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673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4673A
KR20230164673A KR1020237032626A KR20237032626A KR20230164673A KR 20230164673 A KR20230164673 A KR 20230164673A KR 1020237032626 A KR1020237032626 A KR 1020237032626A KR 20237032626 A KR20237032626 A KR 20237032626A KR 20230164673 A KR20230164673 A KR 20230164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upport
frame
exhaust gas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즈미 아베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64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in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콤바인에 있어서, 기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컴팩트하게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우수한 중량 밸런스를 얻는다.
주행 기체의 전부에 엔진 (11) 을 배치하고, 주행 기체 상에 탈곡부 및 곡립 저류부를 좌우에 옆으로 나란한 형상으로 배치한 콤바인으로서, 엔진 (11) 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DPF 케이스 (31), 및 엔진 (11) 의 배기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SCR 케이스 (32) 를 갖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를 구비하고,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는, 엔진 (11) 의 상방에 배치된 운전부의 후방, 또한 탈곡부의 좌우 내측에,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상하로 나란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이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로는, 예를 들면, 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 (DPF) 로서의 DPF 케이스와, 요소 (尿素) 를 사용한 선택 촉매 환원 (SCR :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의 시스템을 이루는 SCR 케이스를 갖고, 이들 케이스에 디젤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도입하여 정화하는 구성의 것이 있다. DPF 케이스 및 SCR 케이스는, 서로 동일 정도 크기의 대략 원통 형상의 케이스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관해서, 특허문헌 1 에는, DPF 케이스 및 SCR 케이스를, 길이 방향 (통축 방향) 을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좌우에 옆으로 나란하게 배치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있어서, DPF 케이스 및 SCR 케이스는, 수확한 곡물을 저류하는 곡물 탱크의 외측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기체의 후부 (後部) 에 엔진을 배치함과 함께 기체의 좌측에 탈곡 장치를 형성한 구성에 있어서, 엔진과 탈곡 장치의 사이에 DPF 케이스 및 SCR 케이스를, 길이 방향을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상하로 배치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648963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29895호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구성에 의하면, DPF 케이스 및 SCR 케이스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반면, 곡물 탱크에 오목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곡물 탱크의 저류량에 영향을 미치는 탱크 용적의 확보가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구성에 의하면, 중량물인 엔진 및 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기체의 후부에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체의 중량 밸런스의 면에서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함께, 우수한 중량 밸런스를 얻을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콤바인은, 주행 기체의 전부 (前部) 에 엔진을 배치하고, 상기 주행 기체 상에 탈곡부 및 곡립 저류부를 좌우에 옆으로 나란한 형상으로 배치한 콤바인으로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 및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를 갖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엔진의 상방에 배치된 운전부의 후방, 또한 상기 탈곡부의 좌우 내측에,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상하로 나란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운전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을 상기 주행 기체에 연결시키는 연결 프레임과, 상기 연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를 상기 연결 프레임에 고정 상태로 지지시키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탈곡부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해 상기 탈곡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는, 상기 제 1 케이스의 배기의 출구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배기의 입구 사이에 개재하는 요소 혼합관을 갖고, 상기 요소 혼합관은,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탈곡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는, 상기 요소 혼합관에 요소수를 공급하기 위한 요소수 공급 장치를 갖고, 상기 요소수 공급 장치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프레임을 갖고, 상기 연장 프레임에는, 상기 곡립 저류부를 상기 주행 기체에 있어서의 수납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로크 장치를 구성하는 로크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함께, 우수한 중량 밸런스를 얻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빈 및 외기 도입 커버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행 기체의 전부에 탑재된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우후방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행 기체의 전부에 탑재된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좌후방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행 기체의 전부에 탑재된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좌전방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행 기체의 전부에 탑재된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행 기체의 전부에 탑재된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행 기체의 전부에 탑재된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지 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케이스 유닛을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케이스 유닛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대한 요소수의 공급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케이스 유닛의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케이스 유닛의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케이스 유닛의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요소수 공급 장치 및 요소 분사 컨트롤러의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후면 단면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곡립 탱크의 로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곡립 탱크의 로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인터쿨러의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인터쿨러의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인터쿨러의 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급기관의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갖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배치 구성을 연구함으로써, 기체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 구성의 컴팩트화를 가능하게 함과 함께, 기체의 중량 밸런스의 면에서 유리한 구성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 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 (1) 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콤바인 (1) 의 전방을 향하여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콤바인 (1) 에 있어서의 좌측 및 우측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 (1) 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부 (3, 3) 를 갖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로서 구성된 주행부 (2) 와, 주행부 (2) 에 의해 지지된 주행 기체 (4) 를 구비한다. 콤바인 (1) 은, 예취부 (5) 와, 탈곡부 (6) 와, 곡립 탱크 (7) 와, 선별부 (8) 와, 배출 오거 (9) 와, 배고 (排藁) 처리부 (10) 를 구비한다.
주행부 (2) 를 구성하는 각 크롤러부 (3) 는, 주행 기체 (4) 의 하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트랙 프레임 (3a) 과, 트랙 프레임 (3a) 에 지지된 각종 회전체와, 이들 회전체에 감겨진 크롤러 벨트 (3b) 를 갖는다. 크롤러부 (3) 는, 트랙 프레임 (3a) 에 지지된 회전체로서, 트랙 프레임 (3a) 의 전단부에 지지된 구동 스프로킷 (3c) 등을 포함한다. 크롤러부 (3) 는, 구동 스프로킷 (3c) 에 있어서, 주행 기체 (4) 상에 탑재된 구동원으로서의 엔진 (11) 의 동력의 전달을 받아 구동한다.
예취부 (5) 는, 포장의 곡간 (穀稈) 을 예취하면서 거두어들이기 위한 장치 구성으로, 주행 기체 (4) 의 전부에 형성되어 있다. 예취부 (5) 는, 주행 기체 (4) 의 전측에 있어서, 콤바인 (1) 의 기체 폭의 대략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예취부 (5) 는, 주행 기체 (4) 에 대해, 승강용의 유압 실린더를 통하여 소정의 축 둘레로 회동 (回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유압 실린더의 신축 동작에 의한 회동 동작에 의해서 승강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예취부 (5) 는, 예취 프레임으로서의 예취 지지기 프레임 (5a) 을 갖고, 이 예취 지지기 프레임 (5a) 에, 분초체 (5b), 걷어올림 장치 (5c), 예취날 장치 (5e) 및 곡간 반송 장치 (5f) 를 지지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 (5) 는, 분초체 (5b) 에 의해 포장의 곡간을 분초하고, 분초한 곡간을 걷어올림 장치 (5c) 에 의해 일으키고, 일으킨 곡간을 곡간 반송 장치 (5f) 에 의해 후측으로 반송하면서 예취날 장치 (5e) 에 의해 절단하여 예취한다. 예취부 (5) 가 갖는 각 장치는, 콤바인 (1) 이 구비하는 엔진 (11) 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작동한다.
주행 기체 (4) 상에는, 예취부 (5) 에 의해 예취된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부 (6) 와, 탈곡부 (6) 로부터 취출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부로서의 곡립 탱크 (7) 가, 옆으로 나란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탈곡부 (6) 는 기체 좌측에, 곡립 탱크 (7) 는 기체 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탈곡부 (6) 는, 전후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는 탈곡통 (6a) 및 처리통 (도시 생략) 과, 탈곡통 (6a) 의 좌측에 형성된 곡간 공급 장치를 갖는다. 곡간 공급 장치는, 곡간의 그루터기 부분을 협지하여 이삭 끝을 탈곡통 (6a) 측으로 한 옆으로 누운 자세로 곡간을 후방으로 반송한다. 곡간 공급 장치는, 좌우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는 복수의 스프로킷에 감겨진 피드 체인과, 피드 체인과 협동하여 곡간의 그루터기 부분을 협액 (挾扼) 하는 곡간 공급 협액체 (도시 생략) 를 갖는다.
주행 기체 (4) 상에 있어서의 탈곡부 (6) 의 하방에는, 탈곡부 (6) 에 의해 탈곡 처리된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부 (8) 가 형성되어 있다. 선별부 (8) 는, 요동 선별 장치 (8a) 와, 도시하지 않은 바람 선별 장치 및 곡립 반송 장치를 갖는다. 선별부 (8) 는, 탈곡부 (6) 로부터 낙하해 온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 (8a) 에 의해 요동 선별하고, 요동 선별 후의 처리물을 바람 선별 장치에 의해 바람 선별한다. 선별부 (8) 는, 바람 선별 후의 처리물 중, 곡립을 곡립 반송 장치에 의해 곡립 탱크 (7) 를 향하여 우방으로 반송하고, 짚 부스러기나 먼지 등을 바람 선별 장치에 의해 후방으로 날려 기체의 외부로 배출한다. 곡립 반송 장치에 의해 곡립 탱크 (7) 를 향하여 반송된 곡립은, 곡립 탱크 (7) 에 저류된다.
주행 기체 (4) 상의 우측 후단부에는, 곡립 탱크 (7) 내의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로서의 배출 오거 (9) 가, 주행 기체 (4) 의 우후측에 형성된 세로 취출 컨베이어 (9b) 를 통해 선회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곡립 탱크 (7) 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은, 스크루 컨베이어를 내장한 배출 오거 (9) 에 의해 반송되고, 배출 오거 (9) 의 선단부에 형성된 배출구 (9a) 로부터 배출된다. 배출구 (9a) 로부터 배출된 곡립은, 트랙의 짐받이나 컨테이너 등에 투입된다.
한편, 주행 기체 (4) 상에 있어서, 탈곡부 (6) 의 후방에는, 탈곡부 (6) 에 의한 탈곡 처리 후의 배출된 짚을 처리하는 배고 처리부 (10) 가 형성되어 있다. 배고 처리부 (10) 는, 배고 반송 장치 (10a) 와, 배고 절단 장치 (10b) 를 갖는다. 배고 반송 장치 (10a) 는, 탈곡부 (6) 에 의해 탈곡이 끝난 곡간 (배출 짚) 을 후방으로 반송하여 기체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혹은 배고 절단 장치 (10b) 로 반송한다. 배고 절단 장치 (10b) 는, 배고 반송 장치 (10a) 로부터 반송된 배출 짚을 절단하여 기체의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주행 기체 (4) 상에 있어서, 예취부 (5) 의 우방이면서 곡립 탱크 (7) 의 전방에는, 캐빈 (20) 에 의해 덮인 운전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즉, 운전부 (12) 는, 주행 기체 (4) 의 전부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운전부 (12) 는, 캐빈 (20) 내에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부 (12) 의 전부에는, 조향 조작부로서의 핸들 (18) 이 형성되어 있고, 핸들 (18) 의 후방에 운전석 (19)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 (19) 의 좌측방에는, 주변속 레버 (21) 나 부변속 레버 (22) 등의 각종 조작구 등을 사이드 칼럼 (23) 에 배치 형성한 측방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다.
운전부 (12) 의 후하방에는, 엔진 룸 (13) 내에 설치된 엔진 (11) 을 포함하는 원동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엔진 (11) 의 동력은, 변속 장치 등을 통하여, 주행부 (2), 예취부 (5), 탈곡부 (6), 선별부 (8), 배출 오거 (9), 배고 처리부 (10) 등, 콤바인 (1) 이 구비하는 각 부의 각종 장치에 전달된다. 엔진 (11) 은, 디젤 엔진이다.
엔진 룸 (13) 내에 있어서, 엔진 (11) 의 우측방에는 라디에이터 (14) 가 배치되어 있다 (도 3 참조). 라디에이터 (14) 는, 엔진 (11) 의 냉각수의 순환 경로의 도중에 형성되어 있고, 엔진 (11) 으로부터 보내져 온 냉각수를, 외기와의 사이의 열 교환에 의해 냉각한다. 라디에이터 (14) 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는, 엔진 (11) 으로 되돌려진다. 라디에이터 (14) 는, 직사각형판 형상의 외형을 갖고, 좌우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세워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11) 의 우측방에는, 엔진 룸 (13) 의 우측을 덮는 엔진 커버로서의 외기 도입 커버 (15) 가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커버 (15) 의 내측에, 라디에이터 (14) 가 위치하고 있다. 즉, 엔진 (11) 과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사이에, 라디에이터 (14) 가 배치되어 있다. 외기 도입 커버 (15) 로부터 도입된 외기는, 라디에이터 (14) 에 있어서의 열 교환에 사용된다.
외기 도입 커버 (15) 는, 콤바인 (1) 의 우측에 있어서, 캐빈 (20) 과 곡립 탱크 (7)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커버 (15) 는, 곡립 탱크 (7) 의 우측의 측면부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커버 (15) 의 뒷가장자리부는, 측면에서 보아 연직 방향을 따르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커버 (15) 는, 그 뒷가장자리부를 따르도록 주행 기체 (4) 상에 세워서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지주 (支柱) 에 대해, 도시하지 않은 힌지부를 개재하여 상하 방향을 회동축 방향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외기 도입 커버 (15) 는, 지주에 대한 후측의 회동 지지부에 의해, 전측으로부터 열리도록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커버 (15) 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엔진 (11) 및 라디에이터 (14) 의 기외측이 되는 우측이 외기 도입 커버 (15) 에 의해 덮여, 엔진 룸 (13) 이 우측으로부터 닫힌 상태가 된다. 외기 도입 커버 (15) 가 열림으로써, 엔진 룸 (13) 의 우측이 개방된 상태로 된다.
외기 도입 커버 (15) 에는, 로터리 스크린 (16) 이 형성되어 있다. 로터리 스크린 (16) 은, 엔진 룸 (13) 내에, 엔진 (11) 에 대한 냉각풍으로서 외기를 포함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로터리 스크린 (16) 은, 외기 도입 커버 (15) 에 형성된 원형상의 개구부 (16a) 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회전 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터리 스크린 (16) 은, 원형상의 개구부 (16a) 에, 메시상의 방진망 (16b) 을 펼쳐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방진망 (16b) 에 의해, 티끌이나 먼지나 짚 등이 포집되어, 먼지 등이 외기와 함께 엔진 룸 (13) 내에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방진망 (16b) 에 의해 포집된 먼지 등은, 로터리 스크린 (16) 의 외측에 형성된 흡인 장치 (17) 에 의해 제거된다. 흡인 장치 (17) 는, 방진망 (16b) 에 부착된 먼지 등을 흡인하여 기기 밖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상측에는, 상(上)커버부 (24) 가 형성되어 있다. 상커버부 (24) 는, 판상의 커버 부분으로, 외기 도입 커버 (15) 와 동일 평면상의 우측면부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커버부 (24) 는, 소정의 프레임 부분 등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콤바인 (1) 은, 주행 기체 (4) 의 전부에 엔진 (11) 을 배치하고, 주행 기체 (4) 상에 탈곡부 (6) 및 곡립 탱크 (7) 를 좌우에 옆으로 나란한 형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주행 기체 (4) 는, 트랙 프레임 (3a) 상에 있어서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프레임 부재나 판상 부재 등에 의해 수평한 형상으로 구성된 기대부 (機臺部) (25) 를 갖는다 (도 8 참조). 전후 방향에 대해, 기대부 (25) 의 후측은, 크롤러부 (3) 의 후단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기대부 (25) 상에, 엔진 (11) 그리고 탈곡부 (6) 및 곡립 탱크 (7) 가 형성되어 있다. 엔진 (11) 은, 출력축의 축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기대부 (25) 의 전부의 우측 근방 위치에 탑재되어 있다. 즉, 엔진 (11) 은, 주행 기체 (4) 의 전부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기대부 (25) 상에 있어서의 엔진 (11) 보다 후측 부분에, 탈곡부 (6) 및 곡립 탱크 (7)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대부 (25) 의 전측에 있어서의 좌우의 크롤러부 (3) 사이에는, 미션 케이스 (26) 가 배치되어 있다. 엔진 (11) 의 동력은, 미션 케이스 (26) 를 통하여 좌우의 크롤러부 (3) 에 전달된다.
도 5 내지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 (1) 은, 엔진 (11) 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는, 제 1 케이스로서의 DPF 케이스 (31) 와, 제 2 케이스로서의 SCR 케이스 (32) 를 갖고, 이들 케이스에 엔진 (11) 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도입하여,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는 그을음 등의 입자상 물질이나 질소 산화물 (NOx) 등을 제거함으로써 배기가스를 정화한다.
DPF 케이스 (31) 는, 엔진 (11) 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 케이스이다. SCR 케이스 (32) 는, 요소를 사용한 선택 촉매 환원 (SCR) 시스템을 이루고, 엔진 (11) 의 배기가스 중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케이스이다.
DPF 케이스 (31) 는, 케이스 내에 형성된 디젤 산화 촉매 및 매연 필터를 갖는다. 디젤 산화 촉매는, 이산화질소 (NO2) 를 생성하는 백금 등의 산화 촉매이다. 매연 필터는, 포집한 입자상 물질을 비교적 저온에서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하는 허니콤 구조의 필터이다. DPF 케이스 (31) 의 케이스 내에 있어서, 디젤 산화 촉매 및 매연 필터는, 배기가스의 흐름에 대해 상류측을 디젤 산화 촉매, 하류측을 매연 필터로 하여 직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디젤 산화 촉매 및 매연 필터에 의해, DPF 케이스 (31) 내를 통과하는 엔진 (11) 의 배기가스 중의 흑연을 주체로 하는 입자상 물질이 제거됨과 함께,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 (CO) 나 탄화수소 (HC) 가 저감된다.
SCR 케이스 (32) 는, 케이스 내에 형성된 SCR 촉매 및 산화 촉매를 갖는다. SCR 촉매는, 요소 선택 촉매 환원용 촉매이다. SCR 케이스 (32) 의 케이스 내에 있어서, SCR 촉매 및 산화 촉매는, 배기가스의 흐름에 대해, 상류측을 SCR 촉매, 하류측을 산화 촉매로 하여 직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SCR 촉매 및 산화 촉매에 의해, SCR 케이스 (32) 내를 통과하는 배기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 (NOx) 을 저감한다.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는, 모두 대략 원통 형상의 케이스로서 구성되어 있고, 서로 동일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각각에 있어서, 대략 원통 형상의 외형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통축 방향) 이, 케이스 내에 있어서의 배기가스의 흐름의 방향이 된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에 있어서,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는, DPF 케이스 (31) 를 하측, SCR 케이스 (32) 를 상측으로 하여 상하로 세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SCR 케이스 (32) 는, DPF 케이스 (31) 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고,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는, 대략 원통 형상의 외형에 있어서의 중심축을 공통의 연직면에 위치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DPF 케이스 (31) 와 SCR 케이스 (32) 사이의 상하의 간격은, 어느 하나의 케이스의 외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되어 있다.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는, 대략 원통 형상의 외형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는, 서로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전후 방향의 위치를 서로 대략 공통으로 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는, 주행 기체 (4) 의 전부에 배치된 엔진 (11) 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는, 다음과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하 방향에 대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는, 엔진 (11) 의 본체 부분의 상방에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를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0 참조). 상하 방향에 대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배치 위치는, 탈곡부 (6) 의 상측의 위치이면서, 수평 형상의 배출 오거 (9) 보다 하측의 위치이다 (도 1 참조).
또한, 전후 방향에 대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는, 엔진 (11) 의 본체 부분의 후단부의 상방에,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전단부를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 참조). 전후 방향에 대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배치 위치는, 캐빈 (20) 의 후벽부 (20a) 의 바로 후방의 위치가 된다 (도 1, 도 2 참조).
또한, 좌우 방향에 대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는, 엔진 (11) 의 좌측의 단부의 상방에,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를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0 참조). 좌우 방향에 대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배치 위치는, 주행 기체 (4) 의 대략 좌우 중앙부의 위치이고, 탈곡부 (6) 와 곡립 탱크 (7) 사이의 위치로 되어 있다 (도 3 참조).
또,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는, 캐빈 (20) 의 루프부 (20b) 보다 하측의 위치로서, 캐빈 (20) 의 좌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도 3 참조).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빈 (20) 의 후벽부 (20a) 는, 후경 (後傾) 형상으로 기울어진 면부로 되어 있고, 캐빈 (20) 의 루프부 (20b) 의 후단부는 후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에서 보아,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우전측의 부분은, 루프부 (20b) 의 좌후측의 모서리부에 의해 덮여 있다 (도 3 참조).
이상과 같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배치 구성에 의해,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는, 엔진 (11) 의 상방에 배치된 운전부 (12) 의 후방, 또한 탈곡부 (6) 의 좌우 내측인 우측에,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상하로 나란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배관 구성 및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에 접속된 장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엔진 (11) 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출구부를 구성하는 배기 매니폴드에는, 과급기 (4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7 참조). 과급기 (40) 는, 서로 동축 구동되는 배기 터빈 및 컴프레서를 갖고, 엔진 (11) 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보낸다. 과급기 (40) 의 배기가스의 출구측에, 엔진 (11) 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 (41) 의 일단측 (상류측) 이 연통 접속되어 있다.
배기관 (41) 의 타단측 (하류측) 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DPF 케이스 (31) 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DPF 케이스 (31) 는, 그 전부의 하측에, 하방을 향해 돌출된 배기가스 도입구 (31a) 를 갖고, 배기가스 도입구 (31a) 에, 배기관 (41) 의 하류측이 접속되어 있다. 배기관 (41) 에 의해, 엔진 (11) 의 배기가스가 DPF 케이스 (31) 내에 도입된다.
과급기 (40) 는, 엔진 (11) 의 상부의 전측에 형성되어 있고, 좌측을 배기가스의 출구측으로 하고 있다. 배기관 (41) 은, 과급기 (40) 의 좌측에서부터 뒤쪽 비스듬한 상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어, DPF 케이스 (31) 의 전단부의 하측에 접속되어 있다.
배기관 (41) 은, 과급기 (40) 의 배기가스의 출구측에 연통 접속된 배기 연결관 (41a) 과, DPF 케이스 (31) 의 배기가스 도입구 (31a) 에 연통 접속된 DPF 입구관 (41b) 과, 배기 연결관 (41a) 및 DPF 입구관 (41b)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관끼리를 연통 접속시키는 플렉시블관 (41c) 을 갖는다. 플렉시블관 (41c) 은, 구부려 꺾거나 신축을 가능하게 하도록 벨로스상으로 구성되고, 엔진 (11) 의 진동을 흡수하여, 엔진 (11) 의 진동이 배기 연결관 (41a) 으로부터 DPF 입구관 (41b) 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배기 연결관 (41a) 및 DPF 입구관 (41b) 은, 모두 주물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DPF 케이스 (31) 에 있어서, 대략 원통 형상의 외형에 있어서의 후면부 (31b) 로부터, DPF 케이스 (31) 내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DPF 출구관 (42) 이 연장 돌출되어 있다. DPF 출구관 (42) 은, DPF 케이스 (31) 의 후면부 (31b) 의 중앙부로부터 좌상방으로 연장 돌출되고 나서 전측을 향하도록 되접힌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DPF 출구관 (42) 은, DPF 케이스 (31) 의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후면에서 볼 때), 후면부 (31b) 의 중앙부로부터, 연직 방향에 대해 예를 들면 50 ∼ 55°정도의 경사 각도를 이루도록 좌상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한편, SCR 케이스 (32) 는, 그 전부의 좌하측에, 좌하방을 향해 돌출된 배기가스 도입구 (32a) 를 갖고, 배기가스 도입구 (32a) 에, SCR 입구관 (43) 의 하류측이 연통 접속되어 있다. SCR 입구관 (43) 은, 배기가스 도입구 (32a) 로부터 후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엘보 형상의 배관이다 (도 13 참조). SCR 입구관 (43) 은, SCR 케이스 (32) 의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배기가스 도입구 (32a) 로부터, 연직 방향에 대해 40 ∼ 45°정도의 경사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7 참조).
DPF 출구관 (42) 의 하류측과 SCR 입구관 (43) 의 상류측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고, DPF 출구관 (42) 과 SCR 입구관 (43) 사이에, 이들 관끼리를 연통 접속시키는 요소 혼합관 (45) 이 형성되어 있다. 요소 혼합관 (45) 은, DPF 케이스 (31) 의 좌상방의 위치이면서, 또한 SCR 케이스 (32) 의 좌하방의 위치에 위치하고, 이들 케이스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한 형상이 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면에서 볼 때,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각 케이스의 중심축 (C1, C2) 의 위치와, 요소 혼합관 (45) 의 중심축 (C3) 의 위치를 연결하는 삼각형은, 우측을 바닥변측으로 하는 대략 이등변 삼각형상이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DPF 케이스 (31) 로부터 후측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DPF 출구관 (42) 에 의해 흐름을 전측으로 되돌리고, 요소 혼합관 (45) 및 SCR 입구관 (43) 을 거쳐, 배기가스 도입구 (32a) 로부터 SCR 케이스 (32) 내에 도입된다.
SCR 케이스 (32) 의 후측에는, SCR 케이스 (32) 내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SCR 출구관 (46) 이 형성되어 있다. SCR 케이스 (32) 의 후부는, 전측에서부터 후측에 걸쳐 서서히 축경된 보울 형상의 축경부 (32b) 로 되어 있고, 축경부 (32b) 의 후단부에는, 후방을 향해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 배출구부 (32c)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 참조). 배출구부 (32c) 는, SCR 케이스 (32) 로부터의 배기가스의 배출구를 형성하고 있다.
SCR 출구관 (46) 은, 일단측 (상류측) 의 내부에 원통 형상의 배출구부 (32c) 를 위치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부 (32c) 는, SCR 출구관 (46) 내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고, SCR 케이스 (32) 의 내부 공간과 SCR 출구관 (46) 이 연통되어 있다. 배출구부 (32c) 는, SCR 출구관 (46) 의 관경에 대해 소경의 부분이고, SCR 출구관 (46) 의 내주면과 배출구부 (32c) 의 외주면 사이에는,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간극이 전체 둘레에 걸쳐 존재하고 있다.
SCR 출구관 (46) 은, 후면에서 보아 좌상측을 향하도록, 또한 평면에서 보아 좌후측을 향하도록 엘보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SCR 출구관 (46) 의 타단측 (하류측) 에는, SCR 출구관 (46) 과 함께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배출관 부분을 구성하는 테일 파이프 (47) 가 장착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 (47) 는, SCR 출구관 (46) 을 왼쪽 비스듬한 후상방에 직선상으로 연장 돌출시킨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 (47) 는, 선단측의 개구부에 있어서 비스듬한 컷 형상의 개구 형상을 갖는다.
DPF 출구관 (42) 에는, 요소 분사부 (48) 가 형성되어 있다. 요소 분사부 (48) 는, DPF 출구관 (42) 에 있어서, 상류측의 만곡 부분과 하류측의 직선상 부분 사이의 부분으로부터, 요소 혼합관 (45) 을 후방으로 연장 돌출시킨 양태를 이루는 통 형상의 돌출부 (42a) 에 대해 형성되어 있다. 요소 분사부 (48) 는, DPF 출구관 (42) 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는, DPF 케이스 (31) 의 배기의 출구를 구성하는 DPF 출구관 (42) 과 SCR 케이스 (32) 의 배기의 입구를 구성하는 SCR 입구관 (43) 사이에 개재하는 요소 혼합관 (45) 을 갖는다. 그리고, 요소 혼합관 (45) 은,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에 대해 탈곡부 (6)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는, 좌우 방향에 대해 좌측의 탈곡부 (6) 와 우측의 곡립 탱크 (7)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요소 혼합관 (45) 은,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에 대해 좌측, 즉 탈곡부 (6)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소 혼합관 (45) 은,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좌측에 있어서, 이들 케이스의 중간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요소 분사부 (48) 에 요소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도 14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는, 요소 혼합관 (45) 에 요소수를 공급하기 위한 요소수 공급 장치 (50) 를 갖는다.
요소수 공급 장치 (50) 는, 요소수 탱크 (51) 에 저류된 요소수 (선택 촉매 환원용 요소 수용액) 를, 요소 분사부 (48) 에 공급한다. 요소 분사부 (48) 는, 요소수 공급 장치 (50) 에 대하여 분사용 배관 (52) 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분사용 배관 (52) 으로부터 요소수의 공급을 받는다. 요소 분사부 (48) 는, 분사 밸브 (48a) 를 갖고, 요소수 공급 장치 (50) 에 의해 분사용 배관 (52) 으로부터 공급된 요소수를 분사 밸브 (48a) 에 의해 요소 혼합관 (45) 내에 분무한다.
요소수 공급 장치 (50) 와 요소수 탱크 (51) 사이에는, 요소수 탱크 (51) 로부터 요소수 공급 장치 (50) 로 요소수를 공급하기 위한 요소수 공급관 (53) 과, 요소수 공급 장치 (50) 로부터 요소수 탱크 (51) 로 요소수를 복귀시키기 위한 요소수 복귀관 (54)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소수 공급 장치 (50) 는, 요소수 탱크 (51) 내의 요소수를 압송시키는 펌프 (50a) 와, 펌프 (50a) 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 (50b) 를 갖는다.
요소수 공급 장치 (50) 의 동작은, 요소 분사 컨트롤러 (55) 에 의해 제어된다. 요소 분사 컨트롤러 (55) 는, 콤바인 (1) 이 구비하는 엔진 컨트롤러 (56) 에 접속되어 있고, 엔진 컨트롤러 (56) 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교환을 실시한다. 엔진 컨트롤러 (56) 는, 엔진 (11) 의 연료 분사 제어 등을 실시한다. 요소 분사 컨트롤러 (55) 는, 요소 분사부 (48) 의 분사 밸브 (48a), 및 요소수 공급 장치 (50) 의 전동 모터 (50b) 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고, 분사 밸브 (48a) 및 요소수 공급 장치 (50) 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요소수 탱크 (51) 에는, 탱크 내의 요소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 (51a) 와, 탱크 내의 요소수의 수량을 검출하기 위한 수량 센서 (51b) 가 형성되어 있다. 온도 센서 (51a) 및 수량 센서 (51b) 는, 요소 분사 컨트롤러 (55) 에 접속되어 있고, 각 센서의 검출 신호는 요소 분사 컨트롤러 (55) 에 입력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엔진 (11) 의 작동 상황 등에 따라서, 적정한 타이밍에 요소 혼합관 (45) 내에 요소수가 공급된다. 요소 혼합관 (45) 내에 공급된 요소수는, DPF 케이스 (31) 로부터 배출되어 SCR 케이스 (32) 에 도입되는 배기가스 중에 암모니아로서 혼합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에 있어서는, 엔진 (11) 의 배기가스가 DPF 케이스 (31) 를 경유함으로써,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이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됨과 함께,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 (CO) 나 탄화수소 (HC) 의 함유량이 저감된다. DPF 케이스 (31) 로부터 배출된 요소 혼합관 (45) 내의 배기가스는, 요소 분사부 (48) 로부터 요소수를 분사함으로써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암모니아의 혼합을 받아 SCR 케이스 (32) 내에 도입된다. SCR 케이스 (32) 내에 도입된 배기가스는, SCR 케이스 (32) 를 경유함으로써, 질소 산화 물질 (NOx) 의 함유량이 저감되는 작용을 받는다. 이상과 같이 하여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에 의해 정화된 엔진 (11) 의 배기가스는, SCR 출구관 (46) 을 거쳐 테일 파이프 (47) 로부터 왼쪽 비스듬한 후상방을 향하여 기외로 배출된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주행 기체 (4) 상에 있어서의 지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는, 주행 기체 (4) 가 갖는 기대부 (25) 에 대하여 소정의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콤바인 (1) 은, 기대부 (25) 에 대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지지 구성으로서, 주행 기체 (4) 의 기대부 (25) 상에 형성되고, 운전부 (12) 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60) 과, 지지 프레임 (60) 을 주행 기체 (4) 의 기대부 (25) 에 연결시키는 연결 프레임 (80) 을 구비한다 (도 11 참조).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 (60) 및 연결 프레임 (80) 은, 기대부 (25) 의 전부에 설치된 엔진 (11) 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틀이 짜여 구성되어 있고, 엔진룸 (13) (도 3 참조) 을 형성하고 있다. 엔진 (11) 의 우측에는, 냉각 팬 (71) 이 형성되어 있고, 냉각 팬 (71) 의 우측에 라디에이터 (14) 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 참조). 라디에이터 (14) 의 좌측에는, 냉각 팬 (71) 의 주위를 덮는 슈라우드가 형성되어 있다. 냉각 팬 (71) 이 회전 구동함으로써, 라디에이터 (14) 의 우측방에 배치된 외기 도입 커버 (15) 의 로터리 스크린 (16) 으로부터 엔진 룸 (13) 내에 냉각용 외기가 도입된다 (도 3, 도 4 참조).
지지 프레임 (60) 은, 엔진 (11) 의 전부의 상방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횡프레임 (61) 과, 횡프레임 (61) 과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엔진 (11) 의 우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전후 연신 프레임 (62) 과, 전좌 (前左) 지주 (63), 전우 (前右) 지주 (64) 및 후우 (後右) 지주 (65) 의 3 개의 지주를 갖는다. 지지 프레임 (60) 을 구성하는 이들 프레임 및 지주는, 모두 각형 강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전좌 지주 (63) 는, 기대부 (25) 상에 있어서의 엔진 (11) 의 좌방의 위치에 형성된 지지대부 (73) 상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부 (73) 는, 기대부 (25) 상에 세워서 형성된 지주 (73a) 나 지지대 (73b) 등에 의해 수평 형상의 지지면부 (73c) 를 지지한 구성을 갖는다. 전좌 지주 (63) 는, 전좌 지주 (63) 의 하단부에 소정의 지지 금구를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된 지지부 (63a) 를, 지지면부 (73c) 에 대하여 볼트 등에 의해 고정시킨 상태에서, 지지면부 (73c) 상에 연직 형상으로 세워서 형성되어 있다.
전우 지주 (64) 는, 전후 방향에 대해, 전좌 지주 (63)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엔진 (11) 의 우전방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전우 지주 (64) 는, 전우 지주 (64) 의 하단부에 형성된 지지판부 (64a) 등을 개재하여 하단부를 기대부 (25) 에 대해 볼트 등에 의해 고정시킨 상태로 기대부 (25) 상에 연직 형상으로 세워서 형성되어 있다.
후우 지주 (65) 는, 전우 지주 (64) 에 대하여 좌우 방향의 위치를 대략 동일하게 함과 함께 전우 지주 (64) 의 후방에 위치하고, 엔진 (11) 의 우후방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후우 지주 (65) 는, 후우 지주 (65) 의 하단부에 형성된 지지판부 (65a) 등을 개재하여 하단부를 기대부 (25) 에 대해 볼트 등에 의해 고정시킨 상태로 기대부 (25) 상에 연직 형상으로 세워서 형성되어 있다.
전후 연신 프레임 (62) 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연신되어 있고, 전우 지주 (64) 및 후우 지주 (65) 에 의해 전후 양측에서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전우 지주 (64) 는, 전후 연신 프레임 (62) 의 전단부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후우 지주 (65) 는, 전후 연신 프레임 (62) 의 후부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전우 지주 (64) 및 후우 지주 (65) 각각의 상단측은, 용접 등에 의해 전후 연신 프레임 (62) 에 고정되어 있다.
후우 지주 (65) 는, 전후 연신 프레임 (62) 의 후단부보다 전측의 위치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전후 연신 프레임 (62) 은, 후우 지주 (65) 에 의한 지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된 후방 연출부 (62a) 를 갖는다. 또한, 전후 연신 프레임 (62) 은, 수평 형상의 후부에 대해 전부를 완만하게 전방 내리막으로 경사시킨 경사부 (62b) 로 되어 있어, 경사부 (62b) 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전우 지주 (64) 는, 후우 지주 (65) 에 대해 높이가 낮게 되어 있다.
횡프레임 (61) 은, 전좌 지주 (63) 와 전후 연신 프레임 (62) 사이에 수평 형상으로 가설되어 있다. 횡프레임 (61) 의 좌단부는, 전좌 지주 (63) 의 상하 중간부의 전면에 대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횡프레임 (61) 의 우단부는, 전후 연신 프레임 (62) 의 전부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전후 연신 프레임 (62) 에 대해 소정의 지지 금구 (66) 등을 통하여 고정 지지되어 있다.
횡프레임 (61) 은, 캐빈 (20) 의 후부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횡프레임 (61) 에는, 좌우 양측에 수대부 (受臺部) (67) 가 형성되어 있다. 수대부 (67) 는, 횡프레임 (61) 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돌출 형성된 수평판 형상의 부분이다. 수대부 (67) 는, 캐빈 (20) 의 바닥면부의 후부에 형성된 지지 각체 (脚體) (도시 생략) 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지지 각체는, 고무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대부 (67) 에는, 지지 각체를 수용하기 위한 원형의 관통 구멍 (67a) 이 형성되어 있다.
캐빈 (20) 은, 좌우의 수대부 (67) 에 대하여 지지 각체를 상측으로부터 맞닿게 한 상태로, 횡프레임 (61)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캐빈 (20) 은, 기대부 (25) 상에 있어서 엔진 (11) 의 전방에 형성된 소정의 회동 지지부에 의해, 좌우 방향을 회동축 방향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캐빈 (20) 의 후부는, 좌우의 수대부 (67) 에 대해 이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캐빈 (20) 내에 형성된 운전부 (12) 가, 기대부 (25) 상에 형성된 지지 프레임 (60) 에 의해 지지된다.
연결 프레임 (80) 은, 엔진 (11) 의 상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과, 엔진 (11) 의 후방에 형성된 후중앙 지주 (82) 를 갖는다.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및 후중앙 지주 (82) 는, 모두 각형 강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후중앙 지주 (82) 는, 기대부 (25) 상에 있어서의 엔진 (11) 의 좌우 중앙부의 후방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후중앙 지주 (82) 는, 좌우 방향에 대해, 전좌 지주 (63) 와 전우 지주 (64) 사이의 대략 중앙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전후 방향에 대해, 후우 지주 (65) 보다 후방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후중앙 지주 (82) 는, 후중앙 지주 (82) 의 하단부에 소정의 지지 금구를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된 지지부 (82a) 를, 기대부 (25) 에 대해 볼트 등에 의해 고정시킨 상태로, 기대부 (25) 상에 연직 형상으로 세워서 형성되어 있다.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은, 수평 형상으로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연신되어 있고, 횡프레임 (61) 및 후중앙 지주 (82) 에 의해 전후 양단에서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전단부는, 횡프레임 (61) 의 좌우 대략 중앙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하지지 금구 (83) 및 상지지 금구 (84) 를 통하여 고정 지지되어 있다 (도 17 참조).
하지지 금구 (83) 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평 형상의 상면부를 갖는 금구로서, 용접에 의해 횡프레임 (61) 에 고정되어 있다. 상지지 금구 (84) 는, 수평 형상의 하면부를 갖고 측면에서 보아 대략 U 자 형상을 이루는 금구로서, 용접에 의해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에 고정되어 있다. 하지지 금구 (83) 및 상지지 금구 (84) 는, 하지지 금구 (83) 의 상면부와 상지지 금구 (84) 의 하면부를 중첩한 상태로, 볼트 (85)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횡프레임 (61) 상에 있어서의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지지부는, 횡프레임 (61) 에 형성된 좌측의 수대부 (67) 의 좌측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후중앙 지주 (82) 는,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후단부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후중앙 지주 (82) 의 상단측은, 용접 등에 의해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 프레임 (80) 을 이루는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및 후중앙 지주 (82) 에 의해, 일단측을 횡프레임 (61) 에 연결 지지시킴과 함께 타단측을 기대부 (25) 상에 지지시킨 L 자 형상의 프레임 부분이 구성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 (80) 에 대해,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상에, 지지 프레임체 (90) 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체 (90) 는,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를 연결 프레임 (80) 에 고정 상태로 지지시키는 부재이다. 즉, 연결 프레임 (80) 을 구성하는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상에,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가, 지지 프레임체 (90) 을 통하여 고정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콤바인 (1) 은, 기대부 (25) 에 대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지지 구성으로서, 연결 프레임 (80) 에 형성된 고정 부재로서의 지지 프레임체 (90) 를 구비한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체 (90) 는, 대략 직사각형판 형상의 외형을 이루는 부재로서,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외프레임부 (91) 와, 외프레임부 (91) 내에 있어서 방사상을 이루도록 가로 방향 및 비스듬한 방향으로 배치된 6 개의 직선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가설부 (92) 를 갖는다. 외프레임부 (91) 의 각 변부와 가설부 (92) 의 직선부에 의해, 지지 프레임체 (90) 를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복수의 (본 실시형태에서는 6 개소의) 개구부 (93) 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개구부 (93) 에 의해,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에 대한 통기성이 확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체 (90) 는 주물 부품으로, 높은 강성을 갖는다. 단, 지지 프레임체 (90) 는, 주물 부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금속제의 부재여도 된다.
지지 프레임체 (90) 는, 대략 직사각형판 형상의 외형에 있어서의 판두께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에 대해, 지지 브래킷 (95) 및 지지 플레이트 (96) 를 통하여 고정 지지되어 있다 (도 15 참조). 지지 브래킷 (95) 및 지지 플레이트 (96) 는, 모두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대략 절반의 길이를 갖는 길다란 형상의 부재로,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후반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그리고 이것들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체 (90) 는, 전후 방향에 대해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대략 절반의 길이를 갖고,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후반부에 대해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 (95) 은, 전면부, 후면부, 우측의 측면부 및 상면부를 갖고, 하측 및 좌측을 개방측으로 한 대략 각통 형상의 부재이다. 지지 브래킷 (95) 은,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상에 중첩된 상태로,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에 대하여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 (95) 은, 상면부를 지지면부 (95a) 로 하고 있다. 지지면부 (95a) 는,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상면 (81a) 의 상방에 위치하는 수평 형상의 면부이다.
지지 브래킷 (95) 은, 전면부 및 후면부에 있어서,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좌측면을 따르는 연출편부를 갖는다. 지지 브래킷 (95) 은,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의 단부를,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에 대한 용접부로 하고 있다. 또한, 지지 브래킷 (95) 의 내부에는,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및 지지 브래킷 (95) 각각에 대하여 용접된 복수의 판상의 지지 부재 (95b) (도 17 참조) 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 (96) 는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판 형상의 부재로, 지지 브래킷 (95) 의 지지면부 (95a) 의 상측에 중첩된 상태로 지지 브래킷 (95) 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 (96) 는, 좌우 방향에 대응한 폭 방향의 우측 부분을 지지 브래킷 (95) 의 지지면부 (95a) 상에 중첩한 상태로, 지지 플레이트 (96) 및 지지 브래킷 (95) 의 지지면부 (95a) 를 상측으로부터 관통하는 볼트 (97) 에 의해 지지 브래킷 (95) 에 고정되어 있다. 볼트 (97) 는, 지지면부 (95a) 의 하측에 위치하는 너트부 (98) 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볼트 (97) 에 의한 고정부는, 지지 플레이트 (96) 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지점 (예를 들어 4 개소) 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 (96) 는 폭 방향의 좌측의 대부분을, 지지 브래킷 (95) 의 지지면부 (95a) 로부터 좌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 (96) 는, 전후 양단부에, 평면 형상의 본체부에 대해 하측으로 굴곡된 굴곡부를 갖는다.
이와 같이 지지 브래킷 (95) 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 (96) 에 대해, 지지 프레임체 (90) 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체 (90) 는, 지지 플레이트 (96) 에 있어서 지지 브래킷 (95) 으로부터의 좌방으로의 돌출 부분 상에, 고정 볼트 (99) 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체 (90) 는, 외프레임부 (91) 의 하변부 (91a) 의 하면을 지지 플레이트 (96) 의 상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지지 플레이트 (96) 상에 세워 형성되어 있다.
고정 볼트 (99) 는, 지지 플레이트 (96) 을 하측으로부터 관통하고, 외프레임부 (91) 의 하변부 (91a) 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볼트 (99) 에 의한 고정부는, 지지 플레이트 (96) 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군데 (예를 들어 4 개소) 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 프레임체 (90) 는,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후부에 대하여 지지 브래킷 (95) 및 지지 플레이트 (96) 를 통해서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체 (90) 는, 지지 브래킷 (95) 및 지지 플레이트 (96) 를 개재함으로써,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좌상방의 위치에 세워서 형성되어 있고, 좌우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하는 지지 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체 (90) 에 대한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고정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는, 각각 동일한 구성에 의해 지지 프레임체 (90) 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DPF 케이스 (31) 의 고정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SCR 케이스 (32) 의 고정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적당히 설명을 생략한다.
DPF 케이스 (31) 는, 전측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체 (90) 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L 자 형상을 이루는 케이스 장착 부재 (100) 를 통해서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 장착 부재 (100) 는, 예를 들면 주물 부품이다. 케이스 장착 부재 (100) 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L 자 형상을 이루는 면부로서, 고정면부 (101) 와 지지면부 (102) 를 갖는다.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장착 부재 (100) 는, 고정면부 (101) 를, 지지 프레임체 (90) 의 외프레임부 (91) 를 이루는 전변부 (91b) 의 좌측면에 맞춘 상태로, 상하 2 개소씩 합계 4 개소에서 볼트 (103) 에 의해 지지 프레임체 (90) 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 장착 부재 (100) 에 있어서, 지지면부 (102) 는, 지지 프레임체 (90) 의 전측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좌방을 향해 돌출된 돌편부가 된다.
케이스 장착 부재 (100) 는, 지지면부 (102) 를, DPF 케이스 (31) 의 전면부 (31d) 에 대해 볼트 (104) 에 의해 상하 2 개소에서 체결 고정시키고 있다. 지지면부 (102) 는, DPF 케이스 (31) 의 전면부 (31d) 의 우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SCR 케이스 (32) 에 대하여, 케이스 장착 부재 (100) 의 지지면부 (102) 는, SCR 케이스 (32) 의 전면부 (32d) 의 우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전측은, 각각 케이스 장착 부재 (100) 에 의해 지지 프레임체 (90) 에 대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DPF 케이스 (31) 는, 후측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체 (90) 에 대해, 평판 형상의 케이스 장착판부 (105) 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 12 참조). 케이스 장착판부 (105) 는, DPF 케이스 (31) 의 후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 (31e) 로부터 우방을 향해 돌출된 돌편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장착판부 (105) 는,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외형을 따르는 형상을 갖는 판상의 부분이다.
케이스 장착판부 (105) 는, 지지 프레임체 (90) 의 외프레임부 (91) 를 이루는 전변부 (91c) 의 전면에 대하여, 상하 2 개소에서 볼트 (106) 에 의해 지지 프레임체 (90) 에 체결 고정시키고 있다. 볼트 (106) 는, 케이스 장착판부 (105) 를 관통하여 전변부 (91c) 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SCR 케이스 (32) 에 있어서, 케이스 장착판부 (105) 는, SCR 케이스 (32) 의 후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 (32e) 로부터 우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후측은, 각각 케이스 장착판부 (105) 에 의해 지지 프레임체 (90) 에 대하여 고정 지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를 전후 양측에 있어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체 (90) 는, 상하 방향에 대해, 양 케이스의 배치 스페이스에 대응한 높이를 갖는다. 즉, 지지 프레임체 (90) 의 하단은, DPF 케이스 (31) 의 원통 형상의 케이스 본체의 하단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지지 프레임체 (90) 의 상단은, SCR 케이스 (32) 의 원통 형상의 케이스 본체의 상단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케이스끼리는, 전측에 있어서, 케이스 연결판 (108) 에 의해 서로 연결 지지되어 있다. 케이스 연결판 (108) 은,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소정의 형상을 갖는 금속제의 판상 부재이다.
케이스 연결판 (108) 은,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각각에 대해, 각 케이스의 전면부 (31d, 32d) 에 전측으로부터 중첩된 상태로, 볼트 (109) 에 의해 복수 개소에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 연결판 (108) 은, DPF 케이스 (31) 에 고정되는 하연결판 (108a) 과, SCR 케이스 (32) 에 고정되는 상연결판 (108b) 을 연결시킨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하연결판 (108a) 및 상연결판 (108b) 은, 서로의 대향 부분에 있어서 내측 (후측) 을 향해 굴곡 형성된 고정면부 (108c) 끼리를 중첩하고, 그 중첩 부분을 관통하는 볼트 (108d) 등에 의해, 양 연결판이 서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 연결판 (108) 은,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각각의 전면부 (31d, 32d) 의 좌측의 가장자리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 프레임체 (90) 에 대하여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를 지지한 구성, 즉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를 상하 2 단으로 배치하여 지지 프레임체 (90) 에 의해 양 케이스를 서로 연결시킨 구성이, 케이스끼리를 연결한 요소 혼합관 (45) 등을 포함하여, 일체적인 케이스 유닛 (110) 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12, 도 13 참조). 그리고, 이 케이스 유닛 (110) 이, 연결 프레임 (80) 의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상에, 지지 브래킷 (95) 및 지지 플레이트 (96) 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 프레임 (80) 상에 케이스 유닛 (110) 을 지지한 구성에 있어서,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는, 지지 프레임체 (90) 에 대해 탈곡부 (6)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는, 좌우 방향에 대해 좌측의 탈곡부 (6) 와 우측의 곡립 탱크 (7)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체 (90) 는,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를 우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이로써,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는, 지지 프레임체 (90) 에 대해 좌측, 즉 탈곡부 (6) 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6 참조).
이와 같이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를 지지 프레임체 (90) 의 좌측에 지지한 구성의 케이스 유닛 (110) 은, 양 케이스의 하중 등에 의해, 지지 프레임체 (90) 가 좌측으로 쓰러지는 방향의 작용을 받는다. 그래서, 연결 프레임 (80) 상에 지지된 케이스 유닛 (110) 은, 지지 부재로서의 커버 지지 프레임 (120) 에 의해, 탈곡부 (6) 에 대해 상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즉, 콤바인 (1) 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지지 구성으로서, 지지 프레임체 (90) 를 탈곡부 (6) 에 대해 지지하는 커버 지지 프레임 (120) 을 구비한다.
커버 지지 프레임 (120) 은, 전후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전후의 프레임부 (121) 와, 전후의 프레임부 (121) 사이에 가설된 커버부 (123) 를 갖는다. 커버 지지 프레임 (120) 은, 전후 방향에 대해서는 지지 프레임체 (90) 와 대략 동일한 치수를 갖고,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를 상방 및 좌측으로부터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버 지지 프레임 (120) 은, 일측을 탈곡부 (6) 측에 고정 지지시킴과 함께, 타측을 케이스 유닛 (110) 측에 고정 지지시켜, SCR 케이스 (32) 의 상방을 좌우로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부 (121) 는, L 자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산형 강을 소정의 형상으로 굴곡시킨 양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 (121) 는, 좌측의 연직변부 (121a) 와, 연직변부 (121a) 의 상측으로부터 우측 비스듬한 상방을 향해 연장된 좌경사변부 (121b) 와, 좌경사변부 (121b) 의 상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연장된 수평변부 (121c) 와, 수평변부 (121c) 의 우측으로부터 우측 비스듬한 하방을 향해 연장된 우경사변부 (121d) 를 갖는다. 프레임부 (121) 는, 이들 각 변부에 의해, 전후 방향에서 보아 SCR 케이스 (32) 의 좌측에서부터 상측을 덮는 굴곡 형상을 갖는다.
프레임부 (121) 의 굴곡 형상을 이루는 각 변부는, L 자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이루는 일측의 면부인 세로면부 (121e) 를, 전후의 외측에 위치시킴과 함께, 타측의 면부인 외측면부 (121f) 를, SCR 케이스 (32) 를 덮는 굴곡 형상의 외주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즉, 프레임부 (121) 의 굴곡 형상을 이루는 각 변부에 있어서, 세로면부 (121e) 는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판상 부분이고, 외측면부 (121f) 는, 세로면부 (121e) 에 대하여 프레임부 (121) 의 외주측에 있어서 세로면부 (121e) 와 함께 직각 형상을 이루는 판상 부분이다. 예를 들면, 전후의 프레임부 (121) 중 전측의 프레임부 (121) 에 관하여, 연직변부 (121a) 에 있어서는, 세로면부 (121e) 는,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함과 함께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판상 부분이고, 외측면부 (121f) 는, 세로면부 (121e) 의 좌측에서부터 후측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고,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함과 함께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판상 부분이다.
커버부 (123) 는, 전후의 프레임부 (121) 의 외측에 형성된 굴곡판 형상의 부분이다. 커버부 (123) 는, 전후의 프레임부 (121) 의 전후 방향에서 볼 때의 굴곡 형태를 따르는 굴곡 형상을 갖는다. 즉, 커버부 (123) 는, 프레임부 (121) 의 연직변부 (121a), 좌경사변부 (121b), 수평변부 (121c), 및 우경사변부 (121d) 의 각 변부를 따르는 면부로서, 연직면부 (123a), 좌경사면부 (123b), 수평면부 (123c), 및 우경사면부 (123d) 를 갖는다.
커버부 (123) 는, 전후의 프레임부 (121) 에 대하여 일체의 굴곡판 형상의 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 (123) 를 이루는 굴곡판 형상의 부재는, 전후의 프레임부 (121) 의 굴곡 형태를 이루는 각 변부의 외측면부 (121f) 에 대해, 전후의 가장자리부를 외측으로부터 중첩한 상태로, 볼트 (124) 에 의해 복수 개소에서 체결 고정되어 있다.
볼트 (124) 는, 커버 지지 프레임 (120) 의 외측으로부터 커버부 (123) 및 프레임부 (121) 의 외측면부 (121f) 를 관통하여, 외측면부 (121f) 의 내주측에 형성된 너트부 (129) 에 삽입되어 있다. 커버부 (123) 의 연직면부 (123a) 및 좌경사면부 (123b) 에는, 다수의 원 형상의 구멍부가 소정의 배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면부는 펀칭 메탈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커버 지지 프레임 (120) 의 내외의 통기성이 확보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커버 지지 프레임 (120) 은, 탈곡부 (6) 의 상면부에 형성된 소정의 평면부 (130) 에 대하여, 전후의 프레임부 (121) 의 좌측의 하단부, 즉 연직변부 (121a) 의 하단부를, 각각 지지 부재 (125) 를 통해 고정 지지시키고 있다 (도 16 참조). 평면부 (130) 는, 탈곡부 (6) 에 있어서, 탈곡통 (6a) 을 수용한 탈곡실 등을 이루는 외벽 부분의 일부이고, 탈곡부 (6) 의 상측 부분의 우측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면부이다 (도 3 참조).
지지 부재 (125) 는, 세로면부 (125a) 와 가로면부 (125b) 를 갖고, 이들 면부에 의해 좌측면에서 보아 대략 L 자 형상을 이루는 굴곡판 형상의 부재이다. 지지 부재 (125) 는, 프레임부 (121) 의 연직변부 (121a) 의 하단부의 세로면부 (121e) 에 대하여 전후의 외측으로부터 세로면부 (125a) 를 중첩한 상태로, 볼트 (126) 등에 의해 상하 2 개소에서 프레임부 (121) 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 (125) 는, 탈곡부 (6) 의 평면부 (130) 에 대하여 상측에서부터 가로면부 (125b) 를 맞춘 상태로, 볼트 (127) 등에 의해 좌우 2 개소에서 평면부 (130) 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 (125) 는, 세로면부 (125a) 에 있어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좌측의 부분을, 프레임부 (121) 의 연직변부 (121a) 로부터 좌측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가로면부 (125b) 는, 좌우 방향에 대해 세로면부 (125a) 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대응한 길이의 대략 직사각형상의 부분이다. 볼트 (127) 에 의한 좌우 2 개소의 고정부 중, 좌측의 고정부는, 연직변부 (121a) 로부터의 가로면부 (125b) 의 좌방으로의 연장 돌출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탈곡부 (6) 의 평면부 (130) 에 대해서는, 지지봉 (128) 에 의해 테일 파이프 (47) 가 지지되어 있다. 지지봉 (128) 은, 직선 막대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하단부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된 지지 스테이 (131) 를 통해 평면부 (130) 에 고정시키고 있다. 지지 스테이 (131) 는, 볼트 (131a) 에 의해 평면부 (130) 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봉 (128) 의 상단부는, 테일 파이프 (47) 의 하측에 돌출 설치된 지지 돌편부 (132) 에 대해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한편,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지지 프레임 (120) 은, 지지 프레임체 (90) 에 대하여,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 (136) 를 통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는, 지지 프레임체 (90) 의 하측에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 (96) 와 동일한 부재이고, 지지 플레이트 (96) 에 대하여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위치를 대략 공통으로 하여 상하로 대향하도록, 지지 플레이트 (96) 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는, 폭 방향의 좌측의 부분을, 지지 프레임체 (90) 의 외프레임부 (91) 의 상변부 (91d) 의 상면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고정 볼트 (137) 에 의해 지지 프레임체 (90) 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볼트 (137) 는,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를 상측으로부터 관통하여, 외프레임부 (91) 의 상변부 (91d) 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볼트 (137) 에 의한 고정부는,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군데 (예를 들어 4 개소) 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지지 플레이트 (136) 는, 대략 L 자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산형 강 형상의 부재로,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제 2 지지 플레이트 (136) 는, 대략 L 자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이루는 면부로서 고정면부 (136a) 와 지지면부 (136b) 를 갖고,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의 폭 방향의 우측 부분의 상측에 고정면부 (136a) 를 중첩하여, 지지면부 (136b) 를 우측에 기립시키고 있다.
제 2 지지 플레이트 (136) 는, 볼트 (138) 에 의해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에 고정되어 있다. 볼트 (138) 는, 제 2 지지 플레이트 (136) 의 고정면부 (136a) 및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를 상측으로부터 관통함과 함께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의 하측에 형성된 너트부 (139) 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볼트 (138) 에 의한 고정부는, 제 2 지지 플레이트 (136) 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군데 (예를 들어 3 개소) 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지지 플레이트 (136) 에 대하여, 커버 지지 프레임 (120) 의 우측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 지지 프레임 (120) 을 구성하는 전후의 프레임부 (121) 의 우측의 단부가, 용접 등에 의해 제 2 지지 플레이트 (136) 에 고정되어 있다. 전후의 프레임부 (121) 는, 제 2 지지 플레이트 (136) 에 대한 고정 부분으로서, 제 2 지지 플레이트 (136) 에 대하여 내측으로 끼워진 양태로 제 2 지지 플레이트 (136) 의 고정면부 (136a) 의 상면 및 지지면부 (136b) 의 좌측면에 접촉하는 선단면부 (121g) 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커버 지지 프레임 (120) 은 탈곡부 (6) 로부터 연장 돌출된 양태로 형성되고, SCR 케이스 (32) 의 상방을 넘어 지지 프레임체 (90) 의 상측에 고정되고, 케이스 유닛 (110) 을 탈곡부 (6) 에 대하여 지지하고 있다. 즉, 커버 지지 프레임 (120) 은,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좌측에서부터 상측에 걸쳐서, 탈곡부 (6) 측과 지지 프레임체 (90) 측 사이에 가설된 양태로 형성되고, 탈곡부 (6) 에 대하여,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를 지지한 지지 프레임체 (90) 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와 지지 플레이트 (96) 사이에는, 상단 지주 (140) 가 가설되어 있다. 상단 지주 (140) 는, 상하 방향을 따른 직선상의 기둥 부분으로,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및 지지 플레이트 (96) 의 후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단 지주 (140) 는, 각형 강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및 지지 플레이트 (96) 각각에 대하여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커버 지지 프레임 (120) 을 구성하는 후측의 프레임부 (121) 로부터, SCR 출구관 (46) 의 기단부를 상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출구관 지지 스테이 (14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 참조). 출구관 지지 스테이 (141) 는, 후측의 프레임부 (121) 의 수평변부 (121c) 의 좌우 중앙부로부터 뒤쪽 비스듬한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지지 본체부 (141a) 를 갖고, SCR 출구관 (46) 의 기단부의 상측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출구관 지지 스테이 (141) 에 의해 SCR 출구관 (46) 이, 그 기단부를 SCR 케이스 (32) 의 배출구부 (32c) 에 대하여 동심상으로 하는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중, 하측에 위치하는 DPF 케이스 (31) 는, 탈곡부 (6) 의 평면부 (130) 의 우측에 형성된 사면부 (145) 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16 참조). 사면부 (145) 는, 탈곡부 (6) 에 있어서, 탈곡통 (6a) 을 수용한 탈곡실 등을 이루는 외벽 부분의 일부이며, 평면부 (130) 의 우측에 있어서, 평면부 (130) 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형성된 면부이다. 사면부 (145) 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배치 형성 영역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사면부 (145) 는, 좌측에서부터 우측에 걸쳐 내리막 경사를 이루는 사면부이다. 사면부 (145) 의 경사 각도는, 수평면에 대해서 예를 들면 50°정도이다. 이와 같이 탈곡부 (6) 의 우상부에 형성된 사면부 (145) 에 대하여, DPF 케이스 (31) 는, 우상방에 위치함으로써, 사면부 (145) 에 대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에서 보아, 탈곡부 (6) 의 사면부 (145) 는, DPF 케이스 (31) 의 후면부 (31b) 로부터의 DPF 출구관 (42) 의 연장 돌출 방향을 따르고 있다. 즉, 후면에서 보아, 사면부 (145) 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와, DPF 출구관 (42) 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고, 사면부 (145) 의 경사를 따르도록, DPF 출구관 (42) 이 좌상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어 있다.
또한, 사면부 (145) 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DPF 케이스 (31) 는, 탈곡부 (6) 가 탈곡실 등을 이루는 외벽 부분에 있어서 갖는 수평 형상의 상면 (6b) 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면 (6b) 은, 평면부 (130) 의 좌측에 위치하고, 평면부 (130)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는, 탈곡부 (6) 의 사면부 (145) 와 곡립 탱크 (7) 와 캐빈 (20) 의 후경 형상의 후벽부 (20a) 에 의해 형성된 오목상의 공간 부분에 수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배치에 의하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좌측은, 탈곡부 (6) 의 상면 (6b) 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콤바인 (1) 의 좌방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도 1 참조).
다음으로, 요소수 공급 장치 (50) 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에 있어서는, 요소 분사부 (48) 에 요소수를 공급하기 위한 요소수 공급 장치 (5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 참조). 요소수 공급 장치 (50) 는, 연결 프레임 (80) 에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 장치 (50) 는, 장치의 외장을 이루는 케이스 (150) 를 갖고, 케이스 (150) 내에, 장치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각종 구성을 수납하고 있다. 케이스 (150) 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요소수 공급 장치 (50) 는, 연결 프레임 (80) 을 구성하는 후중앙 지주 (82) 에 대하여, 지지 스테이 (151) 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 스테이 (151) 는, 케이스 (150) 의 외형에 대응한 크기를 갖는 판상의 부재로서,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한 방향으로, 후중앙 지주 (82) 의 상부에 고정 형성되어 있다.
지지 스테이 (151) 는, 후중앙 지주 (82) 의 전면 (82b) 의 좌측의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후중앙 지주 (82) 에 대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 스테이 (151) 의 후부의 상하 양측에는, 평면상의 본체부에 대하여 우측으로 굴곡된 굴곡부 (151a) 가 형성되어 있다.
요소수 공급 장치 (50) 는, 지지 스테이 (151) 의 우측에 위치하고, 케이스 (150) 를 지지 스테이 (151) 에 대하여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복수 개소에서 고정시킨 상태로, 지지 스테이 (151) 에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요소수 공급 장치 (50) 의 지지 구성에 의하면, 요소수 공급 장치 (50) 는,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후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요소수 공급 장치 (50) 는, 측면으로 볼 때, DPF 케이스 (31) 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면에서 보았을 때, 요소수 공급 장치 (50) 의 좌측의 부분은, 후중앙 지주 (82) 에 의해 가려진 상태가 된다 (도 18 참조).
또한, 요소수 공급 장치 (50) 의 우전측에, 요소수 공급 장치 (50) 를 제어하는 요소 분사 컨트롤러 (55) 가 형성되어 있다. 요소 분사 컨트롤러 (55) 는, 연결 프레임 (80) 에 대하여 소정의 지지 부재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5 및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 분사 컨트롤러 (55) 는, 지지 스테이 (151) 의 우방에 형성된 센서 지지판 (156) 에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센서 지지판 (156) 은, 요소 분사 컨트롤러 (55) 의 외경에 대응한 크기를 갖는 판상의 부재로서, 지지 스테이 (151) 와 평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소 분사 컨트롤러 (55) 는, 편평 상자 형상의 외형을 갖고, 센서 지지판 (156) 의 우측에, 센서 지지판 (156) 을 따르도록 세로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요소 분사 컨트롤러 (55) 는, 센서 지지판 (156) 에 대하여 볼트 (157) 등에 의해 복수 개소에서 고정되어 있다. 볼트 (157) 는, 요소 분사 컨트롤러 (55) 의 케이스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보스부 및 센서 지지판 (156) 을 관통하여, 센서 지지판 (156) 의 좌측에 형성된 너트 (158) 에 삽입되어 있다.
센서 지지판 (156) 은,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하측으로부터 우방을 향해 연장 돌출된 상지지 아암부 (161) 와, 지지 스테이 (151) 로부터 우방을 향해 연장 돌출된 하지지 아암 (162) 에 의해 상하의 양측에서 지지되어 있다.
상지지 아암부 (161) 는,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하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된 전후의 지지 아암 (163) 과, 전후의 지지 아암 (163) 사이에 형성된 중간 아암부 (164) 를 갖는다. 전후의 지지 아암 (163) 및 중간 아암부 (164) 는, 서로 대략 평행 형상으로 우측 내리막의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모두 우단부를 개장 플레이트 (165) 를 통하여 센서 지지판 (156) 에 지지시키고 있다.
개장 플레이트 (165) 는, 대략 L 자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이루는 산형 강 형상의 부재로서, 센서 지지판 (156) 의 좌측의 면에, 센서 지지판 (156) 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볼트 (166) 에 의해 전후 2 개소에서 센서 지지판 (156) 에 고정되어 있다. 개장 플레이트 (165) 는, 대략 L 자 형상을 이루는 일방의 면부를 센서 지지판 (156) 을 따르게 함과 함께, 타방의 면부를 하측으로 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장 플레이트 (165) 에 대하여, 전후의 지지 아암 (163) 및 중간 아암부 (164) 의 우단부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후의 각 지지 아암 (163) 은, 좌단부를, 지지 금구 (167) 에 대하여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 지지시키고 있다. 지지 금구 (167) 는,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하면 (81b) 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대략 U 자 형상의 금구로서, 지지 금구 (167) 의 하측에 지지 아암 (163) 이 고정 지지되어 있다. 지지 아암 (163) 은, 대략 L 자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이루는 산형 강 형상의 부재이다.
중간 아암부 (164) 는,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하측에 있어서 대략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횡지지 프레임 (168) 의 우측의 부분이다. 횡지지 프레임 (168) 은, U 자 강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하측을 개방측으로 하여 좌우의 중간부를, 지지 브래킷 (169) 을 통해서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에 지지시키고 있다. 지지 브래킷 (169) 은, 대략 U 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판상의 부재로서, 전후의 면부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상의 오목부에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하부를 끼워 맞춘 양태로 용접 등에 의해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 브래킷 (169) 은, 저면부를, 횡지지 프레임 (168) 의 상면부에 대하여 볼트 등의 고정구 (170) 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다.
횡지지 프레임 (168) 은,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보다 좌방으로 연신되어 있고, 좌측의 단부를, 브래킷 (171) 을 통해서 종지지 프레임 (172) 의 상단부에 지지시키고 있다. 횡지지 프레임 (168) 의 좌단부는, 브래킷 (171) 에 대하여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 (171) 은, 종지지 프레임 (172) 에 대하여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종지지 프레임 (172) 은, 도시하지 않은 지지부에 의해 기대부 (25) 상에 지지되어 있다.
하지지 아암 (162) 은, 가늘고 긴 판상의 부재로서, 지지 스테이 (151) 와 센서 지지판 (156)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지지 아암 (162) 의 좌측의 단부에는, 직선상의 본체부에 대하여 직각 형상으로 굴곡된 고정부 (162a) 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지 아암 (162) 은, 고정부 (162a) 를 지지 스테이 (151) 의 하측 가장자리부 우측에서부터 중첩한 상태로, 이들을 관통하는 볼트 (173) 및 너트 (174) 에 의해 지지 스테이 (151) 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하지지 아암 (162) 은, 우측의 단부를, 센서 지지판 (156) 에 있어서 평판 형상의 본체 부분의 하단부에 좌방을 향해 굴곡 형성된 절곡부 (156a) 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중첩한 상태로, 이들을 관통하는 볼트 (175) 및 너트 (176) 에 의해 센서 지지판 (156) 에 고정시키고 있다.
이상과 같이 센서 지지판 (156) 에 요소 분사 컨트롤러 (55) 를 지지한 구성에 있어서, 요소 분사 컨트롤러 (55) 는, 요소수 공급 장치 (50) 에 대하여 우전측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요소 분사 컨트롤러 (55) 는, 우측면에서 볼 때, 후부를 요소수 공급 장치 (50) 의 전부에 중첩시킨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소수 공급 장치 (50) 및 요소 분사 컨트롤러 (55) 는, 서로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콤바인 (1) 에 있어서, 곡립 탱크 (7) 는, 배출 오거 (9) 의 종취출 컨베이어 (9b) 의 축심 둘레로, 전측을 기체의 외측으로 개방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곡립 탱크 (7) 를 회전시켜 기외 측방 (우측방) 으로 개방함으로써, 탈곡부 (6) 의 우측이나 엔진 룸 (13) 이 개방된다.
이와 같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곡립 탱크 (7) 에 대해서는, 곡립 탱크 (7) 를 수납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로크 장치 (180) 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장치 (180)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장치 (180) 는, 주행 기체 (4) 측에 형성된 로크 부재로서의 로크 핀 부재 (181) 에 대하여, 곡립 탱크 (7) 측에 형성된 로크 플레이트 (182) 를 걸어맞춤시킴으로써, 곡립 탱크 (7) 를 수납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크 핀 부재 (181) 는, 주행 기체 (4) 에 있어서, 연결 프레임 (80) 의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상방에 형성된 상단 지주 (140) 에 대해 형성되어 있다. 로크 핀 부재 (181) 는, 한 쌍의 핀 지지판 (183) 과, 한 쌍의 핀 지지판 (183) 사이에 가설된 핀 본체 (184) 를 갖는다. 로크 핀 부재 (181) 는, 한 쌍의 핀 지지판 (183) 과 핀 본체 (184) 에 의해, 일체적인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핀 지지판 (183) 은, 소정의 형상을 갖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다. 한 쌍의 핀 지지판 (183) 의 길이 방향의 일측 부분 사이에, 핀 본체 (184) 가 가설되어 있다. 핀 본체 (184) 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로서, 양단부를 핀 지지판 (183) 에 형성된 원형의 지지 구멍에 끼워 맞춘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해 핀 지지판 (183) 에 고정되어 있다.
로크 핀 부재 (181) 는, 상단 지주 (140) 의 하부 (하단부의 근방) 에 형성된 전후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 (185) 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플레이트 (185) 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평판 형상의 체면부와, 본체면부의 상하의 변부를 따라 직각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절곡부를 갖고, 상하의 절곡부의 가장자리 단부를 상단 지주 (140) 의 전면 (140a) 또는 후면 (140b) 에 대하여 용접 등에 의해 고정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플레이트 (185) 의 본체면부와 상단 지주 (140) 의 전면 (140a) 또는 후면 (140b)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플레이트 (185) 는, 우측의 부분을, 상단 지주 (140) 의 우측면 (140c) 에 대하여 우측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로크 핀 부재 (181) 는, 한 쌍의 핀 지지판 (183) 을, 전후의 고정 플레이트 (185) 에 대하여 전후 내측에 위치시키고, 고정 볼트 (186) 에 의해 2 개소에서 고정 플레이트 (185) 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볼트 (186) 는, 핀 지지판 (183) 및 고정 플레이트 (185) 를 관통하여, 핀 지지판 (183) 의 내측에 위치하는 너트 (도시 생략) 에 삽입되어 있다.
로크 핀 부재 (181) 는, 전후의 고정 플레이트 (185) 에 고정된 상태로, 핀 지지판 (183) 에서의 핀 본체 (184) 의 지지 부분을 고정 플레이트 (185) 로부터 우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한, 고정 볼트 (186) 를 관통시키는 고정 플레이트 (185) 의 볼트 구멍 (185a) 은,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긴 구멍으로 되어 있어, 고정 플레이트 (185) 에 대한 로크 핀 부재 (181) 의 좌우 방향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 (182) 는, 곡립 탱크 (7) 가 갖는 연직 형상의 평면 부분인 전면부 (7a) 에 대해, 베이스 플레이트 (190) 를 통해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190) 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우측 (도 20 에 있어서 좌측) 의 부분을, 전면부 (7a) 에 대하여 고정 볼트 (191) 에 의해 4 개소에서 고정시킴과 함께, 좌측의 부분을 전면부 (7a) 로부터 좌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190) 의 좌측으로의 돌출 부분은, 상측의 사변부 (190a) 에 의해 예각상의 형상을 갖고, 돌출측의 선단부에, 좌측을 개방측으로 한 걸어맞춤 오목부 (190b) 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 (190b) 는, 로크 핀 부재 (181) 의 핀 본체 (184) 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가 된다.
로크 플레이트 (182) 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190) 의 전측에 위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 (190) 에 수직인 방향 (전후 방향) 을 회동축 방향으로 하는 축 지지부 (195) 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 (190) 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 지지부 (195) 는, 로크 플레이트 (182) 의 우측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로크 플레이트 (182) 는, 좌측의 부분에, 걸어맞춤 오목부 (182b) 를 형성하는 훅부 (182a) 를 갖는다. 로크 플레이트 (182) 는, 축 지지부 (195) 에 의한 회동 동작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 (190) 의 걸어맞춤 오목부 (190b) 에 끼워 맞춰진 상태의 핀 본체 (184) 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훅부 (182a) 를 걸어서 걸어맞춤시킨다.
로크 플레이트 (182) 는, 축 지지부 (195) 에 의한 회동 동작에 대해, 코일 형상의 인장 스프링인 부세 (付勢) 스프링 (196) 에 의해, 핀 본체 (184) 에 결합하는 방향 (도 20 에 있어서 좌회전) 으로 밀어붙여지고 있다. 부세 스프링 (196) 은, 축 지지부 (195) 의 좌측에 위치하고, 일단측인 상측을, 베이스 플레이트 (190) 의 전면 (190c) 에 돌출 형성된 상지지 핀 (197) 에 걸어 고정 지지시킴과 함께, 타단측인 하측을 로크 플레이트 (182) 의 전면 (182c) 에 돌출 형성된 하지지 핀 (198) 에 걸어 고정 지지시키고 있다.
부세 스프링 (196) 에 의해 밀어붙여진 상태의 로크 플레이트 (182) 가, 베이스 플레이트 (190) 의 걸어맞춤 오목부 (190b) 에 끼워 맞춰진 상태의 핀 본체 (184) 에 대하여 훅부 (182a) 를 걸어맞춘 상태가, 로크 장치 (180) 의 로크 상태가 된다. 즉, 로크 장치 (180) 의 로크 상태에 있어서, 핀 본체 (184) 는, 베이스 플레이트 (190) 의 걸어맞춤 오목부 (190b) 에 끼워맞춰짐과 함께, 로크 플레이트 (182) 의 걸어맞춤 오목부 (182b) 에 끼워맞춰진 상태가 되어, 베이스 플레이트 (190) 와, 부세 스프링 (196) 에 의해 밀어붙여진 로크 플레이트 (182) 에 의해 협지되어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로크 플레이트 (182) 의 하단부에는, 조작봉 (199) 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조작봉 (199) 은, 로크 플레이트 (182) 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단부를, 곡립 탱크 (7) 의 전면부 (7a) 에 대해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해제 레버에 연결시키고 있다. 해제 레버의 조작에 의해, 조작봉 (199) 이 밀고 당겨져, 로크 플레이트 (182) 가 회동 조작된다.
로크 장치 (180) 의 로크 상태에 있어서, 해제 레버에 의해 조작봉 (199) 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로크 플레이트 (182) 가 부세 스프링 (196) 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하측으로 (정면에서 보아 우측 둘레로) 회전하여, 핀 본체 (184) 에 대한 로크 플레이트 (182) 의 걸림이 풀어지고,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이로써, 곡립 탱크 (7) 의 기기 외측방으로의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기기 외측방으로 회동한 상태의 곡립 탱크 (7) 를 수납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로크 플레이트 (182) 가 좌측 내리막의 경사변부에 핀 본체 (184) 가 접촉되어 일단 하측으로 회동한 후에, 부세 스프링 (196) 의 부세력에 의해 복귀되고, 걸어맞춤 오목부 (182b) 에 핀 본체 (184) 를 끼워맞춤으로써, 로크 장치 (180) 가 자동적으로 로크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콤바인 (1) 은, 연결 프레임 (80) 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프레임으로서, 상단 지주 (140) 를 갖고, 상단 지주 (140) 에는, 곡립 탱크 (7) 를 주행 기체 (4) 에 있어서의 수납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로크 장치 (180) 를 구성하는 로크 핀 부재 (18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7 참조). 상단 지주 (140) 는, 연결 프레임 (80) 의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후단부 근방의 상측에 있어서, 지지 브래킷 (95) 및 지지 플레이트 (96) 를 개재하여 세워서 형성되고,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또한, 콤바인 (1) 은, 엔진 (11) 에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열교환기로서의 인터쿨러 (200) 를 구비하고 있다. 인터쿨러 (200) 는, 엔진 (11) 이 갖는 과급기 (40) 의 컴프레서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받아 그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로서 기능한다. 인터쿨러 (200) 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엔진 (11) 에 대한 급기로서 엔진 (11) 의 흡기 매니폴드에 공급된다.
인터쿨러 (200) 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에 대하여 기기 외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터쿨러 (200) 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에 있어서 상하로 배치된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에 대하여, 우측방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인터쿨러 (200) 는, 기대부 (25) 상에 있어서, 엔진 (11) 의 우상방의 위치에, 소정의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인터쿨러 (200) 는, 대략 직방체상의 외형을 갖는 박스 형상의 케이스 (201) 에 의해 장치의 외장을 이루고 있다. 인터쿨러 (200) 는, 케이스 (201) 의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형에 대해서, 평면에서 볼 때에는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함과 함께, 전후 방향에서 볼 때에는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인터쿨러 (200) 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와 대략 같은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터쿨러 (200) 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 케이스 (201) 의 하면부 (201a) 를, DPF 케이스 (31) 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시키고 있고, 케이스 (201) 의 상면부 (201b) 를, DPF 케이스 (31) 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한, 인터쿨러 (200) 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 케이스 (201) 의 상면부 (201b) 를, SCR 케이스 (32) 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상과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및 인터쿨러 (200) 는, 엔진 (11) 의 상방에 배치된 운전부 (12) 의 후방에서, 서로의 사이에 공간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터쿨러 (200) 는,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우방에 위치하고, 케이스 (201) 의 좌측면부 (201c) 를,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우측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체 (90) 에 대향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인터쿨러 (200) 의 케이스 (201) 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 지지 프레임체 (90) 의 상하 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를 갖고, 지지 프레임체 (90) 의 우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10 참조). 인터쿨러 (200) 는, 지지 프레임체 (90) 에 대하여 약간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터쿨러 (200) 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 케이스 (201) 의 상측의 대부분을 지지 프레임체 (90) 의 외형의 범위 내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한 인터쿨러 (200) 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케이스 (201) 의 후측의 대부분을 지지 프레임체 (90) 의 외형의 범위 내에 위치시키고 있다 (도 8 참조).
이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우측에 배치된 인터쿨러 (200) 는,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상부의 내측 (좌측) 에 위치하고 있다 (도 2 참조). 로터리 스크린 (16) 의 상방이 되는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상부에는, 외기의 흡입구 (203) 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 (203)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상부의 외형을 따름과 함께 하측을 로터리 스크린 (16) 의 개구부 (16a) 의 원 형상을 따르게 한 형상을 갖는 개구부 (203a) 에, 메시 형상의 방진망 (203b) 을 펼쳐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인터쿨러 (200) 는, 우측면에서 보아 대부분이 흡입구 (203) 에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인터쿨러 (200) 와 엔진 (11) 의 사이에는, 에어 유입관 (205) 및 에어 유출관 (206) 이 배관되어 있다.
에어 유입관 (205) 의 일단측인 상류측은, 과급기 (40) 의 컴프레서측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에어 유입관 (205) 의 타단측인 하류측은, 케이스 (201) 의 하면부 (201a) 의 하측의 전부에 형성된 유입구 (207) 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도 21 참조). 에어 유입관 (205) 은, 횡프레임 (61) 의 하측을 파고들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입구 (207) 는, 하면부 (201a) 의 하측에 형성된 덕트부 (209) 의 전부에 형성되고, 좌방을 향해 개구된 원통 형상의 돌출 부분이다.
에어 유입관 (205) 은, 유입구 (207) 로부터 좌방을 향하여 배치됨과 함께 엔진 (11) 의 우측에 있어서 전하방으로 연장 돌출되고, 엔진 (11) 의 전상부에 형성된 과급기 (40) 에 대해 우방으로부터 접속되어 있다. 에어 유입관 (205) 에 의해, 과급기 (40) 의 컴프레서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인터쿨러 (200) 에 공급된다. 케이스 (201) 내에 형성된 핀 등을 갖는 소정의 공기 통로 (204) (도 23 참조) 를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에어 유출관 (206) 의 일단측인 상류측은, 케이스 (201) 의 하면부 (201a) 의 하측의 후부에 형성된 유출구 (208) 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도 21 참조). 유출구 (208) 는, 덕트부 (209) 의 후부에 형성되고, 좌방을 향해 개구된 원통 형상의 돌출 부분이다. 에어 유출관 (206) 의 타단측인 하류측은, 엔진 (11) 의 흡기 매니폴드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에어 유출관 (206) 은, 유출구 (208) 로부터 좌전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고, 엔진 (11) 의 후상부에 위치하는 흡기 매니폴드에 대해 우방으로부터 접속되어 있다. 에어 유출관 (206) 에 의해, 케이스 (201) 내에서 냉각된 공기가 엔진 (11) 의 흡기 매니폴드에 공급된다.
기대부 (25) 상에 있어서의 인터쿨러 (200) 의 지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인터쿨러 (200) 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와 마찬가지로, 지지 프레임 (60) 에 대하여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는, 지지 프레임체 (90) 와 함께 케이스 유닛 (110) 을 구성하고, 케이스 유닛 (110) 은, 연결 프레임 (80) 을 통해 지지 프레임 (60) 에 지지되어 있다. 케이스 유닛 (110) 은, 지지 브래킷 (95) 및 지지 플레이트 (96) 를 통해, 연결 프레임 (80) 을 구성하는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인터쿨러 (200) 는, 지지 프레임 (60) 을 구성하는 전후 연신 프레임 (62) 상에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인터쿨러 (200) 는, 케이스 (201) 의 전후 양측에 있어서, 전후 연신 프레임 (62) 상에 형성된 지지 돌편부 (211) 에 대해, 케이스 (201) 에 형성된 지지 스테이 (212) 를 고정시킴으로써, 전후 연신 프레임 (62) 상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돌편부 (211) 및 지지 스테이 (212) 에 의한 지지부 (210) 는, 전후 방향에 대해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2 는, 인터쿨러 (200) 의 후측의 지지부 (210) 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2 에 있어서는, 덕트부 (209)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지지 돌편부 (211) 는, 전후 연신 프레임 (62) 의 상면 (62c) 상에, 평면에서 보아 대략 U 자 형상을 이루는 굴곡판 형상의 금구를, 좌측을 개방측으로 하는 방향으로 기립한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지지 돌편부 (211) 는,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평면부를, 지지 스테이 (212) 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면부 (211a) 로 하고 있다. 고정면부 (211a) 에는, 고정용의 구멍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지지 돌편부 (211) 는, 케이스 (201) 의 전후 방향의 치수보다 큰 간격을 두고 전후 2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측의 지지 돌편부 (211) 는, 전후 연신 프레임 (62) 의 후방 연장 돌출부 (62a) 상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 스테이 (212) 는, 대략 L 자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직사각형상의 굴곡판 형상의 부재로서,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케이스 (201) 의 전면부 (201d) 및 후면부 (201e) 의 각각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스테이 (212) 는, 대략 L 자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이루는 면부로서, 케이스 (201) 측에 고정되는 고정면부 (212a) 와, 지지 돌편부 (211) 측에 고정되는 지지면부 (212b) 를 갖는다.
지지 스테이 (212) 는, 케이스 (201) 에 대해, 상부의 고정면부 (212a) 를, 전면부 (201d) 또는 후면부 (201e) 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하부를 하면부 (201a) 보다 하방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스테이 (212) 는, 하단부의 지지면부 (212b) 를, 지지 돌편부 (211) 의 고정면부 (211a) 에 대해 우측에서부터 중첩한 상태로, 고정 볼트 (213) 에 의해 지지 돌편부 (211) 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볼트 (213) 는, 지지면부 (212b) 및 고정면부 (211a) 를 관통하여, 지지 돌편부 (211) 의 지지면부의 좌측에 형성된 너트부 (214) 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 스테이 (212) 는, 케이스 (201) 의 전후 양측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된 각부 (脚部) 를 구성하고 있고, 각부의 하단부가, 전후 연신 프레임 (62) 상에 돌출 형성된 지지 돌편부 (211) 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후 연신 프레임 (62) 의 상면 (62c) 과 케이스 (201) 의 하면부 (201a)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스페이스는, 에어 유입관 (205) 및 에어 유출관 (206) 이 접속되는 덕트부 (209) 등의 배치 스페이스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콤바인 (1) 은, 기대부 (25) 상에 형성된 프레임 구성으로서, 지지 프레임 (60) 에 대하여 지지되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를 지지하는 제 1 지지 프레임으로서의 연결 프레임 (80) 과, 인터쿨러 (200) 를 지지하는 제 2 지지 프레임으로서의 전후 연신 프레임 (62) 을 갖는다. 그리고, 연결 프레임 (80) 및 전후 연신 프레임 (62) 은, 연결 부재로서의 횡프레임 (61) 에 의해 서로 연결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인터쿨러 (200) 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가설된 가설 부재로서의 제 1 지지봉 (221) 및 제 2 지지봉 (222) 의 2 개의 지지봉에 의해, 프레임부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는, 지지 프레임체 (90) 의 상측에 형성된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이다.
제 1 지지봉 (221) 및 제 2 지지봉 (222) 은, 모두 원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직선 파이프상의 부재로서, 약간 우측 내리막으로 대략 좌우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지지봉 (221) 은, 제 2 지지봉 (222) 에 대하여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지지봉 (221) 은, 양단부에 평판 형상의 고정편부 (221a, 221b) 를 갖는다. 제 1 지지봉 (221) 은, 좌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고정편부 (221a) 를,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에 고정 형성된 지지 스테이 (223) 에 대하여 볼트 (224) 등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다 (도 17 참조).
지지 스테이 (223) 는,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의 전후의 중간부의 하측에 대략 L 자 형상의 금구를 용접 등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매달린 형상의 장착면부를 형성하고 있다. 제 1 지지봉 (221) 은, 고정편부 (221a) 를 지지 스테이 (223) 에 대하여 후측에서부터 중첩한 상태로, 고정편부 (221a) 및 지지 스테이 (223) 를 관통하는 볼트 (224) 및 볼트 (224) 가 삽입되는 너트부에 의해 지지 스테이 (223) 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지지봉 (221) 은, 우측에 위치하는 타방의 고정편부 (221b) 를, 케이스 (201) 의 후면부 (201e) 의 좌상측 코너부에 대하여 볼트 (225) 등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다. 제 1 지지봉 (221) 은, 고정편부 (221b) 를 후면부 (201e) 에 대하여 후측에서부터 중첩한 상태로, 고정편부 (221b) 및 후면부 (201e) 를 이루는 벽부를 관통하는 볼트 (225) 및 볼트 (225) 가 삽입되는 너트부 (226) 에 의해 케이스 (201) 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지지봉 (222) 은, 양단부에 평판 형상의 고정편부 (222a, 222b) 를 갖는다. 제 2 지지봉 (222) 은, 좌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고정편부 (222a) 를,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의 후단부에 형성된 하측으로의 굴곡부 (135a) 에 대하여 볼트 (227) 등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다. 제 2 지지봉 (222) 은, 고정편부 (222a) 를 굴곡부 (135a) 에 대해서 후측에서부터 중첩한 상태로, 고정편부 (222a) 및 굴곡부 (135a) 를 관통하는 볼트 (227) 및 볼트 (227) 가 삽입되는 너트에 의해 제 1 지지 플레이트 (135) 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지지봉 (222) 은, 우측에 위치하는 타방의 고정편부 (222b) 를, 케이스 (201) 의 전면부 (201d) 의 좌상측 코너부에 고정 형성된 지지 스테이 (229) 에 대하여 볼트 (230) 등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다.
지지 스테이 (229) 는, 대략 U 자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직사각형상의 금구로서, 케이스 (201) 의 전면부 (201d) 의 좌상측 코너부로부터 좌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전면부 (201d) 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 2 지지봉 (222) 은, 고정편부 (222b) 를 지지 스테이 (229) 에 대하여 후측에서부터 중첩한 상태로, 고정편부 (222b) 및 지지 스테이 (229) 를 관통하는 볼트 (230) 및 볼트 (230) 가 삽입되는 너트부 (231) 에 의해 지지 스테이 (229) 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터쿨러 (200) 는, 전후 2 개의 제 1 지지봉 (221) 및 제 2 지지봉 (222) 에 의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측에 대하여 연결 지지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지지봉 (221) 및 제 2 지지봉 (222) 에 의해, 케이스 (201) 의 전후 양측의 상단부 (좌측의 코너부) 가,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측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기대부 (25) 상에 있어서 지지된 인터쿨러 (200) 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측으로의 송풍이 가능한 팬 (240) 을 갖는다.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240) 은, 팬 본체 (241) 와, 팬 본체 (241) 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으로서의 전동식의 팬 모터 (242) 를 갖는 전동 팬이다. 팬 본체 (241) 의 중심축부에 팬 모터 (242) 의 구동축이 연결되어 있다.
팬 (240) 은, 케이스 (201) 내에 있어서, 팬 본체 (241) 의 회전축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한 방향으로,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 (201) 의 좌측면부 (201c) 에는, 팬 본체 (241) 와 동심형상으로 원 형상의 개구부인 통풍구 (201f)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1 참조). 통풍구 (201f) 는,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팬 (240) 의 대략 전체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 (201) 의 우측면부는, 케이스 (201) 의 외형을 따르는 직사각형상의 프레임 부분에 메시 형상의 방진망 (201g) 을 펼쳐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도 8 참조). 또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201) 의 우측면부에서는, 방진망 (201g) 의 외측 (우측) 에, 팬 (240) 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기류에 의해 회전하는 방진용의 회전 날개 (244) 가 형성되어 있다.
팬 (240) 은,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 (1) 이 구비하는 팬 제어용의 컨트롤러 (250) 에 소정의 접속 케이블 (245)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 (250) 에 의해, 팬 (240) 의 동작이 제어된다. 컨트롤러 (250) 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나 메모리나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 컨트롤러 (250) 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팬 (240) 은,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팬 (240) 은, 팬 모터 (242) 의 구동력에 의해 팬 본체 (241) 를 정회전 방향과 역회전 방향의 어느 것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 (250) 에 의해 팬 모터 (242) 의 동작이 제어됨으로써, 팬 본체 (241) 의 회전 방향이 제어된다. 팬 (240) 및 컨트롤러 (250) 는, 예를 들어 PWM (Pulse Width Modulation) 제어에 의해 팬 모터 (242) 를 제어함으로써, 팬 (240) 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PWM 제어에 있어서, 팬 (240) 을 정회전시키는 경우, 컨트롤러 (250) 로부터의 모터 정회전용의 PWM 출력이 팬 모터 (242) 에 입력되고, 팬 모터 (242) 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팬 본체 (241) 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팬 (240) 을 역회전시킬 경우, 컨트롤러 (250) 로부터의 모터 역회전용 PWM 출력이 팬 모터 (242) 에 입력되어 팬 모터 (242) 가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팬 본체 (241) 가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팬 (240) 의 회전 제어에서는, 팬 (240) 의 회전수의 변경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팬 (240) 의 회전 방향 등은, 예를 들어 운전부 (12) 에 형성된 조작부에 의해 조작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인터쿨러 (200) 에 있어서, 팬 (240) 이 정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인터쿨러 (200) 의 우측에 위치하는 외기 도입 커버 (15) 의 흡입구 (203) 가 외기의 도입구가 되어, 인터쿨러 (200) 에 공급된다. 즉, 흡입구 (203) 로부터 도입된 공기는, 방진망 (201g) 으로부터 케이스 (201) 내에, 공기 통로 (204) 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냉각풍으로서 도입되고, 공기 통로 (204) 의 외벽면을 지나 케이스 (201) 의 통풍구 (201f) 로부터 좌측으로 보내진다. 통풍구 (201f) 로부터 송출되는 공기는,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측으로의 송풍이 된다.
한편, 팬 (240) 이 역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케이스 (201) 의 통풍구 (201f) 로부터 케이스 (201) 내에 외기가 도입된다. 케이스 (201) 내에 도입된 공기는, 방진망 (201g) 으로부터 배출됨과 함께, 외기 도입 커버 (15) 의 흡입구 (203) 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팬 (240) 의 정회전시에 있어서는, 흡입구 (203) 의 방진망 (203b) 및 케이스 (201) 의 방진망 (201g) 에 의해, 티끌이나 먼지나 짚 등이 포집되어, 먼지 등이 외기와 함께 케이스 (201) 내에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팬 (240) 의 역회전시에 있어서는, 팬 (240) 으로부터의 송풍에 의해, 케이스 (201) 의 방진망 (201g) 이나 흡입구 (203) 의 방진망 (203b) 에 부착된 먼지 등이 제거되게 된다.
또한, 콤바인 (1) 은, 엔진 (11) 의 급기계를 구성함과 함께 급기관 (263) 에 의해 서로 접속된 에어클리너 (261) 및 프리클리너 (262) 를 구비하고 있다.
프리클리너 (262) 는, 엔진 (11) 에 대한 급기 경로의 상류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프리클리너 (262) 로부터 급기 경로 내에 대기가 도입된다. 프리클리너 (262) 에 의해, 대기 중의 분진 등이 제거되어, 급기 경로 내에 도입되는 대기가 정화된다.
프리클리너 (262) 의 하류측에, 급기관 (263) 을 개재하여, 에어클리너 (261) 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클리너 (261) 에 의해, 프리클리너 (262) 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추가로 정화되어, 엔진 (11) 에 공급된다. 에어클리너 (261) 의 공기의 배출측으로부터는, 하류측 급기관 (265) 이 연장 돌출되어 있고, 하류측 급기관 (265) 의 하류측은, 과급기 (40) 의 컴프레서측에 형성된 급기 도입부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도 7 참조).
에어클리너 (261) 는, 대략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갖고, 그 통축 방향 (길이 방향) 을 전후 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와 인터쿨러 (20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에어클리너 (261) 는, 전후 방향에 대해, 인터쿨러 (200) 의 케이스 (201) 의 전후 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를 갖고, 케이스 (201) 와 대략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 (261) 는, 상하 방향에 대해, 케이스 (201) 의 하부에 대응하는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에어클리너 (261) 의 좌방에는,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지지 브래킷 (95), 지지 플레이트 (96) 등이 위치하고 있다.
에어클리너 (261) 는, 지지 브래킷 (95) 의 전부로부터 우측 비스듬한 상방을 향해서 연장 돌출된 지지 브래킷 (266) 에 의해, 지지 브래킷 (95) 에 지지되어 있다 (도 10 참조). 지지 브래킷 (266) 은, 소정의 굴곡 형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서, 하측을, 볼트 등에 의해 지지 브래킷 (95) 의 지지면부 (95a) 에 대하여 고정 지지시키고 있다. 지지 브래킷 (266) 은, 에어클리너 (261) 의 둘레벽부의 좌상측에 형성된 평면 형상의 장착면부에 맞춰진 상태로, 볼트 등에 의해 에어클리너 (261) 에 고정되어 있다.
에어클리너 (261) 의 전부의 우측 근처 부위에, 급기관 (263) 의 하류측의 단부가 연통 접속되어 있다. 급기관 (263) 은, 에어클리너 (261) 의 전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 연직부 (263a) 와, 연직부 (263a) 의 상류측으로부터 우후측 비스듬한 상방을 향하여 연신된 경사부 (263b) 와, 경사부 (263b) 의 상류측으로부터 연직 형상으로 일어선 상단부 (263c) 를 갖는다 (도 24 참조). 급기관 (263) 의 상단부 (263c) 의 상측에, 대략 원통 형상의 프리클리너 (262) 가 형성되어 있다.
급기관 (263) 은 제 1 지지봉 (221) 과 제 2 지지봉 (222) 사이를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에 대해서, 경사부 (263b) 의 상측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상면부를 이루는 커버 지지 프레임 (120) 보다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프리클리너 (262) 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하류측 급기관 (265) 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클리너 (261) 의 대략 원통 형상의 외형에 있어서의 전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됨과 함께, 횡프레임 (61) 의 하방을 파고들어 엔진 (11) 의 우전측의 위치를 향해 우전측 비스듬한 하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에어 유입관 (205) 의 하측을 지나, 과급기 (40) 의 컴프레서측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엔진 (11) 의 급기계의 배치 구성에 따르면, 엔진 (11) 의 좌후 상방에,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고, 엔진 (11) 의 우후 상방에, 에어클리너 (261) 및 프리클리너 (262) 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즉, 엔진 (11) 의 전부에 위치하는 과급기 (40) 의 배기 터빈측 (좌측) 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된 배기관 (41) 이 접속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와, 과급기 (40) 의 컴프레서측 (우측) 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된 하류측 급기관 (265) 이 접속되는 에어클리너 (261) 및 그 상방에 배치된 프리클리너 (262) 가, 엔진 (11) 의 후상방에 있어서, 좌우로 나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엔진 (11) 의 급기계의 배치 구성에 있어서, 에어클리너 (261) 와 프리클리너 (262) 를 서로 연통 접속하는 급기관 (263) 은, 인터쿨러 (200) 로부터 연장 돌출된 지지체로서의 배관 지지봉 (270) 에 의해 인터쿨러 (200) 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배관 지지봉 (270) 은, 대략 직선상의 막대 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급기관 (263) 과 인터쿨러 (200)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 지지봉 (270) 은, 하단부에 직사각형판 형상의 하장착판부 (271) 를 갖는다. 하장착판부 (271) 는, 배관 지지봉 (270) 의 본체 부분을 이루는 봉상 부재의 외주면에 판상 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 고정 등 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배관 지지봉 (270) 은, 하장착판부 (271) 를, 케이스 (201) 의 후면부 (201e) 의 상부에 볼트 (272) 에 의해 상하 2 개소에서 고정시키고 있다. 볼트 (272) 는, 하장착판부 (271) 를 관통하여, 후면부 (201e) 의 내측에 형성된 너트부에 삽입되어 있다. 배관 지지봉 (270) 의 하단부의 케이스 (201) 에 대한 고정부는, 제 1 지지봉 (221) 의 케이스 (201) 에 대한 고정부의 우측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배관 지지봉 (270) 은, 케이스 (201) 에 대한 고정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직 형상으로 연신되어 있고, 상단부에, 연직 형상 부분에 대하여 둔각 형상으로 굴곡하여 급기관 (263) 에 대한 고정 부분을 이루는 굴곡부 (270a) 를 갖는다. 굴곡부 (270a) 에는, 직사각형판 형상의 상장착판부 (273) 가 형성되어 있다. 상장착판부 (273) 는, 배관 지지봉 (270) 의 본체 부분을 이루는 봉상 부재의 외주면에 판상 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 고정 등 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한편, 급기관 (263) 의 경사부 (263b) 의 상부의 우측 외주면에는, 배관 지지봉 (270) 의 상단부를 지지 고정시키는 대좌부 (275) 가 형성되어 있다. 대좌부 (275) 는, 양단측을 각부로 하여 직각 형상으로 굴곡시킨 대략 U 자 형상의 굴곡판 형상의 금구를, 각부측을 경사부 (263b) 의 외주면측으로 하여 경사부 (263b) 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등 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대좌부 (275) 에 있어서는, 양 각부의 사이의 면부가, 경사부 (263b) 의 외주면에 대하여 이간된 지지면부가 된다.
배관 지지봉 (270) 은, 상장착판부 (273) 를 대좌부 (275) 의 지지면부에 중첩한 상태로, 볼트 (276) 에 의해 2 개소에서 대좌부 (275) 에 고정되어 있다. 볼트 (276) 는, 상장착판부 (273) 및 대좌부 (275) 의 지지면부를 관통하여, 대좌부 (275) 의 지지면부의 이면측에 형성된 너트부 (277) 에 삽입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배관 지지봉 (270) 은, 일측의 단부인 하단부를, 인터쿨러 (200) 의 케이스 (201) 에 고정 지지시킴과 함께, 타측의 단부인 상단부를, 급기관 (263) 의 경사부 (263b) 에 고정 지지시키고 있다. 이로써, 급기관 (263) 이, 배관 지지봉 (270) 에 의해 케이스 (201) 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 (1) 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 (1) 에 의하면, 기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함께, 우수한 중량 밸런스를 얻을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배치에 관하여,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는, 엔진 (11) 의 상방의 운전부 (12) 의 후방, 또한 탈곡부 (6) 의 우측에,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상하 2 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캐빈 (20) 의 후측에서 탈곡부 (6) 의 우측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콤바인 (1) 의 기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중량물인 엔진 (11) 및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가 기체의 전부에 있어서 전후로 배치되기 때문에, 기체의 중량 밸런스 면에서 바람직한 배치 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콤바인 (1) 은, 기대부 (25) 상에 있어서의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지지 구성으로서, 운전부 (12) 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60) 과, 지지 프레임 (60) 을 기대부 (25) 상에 지지하는 연결 프레임 (80) 과, 연결 프레임 (80) 상에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체 (90) 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를 컴팩트하게 수납하면서 강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지지 구성으로서 운전부 (12) 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60) 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어, 주행 기체 (4) 상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콤바인 (1) 은,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지지 구성으로서, 지지 프레임체 (90) 를 탈곡부 (6) 측에 지지하는 커버 지지 프레임 (120) 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를 컴팩트하게 수납하면서, 탈곡부 (6) 를 이용하여, 상하에 배치된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를 보다 강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는, 지지 프레임체 (90) 에 대하여 탈곡부 (6)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를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지지 구성에 대해, 탈곡부 (6) 에 대한 지지부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요소 혼합관 (45) 은,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에 대하여 탈곡부 (6)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를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특히, 요소 혼합관 (45) 이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구성에 있어서, 요소 혼합관 (45) 을, 상하로 배치된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중간 높이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요소 혼합관 (45) 의 배치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요소 혼합관 (45) 에 있어서는, 요소 분사부 (48) 에 대하여 제어용의 하니스나 요소수 공급용의 배관 등이 접속되지만,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에 있어서 요소 혼합관 (45) 을 탈곡부 (6) 측에 배치함으로써, 하니스나 배관 등의 지지 대상으로서 탈곡부 (6) 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요소 혼합관 (45) 에 접속되는 하니스나 배관 등의 지지 구조에 관하여, 별도 지지부를 형성하지 않고 탈곡부 (6) 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요소 혼합관 (45) 에 요소수를 공급하는 요소수 공급 장치 (50) 는,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지지 구성을 이루는 연결 프레임 (80) 의 후중앙 지주 (82) 에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지지 구성과 요소수 공급 장치 (50) 의 지지 구성을 공용할 수 있어, 기대부 (25) 상의 장치 구성을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프레임 (80) 의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의 상측에 상단 지주 (140) 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 지주 (140) 에, 곡립 탱크 (7) 의 로크 장치 (180) 를 구성하는 로크 핀 부재 (181) 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의 지지 구성을 이용하여 로크 장치 (180) 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별도 로크 장치 (180) 를 갖출 필요가 없어져, 기대부 (25) 상의 장치 구성을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음과 함께, 곡립 탱크 (7) 의 수납 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 (1) 에 의하면, 기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함께,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및 인터쿨러 (200) 에 대하여 액세스하기 쉬워 양호한 메인터넌스성을 얻을 수 있다.
즉,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DPF 케이스 (31) 및 SCR 케이스 (32) 와,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우측방에 배치된 인터쿨러 (200) 는, 운전부 (12) 를 갖는 캐빈 (20) 의 후방에서, 서로의 사이에 공간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와 인터쿨러 (200) 사이에 개방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와 인터쿨러 (200) 각각에 대한 액세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인터쿨러 (200) 에 대해서는, 케이스 (201) 의 좌측면부 (201c) 측으로부터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터쿨러 (200) 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측으로의 송풍이 가능한 팬 (240) 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인터쿨러 (200) 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에 대한 냉각풍을 보낼 수 있으므로, 기체 자체를 컴팩트한 것으로 하면서, 냉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가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팬 (240) 은,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인터쿨러 (200) 에 부착되는 진애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팬 (240) 의 정회전에 의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측으로의 송풍이 행해질 때, 외기의 도입측이 되는 케이스 (201) 의 우측면부에 펼쳐 형성된 방진망 (201g) 에 대기 중의 진애가 부착되지만, 팬 (240) 을 역회전시킴으로써, 방진망 (201g) 에 대해 케이스 (201) 의 내측으로부터 바람을 보낼 수 있으므로, 방진망 (201g) 에 부착된 진애를 날려보내어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팬 (240) 에 의한 송풍의 양호한 통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및 인터쿨러 (200) 는, 캐빈 (20) 을 통해 운전부 (12) 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60) 에 대하여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는, 캐빈 (20) 을 지지하는 횡프레임 (61) 의 좌우 중간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된 중앙 전후 연신 프레임 (81) 상에 지지되어 있고, 인터쿨러 (200) 는, 횡프레임 (61) 의 우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된 전후 연신 프레임 (62) 상에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를 컴팩트하게 수납하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및 인터쿨러 (200) 를 강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터쿨러 (200) 의 지지 구성으로서 운전부 (12) 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60) 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어, 주행 기체 (4) 상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콤바인 (1) 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및 인터쿨러 (200) 의 지지 구성으로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를 지지하는 연결 프레임 (80) 과, 인터쿨러 (200) 를 지지하는 전후 연신 프레임 (62) 을 갖고, 이들 프레임을 횡프레임 (61) 에 의해 연결한 구성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주행 기체 (4) 상의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하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및 인터쿨러 (200) 를 강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터쿨러 (200) 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가설된 제 1 지지봉 (221) 및 제 2 지지봉 (222) 에 의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측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대부 (25) 상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지지 구조를 이용하여, 인터쿨러 (200) 를 강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제 1 지지봉 (221) 및 제 2 지지봉 (222) 에 의한 지지 구조에 의하면, 인터쿨러 (200) 가 좌우로 흔들리거나 쓰러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후 연신 프레임 (62) 상에 있어서 인터쿨러 (200) 를 확실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인터쿨러 (200) 를 강고하게 지지하는 관점에서는, 제 1 지지봉 (221) 및 제 2 지지봉 (222) 에 의한 인터쿨러 (200) 의 지지 위치는, 케이스 (201) 의 상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콤바인 (1) 은 엔진 (11) 에 대하여 형성된 에어클리너 (261) 및 프리클리너 (262) 를 서로 연통 접속시키는 급기관 (263) 을, 배관 지지봉 (270) 에 의해 인터쿨러 (200) 에 대하여 지지한 구성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기대부 (25) 상에 있어서 강고하게 지지된 인터쿨러 (200) 에 대해 급기관 (263) 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에어클리너 (261)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급기관 (263) 및 프리클리너 (262) 를 강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에어클리너 (261) 는 원통 형상의 외형에 있어서의 중심축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와 인터쿨러 (20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와 인터쿨러 (200) 사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에어클리너 (261) 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 (261) 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 (95) 에 대하여 지지 브래킷 (266) 을 통해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대부 (25) 상에 에어클리너 (261) 를 지지하는 구성을 별도 형성하지 않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의 지지 구성을 이용하여, 에어클리너 (261) 를 강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터쿨러 (200) 는, 엔진 (11) 의 우측방에 배치된 라디에이터 (14) 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엔진 (11) 의 폭이 커지는 것에 의해서도, 주행 기체 (4) 의 폭을 크게 하지 않고, 인터쿨러 (200) 를 컴팩트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후면에서 보아, 탈곡부 (6) 의 사면부 (145) 는, DPF 케이스 (31) 의 후면부 (31b) 로부터의 DPF 출구관 (42) 의 좌측 비스듬한 상방으로의 연장 돌출 방향을 따르고 있다 (도 16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탈곡부 (6) 의 사면부 (145) 의 우방의 스페이스에 DPF 케이스 (31) 를 수납할 수 있음과 함께, DPF 케이스 (31) 의 좌상방에 위치하는 요소 혼합관 (45) 을, 탈곡부 (6) 의 사면부 (145) 의 상방의 개방 스페이스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요소 혼합관 (45) 에 대한 액세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요소 혼합관 (45) 에 대해서 양호한 메인터넌스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례이며,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이외에도, 본 발명에 관련된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라면, 설계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DPF 케이스 (31) 가 하측, SCR 케이스 (32) 가 상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들의 배치는 상하 반대여도 된다. 단, 엔진 (11) 으로부터 DPF 케이스 (31) 까지의 관로를 짧게 하여 배기가스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에 의한 처리 성능을 확보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엔진 (11) 으로부터의 배기가스의 유입을 받는 DPF 케이스 (31) 를 하측에 배치한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측과 인터쿨러 (200) 사이에 가설된 가설 부재는, 제 1 지지봉 (221) 및 제 2 지지봉 (222) 의 2 개의 지지봉이지만, 가설 부재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설 부재로는, 예를 들어 판상의 부재나 산형 강이나 각형 강관 등에 의해 구성된 것이어도 된다. 단,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가설 부재를 제 1 지지봉 (221) 및 제 2 지지봉 (222) 으로 함으로써, 가설 부재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 (30) 와 인터쿨러 (200) 사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 콤바인
4 : 주행 기체
6 : 탈곡부
7 : 곡립 탱크 (곡립 저류부)
11 : 엔진
12 : 운전부
20 : 캐빈
25 : 기대부
30 : 배기가스 정화 장치
31 : DPF 케이스 (제 1 케이스)
32 : SCR 케이스(제 2 케이스)
45 : 요소 혼합관
50 : 요소수 공급 장치
55 : 요소 분사 컨트롤러
60 : 지지 프레임
61 : 횡프레임 (연결 부재)
62 : 전후 연신 프레임 (제 2 지지 프레임)
80 : 연결 프레임 (제 1 지지 프레임)
90 : 지지 프레임체 (고정 부재)
120 : 커버 지지 프레임 (지지 부재)
135 : 제 1 지지 플레이트 (프레임부)
140 : 상단 지주 (연장 프레임)
180 : 로크 장치
181 : 로크 핀 부재 (로크 부재)
200 : 인터쿨러 (열교환기)
221 : 제 1 지지봉 (가설 부재)
222 : 제 2 지지봉 (가설 부재)
240 : 팬
250 : 컨트롤러
261 : 에어클리너
262 : 프리클리너
263 : 급기관
270 : 배관 지지봉 (지지체)

Claims (7)

  1. 주행 기체의 전부에 엔진을 배치하고, 상기 주행 기체 상에 탈곡부 및 곡립 저류부를 좌우에 옆으로 나란한 형상으로 배치한 콤바인으로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 및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를 갖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엔진의 상방에 배치된 운전부의 후방, 또한 상기 탈곡부의 좌우 내측에,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상하로 나란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운전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을 상기 주행 기체에 연결시키는 연결 프레임과,
    상기 연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를 상기 연결 프레임에 고정 상태로 지지시키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탈곡부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해 상기 탈곡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는, 상기 제 1 케이스의 배기의 출구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배기의 입구 사이에 개재하는 요소 혼합관을 갖고,
    상기 요소 혼합관은,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에 대해 상기 탈곡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는, 상기 요소 혼합관에 요소수를 공급하기 위한 요소수 공급 장치를 갖고,
    상기 요소수 공급 장치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프레임을 갖고,
    상기 연장 프레임에는, 상기 곡립 저류부를 상기 주행 기체에 있어서의 수납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로크 장치를 구성하는 로크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237032626A 2021-03-31 2022-02-18 콤바인 KR202301646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62137A JP7560401B2 (ja) 2021-03-31 2021-03-31 コンバイン
JPJP-P-2021-062137 2021-03-31
PCT/JP2022/006641 WO2022209408A1 (ja) 2021-03-31 2022-02-18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673A true KR20230164673A (ko) 2023-12-04

Family

ID=8345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2626A KR20230164673A (ko) 2021-03-31 2022-02-18 콤바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560401B2 (ko)
KR (1) KR20230164673A (ko)
CN (1) CN116997249A (ko)
WO (1) WO202220940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9895A (ja) 2014-07-25 2016-03-07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489638B2 (ja) 2015-03-04 2019-03-27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4143B2 (ja) 2009-07-28 2014-06-2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918154B2 (ja) 2013-02-08 2016-05-18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のエンジン装置
JP5761402B2 (ja) * 2014-02-28 2015-08-12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879715B2 (ja) 2015-12-22 2021-06-02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JP2017216884A (ja) 2016-06-03 2017-12-14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418259B2 (ja) 2017-02-23 2018-11-07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9895A (ja) 2014-07-25 2016-03-07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489638B2 (ja) 2015-03-04 2019-03-27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97249A (zh) 2023-11-03
JP2022157737A (ja) 2022-10-14
JP7560401B2 (ja) 2024-10-02
WO2022209408A1 (ja)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1532B2 (en) Engine device of working vehicle
KR102706024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JP6504866B2 (ja) コンバイン
KR102101230B1 (ko) 수확기
JP2016029895A (ja) コンバイン
JP6921887B2 (ja) コンバイン
KR20230164673A (ko) 콤바인
JP6625159B2 (ja) 収穫機
KR20230163396A (ko) 콤바인
JP2018113992A5 (ko)
JP7197454B2 (ja) コンバイン
JP6505010B2 (ja) 収穫機
JP2021175404A (ja) コンバイン
JP2021175404A5 (ko)
JP2022116292A (ja) コンバイン
JP2016029894A (ja) コンバイ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