염 유리, 붕규산 유리, 소다 유리 등 그 종류가 다양하며 보통은 석영, 탄산소다, 석회암 등을 원료로 하여 고온에서 융해시킨 후 냉각시킨 물질로서, 단단하고 잘 깨지며 투명한 성질을 갖고 있어 판유리를 비롯하여 각종 식품의 용기, 식기, 컵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리 제품들은 유리의 투명 특성 자체를 이용하는 경우도 많지만 최근에는 유리 원판을 2차 가공하여 인테리어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판유리 2차 가공을 통해 출시되고 있는 유리 제품들 중에는 판유리에 샌드블라스팅(sandblasting)이나 화학에칭방법, 실크스크린 인쇄방법 등으로 무늬를 입체적으로 형성한 제품이 있으며, 입체무늬를 형성한 판유리는 기존의 투명 창과는 또 다른 느낌의 심미감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장식용 유리패널은 상,하로 분리된 상태의 유리판재 사이에 다양한 인쇄무늬를 갖는 종이재 또는 필름지를 삽입 형성한 후, 유리판재와 종이재 또는 필름지를 접착 형성하는 형태로 제작되거나 금속기재가 갖는 특유의 질감이나 색감 등을 이용하고자 금속기재의 표면에 유리판재를 부착 형성하여 제조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에 등록번호 제10-0879141호로 공고된 "펄과 전사지를 이용한 장식 판유리 제조방법"은 유리판의 이면에 불빛에 반사되는 펄도료층과, 다양한 무늬의 전사무늬층과, 백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하여 장식 판유리를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등록번호 제10-1400118호로 공고된 "입체감을 갖는 장식 복층유리 제조방법"은 장식무늬판을 가공하여 장식문양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착제와 반짝이 조각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혼합물을 사용하여 장식문양에 연관된 보조문양을 제 1 판유리, 제 2 판유리,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용도와 취향에 따라 다양한 문양을 복층유리나 패널에 형성하는 것이다.
KR 10-1400118 B1 KR 10-0879141 B1
유리제품은 사용범위가 다양해짐에 따라 고급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창호유리 뿐만 아니라 장식적 효과를 높여주기 위한 유리공예와 같은 공예분야까지 그 이용범위가 확대되어 왔다. 예를 들어, 장식적 효과를 위주로 하는 유리제품으로는 광도와 휘도를 높여준 크리스탈 글라스(Crystal glass), 여러 가지 색상의 금속산화물로 그림을 그려 넣은 스테인드 글라스(Stained glass), 장식무늬가 들어있는 패턴글라스(Pattern glass), 망입 유리 등이 있다.
이러한 고급 유리제품들은 가격이 비싸고, 복층 형태로 제작할 경우에는 기포가 발생되어 시간이 지나면 불량품이 되거나 두께가 두꺼워 슬라이딩이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비용의 베이스 판유리를 타공한 후 고급 장식유리를 접합하여 저비용으로 다양한 기능의 고급 인테리어 유리를 제조할 수 있는 인테리어 유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테리어 유리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인테리어 유리 제조방법은, 베이스 판유리와 기능성 판유리를 준비하는 단계와, 디자인된 커팅 형상에 따라 베이스 판유리를 커팅하여 커팅 홀을 형성하고, 기능성 판유리를 상기 커팅 홀에 끼울 수 있게 커팅하는 단계와, 베이스 판유리의 커팅 테두리를 샌딩처리하는 단계와, 베이스 판유리의 커팅 테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커팅 홀에 기능성 판유리를 끼워 접합하는 단계와, 접착제를 자외선(UV)으로 경화시키는 단계와, 접착면을 알코올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판유리는 저가의 투명 판유리이고, 상기 기능성 판유리는 소정 문양이 형성된 고가의 장식 유리나 홀로그램 유리인 것이거나, 상기 베이스 판유리는 불투명 판유리이고, 상기 기능성 판유리는 투명 판유리의 투시창으로 이루어져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실시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인테리어 유리를 개시한다.
개시된 인테리어 유리는 소정 형상으로 커팅된 적어도 하나의 커팅 홀이 형성된 베이스 판유리와, 상기 커팅 홀에 끼움 결합되고 접착제에 의해 상기 베이스 판유리와 일체로 접합된 기능성 판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비용의 베이스 판유리를 타공한 후 고급 장식유리를 접합하여 저비용으로 다양한 기능의 고급 인테리어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판유리에 홀로그램 유리를 접합하여 특수기능을 부가할 수도 있고, 불투명 베이스 판유리에 투명 판유리로 투시창을 형성하여 찬장 등에 사용시 내부의 물건을 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팅 테두리를 샌딩처리하여 LED 조명 등에 의해 반사되어 상이 맺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공을 이용한 기능성 유리 제조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유리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인테리어 유리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홀로그램 유리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찬장용 유리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공을 이용한 기능성 유리 제조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유리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판유리와 기능성 판유리를 준비하는 단계(S1)와, 커팅형상 디자인 단계(S2), 판유리를 커팅하여 타공하는 단계(S3), 커팅 테두리를 샌딩처리하는 단계(S4), 테두리 접착제 도포단계(S5), 기능성 판유리 끼움 접합단계(S6), 접착제 경화 단계(S7), 접착면 세척 단계(S8)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 판유리(10)와 기능성 판유리(20)를 준비하는 단계(S1)에서는 커팅 홀(12)을 타공할 베이스 판유리(10)와, 커팅 홀(12)에 끼워 접합할 기능성 판유리(20)를 준비한다. 베이스 판유리(10)로는 저가의 투명 유리판을 사용하고 기능성 판유리(20)로 문양(22)이 있는 고급 장식유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저비용으로 고품질의 인테리어 유리를 제조할 수 있고, 베이스 판유리(10)로 불투명 유리판을 사용하고 기능성 판유리(20)로 투명 유리판을 사용할 경우에는 찬장 유리 등에서 내부를 볼 수 있는 투시창을 갖는 찬장용 유리를 제작할 수 있다.
커팅형상 디자인 단계(S2)에서는 베이스 판유리(10)에 형성할 커팅 홀의 형상을 디자인하여 베이스 판유리(10)와 기능성 판유리(20)에 커팅선을 표시한다. CNC 머신으로 커팅할 경우에는 커팅할 디자인 정보를 CNC 머신에 입력한다.
판유리를 커팅하여 타공하는 단계(S3)에서는 디자인된 커팅 형상에 따라 베이스 판유리(10)를 커팅하여 커팅 홀(12)을 형성하고, 기능성 판유리(20)를 커팅 홀(12)에 끼울 수 있게 커팅한다. 커팅 공정에는 CNC 머신을 이용할 수 있다.
커팅 테두리를 샌딩처리하는 단계(S4)에서는 베이스 판유리(10)의 커팅 테두리(14)를 샌딩(sanding)처리하여 LED 조명을 사용할 경우 접합면에 상이 맺힐 수 있게 한다.
테두리 접착제 도포단계(S5)에서는 베이스 판유리의 커팅 테두리(14)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접착제로는 자외선(UV)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기능 판유리 끼움 접합단계(S6)에서는 커팅 홀(12)에 커팅된 기능성 판유리(20)를 끼워 접합하고, 접착제 경화 단계(S7)에서는 접합면에 자외선을 투사하여 자외선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접착면 세척 단계(S8)에서는 접착 부위에서 도구를 사용하여 잔유물을 긁어 낸 후 알코올로 세척하여 인테리어 유리의 제작을 완료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인테리어 유리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a)는 베이스 판유리(10)에 꽃 문양(22)을 갖는 장식 유리(20)를 접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베이스 판유리(10)에 꽃 문양을 갖는 장식 유리(20)를 접합한 후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유리는 소정 형상으로 커팅된 적어도 하나의 커팅 홀(12)이 형성된 베이스 판유리(10)와, 커팅 홀(12)에 끼움 결합되고 접착제에 의해 베이스 판유리(10)와 일체로 접합된 기능성 판유리(2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유리는 투명 판유리(10)에 CNC 머신으로 커팅하여 커팅 홀(12)을 형성한 후 테두리(14)를 샌딩처리하고, 자외선 접착제를 테두리(14)에 도포한 후 문양(22)이 형성된 장식 유리(20)를 끼워 접합하고, 접합 부위를 자외선으로 경화시켜 제조한다. 경화 후에는 도구를 사용하여 접착 부위에서 잔유물을 긁어 낸 후 알코올로 깨끗이 세척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인테리어 유리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홀로그램 유리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찬장용 유리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베이스 판유리(10)로는 저가의 투명 판유리를 사용하고 기능성 판유리(20)로는 스테인드 글라스(Stained glass)를 사용한 인테리어 유리의 예이고, 도 4는 베이스 판유리(10)로는 저가의 투명 판유리를 사용하고 기능성 판유리(20)로는 홀로그램 유리를 사용한 인테리어 유리의 예이며, 도 5는 베이스 판유리(10)로는 불투명 판유리를 사용하고 기능성 판유리(20)로는 투명 판유리로 투시창을 형성하여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한 찬장용 인테리어 유리의 예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비용의 베이스 판유리(10)를 타공한 후 고급 장식유리를 접합하여 저비용으로 다양한 기능의 고급 인테리어 유리를 제조할 수 있고, 커팅 테두리(14)를 샌딩처리하여 LED 조명 등에 의해 반사되어 상이 맺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베이스 판유리 12: 커팅 홀
14: 커팅 테두리 20: 기능성 판유리
22: 장식 문양

Claims (5)

  1. 베이스 판유리와 기능성 판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디자인된 커팅 형상에 따라 베이스 판유리를 커팅하여 커팅 홀을 형성하고, 기능성 판유리를 상기 커팅 홀에 끼울 수 있게 커팅하는 단계;
    베이스 판유리의 커팅 테두리를 샌딩처리하는 단계;
    베이스 판유리의 커팅 테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커팅 홀에 기능성 판유리를 끼워 접합하는 단계; 및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유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유리는 저가의 투명 판유리이고, 상기 기능성 판유리는 소정 문양이 형성된 고가의 장식 유리나 홀로그램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유리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유리는 불투명 판유리이고, 상기 기능성 판유리는 투명 판유리의 투시창으로 이루어져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유리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으로 방법으로 제조된 인테리어 유리.
  5. 소정 형상으로 커팅된 적어도 하나의 커팅 홀이 형성된 베이스 판유리; 및
    상기 커팅 홀에 끼움 결합되고 접착제에 의해 상기 베이스 판유리와 일체로 접합된 기능성 판유리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유리.
KR1020220065871A 2022-05-30 2022-05-30 인테리어 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671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871A KR20230167169A (ko) 2022-05-30 2022-05-30 인테리어 유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871A KR20230167169A (ko) 2022-05-30 2022-05-30 인테리어 유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169A true KR20230167169A (ko) 2023-12-08

Family

ID=8916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871A KR20230167169A (ko) 2022-05-30 2022-05-30 인테리어 유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716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141B1 (ko) 2008-03-28 2009-01-19 (주)아진스크린 펄과 전사지를 이용한 장식 유리판의 제조 방법
KR101400118B1 (ko) 2013-12-20 2014-05-28 주식회사 씨쓰리 입체감을 갖는 장식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141B1 (ko) 2008-03-28 2009-01-19 (주)아진스크린 펄과 전사지를 이용한 장식 유리판의 제조 방법
KR101400118B1 (ko) 2013-12-20 2014-05-28 주식회사 씨쓰리 입체감을 갖는 장식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992B1 (ko) 자개무늬가 표출되는 크리스탈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2376939B1 (ko) 고선명 오프셋 인쇄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03276B1 (ko) 패턴이 형성된 장식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67169A (ko) 인테리어 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400118B1 (ko) 입체감을 갖는 장식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KR100256212B1 (ko) 장식용 유리패널 제조방법
KR101584282B1 (ko) 정교한 디자인 표현이 가능한 장식 복층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79546B1 (ko) 일측면에 장식분말이 피착된 장식문양이 음각 형성된유리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303092Y1 (ko) 부분 증착 또는 부분 홀로그램 합성수지 필름이 삽입된장식용 접합유리
KR102098707B1 (ko)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JPH06143529A (ja) 装飾表示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73471A (zh) 在水晶或光学玻璃的表面形成图案的方法
EP102800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irror with a decoration and/or image
EP1365931B2 (en) A method of producing a window or mirror having a decorative pattern
JP3640353B2 (ja) ネームプレート
KR101189813B1 (ko) 조립형 장식무늬판이 구비된 복층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912345A (ja) 色付きスタッフドガラスおよび方法
KR102033736B1 (ko) 무늬화 또는 칼라화된 유리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992691B1 (ko) 배면 인쇄기법을 이용한 자개무늬 형성방법
JP2002207445A (ja) 透光式表示パネル
CN201023392Y (zh) 一种具有图像的水晶玻璃饰品
KR200336306Y1 (ko)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KR101518705B1 (ko)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무늬판에 표면가공 문양이 접목된 장식유리
KR100514219B1 (ko)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KR20230169503A (ko) 스모그 컬러 및 밀키/화이트 색상이 구현된 입체효과의 pcpmma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