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3128A - Maufacuring process for leather analogue sheet using fungal mycelium and leather analogue sheet manufactured by the same - Google Patents

Maufacuring process for leather analogue sheet using fungal mycelium and leather analogue sheet manufactured by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3128A
KR20230163128A KR1020220062806A KR20220062806A KR20230163128A KR 20230163128 A KR20230163128 A KR 20230163128A KR 1020220062806 A KR1020220062806 A KR 1020220062806A KR 20220062806 A KR20220062806 A KR 20220062806A KR 20230163128 A KR20230163128 A KR 20230163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ycelium
leather
biofilm
medium
bio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희
최경천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이크로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3128A/en
Publication of KR20230163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128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005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after treatment of microbial biomass not covered by C12N1/02 - C12N1/0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cellulose deriva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버섯균을 감자한천배지(PDA)를 이용하여 계대 배양하는 계대 배양 단계, 계대 배양된 균사체를 병에 충진된 영양원에 접종하여 병 배지를 제조하는 병 배지 제조 단계, 병 배지 제조 단계를 통해 배양된 병 배지 균사체를 이용하여 바이오매스를 제조하는 바이오매스 제조 단계, 바이오매스에서 균사체가 증식 생장을 하면서 상부 표면에 균막을 배양하는 균막 배양 단계, 바이오매스로부터 순수 균사체 덩어리인 균막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균막 분리 단계를 포함하는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ther-like sheet using mushroom mycelium, a subculture step of subculturing mushroom fungi using potato agar medium (PDA), and inoculating the subcultured mycelium into a nutrient source filled in a bottle. A bottle medium production step of producing a bottle medium, a biomass production step of producing biomass using the bottle medium mycelium cultured through the bottle medium production step, and cultivating a biofilm on the upper surface while the mycelium proliferates in the biomas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ther-like sheet using mushroom mycelium can be provided, including a biofilm culturing step and a biofilm separation step of physically separating the biofilm, which is a pure mycelium mass, from biomass.

Description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 제조 공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죽 유사 시트{MAUFACURING PROCESS FOR LEATHER ANALOGUE SHEET USING FUNGAL MYCELIUM AND LEATHER ANALOGUE SHEET MANUFACTURED BY THE SAME}Process for manufacturing leather-like sheets using mushroom mycelium and leather-like sheet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를 제조 공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죽 유사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가죽과 유사한 가죽 대체 소재를 생산하는 공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leather-like sheet using mushroom mycelium and a leather-like sheet manufacture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method for producing a leather substitute material similar to leather using mushroom mycelium.

동물 가죽 생산 공정은 사육후 생산 과정, 즉 탈모, 태닝, 건조, 염색 등의 복잡한 과정을 통해 제조하게 되어 원가가 높고 생산 기간도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죽을 얻기 위한 가축 사육은 삼림 벌채, 생태계 파괴로 환경 문제를 발생시키고 천연 가죽 생산 공정 중 중금속, 대기 오염 물질 등 많은 환경 유해 물질을 배출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가죽 생산을 위해 많은 동물들이 희생되어 비윤리적 문제도 발생한다.The animal leather production process has the problem of high cost and long production period because it is manufactured through complex processes such as post-breeding production, dehairing, tanning, drying, and dyeing. In addition, raising livestock for leather causes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deforestation and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and causes the emission of many environmentally harmful substances such as heavy metals and air pollutants during the natural leather production process, and many animals are required to produce leather. Due to sacrifice, unethical problems also arise.

그러나, 가죽을 대체하기 위한 석유 화학 기반의 합성 섬유 또한 분해에 수백년이 소요되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 어렵다.However, petrochemical-based synthetic fibers to replace leather also take hundreds of years to decompose, making it difficult to provide a fundamental solution.

버섯 균사체는 버섯의 뿌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실과 같이 가는 균사가 자라서 읽힌 구조의 형태이며, 균사체 생장 및 후처리 공정을 통해 제조하는 가죽 질감의 천연 균사체 소재는 가죽의 대체 소재로서 사용 가능하다.Mushroom mycelium is the part that corresponds to the roots of mushrooms and is a structure in which thin, thread-like mycelium grows. Natural mycelium material with a leather texture manufactured through mycelium growth and post-processing processe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material for leather.

따라서, 이와 같은 가죽 유사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균사체 생장에 필요한 최적화된 공정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optimized process technology required for mycelium growth to produce such leather-like sheets.

(특허 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81358호(Patent Document 000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81358

본 발명은 버섯 균사체로 제조하는 신개념의 가죽 대체 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new concept leather replacement material made from mushroom mycelium.

또한, 본 발명은 균사체 생장 및 후처리 공정을 통해 가죽 질감의 가죽 유사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균사체 생장에 필요한 최적화된 공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mized process required for mycelium growth to produce a leather-like sheet with a leather texture through mycelium growth and post-treatment processes.

또한, 본 발명은 인장 강도와 재질 표면의 강도가 충분한, 100% 천연 고분자 균사체 소재로 이루어진 친환경 소재의 가죽 유사 시트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manufacture an eco-friendly leather-like sheet made of 100% natural polymer mycelium material, which has sufficient tensile strength and surface strength.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버섯균을 감자한천배지(PDA)를 이용하여 계대 배양하는 계대 배양 단계; 계대 배양된 균사체를 병에 충진된 영양원에 접종하여 병 배지를 제조하는 병 배지 제조 단계; 상기 병 배지 제조 단계를 통해 배양된 병 배지 균사체를 이용하여 바이오매스를 제조하는 바이오매스 제조 단계; 상기 바이오매스에서 균사체가 증식 생장을 하면서 상부 표면에 균막을 배양하는 균막 배양 단계; 및 상기 바이오매스로부터 순수 균사체 덩어리인 상기 균막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균막 분리 단계를 포함하는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ther-like sheet using mushroom mycelium includes the step of subculturing mushroom fungi using potato agar medium (PDA); A bottle medium manufacturing step of preparing a bottle medium by inoculating the subcultured mycelium into a nutrient source filled in a bottle; A biomass production step of producing biomass using the bottle medium mycelium cultured through the bottle medium production step; A biofilm culture step of cultivating a biofilm on the upper surface while mycelium proliferates in the biomas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ther-like sheet using mushroom mycelium, which includes a biofilm separation step of physically separating the biofilm, which is a pure mycelium mass, from the biomass.

또한, 원통 형의 봉형 배지의 타공을 통해 상기 계대 배양된 균사체를 영양원에 접종하여 숙성 배지를 제조하는 숙성 배지 제조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매스 제조 단계는 상기 병 배지 제조 단계를 통해 배양된 병 배지 균사체와 상기 숙성 배지 제조 단계를 통해 배양된 봉 배지 균사체를 혼합하여 교반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ripening medium production step of preparing a ripening medium by inoculating the subcultured mycelium into a nutrient source through a perforation in the cylindrical rod-shaped medium, and the biomass production step is performed by culturing the cultured medium through the bottle medium production step. The bottle medium mycelium and the rod medium mycelium cultured through the ripening medium production step can be mixed and stirred.

또한, 상기 바이오매스 제조 단계에서 상기 병 배지 제조 단계를 통해 배양된 균사체와 상기 숙성 배지 제조 단계를 통해 배양된 균사체는 50:50의 비율로 완전 혼합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biomass production step, the mycelium cultured through the bottle medium production step and the mycelium cultured through the maturation medium production step may be completely mixed at a ratio of 50:50.

또한, 상기 균막 분리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처리 단계는 분리된 균막의 표면이 마르기 전에 바이오매스 잔여물들을 물을 통해 세척하는 세척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post-treatment step performed after the biofilm separation step, and the post-treatment step may include a washing step of washing biomass residues with water before the surface of the separated biofilm dries.

또한, 상기 후처리 단계는, 상기 세척 단계 이후에 가소제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소제 처리는 에탄올 70%와 글리세린 30%를 혼합한 용액에 상기 분리된 균막을 침지하고 건조하는 작업을 반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t-treatment step further includes a plasticizer treatment step after the washing step, and the plasticizer treatment is repeated by immersing the separated biofilm in a solution of 70% ethanol and 30% glycerin and drying it. You can.

또한, 상기 후처리 단계는, 상기 가소제 처리 단계 이후에 24시간 자연 건조 후에 히팅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균막의 수분 제거 및 압착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며, 상기 히팅 프레스의 처리 온도는 90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t-treatment step involves removing moisture and compressing the separated biofilm using a heating press after natural drying for 24 hours after the plasticizer treatment step, and the process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press may be 90 degrees. .

또한, 상기 후처리 단계 이후에 수용성 염료를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균막을 원하는 색상으로 염색하는 염색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염색 단계는 상기 분리된 균막을 건조화하고 염색하는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post-treatment step, it further includes a dyeing step of dyeing the separated biofilm to a desired color using a water-soluble dye, and the dyeing step may repeat the steps of drying and dyeing the separated biofilm.

또한, 분리된 균막 2장을 겹쳐 결합하는 합지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지 단계에서 상기 각각의 분리된 균막의 바깥면이 균사가 발생된 상부면이 되고 상기 바이오매스와 닿았던 면이 내부로 위치하도록 접착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lamination step of overlapping and combining two separated biofilms, and in the lamination step, the outer surface of each separated biofilm becomes the upper surface where the hyphae are generated, and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iomass is turned inside. Can be glued into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방법을 통해 제조된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ather-like sheet using mushroom mycelium produced through the above method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버섯 균사체로 제조하는 신개념의 가죽 대체 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new concept leather replacement material manufactured from mushroom mycelium.

또한, 본 발명은 균사체 생장 및 후처리 공정을 통해 가죽 질감의 가죽 유사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균사체 생장에 필요한 최적화된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ptimized process required for mycelium growth to produce a leather-like sheet with a leather texture through mycelium growth and post-treatment process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장 강도와 재질 표면의 강도가 충분한, 100% 천연 고분자 균사체 소재로 이루어진 친환경 소재의 가죽 유사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 eco-friendly leather-like sheet made of 100% natural polymer mycelium material, which has sufficient tensile strength and surface strength of the material.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병 배지의 배양 단계별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성 배지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4주차 균막이 배양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리 전 균막의 모습과 분리 단계 후에 세척을 진행한 균막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후처리 공정 진행 후의 버섯 가죽 시트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레더 다이의 수용성 염료로 염색한 버섯 가죽의 모습을 나타낸다.
Figure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ther-like sheet using mushroom mycel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steps of culturing the mushroom bottle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ripen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culture of biofilm at 3 to 4 wee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the appearance of the biofilm before separation and the appearance of the biofilm after washing after the separa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appearance of a mushroom leather sheet after a post-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the appearance of mushroom leather dyed with Leather Die's water-soluble dy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As used herein, “comprises”,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Addition is not ruled out.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al effects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ther-like sheet using mushroom mycel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버섯균 계대 배양 단계(S110)는 버섯균을 감자한천배지(PDA)를 이용하여 계대 배양하는 작업 공정이다. 예컨대, 물 1000ml 기준 PDA 39g을 첨가하고(패트리디쉬 40개 기준), PDA 배지 제조 후 오토클레이브(AUTOCLAVE) 고압 멸균기에서 121도에서 15~25분간 고압 멸균하여 무균상태로 만들고, 그 후 온도를 측정하여 60도씨가 되면 패트리디쉬에 PDA를 분주할 수 있다. The mushroom subculture step (S110) is a work process of subculturing mushroom bacteria using potato agar medium (PDA). For example, add 39 g of PDA based on 1000 ml of water (based on 40 Petri dishes), prepare PDA medium, and sterilize under high pressure at 121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in an autoclave high-pressure sterilizer to make it sterile, and then measure the temperature. So, when the temperature reaches 60 degrees, you can use the PDA in a petri dish.

자실체 조직에서 분리된 균은 유전적으로 순수한 균주를 얻을 수 있고 또 조직 내부는 잡균에 오염되어 있는 부분이 적기 때문에 유리하다. 자실체는 어리고 신선하고 청결한 것을 채집하고, 표면을 깨끗이 한 후 클린벤치 내에서 정단 표면을 화염 멸균한 다음 메스로 자른다. 그리고, 각 표면에 점질물을 분비하는 것은 닦아 제거한다. 그리고, 단면을 멸균한 메스로 2~3mm 간격으로 잘라 PDA가 굳으면 바로 버섯균을 계대하여 접종하고 이를 인큐베이터에서 계대 배양할 수 있다.Bacteria isolated from fruiting body tissue are advantageous because genetically pure strains can be obtained and the inside of the tissue is less contaminated with various bacteria. Fruiting bodies are collected when they are young, fresh and clean, the surface is cleaned, the apical surface is flame sterilized in a clean bench and then cut with a scalpel. Then, any mucus secreted on each surface is removed by wiping. Then, the cross section is cut at 2-3 mm intervals with a sterilized scalpel, and once the PDA hardens, the mushrooms can be sub-inoculated and sub-cultured in an incubator.

PDA 상에 보유 종균의 균사의 콜로니가 직경 6cm가량 자랐을 때 외연부의 잡균오염이 없는 균사체를 떼어낸 후 해당 균사체를 코르크 보러를 이용하여 접종한 뒤 3일간 재분리 배양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은 2~3회 반복하는 것이 안전하다.When the mycelial colony of the spawned bacteria on the PDA has grown to a diameter of about 6cm, the mycelium without bacterial contamination at the outer edge can be removed, the mycelium can be inoculated using a cork borer, and then re-separated and cultured for 3 days. This process can be performed for 2 days. It is safe to repeat ~3 times.

여기서 사용하는 버섯균은 자연에서 찾을 수 있는 버섯 중 담자균류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에 속하는 야생 버섯의 균종일 수 있으며, 이 버섯과의 균종은 제2 균사형으로서 골격 균사의 비중이 현저히 높아 강도가 비교적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균사 형태에 따라 제1 균사형(monomitic)은 생식용 균사만으로 되어 있는 것이고, 제2 균사형(dimitic)은 생식용 균사와 골격 균사의 양쪽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때때로 생식용 균사와 결합 균사로 되어 있는 것도 있으며, 제3 균사형(trimitic)은 생식용 균사와 골격 균사 그 위에 결합 균사의 3가지로 되어 있는 것이다. 다양한 실험 결과 골격 균사의 비중이 높은 제2 균사형을 사용하였을 때 기계적 강도가 높았으며 가죽 대체 소재로서 적합하였다.The mushroom fungus used here may be a wild mushroom species belonging to the polyporaceae family of basidiomycetes among mushrooms found in nature, and the fungal species of this mushroom family are the second mycelial type and have a significantly high proportion of skeletal hyphae. It has relatively strong strength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hyphal type, the first hyphal type (monomitic) consists only of reproductive hyphae, and the second hyphal type (dimitic) consists of both reproductive hyphae and skeletal hyphae, and sometimes consists of reproductive hyphae and combined hyphae. There are also some, and the third hyphal type (trimitic) is composed of three types of hyphae: reproductive hyphae, skeletal hyphae, and connective hyphae on top of them. As a result of various experiments, when the second mycelial type with a high proportion of skeletal hyphae was used, the mechanical strength was high and it was suitable as a leather replacement material.

다음으로, 병 배지 제조 단계(S120)는 버섯균 계대 배양 단계(S110)에서 계대 배양된 균사체를 병에 집적된 영양원에 접종하여 배양 배지화하는 작업 공정으로, 병 배지에 충진될 재료들을 준비하는 작업부터 진행한다. 함수율은 60%, pH 6.0으로 촉진제로 목초액을 첨가할 수 있다.(1리터/1~2천배 희석 농도). 또한, 모든 재료들을 비닐봉투에 담고 고압 멸균기에서 121도 약 40분 설정하여 멸균처리하고, PDA 배지에서 계대 배양한 종균을 접종하고 활착까지 최대 3주가량 배양할 수 있다.Next, the bottle medium manufacturing step (S120) is a work process of inoculating the mycelium subcultured in the mushroom subculture step (S110) into the nutrient source accumulated in the bottle and turning it into a culture medium, preparing the materials to be filled in the bottle medium. Start with the work. The moisture content is 60% and pH 6.0, and wood vinegar can be added as an accelerator (1 liter/1 to 2,000 times diluted concentration). In addition, all materials are placed in a plastic bag, sterilized in a high-pressure sterilizer at 121 degrees for about 40 minutes, inoculated with spawn subcultured in PDA medium, and cultured for up to 3 weeks until colonization.

여기서, 병 배지에 충진되는 재료는 톱밥과 미강의 조합, 예컨대 미송, 버드나무, 밀기울, 및 미강의 조합일 수 있으며, 미송:버드나무:밀기울:미강을 5~7:1~3:0.5~1.5:0.5~1.5:의 부피비율로 혼합한 후, 목초액(1~2천배 희석)과 물을 첨가하면서 함수율을 60% 내외로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충진된 병을 살균한 후 균사체 접종을 위한 접종구를 만든 후 19~30도씨에서 25~35일간 배양 관리를 하여 버섯 균사체를 증식 생장시킬 수 있다. 특히 구멍장이버섯과 버섯균을 증식 생장시킨 환경은 비교적 고온인 28~33도의 온도에서 20일간 배양을 하여 산소, 이산화탄소 공급 조절을 통해 배양 속도를 최대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버섯 병 배지의 배양 단계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Here, the material filled in the bottle medium may be a combination of sawdust and rice bran, such as Douglas fir, willow, wheat bran, and rice bran, with Douglas fir:willow:wheat bran:rice bran in a ratio of 5~7:1~3:0.5~ After mixing at a volume ratio of 1.5:0.5 to 1.5:, the water content can be adjusted to around 60% by adding wood vinegar (diluted 1 to 2,000 times) and water. After sterilizing the bottle filled in this way, an inoculation hole for mycelium inoculation is made, and the mushroom mycelium can be grown by culturing at 19 to 30 degrees Celsius for 25 to 35 days. In particular,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mushrooms and mushrooms are grown is cultured at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of 28 to 33 degrees for 20 days, and the cultivation speed can be maximized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oxygen and carbon dioxide. Referring to Figure 2, you can see the stages of cultivation of the mushroom bottle medium.

다음으로, 숙성 배지 제조 단계(S130)는 원기둥 또는 원통 형의 봉형 배지를 이용하여 계대 배양된 균사체 또는 병 배지를 숙성(배양)시켜서 만들어진 고체 종균 덩어리를 준비된 영양원에 접종하여 배양 배지화하는 작업 공정으로, 지름 10cm, 길이 40cm 가량의 원기둥 또는 원통형의 봉지 내부에 톱밥과 미강 등을 혼합 후 멸균한 다음에 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이 버섯 균들이 톱밥과 미강이 제공하는 탄소와 질소를 영양원으로 사용하여 영양 생장하게 하며, 보통 원통의 한 면(상부)에 4~5홀을 타공한 후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의 종균을 접종할 수 있다.Next, the ripening medium manufacturing step (S130) is a work process of inoculating the solid seed mass produced by maturing (culturing) the subcultured mycelium or bottle medium using a cylindrical or cylindrical rod-shaped medium and turning it into a culture medium. In this way, sawdust and rice bran are mixed inside a cylinder or cylindrical bag about 10cm in diameter and 40cm in length, sterilized, and then inoculated with mushroom spawn. These mushrooms use the carbon and nitrogen provided by the sawdust and rice bran as a source of nutrients. It promotes vegetative growth and can usually be inoculated with solid or liquid spawn after drilling 4 to 5 holes on one side (upper part) of the cylinder.

균사체 배양을 병 배지로만 사용 시 탈병 작업에 인시 소요가 많고, 플라스틱 병은 환경 친화적이지 않은 소재이기 때문에, 생산성과 환경적 가치를 위해 표고 버섯 재배 시 사용되는 봉형 배지(표고종균접종배양봉형식배지) 형태로 숙성 배지를 준비할 수 있으며, 병 배지 영양원과 동일한 재료 2.5kg 가량을 병 배지 제조 프로세스와 동일하게 봉지에 충진하고 상면부에 4~5구 타공을 하여 종균 접종을 할 수 있다.When mycelium culture is only used as a bottle medium, it takes a lot of man-hours to de-bottle, and plastic bottles are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Therefore, for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value, a rod-shaped medium (Shiitake inoculation culture rod-shaped medium) is used when cultivating shiitake mushrooms. ) You can prepare a ripening medium in the form, and fill about 2.5kg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ottle medium nutrient source into a bag in the same way as the bottle medium manufacturing process and make 4 to 5 holes on the top to inoculate the seed.

도 3을 참조하면, 좌측 사진은 접종 전 배지의 모습이고, 가운데 사진은 활착된 모습이고, 우측 사진은 완전 배양된 백변 상태의 봉형 배지의 모습을 나타낸다. 타공 및 접종 후 봉형 배지의 활착까지는 4~5일이 소요되고, 백변 상태가 될 때까지는 14~15일가량이 소요되며, 숙성 배지의 배양의 최적 온도는 28~32도이다.Referring to Figure 3, the photo on the left shows the medium before inoculation, the photo in the middle shows the adhered medium, and the photo on the right shows the fully cultured, white-colored rod-shaped medium. After perforation and inoculation, it takes 4 to 5 days for the rod-shaped medium to take root, and about 14 to 15 days for it to turn white. The optimal temperature for culturing the mature medium is 28 to 32 degrees.

다음으로, 바이오매스 제조 단계(S140)는 병 배지 제조 단계를 통해 배양된 병 배지 균사체와 숙성 배지 제조 단계를 통해 배양된 봉 배지 균사체를 혼합하여 교반함으로써 최종 버섯 가죽 생산용 몰드에 충진하는 공정이며, 병 배지 균사체와 봉 배지 균사체의 혼합 비율은 50:50의 균일한 비율로 완전 혼합(교반)이 되도록 교반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균사체를 완전 혼합하여 교반함으로써, 이후 단계에서 몰드에 충진 시 상부 또는 하부에 어린 균사체(병 배지)를 집중시킨 몰드들은 오염이 발생하였거나, 균막이 조밀하게 형성되지 않거나 형성 자체가 느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Next, the biomass production step (S140) is a process of mixing and stirring the bottle medium mycelium cultured through the bottle medium production step and the rod medium mycelium cultured through the maturation medium production step to fill the final mold for mushroom leather production. , the mixing ratio of bottle medium mycelium and rod medium mycelium can be used to ensure complete mixing (stirring) at a uniform ratio of 50:50. In this way, by completely mixing and stirring the two mycelia, the molds with young mycelium (bottle medium) concentrated at the top or bottom when filling the mold in the subsequent step may be contaminated, the biofilm is not formed densely, or the formation itself is not formed. Slow problems can be solved.

다음으로 균막 배양 단계(S150)는 바이오매스에서 균사체가 증식 생장을 하면서 몰드에 충진된 바이오매스 상부를 균막이 덮게 되는 과정으로서 바이오매스를 덮은 상부 균막은 버섯 가죽 대체 소재의 원재료가 될 수 있으며, 배양된 바이오매스는 집적화하여 플라스틱이나 스티로폼의 대체 소재의 원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Next, the biofilm culture step (S150) is a process in which the mycelium proliferates in the biomass and the biofilm covers the top of the biomass filled in the mold. The upper biofilm covering the biomass can be a raw material for a mushroom leather substitute material, Cultured biomass can be integrated and used as a raw material for substitute materials for plastic or Styrofoam.

몰드에 바이오매스를 충진하는 작업에서는 충진 재료들을 평탄화하는 작업과 오염의 관리가 중요하며, 바이오매스가 울퉁불퉁하게 충진될 경우 형성되는 균막 역시 평평하게 생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염 관리는 사실 전체 공정에서 지속적으로 신경을 써야 하는 부분으로, 특히 몰드 내부의 소독 살균 및 충진 시의 작업 환경에 따라 배양 시 오염 발생 여부에 상당한 영향이 있으며, 충진 직후에는 오염 여부를 알 수 없고 어느 정도의 균막이 배양된 후에나 오염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에, 초기 작업 시 오염의 관리는 전체 생산성을 크게 좌우할 수 있는 요인이다. In the process of filling biomass into a mold, leveling the filling materials and managing contamination are important, and if the biomass is filled unevenly, the biofilm formed does not grow evenly. Contamination control is actually an aspect that requires constant attention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In particular, the working environment during disinfection, sterilization, and filling inside the mold has a significant impact on whether contamination occurs during culture, and it is impossible to know whether contamination occurs immediately after filling. Since the occurrence of contamination can only be confirmed after a certain level of biofilm has been cultured, management of contamination during initial work is a factor that can greatly determine overall productivity.

또한, 몰드에 따라 생육 기간에 다소 차이가 있으며, 추후 균막과 바이오매스와의 분리 작업이 힘들기 때문에 균막과 바이오매스 사이에 거즈를 상부에 덮을 수 있다. 여기서, 바이오매스 표면에 덮는 얇은 거즈는 공극이 상대적으로 커 균사체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거즈가 바이오매스와 균막 사이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거즈를 호일에 감싸 멸균한 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some difference in the growth period depending on the mold, and since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biofilm and biomass later, gauze can be covered between the biofilm and biomass. Here, the thin gauze covering the biomass surface has relatively large pores, allowing mycelium to sufficiently pass through. Additionally, because the gauze is located between the biomass and the biofilm, the gauze can be wrapped in foil and sterilized before use.

또한, 균막 배양이 이루어지는 배양실은 냉온풍기를 이용해 최적합한 배양 온도를 설정하여야 하며, 예컨대 온도 29도, 내부습도 60~70%, 외부습도 30%를 유지할 수 있으며, 환풍기 역시 상시 가동을 통해 CO2 농도는 500~700ppm을 유지하였다. 또한, 균막의 건조해짐의 방지를 위해 상부에 랩핑을 하였는데, 균사체의 호흡을 위해 완전 밀봉을 하지는 않고, 습도 60~70%를 유지하기 위해 수시 살수를 진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3~4주차 균막이 배양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lture room where biofilm culture is performed must set the optimal culture temperature using a hot and cold fan. For example, a temperature of 29 degrees, internal humidity of 60-70%, and external humidity of 30% can be maintained. The ventilation fan is also operated at all times to reduce CO2 concentration. was maintained at 500~700ppm. In addition, the upper part is wrapped to prevent the biofilm from drying out, but it is not completely sealed to allow the mycelium to breathe, and frequent spraying can be done to maintain humidity of 60-70%. Referring to Figure 4, it can be seen that the 3-4 week biofilm was cultured.

또한, 버섯균으로 사용되는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의 균주는 기생 균주이며 기생하는 나무의 껍질이나 뿌리 등의 하단바에서 생성되며, 내부에 있던 균사체가 외부로 나오면서 풍부한 산소의 공급을 통해 빠르게 비대생장을 하다 온습도가 비대성장에 적합하지 않으면 바로 자실체로 변이하여 포자를 날려 번식하게 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은 자연적인 현상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배양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ain of the polyporaceae family used as a mushroom fungus is a parasitic strain and is produced in the bottom bar of the bark or roots of the parasitic tree. As the mycelium inside comes out to the outside, it quickly dies through the abundant supply of oxygen. During hypertrophic growth, i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not suitable for hypertrophic growth, it immediately transforms into a fruiting body and reproduces by blowing spo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natural phenomenon can be used to control culture conditions as follows.

먼저 타공 등을 통해 바이오매스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여(이때, 내부 CO2 농도는 1%~3%로 조절) 균사의 증식 생장을 빠르게 하여 바이오매스의 장악력을 높인 후에, 바이오매스 내부의 산소 공급을 중단하고 외부에 산소를 공급하여 초기 균막을 형성한다. 이는 초기에 빠른 시간 내에 증식 생장을 통해 바이오매스 내에서 균사의 장악력을 높여야만 전체 면적에서 균막이 균일하게 생장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바이오매스 내부에 산소가 계속 공급되는 경우 내부 목질화 현상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타공을 통한 내부 산소 공급을 중단하는 것이고, 빠른 증식 생장 후에는 외부, 즉 상부 방향에서 산소가 공급되면서 균막 상부 방향으로 초기 균막이 적층되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First, oxygen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iomass through perforations, etc. (at this time, the internal CO2 concentration is adjusted to 1% to 3%) to increase the control of the biomass by speeding up the proliferation and growth of mycelia, and then supplying oxygen to the inside of the biomass. Stop and supply oxygen to the outside to form an initial biofilm. This is because the biofilm can grow uniformly over the entire area only if the grip of the mycelium within the biomass is increased through rapid growth in the beginning. Here, if oxygen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iomass, the problem of internal lignification occurs, so the internal oxygen supply through the perforation is stopped, and after rapid growth, oxygen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at is, from the top, and the biofilm is directed to the top. This allows the initial biofilm to be layered and formed uniformly.

다음으로, 외부의 산소를 공급하면서 바이오매스 내부에 이산화탄소 비율을 CO2농도 2~8%로 높여서 내부에서 균사체가 영양 생식을 통해 바이오매스를 분해하여 축적한 영양원을 외부의 균막으로 보내게 한다. 이를 위해 타공을 통해 바이오매스 내부에 주기적으로 간헐적으로, 예컨대 1일 12회, 회당 20분동안 CO2를 공급할 수 있다.Next, while supplying external oxygen, the carbon dioxide ratio inside the biomass is increased to 2-8% CO2 concentration, so that the mycelium inside decomposes the biomass through vegetative reproduction and sends the accumulated nutrients to the external biofilm. For this purpose, CO2 can be supplied periodically and intermittently into the biomass through perforations, for example, 12 times a day, for 20 minutes each time.

또한, 위의 CO2 공급 시간과 번갈아가면서 겹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간헐적으로, 예컨대 1일 12회, 회당 5분동안 바이오매스 내부에 산소와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영양 생식을 하게 하여 균막 비대에 필요한 영양원을 확보하게 하고, CO2 공급과 산소 및 수분 공급을 제공함으로써, 균막 상부 방향으로 균막이 적층되어 생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above CO2 supply time, oxygen and moisture are supplied to the biomass periodically and intermittently, for example, 12 times a day, for 5 minutes each time, thereby ensuring nutritional reproduction and securing the nutrient source necessary for biofilm growth. By providing CO2 supply, oxygen, and moisture supply, the biofilm can be stacked and grown toward the top of the biofilm.

또한, 외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1%이하로 낮아지면 자실체로 변하기 때문에, 균막 형성 이후에 형성된 균막 외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1~3% 범위 내로 일정하게 조절한다. 또한, 이외에 온도와 습도 및 조도를 조절하여 부피 및 수직성장을 하게 하여 균막을 두텁고 고르게 생장시키는 과정을 만들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turns into a fruiting body when the external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falls below 1%,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utside the biofilm formed after biofilm formation is constantly controlled within the range of 1 to 3%. In addition, by controlling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 process of growing the biofilm thickly and evenly by allowing volume and vertical growth.

다음으로 균막 분리 단계(S160)는 바이오매스로부터 순수 균사체 덩어리인 균막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단계로서, 균막의 두께가 충분히 두꺼워지고, 가장자리에서 갈변화가 진행된 것을 확인하면 균막 분리를 수작업 등으로 진행할 수 있다. Next, the biofilm separation step (S160) is a step of physically separating the biofilm, which is a pure mycelium mass, from the biomass. When the thickness of the biofilm is sufficiently thick and it is confirmed that browning has progressed at the edges, biofilm separation can be performed manually, etc. there is.

다음으로, 세척, 가소, 건조, 열압착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후처리 단계(S170)가 진행될 수 있다.Next, a post-processing step (S170) including washing, plasticization, drying, and heat compression processes may be performed.

먼저, 분리된 가죽 시트의 표면이 마르기 전에 붙어있는 바이오매스 잔여물들을 강한 수압의 흐르는 물에 씻어 세척을 진행하여야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좌측에 분리 전 균막의 모습과 우측에 분리 단계 후에 세척을 진행한 균막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First, before the surface of the separated leather sheet dries, any remaining biomass residues must be washed under running water under strong water pressure. Referring to Figure 5, you can see the biofilm before separation on the left and the biofilm after washing after the separation step on the right.

다음으로, 글리세롤과 물 같은 가소제는 고분자 폴리머 체인 사이의 공간을 채워 거리를 늘림으로써 고분자의 이동 능력을 향상시켜 윤활유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가소제로서 에탄올 70%와 글리세린 30%를 혼합한 용액에 각 균막을 이틀간 침지(또는 전체 도포)하여 건조(빠른 작업 공정을 위해 롤러를 사용)하는 작업을 5회 반복하여 가소제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가죽 시트의 가소제 처리 공정은 필수적이다. 시트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시키게 될 경우 건조되면서 뻣뻣하게 굳어버리는데, 이 경우 표면에 균열이 많이 생기면서 시트가 손상을 입게 되어 제품의 품질이 유지되지 않는다. 가소제는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함으로써, 천연 고분자로 이루어진 버섯 시트에 윤활유와 같은 역할을 하며, 특히 가소제는 폴리머 체인 사이의 공간을 채워 거리를 늘려주어 버섯 가죽 시트를 부드럽게 해준다.Next, plasticizers such as glycerol and water fill the space between high polymer chains and increase the distance, thereby improving the polymer's ability to move and acting like a lubricant. As a plasticizer, each is added to a solution of 70% ethanol and 30% glycerin. Plasticizer treatment can be performed by soaking the biofilm for two days (or applying it entirely), drying it (using a roller for a quick work process), and repeating this process five times. The plasticizer treatment process for leather seats is essential. If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a sheet, it dries and becomes stiff. In this case, many cracks appear on the surface and the sheet is damaged, so the quality of the product is not maintained. Plasticizers solve this problem and act like a lubricant for mushroom sheets made of natural polymers. In particular, plasticizers fill the spaces between polymer chains to increase the distance, making the mushroom leather sheets soft.

다음으로 가소제 처리 후 24시간 자연 건조를 한 후에도 시트 내 수분이 과다하기 때문에 히팅 프레스(HEATING PRESS)를 이용해 수분 제거 및 시트를 압착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가소 처리 후 자연 건조시킨 후에 히팅 프레스 작업을 하였기 때문에 버섯 가죽 시트의 수축이 심하거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히팅 프레스의 온도는 100도씨 이상 설정 시, 표면이 그을려지는 현상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시트가 그을려지지 않고 균막 특유의 밝은 흰색이 유지되기 위해서 최고의 온도인 90도씨로 설정하여 2분간 열 건조 및 압착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압착 프레스 작업을 통해 2mm가량의 두께로 처리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후처리 공정 진행 후의 버섯 가죽 시트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Next, since there is excessive moisture in the sheet even after 24 hours of natural drying after plasticizer treatment, a heating press can be used to remove moisture and compress the sheet. Since the heating press was performed after plasticizing and natural drying, the problem of severe shrinkage or deformation of the mushroom leather sheet can be solved. 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press was set to over 100 degrees Celsius, the surface was scorched, so in order to maintain the unique bright white color of the biofilm without scorching the sheet, it was set to the highest temperature of 90 degrees Celsius and dried for 2 minutes. It is desirable to proceed with a compression operation, and it can be processed to a thickness of about 2 mm through a thermocompression press operation. Referring to Figure 6, you can see the appearance of the mushroom leather sheet after the post-processing process.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버섯 가죽 시트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S180)Through this process, mushroom leather sheet manufacturing can be completed. (S180)

다음으로 필요에 따라 염색을 통해 원하는 색상으로 원단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S190) 일반적으로 가죽의 유통 시 생피 단계에서 단순 처리된 상태가 아닌, 염색까지 되어 있는 상태로 유통이 되기 때문에 버섯 가죽의 원단화를 위해서 염색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Next, if necessary, fabric manufacturing can be completed in the desired color through dyeing. (S190) Generally, when distributing leather, it is distributed in a dyed state rather than simply processed at the raw hide stage, so mushroom leather A dyeing process may be added to make fabric.

염색 공정은 우선 버섯 균사체 시트의 건조화 작업을 추가로 반복하는 것이며, 동일 작업을 총 3회 반복(90도씨, 2분 설정)하여 완전 건조시킨 후 작업을 진행해야 염료가 시트 내부로 잘 침투될 수 있다.The dyeing process first repeats the drying process of the mushroom mycelium sheet, and the same process must be repeated a total of 3 times (set at 90 degrees Celsius for 2 minutes) to ensure complete drying before proceeding with the process to allow the dye to penetrate well into the sheet. You can.

크게 염료의 종류는 두 분류로 나뉠 수 있는데, 레더 다이(Leather Dye)(염료: 수용성)와 레더 스테인(Leather Stain)(안료)인데, 레더 스테인을 쓰면 염료가 원단에 잘 먹히지 않고 시간이 지나도 계속해서 염료가 묻어나오는 단점이 있어 실제 사용이 어려우나, 레더 다이와 같은 수용성 염료의 경우 광택은 스테인에 비해 덜하였지만, 실제 사용 시 염료가 묻어나거나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부분이 없었기 때문에 레더 다이와 같은 수용성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레더 다이의 수용성 염료로 염색한 버섯 가죽의 모습을 나타낸다.Types of dy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Leather Dye (dye: water-soluble) and Leather Stain (pigment). When leather stain is used, the dye does not absorb well into the fabric and continues to stain over time. However, in the case of water-soluble dyes such as leather dye, the gloss is less than stain, but there is no dye stain or inconvenience during actual use, so water-soluble dyes such as leather dye are difficult to use because they have the disadvantage of staining the dye. It is desirable to use . Referring to Figure 7, it shows the appearance of mushroom leather dyed with leather die's water-soluble dye.

또한, 원단의 제조가 완료된 후 기계적 강도의 제고를 위해 버섯 가죽 원단 2장을 겹쳐 결합하는 합지 작업이 추가될 수 있으며, 합지를 하게 되면 두께가 두꺼워짐으로써 더 개선된 기계적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각 원단의 바이오매스와 닿았던 면을 각 내부로 위치하고, 상부로 균사가 발생되기 때문에 상부면의 균막을 바깥면으로 위치하도록 합지 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합지 작업은 롤러와 친환경 수용성 접착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fabrication of the fabric is completed, a lamination operation of overlapping and combining two pieces of mushroom leather fabric can be added to improve mechanical strength. When laminated, the thickness increases, providing further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place the side that was in contact with the biomass of each fabric on the inside of each fabric, and place the biofilm on the upper side toward the outside because mycelia are generated on the upper side. Additionally, lamination work can be performed using rollers and eco-friendly water-soluble adhesives.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and all technologi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thereof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버섯균을 감자한천배지(PDA)를 이용하여 계대 배양하는 계대 배양 단계;
계대 배양된 균사체를 병에 충진된 영양원에 접종하여 병 배지를 제조하는 병 배지 제조 단계;
상기 병 배지 제조 단계를 통해 배양된 병 배지 균사체를 이용하여 바이오매스를 제조하는 바이오매스 제조 단계;
상기 바이오매스에서 균사체가 증식 생장을 하면서 상부 표면에 균막을 배양하는 균막 배양 단계; 및
상기 바이오매스로부터 순수 균사체 덩어리인 상기 균막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균막 분리 단계
를 포함하는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 제조 방법.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ther-like sheet using mushroom mycelium,
A subculture step of subculturing the mushroom fungi using potato agar medium (PDA);
A bottle medium manufacturing step of preparing a bottle medium by inoculating the subcultured mycelium into a nutrient source filled in a bottle;
A biomass production step of producing biomass using the bottle medium mycelium cultured through the bottle medium production step;
A biofilm culture step of cultivating a biofilm on the upper surface while mycelium proliferates in the biomass; and
A biofilm separation step of physically separating the biofilm, which is a pure mycelium mass, from the biomas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ther-like sheet using mushroom myceliu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원통 형의 봉형 배지의 타공을 통해 상기 계대 배양된 균사체를 영양원에 접종하여 숙성 배지를 제조하는 숙성 배지 제조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매스 제조 단계는 상기 병 배지 제조 단계를 통해 배양된 병 배지 균사체와 상기 숙성 배지 제조 단계를 통해 배양된 봉 배지 균사체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인,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ipening medium is prepared by inoculating the subcultured mycelium into a nutrient source through a perforation in the cylindrical rod-shaped medium.
It further includes,
The biomass production step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ther-like sheet using mushroom mycelium, wherein the bottle medium mycelium cultured through the bottle medium production step and the rod medium mycelium cultured through the ripening medium production step are mixed and stirr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 제조 단계에서 상기 병 배지 제조 단계를 통해 배양된 균사체와 상기 숙성 배지 제조 단계를 통해 배양된 균사체는 50:50의 비율로 완전 혼합되는 것인,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in the biomass production step, the mycelium cultured through the bottle medium production step and the mycelium cultured through the maturation medium production step are completely mixed in a ratio of 50:50. How to make leather-like shee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막 분리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처리 단계는 분리된 균막의 표면이 마르기 전에 바이오매스 잔여물들을 물을 통해 세척하는 세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st-treatment step performed after the biofilm separation step,
The post-treatment step includes a washing step of washing biomass residues with water before the surface of the separated biofilm dri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단계는, 상기 세척 단계 이후에 가소제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소제 처리는 에탄올 70%와 글리세린 30%를 혼합한 용액에 상기 분리된 균막을 침지하고 건조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것인,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ost-treatment step further includes a plasticizer treatment step after the washing step, wherein the plasticizer treatment involves immersing the separated biofilm in a solution of 70% ethanol and 30% glycerin and drying it. A method of manufacturing leather-like sheets using mushroom mycelium, which involves repeating the oper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단계는, 상기 가소제 처리 단계 이후에 24시간 자연 건조 후에 히팅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균막의 수분 제거 및 압착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며, 상기 히팅 프레스의 처리 온도는 90도인 것인,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st-treatment step involves removing moisture and compressing the separated biofilm using a heating press after natural drying for 24 hours after the plasticizer treatment step, and the treatment temperature of the heating press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ther-like sheet using mushroom mycelium, which is 90 degre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단계 이후에 수용성 염료를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균막을 원하는 색상으로 염색하는 염색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염색 단계는 상기 분리된 균막을 건조화하고 염색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인,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dyeing step of dyeing the separated biofilm to a desired color using a water-soluble dye after the post-treatment step, wherein the dyeing step repeats the steps of drying and dyeing the separated biofilm.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ther-like sheet using mushroom mycelium. 제1항에 있어서, 분리된 균막 2장을 겹쳐 결합하는 합지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지 단계에서 상기 각각의 분리된 균막의 바깥면이 균사가 발생된 상부면이 되고 상기 바이오매스와 닿았던 면이 내부로 위치하도록 접착되는 것인,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erging step of overlapping and combining two separated sheets of biofilm, wherein in the merging step, the outer surface of each separated biofilm becomes the upper surface where hyphae are generated and the lamination step is in contact with the biomas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ther-like sheet using mushroom mycelium, wherein the side is glued to the inside. 제1항 내지 제8항의 방법을 통해 제조된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죽 유사 시트.A leather-like sheet using mushroom mycelium produced through the method of claims 1 to 8.
KR1020220062806A 2022-05-23 2022-05-23 Maufacuring process for leather analogue sheet using fungal mycelium and leather analogue sheet manufactured by the same KR202301631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806A KR20230163128A (en) 2022-05-23 2022-05-23 Maufacuring process for leather analogue sheet using fungal mycelium and leather analogue sheet manufactured by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806A KR20230163128A (en) 2022-05-23 2022-05-23 Maufacuring process for leather analogue sheet using fungal mycelium and leather analogue sheet manufactured by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128A true KR20230163128A (en) 2023-11-30

Family

ID=8896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806A KR20230163128A (en) 2022-05-23 2022-05-23 Maufacuring process for leather analogue sheet using fungal mycelium and leather analogue sheet manufactured by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312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358A (en) 2018-10-18 2021-07-01 마이코워크스, 인크. mycelium growth be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358A (en) 2018-10-18 2021-07-01 마이코워크스, 인크. mycelium growth b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3124B2 (en) System for growing fungal materials
KR0133271B1 (en) Method of cultivating mushrooms and woody culture medium therefor
US8001719B2 (en) Method for producing rapidly renewable chitinous material using fungal fruiting bodies and product made thereby
KR102578118B1 (en) Method of preparing Leather substitute material comprising Ganoderma lucidum Mycelium
CN103688750A (en) Manufacture method of living body lucid ganoderma bonsai
TWI393530B (en) The method of inoculation and cultivation of
CN103125274B (en) Grafting method between different types of ganoderma lucidum and potted landscape process
WO2022195617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foam-like grown material using flower substrates
KR101239711B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lentinus edodes culture
KR20110045866A (en) Raw Material Medium Composition for Culturing Mushroom Using Cedar Sawdust and Mathod for Cultering Mushroom Using the Same
KR20230163128A (en) Maufacuring process for leather analogue sheet using fungal mycelium and leather analogue sheet manufactured by the same
KR20230163127A (en) Method for manufacuring leather analogue sheet using fungal mycelium
CN117188042A (en) Method for preparing pure mycelium leather by solid state fermentation
CN110495350B (en) High-yield cultivation method for coral black fungus
KR101916865B1 (en) Meduim for culturing condiophores formable bacillus
JPWO2020115690A5 (en)
Etinosa Design and Testing of Mycelium Biocomposite
KR200470064Y1 (en) Bamboo wood needle spawn for culturing sawdust vinyl bag medium
KR102183105B1 (en) Production method of mushroom using mushroom cultivation bag with micropore
JP2002369621A (en) Mushroom cultivation bed and method for cultivating mushroom
KR101656497B1 (en) Meduim for culturing condiophores formable bacillus
CN113973648B (en) Edible fungus strain rejuvenation culture medium and rejuvenation method
WO2022195620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leather-like grown material
KR102498902B1 (en)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Green Mold on Lentinus edodes Medium
US20240130306A1 (en) System for growing fungal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