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598A -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작업 기계용 표시 시스템, 작업 기계,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방법 및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작업 기계용 표시 시스템, 작업 기계,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방법 및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598A
KR20230162598A KR1020237030323A KR20237030323A KR20230162598A KR 20230162598 A KR20230162598 A KR 20230162598A KR 1020237030323 A KR1020237030323 A KR 1020237030323A KR 20237030323 A KR20237030323 A KR 20237030323A KR 20230162598 A KR20230162598 A KR 20230162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working machine
information
attachment
displa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토 카게야마
타카시 데구치
다이스케 카와구치
쇼고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6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59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4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2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 G01D7/08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using a common indicating element for two or more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7Vehicle dynamics information
    • B60K2370/1523
    • B60K2370/16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표시 제어 시스템은 작업부와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에 이용된다. 작업부는 작업 기계의 기체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를 구동함으로써 작업을 실행한다. 구동 장치는 어태치먼트에 동력을 공급해서 어태치먼트를 구동한다. 표시 제어 시스템은 구동 장치에 관한 구동 정보(C1∼C3)를 포함하는 제 1 표시 화면(D11)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처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작업 기계용 표시 시스템, 작업 기계,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방법 및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프로그램
본 발명은 작업 기계에 관련된 정보의 표시에 이용되는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작업 기계용 표시 시스템, 작업 기계,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방법 및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로서, 작업 기계(건설 기계)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모니터)에, 2종류 이상의 화상을 동시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관련 기술에 의한 장치는 소정 계기류의 계측 데이터 화상과, 외부의 시야를 보조적으로 얻기 위해서 설치한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카메라 화상을 표시 장치에 표시한다. 계측 데이터 화상으로서 표시되는 정보는 엔진의 냉각수온계, 연료계 및 작동유온계 등이다. 여기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카메라 화상에 계측 데이터 화상이 중합되어, 계측 데이터 화상으로부터 카메라 화상이 투시 상태가 되도록 표시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63370호 공보
상기 관련 기술에서는, 표시 장치에 냉각수온계, 연료계, 작동유온계 및 카메라 화상 등이 표시될 뿐이고, 어태치먼트에 동력을 공급해서 어태치먼트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에 관한 정보는 특별히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숙련도가 낮은 오퍼레이터 등, 오퍼레이터에 따라서는 구동 장치의 동작 상태 등을 파악하기 어려워, 결과적으로 작업 기계의 조작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기계의 조작성 향상을 도모하기 쉬운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작업 기계용 표시 시스템, 작업 기계,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방법 및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은 작업부와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에 이용된다. 상기 작업부는 상기 작업 기계의 기체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를 구동함으로써 작업을 실행한다.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어태치먼트에 동력을 공급해서 상기 어태치먼트를 구동한다. 상기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은 상기 구동 장치에 관한 구동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표시 화면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작업 기계용 표시 시스템은 상기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과,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상기 표시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작업 기계는 상기 작업 기계용 표시 시스템과, 상기 표시 장치가 탑재되는 기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방법은 작업부와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에 이용되고, 상기 구동 장치에 관한 구동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표시 화면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것을 갖는다. 상기 작업부는 상기 작업 기계의 기체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를 구동함으로써 작업을 실행한다.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어태치먼트에 동력을 공급해서 상기 어태치먼트를 구동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프로그램은 작업부와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에 이용되고, 상기 구동 장치에 관한 구동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표시 화면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것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상기 작업부는 상기 작업 기계의 기체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를 구동함으로써 작업을 실행한다.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어태치먼트에 동력을 공급해서 상기 어태치먼트를 구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 기계의 조작성 향상을 도모하기 쉬운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작업 기계용 표시 시스템, 작업 기계,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방법 및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의한 표시 시스템의 개략 외관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의 조작 장치의 개략 외관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의한 표시 제어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제 1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의한 표시 제어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제 1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의한 표시 제어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설정 화면의 천이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의한 표시 제어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제 1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 의한 표시 제어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제 1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의한 표시 제어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제 1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1에 의한 표시 제어 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할당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1에 의한 표시 제어 시스템에 의한 표시 제어 방법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2에 의한 표시 시스템 및 작업 기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실시형태 1)
[1] 전체 구성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1)(이하, 간단히 「표시 제어 시스템(1)」이라고 한다)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백호우 등의 작업 기계(3)에 관련된 정보의 표시에 이용된다. 표시 제어 시스템(1)은 표시 장치(2)를 제어함으로써, 표시 장치(2)에 제 1 표시 화면(D11)(도 4 참조) 등의 표시 화면(D1)(도 2 참조)을 표시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표시 장치(2)는 작업 기계(3)의 기체(30)에 탑재되어 있고, 작업 기계(3)를 조작하는 유저(오퍼레이터)를 향해서 표시 화면(D1)에서 다양한 정보를 제시한다. 즉, 작업 기계(3)를 조작하는 유저는 표시 장치(2)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D1)을 봄으로써, 작업 기계(3)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제어 시스템(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2)와 함께 작업 기계용 표시 시스템(10)(이하, 간단히 「표시 시스템(10)」이라고 한다)을 구성한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표시 시스템(10)은 표시 제어 시스템(1)과, 제 1 표시 화면(D11)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2)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시스템(10)은 기체(30)와 함께 작업 기계(3)를 구성한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3)는 표시 시스템(10)과, 표시 장치(2)가 탑재되는 기체(30)를 구비한다.
여기서, 표시 시스템(10) 및 기체(30)는 서로 통신 가능하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통신 가능」이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전파 또는 광을 매체로 하는 통신)의 적당한 통신 방식에 의해, 직접적, 또는 통신망(네트워크) 혹은 중계기 등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정보(데이터)를 수수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표시 시스템(10)과 기체(30)는 예를 들면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다. 표시 시스템(10)과 기체(30) 사이의 통신 수단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한 통신 수단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표시 시스템(10)과 기체(30)가 서로 통신 가능한 것은 표시 제어 시스템(1)에 있어서 필수의 구성은 아니다.
이와 같은 표시 시스템(10)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3)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엔진(37)(도 1 참조)에 의해 유압 펌프가 구동되어, 유압 펌프로부터 기체(30)의 각 부의 유압 액추에이터(유압 실린더 및 유압 모터 등을 포함한다)에 작동유가 공급됨으로써 기체(30)가 구동한다. 이와 같은 작업 기계(3)는 예를 들면, 기체(30)의 운전실에 탑승한 유저(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351, 352)(도 3 참조) 등의 조작 장치(35)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된다.
여기서, 기체(30)의 운전실에는 표시 장치(2)가 탑재되어 있고, 유저는 표시 장치(2)에 표시되는 작업 기계(3)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보면서 작업 기계(3)를 조작한다. 일례로서, 표시 장치(2)의 표시 화면(D1)에 냉각수온 및 작동유온 등의 작업 기계(3)의 가동 상태에 관한 정보가 표시됨으로써, 유저는 작업 기계(3)의 조작에 필요한 작업 기계(3)의 가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 장치(2)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기계(3)는 구동 장치(34)를 구비하고 있고, 구동 장치(34)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작업부(31)의 어태치먼트(311)를 구동하여 다양한 작업을 실행한다. 즉, 작업 기계(3)에서는 작업의 내용에 따라서, 예를 들면 브레이커 또는 오거 등의 어태치먼트(311)가 기체(30)에 부착되어, 구동 장치(34)로부터의 동력을 어태치먼트(311)에 공급해서 어태치먼트(311)를 구동함으로써 작업을 실행한다. 그 때문에, 작업 기계(3)에서 작업을 실행할 때에는, 어태치먼트(311)가 소망의 움직임을 하도록, 예를 들면 유저(오퍼레이터)가 조작 장치(35)를 조작함으로써, 어태치먼트(311)에 공급되는 구동 장치(34)의 출력(동력) 등이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표시 제어 시스템(1)에서는 이와 같은 구동 장치(34)의 동작 상태 등, 구동 장치(34)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도 표시 장치(2)의 표시 화면(D1)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는 작업 기계(3)를 조작해서 작업을 실행할 때에, 구동 장치(34)의 동작 상태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 기계(3)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면, 숙련도가 낮은 오퍼레이터 등이어도 구동 장치(34)의 동작 상태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작업 기계(3)를 정확하고 또한 스무스하게 조작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 기계(3)를 이용한 작업의 효율 향상도 기대된다.
[2] 정의
본 개시에서 말하는 「작업 기계」는 각종 작업용 기계를 의미하고, 일례로서 백호우(유압 셔블, 미니 셔블 등을 포함한다), 휠로더 및 캐리어 등의 작업 차량이다. 작업 기계(3)는 「차량」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작업용 선박, 드론 또는 멀티콥터 등의 작업 비상체 등이어도 좋다. 또한, 작업 기계(3)는 건설 기계(건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앙기, 트랙터 또는 콤바인 등의 농업 기계(농기)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작업 기계(3)가 승용 타입의 백호우이며, 굴삭 작업, 정지 작업, 홈굴삭 작업 또는 적입 작업 등을 작업으로서 실행 가능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표시 화면(D1) 등의 「화면」은 표시 장치(2)에서 표시되는 영상(화상)을 의미하고, 도상, 도형, 사진, 텍스트 및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즉, 표시 제어 시스템(1)은 예를 들면, 냉각수온 및 작동유온 등의 작업 기계(3)의 가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도상 등을 포함하는 표시 화면(D1)을 표시 장치(2)에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표시 화면(D1)이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표시 화면(D1)은 일정한 영상이 아니고, 시시각각 변화하는 영상을 포함한다.
[3] 기체
이어서, 작업 기계(3)의 기체(30)의 구성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작업 기계(3)는 작업부(31)와, 선회부(32)와, 주행부(33)를 기체(30)에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30)는 구동 장치(34), 조작 장치(35), 제어 장치(36) 및 엔진(37) 등을 더 구비하고 있다.
작업부(31)는 선회부(32)로 지지되어 있고, 작업을 실행한다. 선회부(32)는 주행부(33)의 상방에 위치하고, 주행부(33)에 대하여 연직 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주행부(33)는 지면을 주행(선회를 포함한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 기계(3)가 승용 타입의 백호우인 경우를 상정하고 있으므로, 작업부(31)는 운전실에 탑승한 유저(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라서 구동되어, 굴삭 작업 등의 작업을 실행한다. 유저(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운전실(예를 들면 캐빈)은 선회부(32)에 설치되어 있다.
작업부(31)는 어태치먼트(311)를 갖는다. 어태치먼트(311)는 작업 기계(3)의 기체(30)에 부착되는 기구(작업구)로, 복수 종류의 기구 중에서 작업의 내용에 따라서 선택되는 임의의 기구로 이루어진다. 어태치먼트(311)는 일례로서, 기체(30)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작업의 내용에 따라서 교환된다. 작업 기계(3)용 어태치먼트(311)로서는, 예를 들면 브레이커, 오거, 크러셔, 포크, 버킷, 포크 클로, 철골 커터, 아스팔트 절삭기, 예초기, 리퍼, 멀쳐, 틸트로테이터 및 탬퍼 등의 각종 기구가 있다. 작업부(31)는 구동 장치(34)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어태치먼트(311)를 구동함으로써 작업을 실행한다.
작업부(31)는 붐, 암 및 유압 액추에이터(유압 실린더 및 유압 모터 등을 포함한다) 등을 더 갖고 있다. 어태치먼트(311)는 암의 선단에 부착된다. 여기서, 작업부(31)는 동력원으로서의 엔진(37)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엔진(37)에 의해 유압 펌프가 구동되어, 작업부(31)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유압 펌프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됨으로써 작업부(31)가 동작한다.
구동 장치(34)는 어태치먼트(311)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구동 장치(34)는 엔진(37)으로부터의 동력을, 유압 기기로 이루어지는 어태치먼트(311)의 구동용 동력으로서 취출하기 위한 PTO(Power take-off) 등의 장치(기구)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장치(34)는 엔진(37)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로부터의 작동유를 어태치먼트(311)에 송출함으로써 어태치먼트(311)에 공급한다. 여기서, 구동 장치(34)는 어태치먼트(311)에 공급하는 작동유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어태치먼트(311)에 공급하는 동력의 크기를 조절한다.
여기서, 구동 장치(34)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4개)의 출력 포트(341∼344)를 갖고 있다. 이들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는 각각 동력을 출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는 각각 개별적으로 동력, 즉 작동유의 유량을 조절 가능하며, 구동 장치(34)는 이들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의 각각으로부터 동력을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의 각각은 PTO 포트이기 때문에, 출력 포트(341)를 「PTO1」, 출력 포트(342)를 「PTO2」, 출력 포트(343)를 「PTO3」, 출력 포트(344)를 「PTO4」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선회부(32)는 선회용 유압 모터(유압 액추에이터) 등을 갖고 있다. 선회부(32)에는 운전실 외에, 엔진(37) 등이 탑재되어 있다. 주행부(33)는 예를 들면, 좌우 한쌍의 크롤러, 및 주행용 유압 모터(유압 액추에이터) 등을 갖고 있다. 선회부(32) 및 주행부(33)의 각각에 대해서도, 작업부(31)와 마찬가지로 동력원으로서의 엔진(37)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동작한다. 즉, 선회부(32) 및 주행부(33)의 유압 액추에이터(유압 모터)에 유압 펌프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됨으로써, 선회부(32) 및 주행부(33)가 동작한다.
엔진(37)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원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엔진(37)은 디젤 엔진이다. 엔진(37)은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여기서는 경유)가 공급됨으로써 구동한다. 연료 탱크에는 연료의 잔량을 검출하는 잔량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잔량 센서는 검출한 연료의 잔량에 상당하는 전기 신호(센서 신호)를 출력한다.
조작 장치(35)는 기체(30)의 운전실에 배치되어 있고, 유저(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조작 장치(35)는 예를 들면, 유저의 조작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유저에 의한 각종 조작을 접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조작 장치(35)는 한쌍의 조작 레버(351, 352)(도 3 참조)를 포함하고 있다. 조작 장치(35)에 대해서 상세하게는, 「[5] 조작 장치」의 난에서 설명한다.
제어 장치(36)는 예를 들면,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으로 이루어져 작업 기계(3)의 각 부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 장치(36)에는 적어도 구동 장치(34) 및 조작 장치(35) 등이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어 장치(36)에서는 구동 장치(34)의 동작 상태, 조작 장치(35)에 대한 조작 입력 등을 감시 가능하다.
또한, 기체(30)는 상술한 구성에 더해서, 통신 단말, 연료 탱크 및 배터리 등을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체(30)에는 냉각수온 센서, 작동유온 센서, 엔진(37)의 회전수를 계측하는 회전수계, 가동 시간을 계측하는 아워미터, 기체(30) 주변을 촬상하는 카메라 등, 기체(30)의 가동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센서류(카메라를 포함한다)가 구비되어 있다. 그 외, 컷오프 레버, 게이트록 레버 및 스타터 키 스위치 등의 상태, 또는 작업부(31)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311)의 종류 등을 검출하는 센서도 기체(30)에 구비되어 있다.
[4] 표시 시스템
이어서, 표시 시스템(10)의 구성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표시 시스템(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 시스템(1)과 표시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표시 제어 시스템(1) 및 표시 장치(2)는 1개의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고, 표시 시스템(1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하우징 내에 모든 기능이 집약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표시 제어 시스템(1) 및 표시 장치(2)가 집약된 표시 시스템(10)은 기체(30)의 운전실에 탑재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오퍼레이터)는 표시 장치(2)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D1)을 시인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표시 장치(2)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 장치(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21)와 조작부(22)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장치(2)는 표시 제어 시스템(1)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표시 제어 시스템(1)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가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표시 장치(2)는 작업 기계(3)에 이용되는 전용 디바이스이다.
표시부(21)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와 같은, 유저(오퍼레이터)에게 정보를 제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표시부(21)는 유저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에 의해 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표시부(21)는 백라이트가 부착된 풀컬러의 액정 디스플레이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긴 「횡장」의 표시 영역을 갖고 있다.
조작부(22)는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D1)에 대한 유저(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조작부(22)는 예를 들면, 유저의 조작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유저에 의한 각종 조작을 접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조작부(2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계식의 복수(여기서는 6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221∼226)를 포함한다. 이들 복수의 누름 버튼 스위치(221∼226)는 표시부(21)의 표시 영역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표시 영역에 근접해서(도 2의 예에서는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누름 버튼 스위치(221∼226)는 후술하는 표시 화면(D1)에 표시되는 항목에 대응지어져 있고, 복수의 누름 버튼 스위치(221∼226)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됨으로써, 표시 화면(D1)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조작(선택)된다.
또한, 조작부(22)는 터치패널 및 조작 다이얼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부(22)에 대한 조작에 의해, 표시 화면(D1)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조작(선택)되게 된다.
표시 제어 시스템(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취득부(11)와, 데이터 출력부(12)와, 표시 처리부(13)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제어 시스템(1)은 기체(3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구동 장치(34)에 관한 구동 정보, 및 조작 장치(35)의 조작 상태 등을 기체(30)로부터 수신 가능하다. 여기서, 표시 제어 시스템(1)은 이들 정보(데이터)를, 구동 장치(34) 및 조작 장치(35) 등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취득해도 좋고, 기체(30)의 제어 장치(36)를 통해서 취득해도 좋다.
데이터 취득부(11)는 구동 장치(34)에 관한 구동 정보, 및 조작 장치(35)의 조작 상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기체(30)(의 제어 장치(36))로부터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취득한다. 즉, 데이터 취득부(11)는 예를 들면, 구동 장치(34)의 동작 상태, 및 조작 장치(35)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데이터)를 취득한다. 여기서, 구동 장치(34)에 관한 구동 정보는 구동 장치(34)의 동작 상태뿐만 아니라,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유지하는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 구동 장치(34)에 대한 어태치먼트(311)의 접속 상태, 및 구동 장치(34)에 접속된 어태치먼트(311)의 종류 등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취득부(11)는 구동 장치(34)에 있어서의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와, 조작 장치(35)에 있어서의 복수의 조작자(Sw1∼Sw4)(도 3 참조)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할당 정보 등에 대해서도, 구동 정보로서 기체(30)(의 제어 장치(36))로부터 취득한다. 데이터 취득부(11)에서 취득된 데이터는 예를 들면, 메모리 등에 기억된다.
데이터 출력부(12)는 예를 들면, 할당 정보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기체(30)(의 제어 장치(36))에 대하여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출력한다. 즉,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와 복수의 조작자(Sw1∼Sw4)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할당 정보 등에 대해서는, 표시 장치(2)에 있어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그 때문에, 표시 장치(2)에서 설정된 이들 데이터에 대해서는, 데이터 출력부(12)가 기체(30)에 출력함으로써 기체(30)에 반영된다. 데이터 출력부(12)로부터 기체(30)에 송신(출력)된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제어 장치(36)의 메모리 등에 기억된다.
표시 처리부(13)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주 구성으로 하여 다양한 처리(정보 처리)를 실행한다. 표시 처리부(13)는 적어도 표시 화면(D1)을 표시 장치(2)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처리부(13)는 데이터 취득부(11)에서 취득되는 데이터에 의거해서 표시 화면(D1)을 생성하고, 표시 장치(2)를 제어함으로써 표시 화면(D1)을 표시 장치(2)의 표시부(21)에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처리부(13)는 표시 장치(2)의 조작부(22)가 접수한 조작에 따라서 동작한다.
[5] 조작 장치
이어서, 조작 장치(35)의 구성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작 장치(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조작 레버(351, 352)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의 「정면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351)는 운전실에 탑승한 유저(오퍼레이터)로부터 보아 오른손측에 위치하고, 조작 레버(352)는 운전실에 탑승한 유저로부터 보아 왼손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유저는 예를 들면, 조작 레버(351)를 오른손으로, 조작 레버(352)를 왼손으로 잡고, 이들 한쌍의 조작 레버(351, 352)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기계(3)에 전진, 후퇴 등의 다양한 동작을 실행시킨다.
여기서, 조작 장치(35)는 구동 장치(34)의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를 개별적으로 조작 가능하게 되도록,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여기서는 4개)의 조작자(Sw1∼Sw4)를 갖고 있다. 조작자(Sw1)는 조작 레버(351)의 전면측(정면측)에 배치되고, 조작자(Sw2)는 조작 레버(352)의 전면측(정면측)에 배치된다. 조작자(Sw4)는 조작 레버(351)의 후면측(배면측)에 배치되고, 조작자(Sw3)는 조작 레버(352)의 후면측(배면측)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른손측의 조작 레버(351)에는 그 전후면으로 나뉘어져 조작자(Sw1) 및 조작자(Sw4)가 설치되고, 왼손측의 조작 레버(352)에는 그 전후면으로 나뉘어져 조작자(Sw2) 및 조작자(Sw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조작자(Sw1∼Sw4)는 구동 장치(34)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의 크기(작동유의 유량)를 조절하는 「조절 조작자」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복수의 조작자(Sw1∼Sw4)는 모두, 우방(A1) 또는 좌방(A2)으로 기울어 넘어지도록 조작 가능한 레버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특히, 각 조작자(Sw1∼Sw4)는 좌우 방향의 중심을 뉴트럴 포지션으로 하고, 조작력이 작용되고 있는 동안에만 우방(A1) 또는 좌방(A2)으로 기울어 넘어지며, 조작력이 없어지면 뉴트럴 포지션으로 복귀하는 모멘터리형의 스위치이다. 이와 같은 조작자(Sw1∼Sw4)는 각각 우방(A1) 또는 좌방(A2)으로 조작됨으로써, 그 조작량(기울임량)에 따라서 대응하는 출력 포트(341∼344)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의 크기(작동유의 유량)를 결정한다. 기본적으로는, 조작자(Sw1∼Sw4)의 조작량이 커질수록, 각각 대응하는 출력 포트(341∼344)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은 크고, 즉 작동유의 유량은 증대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출력 포트(341)에는 조작자(Sw1)가 대응하고, 출력 포트(342)에는 조작자(Sw2)가 대응하고, 출력 포트(343)에는 조작자(Sw3)가 대응하며, 출력 포트(344)에는 조작자(Sw4)가 대응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유저가 조작자(Sw1)를 조작하면, 구동 장치(34)에 있어서의 출력 포트(341)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조작자(Sw1)의 조작량에 따라서 조절된다. 한편, 유저가 조작자(Sw4)를 조작하면, 구동 장치(34)에 있어서의 출력 포트(344)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조작자(Sw4)의 조작량에 따라서 조절된다.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와 복수의 조작자(Sw1∼Sw4)의 대응 관계는 「할당 정보」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할당 정보는 예를 들면 제어 장치(36)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레버(351)의 후면측(배면측)에는 조작자(Sw5)가 배치되고, 조작 레버(352)의 후면측(배면측)에는 조작자(Sw6)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자(Sw5, Sw6)는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유지하는 유지 기능(홀드 기능)을 유효(온)로 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즉, 조작자(Sw5, Sw6)는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조작자」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조작자(Sw5, Sw6)는 모두 모멘터리형의 누름 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유저가 조작자(Sw5, Sw6)를 누름 조작하면, 유지 기능이 유효가 되어 구동 장치(34)의 출력이 유지(보존)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레버(351)에 설치된 조작자(Sw5)는 같은 조작 레버(351)에 설치된 조작자(Sw1)에 대응하는 출력 포트(341)에 대해서 유지 기능을 유효로 한다. 한편, 조작 레버(352)에 설치된 조작자(Sw6)는 같은 조작 레버(352)에 설치된 조작자(Sw2)에 대응하는 출력 포트(342)에 대해서 유지 기능을 유효로 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유저가 조작자(Sw5)를 누름 조작하면,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 중 출력 포트(341)에 대해서 출력이 유지(보존)된다.
단,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각 조작자(Sw5, Sw6)는 같은 조작 레버(351, 352)에 설치된 조작자(Sw1∼Sw4)에 대응하는 출력 포트(341∼344) 중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고 있으면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조작자(Sw5)이면, 출력 포트(341, 344)의 양방에 대한 유지 기능을 유효로 해도 좋고, 출력 포트(344)에 대한 유지 기능을 유효로 해도 좋다. 한편, 조작자(Sw6)이면, 출력 포트(342, 343)의 양방에 대한 유지 기능을 유효로 해도 좋고, 출력 포트(343)에 대한 유지 기능을 유효로 해도 좋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3)에 있어서는, 구동 장치(34)는 복수의 조작자(Sw1∼Sw6)를 갖는 조작 장치(35)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동작한다. 여기서, 복수의 조작자(Sw1∼Sw6)는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조절하는 조절 조작용 조절 조작자(조작자(Sw1∼Sw4))와,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유지하는 유지 조작용 유지 조작자(조작자(Sw5, Sw6))를 포함한다. 또한, 조절 조작자(조작자(Sw1∼Sw4))에 대해서는, 1개의 조작 레버(351)(또는 조작 레버(352))에 대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1개의 조작 레버(351)(또는 조작 레버(352))의 조작으로, 복수의 출력 포트(341, 344)(또는 출력 포트(342, 343))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조작자(Sw5, Sw6)에 대해서도 각 조작 레버(351, 352)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유지 기능에 대해서도 1개의 조작 레버(351)(또는 조작 레버(352))의 조작으로 유효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작업 기계(3)는 조절 조작자(조작자(Sw1∼Sw4))와 유지 조작자(조작자(Sw5, Sw6))가 동시에 조작된 경우에,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조절 조작자(조작자(Sw1∼Sw4))의 조작량에 따른 값으로 유지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조작자(Sw1)를 조작 중에 조작자(Sw5)를 누름 조작하면, 조절 조작자(조작자(Sw1))와 유지 조작자(조작자(Sw5))가 동시에 조작되게 된다. 이 경우, 출력 포트(341)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의 크기는 조작자(Sw5)가 조작된 시점에서의 조작자(Sw1)의 조작량에 따른 값으로 유지된다.
한편, 조절 조작자(조작자(Sw1∼Sw4))와 유지 조작자(조작자(Sw5, Sw6)) 중 유지 조작자(조작자(Sw5, Sw6))만이 조작된 경우, 작업 기계(3)는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규정값으로 유지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조작자(Sw5)만을 누름 조작한 경우, 조작자(Sw1)에 대응하는 출력 포트(341)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의 크기는 출력 포트(341)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규정값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유저의 조작 방법에 의해,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임의의 값으로 유지하는 것과,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규정값으로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임의의 값으로 유지할 때의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임의 홀드」라고 부르고,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규정값으로 유지할 때의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규정값 홀드」라고 부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조작 레버(351, 352)에는 그 그립 부분에,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제시하는 표시등(350)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등(350)은 예를 들면, LED 등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그 발광 상태(점등 상태)에 의해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제시한다. 일례로서, 표시등(350)은 유지 기능이 무효(오프)이면 소등하고,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가 「임의 홀드」이면 제 1 색(예를 들면 황색)으로 발광하며,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가 「규정값 홀드」이면 제 2 색(예를 들면 적색)으로 발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등(350)은 각 조작 레버(351, 352)의 전면측(정면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 배치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바로 옆의 조작 레버(351, 352)로 용이하게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기계(3)는 유지 기능이 유효한 상태에 있어서, 조절 조작자(조작자(Sw1∼Sw4))가 조작되는 것을 가지고, 유지 기능을 무효(오프)로 한다. 예를 들면,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가 「임의 홀드」이고 출력 포트(341)가 임의의 값으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가 조작자(Sw1)를 조작하면, 출력 포트(341)에 대한 유지 기능이 무효가 되어 출력 포트(341)의 출력이 변화한다.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가 「규정값 홀드」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조절 조작자(조작자(Sw1∼Sw4))가 조작되면 유지 기능이 무효(오프)가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구동 장치(34)의 출력의 유지를 간단한 조작으로 해제할 수 있다. 단, 유지 기능을 무효로 하기 위한 조건은 조절 조작자(조작자(Sw1∼Sw4))의 조작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지 기능이 유효한 상태에 있어서, 유지 조작자(조작자(Sw5, Sw6))가 조작되는 것 등이어도 좋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조작 장치(35)에 관한 구성은 표시 시스템(10)의 구성에 상관없이, 작업 기계(3)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표시 장치(2)가 없는 경우라도, 작업 기계(3)는 상기 조작 장치(35)에 관한 구성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각 조작자(Sw1∼Sw4)는 레버 스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토글 스위치, 로커 스위치, 로터리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인코더 등이어도 좋다. 조작자(Sw5, Sw6)에 대해서도, 누름 버튼 스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레버 스위치 또는 터치 센서 등이어도 좋다. 또한, 조작 레버(351, 352)는 좌우가 반대여도 좋고, 또는 전후 혹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조작 레버(351, 352)는 1개여도 좋다. 또한, 조작자(Sw5, Sw6)는 조작 레버(351, 352)의 후면측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조작 레버(351, 352)의 측면 또는 전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조작 장치(35)는 조작 레버(351, 352)에, 상술한 복수의 조작자(Sw1∼Sw6) 이외의 조작자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표시등(350)에 대해서도 적당히 생략 가능하다.
[6] 표시 제어 방법
이하, 도 4∼도 11을 참조하면서, 주로 표시 제어 시스템(1)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방법(이하, 간단히 「표시 제어 방법」이라고 한다)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한 표시 제어 방법은 작업부(31)와 구동 장치(34)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3)에 이용되고, 이하에 설명하는 제 1 표시 화면(D11)을, 표시 장치(2)에 표시시키는 것(처리)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표시 제어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을 주구성으로 하는 표시 제어 시스템(1)에서 실행되므로, 바꿔 말하면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프로그램(이하, 간단히 「표시 제어 프로그램」이라고 한다)에서 구현화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한 표시 제어 프로그램은 표시 제어 방법에 의한 각 처리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표시 제어 프로그램은 작업부(31)와 구동 장치(34)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3)에 이용되고, 이하에 설명하는 제 1 표시 화면(D11)을, 표시 장치(2)에 표시시키는 것(처리)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와 같은 표시 제어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표시 제어 시스템(1) 및 표시 장치(2)에 의해 협동해서 실행되어도 좋다.
여기서, 표시 제어 시스템(1)은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미리 설정된 특정 개시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표시 제어 방법에 의한 하기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개시 조작은 예를 들면, 작업 기계(3)의 엔진(37)의 기동 조작 등이다. 한편, 표시 제어 시스템(1)은 미리 설정된 특정 종료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표시 제어 방법에 의한 하기 각종 처리를 종료한다. 종료 조작은 예를 들면, 작업 기계(3)의 엔진(37)의 정지 조작 등이다.
[6.1] 표시 화면
여기서는 우선, 표시 제어 방법에 의해 표시 장치(2)의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D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등의 표시 장치(2)의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D1)을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 영역을 나타내는 일점쇄선, 인출선 및 참조 부호는 모두 설명을 위해서 부여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실제로 표시 장치(2)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D1)은 표시 제어 방법에 의해 최초로 표시되는 홈화면으로, 제 1 표시 화면(D11)이다. 제 1 표시 화면(D11)은 작업 기계(3)의 가동 중에, 우선은 표시 장치(2)에 표시되게 되는 기본적인 표시 화면(D1)이다. 표시 화면(D1)은 제 1 표시 화면(D11)으로부터, 조작부(22)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설정 화면(D12∼D14)(도 6 참조), 할당 설정 화면(D15, D16)(도 10 참조), 메뉴 화면, 크레인 화면, 모드 화면, 카메라 화면 등을 포함하는 각종 표시 화면(D1)으로의 천이가 가능하다.
표시 화면(D1)으로서의 제 1 표시 화면(D11)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잔량 표시 영역(R1)(제 1 영역)과, 스위칭 표시 영역(R2)(제 2 영역)을 포함한다. 제 1 표시 화면(D11)은 제 3 영역(R3), 제 4 영역(R4), 제 5 영역(R5), 제 6 영역(R6), 제 7 영역(R7), 제 8 영역(R8), 제 9 영역(R9) 및 제 10 영역(R10)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표시 화면(D11)은 종방향(상하 방향)으로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위로부터 3개의 영역은 각각 횡방향(좌우 방향)으로 3개의 영역으로 더 분할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표시 화면(D11)은 총 10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위로부터 2단째의 영역은 왼쪽부터 순서대로 잔량 표시 영역(R1), 스위칭 표시 영역(R2), 제 3 영역(R3)이 된다. 최하단의 영역은 제 4 영역(R4)이 된다. 또한, 위로부터 3단째의 영역은 왼쪽부터 순서대로 제 5 영역(R5), 제 6 영역(R6), 제 7 영역(R7)이 되고, 최상단의 영역은 왼쪽부터 순서대로 제 8 영역(R8), 제 9 영역(R9), 제 10 영역(R10)이 된다. 종방향의 사이즈는 종방향으로 분할된 4개의 영역 중에서는, 위로부터 2단째의 영역(잔량 표시 영역(R1), 스위칭 표시 영역(R2), 제 3 영역(R3))이 가장 넓다. 횡방향의 사이즈는 횡방향으로부터 분할된 3개의 영역 중에서는, 정중앙의 영역(스위칭 표시 영역(R2), 제 6 영역(R6), 제 9 영역(R9))이 가장 넓다.
단, 이들 각 영역의 배치 및 사이즈는 일례에 불과하며,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각 영역이 경계선에 의해 명확히 분할되어 있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면, 도 4의 예에서도 스위칭 표시 영역(R2)과 제 3 영역(R3)은 경계선에 의해 명확히 분할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잔량 표시 영역(R1)과 스위칭 표시 영역(R2) 사이에는 경계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잔량 표시 영역(R1)과 스위칭 표시 영역(R2)이 경계선에 의해 명확히 분할되어 있어도 좋다.
잔량 표시 영역(R1)은 종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의 영역이다. 잔량 표시 영역(R1)에는, 감시 대상물의 잔량에 관한 잔량 정보(G1)가 표시된다. 여기서, 감시 대상물은 작업 기계(3)의 가동에 따라 소비되는 물체(액체, 기체를 포함한다)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감시 대상물은 엔진(37)의 연료(예를 들면 경유)를 포함한다. 즉, 잔량 표시 영역(R1)에는 감시 대상물인 연료의 잔량에 관한 잔량 정보(G1)가 표시된다.
스위칭 표시 영역(R2)은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의 영역이다. 스위칭 표시 영역(R2)에는 표시 대상 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표시 대상 정보는 적어도 작업 기계(3)에 관련된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정보 중에서 스위칭 가능하게 선택되는 정보이다. 도 4의 예에서는, 스위칭 표시 영역(R2)에는 냉각수온 정보(G3) 및 작동유온 정보(G2)가 표시되어 있다. 냉각수온 정보(G3) 및 작동유온 정보(G2)는 작업 기계(3)에 관련된 제 1 정보이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제 1 표시 화면(D11)은 스위칭 표시 영역(R2)에 표시 대상 정보로서 제 1 정보(냉각수온 정보(G3) 및 작동유온 정보(G2))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의 표시 화면(D1)이다. 냉각수온 정보(G3) 및 작동유온 정보(G2)는 모두 작업 기계(3)에 관련된 정보로, 특히 작업 기계(3)의 가동 상태에 관한 정보이다.
그런데, 스위칭 표시 영역(R2)에 표시되는 표시 대상 정보는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정보 중에서 스위칭 가능하게 선택되는 정보로, 상술한 제 1 정보(냉각수온 정보(G3) 및 작동유온 정보(G2))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스위칭 표시 영역(R2)에는 제 1 정보와는 다른 정보이며, 작업 기계(3)에 관련된 제 2 정보를, 제 1 정보 대신에 표시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정보의 일례로서 카메라로 촬상된 작업 기계(3)의 주변 화상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칭 표시 영역(R2)에 표시되는 표시 대상 정보가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정보 중에서 스위칭됨으로써, 예를 들면 그 때의 상황에 따라서 유저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 1 표시 화면(D11)에서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 3 영역(R3)은 종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의 영역이다. 제 3 영역(R3)에는, 작업 기계(3)의 각 부의 가동 상태에 따른 도상(아이콘)(Im1)이 표시된다. 제 3 영역(R3)에는 복수의 도상(Im1)을 표시 가능하며, 개개의 도상(Im1)의 디자인(도안)에 의해, 예를 들면 배터리, 안전 벨트, 냉각수온, 작동유온 등의, 어느 것의 상태를 나타낼지를 나타낸다. 여기서, 각 도상(Im1)은 예를 들면, 표시색 또는 사이즈 등의 표시 양태에 의해 가동 상태를 나타낸다. 표시 처리부(13)는 작업 기계(3)의 각 부의 가동 상태를 검지하는 각종 센서의 출력을 이용하여, 작업 기계(3)의 각 부의 상태를 판단한다. 그리고, 표시 처리부(13)는 어느 하나의 부위에서 이상값이 검지된 경우에는, 그 부위의 도상(Im1)의 표시색 등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키는 등에 의해 경고 표시를 행한다.
제 4 영역(R4)은 표시 화면(D1)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띠 형상의 영역이다. 제 4 영역(R4)에는, 표시 화면(D1)에 대한 조작을 위한 각 항목이 표시된다. 도 4에서는 일례로서, 제 4 영역(R4)에는 「메뉴」, 「크레인」, 「모드」, 「카메라」, 「PTO」, 「스위칭」의 6개의 항목이, 이 순으로 왼쪽부터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들 6개의 항목에는,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조작부(22)의 6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221∼226)가 각각 대응지어져 있다. 예를 들면, 「메뉴」의 항목에는 누름 버튼 스위치(221)가, 「크레인」의 항목에는 누름 버튼 스위치(222)가, 각각 대응지어져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카메라」의 항목에 대응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224)가 유저(U1)(도 2 참조)에 의해 조작되면, 「카메라」의 항목이 조작(선택)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22)의 조작 다이얼(또는 커서키) 등의 조작에도 대응하도록, 제 4 영역(R4)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항목이 하이라이트 표시된다. 도 4의 예에서는 「메뉴」의 항목이 하이라이트 표시되어 있고, 조작 다이얼(또는 커서키) 등의 조작에 의해, 하이라이트 표시되는 항목이 스위칭된다. 유저(U1)에 있어서는, 소망의 항목을 하이라이트 표시시킨 상태로 결정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소망의 항목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카메라」의 항목으로 하이라이트 표시를 이동시킨 상태로 결정 버튼이 조작되면, 「카메라」의 항목이 조작(선택)되게 된다. 또한, 조작부(22)가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유저(U1)는 표시 화면(D1) 상의 소망의 항목을 터치하는 조작에 의해, 소망의 항목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5 영역(R5)에는 예를 들면, 냉각수온 또는 작동유온 등, 작업 기계(3)의 가동 상태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 이상값이 검지된 경우에, 그 취지(이상)를 제시하기 위한 제시 정보(아이콘 등)가 표시된다. 일례로서, 냉각수온에 대해서 30도 이상, 110도 미만이 정상값의 범위로서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 냉각수온이 30도 미만, 또는 110도 이상이 되면, 표시 처리부(13)는 냉각수온에 대해서 이상값을 검지하여, 제 5 영역(R5)에 제시 정보를 표시한다.
제 6 영역(R6)에는, 예를 들면 작업 기계(3)에 있어서 가동 중인 작업부(31)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부(31)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35)(조작 레버(351, 352))의 조작 패턴 등의 정보가 제 6 영역(R6)에 표시된다. 제 7 영역(R7)에는 예를 들면, 엔진(37)의 회전수 등, 작업 기계(3)의 가동 상태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제 8 영역(R8)에는 예를 들면, 현재 시각이 표시된다. 제 9 영역(R9)에는 예를 들면, 현재 표시되어 있는 표시 화면(D1)이 속하는 항목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된다. 제 10 영역(R10)에는 예를 들면, 작업 기계(3)의 가동 시간(아워미터)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표시 화면(D11)은 적어도 구동 장치(34)에 관한 구동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구동 정보는 제 6 영역(R6)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제 1 표시 화면(D11)의 제 6 영역(R6)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을 말풍선 내에 나타낸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제 1 표시 화면(D11)은 제 6 영역(R6)에 3개의 구동 정보(C1, C2, C3)를 포함하고 있다. 구동 정보(C1, C2, C3)는 각각 구동 장치(34)에 관한 정보이다. 도 4의 예에서는, 이들 3개의 구동 정보(C1, C2, C3)는 구동 정보(C1), 구동 정보(C3), 구동 정보(C2)의 순으로 오른쪽부터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 정보(C3)에 대하여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구동 정보(C1) 및 구동 정보(C2)는 각각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와 복수의 조작자(Sw1∼Sw4)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할당 정보이다.
예를 들면, 구동 정보(C1)이면, 우측의 조작 레버(351)를 나타내는 「R」의 문자와 함께, 출력 포트(341)를 나타내는 「PTO1」의 문자를 포함하는 아이콘(C11), 및 출력 포트(344)를 나타내는 「4」의 문자를 포함하는 아이콘(C12)이 표시되어 있다. 즉, 구동 정보(C1)는 우측의 조작 레버(351)에 설치된 조작자(Sw1) 및 조작자(Sw4)에, 출력 포트(341, 344)가 대응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 4의 예에서는, 아이콘(C11)은 아이콘(C12)의 전면측에 중복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 같이 묘화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정보(C1)는 할당 정보로서, 조작 레버(351)의 전면측의 조작자(Sw1)에 출력 포트(341)가 대응하고, 조작 레버(351)의 후면측의 조작자(Sw4)에 출력 포트(344)가 대응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구동 정보(C2)이면, 좌측의 조작 레버(352)를 나타내는 「L」의 문자와 함께, 출력 포트(342)를 나타내는 「PTO2」의 문자를 포함하는 아이콘(C21), 및 출력 포트(343)를 나타내는 「3」의 문자를 포함하는 아이콘(C22)이 표시되어 있다. 즉, 구동 정보(C2)는 좌측의 조작 레버(352)에 설치된 조작자(Sw2) 및 조작자(Sw3)에, 출력 포트(342, 343)가 대응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 4의 예에서는, 아이콘(C21)은 아이콘(C22)의 전면측에 중복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 같이 묘화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정보(C2)는 할당 정보로서, 조작 레버(352)의 전면측의 조작자(Sw2)에 출력 포트(342)가 대응하고, 조작 레버(352)의 후면측의 조작자(Sw3)에 출력 포트(343)가 대응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구동 정보(C3)는 구동 장치(34)에 접속되어 있는 어태치먼트(311)를 식별하는 어태치먼트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3)에서는, 미리 복수(일례로서 최대 5개)의 어태치먼트(311)를 등록 가능하다. 그리고, 작업 기계(3)에서는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어태치먼트(311)에 대해서, 구동 장치(34)의 출력(규정값 등)을, 어태치먼트(311)별로 미리 설정 가능하다. 도 4의 예에서는 구동 정보(C3)로서, 어태치먼트(311)의 등록 번호를 나타내는 「2」의 문자와 함께, 어태치먼트(311)의 종류(일례로서 오거)를 나타내는 아이콘(C31)이 표시되어 있다. 즉, 구동 정보(C3)는 아이콘(C31)이 나타내는 종류의 어태치먼트(311)가 구동 장치(34)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 의한 표시 제어 시스템(1)은 작업부(31)와 구동 장치(34)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3)에 이용된다. 작업부(31)는 작업 기계(3)의 기체(30)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311)를 구동함으로써 작업을 실행한다. 구동 장치(34)는 어태치먼트(311)에 동력을 공급해서 어태치먼트(311)를 구동한다. 표시 제어 시스템(1)은 구동 장치(34)에 관한 구동 정보(C1∼C3)를 포함하는 제 1 표시 화면(D11)을, 표시 장치(2)에 표시시키는 표시 처리부(13)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어태치먼트(311)에 동력을 공급해서 어태치먼트(311)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34)에 관한 정보가 제 1 표시 화면(D11)에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는 작업 기계(3)를 조작해서 작업을 실행할 때에, 구동 장치(34)의 동작 상태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 기계(3)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면, 숙련도가 낮은 오퍼레이터 등이어도, 구동 장치(34)의 동작 상태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작업 기계(3)를 정확하고 또한 스무스하게 조작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 기계(3)를 이용한 작업의 효율 향상도 기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표시 제어 시스템(1)에 의하면, 작업 기계(3)의 조작성 향상을 도모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의 출력은 복수의 조작자(Sw1∼Sw4)를 갖는 조작 장치(35)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제어된다. 구동 정보(C1, C2)는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와 복수의 조작자(Sw1∼Sw4)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할당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유저는 표시 장치(2)에 표시되는 할당 정보를 참조하면서 소망의 출력 포트(341∼344)에 대응하는 조작자(Sw1∼Sw4)를 조작할 수 있고,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가 있는 경우라도, 조작 장치(35)의 조작이 간단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정보(C3)는 구동 장치(34)에 접속되어 있는 어태치먼트(311)를 식별하는 어태치먼트 정보를 포함한다. 그 때문에, 유저는 표시 장치(2)에 표시되는 어태치먼트 정보를 참조하면서 작업 기계(3)를 조작할 수 있어 작업 기계(3)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특히, 구동 장치(34)의 출력(규정값 등)을, 어태치먼트(311)별로 미리 설정 가능한 경우에는, 유저는 어태치먼트 정보로부터, 구동 장치(34)의 출력의 설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어태치먼트 정보는 어태치먼트(311)의 종류를 검출하는 센서 등의 출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판단되어도 좋고, 유저가 수동 입력해도 좋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정보(C1, C2)의 표시 양태에 의해 할당 정보 이외에도, 구동 장치(34)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 가능하다. 도 5에서는, 제 1 표시 화면(D11)의 제 6 영역(R6)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으로, <A>, <B> 및 <C>의 3패턴의 상황에 있어서의 표시예를 말풍선 내에 나타낸다.
우선, 도 5의 <A>는 구동 장치(34)의 출력 포트(342)에, 어태치먼트(311)가 어느 것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황을 상정하고 있다. 이 경우, 구동 정보(C2)에 있어서, 출력 포트(342)를 나타내는 아이콘(C21)이 담색으로 그레이 아웃 표시되어, 다른 아이콘(C11) 등과 구별되어 있다. 즉, 제 1 표시 화면(D1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아이콘(C21) 등의 표시 양태(여기서는 농담)에 의해, 구동 장치(34)(출력 포트(342))에 있어서의 어태치먼트(311)의 접속 상태가 표시된다. 바꿔 말하면, 구동 정보(C1, C2)는 구동 장치(34)에 대한 어태치먼트(311)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접속 정보를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에게 있어서는 구동 장치(34)(출력 포트(341∼344))에 대한 어태치먼트(311)의 접속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 장치(34)의 조작시에 오조작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도 5의 <B>는 구동 장치(34)의 출력 포트(341) 및 출력 포트(342)가 유지 기능에 의해 「임의 홀드」의 상태에 있는 상황을 상정하고 있다. 이 경우, 구동 정보(C2)에 있어서, 출력 포트(341)를 나타내는 아이콘(C11) 및 출력 포트(342)를 나타내는 아이콘(C21)이, 「임의 홀드」에 상당하는 제 1 색(예를 들면 황색)으로 착색된다. 즉, 제 1 표시 화면(D1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아이콘(C11) 등의 표시 양태(여기서는 표시색)에 의해, 구동 장치(34)(출력 포트(341, 342))의 출력을 유지하는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가 표시된다. 바꿔 말하면, 표시 처리부(13)는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유지하는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제 1 표시 화면(D11)에 표시한다. 즉,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유지하는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도 또한, 구동 장치(34)에 대한 어태치먼트(311)의 접속 상태 등과 마찬가지로 구동 정보(C1, C2)에 포함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에게 있어서는 구동 장치(34)(출력 포트(341∼344))의 출력을 유지하는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유지 기능의 무효화 등의 오조작이 발생하기 어렵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처리부(13)는 구동 정보(C1, C2)의 표시 양태로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할당 정보 등을 나타내는 구동 정보(C1, C2)를,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의 표시에도 겸용할 수 있어, 제 1 표시 화면(D11)에 표시되는 정보량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표시 화면(D11)으로서 비교적 심플한 화면 구성을 실현할 수 있어, 유저에게 있어서의 시인성 향상으로 이어진다. 또한,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 등을 나타내는 구동 정보(C1, C2, C3)의 표시 양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농담 및 표시색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표시/비표시, 선 종류, 사이즈 혹은 애니메이션 등, 또는 이것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한, 도 5의 <C>는 구동 장치(34)의 출력 포트(341)가 「규정값 홀드」의 상태에 있고, 출력 포트(342)가 「임의 홀드」의 상태에 있는 상황을 상정하고 있다. 이 경우, 구동 정보(C2)에 있어서 출력 포트(341)를 나타내는 아이콘(C11)이 「규정값 홀드」에 상당하는 제 2 색(예를 들면 적색)으로 착색된다. 즉, 제 1 표시 화면(D1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아이콘(C11) 등의 표시 양태(여기서는 표시색)에 의해,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규정값 홀드/임의 홀드)가 구별된다.
또한, 도 5의 <C>의 예에서는, 표시 처리부(13)는 통지 정보(C4)를 구동 정보에 포함시켜 표시한다. 통지 정보(C4)는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의 동작 상태가 통지 대상의 조합에 해당하는 경우에 표시되어, 그 취지(통지 대상의 조합인 취지)를 통지하는 정보이다. 여기서, 「통지 대상의 조합」이란,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의 동작 상태의 조합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특정 조합으로, 예를 들면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가 상이한 조합 등이다. 도 5의 예에서는, 출력 포트(341)와 출력 포트(342)에서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규정값 홀드/임의 홀드)가 상이하기 때문에, 표시 처리부(13)는 출력 포트(341, 342)의 동작 상태가 통지 대상의 조합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이 경우, 통지 정보(C4)는 일례로서 「PTO1-PTO2의 설정이 상이합니다.」 등의 텍스트를 포함한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처리부(13)는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의 동작 상태가 통지 대상의 조합인 경우에,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의 동작 상태에 관한 통지 정보(C4)를 구동 정보에 포함시킨다. 이것에 의해, 유저에게 있어서는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를 조합해서 조작하는 경우의 오조작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그런데, 표시 처리부(13)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표시 장치(2)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D1)을, 제 1 표시 화면(D11)으로부터 다른 화면(설정 화면(D12∼D14) 등)으로 천이시킨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개시 조작에 의해, 우선 표시 장치(2)의 표시부(21)에는 제 1 표시 화면(D11)이 표시된다. 그리고, 제 1 표시 화면(D11)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메뉴」의 항목에 대응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221)의 조작 등에 의해, 「메뉴」의 항목이 조작(선택)된 후에 「PTO 유량 설정」이 선택되면, 설정 화면(D12)이 표시된다. 설정 화면(D12)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어태치먼트 1」∼「어태치먼트 5」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조작(선택)되면, 설정 화면(D12)으로부터 설정 화면(D13)으로 천이한다. 또한, 설정 화면(D13)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어태치먼트」의 항목이 조작(선택)되면, 설정 화면(D13)으로부터 설정 화면(D14)으로 천이한다. 또한, 설정 화면(D13, D14)에 있어서, 제 4 영역(R4)에 있어서의 「되돌아가기」 또는 「결정」의 항목이 조작(선택)되면, 1단계 전의 설정 화면(D12, D13)으로 천이한다. 단, 표시 화면(D1)의 천이를 위한 조작, 및 천이의 순서 등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계층화된 설정 화면(D12∼D14)에 의하면, 복수(일례로서 최대 5개)의 어태치먼트(311)의 등록, 및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어태치먼트(311)에 대해서, 구동 장치(34)의 출력(규정값 등)을 어태치먼트(311)별로 설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는 설정 화면(D12)에 있어서, 제 4 영역(R4)의 커서의 항목을 조작함으로써, 임의의 어태치먼트(311)의 등록 번호를 선택한다. 그리고, 유저는 설정 화면(D13)에 있어서, 제 4 영역(R4)의 「+」 또는 「-」의 항목을 조작함으로써, 출력 포트(341∼344)(「PTO1」∼「PTO4」)의 각각에 대한 규정값(최대 유량)을 개별적으로 설정한다. 또한, 어태치먼트(311)의 아이콘을 설정하는 경우, 유저는 설정 화면(D14)에서, 임의의 어태치먼트(311)의 아이콘을 선택한다.
설정 화면(D12∼D14)에서 등록된 어태치먼트(311)별 구동 장치(34)의 출력(규정값 등)의 설정은 제 1 표시 화면(D11)에 있어서, 어태치먼트(311)를 선택함으로써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표시 화면(D11)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PTO」의 항목에 대응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225)가 유저(U1)에 의해 조작되는 등에 의해, 「PTO」의 항목이 조작(선택)되면, 선택 중인 어태치먼트(311)가 스위칭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도 7의 말풍선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 중인 어태치먼트(311)의 아이콘(C1) 및 등록 번호가 구동 정보(C3)로서 표시되어, 「PTO」의 항목이 조작될 때마다 선택 중인 어태치먼트(311)가 스위칭된다. 따라서, 유저에게 있어서는 제 1 표시 화면(D11)의 구동 정보(C3)로, 현재의 구동 장치(34)의 출력(규정값 등)의 설정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처리부(13)는 어태치먼트(311)의 구동 장치(34)에 의한 구동 특성에 따른 표시 양태로 어태치먼트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어태치먼트(311)는 그 종류에 따라서 구동 장치(34)에 의한 구동 특성, 예를 들면 다용되는 유지 기능이 상이하다. 일례로서, 크러셔, 멀쳐 및 틸트로테이터 등의 어태치먼트(311)이면 「임의 홀드」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브레이커, 댐퍼 및 오거 등의 반복 동작 가능한 어태치먼트(311)이면 「규정값 홀드」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표시 처리부(13)는 어태치먼트 정보의 표시 양태를 각각의 구동 특성에 따라서 변화시킨다. 도 8에서는, 제 1 표시 화면(D11)의 제 6 영역(R6)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으로, <A> 및 <B>의 2패턴의 상황에 있어서의 표시예를 말풍선 내에 나타낸다.
도 8의 <A>는 구동 장치(34)의 출력 포트(341, 342)가 유지 기능에 의해 「규정값 홀드」의 상태에 있고, 또한 어태치먼트(311)로서 「규정값 홀드」가 다용되는 오거가 선택되어 있는 상황을 상정하고 있다. 이 경우, 구동 정보(C2)에 있어서, 출력 포트(341)를 나타내는 아이콘(C11) 및 출력 포트(342)를 나타내는 아이콘(C21)이 「규정값 홀드」에 상당하는 제 2 색(예를 들면 적색)으로 착색된다. 또한, 어태치먼트(311)를 나타내는 구동 정보(C3)의 아이콘(C31)은 「규정값 홀드」에 상당하는 제 2 색(예를 들면 적색)으로 착색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에게 있어서는 구동 장치(34)의 동작 상태(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와, 선택 중인 어태치먼트(311)의 구동 특성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오조작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도 8의 <B>는 구동 장치(34)의 출력 포트(341, 342)가 「임의 홀드」의 상태에 있고, 또한 어태치먼트(311)로서 「규정값 홀드」가 다용되는 오거가 선택되어 있는 상황을 상정하고 있다. 이 경우, 구동 정보(C2)에 있어서, 출력 포트(341)를 나타내는 아이콘(C11) 및 출력 포트(342)를 나타내는 아이콘(C21)이 「임의 홀드」에 상당하는 제 1 색(예를 들면 황색)으로 착색된다. 한편, 어태치먼트(311)를 나타내는 구동 정보(C3)의 아이콘(C31)은 「규정값 홀드」에 상당하는 제 2 색(예를 들면 적색)으로 착색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에게 있어서는 구동 장치(34)의 동작 상태(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와, 선택 중인 어태치먼트(311)의 구동 특성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오조작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도 8의 <B>의 예에서는, 표시 처리부(13)는 주의 정보(C5)를 구동 정보에 포함시켜 표시한다. 주의 정보(C5)는 구동 장치(34)의 동작 상태와 어태치먼트(311)의 구동 특성이 주의 대상의 조합에 해당하는 경우에 표시되어, 그 취지(주의 대상의 조합인 취지)를 통지하는 정보이다. 여기서, 「주의 대상의 조합」이란, 구동 장치(34)의 동작 상태와 어태치먼트(311)의 구동 특성의 조합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특정 조합으로, 예를 들면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가 상이한 조합 등이다. 도 8의 예에서는, 구동 장치(34)와 어태치먼트(311)의 구동 특성에서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규정값 홀드/임의 홀드)가 상이하기 때문에, 표시 처리부(13)는 주의 대상의 조합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이 경우, 주의 정보(C5)는 일례로서 「어태치먼트 의 설정과 PTO 홀드 설정이 상이합니다.」 등의 텍스트를 포함한다. 출력 포트(341)와 출력 포트(342)에서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가 상이한 경우에는, 출력 포트(341, 342) 중 작업 중의 사용 빈도가 높은 쪽의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에 의해, 주의 대상의 조합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처리부(13)는 구동 장치(34)의 동작 상태와, 구동 장치(34)에 접속되어 있는 어태치먼트(311)의 구동 장치(34)에 의한 구동 특성이 주의 대상의 조합인 경우에, 주의 정보(C5)를 구동 정보에 포함시킨다. 이것에 의해, 유저에게 있어서는 어태치먼트(311)의 구동 특성에 맞춘 구동 장치(34)의 조작을 하기 쉬워져, 오조작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장치(34)의 출력에 대해서는 규정값을 설정 가능하며, 구동 정보는 현재의 구동 장치(34)의 출력값을 규정값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상대 정보(C6)를 포함한다. 도 9에서는, 상대 정보(C6)는 슬라이더(C61) 및 막대 그래프(C62)를 포함하고, 슬라이더(C61)의 막대 그래프(C62)에 대한 위치에 의해, 현재의 구동 장치(34)의 출력값을 나타내고 있다. 즉, 막대 그래프(C62)의 좌우 방향의 길이가 규정값을 나타내고 있고, 슬라이더(C61)가 현재의 구동 장치(34)의 출력값에 따라서 막대 그래프(C62) 위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현재의 구동 장치(34)의 출력값을 규정값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조절 조작자」인 조작자(Sw1)가 조작되어 출력 포트(341)의 출력이 커지면 슬라이더(C61)는 우방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출력 포트(341)의 출력이 작아지면 슬라이더(C61)는 좌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상대 정보(C6)는 제 1 표시 화면(D11)에 있어서 팝업 표시되어 있다.
도 9에서는, 출력 포트(341)의 규정값이 80%로 설정되어 있는 상황을 상정하고, 상대 정보(C6)의 배리에이션 <A> 및 <B>를 말풍선 내에 나타낸다. 도 9의 <A>의 예에서는 막대 그래프(C62)의 착색 부분의 길이가 규정값(80%)에 따라서 조절되어 있고, 도 9의 <B>의 예에서는 막대 그래프(C62) 전체의 길이가 규정값(80%)에 따라서 조절되어 있다. 어느 상대 정보(C6)라도, 슬라이더(C61)의 막대 그래프(C62)에 대한 위치에 의해, 현재의 구동 장치(34)의 출력값을 규정값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처리부(13)는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와 복수의 조작자(Sw1∼Sw4)의 대응 관계를 설정 가능한 할당 설정 화면(D15, D16)을 표시 장치(2)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할당 설정 화면(D15, D16)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와 복수의 조작자(Sw1∼Sw4)의 대응 관계는 제 1 표시 화면(D11)에 반영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에게 있어서는 표시 장치(2)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와 복수의 조작자(Sw1∼Sw4)의 대응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0의 <A>에 나타내는 할당 설정 화면(D15)은 복수의 출력 포트(341, 342)와 복수의 조작자(Sw1, Sw2)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다. 즉, 할당 설정 화면(D15)에서는 제 4 영역(R4)의 커서의 항목을 조작함으로써, 「PTO2-PTO1」 및 「PTO1-PTO2」로부터 임의의 설정을 선택한다. 「PTO1-PTO2」를 선택한 상태로 제 4 영역(R4)의 결정의 항목이 선택되면, 출력 포트(341)(PTO1)가 조작 레버(352)의 조작자(Sw2)에, 출력 포트(342)(PTO2)가 조작 레버(351)의 조작자(Sw1)에 각각 대응지어진다. 마찬가지로, 도 10의 <B>에 나타내는 할당 설정 화면(D16)은 복수의 출력 포트(343, 344)와 복수의 조작자(Sw3, Sw4)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다. 할당 설정 화면(D15, D16)에서,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와 복수의 조작자(Sw1∼Sw4)의 대응 관계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출력 포트(341∼344)에 대한 규정값(유량 제한)의 설정은 초기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설정 화면(D12∼D14), 및 할당 설정 화면(D15, D16)은 모두 구동 장치(34)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으로 「제 2 표시 화면」의 일종이다. 이것에 대하여, 제 1 표시 화면(D11)은 홈화면으로, 설정 화면(D12∼D14), 또는 할당 설정 화면(D15, D16)으로 천이하기 전의 화면이다. 즉, 제 1 표시 화면(D11)은 구동 장치(34)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제 2 표시 화면(설정 화면(D12∼D14), 할당 설정 화면(D15, D16) 등)과는 다른 화면이다.
[6.2] 전체 처리
이어서, 표시 제어 방법에 의한 처리 전체의 흐름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표시 제어 방법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제어 시스템(1)의 표시 처리부(13)는 우선 표시 장치(2)에, 구동 장치(34)에 관한 구동 정보(C1, C2, C3) 등을 포함하는 제 1 표시 화면(D11)을 표시한다(S1). 여기서, 구동 장치(34)에 있어서의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유지 기능이 유효(온)로 되어 있으면, 표시 처리부(13)는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임의 홀드/규정값 홀드)를 제 1 표시 화면(D11)에 표시한다(S2). 구체적으로는, 표시 처리부(13)는 구동 정보(C1, C2)의 표시 양태(예를 들면 표시색)로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이 때, 표시 처리부(13)에서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때, 표시 제어 시스템(1)은 데이터 취득부(11)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사용한다.
이 상태에서, 표시 처리부(13)는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의 동작 상태의 조합에 대해서, 통지 대상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 예를 들면, 출력 포트(341)와 출력 포트(342)에서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규정값 홀드/임의 홀드)가 상이한 등에 의해, 통지 대상이 있다고 판단하면(S3: Yes), 표시 처리부(13)는 통지 정보(C4)를 표시한다(S4). 한편, 통지 대상이 없으면(S3: No), 표시 처리부(13)는 처리 S4를 스킵하고, 처리 S5로 이행한다.
처리 S5에서는, 표시 처리부(13)는 구동 장치(34)의 동작 상태와 어태치먼트(311)의 구동 특성의 조합에 대해서, 주의 대상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구동 장치(34)와 어태치먼트(311)의 구동 특성에서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규정값 홀드/임의 홀드)가 상이한 등에 의해, 주의 대상이 있다고 판단하면(S5: Yes), 표시 처리부(13)는 주의 정보(C5)를 표시한다(S6). 한편, 주의 대상이 없으면(S5: No), 표시 처리부(13)는 처리 S6을 스킵하고, 처리 S7로 이행한다.
그리고, 표시 처리부(13)는 제 1 표시 화면(D11)의 표시 중에, 제 1 표시 화면(D11)의 표시 종료의 조작, 즉 작업 기계(3)의 엔진(37)의 정지 조작 등이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S7). 표시 종료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S7: No), 표시 처리부(13)는 처리 S1로 되돌아가 제 1 표시 화면(D11)의 표시를 계속한다. 표시 종료의 조작이 이루어지면(S7: Yes), 표시 처리부(13)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 도 11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는 일례에 불과하며, 처리가 적당히 추가 또는 생략되어도 좋고, 처리의 순번이 적당히 교체되어도 좋다.
[7] 변형예
이하, 실시형태 1의 변형예를 열거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변형예는 적당히 조합해서 적용 가능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표시 제어 시스템(1)은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하드웨어로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주구성으로 한다.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에 있어서의 표시 제어 시스템(1)으로서의 기능이 실현된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미리 기록되어도 좋고,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서 제공되어도 좋으며, 컴퓨터 시스템으로 판독 가능한 메모리 카드, 광학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제공되어도 좋다. 또한, 표시 제어 시스템(1)에 포함되는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부는 전자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표시 시스템(10) 중 적어도 일부의 기능이 1개의 하우징 내에 집약되어 있는 것은 표시 제어 시스템(1)에 필수의 구성은 아니고, 표시 시스템(10)의 구성 요소는 복수의 하우징에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반대로,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복수의 장치에 분산되어 있는 표시 시스템(10) 등의 기능이 1개의 하우징 내에 집약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표시 제어 시스템(1) 중 적어도 일부의 기능이 클라우드(클라우드 컴퓨팅) 등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또한, 작업 기계(3)의 동력원은 디젤 엔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디젤 엔진 이외의 엔진이어도 좋고, 모터(전동기), 또는 엔진과 모터(전동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식의 동력원이어도 좋다. 동력원이 모터 등의 전동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동력원은 연료(경유 또는 가솔린 등)에 더하거나 또는 대신에,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소비해서 구동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배터리의 잔용량에 상당하는 SOC(State Of Charge) 등이 잔량 정보(G1)로서, 표시 화면(D1)에 표시되어도 좋다.
또한, 구동 장치(34)는 엔진(37)으로부터의 동력을 (어태치먼트(311)의 구동용 동력으로서) 취출하기 위한 PTO(Power take-off) 등의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엔진(37)과는 별도로 어태치먼트(311)의 구동용 동력을 출력하는 장치여도 좋다. 또한, 구동 장치(34)는 작동유를 공급함으로써 어태치먼트(311)에 동력을 공급하는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모터 등의 전동기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는 장치여도 좋다. 이 경우, 구동 장치(34)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은 예를 들면, 구동 장치(34)에 흐르는 전류 등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어태치먼트(311)는 기체(30)에 부착되어 있으면 되고, 어태치먼트(311)가 기체(30)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은 필수의 구성은 아니다. 또한, 기체(30)에 대하여, 복수의 어태치먼트(311)가 동시에 부착되어도 좋다.
또한,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유지하는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제 1 표시 화면(D11)에 표시할 때, 구동 정보(C1, C2)의 표시 양태로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것은 표시 제어 시스템(1)에 필수의 구성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임의 홀드 중」 또는 「규정값 홀드 중」 등의 텍스트, 또는 「임의 홀드」나 「규정값 홀드」를 나타내는 도상(아이콘) 등에 의해,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가 표시되어도 좋다.
또한, 표시 장치(2)는 전용 디바이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랩탑 컴퓨터, 태블릿 단말 또는 스마트폰 등의 범용 단말이어도 좋다. 또한, 표시부(21)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와 같이, 표시 화면(D1)을 직접적으로 표시하는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프로젝터와 같이, 투영에 의해 표시 화면(D1)을 표시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표시부(21)의 표시 영역은 횡장에 한정되지 않고, 종장이어도 좋다.
또한, 조작부(22)의 정보의 입력의 양태로서, 누름 버튼 스위치(221∼226), 터치패널 및 조작 다이얼 이외의 양태를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조작부(22)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 또는 다른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의 입력 등의 양태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스위칭 표시 영역(R2)에 표시되는 제 1 정보는 냉각수온 정보(G3) 및 작동유온 정보(G2)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 제 1 정보는 냉각수온 정보(G3) 또는 작동유온 정보(G2) 중 일방만이어도 좋고, 제 6 영역(R6)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가동 중인 작업부(31)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해도 좋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 의한 표시 시스템(10A)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기계(3A)의 기체(30)와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에 의한 표시 시스템(10)과 상위하다. 이하,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고 적당히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작업 기계(3A)는 자동 운전에 의해 동작(자율 주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3A)는 예를 들면,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의 위성 측위 시스템을 이용해서 기체(30)의 위치(위도 및 경도)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및 작업 기계(3A)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 등을 포함하고 있다.
표시 제어 시스템(1A) 및 표시 장치(2A)를 구비하는 표시 시스템(10A)은 작업 기계(3A)의 외부에 배치된 태블릿 단말 등에서 실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제어 시스템(1A)은 통신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 기계(3A)의 기체(30)는 기체측 통신부(38)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14)와 기체측 통신부(38)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N1)을 통해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작업 기계(3A)의 기체(30)와 별도로 설치된 표시 시스템(10A)이어도, 기체(30)와의 통신에 의해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표시 화면(D1)을 표시 장치(2A)에 표시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작업 기계(3A)는 자동 운전에 의해 동작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유저(오퍼레이터)의 원격 조작에 의해 동작해도 좋다. 이 경우, 유저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2A)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D1)을 보면서 작업 기계(3A)를 원격 조작한다.
실시형태 2에 의한 구성(변형예를 포함한다)은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변형예를 포함한다)과 적당히 조합해서 채용 가능하다.

Claims (17)

  1. 작업 기계의 기체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를 구동함으로써 작업을 실행하는 작업부와,
    상기 어태치먼트에 동력을 공급해서 상기 어태치먼트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상기 작업 기계에 이용되고,
    상기 구동 장치에 관한 구동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표시 화면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처리부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구동 장치의 출력을 유지하는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상기 제 1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구동 정보의 표시 양태로 상기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각각 동력을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 포트를 갖고 있고,
    상기 복수의 출력 포트의 출력은 복수의 조작자를 갖는 조작 장치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제어되고,
    상기 구동 정보는 상기 복수의 출력 포트와 상기 복수의 조작자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출력 포트와 상기 복수의 조작자의 대응 관계를 설정 가능한 할당 설정 화면을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정보는 상기 구동 장치에 대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의 출력에 대해서는 규정값을 설정 가능하며,
    상기 구동 정보는 현재의 상기 구동 장치의 출력값을 상기 규정값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상대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각각 동력을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 포트를 갖고 있고,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출력 포트의 동작 상태가 통지 대상의 조합인 경우에, 상기 복수의 출력 포트의 동작 상태에 관한 통지 정보를 상기 구동 정보에 포함시키는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정보는 상기 구동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어태치먼트를 식별하는 어태치먼트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어태치먼트의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한 구동 특성에 따른 표시 양태로 상기 어태치먼트 정보를 표시하는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구동 장치의 동작 상태와, 상기 구동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어태치먼트의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한 구동 특성이 주의 대상의 조합인 경우에, 주의 정보를 상기 구동 정보에 포함시키는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은 상기 구동 장치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제 2 표시 화면과는 다른 화면인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복수의 조작자를 갖는 조작 장치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동작하고,
    상기 복수의 조작자는,
    상기 구동 장치의 출력을 조절하는 조절 조작용 조절 조작자와,
    상기 구동 장치의 출력을 유지하는 유지 조작용 유지 조작자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과,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상기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용 표시 시스템.
  15. 제 14 항에 기재된 작업 기계용 표시 시스템과,
    상기 표시 장치가 탑재되는 상기 기체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
  16. 작업 기계의 기체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를 구동함으로써 작업을 실행하는 작업부와,
    상기 어태치먼트에 동력을 공급해서 상기 어태치먼트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상기 작업 기계에 이용되고,
    상기 구동 장치에 관한 구동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표시 화면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것을 갖는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방법.
  17. 작업 기계의 기체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를 구동함으로써 작업을 실행하는 작업부와,
    상기 어태치먼트에 동력을 공급해서 상기 어태치먼트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상기 작업 기계에 이용되고,
    상기 구동 장치에 관한 구동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표시 화면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것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프로그램.
KR1020237030323A 2021-03-30 2022-03-28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작업 기계용 표시 시스템, 작업 기계,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방법 및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프로그램 KR202301625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56811 2021-03-30
JP2021056811A JP7445619B2 (ja) 2021-03-30 2021-03-30 作業機械用表示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用表示システム、作業機械、作業機械用表示制御方法及び作業機械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PCT/JP2022/014879 WO2022210488A1 (ja) 2021-03-30 2022-03-28 作業機械用表示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用表示システム、作業機械、作業機械用表示制御方法及び作業機械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598A true KR20230162598A (ko) 2023-11-28

Family

ID=8345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323A KR20230162598A (ko) 2021-03-30 2022-03-28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작업 기계용 표시 시스템, 작업 기계,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방법 및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59020A1 (ko)
EP (1) EP4317619A1 (ko)
JP (2) JP7445619B2 (ko)
KR (1) KR20230162598A (ko)
CN (1) CN117098899A (ko)
WO (1) WO20222104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05169A (ja) * 2022-06-30 2024-01-17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制御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370A (ja) 2003-12-02 2005-06-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449U (ja) * 1993-05-24 1994-12-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排土板制御装置
JPH1016588A (ja) * 1996-06-28 1998-01-20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作業用走行車
JP2000144790A (ja) * 1998-11-12 2000-05-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オフセット式油圧ショベルの安全装置
JP4299510B2 (ja) * 2002-07-19 2009-07-22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乗用作業車の動力取出機構
JP5669520B2 (ja) * 2010-10-27 2015-02-12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6505356B2 (ja) * 2013-07-17 2019-04-24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JP6862266B2 (ja) * 2017-04-28 2021-04-2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7106360B2 (ja) * 2018-06-12 2022-07-2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WO2020196838A1 (ja) * 2019-03-27 2020-10-0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及びショベルの管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370A (ja) 2003-12-02 2005-06-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0488A1 (ja) 2022-10-06
US20240159020A1 (en) 2024-05-16
EP4317619A1 (en) 2024-02-07
JP7445619B2 (ja) 2024-03-07
CN117098899A (zh) 2023-11-21
JP2024045756A (ja) 2024-04-02
JP2022154001A (ja)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1692A1 (en) Shovel
JP2024045756A (ja) 作業機械用表示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用表示システム、作業機械、作業機械用表示制御方法及び作業機械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11941313B2 (en) Working machine control device, working machine, and working machine control method for performing screen control based on identified position
US20240141622A1 (en) Work Machine Control Method,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Work Machine Control System, And Work Machine
EP4286611A1 (en) Work machine control method,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work machine control system, and work machine
KR20230173580A (ko)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작업 기계용 제어 프로그램, 작업 기계용 제어 시스템 및 작업 기계
US20230407603A1 (en) Work Machine Control Method,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Work Machine Control System, And Work Machine
US20230183942A1 (en) Work Machine Control Method,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Work Machine Control System, And Work Machine
KR20230019384A (ko)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작업 기계용 제어 프로그램, 작업 기계용 제어 시스템 및 작업 기계
KR20230132372A (ko) 작업 기계용 제어 시스템, 작업 기계,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및 작업 기계용 제어 프로그램
JP7438999B2 (ja) 作業機械用表示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用表示システム、作業機械、作業機械用表示制御方法及び作業機械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EP4180585A1 (en) Work machine control method,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work machine control system, and work machine
JP2023074223A (ja) 作業機械の制御方法、作業機械用制御プログラム、作業機械用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
JP2023074224A (ja) 作業機械の制御方法、作業機械用制御プログラム、作業機械用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
JP2023074222A (ja) 作業機械の制御方法、作業機械用制御プログラム、作業機械用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
JP2023129874A (ja) 作業機械用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作業機械の制御方法及び作業機械用制御プログラム
JP2022163351A (ja) 作業機械の制御方法、作業機械用制御プログラム、作業機械用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
JP2022163352A (ja) 作業機械の制御方法、作業機械用制御プログラム、作業機械用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
JP2023129873A (ja) 作業機械用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作業機械の制御方法及び作業機械用制御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