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714B1 -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714B1
KR102072714B1 KR1020170135778A KR20170135778A KR102072714B1 KR 102072714 B1 KR102072714 B1 KR 102072714B1 KR 1020170135778 A KR1020170135778 A KR 1020170135778A KR 20170135778 A KR20170135778 A KR 20170135778A KR 102072714 B1 KR102072714 B1 KR 102072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virtual
store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791A (ko
Inventor
한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라이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라이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라이플
Priority to KR1020170135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7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3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핑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가상현실을 제공하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하여 실제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가상의 쇼핑공간을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을 실감나게 표현하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및 온라인 방식의 쇼핑몰의 장점을 모두 갖는 쇼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USING HEAD MOUNTED DEVIC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쇼핑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상현실을 제공하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하여 실제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가상의 쇼핑공간을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을 이용하는 전통적인 쇼핑방식에서 벗어나 컴퓨팅 장치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서비스의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전자상거래란 재화나 서비스의 거래에 있어서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전자문서 교환 등 전자적 방식에 의해 처리되는 거래를 가리킨다. 전자상거래는 현실 세계에서 상거래와 유사하게 상거래 주체들이 모두 참여하게 된다. 가장 간단한 전자상거래의 경우, 물건 또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서 물건 또는 부가 서비스를 구매하는 소비자, 상품에 대한 금전관계에 관여하는 가상은행 또는 신용카드회사 등이 전자 상거래에서 거래의 주체가 된다.
이러한 전자상거래 중에서도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부분이고 또한 많은 사람들이 찾아가는 곳이 바로 백화점 개념의 쇼핑몰이며, 쇼핑이나 금융 등의 상거래가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가상공간을 통해 공간적, 시간적 한계를 벗어나 사람이 최소한으로 개입되는 가운데 구현되고, 보다 빠르고 저렴한 구축비용으로 경영이 가능함에 따라, 전통적인 오프라인 방식에서 온라인 방식으로 전환이 가속화되는 추세이다.
수많은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판매를 위해, 해당 상품에 대한 이미지, 제조사, 브랜드, 상품기능, 상품타입, 사양, 부가기능 및 가격 등의 상품정보를 게시하고 있고, 소비자는 이러한 상품정보를 확인하여 구매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 중인 온라인 쇼핑몰이 제공하는 제한적인 상품정보만으로는 제품 중에 만족스러운 가격 및 품질 등을 갖춘 상품을 찾아내기는 쉽지 않음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해당 상품을 직접 확인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선호하는 소비자들도 상당수 존재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1056호(공개일자: 2004.02.05.)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49801호(공개일자: 2000.08.05.)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 기술에 기반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컴퓨팅 장치를 통해 제작된 가상공간 상에 다양한 매장을 구현하고, 소비자 및 판매자가 그 가상공간 내에서 상품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가상현실 기술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헤드 마운티드 장치에 하나 이상의 가상 매장이 입점된 가상 쇼핑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과, 업체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상 매장을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가상 매장이 등록하는 저작툴을 제공하는 제작 플랫폼과, 상기 가상 매장에 대응하는 매장정보 및 상기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플랫폼은,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 관리부와, 로그인 절차가 완료된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 세션을 통해 연동하는 단말기 연동부와, 상기 사용자 세션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가상 쇼핑공간 내 영역상에 위치하여 취하는 행위에 대한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가상현실 제공부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거래절차를 수행하는 트랜젝션 처리부와, 상기 제작 플랫폼에 의해 생성된 매장정보를 등록하는 매장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플랫폼은, 트래픽에 따라 하나의 가상 쇼핑공간에 접속하는 사용자 세션의 개수를 제한하되, 연관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세션은 동일 가상 쇼핑공간으로 연결하는 세션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장 관리부는, 입점이 허가된 업체의 매장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매장을 상기 가상 쇼핑공간의 일 영역에 할당하는 매장등록 모듈과, 상기 매장정보에 포함된 상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매장 내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객체를 배치하는 상품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관리 모듈은 복수의 재고가 설정된 상품에 대하여 하나의 대표 상품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대표 상품객체는, 수치로 표시되는 재고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작 플랫폼은, 업체의 등록, 등록된 업체의 매장정보 생성 및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업체 관리부와, 등록된 업체의 업체 단말기에 상기 매장정보를 생성하는 저작환경을 제공하는 저작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장정보는 상기 저작환경 상에서 제작된 상기 가상 매장에 대한 디자인 및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작툴 제공부는, 미리 제작된 복수의 샘플 가상 매장을 제공하여 선택 받는 매장 선택모듈과, 상기 상품의 명칭, 제조사, 브랜드, 상품기능, 상품타입, 사양, 부가기능 및 가격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상기 상품정보를 생성하는 상품정보 입력모듈과, 상기 상품의 평면형 이미지를 입력받아 입체형 상품객체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기와, 선택된 샘플 가상 매장 내 변환된 상품객체를 배치하여 상기 매장정보를 생성하는 매장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변환기는, 상기 평면형 이미지에 복수의 특징점을 설정하고, 상기 상품에 대응하는 프레임 워크상에 상기 복수의 특징점을 매핑한 후, 매핑된 특징점들이 이루는 블록단위로 상기 평면형 이미지를 분리 및 재배치하여 상기 상품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가상현실 기술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의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로그인 절차가 완료된 사용자 단말기에 가상 쇼핑공간의 사용자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헤드 마운티드 장치로 사용자가 상기 가상 쇼핑공간 내 영역에 위치하여 취하는 행위에 대한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 쇼핑공간에 입점한 가상 매장 내 배치된 상품객체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택 받는 단계와, 선택된 상품에 대한 거래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는, 트래픽에 따라 하나의 가상 쇼핑공간에 접속하는 사용자 세션의 개수를 제한하되, 연관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세션은 동일 가상 쇼핑공간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입점이 허가된 업체의 매장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매장을 상기 가상 쇼핑공간의 일 영역에 할당하고, 상기 매장정보에 포함된 상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매장 내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객체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매장을 가상 쇼핑공간의 일 영역에 할당하는 단계 이전에, 업체 단말기로부터 미리 제작된 복수의 샘플 가상 매장을 제공하여 선택 받는 단계와, 상기 상품의 명칭, 제조사, 브랜드, 상품기능, 상품타입, 사양, 부가기능 및 가격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상기 상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의 평면형 이미지를 입력받아 입체형 상품객체로 변환하는 단계와, 선택된 샘플 가상 매장 내 변환된 상품객체를 배치하여 상기 매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을 실감나게 표현하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및 온라인 방식의 쇼핑몰의 장점을 모두 갖는 쇼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소비자는 웹 페이지와 같이 평면적인 정보만이 아닌, 실제와 같이 입체감 있는 상품을 확인하고 구매를 결정할 수 있어 구매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판매자는 기존 오프라인 소호 쇼핑몰을 대체하여 광고 및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고 신규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플랫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제작 플랫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이미지 변환기의 변환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가상 쇼핑공간 및 가상 매장에 대한 구조 및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장치(Device)" 및 "서버(Server)"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단말기(Terminal Device)" 및 "서버(Server)"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또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헤드 마운티드 장치(101)와 연결 또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101)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0)와, 가상 쇼핑공간에서 가상 매장을 운영하는 업체의 업체 단말기(200)와,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복의 가상 매장이 입점된 가상 쇼핑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가상현실 기술기반의 쇼핑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로서, 정보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로그인 등의 절차 수행하고, 사용자 세션이 설정되면 이를 통해 서비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가상 쇼핑공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쇼핑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로는 통상의 개인 컴퓨팅 장치(PC),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 태블릿 PC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서비스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가상현실 영상을 헤드 마운티드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101)를 통해 가상 쇼핑공간을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으며, 그 가상 쇼핑공간내 어느 하나의 가상 매장에 입장하여 가상 매장 내 배치된 복수의 상품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품정보를 확인하고, 결제를 요청하여 전자상거래 기술에 기반한 결제절차에 따라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업체 단말기(200)는 서비스 서버(300)가 제공하는 가상 쇼핑공간에 입점하려거나 입점된 가상 매장을 운영하는 소호 쇼핑몰 또는 창업 예정자에 해당하는 업체가 보유한 업체 단말기(200)로서, 정보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여 업체등록, 로그인 등의 절차를 수행하고, 서비스 서버(300)가 제공하는 저작툴을 이용하여 가상 매장을 생성하여 가상 쇼핑공간에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업체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마찬가지로 개인 컴퓨팅 장치(PC),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 태블릿 PC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서비스 서버(300)에 업체등록을 요청하고 제작한 가상 매장을 입점시킬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가상현실 기술에 기반하여 복수의 가상 매장이 입점한 가상 쇼핑공간을 온라인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회원등록된 사용자가 가상공간에서 마치 오프라인 방식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것과 같은 쇼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세션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가 가상 쇼핑공간에서 취하는 행위에 따른 가상현실 영상을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100) 및 헤드 마운티드 장치(101)에 전송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 서버(300)는 업체 또는 별도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한 개발자들에게 소정의 저작툴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작된 가상 매장을 가상공간의 일 영역에 등록하여 하나의 가상 쇼핑공간을 구축하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 서버(30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에 대하여 지연없이 실시간으로 응답하기 위해, 복수의 서버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성능 마이크로 프로세서, 고용량의 메모리 및 저장소가 탑재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서비스 플랫폼(310), 제작 플랫폼(320) 및 데이터 베이스(330)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해 제작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서비스 서버(300)에 탑재 및 실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300)는 그 기능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에 포함된 헤드 마운티드 장치(101)에 하나 이상의 가상 매장이 입점된 가상 쇼핑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310), 업체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가상 매장을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입력받아 가상 매장이 등록하는 저작툴을 제공하는 제작 플랫폼(320) 및, 가상 매장에 대응하는 매장정보 및 상기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330)로 구분될 수 있다.
서비스 플랫폼(310)은 가상현실 기술 기반의 가상 쇼핑공간이 구축되어 있고, 이를 가상현실 영상의 형태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가상 쇼핑공간에는 복수의 가상 매장이 입점되어 있으며, 접속한 사용자들이 가상 쇼핑공간 내에서 매장간 이동, 상품객체 선택 등의 행위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비스 플랫폼(310)은 트래픽 또는 사용자의 이용행태에 따라, 하나의 가상 쇼핑공간 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사용자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제작 플랫폼(320)은 상기 가상 쇼핑공간에 입점되는 가상 매장을 제작 할 수 있는 저작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작툴은 전문 개발자 또는 업체 단말기(200)에 제공될 수 있고, 업체는 저작툴 상에서 가상 매장을 디자인 하고,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들을 가상 쇼핑공간에서 표시 및 선택될 수 있는 객체 형태로 변환하여 디자인된 가상 매장에 배치하여 매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매장정보는 상품정보와 함께 데이터 베이스(330)에 저장될 수 있고, 서비스 플랫폼에 제공되어 등록됨에 따라 가상 매장으로서 가상 쇼핑공간에서 표시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330)는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300)에서 생성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매장정보 및 상품정보와, 회원 및 업체관리를 위한 회원정보 및 업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데이터 베이스(330)는 가상현실 영상에 대응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대용량 저장소(미도시)와 연계되어 시스템 실행시 필요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호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플랫폼 및 제작 플랫폼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플랫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플랫폼(310)은,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 관리부(311), 로그인 절차가 완료된 사용자 단말기(100)와 사용자 세션을 통해 연동하는 단말기 연동부(312), 사용자 세션을 통해 사용자가 가상 쇼핑공간 내 영역상에 위치하여 취하는 행위에 대한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가상현실 제공부(313),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거래절차를 수행하는 트랜젝션 처리부(314) 및, 제작 플랫폼(320)에 의해 생성된 매장정보를 등록하는 매장 관리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311)는 본 발명의 쇼핑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회원 등록 및 로그인과 관련된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정보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에 사용자 단말기(100)가 접속하면, 회원 관리부(311)는 계정 및 패스워드를 통해 회원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미가입된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에 회원등록을 위한 개인정보 등의 입력을 요청하는 등의 회원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관리부(311)는 계정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정합여부를 확인하는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고, 정상적으로 로그인 절차가 완료되면, 가상현실 제공부(313)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원 관리부(311)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회원탈퇴, 개인정보 입력, 갱신 및 삭제 등의 회원 관리와 관련된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단말기 연동부(312)는 정상적으로 로그인 절차가 완료된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하여 사용자 세션을 통해 가상 쇼핑공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 세션은 하나의 가상 쇼핑공간에 대하여 둘 이상이 설정될 수 있고, 후술하는 세션 관리부(316)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세션 관리부(316)는 트래픽에 따라 하나의 가상 쇼핑공간에 접속된 사용자 세션의 개수를 제한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0)가 동시에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더라도 서비스 제공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세션 관리부(316)는 사용자들 중, 가족, 친구로 설정된 둘 이상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거나 이미 가상 쇼핑공간에 접속한 사용자가 타 가상 쇼핑공간에 접속한 사용자를 초대하면, 해당 사용자 세션들을 동일한 가상 쇼핑공간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따라,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사용자들과 함께 가상 쇼핑을 즐길 수 있다.
가상현실 제공부(313)는 구축된 가상 쇼핑공간을 사용자 세션이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쇼핑공간은 가상현실 영상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될 수 있고, 접속한 사용자들은 가상 쇼핑공간의 일 영역상에 위치하여, 매장간 이동, 상품 객체 선택 등의 행위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쇼핑공간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일인칭 시점의 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트랜젝션 처리부(314)는 가상 쇼핑공간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상품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면 이에 따른 거래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트랜?션 처리부(314)는 선택된 상품의 가격에 따른 비용결제를 위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전자상거래 기술에 기반한 결제를 승인하면, 그 내역을 금융기관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고, 금융기관 서버(500)의 확인에 따라, 결제완료에 따른 상품구매 내역을 생성하고 해당 업체 단말기(200)에 보고할 수 있다.
즉, 트랜젝션 처리부(314)는 상품에 대한 결제요청에서부터 완료보고까지의 모든 거래절차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매장 관리부(315)는 업체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매장을 등록하여 가상 쇼핑공간 내 가상 매장을 입점시키고, 입점된 가상 매장에서 발생하는 상품판매 및 상품추가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매장 관리부(315)는 입점이 허가된 업체의 매장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매장을 가상 쇼핑공간의 일 영역에 할당하는 매장등록 모듈(3151) 및, 매장정보에 포함된 상품정보에 대응하여 가상 매장 내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객체를 배치하는 상품관리 모듈(315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매장등록 모듈(3151)은 제작 플랫폼(320)으로부터 제작된 가상 매장이 포함된 매장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상품관리 모듈(3152)은 판매된 상품에 대하여 그 상품객체를 가상 매장에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상품관리 모듈(3152)은 복수의 재고가 설정된 상품에 대하여 하나의 대표 상품객체를 표시할 수 있고, 대표 상품객체에 대한 재고를 수치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 단말기에 가상 쇼핑공간 및 가상 매장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통해 가상 쇼핑공간에서 쇼핑을 즐길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제작 플랫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플랫폼(320)은 업체의 등록, 등록된 업체의 매장정보 생성 및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업체 관리부(321) 및 등록된 업체의 업체 단말기에 매장정보를 생성하는 저작환경을 제공하는 저작툴 제공부(322)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매장정보는 저작환경 상에서 제작된 가상 매장 디자인 및 상품에 대한 상품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업체 관리부(321)는 업체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탈퇴, 업체정보 입력, 갱신 및 삭제 등의 업체등록 및 관리와 관련된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업체 관리부(321)는 정상적으로 로그인 절차가 완료된 업체 단말기(200)에 접속허가 및 서비스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작툴 제공부(322)는 가상 쇼핑공간에 입점하고자 하는 소호업체 등이 자신들의 가상 매장을 제작할 수 있도록 전자 저작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상 매장 제작 작업은 업체에서 직접 수행하거나, 또는 제작 전문가의 대행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저작툴 제공부(322)는 미리 제작된 가상 쇼핑공간에 적용 가능한 가상 매장의 제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 쇼핑공간은 시스템 운영자와 각 업체간 협약에 따른 복수의 가상영역이 할당되어 있으며, 업체는 저작툴을 통해 협약된 가상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가상 매장을 디자인하고, 그에 전시될 상품에 대한 상품객체를 제작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작툴 제공부(322)는 미리 제작된 복수의 샘플 가상 매장을 제공하여 선택 받는 매장 선택모듈(3221), 상품의 명칭, 제조사, 브랜드, 상품기능, 상품타입, 사양, 부가기능 및 가격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상품정보를 생성하는 상품정보 입력모듈(3222), 상품의 평면형 이미지를 입력받아 입체형 상품객체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기(3223) 및, 선택된 샘플 가상 매장 내 변환된 상품객체를 배치하여 매장정보를 생성하는 매장생성 모듈(3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 모듈은 저작툴이 제공하는 UI의 선택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을 업체 단말기(200)에 제공하게 되고, 최종 제작완료된 가상 매장은 매장 정보에 포함되어 서비스 플랫폼(310)에 전송되게 된다.
매장 선택모듈(3221)은 시스템 측에서 미리 제작한 복수의 샘플 가상 매장을 제공할 수 있다. 샘플 가상 매장들은 매장 인테리어 즉, 매장 내 가판대 및 상품 진열위치, 벽지 색상 등이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되어 있고, 업체에서는 그 복수의 샘플 가상 매장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매장에 대한 기본적인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다.
상품정보 입력모듈(3222)은 결정된 가상 매장에 입고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업체 단말기(200)로부터 상품정보를 입력받아 가상 매장에 등록하게 된다. 상품정보는 상품의 명칭, 제조사, 브랜드, 상품기능, 상품타입, 사양, 부가기능 및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품정보 입력모듈(3222)은 입력되는 상품정보를 가상 매장에 적용하게 된다.
이미지 변환기(3223)는 입력된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들에 대한 이미지를 가상현실 영상에서 표시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가상 매장 내 배치하게 된다. 가상 매장 내 배치되는 상품 객체는 실제 업체가 보유한 상품의 개수에 대응하거나 또는, 대표 상품객체 하나만이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상품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상품객체를 가상 매장내 배치하여 판매할 수도 있고, 한정된 크기의 가상 매장 내 다양한 종류의 상품객체를 배치하기 위해, 동일 상품에 대해서는 대표 상품객체 하나만을 설정하고, 그 대표 상품객체에 대한 재고를 수치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이미지 변환기(3223)는 특징점 매칭방식에 따라 평면이미지를 입체이미지로 변환하여 가상현실 영상의 포맷에 적용되도록 하며, 변환 방법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매장 생성모듈(3224)은 선택 및 상품의 배치가 완료된 가상 매장에 대한 설정내용에 따라 가상 매장을 생성하고, 그 사항을 반영하여 매장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고, 서비스 플랫폼(3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각 단계별 실행 주체는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 및 이를 이루는 각 구성부가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가상현실 기술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의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S100), 로그인 절차가 완료된 사용자 단말기에 가상 쇼핑공간의 사용자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S110),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그에 포함된 헤드 마운티드 장치로 사용자가 가상 쇼핑공간 내 영역상에 위치하여 취하는 행위에 대한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단계(S120),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가상 쇼핑공간에 입점한 가상 매장내 배치된 상품객체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택 받는 단계(S130) 및 선택된 상품에 대한 거래절차를 수행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S100)는 서비스 플랫폼의 회원 관리부가 계정 및 패스워드 인증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회원등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로그인 절차가 완료된 사용자 단말기에 가상 쇼핑공간의 사용자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S110)는 세션 관리부가 서비스 서버와 해당 사용자 단말기간의 사용자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그에 포함된 헤드 마운티드 장치로 사용자가 가상 쇼핑공간 내 영역상에 위치하여 취하는 행위에 대한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단계(S120)는 사용자 세션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하여 가상현실 제공부가 가상 쇼핑공간에 대한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통해 자신이 마치 가상 쇼핑공간 내에 위치하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특히, 단말기 연동부는 가상 쇼핑공간에서 사용자가 취하는 행위에 대응하여 헤드 마운티드 장치의 인터페이스 또는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가상현실 영상에 반영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가상 쇼핑공간에 입점한 가상 매장 내 배치된 상품객체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택 받는 단계(S130)는 가상 쇼핑공간내 사용자가 소정의 가상 매장에 입장하고, 그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상품객체를 선택하면, 가상현실 제공부가 이를 인식하는 단계이다.
이후, 사용자가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면, 선택된 상품에 대한 거래절차를 수행하는 단계(S140)로서, 트랜젝션 처리부가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요청, 승인수신 및 거래내역 표시 등의 거래절차 수행에 따른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서비스 서버의 제작 플랫폼의 제공하는 이미지 변환기에 의한 상품객체의 변환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이미지 변환기의 변환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이미지 변환기는 업체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평면형 상품 이미지를 입체형 상품 객체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에 이용되는 상품 이미지는 적어도 상품의 전체 형상을 촬영한 하나의 이미지일 수 있고, 또는 상품의 정면 및 후면 등을 각각 촬영한 둘 이상의 이미지일 수 있다.
이미지 변환기는 입력되는 상품 이미지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의 특징점(p1)을 설정할 수 있다. 특징점(p1)은 3개 이상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폐도형을 이룰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각형 블록(b1)을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변환기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품 이미지의 외곽선이 이루는 형상에 가장 유사한 프레임 워크(fw)를 추출하고, 각 특징점(p1)의 위치 및 거리에 따라 프레임 워크(fw)상에 매핑(mapping)한다.
이때, 매핑된 특징점(p2)은 프레임 워크가 입체형상임에 따라 프레임 워크(fw)상의 매핑된 특징점(p2)은 직선이 아닌 휘어진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변환기는 프레임 워크의 형상에 대응하여 매핑된 특징점(p2)을 블록단위로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4각 폴리곤(polygon, b2)을 형성하게 되며, 복수의 폴리곤(b2)의 결합연결에 따라 하나의 입체형 상품객체를 생성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가상 쇼핑공간 및 가상 매장을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가상 쇼핑공간 및 가상 매장에 대한 구조 및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가상 쇼핑공간(600)은 분야별로 구분된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며, 각 층마다 복수의 가상 매장(610)이 입점한 백화점 형태일 수 있다.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는 도 7a에 예시된 화면을 3인칭 시점에서 볼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층을 선택하면 해당 층의 일 영역에 자신의 위치(P)가 설정되며 그 위치(P)에서 1인칭 시점으로 전환되어 가상 매장(610)들을 바라보는 영상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가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또는 센서를 통해 이동할 수 있고 각 가상 매장(610)들을 자유롭게 돌아 볼 수 있다.
이후,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가상 매장(610)에 입장하면, 그 가상 매장(610)내 배치된 하나 이상의 상품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은 사용자의 위치(P)에서 1인칭 시점으로 바라본 가상 매장(610)내 영역이 된다.
사용자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가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또는 센서를 통해 어느 하나의 상품객체(620)를 선택하고 그의 상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7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하나의 상품객체의 선택시, 그 상품객체의 상품정보에 대한 화면(w)이 표시될 수 있다. 상품 정보 화면(w)은 해당 상품의 상품객체가 클로즈 업 되고, 상품객체의 형상을 확대, 축소하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UI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품 정보 화면(w)에는 상품의 명칭, 가격 등의 상품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중첩되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상품의 상품객체 및 상품정보를 확인하여 구매 여부를 결정하고, 헤드 마운티드 장치가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또는 센서를 통해 구매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후 서비스 서버는 결제절차를 수행하며 이에 대응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거래내역을 업체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01 : 헤드 마운티드 장치
200 : 업체 단말기 300 : 서비스 서버
310 : 서비스 플랫폼 311 : 회원 관리부
312 : 단말기 연동부 313 : 가상현실 제공부
314 : 트랜젝션 처리부 315 : 매장 관리부
320 : 제작 플랫폼 321 : 업체 관리부
322 : 저작툴 제공부

Claims (11)

  1.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가상현실 기술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헤드 마운티드 장치에 하나 이상의 가상 매장이 입점된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가상 쇼핑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업체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상 매장을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가상 매장에 등록하는 저작툴을 제공하는 제작 플랫폼; 및
    상기 가상 매장에 대응하는 매장정보 및 상기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 세션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가 상기 가상 쇼핑공간을 3인칭 시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층이 선택되면, 사용자는 상기 가상 쇼핑공간 내 일 영역상에 위치하여 매장간 이동 및 상품 객체 선택을 포함하는 행위를 통해 쇼핑을 수행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행위에 대한 일인칭 시점의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가상현실 제공부;
    트래픽에 따라 하나의 가상 쇼핑공간에 접속하는 사용자 세션의 개수를 제한하되, 연관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세션은 동일 가상 쇼핑공간으로 연결하는 세션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작 플랫폼은,
    업체의 등록, 등록된 업체의 매장정보 생성 및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업체 관리부; 및
    등록된 업체의 업체 단말기에 상기 매장정보를 생성하는 저작환경을 제공하는 저작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작툴 제공부는,
    미리 제작된 매장 내 가판대, 상품 진열위치 및 벽지 색상을 포함하는 매장 인테리어가 디자인된 복수의 샘플 가상 매장을 제공하여 선택 받는 매장 선택모듈;
    상기 상품의 명칭, 제조사, 브랜드, 상품기능, 상품타입, 사양, 부가기능 및 가격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상기 상품정보를 생성하는 상품정보 입력모듈;
    상기 상품의 평면형 이미지를 입력받아 입체형 상품객체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기; 및
    선택된 샘플 가상 매장 내 변환된 상품객체를 배치하여 상기 매장정보를 생성하는 매장생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변환기는,
    상기 평면형 이미지에 복수의 특징점을 설정하고, 상기 상품에 대응하는 프레임 워크상에 상기 복수의 특징점을 매핑한 후, 매핑된 특징점들이 이루는 블록단위로 상기 평면형 이미지를 분리 및 재배치하여 상기 상품객체를 생성하되, 매핑된 특징점들을 휘어진 형태로 프레임 워크상에 매핑하고, 블록단위로 연결하여 복수의 4각 폴리곤을 생성하고, 복수의 폴리곤을 결합 연결하여 하나의 입체형 상품객체를 생성하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은,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 관리부;
    로그인 절차가 완료된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 세션을 통해 연동하는 단말기 연동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거래절차를 수행하는 트랜젝션 처리부; 및
    상기 제작 플랫폼에 의해 생성된 매장정보를 등록하는 매장 관리부
    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관리부는,
    입점이 허가된 업체의 매장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매장을 상기 가상 쇼핑공간의 일 영역에 할당하는 매장등록 모듈; 및
    상기 매장정보에 포함된 상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매장 내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객체를 배치하는 상품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관리 모듈은 복수의 재고가 설정된 상품에 대하여 하나의 대표 상품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대표 상품객체는,
    수치로 표시되는 재고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135778A 2017-10-19 2017-10-19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72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778A KR102072714B1 (ko) 2017-10-19 2017-10-19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778A KR102072714B1 (ko) 2017-10-19 2017-10-19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791A KR20190043791A (ko) 2019-04-29
KR102072714B1 true KR102072714B1 (ko) 2020-02-25

Family

ID=66282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778A KR102072714B1 (ko) 2017-10-19 2017-10-19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7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495B1 (ko) * 2020-09-03 2021-08-25 양봉주 가상현실 기반의 인테리어 및 이와 연동하는 증강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 인테리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49084B1 (ko) * 2021-12-20 2022-09-29 (주)디즈콘 온라인 가상쇼핑공간 및 가상입점판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801A (ko) 2000-05-01 2000-08-05 조문배 가상현실을 이용한 3차원 쇼핑몰 운영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11056A (ko) 2002-07-27 2004-02-05 (주)샵에프엔 3차원 가상현실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상품 배치방법
KR20150113317A (ko) * 2014-03-27 2015-10-08 류인익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가상 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13485B1 (ko) * 2015-04-22 2021-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현실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49053A (ko) * 2015-10-28 2017-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791A (ko) 201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328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nified inventory and financial transaction management
US11568620B2 (en) Augmented reality-assis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ssing fit of physical objects in three-dimensional bounded spaces
US119081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resenting user interactions in multi-user augmented reality
US118477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multi-user augmented reality content
KR102072714B1 (ko)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4941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multi-user augmented reality
KR101151041B1 (ko) 국가간 온라인 거래 시스템
US20180315108A1 (en) Omni-channel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US20220270049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ractive access to project design and space layout planning
KR20010096903A (ko) 전자 상거래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000059056A (ko) 다중몰 통합 쇼핑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전자상거래 방법
KR102627359B1 (ko) 라이브 커머스가 가능한 전통시장용 상거래 시스템
KR20230140245A (ko) 상품의 판매 및 이동 이력 정보를 이용한 중고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0107151A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20210133719A (ko) 국가간 온라인 거래 시스템
KR20110076658A (ko) 전자상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방법
KR20040022492A (ko) 개인 혹은 가정 쇼핑몰에서 가상 화폐를 이용한 직거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