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419A -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4419A
KR20230164419A KR1020220064145A KR20220064145A KR20230164419A KR 20230164419 A KR20230164419 A KR 20230164419A KR 1020220064145 A KR1020220064145 A KR 1020220064145A KR 20220064145 A KR20220064145 A KR 20220064145A KR 20230164419 A KR20230164419 A KR 20230164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verse
product
virtual
offline
ava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영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64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4419A/ko
Publication of KR20230164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41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는,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상공간 모듈; 및 상기 가상공간에 가상상품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상품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A METHOD FOR METAVERSE STORE SERVICE THAT INTERACTS WITH OFFLINE STORES IN REAL TIME AND AN APPARATUS AND A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타버스의 가상공간 내에서 오프라인 매장과 동일한 메타버스 매장을 구현하는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메타버스(Metaverse)란 현실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와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의 합성어로서 주로 3차원 가상세계를 의미할 수 있으나, 메타버스는 단순히 3차원 가상세계를 의미하는 것만이 아닌 3차원 가상세계와 관련된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 XR(eXtended Reality, 확장현실) 등과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 전자상거래, IoT 등의 기술을 포괄하고, 이러한 다양한 기술 등을 이용하여 세상과 소통하는 새로운 방법론이자 변화를 인식하기 위한 틀에 가깝다.
최근 현실 세계에서의 상거래뿐만 아니라 가상현실 또는 온라인에서도 상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최근에는 현실세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거래를 메타버스의 가상공간 내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다.
특히,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21-0154913호는, 메타버스 가상공간 내에서 사용자가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가상공간 내에 지역 시장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지역 시장 공간에 배치되는 상품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하며, 구매한 가상상품과 동일한 현실세계에서의 상품이 사용자에게 배송되도록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공개 특허는 아바타를 생성하여 가상공간에서 상품에 대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할 뿐, 현실 세계의 시장과 별도로 가상 세계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시장을 형성함에 있어서, 오프라인 시장과 별도로 온라인으로 판매되는 상품의 리스트를 구성하고, 온라인으로 판매되는 상품의 리스트 중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을 배송한다는 측면에서, 결국 공지의 온라인 쇼핑몰과 다를 바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공개 특허에 따르면, 실제 사용자가 선택하여 구매한 상품과 실제 배송되는 상품 간 품질의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사용자가 가상공간에서 구현되는 오프라인 상품에 대해 획득할 수 있는 정보가 한정적이며, 무엇보다 실시간으로 미세하게 변동되는 오프라인 상품의 외관, 위치 등이 가상공간에서 반영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특히, 과일, 육류 등의 경우 실제 외관으로 상품의 품질 등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상품의 외관, 위치 등이 가상공간에서도 그대로 구현되는 것이 매우 중요함에도 상기의 공개 특허를 포함한 기존의 가상공간에서 구현되는 상품 판매 기술은 실시간 오프라인 상품 변동 정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오프라인 시장에서는 오프라인으로 상품이 판매되고, 이와 별도로 가상공간 시장에서는 가상공간에서 상품이 판매될 뿐이므로, 현실 세계와 가상공간 사이에 소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현실 세계 오프라인 공간의 판매자에게 가상공간의 구매자(아바타 사용자)가 상품에 대해 실시간으로 질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랜 기간 동안 연구 및 노력을 하였고, 이하 기술할 바와 같이 현실 세계의 매장과 가상공간의 매장 간의 진정한 융합을 구현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를 제안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15491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오프라인 공간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가상공간에서 실시간으로 그대로 구현하여 판매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장감을 전달하고, 실제 오프라인 상품과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품질의 상품을 가상공간에 구현할 수 있는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공간에서 오프라인 매장과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메타버스 가상공간 매장을 제공하면서 오프라인 공간에서는 구현되지 않는 실시간 관련 상품 추천, 요리 레시피에 따른 재료 리스트 제공 등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VR, AR 등의 관련 기술을 접목시킴으로써 융합된 메타버스 매장의 가상공간 사용자(아바타)와 가상공간과 연동된 오프라인 매장의 사용자 간에 용이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을 구매하고 대금을 결제할 시 현실 세계에서 사용되는 신용카드는 물론 재화로서 가치를 갖는 가상화폐를 활용하여 대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는,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상공간 모듈; 및 상기 가상공간에 가상상품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상품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공간 모듈은, 오프라인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공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가상공간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공간 모듈은, 상기 생성된 가상공간에 채널을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가상공간 채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생성 모듈은,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상품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가상공간상품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공간에 아바타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아바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바타 모듈은,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아바타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아바타의 모션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아바타모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바타와 상기 가상상품 간 인터랙션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인터랙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랙션 모듈은, 상기 가상상품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영역내에 상기 아바타가 접근할 시 인터랙션 아이콘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상품의 구매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상품구매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 및 상기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프라인 매장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은,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공간에 가상상품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을 구현하는 단계는, 오프라인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을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가상공간에 채널을 구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공간에 가상상품을 구현하는 단계는,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상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공간에 아바타를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공간에 아바타를 구현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아바타의 모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바타와 상기 가상상품 간 인터랙션을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바타와 상기 가상상품 간 인터랙션을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상품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영역내에 상기 아바타가 접근할 시 인터랙션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상품의 구매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각 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오프라인 공간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가상공간에서 실시간으로 그대로 구현하여 판매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장감을 전달하고, 실제 오프라인 상품과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품질의 상품을 가상공간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가상공간에서 오프라인 매장과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메타버스 가상공간 매장을 제공하면서 오프라인 공간에서는 구현되지 않는 실시간 관련 상품 추천, 요리 레시피에 따른 재료 리스트 제공 등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VR, AR 등의 관련 기술을 접목시킴으로써 융합된 메타버스 매장의 가상공간 사용자(아바타)와 가상공간과 연동된 오프라인 매장의 사용자 간에 용이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상품을 구매하고 대금을 결제할 시 현실 세계에서 사용되는 신용카드는 물론 재화로서 가치를 갖는 가상화폐를 활용하여 대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시스템(10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모듈(12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모듈(13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생성 모듈(14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시스템(1000)에서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가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 및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S1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S10)에서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을 구현하는 단계(S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S10)에서 가상공간에 가상상품을 구현하는 단계(S22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시스템(10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시스템(1000)은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로부터 오프라인공간 정보 및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프라인공간 정보 및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의 가상공간 및 가상상품 등을 구현하며, 사용자가 가상공간에서 가상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 등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추가로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VR 기기 또는 VR 기기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와 인터랙션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에 의해 구현되는 가상공간에 사용자가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가상공간에 구현되는 아바타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 의사표현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는 사용자가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는 오프라인 매장에 관한 오프라인공간 정보 및 오프라인상품 정보 등을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로 송신하여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는 오프라인공간 모니터링 모듈(310), 오프라인상품 모니터링 모듈(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공간 모니터링 모듈(310)은 오프라인 매장의 오프라인공간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공간 모니터링 모듈(310)은 오프라인 매장의 적어도 일 영역에 단일 또는 복수로 설치되어 오프라인 매장의 전체 또는 일부 공간을 스캔하여 3D 정보로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상품 모니터링 모듈(320)은 오프라인 매장의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상품 모니터링 모듈(320)은 오프라인 매장의 적어도 일 영역에 단일 또는 복수로 설치되어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전체 또는 일부를 스캔하여 3D 정보로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오프라인공간 정보는 오프라인 매장의 공간이 3D 정보로 표현된 정보로서, 오프라인 매장의 공간에 관한 구조, 면적, 높이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상품 정보는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이 3D 정보로 표현된 정보로서, 상품에 관한 형상, 색상, 크기 등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상품에 관한 가격, 사은품, 재고수량 등의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공간 모니터링 모듈(310) 및 오프라인상품 모니터링 모듈(320)은 오프라인 매장의 오프라인공간 정보 및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되는 오프라인공간 정보 및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로 송신하여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공간 모니터링 모듈(310)에 의해 오프라인공간 정보가 모니터링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고, 오프라인공간 정보가 별도로 미리 입력되어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에 저장되고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와 공유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상품 모니터링 모듈(320)이 오프라인 매장의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와 공유함으로써, 오프라인 공간에서 판매되는 상품이 가상공간에서 실시간으로 그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는 AR 기기로서 AR 글라스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가상 객체(예를 들어, 아바타, 가상공간에서 새로이 생성된 가상공간 및 가상상품 등)를 오프라인 매장에 증강현실로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에 의해 구현되는 메타버스 매장의 가상 객체(즉, 가상공간 및/또는 가상상품)를 메타버스 매장으로 구현되는 오프라인 매장에 증강현실로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를 장착한 오프라인 매장의 인원이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에 의해 구현되는 가상 객체를 현실 세계인 오프라인 매장에서 증강현실로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는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를 착용한 오프라인 매장 내 인원을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메타버스 매장의 가상공간에 아바타로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에 구현되는 아바타의 가상공간 내 위치는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를 착용한 오프라인 매장 내 인원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고, 오프라인 매장 내 인원의 이동에 따라 가상공간 내에서 구현되는 아바타의 위치도 동기화되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를 착용하여 메타버스 매장의 가상공간에 접속한 아바타 사용자와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를 착용한 오프라인 매장 내 인원 간 인터랙션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제어 모듈(110), 가상공간 모듈(120), 아바타 모듈(130), 상품생성 모듈(140), 인터랙션 모듈(150), 상품구매 모듈(160), 정산 모듈(170), 통신 모듈(180), 저장 모듈(19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의 구성요소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의 동작, 기능 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가 도시된 구성요소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전원부 등)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개인 또는 사설 기업에 의해 제작되어 운영되는 자체 컴퓨터 프로그램 기반의 장치에 해당하며, 관련 기술분야에서의 다양한 표현 방식에 따라 디바이스(device), 장비(equipment), 서버(server), 플랫폼(platform) 등의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제어 모듈(110)은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상공간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모듈(120)은 오프라인공간 연동부(121), 가상공간 생성부(122), 가상공간 채널부(1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공간 연동부(121)는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와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공간 연동부(121)는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의 오프라인공간 모니터링 모듈(310)과 연동되어 오프라인 매장의 오프라인공간 정보를 통신 모듈(180)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공간 모니터링 모듈(310)은 실시간으로 오프라인 매장의 오프라인공간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인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공간 연동부(121)는 오프라인공간 모니터링 모듈(310)로부터의 오프라인공간 정보를 디코딩하고 가상공간 생성부(122)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공간 모니터링 모듈(310)은 오프라인 매장을 촬영하여 2D 이미지 형식의 오프라인공간 정보를 생성하고, 오프라인공간 연동부(121)와 연동되어 생성된 오프라인공간 정보를 오프라인공간 연동부(121)와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공간 연동부(121)는 오프라인공간 모니터링 모듈(310)로부터의 2D 이미지 형식의 오프라인공간 정보를 3D 형식의 오프라인공간 정보로 변환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변환 생성 시 딥러닝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촬영되지 않은 영역을 예측하여 제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3D 형식의 오프라인공간 정보를 변환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생성부(122)는 오프라인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공간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생성부(122)는 오프라인공간 연동부(121)에 의해 전달되거나 또는 변환 생성된 오프라인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오프라인 매장과 동일한 가상공간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생성부(122)는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로부터의 오프라인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오프라인 매장의 공간과 동일한 구조, 형태, 면적, 높이, 진열방식, 진열대 배치 구조, 층수 등을 갖는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생성부(122)에 의해 오프라인 매장과 동일한 구조 및 형태 등을 갖는 가상공간이 생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을 이용할 시의 현장감 및 현실성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공간 생성부(122)는 오프라인공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가상공간에 사용자에 의해 설계된 가상공간을 추가하여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생성부(122)에 의해 추가된 가상공간은 오프라인공간 정보에는 포함되지 않는 가상공간으로서, 오프라인 매장(현실세계)에는 존재하지 않고 메타버스 매장의 가상공간에만 존재하는 가상공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생성부(122)에 의해 추가된 가상공간에는, 가상공간상품 생성부(142)에 의해 생성된 가상상품이 진열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생성부(122)에 의해 추가된 가상공간 및 가상공간상품 생성부(142)에 의해 추가된 가상공간에 생성된 가상상품은,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를 착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인원에게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채널부(123)는 생성된 가상공간에 채널을 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채널부(123)는 가상공간 생성부(122)에 의해 생성된 가상공간의 채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로 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채널부(123)는 생성된 가상공간에 사용자가 지나치게 몰릴 경우 즉,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의 아바타의 수가 미리 입력된 가상공간 내 평균 단위 면적 당 아바타의 수를 초과하는 경우 가상공간 생성부(122)에 의해 생성된 가상공간을 복수 개의 채널로 구획함으로써, 가상공간 모듈(120)에 전달되는 데이터 부하를 방지하고, 사용자가 원활하게 메타버스 매장의 가상공간에서 쇼핑을 즐기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공간 모듈(120)은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로부터 오프라인 매장의 소리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오프라인 매장의 소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매장의 가상공간의 소리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오프라인 매장의 소리를 실시간으로 녹음 수집하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녹음 수집된 오프라인 매장의 소리에 관한 정보가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에 전달 및 저장될 수 있고,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에 전달 및 저장된 오프라인 매장의 소리에 관한 정보는 가상공간 모듈(120)로 전달되고, 가상공간 모듈(120)은 전달된 오프라인 매장의 소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프라인 매장의 소리와 동일한 소리를 메타버스 매장의 가상공간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상공간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현장감을 보다 느낄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가상공간에 아바타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아바타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모듈(130)은 아바타 생성부(131), 아바타모션 제어부(132), 아바타 변환부(1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생성부(131)는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생성부(131)는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 또는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 등으로부터 통신 모듈(180)을 통해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고, 전달받은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 또는 입력한 아바타의 성별, 외형, 복장, 행동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아바타 생성부(131)를 통해 생성한 아바타를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를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메타버스 매장의 가상공간에서 구매자 및/또는 판매자로서 활동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는 사용자의 시선 움직임에 따라 가상공간에서의 아바타의 시선도 함께 움직이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의 행동을 감지하여 가상공간에서의 아바타가 동일한 행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생성부(131)는 아바타 생성 시 사용자 정보를 반영하여 아바타의 권한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생성부(131)는 아바타 생성 시 사용자의 동의 하에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결제 카드 번호, 집 주소, 이름 등)를 반영하여 아바타의 권한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후 사용자가 해당 아바타를 통해 가상공간에서 가상상품을 구매할 시 자동으로 결제, 배송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모션 제어부(132)는 생성된 아바타의 모션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모션 제어부(132)는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제어 등에 따라 아바타의 모션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모션 제어부(132)는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가 감지한 사용자의 시선, 행동 등을 사용자의 아바타가 그대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모션 제어부(132)는 미리 입력된 특정 조건에서 아바타가 특정 행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모션 제어부(132)는 아바타가 가상상품에 접근하여 가상상품과 인터랙션하는 경우 즉, 아바타가 가상상품에 생성되는 인터랙션 아이콘을 선택(클릭)하는 경우 아바타가 해당 가상상품을 먹는 모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변환부(133)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아바타의 외형을 변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변환부(133)는 미리 준비된 아바타의 복수 개의 외형 중에서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외형 또는 가상상품으로서 진열된 의류 등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해당 외형 또는 의류를 장착한 아바타로 외형을 변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가상공간에 가상상품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상품생성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생성 모듈(140)은 오프라인상품 연동부(141), 가상공간상품 생성부(1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상품 연동부(141)는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와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상품 연동부(141)는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의 오프라인상품 모니터링 모듈(320)과 연동되어 오프라인 매장의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통신 모듈(180)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상품 모니터링 모듈(320)은 실시간으로 오프라인 매장의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인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상품 연동부(141)는 오프라인상품 모니터링 모듈(320)로부터의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디코딩하고 가상공간상품 생성부(142)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상품 모니터링 모듈(320)이 실시간으로 오프라인 매장의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상품생성 모듈(140)로 전달하므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는 현실세계의 각각의 상품의 형태, 빛깔, 개수 등이 그대로 반영되어 가상공간의 가상상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마치 오프라인 매장에서 활동하는 것과 구분이 어려울 정도의 현장감을 메타버스 매장의 가상공간에서 느낄 수 있고,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라인상품 모니터링 모듈(320)은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촬영하여 2D 이미지 형식의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생성하고, 오프라인상품 연동부(141)와 연동되어 생성된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오프라인상품 연동부(141)와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상품 연동부(141)는 오프라인상품 모니터링 모듈(320)로부터의 2D 이미지 형식의 오프라인 상품 정보를 3D 형식의 오프라인상품 정보로 변환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변환 생성 시 딥러닝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상품 생성부(142)는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상품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상품 생성부(142)는 오프라인상품 연동부(141)에 의해 전달되거나 또는 변환 생성된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과 동일한 가상상품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상품 생성부(142)는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로부터의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과 동일한 형태, 빛깔, 개수, 위치, 유통기한 등을 갖는 가상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오프라인상품 모니터링 모듈(320)로부터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된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상품을 생성하므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어 재고가 없는 상품은 가상공간의 가상상품에서도 제거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새 상품이 입고되는 경우 가상공간에서도 새로운 가상상품이 입고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아바타와 가상상품 간 인터랙션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인터랙션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모듈(150)은 가상공간에서 가상상품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영역내에 아바타가 접근할 시 인터랙션 아이콘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모듈(150)은 아바타가 상품에 접근 시 가상상품에 인터랙션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모듈(150)은 사용자가 아바타를 통해 생성된 인터랙션 아이콘을 선택, 클릭 또는 터치 시 해당 가상상품의 상세 이미지를 팝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모듈(150)은 다양한 종류의 식품인 가상상품이 소정의 가상공간 영역에 밀집되어 있는 경우, 밀집된 가상상품에 단일의 인터랙션 아이콘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모듈(150)은 밀집된 가상상품에 생성된 단일의 인터랙션 아이콘을 아바타가 선택, 클릭 또는 터치할 시 밀집된 가상상품이 리스트되는 메뉴판을 팝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모듈(150)은 사용자가 아바타를 통해 메뉴판을 통해 리스트되는 가상상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상품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가상상품의 제품 상세 이미지를 팝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모듈(150)은 가상상품에 생성된 인터랙션 아이콘을 아바타가 선택, 클릭 또는 터치할 시 해당 가상상품과 관련된 가상상품이 리스트되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모듈(150)은 아바타가 'A라면' 가상상품에 생성된 인터랙션 아이콘을 선택, 클릭 또는 터치한 경우 'A라면'과 관련된 가상상품인 'B라면', 'C라면' 등의 가상상품이 리스트되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아바타)는 리스트된 가상상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모듈(150)은 특정 주제 또는 목적에 따라 동일한 집합으로 그룹화되는 상품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모듈(150)은 '크림 파스타 조리', '제철 과일' 등 다양한 주제 또는 목적에 따라 해당 주제 또는 목적에 부합하는 복수 개의 가상상품을 동일한 집합으로 그룹화 및 리스트화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모듈(150)은 구매되는 가상상품이 의류인 경우, 실물 착장 이미지 및 사이즈에 대한 세부 정보 등이 나타난 제품 상세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모듈(150)은 선택 인터페이스에 리스트되는 가상상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상품이 선택되는 경우, 아바타가 해당 가상상품을 먹는 모션 또는 해당 가상상품을 아바타의 손에 쥐고 있는 모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요청을 아바타모션 제어부(132)로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아바타모션 제어부(132)는 전달된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아바타가 해당 가상상품을 먹는 모션 또는 해당 가상상품을 손에 쥐고 있는 모션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모듈(150)은, 선택 인터페이스에 리스트된 가상상품에서 선택되는 가상상품이 식품인 경우 선택된 가상상품을 먹는 모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요청을 아바타모션 제어부(132)로 전달하고, 선택 인터페이스에 리스트된 가상상품에서 선택되는 가상상품이 식품이 아닌 경우 선택된 가상상품을 손에 쥐고 있는 모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요청을 아바타모션 제어부(132)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모듈(150)은 가상상품의 인터랙션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장바구니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활성화된 장바구니 인터페이스에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가상상품 또는 상품 상세 이미지가 팝업된 가상상품을 임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가상상품의 구매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상품구매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구매 모듈(160)은 인터랙션 모듈(150)에 의해 팝업된 상품 상세 이미지 또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가상상품이 표시된 페이지에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구매 모듈(160)은 장바구니 인터페이스에 임시 저장된 가상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품구매 모듈(160)에 의해 제공되는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매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구매 모듈(160)은 구매되는 가상상품이 의류인 경우 아바타의 스킨으로서 사용되는 가상의류 및 실제 오프라인상품 의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구매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동시에 모두 구매하는 경우 실제 오프라인상품 의류의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실제 오프라인상품 의류와 동일한 아바타 스킨으로 사용되는 가상의류를 무료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사용자가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가상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정산 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산 모듈(170)은 가상상품에 대한 결제 수행 시 신용카드 결제 또는 가상화폐(예를 들어, 비트코인, 마일리지 등)를 통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산 모듈(170)은 결제가 완료된 가상상품을 배송할 배송업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 또는 사용자와 관련성이 높은 배송업체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구매한 가상상품이 사용자의 주소로 배송될 수 있다. 이 때에 배송되는 오프라인상품은 아바타 사용자가 가상공간에서 선택한 가상상품과 동일한 형태, 색상, 유통기한 등을 갖는 오프라인상품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 및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신 모듈(18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통신 모듈(180)은 외부와의 직접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18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듈(180)은 제어 모듈(110), 가상공간 모듈(120), 아바타 모듈(130), 상품생성 모듈(140), 인터랙션 모듈(150), 상품구매 모듈(160), 정산 모듈(170), 저장 모듈(19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수신하여 제어 모듈(110), 가상공간 모듈(120), 아바타 모듈(130), 상품생성 모듈(140), 인터랙션 모듈(150), 상품구매 모듈(160) 또는 정산 모듈(170)로 전달하거나 저장 모듈(19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텍스트, 이미지, 동화상 등의 컨텐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 모듈(180)은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의 동작에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저장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모듈(190)에는 오프라인공간 정보, 오프라인상품 정보, 사용자 정보, 아바타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참고로, 저장 모듈(190)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외부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저장 모듈(190)이 인터넷 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메타버스 매장 가상공간 내의 아바타 사용자와 오프라인 매장의 인원 간 인터랙션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오프라인 매장과 동일한 가상공간 내에 위치한 아바타 사용자와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를 착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인원 간 인터랙션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오프라인 매장 내의 인원이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를 착용하는 경우, 오프라인 매장 공간과 동일한 가상공간에 접속한 아바타를 가상공간 내 아바타의 위치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 공간 내 위치에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를 착용한 오프라인 매장 내의 인원을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가상공간에 아바타로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를 착용한 오프라인 매장 내의 인원을 오프라인 매장 내 해당 인원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공간 내 위치에 해당 인원을 표현하는 아바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를 통해 아바타로서 가상공간에 접속한 사용자와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를 착용한 오프라인 매장 내 인원 간에 메시지를 주고 받거나, 해당 상품에 대한 의견, 가격 등을 질문하고 대답할 수 있는 등의 인터랙션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가상공간에 생성되어 진열된 가상상품에 대한 정보를 해당 가상상품과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가상공간 내의 아바타 사용자 및/또는 해당 가상상품에 대응하는 오프라인상품에 인접한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를 착용한 오프라인 매장 내 인원에게 문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바타 사용자는 특정 가상상품에 대한 맛, 향 등에 관한 정보를 해당 특정 가상상품에 인접한 가상공간 내 아바타 사용자 또는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를 착용하여 가상공간 내의 아바타로 구현된 오프라인 매장 내 인원에게 문의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상기 문의에 답변한 인원(사용자)에게 보상(예를 들어, 할인권, 마일리지 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는, 가상공간으로 구현되는 오프라인 매장 내의 인원이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를 착용하는 경우, 가상공간에 생성된 가상상품을 포함하여 이와 관련된 제품 상세 이미지, 장바구니 인터페이스, 구매 인터페이스 등을 오프라인공간에 그대로 구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증강현실 구현 장치(400)를 착용한 오프라인 매장 내 인원은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를 착용하여 가상공간에 접속한 아바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를 오프라인공간 즉, 현실세계에서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S1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S10)에 의하면, 먼저 가상공간 모듈(120)이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을 구현할 수 있다(S100). 도 7을 참고하면, 오프라인공간 연동부(121)가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의 오프라인공간 모니터링 모듈(310)과 연동되어 오프라인공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S110), 가상공간 생성부(122)가 수신한 오프라인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오프라인 매장과 동일한 가상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S120).
이어서, 아바타 모듈(130)이 생성된 가상공간에 아바타를 구현할 수 있고(S210), 또한, 상품생성 모듈(140)이 생성된 가상공간에 가상상품을 구현할 수 있다(S220). 도 8을 참고하면, 오프라인상품 연동부(141)가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의 오프라인상품 모니터링 모듈(320)과 연동되어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S221), 가상공간상품 생성부(142)가 수신한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과 동일한 가상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S222).
계속하여, 아바타 생성부(131)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는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20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아바타모션 제어부(132)의 제어명령에 따라 이동 및 행동할 수 있고, 만약 아바타가 가상상품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영역 내에 접근하게 되면(S300), 인터랙션 모듈(150)은 아바타가 접근한 가상상품에 인터랙션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S400).
인터랙션 모듈(150)에 의해 생성된 인터랙션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인터랙션 모듈(150)은 장바구니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선택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선택된 가상상품을 장바구니 인터페이스에 임시 저장(담기)할 수 있다(S500).
이어서, 상품구매 모듈(160)은 장바구니 인터페이스에 임시 저장된 가상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정산 모듈(170)은 구매 인터페이스에 의해 구매되는 가상상품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S600).
계속하여, 정산 모듈(170)은 결제가 완료된 가상상품을 배송할 배송업체 리스트를 생성하고, 리스트되는 배송업체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가상상품과 동일한 오프라인상품이 배송되도록 할 수 있다(S7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오프라인 공간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가상공간에서 실시간으로 그대로 구현하여 판매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장감을 전달하고, 실제 오프라인 상품과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품질의 상품을 가상공간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가상공간에서 오프라인 매장과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메타버스 가상공간 매장을 제공하면서 오프라인 공간에서는 구현되지 않는 실시간 관련 상품 추천, 요리 레시피에 따른 재료 리스트 제공 등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VR, AR 등의 관련 기술을 접목시킴으로써 융합된 메타버스 매장의 가상공간 사용자(아바타)와 가상공간과 연동된 오프라인 매장의 사용자 간에 용이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상품을 구매하고 대금을 결제할 시 현실 세계에서 사용되는 신용카드는 물론 재화로서 가치를 갖는 가상화폐를 활용하여 대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
110: 제어 모듈
120: 가상공간 모듈
121: 오프라인공간 연동부
122: 가상공간 생성부
123: 가상공간 채널부
130: 아바타 모듈
131: 아바타 생성부
132: 아바타모션 제어부
140: 상품생성 모듈
141: 오프라인상품 연동부
142: 가상공간상품 생성부
150: 인터랙션 모듈
160: 상품구매 모듈
170: 정산 모듈
180: 통신 모듈
190: 저장 모듈
200: 메타버스 인터랙션 장치
300: 오프라인 매장 서버
310: 오프라인공간 모니터링 모듈
320: 오프라인상품 모니터링 모듈
400: 증강현실 구현 장치
1000: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시스템

Claims (20)

  1.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로서,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상공간 모듈(120); 및
    상기 가상공간에 가상상품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상품생성 모듈(140)을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공간 모듈(120)은, 오프라인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공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가상공간 생성부(122)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공간 모듈(120)은, 상기 생성된 가상공간에 채널을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가상공간 채널부(123)를 더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생성 모듈(140)은,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상품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가상공간상품 생성부(142)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공간에 아바타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아바타 모듈(130)을 더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모듈(130)은,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아바타 생성부(131); 및
    상기 생성된 아바타의 모션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아바타모션 제어부(132)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와 상기 가상상품 간 인터랙션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인터랙션 모듈(150)을 더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모듈(150)은, 상기 가상상품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영역내에 상기 아바타가 접근할 시 인터랙션 아이콘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상품의 구매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상품구매 모듈(160)을 더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
  10.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시스템(1000)으로서,
    제 1항에 따른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 및
    상기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프라인 매장 서버(300)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시스템(1000).
  11.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으로서,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공간에 가상상품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을 구현하는 단계는, 오프라인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을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가상공간에 채널을 구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공간에 가상상품을 구현하는 단계는, 오프라인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상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공간에 아바타를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공간에 아바타를 구현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아바타의 모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와 상기 가상상품 간 인터랙션을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와 상기 가상상품 간 인터랙션을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상품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영역내에 상기 아바타가 접근할 시 인터랙션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상품의 구매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2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 1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64145A 2022-05-25 2022-05-25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KR20230164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145A KR20230164419A (ko) 2022-05-25 2022-05-25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145A KR20230164419A (ko) 2022-05-25 2022-05-25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419A true KR20230164419A (ko) 2023-12-04

Family

ID=8916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145A KR20230164419A (ko) 2022-05-25 2022-05-25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44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063B1 (ko) * 2023-12-11 2024-02-13 주식회사 이머스테크 웹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913A (ko) 2021-12-03 2021-12-21 이형빈 메타버스 어플리케이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913A (ko) 2021-12-03 2021-12-21 이형빈 메타버스 어플리케이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063B1 (ko) * 2023-12-11 2024-02-13 주식회사 이머스테크 웹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6642B2 (en) Remote and/or virtual mall shopping experience
CN104769627B (zh) 用于对端辅助购物的方法和装置
KR101919377B1 (ko)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99537B1 (ko) 3차원 가상현실 쇼핑몰을 통한 구매장치 및 그 방법
WO20170702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shopping space
KR20020037553A (ko) 다자간 대화형 쇼핑몰 운영방법 및 시스템
CN110390579A (zh) 商品订购中介系统及方法
KR20230164419A (ko) 오프라인 매장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매장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KR102118485B1 (ko) 고객 맞춤형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51281A1 (en) Virtual reality shopping
KR20190027262A (ko) 정보공급자 제공 상품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상품 판매 및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2714B1 (ko)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20079995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30164421A (ko) 아바타 의류 실제품화 기반의 메타버스 의류 통합 비즈니스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JP2001147881A (ja) 広告配信システム
KR102584189B1 (ko) 온/오프라인 쇼핑 경험을 공유하는 메타버스 기반 이커머스 플랫폼 운영시스템
JP674284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1756108B2 (en) Virtual/augmented reality custom ordering service
JP7209417B1 (ja) プログラム及び飲食情報システム
KR102659480B1 (ko) 온/오프라인 쇼핑 경험을 공유하는 메타버스 기반 이커머스 플랫폼 시스템
JP7200938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7285879B2 (ja) Xrモール生成装置、xrモール生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xrモール生成プログラム
JP7223077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7382112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1351026A (ja) 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方法及び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