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325A - 차양막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차양막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325A
KR20230166325A KR1020220066148A KR20220066148A KR20230166325A KR 20230166325 A KR20230166325 A KR 20230166325A KR 1020220066148 A KR1020220066148 A KR 1020220066148A KR 20220066148 A KR20220066148 A KR 20220066148A KR 20230166325 A KR20230166325 A KR 20230166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rtical pole
support bar
coupled
sun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틸데코
김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틸데코, 김동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틸데코
Priority to KR1020220066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325A/ko
Priority to US18/202,264 priority patent/US20230383568A1/en
Publication of KR20230166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22Stre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04H15/40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flex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막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트렁크 또는 적재함에 구비되어 차양막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차양막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는 차량의 적재함 또는 트렁크에 차양막을 지지할 수 있는 수직폴대를 접이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간편하고 신속하게 차양막을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디자인의 차양막을 사용자가 선택 및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양막 지지장치{Awning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차양막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양막을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차양막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양막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어닝장치는 건물의 출입구나 창문 등의 외벽에 설치되어 차양막 또는 그늘막 등을 통해 햇빛을 차단하여 건물 내부로 햇빛의 유입을 막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어닝장치는 주로 건물의 외벽에 주로 많이 설치하여 사용하지만, 최근 캠핑을 즐기기 위한 캠핑카 뿐만 아니라 승합차나 승용차의 루프에도 많이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캠핑시 그늘을 확보하기 위한 차양막을 신속 편리하게 설치하기 위해 차량의 루프에 어닝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의 주변에 그늘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의 차량용 어닝장치는 차량의 루프나 루프에 구비된 루프랙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프레임 내부에 권취되는 차양막과, 차양막의 단부에 설치되어 차양막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수직폴대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차량용 어닝 장치의 프레임은 최대한 넓은 그늘 공간의 확보를 위해 너비가 상대적으로 더 큰 차양막을 설치함으로써 상당히 긴 길이를 가지며, 무게도 무거우며, 무엇보다 어닝 장치가 차량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전체적인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어닝 장치는 차양막이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어 프레임에 권취되어 있는 전용의 차양막만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94358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7945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9980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7295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적재함 또는 트렁크 등에 차양막을 지지할 수 있는 수직폴대를 세우거나 눕힐 수 있게 접이식으로 장착함으로써 간편하고 신속하게 차양막을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차양막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디자인의 차양막을 사용자가 선택 및 교체할 수 있는 차양막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는 수직폴대와; 상기 수직폴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수직폴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직폴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어 차양막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수평지지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는 일 측이 상기 수직폴대 측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지지바의 단부 측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폴대에 대해 상기 지지바를 지탱하는 지탱유닛;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지지바 상측의 상기 수직폴대에 일 단이 결합되거나 지지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는 버팀로드 또는 인장로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지지바 하측의 상기 수직폴대에 일 단이 결합되거나 지지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는 받침로드와, 상기 지지바 상측의 상기 수직폴대에 일 단이 결합되거나 지지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는 버팀로드 또는 인장로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지지바 상측의 상기 수직폴대에 일 단이 연결되거나 지지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바에 연결되는 상부인장로프와, 상기 지지바 하측의 상기 수직폴대에 일 단이 연결되거나 지지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바에 연결되는 하부인장로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상기 인장로프는 상기 지지바의 회전 각도를 증가시킬수록 상기 인장로프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증가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인장로프에 연결되어 상기 인장로프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인장력조절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상기 지탱유닛은 일 단이 상기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에 대해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형성된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단부에 일 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에 대해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형성되고 타 단이 상기 수직폴대에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상기 지탱유닛은 일 단이 상기 수직폴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직폴대에 대해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형성된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단부에 일 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에 대해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형성되고 타 단이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메인홀더 상측의 상기 수직폴대 또는 상기 메인홀더 하측의 상기 수직폴대 또는 상기 메인홀더의 상측 및 하측의 상기 수직폴대에 상기 수직폴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홀더와, 상기 보조홀더에 일 단이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는 지지로드와, 상기 수직폴대에 대한 상기 보조홀더의 위치를 조절 및 고정하기 위한 높이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메인홀더 상측의 상기 수직폴대에 설치되거나 상기 메인홀더 상측 및 하측의 상기 수직폴대에 각각 설치되는 보조홀더와, 상기 보조홀더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바에 연결되는 지지로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메인홀더 상측의 상기 수직폴대에 설치되거나 상기 메인홀더 상측 및 하측의 상기 수직폴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수직폴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홀더와, 상기 보조홀더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바에 연결되는 지지로프와, 상기 수직폴대에 대한 상기 보조홀더의 위치를 조절 및 고정하기 위한 높이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상기 지탱유닛은 일 단이 상기 지지바의 단부 측에 연결되는 제1견인줄과, 상기 메인홀더의 상측의 상기 수직폴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견인줄을 권취하는 상부권취부와, 일 단이 상기 지지바의 단부 측에 연결되는 제2견인줄과, 상기 메인홀더의 하측의 상기 수직폴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견인줄을 권취하는 하부권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제1견인줄과 상기 제2견인줄이 각각 상기 상부권취부와 상기 하부권취부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권취부와 상기 하부권취부에 구비된 회전차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상기 메인홀더는 상기 지지바를 상기 수직폴대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및 상기 지지바의 회전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는 수직폴대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평지지유닛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여러 각도로 펼친 후 사용할 수 있어 차양막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는 차량의 적재함 또는 트렁크에 차양막을 지지할 수 있는 수직폴대를 접이식으로 구성할 수 있어 간편하고 신속하게 차양막을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메인홀더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수평지지유닛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여러 실실 예에 따른 지탱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회전차단부를 나타낸 도면.
도 18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1)는 수직지지유닛(100)과, 수평지지유닛(200)을 구비한다.
수직지지유닛(100)은 한 쌍으로 구성된다.
수직지지유닛(100)은 수직폴대(110)와, 복수의 연장폴대(120)를 포함한다.
수직폴대(110)는 지면이나 설치대상면에 세울 수 있도록 일정 두께를 갖고, 내부가 빈 원형 파이프 구조를 가진다.
연장폴대(120)는 수직폴대(110)를 지면이나 설치대상면으로부터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키도록 수직폴대(110) 하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수직폴대(110) 하단에 상단을 끼울수 있게 형성되고, 상호간 상하로 끼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연장폴대(120)는 통상의 천막이나 타프 등에 사용되는 폴대를 적용할 수 있다.
수직폴대(110)와 연장폴대(120)는 낚시대와 같이 꽂기 방식으로 구성하여 길이를 연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수직폴대(110)는 차량의 트렁크 또는 적재함 바닥과 나란하게 눕히거나 바닥으로부터 세워 기립시킬 수 있도록 차량의 트렁크 또는 적재함 바닥에 설치된 회전브라켓에 하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회전브라켓과 수직폴대(110)는 적재함 또는 트렁크의 바닥에 하방으로 인입된 인입홈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직폴대(110)를 바닥 측으로 접을 시 적재함 또는 트렁크에 화물이나 물건을 적재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직폴대(110)는 회전브라켓에 의해 상하로 회전 동작이 가능하며, 세워진 상태 즉, 기립된 상태에서 기립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브라켓 및 수직폴대(110)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핀부재를 이용하여 수직폴대(110)를 기립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수평지지유닛(200)은 수직지지유닛(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직폴대(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수직폴대(110)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어 차양막(5)이 쳐지지 않도록 차양막(5) 하부에서 지지한다.
수평지지유닛(200)은 수직폴대(110)에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으나, 수직폴대(110)에 복수의 수평지지유닛(20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수평지지유닛(200)을 수직폴대(110)에 복수 설치하는 경우 수직폴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지지유닛(200)들을 상하로 적층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수평지지유닛(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홀더(210)와, 지지바(2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메인홀더(210)는 수직폴대(110)를 감싸고 메인홀더(210)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복수가 수직폴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메인홀더(210)는 수직폴대(110)의 직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져 수직폴대(110)를 끼울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메인홀더(210)의 일 측에는 지지바(250)를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장착돌기부가 형성된다. 장착돌기부에는 지지바(250)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메인홀더는 생략될 수 있고, 수직폴대를 지지바를 관통시킬 수 있을 정도로 지지바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지지바를 수직폴대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지지바(250)는 메인홀더(210) 각각에 일 단이 결합되고, 타 단은 메인홀더(210)로부터 방사상으로 멀어지게 연장된다. 지지바(2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홀더(210)의 일 측에 구비된 장착돌기부에 끼우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메인홀더(210)에 대해 탈착 가능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으나, 지지바(250)를 메인홀더(210)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 또한 적용 가능하다. 지지바(250)를 메인홀더(210)에 끼우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의 지지바(250)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지지바(250)의 단부에는 차양막(5)에 대한 손상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의 손상방지캡(2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손상방지캡(260)은 지지바(25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지지바(250)와 손상방지캡(260)을 별도로 구성하고, 손상방지캡(260)의 일 측에 구멍을 형성하여 지지바(250)를 끼울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지지바(250)는 휘어짐이 없게 딱딱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전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거나 플렉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홀더(210)는 지지바(250)를 수직폴대(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메인홀더(210)는 지지바(250)를 수직폴대(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킨 후에 지지바(250)의 회전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메인홀더(210)는 상부커플러(220)와 하부커플러(2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부커플러(220)는 몸체(221)와, 압착리브(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221)는 수직폴대(110)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몸체가 수직폴대(110)를 따라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관통홀의 내경을 수직폴대(11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할 수도 있고, 외력을 가해 몸체를 억지로 수직폴대(110)를 따라 상하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관통홀의 내경을 수직폴대(11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압착리브(222)는 몸체(22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몸체(2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콜릿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압착리브(222)의 외주면에는 나사부(223)가 형성된다. 압착리브(222)는 후술하는 하부커플러(230)와 나사 결합시 내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압착리브는 몸체가 수직폴대(110)를 따라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압착리브의 내주면이 수직폴대(110)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수직폴대(110)의 외주면을 어느 정도 압박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압착리브의 내경을 수직폴대(110)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할 수 있다.
하부커플러(230)는 수직폴대(110)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관통홀의 내주면에 압착리브(2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233)가 형성된다.
상부커플러(220)의 압착리브(222)와 하부커플러(230)를 나사 결합시킬 시, 압착리브(222)의 내경이 축소되면서 압착리브(222)의 내주면이 수직폴대(110)의 외주면에 강하게 밀착되면서 메인홀더(210)가 수직폴대(110)를 따라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수직폴대(110)의 일정 높이에 메인홀더(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압착리브(222)의 내주면에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된 밀착패드를 구비함으로써 수직폴대(110)의 외주면에 대한 밀착력 및 마찰력을 증가시켜 메인홀더(210)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는 지탱유닛(400)을 구비할 수 있다.
지탱유닛(400)은 일 측이 수직폴대(110) 측에 결합되고, 타 측은 지지바(250)의 단부 측에 결합되어 수직폴대(110)에 대해 지지바(250)를 지탱한다. 지탱유닛(400)은 지지바(25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지지바(250)가 상부로 휘어지거나 하방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및 도 5에는 지탱유닛(400)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탱유닛(400)은 메인홀더(210) 하측에 설치되어 지지바(250)를 지지하는 하부보조홀더(410)와, 하부지지로드(420)를 포함한다.
하부보조홀더(410)는 메인홀더(210) 하측의 수직폴대(110)에 수직폴대(110)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일 측에 후술하는 하부지지로드(420)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볼조인트부(411)가 형성된다.
하부보조홀더(410)와 후술하는 상부보조홀더(430)은 각각 수직폴대(11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으며, 앞서 설명한 메인홀더와 같이 상부커플러와 하부커플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고 회전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하부지지로드(420)는 하부보조홀더(410)에 구비된 볼조인트부(411)에 하단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지지바(250)의 일 측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브라켓(2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보조홀더(410) 측에 결합되는 하부지지로드(420)의 하단에는 구형의 볼부재(4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볼부재는 볼조인트부(411)에 구속된 상태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어느 정도 회전 가능하도록 볼조인트부(411)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지탱유닛(400)은 하부지지로드(420)의 하단이 메인홀더(210) 하부의 하부보조홀더(410)에 결합되고 하부지지로드(420)의 상단이 지지바(250)에 결합되어 지지바(250)에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 및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탱유닛(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폴대(110)에 복수의 수평지지유닛(200)을 설치하는 경우, 복수의 하부지지로드(4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하부지지로드(420)를 각 수평지지유닛(200)의 지지바(250)에 결합시켜 지지바(250)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보조홀더(410)에는 각 하부지지로드(420)의 볼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볼조인트부(411)가 형성된다.
한편, 지탱유닛(4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홀더(210) 상측에 설치되어 지지바(250)를 지탱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지탱유닛(400)은 메인홀더(210) 상측에 설치되어 지지바(250)를 지지하는 상부보조홀더(430)와, 상부지지로드(440)를 포함한다.
상부보조홀더(430)는 메인홀더(210) 상측의 수직폴대(110)에 수직폴대(110)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일 측에 후술하는 상부지지로드(440)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볼조인트부(431)가 형성된다.
상부지지로드(440)는 상부보조홀더(430)에 구비된 볼조인트부(431)에 상단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지지바(250)의 일 측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브라켓(2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보조홀더(430) 측에 결합되는 상부지지로드(440)의 상단에는 구형의 볼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볼부재는 볼조인트부(431)에 구속된 상태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어느 정도 회전 가능하도록 볼조인트부(431)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지탱유닛(400)은 상부지지로드(440)의 상단이 메인홀더(210) 상부의 상부보조홀더(430)에 결합되고 상부지지로드(440)의 하단이 지지바(250)에 결합되어 지지바(250)에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 및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탱유닛(4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폴대(110)에 복수의 수평지지유닛(200)을 설치하는 경우, 복수의 상부지지로드(4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부지지로드(440)를 각각 지지바(250)에 결합시켜 각 수평지지유닛(200)의 지지바(2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보조홀더(430)에는 각 상부지지로드(440)의 볼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볼조인트부(431)가 형성된다.
또한, 지탱유닛(4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홀더(210)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지지바(250)를 지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지탱유닛(400)은 메인홀더(210) 하측에 설치되어 지지바(250)를 지지하는 하부보조홀더(410) 및 하부지지로드(420)와, 메인홀더(210) 상측에 설치되어 지지바(250)를 지지하는 상부보조홀더(430) 및 상부지지로드(440)를 포함한다.
도 9의 하부보조홀더(410) 및 하부지지로드(42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지탱유닛(400)과 동일한 구성을 적용하였고, 상부보조홀더(430) 및 상부지지로드(440)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지탱유닛(400)과 동일한 구성을 적용하였다.
도 10에는 지탱유닛(400)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를 참조하면, 지탱유닛(400)은 하부보조홀더(410)와, 하부지지로드(420)와, 하부높이조절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보조홀더(410)는 메인홀더(210) 하측의 수직폴대(110)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수직폴대(110)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보조홀더(410)는 일 측에 후술하는 하부지지로드(420)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볼조인트부(411)가 형성된다.
하부지지로드(420)는 하부보조홀더(410)에 구비된 볼조인트부(431)에 하단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지지바(250)의 일 측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브라켓(2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높이조절부(450)는 수직폴대(110)에 대한 하부보조홀더(410)의 위치 즉, 하부보조홀더(410)의 높이를 조절 및 고정시킨다.
하부높이조절부(450)는 하부나사부(451)와, 한 쌍의 하부회전링(45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하부나사부(451)는 메인홀더(210) 하방의 하부보조홀더(410)가 위치하는 수직폴대(110)에 일정 범위에 형성된다.
하부회전링(452)은 하부보조홀더(4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쌍이 구비된다. 하부회전링(452)은 수직폴대(110)가 관통할 수 있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통과홀의 내주면에는 하부나사부(451)와 나사결합가능한 결합나사부가 형성된다.
하부보조홀더(410) 상측의 하부회전링(452)을 수직폴대(110)를 중심으로 일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회전링(452)이 수직폴대(110)를 따라 하강하면서 하부보조홀더(41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며, 이때 하부보조홀더(410)에 하단이 결합된 하부지지로드(420)를 하방으로 잡아당겨 지지바(250)를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하부보조홀더(410) 하측의 하부회전링(452)을 수직폴대(110)를 중심으로 일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회전링(452)이 수직폴대(110)를 따라 상승하면서 하부보조홀더(4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며, 이때 하부보조홀더(410)에 하단이 결합된 하부지지로드(420)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지지바(250)를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하부보조홀더(410) 상측 및 하측의 하부회전링(452)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지탱유닛(400)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를 참조하면, 지탱유닛(400)은 상부보조홀더(430)와, 상부지지로드(440)와, 상부높이조절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보조홀더(430)는 메인홀더(210) 상측의 수직폴대(110)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수직폴대(110)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보조홀더(430)는 일 측에 후술하는 상부지지로드(440)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볼조인트부(431)가 형성된다.
상부지지로드(440)는 상부보조홀더(430)에 구비된 볼조인트부(431)에 상단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지지바(250)의 일 측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브라켓(2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높이조절부(460)는 수직폴대(110)에 대한 상부보조홀더(430)의 위치 즉, 상부보조홀더(430)의 높이를 조절 및 고정시킨다.
상부높이조절부(460)는 상부나사부(461)와, 한 쌍의 상부회전링(46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부나사부(461)는 메인홀더(210) 상방의 상부보조홀더(430)가 위치하는 수직폴대(110)에 일정 범위에 형성된다.
상부회전링(462)은 상부보조홀더(4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쌍이 구비된다. 상부회전링(462)은 수직폴대(110)가 관통할 수 있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통과홀의 내주면에는 상부나사부(461)와 나사결합가능한 결합나사부가 형성된다.
상부보조홀더(430) 상측의 상부회전링(462)을 수직폴대(110)를 중심으로 일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회전링(462)이 수직폴대(110)를 따라 하강하면서 상부보조홀더(43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며, 이때 상부보조홀더(430)에 상단이 결합된 상부지지로드(440)를 하방으로 밀어내려 지지바(250)를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부보조홀더(430) 하측의 상부회전링(462)을 수직폴대(110)를 중심으로 일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회전링(462)이 수직폴대(110)를 따라 상승하면서 상부보조홀더(43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며, 이때 상부보조홀더(430)에 상단이 결합된 상부지지로드(440)를 상방으로 끌어올려 지지바(250)를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부보조홀더(430) 상측 및 하측의 상부회전링(462)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2에는 지탱유닛(400)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탱유닛(400)은 하부보조홀더(410)와, 하부지지로드(420)와, 하부높이조절부(450)와, 상부보조홀더(430)와, 상부지지로드(440)와, 상부높이조절부(46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지탱유닛(400)의 하부보조홀더(410)와, 하부지지로드(420)와, 하부높이조절부(450)는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 지탱유닛(400)의 구성과 동일한 것을 적용하였고, 상부보조홀더(430)와, 상부지지로드(440)와, 상부높이조절부(460)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지탱유닛(400)의 구성과 동일한 것을 적용하였다.
지탱유닛(400)은 지지바(250)를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밀어올리거나 끌어올림으로써 지지바(250)를 상방으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 및 지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바(250)를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밀어내리거나 끌어내림으로써 지지바(250)를 하방으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 및 지탱할 수 있다.
한편, 지탱유닛(4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보조홀더(430)와 상부지지로프(47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부보조홀더(430)는 메인홀더(210) 상측의 수직폴대(110)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일 측에 후술하는 상부지지로프(470)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고리부가 형성된다.
상부지지로프(470)는 메인홀더(210)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보조홀더(430)의 연결고리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지지바(250)의 결합된 연결브라켓(270)에 연결되어 수직폴대(110)에 대해 지지바(250)를 지탱한다.
또한, 지탱유닛(4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높이조절부(4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부높이조절부(460)는 수직폴대(110)에 대한 상부보조홀더(430)의 위치 즉, 상부보조홀더(430)의 높이를 조절 및 고정시킨다.
상부높이조절부(460)는 상부나사부(461)와, 한 쌍의 상부회전링(46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부나사부(461)는 메인홀더(210) 상방의 상부보조홀더(430)가 위치하는 수직폴대(110)에 일정 범위에 형성된다.
상부회전링(462)은 수직폴대(110)가 관통할 수 있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통과홀의 내주면에는 상부나사부(461)와 나사결합가능한 결합나사부가 형성된다.
상부보조홀더(430) 하측의 상부회전링(462)을 수직폴대(110)를 중심으로 일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회전링(462)이 수직폴대(110)를 따라 상승하면서 상부보조홀더(43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며, 이때 상부보조홀더(430)에 일 단이 결합된 상부지지로프(470)를 상방으로 끌어올려 지지바(250)를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지탱유닛(40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보조홀더(430), 상부지지로프(470), 상부높이조절부(460), 하부보조홀더(410), 하부지지로프(480), 하부높이조절부(4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보조홀더(430)는 메인홀더(210) 상측의 수직폴대(110)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일 측에 후술하는 지지로프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고리부가 형성된다.
상부지지로프(470)는 메인홀더(210)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보조홀더(430)의 연결고리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지지바(250)의 결합된 연결브라켓(270)에 연결되어 수직폴대(110)에 대해 지지바(250)를 잡아당겨 지탱한다.
상부높이조절부(460)는 수직폴대(110)에 대한 상부보조홀더(430)의 위치 즉, 상부보조홀더(430)의 높이를 조절 및 고정시킨다.
상부높이조절부(460)는 상부나사부(461)와, 상부회전링(46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부나사부(461)는 메인홀더(210) 상방의 상부보조홀더(430)가 위치하는 수직폴대(110)에 일정 범위에 형성된다.
상부회전링(462)은 메인홀더(210)와 상부보조홀더(430) 사이에 설치되고, 수직폴대(110)가 관통할 수 있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통과홀의 내주면에는 상부나사부(461)와 나사결합가능한 결합나사부가 형성된다.
상부보조홀더(430) 상측의 상부회전링(462)을 수직폴대(110)를 중심으로 일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회전링(462)이 수직폴대(110)를 따라 상승하면서 상부보조홀더(43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며, 이때 상부보조홀더(430)에 일 단이 결합된 상부지지로프(470)를 상방으로 끌어올려 지지바(250)를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다.
하부보조홀더(410)는 메인홀더(210) 하측의 수직폴대(110)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일 측에 후술하는 하부지지로프(480)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고리부가 형성된다.
하부지지로프(480)는 메인홀더(210)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보조홀더(410)의 연결고리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지지바(250)의 결합된 연결브라켓(270)에 연결되어 수직폴대(110)에 대해 지지바(250)를 잡아당겨 지탱한다.
하부높이조절부(450)는 수직폴대(110)에 대한 하부보조홀더(410)의 위치 즉, 하부보조홀더(410)의 높이를 조절 및 고정시킨다.
하부높이조절부(450)는 하부나사부(451)와, 하부회전링(45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하부나사부(451)는 메인홀더(210) 하방의 하부보조홀더(410)가 위치하는 수직폴대(110)에 일정 범위에 형성된다.
히부회전링은 메인홀더(210)와 하부보조홀더(410) 사이의 수직폴대(110)에 설치되고, 수직폴대(110)가 관통할 수 있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통과홀의 내주면에는 하부나사부(451)와 나사결합가능한 결합나사부가 형성된다.
하부보조홀더(410) 상측의 하부회전링(452)을 수직폴대(110)를 중심으로 일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회전링(452)이 수직폴대(110)를 따라 하승하면서 하부보조홀더(41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며, 이때 하부보조홀더(410)에 일 단이 결합된 하부지지로프(480)를 하방으로 끌어내려 지지바(250)를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다.
도 16에는 지탱유닛(400)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지탱유닛(400)은 제1견인줄(310)과, 상부권취부(320)와, 제2견인줄(330)과, 하부권취부(3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견인줄(310)은 지지바(250)의 단부 측에 지지바(250)를 감싸도록 결합된 연결부재(270)의 제1고리부(271)에 일단이 연결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제1견인줄(310)은 타 단이 후술하는 상부권취부(320)에 권취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권취부(320)는 제1견인줄(310)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메인홀더(210)의 상측의 수직폴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권취부(320)를 회전시켜 제1견인줄(310)을 상부권취부(320)에 권취할 시 제1견인줄(310)이 당겨지면서 지지바(250)의 단부 측을 상방으로 휘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제2견인줄(330)은 하부권취부(340)로부터 일정 길이 풀어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권취부(320)에 감긴 제1견인줄(310)을 풀어주면 지지바(250)의 탄력에 의해 지지바(250)가 원래의 상태인 직선 형상으로 펼쳐진다.
제2견인줄(330)은 지지바(250)의 단부 측에 지지바(250)를 감싸도록 결합된 연결부재(270)의 제2고리부(272)에 일 단이 연결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제2견인줄(330)은 타 단이 후술하는 상부권취부(320)에 권취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견인줄(310)과 제2견인줄(330)은 통상의 캠핑용 로프 또는 스트링을 적용할 수 있다.
하부권취부(340)는 제2견인줄(330)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메인홀더(210)의 하측의 수직폴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권취부(340)를 회전시켜 제2견인줄(330)을 하부권취부(340)에 권취할 시 제2견인줄(330)이 당겨지면서 지지바(250)의 단부 측을 하방으로 휘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제1견인줄(310)은 상부권취부(320)로부터 일정 길이 풀어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권취부(340)에 감긴 제2견인줄(330)을 풀어주면 지지바(250)의 탄력에 의해 지지바(250)가 원래의 상태인 직선 형상으로 펼쳐진다.
지탱유닛(400)은 지지바(250)의 탄력에 의해 제1견인줄(310)과 제2견인줄(330)이 상부권취부(320)와 하부권취부(340)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권취부(320)와 하부권취부(340) 각각에 회전차단부가 더 구비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회전차단부는 제1차단부와 제2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차단부는 메인홀더(210) 상측의 수직폴대(110) 일 측에 돌출된 제1걸림돌기(361)와, 상부권취부(3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슬롯(36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걸림돌기(361)는 수직폴대(110)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두께를 갖고 수직폴대(1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가진다. 제1걸림돌기(361)의 하단에는 제1걸림돌기(361)와 대응되는 길이로 돌출되고 수직폴대(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부권취부(32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제1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슬롯(362)은 상부권취부(320)의 내주면으로부터 인입되고, 상부권취부(3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슬롯(362)은 상부권취부(320)의 상단과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차단부는 메인홀더(210) 하축의 수직폴대(110) 일 측에 돌출된 제2걸림돌기(371)와, 하부권취부(3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슬롯(37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2걸림돌기(371)는 수직폴대(110)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두께를 갖고, 수직폴대(1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가진다. 제2걸림돌기(371)의 상단에는 제2걸림돌기(371)와 대응되는 길이로 돌출되고 수직폴대(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하부권취부(340)가 수직폴대(110)를 따라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제2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슬롯(372)은 하부권취부(340)의 내주면으로부터 인입되고, 하부권취부(3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슬롯(372)은 하부권취부(340)의 상단과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1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탱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지탱유닛은 받침로드(510)와, 인장로프(5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받침로드(510)는 지지바(250)가 차양막의 무게 또는 풍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휘거나 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바(250)를 하방에서 지탱하는 것으로서, 메인홀더(210) 하측의 수직폴대(110)에 결합된 하부보조홀더(410)에 일 단이 결합 또는 연결 또는 지지되고, 타 단은 지지바(250)에 결합 또는 연결 또는 지지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받침로드(510)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하부지지로드(420)와 동일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인장로프(520)는 지지바(250)가 차양막의 무게 또는 풍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휘거나 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바(250)를 상방에서 지탱하는 것으로서, 메인홀더(210) 상측의 수직폴대(110)에 마련된 통과구멍을 통해 수직폴대 내부로 진입되어 수직폴대에 결합되고, 타 단은 지지바(250)에 결합 또는 연결 또는 지지된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인장로프(5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폴대에 설치된 상부보조홀더(430)에 일 단이 결합 또는 연결 또는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장로프(52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상부인장로프(470)와 동일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인장로프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상부지지로드(440)로 대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9 및 도 20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탱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지탱유닛은 받침로드와 인장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실시 예에 따른 받침로드는 도 18을 참고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수직폴대(10)에는 3개의 수평지지유닛이 상하로 인접되게 설치된 것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인장로프도 지지바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된다.
인장로프는 일 단이 각 수평지지유닛의 지지바에 구비된 브라켓에 각각 연결되고, 타 단이 메인홀더 상측의 수직폴대에 마련된 통과구멍을 통과하여 수직폴대 내부에 고정된다.
인장로프는 지지바들이 회전 각도를 증가시킬수록 인장로프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증가하도록 설치된다.
수직폴대에는 제1지지바(251) 내지 제3지지바(253)가 구비되고, 제1지지바(251) 내지 제3지지바(253)에는 제1인장로프(521) 내지 제3인장로프(523)가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일 실시 예로 제1지지바(251)는 초기위치로부터 90°만큼 회전시키고, 제2지지바(252)는 초기위치로부터 180°만큼 회전시키고, 제3지지바(253)는 초기위치로부터 270°만큼 회전시키는 것을 적용하였따.
제1지지바(251) 내지 제3지지바(253)를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시키면,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각도에 따라 제1지지바(251) 내지 제3지지바(253)에 연결된 제1인장로프(521) 내지 제3인장로프(523)에 작용하는 장력이 달라진다.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장 큰 각도로 회전된 제3지지바(253)에 연결된 제3인장로프(523)가 수직폴대(110)를 따라 감겨지는 부분이 가장 길어 가장 큰 장력이 작용하고, 가장 작은 각도로 회전된 제1지지바(251)에 연결된 제1인장로프(521)가 수직폴대(110)를 따라 감겨지는 부분이 가장 짧아 가장 작은 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지지바(251, 252, 253)들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추가적인 스트링을 이용하여 지지바들을 당긴 상태로 고정하면 지지바들을 지탱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부가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각 지지바(251, 252, 253)에 연결되는 인장로프(521, 522, 523)의 길이는 수직폴대 측에 고정된 부분부터 각 지지바(251, 252, 253)에 연결되는 지점까지의 길이가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지지바(251, 252, 253)의 회전 각도 차이에 따라 수직폴대(110)에 감져지는 길이 차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인장로프(521, 522, 523)는 탄성이 없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적용할 수도 있으나, 지지바(251, 252, 253)을 초기의 상태로 자동 복귀시킬 수 있게 탄성을 가지도록 신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탱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지탱유닛은 받침로드(513)와, 인장로프(5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인장로프(520)는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바(257)에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깊이 인입되어 후술하는 받침로드(513)를 내측에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는 수납홈(258)이 형성된다. 지지바(257)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수납홈(258)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도록 사각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받침로드(513)는 메인홀더(210) 하측의 수직폴대(110)에 결합된 하부보조홀더(410)에 일 단이 지지되고, 타 단은 지지바(5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받침로드(513)는 길이 중심 부분을 접거나 펼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평상시 접어 지지바(257)의 수납홈(258)에 수납되고, 사용시 지지바(257)로부터 회전 및 펼쳐져 지지바(257)를 지탱한다.
더욱 상세하게 받침로드(513)는 제1링크부재(511)와, 제2링크부재(51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링크부재(511)는 일 단이 지지바(5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바(513)에 대해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링크부재(512)는 제1링크부재(511)의 단부에 일 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링크부재(511)에 대해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형성되고 타 단이 수직폴대(110) 측에 결합되거나 지지된다.
제1링크부재(511)는 수납홈(258)에 수납될 수 있게 형성되고, 일 단이 지지바(257)의 자유단 측을 향하는 수납홈(258)의 단부 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링크부재(511)의 일 측에는 내측으로 인입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2링크부재(51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마련된다. 제1링크부재(511)는 평상시 지지바(257)의 수납홈(258)으로 진입되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가 힘을 가해 인출을 시도할 경우에만 지지바(257)의 수납홈(258)으로부터 인출되어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링크부재(512)는 제1링크부재(511)의 수용홈에 진입되거나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링크부재(512)는 일 단이 메인홀더(210) 측을 향하는 제1링크부재(511)의 타 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링크부재(512)는 제1링크부재(511)로부터 펼쳐질 시 그 단부가 수직폴대(110) 측에 결합된 하부보조홀더(410) 측에 안착 및 거치된다. 하부보조홀더(410)에는 제2링크부재(512)의 단부를 미끄러지지 않게 안정적으로 안착 및 거치시킬 수 있는 안착홈 또는 거치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링크부재(511)에 형성된 수용홈은 지지바(258)에 형성된 수납홈과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링크부재(512)는 평상시 제1링크부재(511)의 수용홈으로 진입되어 있는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사용자가 힘을 가해 인출을 시도할 시에만 제1링크부재(511)로부터 인출 및 회전되면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에서는 지탱유닛의 받침로드를 지지바의 하부에 설치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받침로드를 지지바의 상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받침로드의 일 단은 지지바 상측의 수직폴대 측에 일 단이 결합되고 타 단은 지지바에 결합되어 지지바를 지탱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탱유닛의 받침로드는 일 단이 지지바 상측 또는 하측의 수직폴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폴대에 대해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형성된 제1링크부재와, 제1링크부재의 단부에 일 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링크부재에 대해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형성되고 타 단이 지지바에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받침로드는 일 단이 수직폴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폴대에 대해 접거나 펼칠 수 있게 구성되고 타 단은 지지대에 결합되어 지지바를 지탱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의 지탱유닛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로프에 연결되어 인장로프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인장력조절부를 더 구비한다.
인장력조절부는 인장로프(520)를 잡아당겨 인장로프(520)에 장력을 가해 인장로프(520)를 통해 지지바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수평지지유닛 상방의 수직폴대(110)에는 인장로프(520)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구멍이 형성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인장로프(520)는 메인홀더(110) 상측의 수직폴대(110)에 형성된 통과구멍을 통과하여 수직폴대(110) 내부를 따라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인장로프(520)의 하단은 메인홀더(210)보다 낮은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연장된다.
그리고, 인장로프(520)의 단부에는 인장로프에 인장력을 가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인장력조절부가 구비된다.
인장력조절부는 잠금홀(531)과, 잠금레버(532)를 포함하여 구성할수 있다.
잠금홀(531)은 메인홀더(210) 하방의 수직폴대(110)에 상하로 연장되는 슬라이딩홀과, 슬라이딩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고 슬라이딩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조절홀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조절홈에는 잠금레버(532)가 선택적으로 진입되며, 조절홈 측으로 이동된 잠금레버(532)는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된다.
잠금레버(532)는 수직폴대(11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잠금홀(531)을 통해 일부가 수직폴대(110)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잠금레버(532)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하방으로 잡아당겨 인장로프(520)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고, 이때 인장로프(520)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해 지지바(250)가 상방으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탱될 수 있다.
한편, 인장력조절부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유닛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지지바(250)에는 상부인장로프(541)와 하부인장로프(542)가 각각 연결된다.
상부인장로프(541)는 수직폴대(11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통과홀을 통해 수직폴대(110)를 통과하여 수직폴대(110) 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하부인장로프(542)는 수직폴대(1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통과홀을 통해 수직폴대(110)를 통과하여 수직폴내(110) 내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수평지지유닛 상측의 수직폴대(110)에는 하부인장로프(542)와 연결되는 상부조절부가 구비되고, 수평지지유닛 하측의 수직폴대(110)에는 상부인장로프와 연결되는 하부조절부가 구비된다.
상부조절부는 상부잠금홀(561)과 상부잠금레버(562)를 포함하고, 하부조절부는 하부잠금홀(567)과 하부잠금레버(5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잠금홀(567)과 하부잠금레버(568)는 앞서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잠금홀(531)과 잠금레버(53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부잠금홀(561) 및 상부잠금레버(562) 또한 하부잠금홀(567)과 하부잠금레버(568)와 설치 위치만 다를 뿐 하부잠금홀(567)과 하부잠금레버(568)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하부잠금레버(568)를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상부인장로프(541)에 인장력이 가해지면서 상부인장로프(541)에 의해 지지바(25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거나 상방으로 일정 부분 휘어지도록 하고, 상부잠금레버(532)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하부인장로프(542)에 인장력이 가해지면서 하부인장로프(542)에 의해 지지바(250)가 하방으로 일정 부분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지지로프 또는 인장로프에는 그 중간 부분에 스프링부재를 연결할 수 있으며, 지지로프, 인장로프를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느슨해지거나 손상 등에 의해 느슨해지는 경우 이 스프링부재(인장스프링)의 탄성을 통해 인장력을 보완 및 보강하여 상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 지지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차양막 지지장치 5 : 차양막
10 : 차량 20 : 바닥
100 : 수직지지유닛 110 : 수직폴대
120 : 회전브라켓 200 : 수평지지유닛
210 : 메인홀더 220 : 상부커플러
230 : 하부커플러 250 : 지지바
260 : 캡 270 : 연결부재
310 : 제1견인줄 320 : 상부권취부
330 : 제2견인줄 340 : 하부권취부
400 : 지탱유닛 410 : 하부보조홀더
420 : 하부지지로드 430 : 상부보조홀더
440 : 상부지지로드 460 : 상부높이조절부
470 : 하부높이조절부

Claims (8)

  1. 수직폴대와;
    상기 수직폴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수직폴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직폴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어 차양막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 측이 상기 수직폴대 측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지지바의 단부 측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폴대에 대해 상기 지지바를 지탱하는 지탱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지지바 상측의 상기 수직폴대에 일 단이 결합되거나 지지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는 버팀로드 또는 인장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지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지지바 하측의 상기 수직폴대에 일 단이 결합되거나 지지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는 받침로드와, 상기 지지바 상측의 상기 수직폴대에 일 단이 결합되거나 지지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는 버팀로드 또는 인장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지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지지바 상측의 상기 수직폴대에 일 단이 연결되거나 지지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바에 연결되는 상부인장로프와, 상기 지지바 하측의 상기 수직폴대에 일 단이 연결되거나 지지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바에 연결되는 하부인장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지지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로프는 상기 지지바의 회전 각도를 증가시킬수록 상기 인장로프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증가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지지장치.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인장로프에 연결되어 상기 인장로프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인장력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지지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탱유닛은
    일 단이 상기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에 대해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형성된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단부에 일 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에 대해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형성되고 타 단이 상기 수직폴대에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거나,
    일 단이 상기 수직폴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직폴대에 대해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형성된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단부에 일 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에 대해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형성되고 타 단이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지지장치.

KR1020220066148A 2022-05-30 2022-05-30 차양막 지지장치 KR20230166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148A KR20230166325A (ko) 2022-05-30 2022-05-30 차양막 지지장치
US18/202,264 US20230383568A1 (en) 2022-05-30 2023-05-25 Awning suppor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148A KR20230166325A (ko) 2022-05-30 2022-05-30 차양막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325A true KR20230166325A (ko) 2023-12-07

Family

ID=88876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148A KR20230166325A (ko) 2022-05-30 2022-05-30 차양막 지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383568A1 (ko)
KR (1) KR2023016632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452Y1 (ko) 2015-07-13 2016-01-28 권헌수 차량용 어닝
KR102072952B1 (ko) 2019-09-27 2020-02-03 차재호 차량용 어닝
KR102299800B1 (ko) 2020-06-18 2021-09-08 송한수 차량용 어닝 장치
KR200494358Y1 (ko) 2020-04-17 2021-09-27 송한수 차량용 접이식 어닝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452Y1 (ko) 2015-07-13 2016-01-28 권헌수 차량용 어닝
KR102072952B1 (ko) 2019-09-27 2020-02-03 차재호 차량용 어닝
KR200494358Y1 (ko) 2020-04-17 2021-09-27 송한수 차량용 접이식 어닝 프레임
KR102299800B1 (ko) 2020-06-18 2021-09-08 송한수 차량용 어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83568A1 (en)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4246B1 (en) Retractable awning and method
US7967050B2 (en) Adjustable pitch power awning hardware
US3375836A (en) Folding and automobile-transportable camping tent
JP2005533948A (ja) 格納式自動回転ブラインド
KR102072952B1 (ko) 차량용 어닝
US20120211179A1 (en) Covering System
KR20130111959A (ko) 전개 가능한 쉘터 구조물
KR101876083B1 (ko) 조립식 스탠딩 해먹장치
KR20230166325A (ko) 차양막 지지장치
WO2004099528A1 (en) An awning
KR101128503B1 (ko) 접이식 차양 구조물
KR102087159B1 (ko) 조립형 텐트
KR101461613B1 (ko) 차량용 차양조립체
KR20120109703A (ko) 높이 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KR20200000596U (ko) 차량용 텐트
AU2011100415A4 (en) Awning and frame assembly therefor
WO2021171361A1 (ja) パラソル
KR102209410B1 (ko) 그늘막
AU2018446132B9 (en) Parasol
KR102023364B1 (ko) 확장 가능한 이동형 캠핑 하우스
KR102568009B1 (ko)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
KR20190108322A (ko) 어닝 시스템용 고정브래킷
JP6404881B2 (ja) テント
JP2007009656A (ja) 日除け装置
KR200456543Y1 (ko) 다기능 절첩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