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991A - 화물 자동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자동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4991A
KR20230164991A KR1020220064817A KR20220064817A KR20230164991A KR 20230164991 A KR20230164991 A KR 20230164991A KR 1020220064817 A KR1020220064817 A KR 1020220064817A KR 20220064817 A KR20220064817 A KR 20220064817A KR 20230164991 A KR20230164991 A KR 20230164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argo
chutes
discharge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로텍
Priority to KR1020220064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4991A/ko
Publication of KR20230164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using arrangements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65G13/10Switch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자동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물이 이송되는 이송라인(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출슈트(700a,700b,700c)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라인(100)에는 상기 배출슈트(700a,700b,700c)로 상기 화물을 밀어 배출시키는 배출부(300a,300b,300c)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슈트(700a,700b,700c)는 한 지점에 복수 개가 한 조를 이루어 배출슈트 세트(700)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배출부(300a,300b,300c)는 상기 배출슈트(700a,700b,700c) 각각에 대응되면서 복수 개가 한 조를 이루어 배출부 세트(300)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 세트(3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배출부(300a,300b,300c)가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작동하면서 크기가 작은 화물은 하나의 배출부(300a,300b,300c)에 의해 하나의 배출슈트(700a,700b,700c)로 배출하게 되고 크기가 큰 화물은 적어도 두 개의 배출부(300a,300b,300c)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배출슈트(700a,700b,700c)로 배출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화물을 하나의 라인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되는 화물 자동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 자동 분류장치{Automated article sorter}
본 발명은 화물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 중형, 소형 화물을 한꺼번에 이송하면서 분류할 수 있게 되는 화물 자동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양의 화물을 자동으로 분류하기 위해 분류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분류장치는 슬라이드 슈(slide shoe)가 장착된 바(bar) 형상의 슬랫(slat)으로 구성되는 컨베이어에 얹혀져 화물을 이송시키고, 이송 중 슬라이드 슈로 화물을 밀어서 배출슈트(chute)로 배출되도록 하여 미리 약속된 분류기준에 따라 화물을 분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슈로 화물을 밀어서 배출하는 방식으로는 비교적 그 크기 편차가 적은 화물을 분류할 수 있을 뿐이다. 예를 들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택배 화물용 자동 분류장치는 폭이 100~300mm 정도인 소형 화물 분류용과 200~800mm 정도인 중형 화물 분류용이 동시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고, 폭이 800~1500mm 또는 그 이상의 대형 화물인 경우에는 수동으로 분류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소형 화물과 중형 및 대형 화물을 하나의 라인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것이었는바, 이는 화물의 하중에 따른 컨베이어 라인의 구성이나 배출슈트의 규격이 달리 형성되어야 함에 이유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09-0098483호(2009.9.17)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의 화물을 하나의 컨베이어 라인을 통해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 자동 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물이 이송되는 이송라인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출슈트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라인에는 상기 배출슈트로 상기 화물을 밀어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슈트는 한 지점에 복수 개가 한 조를 이루어 배출슈트 세트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슈트 각각에 대응되면서 복수 개가 한 조를 이루어 배출부 세트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 세트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배출부가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작동하면서 크기가 작은 화물은 하나의 배출부에 의해 하나의 배출슈트로 배출하게 되고 크기가 큰 화물은 적어도 두 개의 배출부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배출슈트로 배출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화물을 하나의 라인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되는 화물 자동 분류장치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규격의 화물을 하나의 컨베이어 라인을 통해 분류할 수 있게 되므로 분류 속도가 향상되고, 화물 크기에 따라 별도의 분류장치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시설 투자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자동 분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출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출부에서 롤러세트에 형성된 롤러 구동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출부에서 롤러세트의 방향이 조절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규격의 화물을 하나의 컨베이어 라인을 통해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 자동 분류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화물이 이송되는 이송라인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출슈트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라인에는 상기 배출슈트로 상기 화물을 밀어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슈트는 한 지점에 복수 개가 한 조를 이루어 배출슈트 세트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슈트 각각에 대응되면서 복수 개가 한 조를 이루어 배출부 세트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 세트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배출부가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작동하면서 크기가 작은 화물은 하나의 배출부에 의해 하나의 배출슈트로 배출하게 되고 크기가 큰 화물은 적어도 두 개의 배출부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배출슈트로 배출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화물을 하나의 라인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되는 화물 자동 분류장치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자동 분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자동 분류장치는 이송라인(100)을 따라 배출슈트(700a,700b,700c)가 형성된다.
이송라인(100)은 화물을 컨베이어로 밀어서 운반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으로, 배출슈트(700a,700b,700c)는 이송라인(100) 좌측과 우측에 형성될 수 있고, 배출슈트(700a,700b,700c)가 형성된 지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부(300a,300b,300c)가 형성된다.
배출부(300a,300b,300c)는 이송라인(100)의 폭 방향으로 화물을 밀어 배출슈트(700a,700b,700c)로 배출할 수 있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컨베이어와 배출부(300a,300b,300c)가 번갈아 가며 형성되어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화물이 배출부(300a,300b,300c)가 형성된 지점에 이르러 배출슈트(700a,700b,700c)로 배출되게 된다. 컨베이어를 통해 화물이 배출부(300a,300b,300c)로 이송되어 분류되고, 분류되지 않은 화물은 다시 배출부(300a,300b,300c) 다음에 형성된 컨베이어를 따라 그 다음에 형성된 배출부(300a,300b,300c)로 이송되어 분류되는 것이다.
이송라인(100)은 개별라인(100a,100b) 두 줄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별라인(100a,100b)은 컨베이어로 화물을 밀어서 운반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와 배출부(300a,300b,300c)가 번갈아 가며 형성된다.
개별라인(100a,100b)은 화물의 크기에 따라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상기 화물을 지지하며 이송하게 된다. 화물의 크기가 작을 경우 두 개별라인(100a,100b) 중 하나가 이송하게 되고, 화물의 크기가 클 경우 두 개별라인(100a,100b)이 동시에 화물을 지지하면서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이송된 화물은 배출부(300a,300b,300c)에 이르러 배출슈트(700a,700b,700c)로 배출되게 된다.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배출부(300a,300b,300c)가 작동함으로써 이송라인(100)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배출슈트(700a,700b,700c)로 화물이 배출되면서 분류되는 것이다.
배출슈트(700a,700b,700c)는 한 지점에 복수 개가 한 조를 이루어 형성됨으로써 배출슈트 세트(700)로 형성된다. 도면에는 한 지점에서 세 개의 배출슈트(700a,700b,700c)가 한 조를 이루게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는바, 그에 한정되지는 않고 배출슈트 세트(700)를 구성하는 배출슈트(700a,700b,700c)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배출부(300a,300b,300c)는 배출슈트 세트(700)에 포함되어 있는 배출슈트(700a,700b,700c) 각각에 대응되면서 복수 개가 한 조를 이루어 형성된다. 복수 개의 배출부(300a,300b,300c)가 배출슈트 세트(700)가 형성된 지점에 형성되어 배출부 세트(300)를 이루는 것이다.
여기서, 배출부 세트(300)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배출부(300a,300b,300c)는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그로 인해 다양한 크기의 화물을 분류할 수 있게 되는바, 크기가 작은 화물은 하나의 배출부(300a,300b,300c)에 의해 밀려 배출되고 크기가 큰 화물은 적어도 두 개의 배출부(300a,300b,300c)에 의해 동시에 밀려서 배출되게 된다. 크기가 큰 화물 중 중형은 두 개의 배출부(300a,300b,300c)에 의해 밀려 배출되고 대형 화물은 세 개의 배출부(300a,300b,300c)에 의해 동시에 밀려서 배출되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하나의 배출부(300a,300b,300c)로 밀려 배출되는 화물은 하나의 배출슈트(700a,700b,700c)를 따라 배출되게 되고, 적어도 두 개의 배출부(300a,300b,300c)에 의해 밀려 배출되는 화물은 적어도 두 개의 배출슈트(700a,700b,700c)를 따라 배출되어 분류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화물을 하나의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하면서 분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출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출부에서 롤러세트에 형성된 롤러 구동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300a,300b,300c)는 네 개의 롤러세트(400)가 오와 열을 맞추어 배치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대략 사각 형상의 틀 안에 네 개의 롤러세트(400)가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사각 형상의 틀이 아니어도 네 개의 롤러세트(400)가 오와 열을 맞추어 배치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라면 다른 구성도 가능하고, 롤러세트(400)는 짝수 개로 여섯 개 또는 여덟 개 등이 오와 열을 맞추어 배치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롤러세트(400) 각각은 네 개의 롤러(460)가 형성된다. 롤러(460)는 지지대(420)에 '+'자 형상으로 배열되고, 배출슈트(700a,700b,700c) 방향으로 회전하게 형성된다. 상기 네 개의 롤러(460) 중 측면이 대향되는 도면상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롤러는 축으로 연결되어 있고, 외주면이 대향되는 도면상 종 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롤러(460)는 각각 개별 축으로 지지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배출부(300a,300b,300c)를 지나는 화물이 롤러(460)에 의해 배출슈트(700a,700b,700c) 방향으로 밀림으로써 배출되게 된다.
네 개의 롤러세트(400)에 형성된 네 개의 롤러(460)는 서로 동일한 속도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서로 연동되어 동시에 회전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롤러구동모터(200)의 동력을 베벨기어(G)와 벨트(B)로 롤러(460)들 간에 전달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지지대(420) 하부에서 네 개의 롤러세트(400) 중 어느 하나의 롤러세트(400) 아래에 롤러구동모터(200)가 세워지게 형성되고, 지지대(420)와 롤러(460) 사이에는 수평방향으로 전달축(500)이 형성되며, 전달축(500) 일측에는 수직휠(520)이 형성된다. 수직휠(520)은 롤러세트(400)에 형성되어 있는 네 개의 롤러(460) 중 어느 하나와 벨트로 연결되고, 롤러구동모터(200)의 모터축(220)과 전달축(500)은 베벨기어(G)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롤러구동모터(200)가 회전을 하게 되면 베벨기어(G)에 의해 전달축(500)으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수직휠(520)이 회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롤러(460)가 회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롤러세트(400)에 형성되어 있는 네 개의 롤러(460)는 축과 벨트로 서로 연동되게 형성된바, 수직휠(52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네 개의 롤러(460)가 같은 속도로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하부에 롤러구동모터(200)가 세워지게 형성되는 롤러세트(400)에서 롤러구동모터(200)의 모터축(220)에는 수평휠(240)이 형성되어 네 개의 롤러(460) 중심에 위치된다. 그리고 나머지 세 개의 롤러세트(400) 하부에는 롤러세트(400)를 구성하는 네 개의 롤러(460) 중심에 각자 수직축(600)이 세워져 형성되고, 수직축(600)에는 수평휠(640)이 구비된다. 더하여 롤러구동모터(200)의 모터축(220)에 형성된 수평휠(240)과 나머지 세 개의 롤러세트(400) 하부에 형성된 수직축(600)에 구비된 수평휠(640) 간에는 서로 벨트(B)로 연결되어 롤러구동모터(200)의 회전력을 수직축(600)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세 개의 롤러세트(400)에서 지지대(420)와 롤러(460) 사이에는 수평방향으로 전달축(500)이 형성되고 전달축(500) 일측에는 수직휠(5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휠(520)은 롤러세트(400)에 형성되어 있는 네 개의 롤러(460) 중 어느 하나와 벨트(B)로 연결되고, 수직축(600)과 전달축(500)은 베벨기어(G)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 개의 롤러세트(400)에 형성된 롤러(460)들은 다른 하나의 롤러세트(400)와 마찬가지로 축과 벨트(B)로 서로 연동되게 형성된바, 따라서 롤러구동모터(200)가 회전을 하게 되면 네 개의 롤러세트(400)에 형성된 롤러(460)들 모두에 회전력이 동시에 전달되어 배출부(300a,300b,300c)에 형성되는 모든 롤러(460)들이 동일한 속도로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상 미설명 부호 800은 롤러세트(40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원판기어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출부에서 롤러세트의 방향이 조절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300a,300b,300c)를 구성하는 롤러세트(400)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롤러세트(400)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각자 지지대(420)에 롤러(460)가 형성된 구조인바, 지지대(420)를 회전시킴으로써 롤러(460)의 방향으로 조절하게 된다.
지지대(420)의 회전은 원판기어(800)와 회전판(440)으로 달성된다. 원판기어(800)는 배출부(300a,300b,300c) 중심 지점에서 롤러세트(400)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고, 회전판(440)은 지지대(420)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원형의 기어 구조를 이루게 형성되며, 회전판(440)은 원판기어(800)와 접하여 기어결합을 이루게 형성된다. 따라서 원판기어(800)가 모터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되면 맞물린 회전판(440)이 같이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지지대(420)가 회전을 하고, 그 결과 자연스럽게 롤러세트(400)가 회전을 하여 롤러(460)의 방향이 바뀌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출부(300a,300b,300c)가 네 개의 롤러세트(400)로 형성되는 경우 네 개의 롤러세트(400)가 동시에 동일한 각도로 방향이 바뀌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롤러세트(400)의 방향이 조절됨으로써 배출부(300a,300b,300c)를 지나는 화물의 배출 방향을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조절하여 줄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송라인(100)이 복수 개의 배출슈트(700a,700b,700c)가 배출슈트 세트(700)로 형성되는 구성에서 화물의 크기에 따라 롤러세트(400)의 방향이 조절되면서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이 한 지점에 복수 개의 배출슈트(700a,700b,700c)가 한 조를 이루어 배출슈트 세트(700)로 형성됨에 따라 개별 배출슈트(700a,700b,700c)가 배출부(300a,300b,300c)와 동일 선상에 형성되지 않고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음에 따른 것이다. 즉, 배출부(300a,300b,300c)에서 화물을 경사진 방향으로 밀어서 배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채택될 수 있는 구성이다.
100 : 이송라인, 100a,100b : 개별라인,
200 : 롤러구동모터, 220 : 구동축,
240 : 수평휠,
300 : 배출부 세트, 300a,300b,300c : 배출부,
400 : 롤러세트, 420 : 지지대,
440 : 회전판, 460 : 롤러,
480 : 원판기어,
500 : 전달축, 520 : 수직휠,
600 : 수직축, 640 : 수평휠,
700 : 배출슈트 세트, 700a,700b,700c : 배출슈트,
800 : 원판기어,
B : 벨트, G : 베벨기어.

Claims (3)

  1. 화물이 이송되는 이송라인(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출슈트(700a,700b,700c)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라인(100)에는 상기 배출슈트(700a,700b,700c)로 상기 화물을 밀어 배출시키는 배출부(300a,300b,300c)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슈트(700a,700b,700c)는 한 지점에 복수 개가 한 조를 이루어 배출슈트 세트(700)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배출부(300a,300b,300c)는 상기 배출슈트(700a,700b,700c) 각각에 대응되면서 복수 개가 한 조를 이루어 배출부 세트(300)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 세트(3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배출부(300a,300b,300c)가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작동하면서 크기가 작은 화물은 하나의 배출부(300a,300b,300c)에 의해 하나의 배출슈트(700a,700b,700c)로 배출하게 되고 크기가 큰 화물은 적어도 두 개의 배출부(300a,300b,300c)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배출슈트(700a,700b,700c)로 배출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화물을 하나의 라인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되는 화물 자동 분류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100)은 두 줄의 개별라인(100a,100b)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배출슈트 세트(700)는 이송라인(100)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개별라인(100a,100b)이 상기 화물의 크기에 따라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상기 화물을 지지하며 이송하면서 상기 이송라인(100)의 양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화물 자동 분류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300a,300b,300c)는 네 개의 롤러세트(400)가 오와 열을 맞추어 배치된 것이되,
    상기 롤러세트(400)는 네 개의 롤러(460)가 지지대(420)에 '+'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배출슈트(700a,700b,700c)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화물을 밀어주게 형성되고,
    상기 네 개의 롤러세트(400) 사이에는 원판기어(800)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420)에 형성된 회전판(440)과 기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판(440)이 회전에 따라 상기 네 개의 롤러세트(400)가 동시에 방향이 조절되면서 상기 화물이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하게 되는 화물 자동 분류 장치.
KR1020220064817A 2022-05-26 2022-05-26 화물 자동 분류장치 KR20230164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817A KR20230164991A (ko) 2022-05-26 2022-05-26 화물 자동 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817A KR20230164991A (ko) 2022-05-26 2022-05-26 화물 자동 분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991A true KR20230164991A (ko) 2023-12-05

Family

ID=8915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817A KR20230164991A (ko) 2022-05-26 2022-05-26 화물 자동 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499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8483A (ko) 2008-03-14 2009-09-17 주식회사 코로텍소팅시스템 화물 분류 컨베이어 및 이를 이용한 화물분류 장치와 화물분류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8483A (ko) 2008-03-14 2009-09-17 주식회사 코로텍소팅시스템 화물 분류 컨베이어 및 이를 이용한 화물분류 장치와 화물분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1311A (en) Conveyor article propelling roller drive system
EP2456693B1 (en) Roller-belt sorter with control grid
KR101832142B1 (ko) 물류 자동 정렬 및 이송 컨베어 장치
EP2964551B1 (en) Singulator
JP2018199102A (ja) 粒状体選別装置
EP2019803B1 (en) Sorting conveyor system
KR20230164991A (ko) 화물 자동 분류장치
CN113677607B (zh) 具有换向滚筒的卸货输送机
KR200436515Y1 (ko) 파쇄골재의 선별혼입이송장치
EP3733570B1 (en) Conveying and sorting apparatus
JP3148738B2 (ja) 空容器サイズ分別装置
US20080135381A1 (en) Positioning Conveyor
KR101442808B1 (ko) 로봇을 이용한 플라즈마 절단장치의 소재 자동선별장치
EP3733568B1 (en) Conveying and sorting apparatus
KR101484925B1 (ko) 로봇을 이용한 플라즈마 절단장치의 소재 자동선별장치
KR102439166B1 (ko) 드럼형 부품 공급 및 정렬 장치
KR102298220B1 (ko) 과일 선별기의 과일트레이 정렬장치
CN109604176B (zh) 一种分选机用排队系统
KR200222831Y1 (ko) 구형 농산물 선별기
US3578161A (en) Machine for size-grading walnuts
JP2549977Y2 (ja) 農産物の重量選別装置への自動分離供給装置
KR20220153428A (ko) 롤러 확장형 선별기
KR20240076474A (ko) 목재칩 선별장치
JP2900442B2 (ja) 玉ねぎ等の形状選別装置
EP1911531A2 (en) Food product sel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