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5007A -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007A
KR20230165007A KR1020220064853A KR20220064853A KR20230165007A KR 20230165007 A KR20230165007 A KR 20230165007A KR 1020220064853 A KR1020220064853 A KR 1020220064853A KR 20220064853 A KR20220064853 A KR 20220064853A KR 20230165007 A KR20230165007 A KR 20230165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manufacturing
panel
pressur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동섭
Original Assignee
송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동섭 filed Critical 송동섭
Priority to KR1020220064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5007A/ko
Publication of KR2023016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9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raised panels, i.e. panels having a profile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2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com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wood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은, 제조용 패널을 예열 처리하는 공정과, 예열된 제조용 패널의 표면 측을 가열 가압 상태로 성형 처리하는 공정, 그리고 가열 가압된 제조용 패널의 표면 측을 냉각 가압 상태로 성형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INTERIOR PANEL}
본 발명은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분야의 실내 인테리어 작업에는 패널이나 타일 형태의 장식 마감재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장식 마감재들의 재질로는 합성수지, 목재 및 금속 등이 주로 사용된다.
특히, 천연 목재는 재질 자체 특성 상, 일반 합성수지재나 금속재에 비하여 친환경적이면서 상대적으로 자연스럽고 고급스러운 목재 자체의 표면 질감 및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천연 목재 재질의 인테리어 장식 마감재의 상품성을 더 높이기 위해서는, 목재 표면 측에 단순 프린트 작업으로 장식면(무늬)을 형성하는 방법보다는 수작업 또는 절삭장치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작업 및 절삭장치를 이용하여 장식 무늬를 형성하는 작업 방식은 단순 프린트 방식에 비하여 과다한 작업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패널이나 타일 형태를 갖는 인테리어 장식 마감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 방식들의 단점들을 보완 가능하게 대체할 수 있는 작업 방식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공보 등록 제10-113426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 재질의 패널 측에 양각(또는 음각) 형태의 장식 무늬를 용이하게 가압 성형할 수 있는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성형공간이 형성된 가이드틀, 가압 성형면이 형성된 가압 성형틀, 받침 성형면이 형성된 받침 성형틀 및 냉각 성형면이 형성된 냉각 성형틀을 이용하여 목재 재질의 제조용 패널 측에 가압 성형 방식으로 장식 무늬를 형성하는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
제조용 패널을 예열 처리하는 공정;
예열된 제조용 패널의 표면 측을 가열 가압 상태로 성형 처리하는 공정; 및
가열 가압된 제조용 패널의 표면 측을 냉각 가압 상태로 성형 처리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목재 재질의 제조용 패널 표면 측에 가압 성형 방식으로 양각(또는 음각) 형태의 장식 무늬를 갖는 장식면을 형성하되, 특히 제조용 패널의 예열 후, 가열 가압 성형 및 냉각 가압 성형 처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가압 성형 작업 공정을 제공함으로써, 성형성 및 형태 안정성 확보와 부합하는 상태로 인테리어 패널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의 전체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도 1의 각 공정들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의 전체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도 1의 각 공정들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은, 제조용 패널의 예열공정(S1), 제조용 패널의 가열 가압 성형공정(S2) 및 제조용 패널의 냉각 가압 성형공정(S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제조용 패널(10)은 목재로 이루어지되, 요구되는 인테리어 환경 및 여건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크기 및 부피를 갖는 형태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제조용 패널(10)은 가압 성형 작업과 부합하는 목질 특성을 갖는 천연 목재들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조용 패널(10)로는 여러 가지 천연 목재 중에서 예를 들어, 소나무 원목을 제재 처리한 천연 소나무 패널(예: 송판)을 사용할 수 있다.
소나무 목재는 일반 하드우드에 비하여 비교적 가벼우면서 연질일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고유의 솔향을 발생하므로, 후술하는 가압 성형 작업과 부합하는 성형성 및 부가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나무 목재는 송진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후술하는 가압 성형 작업시 송진에 의한 패널 표면 처리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제조용 패널(10)은 천연 목재들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되, 후술하는 가압 성형 공정에서 원활하게 눌려지는 상태로 성형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와 부합하는 적정 함수율을 갖는 목재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재의 적정 함수율은 60% 이상이 바람직하며, 이 보다 더 낮으면 가압 성형시 목재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부서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만족할 만한 가압 성형 품질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제조용 패널(10)의 가압 성형 작업에는 도 3에서와 같은 가압 성형장치(20)를 사용할 수 있다.
가압 성형장치(20)는 가이드틀(22), 가압 성형틀(24) 및 받침 성형틀(26)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틀(22)은 제조용 패널(10)이 성형 가능하게 안착되기 위한 성형공간(A1)을 구비하고, 이 성형공간(A1)은 제조용 패널(10)의 둘레부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가이드면(A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성형틀(24)은 일면에 가압 성형면(B1)을 갖도록 형성되고, 받침 성형틀(26)은 일면에 받침 성형면(C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받침 성형틀(26)은 받침 성형면(C1) 측이 위쪽을 향하는 상태로 가이드틀(22)의 성형공간(A1) 바닥면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가압 성형틀(24)은 가이드틀(22)의 위쪽에서 가압 성형면(B1) 측이 아래쪽의 받침 성형틀(26) 측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가압 동작되도록 세팅될 수 있다.
가압 성형틀(24)의 가압 성형면(B1)은 양각 형태의 장식 무늬 형성을 위한 음각 형태의 성형 무늬(B2)를 갖도록 형성되고, 받침 성형틀(26)의 받침 성형면(C1)은 가압 성형틀(24) 측의 음각 형태의 성형 무늬(B2)와 대응하는 양각 형태의 성형 무늬(C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틀(22), 가압 성형틀(24) 및 받침 성형틀(26)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발열 구조(예: 열선)를 내장하여 가이드면(A2) 및 각 성형면(B1, C1) 측을 대략 섭씨 150도 내지 250도 범위 내로 발열 처리가 가능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가압 성형장치(20)는 도 3에서와 같이 냉각 성형틀(28)을 구비하고, 이 냉각 성형틀(28) 일면에는 냉각 성형면(D1)이 형성되며, 이 냉각 성형면(D1)은 가압 성형틀(24)의 가압 성형면(B1) 측과 서로 동일한 음각 형태의 성형 무늬(D2)를 갖도록 형성된다.
냉각 성형틀(28)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의 수랭식 또는 공랭식 냉각 구조를 내장하여 냉각 성형면(D1) 측을 대략 섭씨 20도 이하로 냉각 처리가 가능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조용 패널(10) 및 가압 성형장치(20)를 사용하여 인테리어용 패널을 제조하는 작업 공정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조용 패널의 예열공정(S1)은 제조용 패널(10)의 가압 성형 전에 패널 내부의 수분이 패널 표면 측에 분포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예열 작업은 도 4에서와 같이 가압 성형장치(20)의 가이드틀(22)의 성형공간(A1) 측에 제조용 패널(10)을 배치한 다음, 성형공간(A1)의 상부 및 하부 개방부 측을 가압 성형틀(24) 및 받침 성형틀(26)로 닫은 상태에서 각각의 틀들의 발열에 의한 성형공간(A1) 내의 발열 분위기(대략 섭씨 150도)로 제조용 패널(10)을 예열 처리할 수 있다.
그러면, 발열 분위기에 의해 제조용 패널(10) 내부의 수분이 패널 표면을 통해서 증발되는 현상에 의해 패널 표면 측으로 수분 분포가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용 패널(10)의 표면 측에 수분 분포량이 늘어나면, 일종의 표면 연화 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가압 성형 작업시 제조용 패널(10)의 표면이 누름 압력에 의해 쉽게 부서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조용 패널의 가열 가압 성형공정(S2)은 예열 처리한 제조용 패널(10)의 일면을 가열 가압 상태로 눌러서 장식적인 미감 구현이 가능하게 성형 처리하는 것이다.
즉, 예열 처리한 제조용 패널(10)을 도 5에서와 같이 가이드틀(22)의 성형공간(A1) 측에 배치하되, 패널 저면 측이 받침 성형틀(26)의 받침 성형면(C1) 측에 놓여지도록 세팅한 상태에서 가압 성형틀(24)의 가압 동작으로 제조용 패널(10)의 상부면 측을 가압하는 상태로 가압 성형한다.
이때, 가압 성형틀(24) 및 받침 성형틀(26)은 대략 섭씨 150도 내지 섭씨 250도 범위로 발열된 상태에서 대략 10초 내지 15초 동안 가열 가압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제조용 패널(10)의 상,하부면 측이 각각 가열 가압 상태로 눌려지면서 도 5에서와 같이 제조용 패널(10)의 상부면 측에는 가압 성형틀(24) 측의 음각 형태의 성형 무늬(B2)를 갖는 가압 성형면(B1)에 의해 양각 형태의 장식 무늬(P1)가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조용 패널(10)의 하부면 측은 받침 성형틀(26)의 받침 성형면(C1) 측에 받쳐진 상태로 눌려지되, 이 받침 성형면(C1)의 양각 형태의 성형 무늬(C2)에 의해 장식 무늬(P1)의 저면 측이 위로 눌려지는 상태로 가압된다.
그러므로, 제조용 패널(10)은 가압 성형틀(24)에 의해 상부면 측이 눌려짐과 동시에 받침 성형틀(26) 측에 의해 하부면 측이 눌려지면서 패널(10) 상부면 측에 양각 형태의 장식 무늬(P1)가 가열 가압 성형되되, 더욱 뚜렷한 돌출 윤곽을 이루는 상태로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틀(22)은 가압 성형틀(24) 및 받침 성형틀(26)로 제조용 패널(10)의 상,하부면 측을 가열 가압 상태로 누를 때, 도 5에서와 같이 제조용 패널(10)의 둘레부 측을 성형공간(A1)의 가이드면(A2) 측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가열 가압 동작시 제조용 패널(10)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름 압력에 의해 제조용 패널(10)의 둘레부 형태가 비정상으로 변형(예: 외측으로 돌출 또는 터짐 현상)되는 현상도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가열 가압 성형 방식에 의하면, 제조용 패널(10)의 표면 측에 안정적으로 돌출된 양각 형태의 장식 무늬(P1)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만족할 만한 성형 품질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용 패널(10)로서 송진 성분이 분포된 천연 소나무 목재를 사용하면, 가열 가압 성형시 고온 및 압력에 의해 패널(10) 표면 측에 송진 성분의 코팅층(P2)이 함침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코팅층(P2)은 예를 들어, 일종의 클리어 도료층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제조용 패널(10)의 표면 보호가 가능하고, 표면 미감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한편, 제조용 패널의 냉각 가압 성형공정(S3)은, 가열 가압 방식으로 성형 처리된 제조용 패널(10)을 냉각 가압 방식으로 성형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냉각 가압 성형 작업은 가열 가압 방식으로 성형 처리한 제조용 패널(10) 측에 형태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는 상태로 작업을 진행한다.
즉, 제조용 패널의 냉각 가압 성형공정(S3)은 도 6에서와 같이 가압 성형장치(20)의 냉각 성형틀(28)을 이용하여 제조용 패널(10)의 일면(장식 무늬)을 냉각 가압 상태로 눌러서 냉각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성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가압 성형 작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에서와 같이 장식 무늬(P1) 측이 위쪽을 향하도록 제조용 패널(10)을 배치한 다음, 이 패널(10)의 윗면을 냉각 성형틀(28)의 냉각 성형면(D1) 및 성형 무늬(D2) 측으로 눌러서 냉각 분위기의 누름 접촉에 의해 표면 냉각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때, 냉각 성형틀(28)은 대략 섭씨 20도 이하로 냉각 처리된 상태로 대략 20초 전,후의 누름 접촉 동작으로 제조용 패널(10)의 표면 냉각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면, 가열 가압 성형 작업에 의해 가열 가압된 상태의 제조용 패널(10)의 형태 안정성(열에 의한 팽창 및 휨 현상 억제) 확보와 부합하는 상태로 냉각 가압 성형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 가압 성형 작업은 가열 가압 성형 작업과 연계하여 제조용 패널(10)의 형태 안정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한층 더 향상된 가압 성형 품질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작업 공정(S1, S2, S3)들을 거치면서 도 7에서와 같이 천연 목재 재질의 제조용 패널(10)의 일면에 양각 형태의 장식 무늬(P1)가 가압 성형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인테리어 패널(P)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가압 성형 방식으로 제조용 패널(10) 일면에 양각 형태의 장식 무늬(P1)를 형성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음각 형태의 장식 무늬 형성과 부합하는 틀 구조를 갖는 성형틀들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 공정들을 거치면서 음각 형태의 장식 무늬를 가압 성형 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 목재 재질의 제조용 패널(10) 측에 양각 형태의 장식 무늬(P1)를 가압 성형 방식으로 형성하되, 가열 및 냉각 분위기의 가압 성형 작업들을 통해서 성형 품질이 한층 더 향상된 장식 무늬(P1)를 갖는 상태로 인테리어 패널(P)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가열 가압 상태로 성형 처리 후, 냉각 가압 상태로 성형 처리하는 가압 성형 방식에 의하면, 가압 성형성 및 성형 형태 안정성을 한층 더 확보할 수 있으므로, 만족할 만한 가압 성형 품질 및 작업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10: 제조용 패널 20: 가압 성형장치
P: 인테리어 패널 P1: 장식 무늬
S1: 제조용 패널의 예열공정 S2: 제조용 패널의 가열 가압 성형공정
S3: 제조용 패널의 냉각 가압 성형공정

Claims (4)

  1. 성형공간이 형성된 가이드틀, 가압 성형면이 형성된 가압 성형틀, 받침 성형면이 형성된 받침 성형틀 및 냉각 성형면이 형성된 냉각 성형틀을 이용하여 목재 재질의 제조용 패널 측에 가압 성형 방식으로 장식 무늬를 형성하는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
    제조용 패널을 예열 처리하는 공정;
    예열된 제조용 패널의 표면 측을 가열 가압 상태로 성형 처리하는 공정; 및
    가열 가압된 제조용 패널의 표면 측을 냉각 가압 상태로 성형 처리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조용 패널을 예열 처리하는 공정은,
    상기 가이드틀의 성형공간 측에 제조용 패널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 성형틀 및 상기 받침 성형틀의 발열에 의해 상기 성형공간 내에서 상기 제조용 패널 측을 예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열된 제조용 패널의 표면 측을 가열 가압 상태로 성형 처리하는 공정은,
    상기 가이드틀의 성형공간 내에 예열 상태로 배치된 제조용 패널 측을 가열 가압하는 상태로 성형 처리하되,
    상기 제조용 패널의 하부면 측이 상기 받침 성형틀의 받침 성형면 측에 가열 지지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조용 패널의 상부면 측을 상기 가압 성형틀의 가압 성형면 측으로 가열 가압하여 장식 무늬의 형성이 가능하게 성형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 가압된 제조용 패널의 표면 측을 냉각 가압 상태로 성형 처리하는 공정은,
    가열 가압 성형에 의해 장식 무늬가 형성된 제조용 패널의 표면 측을 상기 냉각 성형틀의 냉각 성형면 측으로 냉각 가압하여 표면 냉각을 유도하는 상태로 성형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220064853A 2022-05-26 2022-05-26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 KR20230165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853A KR20230165007A (ko) 2022-05-26 2022-05-26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853A KR20230165007A (ko) 2022-05-26 2022-05-26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007A true KR20230165007A (ko) 2023-12-05

Family

ID=8915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853A KR20230165007A (ko) 2022-05-26 2022-05-26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500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60B1 (ko) 2009-11-20 2012-05-17 선종우 인테리어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60B1 (ko) 2009-11-20 2012-05-17 선종우 인테리어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5713C (zh) 木质纤维板的模制方法和装置
ATE485173T1 (de)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strukturierten dekors in einer holzwerkstoffplatte
MXPA01007788A (es) Productos de fibra vulcanizada reformada de mediana densidad, tales como revestimientos para puertas y proceso para reformar la fibra vulcanizada de mediana densidad.
WO2009043483A3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ussbodenpaneels mit hoher rutschfestigkeit
US20080226874A1 (en) Method for finishing a wood material board
CN103786195B (zh) 一种组合装饰人造板的制作方法
KR20230165007A (ko) 인테리어 패널의 제조방법
US4247511A (en) Edge treatment for fibreboard panels and the like
US11752661B2 (en) Natural effect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10173112A (ja) 木材の模様形成方法および模様が付与された木材
JP5248948B2 (ja) 圧縮木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圧縮木製品
US3732908A (en) Hot-roll embossing method
KR102591588B1 (ko) 목재 패널의 무늬 성형장치 및 방법
CN101564853A (zh) 木皮门皮或木纹纸门皮或木皮装饰板的制作方法
JP2006281707A (ja) 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US7022279B2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applying a relief decoration to elongate members
JPH11226915A (ja) 装飾模様を有する圧縮板目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936183A (en) Method of treating wood
KR100383230B1 (ko) 무늬목의 형성방법
CN104476631A (zh) 一种梅花纹人造板及其制作方法
CN220163544U (zh) 基于个性化定制的皮雕加工装置
JP2002127108A (ja) 圧縮木材の製造方法
JP2002219775A (ja) Frp成形体
US424513A (en) Art of forming smooth surfaces on wood pulp
US151888A (en) Improvement in the processes of ornamenting articles of iv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