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664A - 무광택 물품 - Google Patents

무광택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4664A
KR20230164664A KR1020237031494A KR20237031494A KR20230164664A KR 20230164664 A KR20230164664 A KR 20230164664A KR 1020237031494 A KR1020237031494 A KR 1020237031494A KR 20237031494 A KR20237031494 A KR 20237031494A KR 20230164664 A KR20230164664 A KR 20230164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e
layer
resin
less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1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스케 니시가키
쇼타 니시네
레이코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6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66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8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wrinkle, crackle, orange-peel, or similar decorative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or with an outer layer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plastic 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8Matt, dul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Abstract

우수한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 및 질감을 가지며, 또한 소프트터치감이 우수한 무광택 물품을 제공한다.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가 4000 mm-1보다 크고,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이 30 ㎛ 미만인 표면 형상을 갖는 무광택 물품이다.

Description

무광택 물품
본 개시는 무광택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컨대 벽, 천장, 마루 등의 건축물의 내장용 부재, 외벽, 처마반자, 지붕, 담, 울타리 등의 외장용 부재, 창틀, 도어, 문틀, 난간, 폭목, 돌림대, 장식띠 등의 창호 또는 조작 부재 외에, 장롱, 선반, 책상 등의 일반 가구, 식탁, 싱크대 등의 주방 가구, 또는 가전, OA 기기 등의 캐비닛 등의 표면 화장판, 차량의 내장 또는 외장용 부재 등의 표면을 장식하여 보호하기 위한 물품으로서, 또한 소위 화장재(化粧材) 또는 화장 시트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장재에는 예컨대 원하는 기능을 갖는 표면층을 갖는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용도에 이용되는 화장재에는, 그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무광택 효과(매트 효과)를 이용하여 질감을 향상시키는 수법이 범용된다. 무광택 효과를 이용한 화장재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기재 시트의 한 면에 무늬층 및 은폐층을 갖고, 또 한쪽 면에 광택 조정층(매트층, 글로스층)을 갖는 화장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화장 시트에서는, 윤기 조정층의 매트층과 글로스층이 갖는 광택의 차에 의해, 무늬층, 은폐층을 돋보이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의장 효과를 얻고, 그 실시예에서는, 전면에 형성되는 매트층에는 수지분 100 중량부 당 구상 알루미나 10 중량부 및 탄산칼슘 40 중량부의 합계 50 중량부의 무광택제를 첨가한 매트 잉크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기재 상에 인쇄층과 투명 수지층을 순차 갖고, 상기 투명 수지층의 최표면에 엠보스 모양을 입힌 화장재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0-06208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11-073207호 공보
무광택 효과(매트 효과)에 의해 질감을 향상시키는 수법으로서는,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이 무광택제(matting agent, 「매트제」라고도 불린다.)를 이용하여, 그 자체가 갖는 광 확산 효과에 의해 무광택 효과를 얻는 수법, 상기 특허문헌 2와 같이 엠보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최표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수법 등을 주로 들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무광택제를 이용하는 경우, 무광택 효과를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그 사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지만, 그 사용량이 많아짐에 따라서 무광택제가 도막으로부터 탈락하며 또한 도막을 상처 입혀 내찰상성이 저하하고, 또한 무광택제의 결락으로 인한 광택 변화에 의해 상처가 눈에 띄기 쉽게 되거나, 혹은 무광택제와 수지의 계면의 미소 간극에 오염 물질이 침투하고, 더구나 무광택제 자체에 오염 물질이 흡착함으로써 내오염성이 저하하는 등의 이유에 의해, 표면 특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다른 한편, 표면 특성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 사용량을 적게 하면 무광택 효과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어, 표면 특성과 무광택 효과는 이율 상반의 관계에 있다. 그 때문에 무광택제를 이용한 매트 효과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이 엠보스 가공을 이용하는 경우, 엠보스의 판 제작은 매우 수고스럽고 쉽지 않으며, 더구나 원하는 무늬마다 판을 제작할 필요가 생긴다. 그 때문에, 고객 수요의 다양성에 충분히 대응하기 쉬운 수법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그런데, 고객 수요의 다양성은 다방면에 걸쳐 있고, 상기한 것 같은 시각적인 무광택 효과뿐만 아니라, 촉감 표현도 요구되게 되고 있다. 예컨대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은 무광택제를 이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무광택제의 윤곽이 화장 시트의 표면에 표출됨으로써, 다소 조잡한 표면의 촉감, 즉 「까슬거림」을 느끼게 하는 촉감이 발현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이 엠보스 가공을 이용하는 경우, 엠보스판에 의해 부형(賦型)되는 표면의 요철 형상에 기인한 촉감이 발현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나 촉감의 표현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촉감의 점에서 충분한 표현을 할 수 있다고는 말할 수 없는 상황에 있다. 즉, 종래의 화장 시트, 화장재는 우수한 무광택 효과와 촉감을 양립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었다. 본 개시에서는 촉감 중에서도 특히 「소프트터치감」(소프트한 감촉)에 주목했다.
본 개시는, 우수한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 및 질감을 가지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소프트한 감촉)이 우수한 무광택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개시는 이하의 무광택 물품을 제공한다.
[1]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가 4000 mm-1보다 크고,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이 30 ㎛ 미만인 표면 형상을 갖는 무광택 물품.
[2] 상기 표면 형상의,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윤곽 곡선의 산 및 높이 파라미터인 Rz(최대 높이)가 12.5 ㎛ 이하인, [1]에 기재한 무광택 물품.
[3] 상기 표면 형상의,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윤곽 곡선의 높이 방향의 파라미터인 Ra(산술 평균 거칠기)가 2.0 ㎛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한 무광택 물품.
[4] 무광택층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 형상이 상기 무광택층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무광택 물품.
[5] 상기 표면 형상을 형성하는 상기 무광택층의 표면이, 불규칙한 주름에 의해 구성되는 요철 형상을 갖는, [4]에 기재한 무광택 물품.
[6] 상기 불규칙한 주름이, 복수의 선조(線條) 돌기부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와, 상기 복수의 선조 돌기부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는, [5]에 기재한 무광택 물품.
[7] 상기 무광택층이 수지 및 주름 형성 안정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주름 형성 안정제가 상기 무광택층의 두께의 100% 이하 및 30 ㎛ 이하 중 어느 작은 쪽을 상한으로 하는 평균 입자 지름을 가지며, 상기 주름 형성 안정제를 상기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0.5 질량부 이상으로 포함하는 것인, [4]∼[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무광택 물품.
[8] 기재를 갖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무광택 물품.
[9] 상기 기재가 시트형인, [8]에 기재한 무광택 물품.
[10] 상기 무광택층이 상기 기재의 한쪽 면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는, [8] 또는 [9]에 기재한 무광택 물품.
[11] 상기 표면 형상의 60°광택도가 10.0 이하인,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무광택 물품.
본 개시에 의하면, 우수한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 및 질감을 가지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소프트한 감촉)이 우수한 무광택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개시의 무광택 물품의 표면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 본 개시의 무광택 물품의 표면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 본 개시의 무광택 물품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에서 볼 때의 모식도이다.
[도 4] 본 개시의 무광택 물품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본 개시의 무광택 물품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본 개시의 무광택 물품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 실시예 1에서 얻은 무광택 물품의 표면의 광학현미경 화상이다.
[도 8] 실시예2에서 얻은 무광택 물품의 표면의 광학현미경 화상이다.
[도 9] 실시예 3에서 얻은 무광택 물품의 표면의 광학현미경 화상이다.
[도 10] 비교예 1에서 얻은 무광택 물품의 표면의 광학현미경 화상이다.
[도 11] 비교예 2에서 얻은 무광택 물품의 표면의 광학현미경 화상이다.
[도 12] 비교예 3에서 얻은 무광택 물품의 표면의 광학현미경 화상이다.
[도 13] 비교예 4에서 얻은 무광택 물품의 표면의 광학현미경 화상이다.
[도 14] 비교예 5에서 얻은 무광택 물품의 표면의 광학현미경 화상이다.
[무광택 물품]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치 범위의 기재에 관한 「이상」, 「이하」 및 「∼」에 관련한 수치는 임의로 조합할 수 있는 수치이고, 실시예의 수치는 수치 범위의 상하한에 이용할 수 있는 수치이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가 4000 mm-1보다 크고,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이 30 ㎛ 미만인 표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표면 형상에 관해서〕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이, 그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갖는 표면 형상(이하, 단순히 「표면 형상」이라고도 부른다.)부터 설명한다.
표면 형상은,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가 4000 mm-1보다 크고,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이 30 ㎛ 미만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표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이러한 표면 형상에 의한 광 확산에 기인하여,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우수한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 및 질감(이하, 이들을 통합하여 「무광택 효과」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을 발현함과 더불어 촉감(감촉)으로서 특히 「소프트터치감」(소프트한 감촉)을 발현하는 것으로 된다. 「소프트터치감」은 관능적인 표현이지만, 본 명세서에서의 「소프트터치감」은 일반적으로 「소프트」라고 느끼는 촉감인 것 모두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수지제 화장 시트에 많이 있는, 차가운 촉감이나 까슬거리는 촉감과는 달리, 손끝으로 습기가 없는 매끄러운 면을 닿았을 때에 느끼는 촉감을 의미한다. 「소프트터치감」을 갖는 것으로서는, 예컨대 상질지(표면이 코팅된 코트지가 아니라), 60∼120번수(세번수부터 극세번수) 정도 굵기의 실을 이용한 옥스포드 옷감 등의 천, 베이비스킨, 실크(견), 텐셀(리오셀) 등의 천연섬유의 옷감, 프로믹스, 레이온, 큐프라 등의 합성섬유, 재생섬유 등의 화학섬유의 옷감, 혹은 이들 화학섬유의 옷감을 피치스킨 가공(복숭아 표피와 유사한 촉감을 갖는 박기모(薄起毛) 가공)한 옷감 등을 들 수 있다.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는, 상기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삼차원 표면 성상 파라미터의 하나이며, 기준 영역에 포함되는 형체 화상에서 산(볼록부)으로 분류된 부위의 산꼭대기(돌기부 정점)의 곡률 반경의 산술 평균치로부터 구해지는, 산꼭대기의 선단부의 평균 곡률(평균적인 예리함)이다. 이 때문에 Spc는 반경(mm)의 역수(mm-1)가 된다.
Spc의 값이 클수록 산꼭대기(볼록부)의 선단부(도 1에서의 1a)의 곡률은 크게(그 역수의 곡률 반경은 작게, 선단부의 형상은 예리하게) 된다. 한편, Spc의 값이 작을수록 돌기부 정점(도 1에서의 1b)의 곡률은 작게(그 역수의 곡률 반경은 크게, 선단부의 형상은 둔하게) 된다. 즉, Spc가 작을수록 돌기부는 라운딩을 띠고 있고, 평면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광택은 커진다. 이 때문에, Spc의 값에만 주목하여 광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Spc가 큰 표면 형상(돌기부 정점이 예리한 표면 형상)으로 하면, 표면에서의 빛의 산란이 강하게 되어, 광택이 감소한다.
Spc가 작은 표면 형상은, 돌기부 정점이 라운딩을 띠고 있기 때문에, 소프트한 감촉으로 된다. 한편, Spc의 값을 크게 하면 돌기부의 라운딩을 잃게 되고, 소프트터치감이 손상되지만 무광택 효과는 개선된다. 이와 같이, Spc가 작으면, 즉 4000 mm-1 이하(곡률 반경이 0.25 mm 이상)이면, 원하는 무광택 효과를 얻지 못하지만, Spc를 크게 한면, 즉 4000 mm-1보다 크면(곡률 반경이 0.25 mm 미만) 소프트터치감이 저감하기 때문에, 무광택 효과와 소프트터치감은 이율 배반의 관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Spc에 더하여, 후술하는 Rsm을 특정 범위의 것으로 함으로써, 무광택 효과와 소프트터치감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게 했다.
후술하는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과의 관계에서,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Spc는 바람직하게는 4200 mm-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300 mm-1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400 mm-1 이상이고,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7000 mm-1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6500 mm-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0 mm-1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700 mm-1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Spc를 측정함에 있어서 컷오프치는 0.8 mm이다.
Spc의 측정은, 무광택 물품의 표면 형상의 임의 부위의 장방형(1024 ㎛×768 ㎛)에 관해서, 형상 해석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측정치이며, 측정 조건은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고, 예컨대 실시예에 기재한 조건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Rz(최대 높이) 및 Ra(산술 평균 거칠기)도 같은 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은, 상기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삼차원 표면 성상 파라미터 중, 윤곽 곡선의 가로 방향의 파라미터이며, 기준 길이에 있어서의 윤곽 곡선 요소의 길이의 평균이다. Rsm이 작을수록 기준 길이에 포함되는 볼록부(도 2에서의 2a 및 2b)가 많아진다. 이 때문에, Rsm이 작은 표면 형상은, 돌기부 정점이 빽빽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예컨대 표면을 손가락으로 어루만진 경우, 손가락과 접촉하는 면적이 커지므로 소프트터치감이 양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Rsm이 크다, 즉 30 ㎛ 이상이면 원하는 소프트터치감을 얻을 수 없지만, Rsm을 작게 하면, 즉 30 ㎛ 미만이면 양호한 소프트터치감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에서는 Rsm을 작게 함으로써 볼록부의 밀도가 올라간다. Spc를 크게 하여 무광택 효과를 개선하면서 또한 Rsm을 작게 함으로써 소프트터치감을 개선하고 있다. Spc와 Rsm의 관계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Spc를 크게 함으로써 무광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촉감이 까슬거리기 때문에 소프트터치감을 얻을 수 없다. 본 개시에서는 Spc를 크게 하면서, Rsm을 보다 작게 함으로써, 무광택 효과와 소프트터치감을 높은 레벨로 양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Spc를 크게 함으로써, 표면 형상은 뾰족한 돌기물을 갖는 것으로 되지만, Rsm을 작게 할수록 상기 돌기물이 빽빽하게 가득차게 되기 때문에, 손끝과의 접촉 부분에 얼룩이 없어지므로, 소프트터치감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하여, 우수한 무광택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소프트터치감이 향상되어, 무광택 효과와 소프트터치감을 높은 레벨로 양립할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상기한 Spc와의 관계에서,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Rsm은 바람직하게는 29.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9.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8.5 ㎛ 이하이며, 하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5 ㎛ 이상이다. 하한치를 상기한 범위로 함으로써, 평면 형상은 무광택 효과를 발현하고, 또한 제조도 과도하게 어려워지지 않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Rsm을 측정함에 있어서 컷오프치는 0.8 mm이다.
(주름(잔주름))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표면 형상은, 후술하는 도 3에 도시하는 평면에서 볼 때 시인되는 미소한 주름(잔주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표면 형상에 관해서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 및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Rz(최대 높이) 및 Ra(산술 평균 거칠기)는, 상기 미소한 주름(잔주름)을 가짐으로써 특정 수치 범위 내로 되기 쉽고, 한편, 상기 미소한 주름(잔주름)은, 특정 수치 범위 내의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 및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또한 바람직하게는 특정 수치 범위 내의, Rz(최대 높이) 및 Ra(산술 평균 거칠기)를 가짐으로써 형성하기 쉽게 된다. 이와 같이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 및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등과 미소한 주름(잔주름)은 표리 일체의 관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표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소프트터치감(소프트한 감촉)과 함께 무광택 효과가 향상되게 된다.
무광택 물품의 표면 형상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치 범위 내의,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 및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Rz(최대 높이) 및 Ra(산술 평균 거칠기)로 하기 위해서는, 이미 상술한 것과 같이,
(1) 무광택층의 표면에 미소한 주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조성 배합, 특히 중합성 모노머 및 중합성 올리고머의 종류, 작용기수, 분자량, 주름 형성 안정제의 유무, 주름 형성 안정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그 주름 형성제의 입자 지름 및 함유량을 적정화한다,
(3) 무광택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조사 조건, 특히 무광택층의 표면 부분을 경화 수축시킬 수 있는 100 nm 이상 380 nm 이하 파장광의 파장, 적산 광량, 자외선 출력 밀도 등을 적정화한다,
(4) 상기한 것 외에, 기재의 종류 및 두께, 무광택층의 두께 등을 적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적정화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표면 형상에 관해서,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 및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을 상기 특정 수치 범위 내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Rz(최대 높이) 및 Ra(산술 평균 거칠기)를 소정의 수치 범위 내로 하기 쉽게 된다.
(Rz(최대 높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형상으로서,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윤곽 곡선의 가로 방향의 파라미터인 Rz(최대 높이)가 12.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Rz(최대 높이)는, 윤곽 곡선의 산 및 높이 파라미터의 하나이며, 기준 길이에 있어서의 윤곽 곡선 중에서 가장 높은 산의 높이와 가장 깊은 골짜기의 깊이의 합이다. Rz(최대 높이)의 수치가 클수록 골짜기(오목부)에서 볼 때 형상이 큰(높다) 볼록부가 존재하고, 그와 같은 볼록부가 많이 존재하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이로써, 상기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 및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을 만족하는 표면 형상에 있어서, Rz(최대 높이)가 12.50 ㎛ 이하이면, 볼록부 높이의 불균일도 적어져, 소프트터치감이 향상된다.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Rz(최대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12.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 이하이며,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3.2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 이상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Rz(최대 높이)를 측정함에 있어서 컷오프치는 0.8 mm이다.
(Ra(산술 평균 거칠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형상으로서,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윤곽 곡선의 가로 방향의 파라미터인 Ra(산술 평균 거칠기)가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Ra(산술 평균 거칠기)는, 윤곽 곡선의 높이 방향의 파라미터의 하나이며, 기준 길이에서의 윤곽 곡선에 있어서, 평균면으로부터의 고저차의 평균치이다. Ra(산술 평균 거칠기)의 수치가 작을수록 표면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 이에 따라서 형성되 오목부의 고저차가 보다 작아지고, 보다 매끄러우며 균일한 형상으로 되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로써, 상기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 및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을 만족하는 표면 형상에 있어서, Ra(산술 평균 거칠기)가 2.00 ㎛ 이하이면, 표면 형상이 갖는 볼록부의 형상이 보다 균일하면서 또한 잔잔한 것이 보다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기묘한 촉감이 억제되고, 특히 소프트터치감이 향상된다. 또한 무광택 효과도 향상된다.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 향상의 관점에서, Ra(산술 평균 거칠기)는 바람직하게는 1.9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75 ㎛ 이하이며, 하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60 ㎛ 이상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Ra(산술 평균 거칠기)를 측정함에 있어서 컷오프치는 0.8 mm이다.
〔층 구성에 관해서〕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표면 형상으로서 상기 파라미터에 의해 규정되는 형상을 갖고 있으면, 층 구성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층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이 갖는 가장 단순한 층 구성으로서는,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단일층의 구성을 들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물품으로서는, 예컨대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등의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에 있어서, 그 한쪽의 표면 상에 상기 표면 형상을 갖는 물품, 혹은 수지 성형품의 표면에 엠보스 가공 등의 가공을 실시하여 표면 형상을 부형한 물품 등의 단일층에 의해 구성되는 물품을 들 수 있다.
또한, 물품의 기계적 강도, 후가공 적성, 의장 외관 등의, 제반 수요에 따른 각종 요구 성능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한다는 관점, 또한 제조 적성, 사용 취급 적성 등의 관점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 예컨대 기재 및 그 적어도 일부에 상기 표면 형상을 갖는, 예컨대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을 무광택층으로서 갖는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는 물품도 들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을 구성하는 각 층에 관해서, 바람직한 양태의 하나인,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는 물품에 관해서, 기재와 그 적어도 일부에 상기 표면 형상을 갖는 경화물층(무광택층)을 갖는 적층체를 구성하는 층부터 설명한다.
〔기재〕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을 형성하는 기재는, 그 형태(혹은 형상)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필름, 시트 또는 판, 다면체, 다각기둥, 원기둥, 구체(球體), 회전 타원체 등의 각종 형상 중에서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필름, 시트 및 판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것부터 필름, 시트 및 판이라고 불리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셋을 엄밀하게 구별하는 의의는 특별히 없고, 필름, 시트 및 판의 차이에 의해서 본 개시의 권리 해석에 차이가 생기는 일은 없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필름, 시트 및 판에 관해서 이들을 「시트」, 「시트형」 등이라고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이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기재 형상으로서는 시트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가 시트형이면, 특히 후술하는 무광택층을 형성하기 쉬우므로 제조 적성이 향상되고, 또한 예컨대 수지 성형품에 부착 등에 의해 일체화하기 쉽기 때문에, 후가공 적성이 향상된다.
기재의 구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지, 금속, 비금속 무기 재료, 섬유질 재료, 목질계 재료 등의 각종 재료를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들 각종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기재를 1층, 또는 이들 각종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기재를 2층 이상 조합한 복수의 층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복수의 층으로 하는 경우, 이종 재료의 층을 2층 이상 적층하여 일체화함으로써, 각 층의 재료가 갖는 다양한 기능을 서로 보완할 수 있다.
복수 층의 기재를 채용하는 경우, 복수 층을 구성하는 각 층을, 예컨대 재료 A로 구성되는 층과, 재료 B로 구성되는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A/B」라고 표기하는 경우;
(1) 수지/목질계 재료
(2) 수지/금속
(3) 수지/섬유질 재료
(4) 수지/비금속 무기 재료
(5) 수지 1/수지 2(예컨대 「올레핀 수지/아크릴 수지」 등의 다른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복수의 층을 갖는 경우)
(6) 금속/목질계 재료
(7) 금속/비금속 무기 재료
(8) 금속/섬유질 재료
(9) 금속 1/금속 2(예컨대 「구리/크롬」 등의 다른 금속에 의해 구성되는 복수의 층을 갖는 경우)
(10) 비금속 무기 재료/섬유질 재료
등의 양태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기재가 복수의 층인 경우, 복수 층의 각 층 사이에, 인접하는 각 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층으로서, 접착제층, 점착제층, 프라이머층(앵커층, 이접착층이라고도 불린다.)을 더 갖는 것이라도 좋다.
기재에 이용될 수 있는 수지로서는 각종 합성수지, 천연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수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고, 무광택 물품의 제조 적성, 취급 적성, 후가공 적성 등을 고려하면,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아이오노머, 각종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올레핀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염화비닐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에틸렌글리콜-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폴리(메트)아크릴산에틸, 폴리(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부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 수지; 나일론6,나일론66 등으로 대표되는 폴리아미드 수지;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셀로판, 셀룰로이드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등의 스티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천연수지로서는 천연고무, 송지(松脂), 호박(琥珀)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경화성 수지로서는, 후술하는 무광택층의 구성 재료로서 예시하는 열 경화성 수지,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기재에 이용될 수 있는 금속으로서는,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듀랄루민 등의 알루미늄 합금; 철 또는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등의 철 합금; 구리 또는 놋쇠, 청동 등의 구리 합금; 금, 은, 크롬, 니켈, 코발트, 주석, 티타늄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금속에 의해 구성되는 기재로서는, 이들 금속을 도금 등에 의해 표면에 입힌 것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기재에 이용될 수 있는 비금속 무기 재료로서는, 예컨대 시멘트, ALC(경량 기포 콘크리트), 석고, 규산칼슘, 목편 시멘트 등의 비세라믹요업계 재료; 도자기, 토기, 유리, 법랑 등의 세라믹요업 재료; 석회암(대리석을 포함한다.) 화강암, 안산암 등의 천연석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기재에 이용될 수 있는 섬유질 재료로서는, 예컨대 박엽지, 크라프트지, 상질지, 일본종이, 티탄지, 린터지, 황산지, 파라핀지, 양피지, 글라신지, 벽지용 안감지, 판지, 석고보드용 원지 등의 종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 아크릴 수지 섬유, 견, 목면, 마 등의 단백질 또는 셀룰로오스계 천연섬유,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의 섬유를 포함하는 직포 또는 부직포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 재료 중, 종이에 의해 구성되는 종이 기재의 섬유 사이 또는 상기 종이 기재와 조합하여 이용되는 다른 기재와의 층 사이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또한 보풀 방지를 위해서, 추가로 아크릴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각종 수지를 첨가(초조(抄造) 후에 이들 수지를 함침 또는 초조 시에 내부 충전)시킨 것이라도 좋다. 수지를 첨가한 종이로서는, 예컨대 지간(紙間) 강화지, 수지 함침지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여기서, 종이 등의 섬유질 재료의 기재인 경우, 액상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도공했을 때에, 상기 액상 조성물이 기재 중에 침투함으로써, 기재 표면의 섬유의 요철 형상의 영향이 무광택층 표면에 현출되어, 원하는 Spc 및 Rsm의 값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섬유질 재료의 기재의 무광택층 형성 측의 표면에, 공지된 침투 방지용 수지층을 도공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침투 방지용 수지층 형성용 수지로서는 예컨대 2액 경화형 우레탄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섬유질 재료로 구성되는 층과 수지로 구성되는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로서는, 건재 분야에서 범용되는 벽지용 안감지의 표면에, 염화비닐 수지층, 올레핀 수지층, 아크릴 수지층 등의 각종 수지로 구성되는 층을 적층한 벽지 원단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기재에 이용될 수 있는 목질계 재료로서는, 예컨대 삼목, 노송나무, 소나무, 느티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호두, 나왕, 티크, 고무나무 등의 각종 목재에 의해 구성되는 단판, 합판, 집성재, 파티클 보드, 중밀도 섬유판(MDF)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기재로서는, 상기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기재를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원하는 성상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기재, 섬유질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기재가 바람직하고,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기재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중에서도 올레핀 수지, 염화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고, 올레핀 수지, 염화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며, 올레핀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고, 염화비닐 수지로서는 폴리염화비닐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질 재료 중에서도 종이가 바람직하다. 이들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기재를 이용함으로써, 특히 상기 표면 형상을 얻기 쉽고,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키기 쉽게 된다.
단층 또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기재의 형상 및 치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용도, 원하는 제반 성능, 또한 후가공 적성 등을 고려하면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필름, 시트 및 판의 형상을 채용하는 경우, 무광택 물품의 설계상의 대표적인 치수로서 두께가 있지만, 이러한 두께도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제조 적성, 사용 취급 적성, 후가공 적성 또한 기계적 강도, 경제성 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10 cm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하면 된다. 필름, 시트의 형상을 채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300 ㎛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하면 되고, 판의 형상을 채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 2 cm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하면 된다.
기재는, 무광택 물품을 구성하는, 후술하는 무광택층 등의 다른 층과의 밀착성, 무광택 물품을 적층하는 수지 성형품 등의 피착재와의 밀착성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그의 적어도 한쪽 면에, 산화법, 요철화법(凹凸化法) 등의 물리적 표면 처리, 또한 화학적 표면 처리 등의 이접착성(易接着性) 향상을 위한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산화법으로서는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크롬 산화 처리, 화염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처리법 등을 들 수 있고, 요철화법으로서는 예컨대 샌드블라스트법, 용제 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표면 처리는, 기재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며, 표면 처리에 의한 이접착성 향상 효과 또한 작업 적성 등의 점에서, 코로나 방전 처리법이 바람직하다.
기재는, 착색되어 있어도 좋으며, 착색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투명하여도 좋고), 착색되어 있는 경우, 착색 양태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투명 착색이라도 좋고, 불투명 착색(은폐 착색)이라도 좋고, 이들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기재는, 착색되어 있는 경우, 착색제로서는, 예컨대 티탄백 등의 백색 안료, 철흑, 황연, 티탄황, 벵갈라, 카드뮴적, 군청, 코발트 블루 등의 무기 안료; 퀴나크리돈 레드, 이소인돌리논 옐로우, 프탈로시아닌 블루, 니켈-아조 착체, 아조메틴아조계 흑색 안료, 페릴렌계 흑색 안료 등의 유기 안료 또는 염료; 알루미늄, 놋쇠 등의 인편상(鱗片狀) 박편을 포함하는 금속 안료; 이산화티탄 피복 운모, 염기성 탄산연 등의 인편상 박편을 포함하는 진주 광택(진주) 안료 등의 착색제를 들 수 있다. 예컨대, 무광택 물품을 적층하는 수지 성형품 등의 피착재의 표면 색상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 표면 색상을 은폐하여, 원하는 바에 따라 형성되는 장식층의 색조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싶은 경우는, 백색 안료 등의 무기 안료를 이용하면 된다.
수지에 의한 기재를 착색하는 경우는, 수지 내에 착색제 첨가(혼련, 반죽하여 넣기), 수지와 착색제를 포함하는 도료의 도막 도포에 의한 형성 등의, 어느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종이, 직포, 부직포 등의 섬유질 재료에 의한 기재를 착색하는 경우는, 펄프나 섬유 재료와의 혼초(混抄) 혹은 도막 형성 등 중 어느 하나의 수단, 또는 이들을 병용하여 행할 수 있다.
목질계 재료에 의한 기재를 착색하는 경우는, 염료에 의한 염색 혹은 도막 형성 중 어느 하나의 수단, 또는 이들을 병용하여 행할 수 있다. 금속에 의한 기재를 착색하는 경우, 도막 형성 외에, 양극 산화법을 이용하여 표면에 금속 산화물 피막을 형성하는 전해 착색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비금속 무기 재료에 의한 기재를 착색하는 경우, 도막 형성, 혹은 기재 내에 첨가 중 어느 하나의 수단, 또는 이들을 병용하여 행할 수 있다.
기재에는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가 배합되어도 좋다. 첨가제로서는, 주로 수지인 경우에는, 예컨대 탄산칼슘, 클레이 등의 무기,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난연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발포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의 배합량은, 표면 특성, 가공 특성 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요구 특성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내후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상기 첨가제 중에서도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등의 내후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로서는, 후술하는 무광택층에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등의 내후제, 기타 각종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기재를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복수의 종이 기재를 조합한 것이라도 좋고, 종이 기재와 섬유 기재, 종이 기재와 수지 기재, 섬유 기재와 수지 기재, 종이 기재와 섬유 기재와 수지 기재를 조합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수지 기재에 관해서는, 상기 수지 기재의 단층, 혹은 동종 또는 이종 수지에 의한 복층 중 어느 구성이라도 좋다.
기재의 두께는 상기한 것과 같지만, 기재가 상기 수지의 필름 또는 시트인 경우, 20 ㎛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한으로서 3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제조 적성, 사용 취급 적성, 후가공 적성 또한 기계적 강도, 경제성 등을 고려하면, 4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한으로서 2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또한 10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과 같은 관점에서, 기재가 종이인 경우, 평량은 통상 20∼150 g/m2가 바람직하고, 30∼100 g/m2가 보다 바람직하다.
〔무광택층〕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에 있어서의 무광택층은, 단일층으로서 구성되거나, 혹은 상기한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적층하여 형성되며, 또한 상기한 표면 형상, 즉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가 4000 mm-1보다 크고,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이 30 ㎛ 미만인 표면 형상을 갖는 층으로, 무광택 물품이 기재를 갖는 경우,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표면 형상을 갖는 면이 상기 기재 측과는 반대측의 면이 되도록 형성되는 층이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무광택층을 구비하며, 상기 표면 형상이 무광택층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기계적 강도, 제조 적성 등의 관점에서, 무광택층은,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 바람직하게는 경화물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구성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광택층을 형성하는 상기 수지 조성물로서는, 우수한 무광택 효과를 가지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이 우수한 무광택 물품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수지 및 주름 형성 안정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하,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무광택층은 수지 및 주름 형성 안정제를 포함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름 형성 안정제)
주름 형성 안정제는, 무광택층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서 주름의 형성을 안정시킴으로써 무광택 물품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갖는 표면 형상을 형성하는 무광택층의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이 발현되고, 부분적인 광택의 얼룩이 저감되는, 안정적인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이하, 단순히 「안정적인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과 같은 표현, 이것에 준하는 표현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무광택층 전면에 걸쳐 주름이 안정적으로 형성됨에 따른 면 상태의 균일성(「질감」이라고도 부른다.)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무광택층에 형성하는 주름은 소프트터치감의 발현에도 크게 기여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주름 형성 안정」이란, 주름의 형상 및 그 기하학적 특성치(개개의 돌기부의 길이, 폭 및 양자의 비) 및 그 통계적 지표(본건에서의 Spc, Rsm, Rz 및 Ra, 또 필요에 따라서, Sm, Ssk, Sku 등)에 관해서, 그 면내 분포(분산 σ)가, 주름 형성 안정제를 첨가함으로써, 무첨가인 경우와 비교하여, 수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표면 형상의 60°광택도의 면내 분포(분산 σ)도 수렴하게 된다.
이로써, 종래 기술에서의 소위 「무광택제」와 본 실시형태에서의 「주름 형성 안정제」는, 설령 그 구성 물질, 평균 입자 지름이 동일했던 경우라도, 양자의 무광택 기구(작용), 무광택을 발현시키기 위한 구조 및 사용량과, 표면의 광택 정도(광택도)와의 관계에서 다른 것으로 된다. 또한, 주름을 형성함으로써 소프트터치감을 발현시킨다는 점에서도 「무광택제」와는 다른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 등의 종래 기술에 있어서, 무광택 표현을 위해서 이용되어 온 무광택제는, 물리적인 형상에 기인하는 광 확산 효과에 의해, 그 자체가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을 발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으로 무광택제라고 불리는 것은, 일반적으로 무광택제 입자와 주위의 수지 및 공기와의 굴절률차를 갖고, 그 입자의 윤곽 형상에 대응한 광선의 반사 및 굴절성 계면에 의한 광 확산 효과에 의해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을 발현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에 있어서, 주름 형성 안정제는, 입자 그 자체에 의한 광선의 반사 및 굴절에 의한 광 확산이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을 발현하는 것은 아니고, 주름 형성 안정제에 기인하여 무광택층 표면에서의 주름 형성을 안정시킴으로써, 이러한 표면과 공기의 굴절률차 계면에서의 광 확산 효과에 의해 무광택 물품에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과 함께 질감을 부여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주름 형성 안정제는, 그 자체가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을 발현하는 무광택제와는, (설령 양자의 구성 물질, 평균 입자 지름이 동일했다고 해도) 양자의 무광택 기구(작용), 무광택을 발현시키기 위한 구조 등은 다른 것이다.
더구나, 「주름 형성 안정제」와 「무광택제」는, 함유량과 표면의 광택(광택도)의 관계에서도 다르다. 동일한 물질 A를 주름 형성 개시제 AW(W: 주름, wrincle)로서 이용하고, 이것을 특정량 C로 함유시켜 표면에 주름을 형성시킨 경우의 표면의 60°광택도 G60° AW(C)는, 동 물질 A를 단순한 무광택제 AM으로서 이용하여, 이것을 상기 특정량 C로 함유시키거나 표면에 주름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의 표면의 60°광택도 G60° AM(C)보다 분명히 저하한다. 즉, 이하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G60° AW(C)<G60° AM (C)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에 있어서의 무광택층은, 종래 무광택제로서 이용되어 온 제를 포함하여도 좋지만, 무광택제를 이용하여도 얻지 못할 정도로 매우 우수한 무광택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고, 소프트터치감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발명의 효과의 특징을 고려하면, 무광택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종래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을 얻기 위해서 이용하고 있었던 무광택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더라도, 매우 우수한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 및 질감을 갖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여기서, 「무광택제를 포함하지 않는다」란, 무광택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것에 더하여, 포함하고 있더라도 무광택제 자체의 작용 효과에 기초한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을 갖지 않는, 구체적으로는 무광택제의 함유량이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0 질량부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부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무광택제」는, 이미 상술한 것과 같이 앞에서 말한 효과에 의해 볼록부를 형성한다는 관점에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무광택제이 포함될 수 있는 층, 즉, 무광택층의 두께의 100% 초과 및 30 ㎛ 초과 중 어느 작은 쪽을 하한으로 하는 평균 입자 지름을 갖는 입자를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름 형성 안정제로서는, 무광택제가 아닌, 평균 입자 지름이 무광택층의 두께의 100% 이하 및 30 ㎛ 이하 중 어느 작은 쪽을 상한으로 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서 이용할 수 있다.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평균 입자 지름이 무광택층의 두께의 100% 이하 및 30 ㎛ 이하 중 어느 작은 쪽을 상한으로 하는 주름 형성 안정제에 관해서, 그 평균 입자 지름에 의해 구별되는 2종의 주름 형성 안정제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종의 주름 형성 안정제는, 구체적으로는 평균 입자 지름이 1 ㎛ 이상이면서 또한 상기 무광택층의 두께의 100% 이하 및 30 ㎛ 이하 중 어느 작은 쪽을 상한으로 하는 주름 형성 안정제 1 및 평균 입자 지름이 1 ㎛ 미만인 주름 형성 안정제 2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종의 주름 형성 안정제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면, 주름의 형성이 안정적으로 되어, 안정적으로 우수한 무광택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소프트터치감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름 형성 안정제 1, 주름 형성 안정제 2를 단독으로 또한 주름 형성 안정제 1과 주름 형성 안정제 2를 병용할 수 있으며,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주름 형성 안정제 1과 주름 형성 안정제 2를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주름 형성 안정제에는 예컨대 유기 입자, 무기 입자를 이용할 수 있다.
유기 입자를 구성하는 유기물로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수지, 벤조구아나민-멜라민-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실리콘, 불소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입자를 구성하는 무기물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탄산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및 황산바륨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이 우수한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주름 형성 안정제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구상, 다면체, 인편상, 부정형 등을 들 수 있다.
주름 형성 안정제 1의 평균 입자 지름은, 1 ㎛ 이상이면서 또한 상기 무광택층의 두께의 100% 이하 및 30 ㎛ 이하 중 어느 작은 쪽을 상한으로 한다.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를 향상시키고,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주름 형성 안정제 1의 평균 입자 지름은 바람직하게는 1.3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 이상이며, 상한으로서는, 무광택층의 두께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무광택층의 두께의 9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광택층의 두께의 8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무광택층의 두께의 70% 이하이고, 절대치에 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7 ㎛ 이하이고, 무광택층의 두께에 대한 상한과 절대치의 상한을 임의로 조합한 경우 중 어느 작은 쪽으로 하면 된다. 예컨대 무광택층의 두께의 90% 이하 및 20 ㎛ 이하 중 어느 작은 쪽을 상한으로 하여도 좋고, 무광택층의 두께의 90% 이하 및 10 ㎛ 이하 중 어느 작은 쪽을 상한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무광택층의 두께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주름 형성 안정제 2의 평균 입자 지름은 1 ㎛ 미만이다. 주름의 형성을 안정시키고,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를 향상시키고,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주름 형성 안정제 2의 평균 입자 지름은 바람직하게는 1 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nm 이상이며,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900 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nm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주름 형성 안정제의 평균 입자 지름은, 레이저광 회절법에 의한 입도 분포 측정에 있어서의 질량 평균치 d50으로서 측정한 것이다.
주름 형성 안정제에 의한 주름의 형성을 안정시키고,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를 향상시키고,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주름 형성 안정제(주름 형성 안정제 1과 주름 형성 안정제 2를 병용하는 경우는 이들의 합계 함유량)의 함유량은, 무광택층을 형성하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질량부 이상이며, 상한으로서는 안정적인 무광택 효과의 향상, 또한 소프트터치감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도포성 등에 의한 화장재의 생산성, 또한 효율적으로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 및 질감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5.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부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질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질량부 이하이다.
주름 형성 안정제 1과 주름 형성 안정제 2를 병용하는 경우, 주름 형성 안정제 1 및 주름 형성 안정제 2 각각의 함유량으로서는, 합계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주름 형성 안정제 2의 함유량은,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상이며,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주름 형성 안정제 1과 주름 형성 안정제 2의 배합 비율은, 이들의 합계량을 100 질량부로 한 경우의 주름 형성 안정제 1의 배합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0 질량부 이상 0.95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질량부 이상 0.9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 질량부 이상 0.80 질량부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 질량부 이상, 0.70 질량부 이하이다.
주름 형성 안정제로서는, 이미 상술한 것과 같이 유기 입자, 무기 입자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들 입자의 종류 자체는 종래 무광택제로서도 이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화장 시트의 매트층에는, 구상 알루미나, 탄산칼슘과 같은 무광택제가 이용되고 있다. 구상 알루미나, 탄산칼슘과 같은 무광택제가, 물리적인 형상에 기인하는 광 확산 효과에 의해, 그 자체가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수지분 100 중량부 당 구상 알루미나 10 중량부 및 탄산칼슘 40 중량부의 합계 50 중량부 정도의 함유량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미 상술한 것과 같이 소량의 함유량으로 하여도, 즉 물리적인 형상에 기인하는 광 확산 효과에 의해, 그 자체가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을 발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함유량보다 적은 함유량으로 하여도, 무광택제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와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무광택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게다가 소프트터치감도 얻을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실질적으로 무광택제를 포함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표면에 주름이 안정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무광택제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을 안정적으로 얻고 있는 동시에 질감도 얻을 수 있고, 게다가 소프트터치감도 얻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무광택층의 표면 형상)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에 있어서의 무광택층은 상기 표면 형상을 갖는 층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특정 주름 형성 안정제를 특정 함유량으로 포함하는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구성되는 층이다. 이미 상술한 것과 같이 무광택층의 표면에 있어서 주름의 형성이 안정적임으로써, 주름의 형상에 기인하는 광 확산 효과에 의해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를 발현하고, 소프트터치감도 발현하는 층으로 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에서 볼 때의 모식도이며, 실시예에서 얻은 무광택 물품의 표면의 화상을 모식화한 것이다. 도 3에는,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그 표면, 즉 무광택층의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평면에서 볼 때」는, 도 4∼도 6에 도시되는 XYZ 좌표계에서 Z축 정방향으로부터 무광택 물품의 표면을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광택층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발현하는 주름은, 상기 표면 형상, 즉, 상기한 특정 수치 범위 내에 있는 Spc 및 Rsm,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특정 수치 범위 내에 있는 기타 Rz, Ra를 갖는 표면 형상을 띠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주름의 발현에 의해 상기 표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주름 형성 안정제에 의해 형성이 안정적으로 되어,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를 발현하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도 발현하게 된다.
주름에 관해서, 상기 표면 형상을 발현하고, 무광택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무광택층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은 불규칙한 주름에 의해 구성되는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불규칙한 주름은,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와,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돌기부는 선조의 돌기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선조의 돌기부」(이하, 「선조 돌기부」라고도 부른다.)란, 상기 돌기부의 길이와 폭의 비(길이/폭)가 3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임을 의미하고, 상기 길이 및 폭의 결정 방법은 후술하는 것과 같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한 불규칙한 주름은, 복수의 선조 돌기부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와, 상기 복수의 선조 돌기부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이들 주름에 관한 양태로서는 예컨대 도 3에 도시하는 양태를 들 수 있다. 도 3에는, 무광택 물품의 표면, 즉 무광택층의 표면에, 평면에서 볼 때 불규칙한 주름을 갖고 있는 것, 또한 불규칙한 주름이, 만곡된 복수의 선조 돌기부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2)와, 복수의 돌기부(복수의 볼록부(2))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오목부(3)를 포함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것, 또한 만곡된 복수의 볼록부(2)의 적어도 일부가 각각 사행하는 선조 돌기부에 의해 형성되고, 이 사행하는 선조 돌기부에 둘러싸이는 식으로 하여 사행하는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는 것도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도 3에 도시하는 주름 형성의 안정에 의해,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를 발현하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도 발현하고 있다.
여기서 「만곡」이란, 평면에서 볼 때, 연속되는 선조의 볼록부(2)의 연장 방향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반전된 부분을 한 곳 이상 갖는 것을 의미한다. 연장 방향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반전된 부분의 예로서는, 예컨대 선조의 볼록부(2)의 평면에서 본 형상의 폭을 무시했을 때(폭을 0이라고 간주했을 때)에 연속 곡선으로 근사되는 경우에, 변곡점을 갖는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선조의 볼록부(2)의 평면에서 본 형상의 폭을 무시했을 때에 직선으로 근사되는 경우에, V자형의 절선 또는 삼각형의 한 정점을 사이에 둔 두 변으로 근사되는 부분을 갖는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사행」이란, 평면에서 볼 때, 연속되는 선조의 볼록부(2)의 연장 방향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반전된 부분(이하, 「반전 부분」이라고도 부른다)을 적어도 두 곳 이상 갖고, 선조의 볼록부(2)를 그 연장 방향으로 진행했을 때에, 서로 인접하는 상기 두 곳에서 교대로 선조의 볼록부(2)의 연장 방향이 역방향으로 반전하는 부분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선조의 볼록부(2)의 평면에서 본 형상의 폭을 무시했을 때에 연속 곡선으로 근사되는 경우에, 로마자 「S」로 근사되는 부분을 갖는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선조의 볼록부(2)의 평면에서 본 형상의 폭을 무시했을 때에 직선으로 근사되는 경우에, 로마자 「W」로 근사되는 부분을 갖는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불규칙이란, 일정한 법칙을 갖는 형상, 또한 일정한 법칙을 가지고서 배열되는, 소위 패턴화되어 있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불규칙하지 않은 형상(규칙적인 형상)의 전형적인 예로서는, 예컨대 원주 형상의 단위 렌즈를 그 길이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여러 개가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 소위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와 같이, 특정 방향으로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고서 배열된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의 불규칙한 주름은, 하나의 돌기부의 형상 자체가 주기성 등의 일정한 법칙을 가지고서 형성되는 형상이 아니라 불규칙한 것, 또한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의 형상이 일정한 법칙을 가지고서 형성 및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불규칙한 것, 또한 이러한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둘러싸인 오목부의 형상도 불규칙한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에 있어서, 하나의 돌기부(하나의 볼록부)의 형상 자체, 복수의 돌기부(복수의 볼록부) 각각의 형상 및 그 배열,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둘러싸인 오목부의 형상 중 어느 하나가 불규칙하면, 불규칙한 주름을 가짐에 따른 무광택 효과, 또한 소프트터치감은 얻어지지만, 모두가 불규칙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불규칙한 주름을 가짐으로써, 그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 및 질감은 향상되고, 매우 우수한 무광택 효과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을 발현하는 것으로 된다.
이미 상술한 것과 같이, 무광택층은 그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주름, 즉 요철 형상을 갖는다.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와 오목부는, 예컨대 본 실시형태의 화장재 표면의 화상 명도차를 이용하여, 농도 분포 화상에서 가장 짙은 부분을 계조 255로 하고, 농도 분포 화상에서 가장 옅은 부분을 계조 0으로 하여, 계조 0∼255에 관해서 계조 0∼127을 오목부, 계조 128∼255를 볼록부로, 2치화 처리하여 구분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표면은, 적어도 그 일부에 불규칙한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면에 걸쳐 불규칙한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주름 형성 부위는, 무광택 물품의 표면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후술하는 무늬를 따르는 부위(상기 무늬 위)에만 한하지 않고, 상기 표면의 적어도 일부이면, 주름의 형성에 의한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은 발현된다. 예컨대 후술하는 장식층을 가지면서 또한 일부에 불규칙한 주름이 형성되는 경우, 주름은 장식층의 무늬를 따르는 부위(예컨대 무늬 위)에 형성하면, 상기 무늬가 주위와 비교하여 보다 소광된 부위로서 시인되기 때문에,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도 도시하는 것과 같이, 불규칙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균질성을 갖은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와, 이 볼록부에 의해 둘러싸인 오목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하나의 볼록부(돌기부)에 있어서, 그 폭이 극단적으로 변화되는 형상은, 상기한 표면 형상으로 되기 어렵고,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 및 질감을 얻는 데에 있어서도 바람직한 양태라고는 말할 수 없고, 또한 소프트터치감을 얻는 데에 있어서도 바람직한 양태라고는 말할 수 없다. 불규칙한 주름을 형성하는 볼록부(돌기부), 오목부의 형상에 관해서,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우수하게 될 수 있는 구체적인 양태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주름이 이하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표면 형상을 띠기 쉽게 되어,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이 향상된다.
무광택층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형성하는 주름의 형상에 관해서, 그 볼록부의 높이(돌기부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이상이며, 상한으로서는 10 ㎛ 이하 정도이다. 또한, 볼록부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이며,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이다. 볼록부의 높이 및 폭이 상기 범위 내이면, 상기 표면 형상을 띠기 쉽게 되어, 오목부와의 관계에서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가 향상되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이 향상된다.
여기서, 볼록부의 상기 치수는,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임의의 10 곳(사방 100 ㎛의 영역×10 곳)에 있어서의 임의의 10개의 볼록부(돌기부), 즉 합계 100개의 볼록부의 평균치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하나의 볼록부(돌기부)에 있어서 그 폭은 동일하지 않고 광협(廣狹)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볼록부(돌기부)의 폭은 이 하나의 볼록부(돌기부)에 있어서의 임의의 5 곳의 폭의 평균치로 한다. 볼록부(돌기부)의 높이에 관해서도 같은 식으로 한다.
오목부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이상이며, 상한으로서는 10 ㎛ 이하 정도이다. 또한, 오목부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이며,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이하이다. 오목부의 깊이 및 폭이 상기 범위 내이면, 상기 표면 형상을 띠기 쉽게 되어, 볼록부와의 관계에서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가 향상되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이 향상된다.
여기서, 오목부의 치수는 상기한 볼록부의 치수와 같은 식으로 결정한다.
볼록부 꼭대기에서부터 오목부 바닥까지의 거리(볼록부와 오목부의 고저차)는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이상이며,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 이하이다. 상기 거리가 상기 범위 내이면, 상기 표면 형상을 띠기 쉽게 되어,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가 향상되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이 향상된다.
여기서, 오목부의 치수는 상기한 볼록부의 치수와 같은 식으로 결정한다.
볼록부의 점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며,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볼록부의 점유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이면, 상기 표면 형상을 띠기 쉽게 되어, 상기 볼록부에 둘러싸이는 오목부의 점유 비율과의 관계에서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가 향상되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이 향상된다.
여기서, 볼록부의 점유 비율은,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임의의 10 곳(사방 100 ㎛의 영역×10 곳)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점유 비율의 평균치이다.
볼록부 및 오목부는, 대략 동일 방향 및 대략 동일 폭의 부위를 갖고 있어도 좋지만, 무광택 효과의 향상 또한 소프트터치감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그 길이는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대략 동일 방향 및 대략 동일 폭의 볼록부 및 오목부가 연속되는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9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이며, 하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다. 상기 길이가 상기 범위 내이면, 주름이 보다 불규칙하게 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가 향상되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이 향상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임의의 10 곳(사방 100 ㎛의 영역×10 곳)에 있어서의 임의의 10개의 볼록부 및 오목부(즉, 합계 100개의 볼록부 및 오목부)에 관해서, 그 80% 이상이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대략 동일」의 「대략」은 대체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갈라져 나오는 일 없이, 방향인 경우는 ±3°이내의 차이를 의미하고, 폭인 경우는 ±5% 이내의 차이를 의미한다.
또한, 사방 100 ㎛ 영역에서의 볼록부(돌기부)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며,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다. 상기 볼록부의 수가 상기 범위 내이면,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가 향상되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이 향상된다.
상기 볼록부의 수는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10 곳(사방 100 ㎛의 영역×10 곳)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수의 평균치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무광택 물품(10)을 그 두께 방향(같은 도면에서는 Z 방향)으로 평행한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오목부의 형상으로서는, 예컨대 도 4의 3a와 같이 예각형인 것라도 좋고, 또한 3b와 같이 반원 또는 반타원형인 것이라도 좋고, 이들의 조합이라도 좋다. 또한 하나의 볼록부가 일부에 오목부를 갖는, 도 4의 3c와 같은 형상이라도 좋다.
다른 한편, 볼록부의 형상으로서는, 도 4의 2c, 2d와 같이 폭의 광협은 있지 만, 반원 또는 반타원의 형상을 띤다.
무광택층의 두께는,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를 발현하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을 발현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한 주름을 형성할 수 있는 두께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제작 용이성 등도 고려하면, 통상 1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이고,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무광택층의 두께는, 무광택 물품의 단면에 관해서, 주사 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20 곳의 두께를 측정하여, 20 곳의 값의 평균치로 한다. 또한, SEM의 가속 전압은 3 kV, 배율은 두께에 따라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다른 층의 두께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다.
무광택층은, 그 전면에 상기한 표면 형상을 띠는 층이며,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표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므로, 무광택 물품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그 전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이 상기 기재와 무광택층을 갖는 경우, 상기 기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것이면 되고, 또한 그 전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무광택층은, 무광택 물품에 있어서 수요자가 시인하고, 또한 닿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면, 즉 상기 표면 형상은, 무광택 물품에 있어서 수요자가 시인하고, 또한 닿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면,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이라는 발명의 효과는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재가 필름, 시트 또는 판의 형상을 띠는 경우도, 무광택층은, 무광택 물품에 있어서 수요자가 시인하고, 또한 닿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그 한쪽 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그 전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도 4∼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한쪽 면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무광택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상기 주름 형성 안정제를 소정량으로 포함하는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형성하여, 경화함으로써 경화물로 되어 무광택층을 구성하는 수지이면 된다. 이러한 수지로서는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무광택층은, 도 4∼도 6에도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최표면에 형성될 수 있는 층이기 때문에, 주름 형성 안정제에 의해 주름을 형성하기쉬운 수지인 것 외에, 무광택 물품으로서 사용성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가공 특성, 내오염성, 내찰상성, 내후성 등의 표면 특성을 발현하기 쉬운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며,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이러한 관점에서 바람직한 수지이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무광택층에 포함되는 주름 형성 안정제의 함유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그 표면 특성으로서, 무광택층을 형성하는 수지의 성능이 보다 직접적으로 발휘되게 된다.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전리방사선 경화성 작용기를 갖는 수지를 말하며, 전리방사선 경화성 작용기는 전리방사선의 조사에 의해서 가교 경화하는 기로, 예컨대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작용기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나타낸다.
또한, 전리방사선이란, 전자파 또는 하전 입자선 중, 분자를 중합 및/또는 가교할 수 있는 에너지 양자를 갖는 것을 의미하며, 통상 자외선(UV) 또는 전자선(EB)이 이용되지만, 기타, X선, γ선 등의 전자파, α선, 이온선 등의 하전 입자선도 포함된다.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전자선 경화성 수지 및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고, 주름 형성 안정제에 의한 주름의 형성을 안정시켜,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관점,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구체적으로는 종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 관용되고 있는 중합성 모노머, 중합성 올리고머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분자 내에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다작용성 (메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작용기를 가지며 또한 상기 작용기로서 적어도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주름의 형성을 안정시켜,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관점,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킨다는 관점, 게다가 후가공 특성, 내찰상성 및 내후성 등의 표면 특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작용기수는 2 이상 8 이하가 바람직하고, 2 이상 6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용기수이면, 특히 상기한 표면 형상을 얻기 쉽고,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키기쉽게 된다.
이들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중합성 올리고머로서는, 예컨대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작용기를 가지며 또한 상기 작용기로서 적어도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예컨대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카보네이트(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성 올리고머로서는, 그 외에 폴리부타디엔 올리고머의 측쇄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소수성이 높은 폴리부타디엔(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주쇄에 폴리실록산 결합을 갖는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작은 분자 내에 많은 반응성기를 갖는 아미노플라스트 수지를 변성한 아미노플라스트 수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지방족 비닐에테르, 방향족 비닐에테르 등의 분자 내에 양이온 중합성 작용기를 갖는 올리고머 등이 있다.
이들 중합성 올리고머는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주름의 형성을 안정시켜,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관점,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킨다는 관점, 게다가 후가공 특성, 내찰상성 및 내후성 등의 표면 특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카보네이트(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바람직하고,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카보네이트(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보다 바람직하고,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중합성 올리고머의 작용기수는, 주름의 형성을 안정시켜,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관점,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킨다는 관점, 게다가 가공 특성, 내찰상성 및 내후성 등의 표면 특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2 이상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한으로서는 6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것과 같은 관점에서, 이들 중합성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500 이상 7,500 이하가 바람직하고, 3,000 이상 7,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500 이상 6,0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 분석에 의해서 측정되며, 또한 표준 폴리스티렌으로 환산된 평균 분자량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무광택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상기 중합성 올리고머와 중합성 모노머를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중합성 올리고머로서는 다작용성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바람직하고, 다작용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보다 바람직하며, 또한 중합성 모노머는 다작용의 중합성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고, 다작용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더욱 바람직하다. 주름의 형성을 안정시켜,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게다가 가공 특성, 내찰상성 및 내후성 등의 표면 특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 이것과 같은 관점에서, 중합성 올리고머와 중합성 모노머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한 중합성 올리고머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40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질량부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질량부 이상이며,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9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중합성 올리고머를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으며, 작용기수가 다른 2종의 중합성 올리고머를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중합성 올리고머의 전량 100 질량부에 대한 작용기수가 보다 큰 중합성 올리고머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질량부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질량부 이상이다.
(수지 조성물)
무광택층은 상기 주름 형성 안정제를 소정 함유량으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와 상기 주름 형성 안정제를 소정 함유량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수지 조성물은, 상기 주름 형성 안정제 및 수지 외에, 원하는 성능 등에 따라서 다른 성분을 포함하여도 좋다.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은, 예컨대 그 점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목적에서 단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여도 좋다. 이들 단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수지가 자외선에 의해 경화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인 경우, 광중합개시제, 광중합촉진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자외선을 이용하더라도(전리방사선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고, 실용에 이바지하는 표면 특성을 얻을 수 있다.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α-히드록시알킬페놀, 미힐러케톤, 벤조인, 벤질디메틸케탈, 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실옥심에스테르, 티오크산톤류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광중합촉진제는, 경화 시의 공기에 의한 중합 저해를 경감시켜 경화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p-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이소아밀에스테르, p-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무광택층은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최표면에 형성될 수 있는 층이므로 내후성을 갖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등의 각종 내후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흡수제로서는, 화장재, 화장 시트 등에 범용되는 자외선흡수제를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흡수제,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자외선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광안정제로서도, 화장재, 화장 시트 등에 범용되는 광안정제를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계 광안정제 등의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는,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것이라도 좋다.
이들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등의 내후제는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60°광택도〕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우수한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 및 질감을 갖는 물품이다. 본 명세서에서 「무광택」은 광택을 시인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며, 물품의 색조, 무늬 등에 따라 바뀌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예컨대 60°광택도가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정도이면 일반적으로 「무광택」이라고 취급하는 것으로 한다.
지금까지 예컨대 흑색 기타 암색(暗色)(「암색」이란, 명도가 낮아, 예컨대 JIS Z8781-4:2013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CIE(국제조명위원회) L*a*b* 표색계에서의 L* 값(이하, 단순히 「L* 값」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이 통상 40 이하 정도,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을 띠는 무광택 물품에서는, 무광택제를 이용하더라도 60°광택도가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라는 우수한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을 얻을 수는 있지만, 무광택제를 많이 사용하므로, 층 형성 시에 줄기, 얼룩이 발생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또한 표면 특성이 저하하는 것으로 되고 있었다. 또한, 예컨대 흑색 기타 암색 이외의 색조를 띠는 무광택 물품에 관해서도, 무광택제를 이용하더라도 60°광택도의 수치에 하한이 있고, 흑색을 띠는 무광택 물품과 마찬가지며, 이러나저라나 표면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 및 질감도 우수한 무광택 물품을 용이하게 얻을 수 없었다. 이러한 경향은 60°광택도를 작게 할수록 현저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에서는, 소정의 평균 입자 지름을 갖는 2종의 주름 형성 안정제를 조합하여 이용하면서 또한 그 함유량을 이미 상술한 것과 같이 소량으로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매우 우수한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 및 질감을 얻기에 이르렀을 뿐만 아니라, 소프트터치감도 얻었다. 또한, 주름 형성 안정제의 사용량을 매우 소량으로 억제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현저한 점도 상승이 억제됨으로써, 층 형성이 용이하게 되고, 무광택층에 이용되는 수지의 특성에 따른, 우수한 내오염성, 내찰상성, 내후성 등의 표면 특성을 자연스럽게 갖는 것으로 된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이미 상술한 것과 같이 색조에 따라서 바뀌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는 없지만, 예컨대 흑색 기타 암색을 띠는 경우는, 상기 무광택층 측의 60°광택도로서 10.0 이하, 또한 7.5 이하, 5.0 이하, 4.0 이하, 3.6 이하, 2.0 이하로 매우 우수한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흑색 기타 암색 이외의 색조를 띠는 무광택 물품에 관해서도 상기 60°광택도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상기 무광택층 측의 60°광택도는, 그 무광택 물품의 최표면을 형성하는 층의 표면의 60°광택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다른 층을 더 갖지 않는 한, 무광택층의 표면의 60°광택도로 된다. 다른 층을 더 가지며 또한 무광택층보다 표면 측에 상기 다른 층이 형성되는 경우, 60°광택도는 상기 다른 층의 60°광택도를 의미하게 되지만,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이 특정 60°광택도를 갖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무광택층의 구성에 의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무광택층 측의 60°광택도는 JIS K5600-4-7:1999에 준거하여 측정한 60°경면 광택도를 말하며, 임의의 10 곳에서의 글로스미터(gloss meter) 등을 이용하여 무광택층 측으로부터 측정할 수 있는 값의 평균치이다.
〔그 밖의 층〕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상기 무광택층, 기재 외에, 그 밖의 층으로서, 예컨대 프라이머층, 투명성 수지층, 장식층, 접착층 등을 필요에 따라서 가질 수 있다. 이들 층을 갖는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 5 및 도 6에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무광택 물품(10)을 그 두께 방향(같은 도면에서는 Z 방향)에 평행한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무광택 화장재(10)는 기재(12) 및 무광택층(11)을 순차 갖고 있고, 도 6에 도시하는 무광택 물품(10)은 기재(12), 장식층(13), 접착층(14), 투명성 수지층(15), 프라이머층(16) 및 무광택층(11)을 순차 갖고 있다.
(프라이머층)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예컨대 복수의 층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층의 층간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프라이머층을 갖더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이 무광택층 이외의 층을 갖는 경우, 예컨대 무광택층과 기재를 갖는 경우, 무광택층과 기재 사이에, 층간 밀착성의 향상을 위해서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박리층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경우, 박리층에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 처리로서는 코로나 조사가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은 주로 바인더 수지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여도 좋다.
바인더 수지로서는, 우레탄 수지, 아크릴폴리올 수지, 아크릴 수지, 에스테르 수지, 아미드 수지, 부티랄 수지, 스티렌 수지,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폴리머 주쇄에 카보네이트 결합을 갖고, 말단, 측쇄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중합체(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유래의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염소화프로필렌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초화면),아세트산셀룰로오스 수지 등의 수지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 수지는, 이들 수지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등의 경화제를 첨가하여, 가교 경화한 것이라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폴리올 수지 등의 폴리올계 수지를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 가교 경화한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폴리올 수지를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 가교 경화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1 ㎛ 이상 1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 ㎛ 이상 8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 이상 6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상기 물품을 적층하는 수지 성형품 등의 피착재의 접착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무광택층의 적어도 한쪽의 주름을 갖는 표면과는 반대측에 또한 기재를 갖는 경우는, 이 기재의 무광택층이 형성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프라이머층(「이면 프라이머층」이라고도 불린다.)을 가질 수도 있다.
(투명성 수지층)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그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또한 후술하는 장식층을 갖는 경우는 상기 장식층의 보호 등의 관점에서, 투명성 수지층을 갖더라도 좋다. 투명성 수지층은, 기재를 갖는 경우는 그 기재와 무광택층 사이에 형성하면 되고, 장식층을 갖는 경우는 그 장식층을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장식층과 무광택층 사이에 형성하면 된다.
투명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이하, 「ABS 수지」라고도 부른다.), 아크릴 수지, 염화비닐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후가공 적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각종 수지를 2종류 이상 적층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투명성 수지층은, 투명성 수지층보다 기재 측을 시인할 수 있을 정도로 투명하면 되며, 또한 장식층을 갖는 경우는 그 장식층을 시인할 수 있을 정도로 투명하면 되고, 무색 투명 외에 착색 투명 및 반투명이라도 좋다. 즉, 본 개시에 있어서 「투명성」이란, 무색 투명 외에 착색 투명 및 반투명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투명성 수지층은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등의 내후제 또한 착색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여도 좋다.
투명성 수지층의 두께는, 장식층을 보호한다는 관점, 또한 후가공 적성 등을 고려하면, 20 ㎛ 이상 1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 이상 12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0 ㎛ 이상 10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장식층)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의장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장식층을 갖더라도 좋다. 장식층은, 무광택층의 주름을 갖는 적어도 한쪽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하면 되고, 기재를 갖는 경우는 기재와 무광택층 사이에, 또한 투명성 수지층을 갖는 경우는 장식층, 투명성 수지층 및 무광택층의 순으로 형성하면 된다.
장식층은, 예컨대 전면을 피복하는 착색층(소위 솔리드 착색층, 도 6에서의 「13a」)이라도 좋고, 다양한 모양을 잉크와 인쇄기를 사용하여 인쇄함으로써 형성되는 무늬층(도 6에서의 「13b」)이라도 좋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솔리드 착색층과 무늬층을 조합한 것이라도 좋다.
무늬층의 무늬(모양)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원하는 바에 따른 무늬를 채용하면 되며, 예컨대 목재판 표면의 나이테나 도관 홈 등의 나뭇결 무늬, 대리석, 화강암 등의 석판 표면의 돌무늬, 포백 표면의 옷감결 무늬, 피혁 표면의 가죽 질감 무늬, 기하학 모양, 문자, 도형 또한 이들을 조합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장식층에 이용되는 잉크로서는, 바인더 수지에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체질 안료, 용제, 안정제, 가소제, 촉매, 경화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등을 적절하게 혼합한 것이 사용된다.
장식층의 바인더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우레탄 수지, 아크릴폴리올 수지, 아크릴 수지, 에스테르 수지, 아미드 수지, 부티랄 수지, 스티렌 수지,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염소화프로필렌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수지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1액 경화형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경화제를 동반하는 2액 경화형 수지 등, 다양한 타입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은폐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안료가 바람직하다. 안료는 기재에 이용될 수 있는 안료로서 예시한 것과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착색제의 함유량은, 장식층을 구성하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이상 9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질량부 이상 80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질량부 이상 70 질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장식층은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등의 내후제, 착색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여도 좋다.
장식층의 두께는, 원하는 무늬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지만, 피착재의 바탕색을 은폐하면서 또한 의장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0.5 ㎛ 이상 2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 ㎛ 이상 1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이상 5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접착제)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이 기재와 투명성 수지층을 갖는 경우, 기재와 투명성 수지층 사이에는, 양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접착층을 갖더라도 좋다.
기재와 투명성 수지층 사이에 장식층을 더 갖는 경우, 접착층과 장식층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기재에 가까운 측에서부터 장식층, 접착층 및 투명성 수지층을 이 순서로 갖고 있어도 좋고, 기재에 가까운 측에서부터 접착층, 장식층 및 투명성 수지층을 이 순서로 갖고 있어도 좋다.
접착층은, 예컨대 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접착제 중에서도 우레탄계 접착제가 접착력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우레탄계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아크릴폴리올 등의 각종 폴리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경화제를 포함하는 2액 경화형 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는, 효율적으로 원하는 접착력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0.1 ㎛ 이상 3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 ㎛ 이상 15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이상 1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투명하지 않은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기재를 갖거나, 장식층을 갖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전광선 투과율이 낮아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JIS K7361-1:1997에 준거하여 측정한 전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무광택 물품의 전광선 투과율은, JIS K7361-1:1997에 준거하여 측정한 전광선 투과율을 말하며, 임의의 10 곳에서 측정한 평균치이다.
[무광택 물품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제1 제조 방법은, 무광택층을, 상기한 수지 및 주름 형성 안정제를 포함하는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층을 적어도 100 nm 이상 380 nm 이하의 파장광으로 조사하여 형성하는 무광택층 형성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 제조 방법에 의해, 예컨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기재 및 그 적어도 일부에 상기 표면 형상을 갖는, 예컨대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을 무광택층으로서 갖는 적층체와 같이,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구성을 갖는 무광택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한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여, 상기 기재 상에 해당 수지 조성물의 층을 형성하고, 상기와 같이 조사함으로써 무광택층을 형성하면, 기재와 무광택층을 갖는 무광택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무광택 물품을 무광택층에 의해 상기 표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함으로써(상기 무광택층 측의 표면이 상기 표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함으로써), 무광택층 측의 60°광택도가 20.0 이하, 10.0 이하, 나아가서는 그 이하라는 무광택 효과를 가지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을 갖는 무광택 물품을 제조하는 경우에 적합한 제조 방법이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해, 이미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무광택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적어도 100 nm 이상 380 nm 이하라는 단파장의 자외선을, 무광택층을 형성하는 주름 형성 안정제를 포함하는 무광택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조사함으로써, 상기 무광택층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주름을 형성시킬 수 있어, 무광택 물품(무광택층)에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단파장의 자외선을,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조사함으로써, 무광택층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있어서 주름이 형성되어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이 발현되는 기구에 관한 상세한 점은 불분명하지만, 이하의 기구에 의한 것으로 추찰된다.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소정 두께로 도포한 도포층에 단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면, 이 자외선의 에너지가 표면 부분에만 침투하고, 그보다 하층에는 에너지가 도달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수지 조성물의 표면 부분만이 경화를 시작하므로, 표면만이 경화 수축을 일으킴으로써 주름이 형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주름의 형성은, 단파장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표면으로부터의 일정 두께 방향만이 경화한 상태에서 생기고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대비로부터, 주름 형성 안정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주름 형성이 불안정하게 되어,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 및 질감이 무광택층 전면에 걸쳐 안정적이며 충분한 정도로는 발현되지 않고, 또한 소프트터치감을 충분히 발현하지 않으므로, 상기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의 안정적인 발현은, 단파장의 자외선에 의한 표면 부분만의 경화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즉,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이 주름을 안정적으로 가짐으로써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주름 형성 안정제가 포함되는 것이 필요 불가결하다. 주름 형성 안정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주름의 형성에 의한 안정적인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을 얻지 못했다는 것을 고려하면, 주름 형성 안정제가 주름 형성의 계기가 되는 핵과 같은 기능을 갖고 있고, 이 핵을 중심으로 상기 수지 조성물의 표면 부분의 수지가 모여 주름의 볼록부(돌기부)와 볼록부(돌기부)의 형성과 함께 오목부가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주름의 형성이 안정적으로 되어,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이 발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서 이용되는 주름 형성 안정제, 주름 형성 안정제를 포함하는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화장재에서 이용될 수 있는 주름 형성 안정제,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로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적어도 100 nm 이상 380 nm 이하의 파장광으로 조사한다. 이 조사에 의해, 이미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자외선의 에너지가 표면 부분에만 침투하고, 그보다 하층에는 에너지가 도달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수지 조성물의 표면 부분만이 경화를 시작하므로, 표면만이 경화 수축을 일으킴으로써 주름의 형성이 안정적으로 되고, 상기 수지 조성물 표층은 경화물로 되어, 무광택층을 구성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러한 다음, 경화의 진행이 느린 상기 표면 근방 부분으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떨어진 깊은 안쪽 부분으로의 경화가 진행되어, 상기 수지 조성물의 층은 경화물로 되고, 이로써 상기 수지 조성물의 전체 두께에 걸쳐 경화하면서 또한 표면에 광 확산 효과를 발현하고, 소프트터치감을 발현하는 주름을 갖는 무광택층을 구성하는 것으로 된다. 상기 깊은 안쪽 부분으로의 경화의 진행을 촉진한다는 관점에서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100 nm 이상 380 nm 이하의 파장광으로 조사한 후, 다른 조사 처리를 추가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100 nm 이상 380 nm 이하의 파장광으로서는, 예컨대 Ar, Kr, Xe, Ne 등의 희가스, F, Cl, I, Br 등의 할로겐에 의한 희가스의 할로겐화물 등의 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 가스의 방전에 의해서 형성되는 여기 상태의 이량체, 즉 엑시머(excimer)로부터의 자외선 파장 영역의 빛을 포함하는 「엑시머광」이 바람직하다. 엑시머광의 파장 및 광원이 되는 엑시머로서는, 예컨대 Ar2의 엑시머로부터 복사되는 파장 126 nm의 빛(이하, 「126 nm(Ar2)」와 같이 약칭한다.), 146 nm(Kr2), 157 nm(F2), 172 nm(Xe2), 193 nm(ArF), 222 nm(KrCl), 247 nm(KrF), 308 nm(XeCl), 351 nm(XeF) 등의 파장광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엑시머광으로서는, 자연 방출광, 유도 방출에 의한 코히어런스(가간섭성)가 높은 레이저광 중 어느 것을 이용할 수 있지만, 통상 자연 방출광을 이용하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빛(자외선)을 방사하는 방전 램프는 「엑시머 램프」라고도 불리고 있다.
엑시머광은 파장 피크가 단일이고, 또한 통상의 자외선(예컨대 메탈할라이드 램프, 수은 램프 등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과 비교하여 파장의 반치폭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엑시머광을 이용함으로써, 주름의 형성이 안정적으로 되어,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가 향상되고, 소프트터치감도 향상된다.
주름의 형성을 안정시켜,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를 향상시키고,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파장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20 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 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nm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 nm 이상이며,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320 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nm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nm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72 nm(Xe2)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를 향상시키고,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보다 단파장의 파장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파장 자외선(파장: 280∼320 nm), 단파장 자외선(파장: 280 nm 이하)이 보다 바람직하고, 단파장 자외선이 더욱 바람직하다고도 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파장광의 적산 광량은, 주름의 형성을 안정시켜, 안정적으로 무광택 효과를 향상시키고, 소프트터치감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mJ/cm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J/cm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mJ/cm2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mJ/cm2 이상이다. 또한 상한으로서 특별히 제한은 없고, 파장광의 조사에 필요한 램프의 수를 저감하고, 또한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는 등의 생산성의 관점에서,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000 mJ/cm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mJ/cm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mJ/cm2 이하이다. 이것과 같은 관점에서, 자외선 출력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001 W/c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W/c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W/cm이며,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0 W/c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W/c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W/cm 이하이다.
또한, 상기 파장광을 조사할 때의 산소 농도는 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1,000 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0 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ppm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ppm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무광택층 형성 공정에서는, 상기한 적어도 100 nm 이상, 380 nm 이하의 파장광에 의한 조사 외에,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경화에 기여하는 다른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예컨대 이미 상술한 표면 부분과 표면으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떨어진 깊은 안쪽 부분의 경화의 진행 정도의 차이에 의한 주름의 형성을 안정화시키면서 또한 깊은 안쪽 부분으로의 경화의 진행을 촉진한다는 관점에서, 예컨대 380 nm를 넘는 파장광, 바람직하게는 385 nm 이상 400 nm 이하 정도의 파장광으로 미리 조사하여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전체적으로 예비 경화시킨 후에, 100 nm 이상 380 nm 이하의 파장광으로 조사하여도 좋고, 또한 100 nm 이상, 380 nm 이하의 파장광으로 조사한 후에, 수지 조성물을 더욱 경화시키기 위해서 후경화를 행하여도 좋다. 예비 경화, 후경화에 관해서는, 무광택층에 요구되는 원하는 성상(예컨대 가공 특성, 내오염성 등의 표면 특성)에 따라서 채용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를 적절하게 결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 파장광은 자외선에 속하는 것이지만, 자외선에 한하지 않고, 다른 전리방사선, 예컨대 전자선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후경화에 있어서는, 무광택층의 표면 특성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전자선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무광택층은,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그라비아인쇄법, 바코트법, 롤코트법, 리버스롤코트법, 콤마코트법 등의 공지된 방식으로 도포한 도포층(미경화 수지층)을, 적어도 100 nm 이상 380 nm 이하의 파장광으로 조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무광택 물품은, 상기한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에서 채용할 수 있는 층으로서 설명한 기재 외에, 투명성 수지층 등의 다른 층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장식층, 접착층 및 프라이머층은, 각 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포액을, 상기한 공지된 방식으로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서 건조, 경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투명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는, 투명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트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 중,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단일층에 의해 구성되는 물품, 예컨대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구성되고, 그 한쪽의 표면 상에 상기 표면 형상을 갖는 무광택 물품은 이하의 제2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제2 제조 방법은, 이형층을 갖는 지지체 시트의 상기 이형층 상에, 수지 및 주름 형성 안정제를 포함하는 무광택 물품 형성용의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도포층을 적어도 100 nm 이상 380 nm 이하의 파장광으로 조사하는 공정 및 지지체 시트를 박리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체 시트로서는, 상기한 기재로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시한 것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며, 예컨대 섬유질 재료, 바람직하게는 상질지 등의 종이에 의해 구성되는 기재를 이용하면 된다. 수지 조성물을 무광택 물품으로 한 후, 상기 무광택 물품으로부터 박리하기 쉽고, 취급이 용이하고, 또한 경제적이다.
박리층은, 수지 조성물을 무광택 물품으로 한 후, 상기 무광택 물품으로부터 지지체 시트를 용이하게 박리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층이다. 박리층은, 박리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올레핀계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실리콘 또는 불소로 변성한 각종 수지를 포함하는 것 등을 들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왁스를 혼합할 수 있다.
왁스로서는, 예컨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카나우바 왁스, 파라핀 왁스, 피셔 트롭쉬 왁스, 각종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목랍, 밀랍, 경랍, 백랍, 양모랍, 셀락 왁스, 칸데릴라 왁스, 페트로락탐, 일부 변성 왁스,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아미드 등, 다양한 왁스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수지 및 주름 형성 안정제를 포함하는 무광택 물품 형성용 수지 조성물은,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시한 수지, 주름 형성 안정제 중에서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주름 형성 안정제의 함유량 등도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과 동일하다.
무광택 물품 형성용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도포와 같은 식으로 도포할 수 있고, 또한 도포층에 적어도 100 nm 이상 380 nm 이하의 파장광으로 조사하는 방법도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층에 조사하는 것과 같은 식이다.
또한, 도포층의 두께는 그대로 얻어지는 무광택 물품의 두께가 된다. 도포층의 두께는 원하는 두께에 따라서 결정하면 되며, 특별히 제한은 없고, 상기 기재의 두께 중 가장 넓은 1 ㎛ 이상 10 cm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하면 된다. 제조 적성, 취급 적성 등을 고려하면, 도포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이며,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이다.
또한, 무광택 물품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도포층을 형성하기 전에, 의장성 향상을 위해서 장식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로써,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단일층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무광택 물품은 추가로 장식층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장식층은, 상기한 기재와 무광택층을 갖는 무광택 물품이 가질 수 있는 층으로서 설명한 장식층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면 된다.
무광택 물품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도포층에 상기 파장광으로 조사함으로써, 상기한 무광택층과 마찬가지로, 표면만이 경화 수축을 일으킴으로써 주름의 형성이 안정화되고, 상기 수지 조성물 표층은 상기 표면 형상을 갖는 경화물로 되고, 경화의 진행이 느린 상기 표층으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떨어진 깊은 안쪽 부분으로의 경화가 진행되어, 상기 수지 조성물은 전체적으로 경화함으로써,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표면 형상을 갖는 무광택 물품으로 된다.
또한, 조사에 관해서, 깊은 안쪽 부분에의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후경화를 실시하여도 좋고, 또한 예비경화를 실시하여도 좋다.
상기한 소정의 파장광을 조사하여 무광택 물품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도포층을 경화시킨 후, 지지체 시트를 박리함으로써,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표면 형상을 갖는 무광택 물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 중,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단일층에 의해 구성되는 물품, 예컨대 수지 성형품 등의 수지 물품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한 표면 형상을 갖는 무광택 물품은, 이하의 제3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제3 제조 방법은, 수지 성형품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엠보스판, 부형 시트 등을 이용하여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여, 상기 표면 형상을 부여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엠보스판, 부형 시트는, 상기 표면 형상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서 이용할 수 있다. 엠보스판, 부형 시트가 갖는 표면 형상과 이들에 의해서 부형된 표면 형상은 반대 형상을 갖는 것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부형된 표면 형상에 있어서 볼록부가 되는 부형 시트의 오목부의 형상이, 표면 형상의 Spc의 절대치가 4000 mm-1보다 커지도록 되어 있으면 되고, 부형 시트의 Rsm은 30 ㎛ 미만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부형 시트와 무광택 물품의 표면 형상에 관한 수치는, 어디까지나 이론적인 수치이며, 다소의 오차가 생기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으로서, 예컨대 고압 멜라민 수지 화장판, 저압 멜라민 수지 화장판, 디알릴프탈레이트(DAP) 수지 화장판, 폴리에스테르 화장판, 구아나민 수지 화장판, 페놀 수지 화장판 등의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은, 기재로서 상기한 무광택 물품의 기재로서 채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한 섬유질 재료, 예컨대 종이, 섬유를 포함하는 직포 또는 부직포에, 열경화성 수지의 액체상 미경화물을 함침시킨 것을 이용하고, 이것을 가압 성형 또는 가열 가압 성형을, 예컨대 가열 온도: 100∼200℃, 압력: 0.1∼9.8 MPa, 성형 시간: 10초∼120분의 조건으로 실시하여 얻어지는 화장판을 말한다. 가압 성형 또는 가열 가압 성형을 실시할 때에, 기재와 상기 엠보스판, 부형 시트를 적층하도록 배치하여 성형함으로써, 상기한 표면 형상을 갖는 무광택 물품으로서 화장판이 얻어진다.
이 경우, 기재에 함침시키는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요소 수지, 구아나민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요소 수지, 구아나민 수지, 술폰아미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멜라민 수지, 멜라민-요소 수지, 페놀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멜라민 수지가 바람직하다.
(용도)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화장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부형 시트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부형 시트로서 이용하는 경우, 상기한 제2 제조 방법, 제3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엠보스 가공에 이용되는 엠보스판, 부형 시트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한 단일층에 의해 구성되는 물품,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을 얻을 수 있다.
부형된 대상물(단일층에 의해 구성되는 물품,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 등)의 표면 형상은, 상기한 것과 같이 부형 시트(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가 갖는 표면 형상과는 반대의 형상을 띠는 형상으로 된다.
〔화장 부재〕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그대로 화장 부재로서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피착재와 적층, 복합 또는 조합하여 화장 부재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어느 것으로 할지는 원하는 바에 따라서 결정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을 화장 부재에 이용하는 경우, 무광택 물품은 장식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착재를 갖는 경우, 화장 부재는, 상기 피착재와 상기한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을 갖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피착재의 장식이 필요한 면과, 무광택 물품의 무광택층의 주름이 형성되어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을 발현하는 한쪽 면과는 반대측의 면을 대향시켜 적층한 것이다. 또한, 피착재를 갖는 경우, 적층 용이성을 고려하면,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필름 또는 시트형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이 도 4에 도시하는 단일층에 의해 구성되는 물품은 그대로 화장 부재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며, 그 중에서도 수지 성형품 등의 수지 물품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한 표면 형상을 갖는 무광택 물품은 특히 적합하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을 그대로 화장 부재로서 이용하는 경우, 예컨대 건축물, 각종 가구, 차량, 가전제품 등의 표면을 구성하는 화장 부재로서의 이용이 적합하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단일층에 의해 구성되는 물품 중, 상기한 제2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무광택 물품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구성되는 무광택 물품은, 그대로 화장 부재로서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두께에 따라서는 피착재와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피착재)
피착재로서는, 각종 소재의 평판, 곡면판 등의 판재, 원주, 다각기둥 등의 입체 형상 물품, 시트(또는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삼목, 노송나무, 소나무, 나왕 등의 각종 목재를 포함하는 목재 단판, 목재 합판, 집성재, 파티클 보드, MDF(중밀도 섬유판) 등의 목질 섬유판 등의 판재나 입체 형상 물품 등으로서 이용되는 목질 부재; 철, 알루미늄, 구리 및 이들 금속의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판재, 입체 형상 물품 또는 시트 등으로서 이용되는 금속 부재; 유리, 도자기 등의 세라믹스, 석고, 시멘트, ALC(경량 기포 콘크리트), 규산칼슘계 등의 비세라믹스요업계 재료를 포함하는 판재나 입체 형상 물품 등으로서 이용되는 요업 부재;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페놀 수지, 염화비닐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고무 등의 수지를 포함하는 판재, 입체 형상 물품 및 시트 등으로서 이용되는 수지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부재는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피착재는, 상기한 것 중에서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며, 벽, 천장, 마루 등의 건축물의 내장용 부재 또는 외벽, 지붕, 처마반자, 울타리, 문짝 등의 외장용 부재, 창틀, 도어, 난간, 폭목, 돌림대, 장식띠 등의 창호 또는 조작 부재를 용도로 하는 경우는, 목질 부재, 금속 부재 및 수지 부재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현관 도어 등의 외장 부재, 창틀, 도어 등의 창호를 용도로 하는 경우는, 금속 부재 및 수지 부재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착재의 두께는 용도 및 재료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며, 0.1 mm 이상 100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0.3 mm 이상 5 mm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mm 이상 3 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접착제층)
피착재와 무광택 물품은, 우수한 접착성을 얻기 위해서, 접착제층을 통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에 이용되는 접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예컨대 습기 경화형 접착제, 혐기 경화형 접착제, 건조 경화형 접착제, UV 경화형 접착제, 감열 접착제(예컨대 핫멜트형 접착제), 감압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 접착제에 이용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아세트산비닐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미드 수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경화제로 하는 2액 경화형의 우레탄계 접착제, 에스테르계 접착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층에는 점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점착제에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고무계 등의 각종 점착제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우수한 접착성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1 ㎛ 이상 1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5 ㎛ 이상 5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상 3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화장 부재의 제조 방법)
화장 부재는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과 피착재를 적층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본 공정은, 피착재와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을 적층하는 공정이며, 피착재의 장식이 필요한 면과,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의 무광택층의 주름이 형성되어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을 발현하는 한쪽 면과는 반대측의 면과, 또한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이 기재를 갖는 경우는 기재 측의 면을 대향시켜 적층한다. 피착재와 무광택 물품의 적층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접착제층을 통해 무광택 물품을 판형의 피착재에 가압 롤러로 가압하여 적층하는 라미네이트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로서 핫멜트 접착제(감열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접착제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기도 하지만, 가온 온도는 160℃ 이상 200℃ 이하가 바람직하고,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에서는 100℃ 이상 13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 성형 가공의 경우는 가열하면서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80℃ 이상 13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120℃ 이하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지는 화장 부재는, 임의 절단하여, 표면이나 마구리부에 루터, 커터 등의 절삭 가공기를 이용하여 홈 가공, 면취 가공 등의 임의 가식(加飾)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여러 가지 용도, 예컨대 벽, 천장, 마루 등의 건축물의 내장용 부재, 외벽, 처마반자, 지붕, 담, 울타리 등의 외장용 부재, 창틀, 도어, 문틀, 난간, 폭목, 돌림대, 장식띠 등의 창호 또는 조작 부재 외에, 장롱, 선반, 책상 등의 일반 가구, 식탁, 싱크대 등의 주방 가구, 또는 가전, OA 기기 등의 캐비닛 등의 표면 화장판, 차량의 내장, 외장용 부재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상기한 건축물 등에 이용되는 화장 부재 외에,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그대로 단일체로 또는 상기 무광택 물품을 다른 소재(피착재)와 적층, 복합 또는 조합한 형태로, 포장 재료, 디스플레이용 방현 필름, 백판(화이트보드) 또는 칠판, 신용카드, 현금카드, 전화카드, 각종 증명서류 등의 각종 카드, 각종 키보드의 건반, 창, 도어, 칸막이 등의 투명판(창유리 등), 인공 피혁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용도에 있어서, 통상은 무광택 효과 및 소프트터치감을 발현하는,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이 최표면에 배치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용도, 사용 목적 등에 따라서 기타 사용 형태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실시예
이어서, 본 개시를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이 예에 의해서 하등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표면 형상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물품의,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Rz(최대 높이) 및 Ra(산술 평균 거칠기)는, 상기 물품의 표면 형상의 임의 부위의 장방형(1024 ㎛×768 ㎛)에 관해서, 형상 해석 레이저 현미경(「VK-X150(제어부)/VK-X160(측정부)」, 가부시키가이샤기엔스 제조)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 50배, 레이저 파장: 658 nm, 측정 모드: 표면 형상 모드, 측정 피치: 0.13 ㎛, 측정 품질: 고속 모드로 측정했다.
또한,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Rz(최대 높이) 및 Ra(산술 평균 거칠기)의 컷오프치는 0.8 mm로 했다.
(평가 방법: 60°광택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물품에 관해서, 글로스미터(「마이크로글로스(기종명)」, BYK가드너사 제조)를 이용하여, K 5600-4-7:1999에 준거하여 60°경면 광택도를 측정했다.
(질감(면 상태의 균일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물품에 관해서, 임의의 성인 20명에게 표면의 질감(면 상태의 균일성)에 관해서 평가하게 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 18명 이상이 면 상태가 균일하고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B: 15명 이상 17명 이하가 면 상태가 균일하고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C: 14명 이하가 면 상태가 균일하고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A 및 B를 합격으로 했다.
(소프트터치감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물품에 관해서, 소프트터치감의 기준이 되는 촉감의 기준으로서, 80번수의 면사를 이용한 옥스포드 옷감을 이용하여, 임의의 성인 20명에게 표면의 촉감에 관해서 평가하게 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 18명 이상이 기준에 가까운 촉감이며 소프트한 촉감이라고 평가했다.
B: 15명 이상 17명 이하가 기준에 가까운 촉감이며 소프트한 촉감이라고 평가했다.
C: 14명 이하가 기준에 가까운 촉감이며 소프트한 촉감이라고 평가했다.
A 및 B를 합격으로 했다.
[실시예 1]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
다작용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작용기수: 4)를 60 질량부, 다작용 아크릴레이트 모노머(2작용)을 30 질량부, 단작용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10 질량부 혼합하고, 주름 형성 안정제(실리카 입자, 평균 입자 지름: 5 nm) 3 질량부 및 광중합개시제(벤조페논계)를 0.8 질량부 첨가하여,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수지 A)를 얻었다.
(무광택 물품의 제조)
PET 시트(도요보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코스모샤인(등록상표) A4160(50 ㎛))를 기재로 하고, 이 기재의 이접착면에, 상기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수지 A)을 그라비아법에 의해 도포하고(도포량: 18 ㎛(건조 시)), 이어서 LED로 구성되는 UV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고(파장: 395 nm, 자외선량: 0.6 W/cm2), 이어서 엑시머광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고(파장: 172 nm(Xe2), 자외선 출력 밀도: 1 W/cm, 적산 광량: 10∼100 mJ/cm2, 질소 분위기(산소 농도 200 ppm 이하)), 이어서 또한 고압수은등을 이용하여 조사하고(자외선 출력 밀도: 200 W/cm), 기재 상에 무광택층을 형성하여, 기재와 무광택층을 갖는 무광택 물품을 얻었다. 얻어진 무광택 물품에 관해서,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및 60°광택도의 측정, 질감(면 상태의 균일성)의 평가, 소프트터치감의 평가를 실시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및 3]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수지 A)의 도포량 및 기재를 표 1에 나타내는 도포량 및 기재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실시예 2의 무광택 물품을 얻었다.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도포량을 표 1에 나타내는 도포량으로, 기재를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폴리프로필렌 시트(PP, 두께: 100 ㎛)를 기재로 하고, 이 기재의 한쪽 면에 프라이머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우레탄 수지, 도포량: 2 ㎛(건조 시))을 도공하고, 프라이머층 상에 상기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실시예 3의 무광택 물품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PET 시트(도요보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코스모샤인(등록상표) A4160(50 ㎛))를 기재로 하고, 이 기재의 이접착면에, 착색층(두께: 3 ㎛(건조 시))을 도공한 후, 상기 착색층 상에 상기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수지 A)을 도포하는 것 이외에는 같은 식으로 하여 무광택 물품을 얻었다.
얻어진 실시예 2∼4의 무광택 물품에 관해서,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및 60°광택도의 측정 결과, 질감(면 상태의 균일성)의 평가, 소프트터치감의 평가를 실시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건재용 착색 박지 원지(두께: 30 ㎛)를 기재로 하고, 이 기재의 한쪽 면에 착색층(두께: 3 ㎛(건조 시))을 도공한 후, 착색층 상에 상기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수지 A)을 도포한(도포량: 5 ㎛(건조 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비교예 1의 무광택 물품을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 LED로 구성되는 UV 조사 장치를 이용한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같은 식으로 하여 비교예 2의 무광택 물품을 얻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수지 A) 대신에, 다작용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작용기수: 7)를 60 질량부, 다작용 아크릴레이트 모노머(2작용)를 30 질량부, 단작용 모노머를 10 질량부 혼합하고, 주름 형성 안정제(실리카 입자, 평균 입자 지름: 5 nm)를 15 질량부 및 광중합개시제(벤조페논계)를 0.8 질량부 첨가하여 얻은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수지 B)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같은 식으로 하여 비교예 3의 무광택 물품을 얻었다.
[비교예 4]
실시예 2에 있어서,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수지 A) 대신에 비교예 3에서 얻은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수지 B)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같은 식으로 하여 비교예 4의 무광택 물품을 얻었다.
[비교예 5]
실시예 2에 있어서,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수지 A) 대신에, 다작용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작용기수: 4)를 60 질량부, 다작용 아크릴레이트 모노머(2작용)를 30 질량부, 단작용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10 질량부 혼합하고, 무광택제(실리카 입자, 평균 입자 지름: 7 ㎛)를 40 질량부, 주름 형성 안정제(실리카 입자, 평균 입자 지름: 5 nm) 3 질량부 및 광중합개시제(벤조페논계)를 0.8 질량부 첨가하여 얻은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수지 C)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같은 식으로 하여 비교예 5의 무광택 물품을 얻었다.
얻어진 비교예 1∼5의 무광택 물품에 관해서,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및 60°광택도의 측정 결과, 질감(면 상태의 균일성)의 평가, 소프트터치감의 평가를 실시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도 7∼도 14는 실시예 1∼3 및 비교예 1∼5에서 얻은 무광택 물품의 현미경 화상이다.
Figure pct00001
표 1에서의 수지는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의미한다.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그 무광택층 측의 60°광택도가 1.6∼1.9로 되고 있어,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이 매우 우수한 물품이며, 질감도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소프트터치감도 우수하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한편, Rsm이 30 ㎛ 이상인 비교예 1의 무광택 물품은, 60°광택도 및 질감이야 우수하지만, 소프트터치감도 얻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sm이 30 ㎛ 이상이며, 또한 Spc도 4000 mm-1 이하인 비교예 2∼4의 무광택 물품은, 60°광택도는 2.9∼5.4가 되고, 질감도 비교예 1의 무광택 물품보다 더 뒤떨어지고, 또한 소프트터치감도 얻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광택제를 포함하는 무광택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비교예 5의 무광택 물품도 비교예 2∼4와 마찬가지로 60°광택도, 질감 및 소프트터치감이 뒤떨어지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우수한 무광택 효과의 시인성 및 질감을 가지면서 또한 소프트터치감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 벽, 천장, 마루 등의 건축물의 내장용 부재, 외벽, 처마반자, 지붕, 담, 울타리 등의 외장용 부재, 창틀, 도어, 문틀, 난간, 폭목, 돌림대, 장식띠 등의 창호 또는 조작 부재 외에, 장롱, 선반, 책상 등의 일반 가구, 식탁, 싱크대 등의 주방 가구, 또는 가전, OA 기기 등의 캐비닛 등의 표면 화장판, 차량의 내장, 외장용 부재 등의 각종 부재용 화장 부재로서, 또한 상기한 건축물 등에 이용되는 화장 부재 외에, 본 실시형태의 무광택 물품은 그대로 단일체로, 또는 상기 무광택 물품을 다른 소재(피착재)와 적층, 복합 또는 조합한 형태로, 포장 재료, 디스플레이용 방현 필름, 백판(화이트 보드) 또는 칠판, 신용카드, 현금카드, 전화카드, 각종 증명서류 등의 각종 카드, 각종 키보드의 건반, 창, 도어, 칸막이 등의 투명판(창유리 등), 인공 피혁 등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1a: 돌기부 정점(Spc 대)
1b: 돌기부 정점(Spc 소)
2: 볼록부
2a: 볼록부(Rsm 소)
2b: 볼록부(Rsm 대)
3: 오목부
10: 무광택 물품
11: 무광택층
12: 기재
13: 장식층
13a: 착색층
13b: 무늬층
14: 접착층
15: 투명성 수지층
16: 프라이머층

Claims (11)

  1.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Spc(돌기부 정점의 산술 평균 곡률)가 4000 mm-1보다 크고,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Rsm(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이 30 ㎛ 미만인 표면 형상을 갖는, 무광택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형상의,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윤곽 곡선의 산 및 높이 파라미터인 Rz(최대 높이)가 12.5 ㎛ 이하인, 무광택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형상의, JIS B0601:2013에 규정되는 윤곽 곡선의 높이 방향의 파라미터인 Ra(산술 평균 거칠기)가 2.0 ㎛ 이하인, 무광택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광택층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 형상이 상기 무광택층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무광택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형상을 형성하는 상기 무광택층의 표면이, 불규칙한 주름에 의해 구성되는 요철 형상을 갖는, 무광택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불규칙한 주름이, 복수의 선조(線條) 돌기부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와, 상기 복수의 선조 돌기부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는, 무광택 물품.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광택층이 수지 및 주름 형성 안정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주름 형성 안정제가 상기 무광택층의 두께의 100% 이하 및 30 ㎛ 이하 중 어느 작은 쪽을 상한으로 하는 평균 입자 지름을 가지며, 상기 주름 형성 안정제를 상기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0.5 질량부 이상으로 포함하는 것인, 무광택 물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를 갖는 무광택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시트형인, 무광택 물품.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광택층이 상기 기재의 한쪽 면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는, 무광택 물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형상의 60°광택도가 10.0 이하인, 무광택 물품.
KR1020237031494A 2021-03-29 2022-03-28 무광택 물품 KR202301646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55893A JP7243755B2 (ja) 2021-03-29 2021-03-29 艶消物品
JPJP-P-2021-055893 2021-03-29
PCT/JP2022/014969 WO2022210527A1 (ja) 2021-03-29 2022-03-28 艶消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664A true KR20230164664A (ko) 2023-12-04

Family

ID=8345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1494A KR20230164664A (ko) 2021-03-29 2022-03-28 무광택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16818A1 (ko)
JP (2) JP7243755B2 (ko)
KR (1) KR20230164664A (ko)
CN (1) CN117083176A (ko)
TW (1) TW202248017A (ko)
WO (1) WO2022210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9275B1 (ja) * 2022-09-30 2023-10-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081A (ja) 1998-08-24 2000-02-29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KR20110073207A (ko)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게임 사용자 특성 분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6083A (ja) * 1998-04-02 1999-10-19 Oike Ind Co Ltd 防眩性フイルム
JP2008119867A (ja) 2006-11-09 2008-05-29 Lintec Corp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CN108351440B (zh) 2015-10-09 2021-02-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片、偏振板、光学片的筛选方法和光学片的制造方法、以及显示装置
KR102180634B1 (ko) * 2018-08-29 2020-11-18 (주)엘지하우시스 내오염성 및 논슬립성이 우수한 바닥재
WO2020067565A1 (ja) 2018-09-28 2020-04-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CN116323766A (zh) * 2020-09-14 2023-06-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消光物品
CN112558378A (zh) 2020-11-30 2021-03-26 江西晶超光学有限公司 消光结构、镜筒、取像装置及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081A (ja) 1998-08-24 2000-02-29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KR20110073207A (ko)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게임 사용자 특성 분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43755B2 (ja) 2023-03-22
JP2022152929A (ja) 2022-10-12
TW202248017A (zh) 2022-12-16
WO2022210527A1 (ja) 2022-10-06
JP2023085262A (ja) 2023-06-20
CN117083176A (zh) 2023-11-17
EP4316818A1 (en)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8431B1 (ja) 艶消物品
WO2022054644A1 (ja) 艶消物品
WO2021201105A1 (ja) 艶消物品及び艶消物品の製造方法
WO2022054646A1 (ja) 艶消物品
KR20230164664A (ko) 무광택 물품
KR20230164665A (ko) 무광택 물품
JP2023049868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7294482B1 (ja) 積層体
JP7215514B2 (ja) 艶消物品
JP7359275B1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材
JP2022157494A (ja) 転写シート、並びに、これを用いた化粧材の製造方法及び化粧材
JP2022154615A (ja) 転写シート、並びに、これを用いた化粧材の製造方法及び化粧材
JP2022154689A (ja) 転写シート、並びに、これを用いた化粧材の製造方法及び化粧材
JP2022154680A (ja) 転写シート、並びに、これを用いた化粧材の製造方法及び化粧材
JP2022154695A (ja) 転写シート、並びに、これを用いた化粧材の製造方法及び化粧材
JP2024052513A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