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173A - 석고보드용 앵커볼트 - Google Patents

석고보드용 앵커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173A
KR20230162173A KR1020220061728A KR20220061728A KR20230162173A KR 20230162173 A KR20230162173 A KR 20230162173A KR 1020220061728 A KR1020220061728 A KR 1020220061728A KR 20220061728 A KR20220061728 A KR 20220061728A KR 20230162173 A KR20230162173 A KR 20230162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ypsum board
anchor bolt
bolt
tip memb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우
박교훈
김도형
전병갑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이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이근우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1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2173A/ko
Publication of KR20230162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고보드용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고보트로 이루어지는 벽면에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의 과정으로 천공 및 고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대상물을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석고보드용 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중공에 삽입되되 첨단부가 상기 중공의 단부로 돌출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전단에는 첨단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첨단부재의 후단에는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전단에는 상기 결합돌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석고보드용 앵커볼트{an anchor bolt for a plasterboard}
본 발명은 석고보드용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고보트로 이루어지는 벽면에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의 과정으로 천공 및 고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대상물을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석고보드용 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볼트는 못이나 일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설치하기 어려운 콘크리트 벽, 벽돌 벽, 석고보드 벽 등에 각종 부착물을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서 현재 다양한 구조의 앵커볼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앵커볼트는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에 소정 깊이의 구멍을 형성(천공)하고, 상기 구멍 안에 원추형의 쐐기부가 형성되는 볼트 및 확관 가능한 슬리브를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한 것이며 슬리브의 내부로 볼트의 쐐기부가 삽입되면서 확관되어 구멍 안에 결착,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일반적인 앵커볼트는 삽입된 볼트가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여러 가지 부착물을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앵커볼트의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148327호에 기재된 기술이 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체결구(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롱 형상으로되어 말단에 나사결합부(21)가 형성되면서 선단 둘레에 회전방지돌부(25)가 형성되고 둘레에 몸체를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팽창 유도홈(23)을 형성하되, 상기 팽창 유도홈(23)은 칼브럭(20)의 길이 방향으로 여러 층 형성하면서 각 층의 팽창 유도홈(23)은 둘레 방향으로 여러 개 형성하고, 각 층의 팽창 유도홈(23)은 칼브럭(20)의 선단부에서 말단부 쪽으로 갈수록 개수를 줄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148327호에 기재된 기술은 전방으로 길이가 압축되면서 그 부피가 팽창하여 천공구멍 내주면을 보다 넓은 범위로 균일하게 압박하여 체결구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벽면에 구멍을 우선 형성한 후, 칼브럭(20, 앵커 볼트)를 삽입한 후, 다시 체결구(10, 볼트)를 결합하여야 하므로 다수의 공정을 거치게 되어 시공시간 및 그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앵커 볼트는 부피를 팽창하여 내주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와 같이 앵커 볼트(칼브럭)가 완전히 삽입되는 중공을 형성할 수 있는 벽면에만 사용될 수 있고, 석고보드와 같은 비교적 두께가 얇아 앵커 볼트가 중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벽면에서는 견고하게 고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48327호(2012.05.15.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절곡홈을 형성하여 석고보드로 이루어지는 벽면을 관통한 후, 상기 지지부재의 중심부가 상기 절곡홈을 기준으로 절첩되도록 하여 벽면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석고보드로 이루어지는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석고보드용 앵커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의 단부에 드릴 형상으로 형성되는 첨단부재를 결합하고, 몸체의 후단에 형성되는 지지턱의 전부에 스크류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내부에 고정 볼트를 결합한 상태에서 석고보드로 이루어지는 벽면에 구멍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고정하도록 하고 스크류 부재에 의해 석고보드를 원활하게 관통할 수 있어 한번의 공정으로 대상물을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석고보드용 앵커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중공에 삽입되되 첨단부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전단에는 드릴 형상으로 형성되는 첨단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첨단부재의 후단에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전단에는 상기 결합돌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첨단부재는 드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첨단부재의 전단으로는 상기 고정볼트의 첨단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첨단부재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의 전단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의 중심부에는 절곡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의 후단에는 벽면에 형성되는 설치공의 외측에 지지되도록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의 전부에는 상기 설치공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절곡홈을 형성하여 석고보드로 이루어지는 벽면을 관통한 후, 상기 지지부재의 중심부가 상기 절곡홈을 기준으로 절첩되도록 하여 벽면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석고보드로 이루어지는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몸체의 단부에 드릴 형상으로 형성되는 첨단부재를 결합하고, 몸체의 후단에 형성되는 지지턱의 전부에 스크류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내부에 고정 볼트를 결합한 상태에서 석고보드로 이루어지는 벽면에 구멍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고정하도록 하고 스크류 부재에 의해 석고보드를 원활하게 관통할 수 있어 한번의 공정으로 대상물을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앵커볼트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앵커볼트의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석고보드용 앵커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석고보드용 앵커볼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석고보드용 앵커볼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석고보드용 앵커볼트의 설치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석고보드용 앵커볼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석고보드용 앵커볼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석고보드용 앵커볼트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석고보드용 앵커볼트의 설치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석고보드로 이루어지는 벽면(300)에 설치되는 석고보드용 앵커볼트(100)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고정볼트(20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고정볼트(200)의 첨단부는 상기 중공의 단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앵커볼트(100)는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고정볼트(200)를 결합한 상태로 석고보드로 이루어지는 벽면(300)에 상기 고정볼트(200)의 첨단부를 통하여 설치공(310)을 형성하면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전단에는 첨단부재(14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첨단부재(140)의 후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결합돌부(142)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단에는 상기 결합돌부(142)가 삽입되는 결합홈(114)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10)가 회전할 때, 상기 첨단부재(140)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200)는 첨단부가 상기 첨단부재(140)의 전단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첨단부재(140)의 형상은 드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에 고정볼트(200)를 설치한 상태로 고정볼트(200)의 헤드에 대응되도록 전동드라이버(미도시), 스페너, 렌치 등과 같은 회전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볼트(200)를 포함한 앵커볼트(100)를 벽면(300)에 가압한 상태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첨단부재(140)의 전단으로 돌출된 첨단부에 의해 1차로 벽면(300)에 설치공(310)을 작은 크기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전단에 구비되는 드릴 형상으로 형성되는 첨단부재(140)에 의해 설치공(310)의 직경이 몸체(110)의 직경에 맞도록 확대되어 본 발명인 앵커볼트(100)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첨단부재(140)는 몸체(110)와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몸체(110)와 첨단부재(14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후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턱(112)이 형성되어 상기 벽면(300)에 형성되는 설치공(310)에 삽입될 때, 상기 지지턱(112)이 상기 설치공(310)의 외측에 지지도록 하여 몸체(110)가 더이상 설치공(310)에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의 후단 외측에는 상기 지지턱(112)의 전부에 위치하도록 스크류부재(130)가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앵커볼트(100)를 석고보드로 이루어지는 벽면(300)에 형성되는 설치공(310)에 삽입할 때, 상기 스크류부재(130)가 볼트의 수나사 역할을 수행 하고, 상기 지지턱(112)이 볼트의 헤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설치공(310)에 나사결합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몸체(110)의 후부에 상기 스크류부재(130)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스크류부재(130)를 형성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몸체(110)의 전단에 첨단부재(140)를 결합하지 않고 후부에 스크류부재(130)만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드릴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첨단부재(14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110)의 중공에 삽입된 고정볼트(200)의 전부는 상기 첨단부재(140)의 내측에 삽입되어 암나사에 나사 결합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볼트(20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첨단부재(140)의 암나사에 의해 상기 첨단부재(14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몸체(110)의 전단을 후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앵커볼트(100)를 석고보드로 이루어지는 벽면(300)에 가압한 상태로 회전시키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볼트(200)의 첨단부 및 첨단부재(140)에 의해 설치공(310)을 형성하면서 삽입되고, 마지막에는 몸체(110)의 후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크류부재(130)에 의해 큰 저항없이도 전진하게 되고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 몸체(110)가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10)가 설치홈(31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200)를 지속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는 회전하지 못하므로 상기 첨단부재(140)의 암나사에 의해 첨단부재(14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1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부(122)에 의해 상기 절개부(122) 사이에는 지지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20) 및 절개부(122)는 다수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20)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절곡홈(124)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몸체(110)의 재질을 경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하더라도 상기 절곡홈(124)에 의해 상기 지지부(120)가 용이하게 절곡되게 된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공(310)에 몸체(110)를 나사결합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고정볼트(2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첨단부재(140)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상기 지지부(120)가 가압되어 상기 절곡홈(124)를 중심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10)의 후단에 형성되는 지지턱(112)은 벽면(3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설치공(310)의 외측을 지지하게 되고, 절곡된 지지부(120)는 벽면(3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설치공(310)의 외측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앵커볼트(100)가 석고보드로 이루어지는 벽면(3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전술한 본 발며의 앵커볼트(100)가 석고보드로 이루어지는 벽면(300)에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에 고정볼트(200)를 삽입하여 첨단부재(140)의 전단으로 첨단부가 돌출된 상태로 벽면(30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전동드라이버와 같은 회전공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앵커볼트(100)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200)의 첨단부와 첨단부재(140)에 의해 벽면(300)에 설치공을 형성하면서 삽입되어 상기 몸체(110)의 후단에 형성되는 스크류부재(130)에 의해 나사결합으로 설치공(310)에 고정된다.
이렇게 몸체(110)가 설치공(3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고정볼트(200)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첨단부재(140)가 몸체(110)의 전부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지지부(120)가 절곡홈(124)을 기준으로 절첩된다.
마지막으로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첨단부재(140)가 완전히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지지부(120)가 완전히 절첩되어 벽면(300)의 내측면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몸체(110)의 후단에 형성된 지지턱(112)은 벽면(300)의 외측면을 지지함으로서, 본 발명의 앵커볼트(10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종래의 앵커볼트는 우선적으로 벽면(300)에 설치공(310)을 형성한 후, 앵거볼트(100)를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공정을 거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벽면(300)에 설치공(310)을 형성하지 않고 앵커볼트(100)를 사용하여 설치공(310)을 형성함과 동시에 고정하도록 하여 한번의 공정으로 앵커볼트(100)를 사용하여 대상물체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몸체(110)의 후단에 형성되는 지지턱(112)과 고정볼트(200)의 헤드부(210) 사이에 와셔나 대상물체의 결합부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석고보드용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고보트로 이루어지는 벽면에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의 과정으로 천공 및 고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대상물을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석고보드용 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100 : 앵커볼트 110 : 몸체
120 : 지지부 130 : 스크류부재
140 : 첨단부재 200 : 고정볼트
210 : 헤드부 300 : 벽면
310 : 설치공

Claims (7)

  1.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중공에 삽입되되 첨단부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용 앵커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단에는 드릴 형상으로 형성되는 첨단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용 앵커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첨단부재의 후단에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전단에는 상기 결합돌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용 앵커볼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첨단부재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의 전단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용 앵커볼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용 앵커볼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중심부에는 절곡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용 앵커볼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후단에는 벽면에 형성되는 설치공의 외측에 지지되도록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의 전부에는 상기 설치공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보드용 앵커볼트.
KR1020220061728A 2022-05-20 2022-05-20 석고보드용 앵커볼트 KR20230162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28A KR20230162173A (ko) 2022-05-20 2022-05-20 석고보드용 앵커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28A KR20230162173A (ko) 2022-05-20 2022-05-20 석고보드용 앵커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173A true KR20230162173A (ko) 2023-11-28

Family

ID=8895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728A KR20230162173A (ko) 2022-05-20 2022-05-20 석고보드용 앵커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21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13595A (zh) * 2023-12-08 2024-02-06 山东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绿色建筑体系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327B1 (ko) 2009-11-16 2012-05-29 김원일 길이 압축에 의한 부피 팽창형 칼브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327B1 (ko) 2009-11-16 2012-05-29 김원일 길이 압축에 의한 부피 팽창형 칼브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13595A (zh) * 2023-12-08 2024-02-06 山东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绿色建筑体系及方法
CN117513595B (zh) * 2023-12-08 2024-05-17 山东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绿色建筑体系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6716B1 (en) Anchor bolt
JP2520164B2 (ja) プラスチック材料製拡張および座屈プラグ
US6558094B2 (en) Plug to be fastened to hollow and solid building materials
JPS5888219A (ja) アンカ−ボルト
JP2000230520A (ja) アンカーボルト及びその施工工具
US4330230A (en) Anchor bolt assembly
JPH0672605B2 (ja) プラスチック拡張栓
KR101532703B1 (ko) 건축용 석재 위치고정장치
KR20230162173A (ko) 석고보드용 앵커볼트
JP2001289214A (ja) 拡開アンカー
JPH0868410A (ja) プラスチックから成る拡張栓
ES2231434T3 (es) Taco roscado en forma de manguito que enrosca en una ranura.
CA2453374C (en) Striking plug
WO2011059140A1 (ko) 길이 압축에 의한 부피 팽창형 칼브럭
KR100574578B1 (ko) 중공 및 중실 건축 자재에 고정하기 위한 플러그
US10641306B2 (en) Fixing bolt
FI59469B (fi) Expanderbar propp
US20150043989A1 (en) Wall screw anchor
US6186695B1 (en) Dowels for securing objects to walls
KR100557482B1 (ko) 프레임 연결부재
US1878600A (en) Bolt anchor having alpha collapsible head
JP2004339797A (ja) アンカー金具
JPH05126121A (ja) 打撃拡張栓
KR200286627Y1 (ko) 콘크리트앵커볼트
JPH037576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