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6474A - 목재칩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목재칩 선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76474A KR20240076474A KR1020220157053A KR20220157053A KR20240076474A KR 20240076474 A KR20240076474 A KR 20240076474A KR 1020220157053 A KR1020220157053 A KR 1020220157053A KR 20220157053 A KR20220157053 A KR 20220157053A KR 20240076474 A KR20240076474 A KR 202400764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rting
- screen
- transfer
- unit
- chip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58 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7—Apparatus in which aggregates or articles are moved along or past openings which increase in siz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목재칩 선별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목재칩 선별장치는, 선별을 위한 처리공간을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처리공간 측에 배치되며 목재칩 및 불량칩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 스크린을 구비한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 측에서 선별된 목재칩 및 불량칩을 분리 이송 배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이송기를 구비한 선별 이송부, 그리고 상기 선별 이송부의 이송기들의 이송구간을 서로 연결 또는 분리 상태로 전환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 전환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목재칩 선별장치는, 선별을 위한 처리공간을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처리공간 측에 배치되며 목재칩 및 불량칩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 스크린을 구비한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 측에서 선별된 목재칩 및 불량칩을 분리 이송 배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이송기를 구비한 선별 이송부, 그리고 상기 선별 이송부의 이송기들의 이송구간을 서로 연결 또는 분리 상태로 전환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 전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목재칩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칩들은 주로 벌목 작업에 의해 수거된 목재를 가공 처리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목재칩들은 사용 용도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칩 형태를 갖도록 가공 제조되며, 대표적인 칩 형태로는 파쇄형 목재칩과 슬라이스형 목재칩이 있다.
그리고, 칩 형태가 서로 다른 파쇄형 목재칩 및 슬라이스형 목재칩은 대부분 서로 다른 가공 구조를 갖는 목재칩 제조장치들에 의해 파쇄 가공 처리 또는 절삭 가공 처리되는 방식으로 각각 제조된다.
이와 같은 목재칩 제조 작업에 의한 칩 제조 품질을 높이려면, 기본적으로 목재의 안정적인 파쇄 또는 절삭 가공 처리와 부합하는 제조장치 구조가 요구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조된 목재칩들 중에서 칩 크기가 허용 범위를 벗어난 불량칩(과대칩, 미세칩)들을 칩 제조 작업과 연계하여 분리 선별 처리하는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칩 제조 품질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공보 등록 제10-143785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쇄 또는 절삭 가공으로 제조된 목재칩 중에 포함된 불량칩들을 용이하게 분리 선별 처리할 수 있는 목재칩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선별을 위한 처리공간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처리공간 측에 배치되며, 목재칩 및 불량칩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 스크린을 구비한 선별부;
상기 선별부 측에서 선별된 목재칩 및 불량칩을 분리 이송 배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이송기를 구비한 선별 이송부; 및
상기 선별 이송부의 이송기들의 이송구간을 서로 연결 또는 분리 상태로 전환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 전환부;
를 포함하는 목재칩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파쇄칩 또는 슬라이스칩 형태로 제조된 목재칩 중에 포함된 불량칩을 스크린 선별 처리 방식으로 선별 및 분리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작업 여건에 따라 분리 배출을 위한 이송구간들을 서로 연결 또는 분리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목재칩의 선별 작업시 한층 더 향상된 선별 이송 배출 효율성 및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목재칩 선별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목재칩 선별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목재칩 선별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목재칩 선별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11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실시 예에 따른 목재칩 선별장치는, 본체부(10), 선별부(20), 선별 이송부(30) 및 이송 전환부(4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목재칩(W)의 선별 및 분리 이송 배출을 위한 작업대 역할이 가능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내측에 처리공간(12)을 구비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처리공간(12)은 후술하는 선별부(20) 측이 설치될 수 있도록 이와 부합하는 공간 형태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 측에는 프레임 일측에 도 1에서와 같이 구동장치(A)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구동장치(A)는 후술하는 선별부(20)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엔진이나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체부(10) 측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처리공간(12)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공급호퍼(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공급호퍼(14)는 예를 들어, 스크류 회전에 의한 이송 방식으로 목재칩(W)을 후술하는 선별부(20) 측으로 공급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는 예를 들어, 엔진 구동에 의한 자주식 구조를 갖도록 도 1에서와 같이 하부 측에 캐터필러 장치(16)가 설치될 수 있다.
선별부(20)는 본체부(10)의 처리공간(12) 측에 배치되며, 칩 크기가 정상인 목재칩(W)들을 스크린 선별 방식으로 선별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선별 처리되기 위한 목재칩(W)은 파쇄장치에 의해 파쇄칩 또는 슬라이스칩 형태로 가공 제조되되, 사용 목적과 부합하는 정상적인 크기의 칩 이외에 미세 불량칩(W1, 예: 목재 부스러기, 흙, 모래 등) 및 과대 불량칩(W2, 오버 사이즈)이 포함되어 있다.
선별부(2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선별 스크린(22)을 구비하고, 이 선별 스크린(22)은 본체부(10)의 처리공간(12) 측에 배치된다.
선별 스크린(22)은 예를 들어, 스크린 길이방향 양쪽 단부 측이 각각 개방되고, 제1 스크린부(S1) 및 제2 스크린부(S2)가 형성된 드럼 스크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스크린부(S1) 및 제2 스크린부(S2)는 도 3에서와 같이 선별 스크린(22)의 길이방향 내에 서로 분할된 구간을 가지며, 각기 다른 크기의 칩을 선별할 수 있는 홀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스크린부(S1)는 목재칩(W) 중에 포함된 미세 불량칩(W1)의 선별 처리와 부합하는 제1 스크린홀(H1)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 스크린부(S2)는 칩 크기가 정상인 목재칩(W)의 선별 처리와 부합하는 제2 스크린홀(H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크린홀(H1) 및 제2 스크린홀(H2)은 선별 스크린(22)의 둘레부 측에 뚫려진 상태로 다수 개가 이격 형성된다.
선별 스크린(22)의 내측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이송 가이드구(24)가 형성되며, 이 이송 가이드구(24)는 선별 스크린(22)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스크린 내부면 둘레를 따라 나선 모양의 연장구간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 가이드구(24)는 선별 스크린(22)의 내측에 형성되되, 스크린 둘레부 내부면 측에서 세워진 상태의 가이드면(B)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선별 스크린(22)은 도 1에서와 같이 본체부(10)의 처리공간(12) 측에서 스크린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세팅된다.
즉, 선별 스크린(22)은 본체부(10)의 처리공간(12) 측에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되, 스크린 둘레부 하부 측이 지지 로울러(C)들 측에 회전 가능하게 받침 지지되는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이때, 선별 스크린(22)은 제1 스크린부(S1) 측이 제2 스크린부(S2)보다 더 위쪽에 위치되도록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고, 스크린 양쪽 단부 중에서 위쪽의 단부 개방부 측은 공급호퍼(14)로부터 목재칩(W)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태로 세팅된다.
그리고, 선별 스크린(22)은 본체부(10)의 구동장치(A)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 구동되도록 세팅되며, 예를 들어, 체인 및 스프라켓 연결 방식으로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 구동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이러한 선별 스크린(22)은 일방향 회전 구동시, 나선형의 이송 가이드구(24)에 의해 목재칩(W)들이 스크린 일측에서 타측으로 옮겨지도록 유도되고, 이와 연계하여 제1 스크린부(S1) 및 제2 스크린부(S2) 측에서 각각 선별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제1 스크린부(S1) 측에서는 목재칩(W) 중에 섞여있는 미세 불량칩(W1)들이 제1 스크린홀(H1)들을 통해서 낙하 배출되는 상태로 선별 처리되고, 제2 스크린부(S2) 측에서는 칩 크기가 정상인 목재칩(W)들이 제2 스크린홀(H2)들을 통해서 낙하 배출되는 상태로 선별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칩 크기가 허용 범위 이상인 과대 불량칩(W2)들은 제1 스크린부(S1) 및 제2 스크린부(S2)를 거쳐서 선별 스크린(22)의 아래쪽 단부 개방부를 통해서 스크린 외부로 낙하 배출되는 상태로 선별 처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선별부(20)는 본체부(10)의 처리공간(12) 측에서 일방향 회전 구동에 의해 스크린 내측의 목재칩(W)들을 상기와 같이 선별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선별 이송부(30)는 선별부(20)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본체부(10) 측에 형성된다.
선별 이송부(30)는 선별부(20) 측에서 선별 낙하되는 목재칩(W), 미세 불량칩(W1) 및 과대 불량칩(W2)을 선별 상태로 각각 분리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선별 이송부(3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본체부(10) 측에서 선별부(20) 아래쪽에 배치되되, 제1 스크린부(S1)와 대응하는 제1 이송기(D1), 제2 스크린부(S2)와 대응하는 제2 이송기(D2) 및 선별 스크린(22)의 배출 단부 측과 대응하는 제3 이송기(D3)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이송기(D1), 제2 이송기(D2) 및 제3 이송기(D3)는 예를 들어, 무한궤도 타입의 벨트에 의해 이송구간을 형성하는 벨트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터와 같은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전,후진 이송 동작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송기(D1) 및 제2 이송기(D2)는 도 4에서와 같이 선별 스크린(22)의 아래쪽에 이격 배치되되, 서로 직선의 이송구간을 이루는 배열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이송기(D1) 및 제2 이송기(D2)의 배열 설치 구조에 의하면, 후술하는 이송 전환부(40)에 의한 연계 이송 또는 개별 이송과 부합하는 상태로 이송 자세가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이송기(D3)는 선별 스크린(22)의 배출 단부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본체부(10) 측에 배치되되,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제2 이송기(S2) 위쪽에서 이 제2 이송기(D2) 측과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이송구간을 이루는 배열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제1 이송기(D1), 제2 이송기(D2) 및 제3 이송기(D3) 측에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별도의 배출용 이송기(D4, D5, D6)들이 연결 배열되어, 이 배출용 이송기(D4, D5, D6)들에 의해 본체부(10) 외측으로 목재칩(W), 미세 불량칩(W1) 및 과대 불량칩(W2)이 각각 선별 분리된 상태로 수거 가능하게 배출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이때, 과대 불량칩(W2)들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목재칩 제조장치에 의해 재가공 처리되도록 회수 공급되고, 정상 목재칩(W)은 수요처에 공급 가능하게 패킹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이송 전환부(40)는 선별 이송부(30)의 이송구간들을 서로 연결 또는 분리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송 전환부(40)는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1 이송기(D1) 측과 대응하는 제1 전환부(42)와, 제2 이송기(D2) 측과 대응하는 제2 전환부(44)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환부(42) 및 제2 전환부(44)는 링크 구동 방식으로 이송구간의 연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제1 이송기(D1) 및 제2 이송기(D2)의 이송 자세를 전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전환부(42)는 제1 링크(E1) 및 제1 구동원(E2)을 구비하고, 제1 링크(E1)는 두 개가 한 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링크(E1)는 도 5에서와 같이 서로 이격 배치된 상태로 일단 및 타단 측이 본체부(10) 및 제1 이송기(D1) 측에 각각 핀(P1) 결합으로 연결된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제1 구동원(E2)은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체부(10) 측에서 피스톤 로드의 단부 측으로 제1 이송기(D1)의 하부 일측을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제2 전환부(44)는 도 4에서와 같이 제2 링크(F1) 및 제2 구동원(F2)을 구비하고, 제2 이송기(D2)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본체부(10) 측에 형성된다.
제2 링크(F1)는 두 개가 한 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서로 이격 배치된 상태로 일단 및 타단 측이 본체부(10) 및 제2 이송기(D2) 측에 각각 핀(P2) 결합으로 연결된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제2 구동원(F2)은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체부(10) 측에서 피스톤 로드의 단부 측으로 제2 이송기(D2)의 하부 일측을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제1 구동원(E1) 및 제2 구동원(F1)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별도의 유,무선 콘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피스톤 로드의 전,후진 작동이 제어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 전환부(40)는 요구되는 선별 이송 여건에 따라 연계 이송 또는 개별 이송이 가능한 상태로 제1 이송기(D1) 또는 제2 이송기(D2)의 이송 자세를 전환시킬 수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개별 이송과 부합하도록 제1 이송기(D1) 및 제2 이송기(D2) 측이 서로 수평하게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전환부(42) 또는 제2 전환부(44)의 작동에 의해 연계 이송과 부합하는 상태로 이송 자세를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제1 구동원(E2)의 피스톤 로드로 제1 이송기(D1)의 하부 측을 밀면, 제1 링크(E1)들의 회동 운동에 의해 제1 이송기(D1) 측이 위로 이동되면서 제2 이송기(D2) 측과 서로 연계 이송이 가능한 연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면, 제1 이송기(D1) 및 제2 이송기(D2)의 이송방향을 도 6에서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제1 이송기(D1) 측에서 제2 이송기(D2) 측으로 일방향 이송이 가능한 연계 이송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반대로 도 7에서와 같이 제2 구동원(F2)의 피스톤 로드로 제2 이송기(D2)의 하부 측을 밀면, 제2 링크(F1)들의 회동 운동에 의해 제2 이송기(D2) 측이 위로 이동되면서 제1 이송기(D1) 측과 서로 연계 이송이 가능한 연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면, 제2 이송기(D2) 및 제1 이송기(D1)의 이송방향을 도 7에서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제2 이송기(D2) 측에서 제1 이송기(D1) 측으로 일방향 이송이 가능한 연계 이송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송 전환부(40)는 상기와 같이 선별 이송부(30)의 이송 자세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선별 이송구간을 다양하게 조절 및 세팅할 수 있다.
이송 전환부(40)는 도 8에서와 같이 가변 연결구(46)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변 연결구(46)는 도 8에서와 같이 제1 이송기(D1) 및 제2 이송기(D2)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은 제1 이송기(D1)의 단부 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이송기(D2)의 단부 측에 연결된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가변 연결구(46)는 탄성 및 신축성을 갖는 재질(예: 고무, 실리콘, 우레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변 연결구(46)는 제1 이송기(D1) 또는 제2 이송기(D2)의 자세 전환 동작과 연계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연결 상태가 탄력적으로 변화되면서 이송기(D1, D2)들 간의 이격 틈새를 탄력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가변의 연결구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변 연결구(46)는 제1 이송기(D1)와 제2 이송기(D2) 간의 이격 틈새 사이로 목재칩(W)이나 미세 불량칩(W1)이 비정상적으로 낙하(이탈)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선별부(20)는 선별 유도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선별 유도부(50)는 선별부(20)의 선별 스크린(22) 내에서 나선형의 이송 가이드구(24) 측과 연계하여 선별 배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선별 유도부(50)는 유도 로울러(52)를 구비하고, 이 유도 로울러(52)는 선별 스크린(22)의 나선형 이송 가이드구(24) 측에 선별 배출 유도가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유도 로울러(52)는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선별 스크린(22) 내측에 배치되되, 제2 스크린부(S2) 구간 내에서 이송 가이드구(24) 측에 로울러 양쪽 단부 측이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유도 로울러(52)의 양쪽 단부는 도 9에서와 같이 슬라이드 블록(54) 측에 각각 끼워져서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 블록(54)은 선별 스크린(22)의 회전 구동시 이송 가이드구(24) 측에 각각 걸쳐진 상태로 슬라이드되면서 유도 로울러(52) 측이 스크린 하부(바닥면) 측에 머무는 상태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슬라이드 블록(54) 측에는 유도 로울러(52)의 단부 측이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끼워지기 위한 지지홈(G)이 형성되며, 이 지지홈(G)은 유도 로울러(52)의 자유 회전은 물론이거니와, 상,하 이동이 가능한 슬롯홈 형태의 홈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블록(54) 측에는 탄성부재(G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탄성부재(G1)는 지지홈(G) 측에서 유도 로울러(52)의 단부 측을 아래쪽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밀 수 있는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도 로울러(52)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작용이 가능한 상태로 두 개 이상의 로울러가 선별 스크린(22) 내측에 세팅될 수 있다.
이러한 선별 유도부(50)는 도 10에서와 같이 선별 스크린(22) 내에서 목재칩(W)의 선별 처리가 이루어질 때, 유도 로울러(52) 측이 제2 스크린부(S2) 구간의 바닥면 측에 머무는 상태로 선별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유도 로울러(52)는 목재칩(W)들을 타고 넘는 상태로 회전 누름 동작되면서 제2 스크린홀(H2)들을 통해 목재칩(W)들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면, 목재칩(W)의 선별 처리시 제2 스크린홀(H2)들에 의한 선별 배출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림에 의한 홀부의 막힘 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선별 유도부(50)는 걸림 제거구(56)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 제거구(56)는 선별 스크린(22)의 회전 동작과 연계하여 스크린 둘레부 외부면 측의 이물질(W3)들을 긁어내는 상태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걸림 제거구(56)는 도 11에서와 같이 커팅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선별 스크린(22)의 둘레부 외부면 하부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본체부(10) 측에 세팅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제거구(56)는 선별 스크린(22)의 일방향 회전시 스크린 외부면 측에 달라붙은 각종 이물질(W3)들을 긁어내는 상태로 스크린으로부터 분리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스크린홀(H1, H2)들의 홀부 막힘 현상 및 스크린 표면의 오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별부(20)의 선별 스크린(22) 측에서 칩 크기가 정상인 목재칩(W)의 선별 처리는 물론이거니와, 이와 연계하여 미세 불량칩(W1) 및 과대 불량칩(W2)을 용이하게 선별 처리할 수 있으며, 선별된 상태로 선별 이송부(30)에 의해 각각 분리 이송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장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송 전환부(40)에 의해 선별 이송부(30)의 이송 자세를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이송 배출 구간을 다양하게 세팅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선별 작업 효율성 및 선별 이송 호환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10: 본체부 20: 선별부
30: 선별 이송부 40: 이송 전환부
W: 목재칩
30: 선별 이송부 40: 이송 전환부
W: 목재칩
Claims (10)
- 선별을 위한 처리공간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처리공간 측에 배치되며, 목재칩 및 불량칩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 스크린을 구비한 선별부;
상기 선별부 측에서 선별된 목재칩 및 불량칩을 분리 이송 배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이송기를 구비한 선별 이송부; 및
상기 선별 이송부의 이송기들의 이송구간을 서로 연결 또는 분리 상태로 전환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 전환부;
를 포함하는 목재칩 선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선별 스크린 측에 제1 스크린홀들을 갖는 제1 스크린부와, 제2 스크린홀들을 갖는 제2 스크린부 및 목재칩 이송을 위한 나선형의 이송 가이드구가 형성되고,
상기 선별 스크린은 상기 본체부의 처리공간 측에 배치되되, 스크린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세팅되는 목재칩 선별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홀들 및 상기 제2 스크린홀들은,
상기 선별 스크린의 길이방향 내에 서로 분할된 구간을 가지며, 각기 다른 크기의 칩을 선별할 수 있는 홀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목재칩 선별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송 가이드구는,
상기 선별 스크린의 내부면 측에 세워진 상태로 스크린 내부면 둘레부를 따라 나선 모양의 연장구간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는 목재칩 선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 이송부는,
상기 선별부 측에서 선별 배출되는 목재칩 및 불량칩들의 배출 낙하 지점과 대응하도록 상기 이송기들이 이격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본체부 측에 설치되는 목재칩 선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전환부는,
상기 선별 이송부의 이송기 측을 상기 본체부 측에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송 자세 전환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링크와, 이 링크에 의한 이송 자세 전환과 부합하는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목재칩 선별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실린더를 사용하고, 피스톤 로드의 전,후진 이동에 의해 상기 이송기의 이송 자세 전환을 유도할 수 있도록 세팅되는 목재칩 선별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송 전환부는,
가변 연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변 연결구는,
상기 이송기들 간의 이격 틈새를 탄력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상태로 연결 형성되는 목재칩 선별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선별 유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별 유도부는,
상기 선별 스크린의 나선형 이송 가이드구 측에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슬라이드 블록과, 이 두 개의 슬라이드 블록 측에 양단이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태로 회전 누름 동작되기 위한 유도 로울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목재칩 선별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도 로울러는,
상기 선별 스크린의 일방향 회전과 연계하여 스크린 내측의 목재칩들을 타고 넘는 상태로 회전 누름 동작되도록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칩 선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7053A KR102725039B1 (ko) | 2022-11-22 | 목재칩 선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7053A KR102725039B1 (ko) | 2022-11-22 | 목재칩 선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76474A true KR20240076474A (ko) | 2024-05-30 |
KR102725039B1 KR102725039B1 (ko) | 2024-11-01 |
Family
ID=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7854B1 (ko) | 2014-03-10 | 2014-09-04 | 주식회사 유림기계 | 톱밥 또는 목재 칩 선별기 |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7854B1 (ko) | 2014-03-10 | 2014-09-04 | 주식회사 유림기계 | 톱밥 또는 목재 칩 선별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01986B2 (ja) | 果実種の殻割り分離分別装置 | |
JPH09187670A (ja) | 破砕機 | |
KR200478183Y1 (ko) | 고철 분리기 | |
US8875902B2 (en) | Fastener sorting device and processing thereof | |
KR20190110867A (ko) |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 | |
KR20240076474A (ko) | 목재칩 선별장치 | |
JP2007098291A (ja) | 小玉状食材の選別装置 | |
KR200436515Y1 (ko) | 파쇄골재의 선별혼입이송장치 | |
CN106006067B (zh) | 具有更少粉尘产生的移动分拣机 | |
KR102725039B1 (ko) | 목재칩 선별장치 | |
KR102144948B1 (ko) | 폐지 압축장치 | |
KR200306217Y1 (ko) | 마늘줄기절단기 | |
KR20210001296U (ko) | 파지선별장치 | |
KR101484925B1 (ko) | 로봇을 이용한 플라즈마 절단장치의 소재 자동선별장치 | |
KR20090070068A (ko) | 쓰레기 및 골재 선별장치 | |
KR101442808B1 (ko) | 로봇을 이용한 플라즈마 절단장치의 소재 자동선별장치 | |
KR101539062B1 (ko) | 콩 선별장치 | |
US1925618A (en) | Grinder for hay, fodder, grain, and the like | |
KR102084455B1 (ko) | 롤러 타입 캡슐 선별기 | |
KR101635460B1 (ko) | 과실 선별기 | |
JP7078225B2 (ja) | 作物収穫機 | |
KR101431218B1 (ko) |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 | |
KR101377516B1 (ko) | 슈트용 철편회수장치 | |
CN213435018U (zh) | 一种水泥生产加工用原料除铁装置 | |
KR200302343Y1 (ko) | 마늘쪽분리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