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009B1 -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009B1
KR102568009B1 KR1020210067387A KR20210067387A KR102568009B1 KR 102568009 B1 KR102568009 B1 KR 102568009B1 KR 1020210067387 A KR1020210067387 A KR 1020210067387A KR 20210067387 A KR20210067387 A KR 20210067387A KR 102568009 B1 KR102568009 B1 KR 102568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p
bracket
support
vehicle
brack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600A (ko
Inventor
박종훈
Original Assignee
박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훈 filed Critical 박종훈
Priority to KR1020210067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009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는, 차량의 측방에 타프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제1 루프랙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브래킷; 상기 제1 루프랙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상기 제1 브래킷에 결합 가능하며, 상기 타프를 지지 가능한 타프 지지부; 상기 제1 루프랙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타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차량의 제2 루프랙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브래킷; 및 상기 타프 지지부와 상기 제2 브래킷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타프 지지부와 더불어 상기 타프를 지지 가능한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프 지지부 외에 제2 브래킷과 지지 와이어를 추가적으로 적용하고, 지지 와이어를 이용하여 타프 지지부와 제2 브래킷 사이를 연결하여 타프 지지부와 더불어 타프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타프가 차량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타프를 한층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타프의 거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vehicle tarp instal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타프가 차량에 측방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타프를 한층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캠핑용 타프의 거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캠핑인구가 늘어나게 되면서 아웃도어 라이프를 위한 다양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서 캠핑용 타프(Tarp)는 캠핑시에 텐트와 함께 캠핑을 위한 필수 장비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늘을 제공하여 캠핑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캠핑용 타프를 설치하는 방법은 우선 중앙의 메인 폴을 세우고, 메인 폴이 안정적으로 설치된 이후에 양쪽 측면의 사이드 폴 다수개를 세우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폴을 세우기 위해서는 메인 폴 하나당 2개의 팩다운을 하고 2개의 스트링으로 연결을 한다. 이때 메인 폴 자체가 자립이 되지않기 때문에 누군가는 메인 폴을 잡고 있었야만 한다. 특히, 양쪽의 메인 폴이 모두 설치되는 전까지는 메인 폴 자체가 자립이 되지 않아 양쪽 메인 폴이 자립하도록 설치하는 동안 계속 누군가가 메인 폴을 지탱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캠핑용 타프를 설치하는데 메인 폴을 설치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캠핑시 캠핑용 타프의 활용도는 더욱 증가하고 있어 캠핑을 즐기는 대부분은 캠핑용 타프를 소유하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캠핑용 타프 설치의 어려움 때문에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캠핑용 타프에 비해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어닝이 있으나, 차량용 어닝의 경우 폭이 차량의 지붕 길이에 한정되어 최대 2m 미만으로 크기가 작아 실제 캠핑시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차량용 어닝은 자체 크기가 커서 일부 SUV와 같은 차량에서 설치가 가능하고 소형 차량 내지 승용차와 같은 차량에는 설치가 힘든 문제가 있고, 비용이 고가인 바 대중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사용자가 캠핑용 타프를 차량의 루프랙에 자유롭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전장길이보다 큰 타프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를 제안하는 바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42723호(2016. 04. 20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캠핑용 타프를 차량의 루프랙에 자유롭게 연결,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전장길이보다 큰 타프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타프를 한층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타프의 거치 안정성을 향상시켜 타프 분리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측방에 타프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제1 루프랙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브래킷; 상기 제1 루프랙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상기 제1 브래킷에 결합 가능하며, 상기 타프를 지지 가능한 타프 지지부; 상기 제1 루프랙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타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차량의 제2 루프랙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브래킷; 및 상기 타프 지지부와 상기 제2 브래킷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타프 지지부와 더불어 상기 타프를 지지 가능한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 와이어는, 일정 이상의 장력을 갖는 상태로 상기 타프 지지부의 양단과 상기 제2 브래킷을 연결하여 삼각형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와이어는 이등변 삼각형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타프 지지부의 양단에는 상기 타프 및 지지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제1 연결고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브래킷에는 상기 지지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제2 연결고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타프 지지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타프 지지부는,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관과, 상기 외관의 양단에 외관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내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은 각각, 차량 루프랙의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거치면을 갖고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대응하는 제2 거치면을 갖는 브래킷 몸체; 상기 제1 거치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면에 밀착 가능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밀착부재; 상기 제2 거치면 측에 마련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밀착부재; 및 상기 브래킷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밀착부재를 상기 제1 밀착부재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하는 밀착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 몸체는, 상기 제1 거치면과 상기 루프랙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측 커버면을 갖는 제1 브래킷 몸체; 및 상기 제1 브래킷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거치면을 갖는 제2 브래킷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 결합부는, 상기 제1 브래킷 몸체에 마련되는 나사 결합홀; 상기 나사 결합홀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제2 브래킷 몸체에 마련되는 나사 결합부; 상기 나사 결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노브; 상기 제1 브래킷 몸체에 상기 나사 결합홀과 평행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브래킷 몸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 결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은 상기 제2 거치면으로부터 상기 제1 거치면을 향해 일정 이상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의 제2 거치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는, 상기 나사 결합부의 제2 거치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보다 일정이상 길게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의 돌출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탄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래킷은, 상기 브래킷 몸체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타프 지지부를 하방에서 접촉 지지하는 하방 지지부; 및 상기 하방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방 지지부 상에 안착된 상기 타프 지지부를 하방으로 가압 고정하는 고정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에 의하면, 타프 지지부 외에 제2 브래킷과 지지 와이어를 추가적으로 적용하고, 지지 와이어를 이용하여 타프 지지부와 제2 브래킷 사이를 연결하여 타프 지지부와 더불어 타프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타프가 차량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타프를 한층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타프의 거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브래킷 몸체를 루프랙에 손쉽게 결합하고 연결고리에 타프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캠핑용 타프를 차량에 자유롭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밀착부재 및 제2 밀착부재가 루프랙의 상면, 좌우 측면에 밀착함으로써 루프랙의 표면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브래킷 몸체에 각각 마련되는 가이드홀과 가이드봉 구조를 통해, 제1 브래킷 몸체에 대해 제2 브래킷 몸체를 결합할 때 나사 결합홀에 대한 나사 결합부의 정위치 결합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의 돌출 길이가 나사 결합부의 돌출 길이보다 일정이상 길게 형성하고 가이드봉의 돌출 단부에 탄성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나사 결합부가 나사 결합홀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봉이 가이드홀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됨으로써 제1 및 제2 브래킷 몸체간의 분리를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를 통해 차량 측방에 타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를 통해 차량 측방에 타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에서 타프 지지부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의 제1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의 제2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의 제1 브래킷이 루프랙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에서 제1 브래킷과 타프 지지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의 제1 브래킷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의 제2 브래킷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에서 제1 브래킷이 루프랙에 결합,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에서 제1 브래킷이 루프랙에 결합,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에서 제1 브래킷의 제1 브래킷 몸체와 제2 브래킷 몸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의 타프 지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는 차량의 측방에 타프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프가 차량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타프를 한층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타프의 거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이자면, 강한 바람이 부는 상황에서도 타프의 흔들림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타프 분리를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는 차량의 측방에 타프(10)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브래킷(100), 타프 지지부(200), 제2 브래킷(300) 및 지지 와이어(40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루프랙(20)에 대해 설명하면, 루프랙(20)의 좌측면을 제1 면이라 하고 우측면을 제2 면이라 하며, 루프랙(20)의 저면부는 차량 루프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마련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브래킷(100)은 차량의 제1 루프랙(2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타프 지지부(200)는 봉 또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루프랙(21)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제1 브래킷(100)에 결합 가능하며, 타프(10)의 단부가 연결되어 타프(10)를 지지한다. 여기서, 타프 지지부(200)의 양단에는 타프의 걸림고리가 연결되도록 타프 연결고리가 마련되며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제2 브래킷(300)은 제2 루프랙(22)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제2 루프랙(22)은 제1 루프랙(21)에 비해 상대적으로 타프(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루프랙이다.
다음, 지지 와이어(400)는 일정 이상의 갖도록 이루어지며, 타프 지지부(200)와 제2 브래킷(300) 사이를 연결하여 타프 지지부(200)와 더불어 타프(10)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프 지지부(200)의 양단에는 타프(10) 및 지지 와이어(400)가 연결되도록 제1 연결고리(210)가 각각 마련되고, 제2 브래킷(300)에는 지지 와이어(400)가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되도록 제2 연결고리(310)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와이어(400)는 타프 지지부(200)의 양단과 제2 브래킷(300)을 연결하여 삼각형 지지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서, 지지 와이어(400)는 일정이상의 장력을 갖는 상태로 타프 지지부와 제2 브래킷 사이를 삼각형 지지구조를 적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타프(10)가 배치되는 타프 지지부(200)의 전방영역의 반대인 타프 지지부(200)의 후방영역에서 타프 지지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덧붙이자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프 지지부(200)의 양단에는 타프(10)가 설치된 방향으로 설치된 타프의 장력으로 인해 각각 F1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일정 이상의 장력을 갖는 지지 와이어(400)로 인해 지지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F2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타프 지지부(200)의 양단에 각각 작용하는 F1, F2 힘의 벡터 합산으로 인해, 타프 지지부(200)의 양단에는 F3 힘이 작용하게 된다.
만약, 지지 와이어(400)가 마련되지 않아 타프 지지부(200)의 양단에 F1 힘만 작용하게 되면, 이러한 F1 힘에 의해 타프 지지부(200)의 양단에는 일정크기 이상의 모멘트(moment)가 작용할 수 있지만, F2 힘의 추가로 인해 타프 지지부(200)의 양단에 F3 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되면 F1 힘만 작용하는 경우에 비해 타프 지지부(200)의 양단에 작용하는 모멘트(moment)를 훨씬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타프(10)를 통해 타프 지지부(200)로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타프 지지부(200)가 형상 변형되거나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하여 타프(10)가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프 지지부(200)의 양단에 대략 동일한 방향, 즉 좌우 대칭되는 방향으로 전술한 F3 힘이 작용하도록,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와이어(400)는 이등변 삼각형 지지구조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루프랙(21)과 제2 루프랙(22)의 길이방향 동일한 지점에 제1 브래킷(100)과 제2 브래킷(300)의 중앙부가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지지 와이어(400)는 실질적으로 이등변 삼각형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와이어(400)가 타프 지지부(200)를 포함하여 이등변 삼각형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타프 지지부(200)의 양단에는 좌우 대칭되게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방향을 갖는 F3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타프 지지부(200)의 비대칭적인 형상 변형, 파손/파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프 지지부(200)의 양단에 연결되는 타프(10)의 양측 부분에 동일한 크기와 방향의 힘이 전달됨으로써 타프의 양측이 균일하게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 또한 발생한다.
이하, 전술한 세부 구성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브래킷(100)과 제2 브래킷(300)은 각각, 브래킷 몸체(110), 제1 밀착부재(120), 제2 밀착부재(130) 및 밀착 결합부(140)를 포함한다. 이하, 관련도면에서 제1 브래킷(100)만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경우라도 전술한 구성들은 제2 브래킷에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은 물론이다.
먼저, 브래킷 몸체(110)는 차량 루프랙(제1 루프랙, 제2 루프랙)의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거치면(111),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대응하는 제2 거치면(112), 및 루프랙의 상측을 커버 가능한 상측 커버면(113)을 갖는다. 여기서, 제1 루프랙과 제2 루프랙은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브래킷 몸체(110)는 제1 브래킷 몸체(114)와 제1 브래킷 몸체(1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래킷 몸체(115)를 포함한다.
제1 브래킷 몸체(114)는 루프랙에 결합시 루프랙의 일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1 거치면(111)과 루프랙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측 커버면(113)을 갖도록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브래킷(300)의 제1 브래킷 몸체(114)의 상부에는 지지 와이어(400)가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되도록 제2 연결고리(310)를 갖는 블록이 결합된다.
제2 브래킷 몸체(115)는 루프랙에 결합시 루프랙의 타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1 브래킷 몸체(1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거치면(112)을 갖는다.
다음, 제1 밀착부재(120)는 루프랙에 직접적으로 밀착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제1 거치면(111)에 마련되어 루프랙의 제1 면에 밀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1 브래킷 몸체(114)의 상측 커버면(113)에 마련되어 설치시 루프랙의 상부면에 밀착 가능하다. 여기서, 제1 밀착부재(120)는 제1 거치면(111)과 상측 커버면(113)에 일체로 마련된다. 제2 밀착부재(130)는 마찬가지로 루프랙에 직접적으로 밀착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제2 거치면(112)에 마련되어 루프랙의 제2 면에 밀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밀착부재(120)와 제2 밀착부재(130)는 루프랙에 설치시 루프랙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밀착부재(120)와 제2 밀착부재(130)는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브래킷 몸체(114)와 제2 브래킷 몸체(115)가 루프랙(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밀착부재(120)와 제2 밀착부재(130)가 루프랙의 상면, 좌우 측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므로 다수회 결합/분리 작업을 반복하더라도 루프랙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밀착부재(120) 및 제2 밀착부재(130)에는, 루프랙의 저면부에 접촉 가능하도록 돌출돌기(121)가 마련된다.
본 발명은 제1 밀착부재(120), 제2 밀착부재(130), 돌출돌기(121)를 통해 브래킷 몸체(110)가 루프랙의 저면 중앙부를 제외한 나머지 외면을 둘레방향을 따라 밀착 결합할 수 있으므로, 루프랙에 대한 브래킷 몸체(110)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한층 견고한 상태로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 결합부(140)는 실질적으로 브래킷 몸체(110)가 루프랙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브래킷 몸체(110)에 마련되어 제2 밀착부재(130)를 제1 밀착부재(120) 측으로 이동하여 루프랙의 제2 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 결합부(140)는 제1 브래킷 몸체(114)에 마련되는 나사 결합홀(141), 나사 결합홀(141)에 나사 결합되도록 제2 브래킷 몸체(115)에 마련되는 나사 결합부(142), 나사 결합부(142)를 회전시키는 회전 노브(143)를 포함한다.
나사 결합홀(14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있고, 사용자는 회전 노브(143)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 결합부(142)를 나사 결합홀(141)에 체결함으로써, 제2 브래킷 몸체(115)를 제1 브래킷 몸체(114) 측으로 접근시켜 루프랙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회전 노브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브래킷 몸체(115)를 제1 브래킷 몸체(114)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브래킷 몸체를 루프랙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브래킷 몸체(115)에는 회전 노브(143)의 회전시 나사 결합부(142)가 상하,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회전을 지지하는 별도의 베어링부재(미도시)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 결합부(140)는 가이드홀(144)과 가이드봉(145)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홀(144)은 제1 브래킷 몸체(114)에 나사 결합홀(141)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며, 가이드홀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가이드봉(145)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144)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2 브래킷 몸체(115)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홀(144)과 가이드봉(145)은 제1 브래킷 몸체(114)에 대한 제2 브래킷 몸체(115)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여 제1 브래킷 몸체에 대한 제2 브래킷 몸체의 정위치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회전 노브(143)를 회전시켜 나사 결합부(142)를 나사 결합홀(141)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1 브래킷 몸체(114)와 제2 브래킷 몸체(115)를 상호 결합할 수 있고, 전술한 나사 결합을 해제하여 브래킷 몸체들을 서로 분리할 수 있으며, 결합/분리 과정에 가이드홀(144)과 가이드봉(145)은 상호 브래킷 몸체들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한다.
한편, 나사 결합홀(141)에 대한 나사 결합부(142)의 정위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해서는, 제2 브래킷 몸체(115)의 제2 거치면(112)으로부터의 나사 결합부(142) 돌출 길이보다 제2 브래킷 몸체(115)의 제2 거치면(112)으로부터의 가이드봉(145) 돌출 길이가 일정이상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나사 결합부(142)가 나사 결합홀(141)에 나사 결합되기 전 가이드봉(145)이 가이드홀(144)에 먼저 삽입되어 일종의 가결합 상태를 제공하여 나사 결합부의 정위치 결합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제1 브래킷 몸체(114)와 제2 브래킷 몸체(115)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회전 노브(143)를 회전시켜 나사 결합부(142)를 나사 결합홀(141)로부터 이탈시키더라도 가이드봉(145)의 단부는 아직 가이드홀(144)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브래킷 몸체와 제2 브래킷 몸체를 서로 완전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먼저 회전 노브(143)를 일정 이상 회전시켜 나사 결합부(142)를 나사 결합홀(141)로부터 이탈시키고, 이어서 가이드홀(144)로부터 가이드봉(145)을 완전히 이탈시키기 위해 제1 브래킷 몸체와 제2 브래킷 몸체를 양측으로 이동시키는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나사 결합부(142)를 나사 결합홀(141)로부터 이탈시키면 가이드봉(145)이 자동으로 가이드홀(144)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전술한 사용자의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없이 제1 브래킷 몸체와 제2 브래킷 몸체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145)의 제2 거치면(112)으로부터의 돌출 길이(L1)는 나사 결합부(142)의 제2 거치면(112)으로부터의 돌출 길이(L2)보다 일정이상 길게 형성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145)의 돌출 단부에는 가이드홀(144)에 삽입 가능하도록 탄성부재(146)가 마련된다. 탄성부재(146)는 일 예로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브래킷 몸체(115)가 제1 브래킷 몸체(114)로부터 이격되어 나사 결합부(142)가 나사 결합홀(141)로부터 분리되고 가이드봉(145)의 단부는 아직 가이드홀(144)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부재(146)의 일단은 가이드홀(144)의 내측 측벽에 지지된 상태를 가지면서 일정이상의 탄성 복원력을 갖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나사 결합부(142)가 나사 결합홀(141)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탄성부재(14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봉(145)은 가이드홀(144)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됨으로써 거치 브래킷 몸체들간의 분리를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브래킷(100)은 하방 지지부(150)와 고정 밴드(16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하방 지지부(150)는 브래킷 몸체(110) 상부에 결합되어 타프 지지부(200)를 하방에서 접촉 지지하는 것으로서,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게 브래킷 몸체에 스크루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밴드(160)는 대략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며, 하방 지지부(15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하방 지지부(150) 상에 안착된 타프 지지부(200)를 하방으로 가압 고정한다. 고정 밴드(160)에는 타프(10)에 마련된 또 다른 타프 고리가 걸림 가능하도록 제3 연결고리(161)가 일체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프 지지부(2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타프(10)의 폭(길이)에 대응하도록 타프 지지부(200)의 길이를 증감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프 지지부(200)는,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관(220)과, 외관(220)의 양단에 외관(220)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내관(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내관(230)에는 각각 타프(10) 및 지지 와이어(400)가 연결되도록 제1 연결고리(210)가 마련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타프 20: 루프랙
21: 제1 루프랙 22: 제2 루프랙
100: 제1 브래킷 100: 브래킷 몸체
114: 제1 브래킷 몸체 115: 제2 브래킷 몸체
120: 제1 밀착부재 130: 제2 밀착부재
140: 밀착 결합부 141: 나사 결합홀
142: 나사 결합부 143: 회전 노브
144: 가이드홀 145: 가이드봉
146: 탄성부재 150: 하방 지지부
160: 고정 밴드 161: 제3 연결고리
200: 타프 지지부 210: 제1 연결고리
220: 외관 230: 내관
300: 제2 브래킷 310: 제2 연결고리
400: 지지 와이어

Claims (11)

  1. 차량의 측방에 타프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제1 루프랙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브래킷;
    상기 제1 루프랙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상기 제1 브래킷에 결합 가능하며, 상기 타프를 지지 가능한 타프 지지부;
    상기 제1 루프랙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타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차량의 제2 루프랙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브래킷; 및
    상기 타프 지지부와 상기 제2 브래킷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타프 지지부와 더불어 상기 타프를 지지 가능한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은 각각,
    차량 루프랙의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거치면을 갖고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대응하는 제2 거치면을 갖는 브래킷 몸체;
    상기 제1 거치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면에 밀착 가능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밀착부재;
    상기 제2 거치면 측에 마련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밀착부재; 및
    상기 브래킷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밀착부재를 상기 제1 밀착부재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하는 밀착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 몸체는,
    상기 제1 거치면과 상기 루프랙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측 커버면을 갖는 제1 브래킷 몸체; 및
    상기 제1 브래킷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거치면을 갖는 제2 브래킷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 결합부는,
    상기 제1 브래킷 몸체에 마련되는 나사 결합홀;
    상기 나사 결합홀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제2 브래킷 몸체에 마련되는 나사 결합부;
    상기 나사 결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노브;
    상기 제1 브래킷 몸체에 상기 나사 결합홀과 평행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브래킷 몸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 결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은 상기 제2 거치면으로부터 상기 제1 거치면을 향해 일정 이상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의 제2 거치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는, 상기 나사 결합부의 제2 거치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보다 일정이상 길게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의 돌출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탄성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와이어는, 일정 이상의 장력을 갖는 상태로 상기 타프 지지부의 양단과 상기 제2 브래킷을 연결하여 삼각형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와이어는 이등변 삼각형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프 지지부의 양단에는 상기 타프 및 지지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제1 연결고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브래킷에는 상기 지지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제2 연결고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프 지지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프 지지부는,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관과, 상기 외관의 양단에 외관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은,
    상기 브래킷 몸체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타프 지지부를 하방에서 접촉 지지하는 하방 지지부; 및
    상기 하방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방 지지부 상에 안착된 상기 타프 지지부를 하방으로 가압 고정하는 고정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
KR1020210067387A 2021-05-26 2021-05-26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 KR102568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387A KR102568009B1 (ko) 2021-05-26 2021-05-26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387A KR102568009B1 (ko) 2021-05-26 2021-05-26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600A KR20220159600A (ko) 2022-12-05
KR102568009B1 true KR102568009B1 (ko) 2023-08-16

Family

ID=84392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387A KR102568009B1 (ko) 2021-05-26 2021-05-26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0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7937A1 (en) * 1996-08-16 1998-02-26 Ekkehard Koehn Shading apparatus
WO2003036005A1 (en) * 2001-09-24 2003-05-01 Paul Christopher Moore Vehicle-supported tent
KR200474777Y1 (ko) * 2013-10-01 2014-10-16 (주)다빈치엠앤에스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어 캠핑용 타프를 거치하는 확장형 타프 거치대
US20170349080A1 (en) * 2016-06-05 2017-12-07 Yakima Products, Inc. Vehicle rooftop rack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9737C2 (sv) * 1995-02-07 1999-03-01 Thule Ind Ab Lastbärare för fordon
KR20160042723A (ko) 2014-10-11 2016-04-20 이연수 차량용 타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7937A1 (en) * 1996-08-16 1998-02-26 Ekkehard Koehn Shading apparatus
WO2003036005A1 (en) * 2001-09-24 2003-05-01 Paul Christopher Moore Vehicle-supported tent
KR200474777Y1 (ko) * 2013-10-01 2014-10-16 (주)다빈치엠앤에스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어 캠핑용 타프를 거치하는 확장형 타프 거치대
US20170349080A1 (en) * 2016-06-05 2017-12-07 Yakima Products, Inc. Vehicle rooftop rack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600A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7614A (en) Vehicle canopy
KR101541253B1 (ko) 각동 어닝
KR200479452Y1 (ko) 차량용 어닝
KR101976327B1 (ko) 회전기능과 확장기능을 갖는 차량용 대형 차양장치
US5611380A (en) Collapsible sunshade awning
US20120211179A1 (en) Covering System
US5371907A (en) Pool cover support
US20190352925A1 (en) Awning assembly
US6330898B1 (en) Rain canopy apparatus for a stroller
KR200468313Y1 (ko) 더블 암 구조의 어닝 시스템
US6705664B1 (en) Portable shade canopy for personal vehicles
US6442773B1 (en) Above ground pool cover
US201900173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 and Installation of a Screen Assembly
KR102568009B1 (ko) 차량용 타프 설치구조
KR101397640B1 (ko) 스탠드용 막 구조물
KR102530840B1 (ko) 차량용 타프 거치대
US20050072531A1 (en) Enclosed roll awning
KR200442901Y1 (ko) 차양시스템의 차양막 처짐방지구조
KR20180122788A (ko) 철망 울타리 고정용 고정클립
US20230383568A1 (en) Awning support device
EP0364646B1 (fr) Structure destinée au montage et au démontage d'abris de type auvent
AU2011100415B9 (en) Awning and frame assembly therefor
US9381791B1 (en) Electric system for shading the front windshield of vehicles
KR200458190Y1 (ko) 엘이디 파이프 결합형 어닝장치
JP3918926B2 (ja) 膜構造物における避雷導体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