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627Y1 - 콘크리트앵커볼트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앵커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627Y1
KR200286627Y1 KR2019980023378U KR19980023378U KR200286627Y1 KR 200286627 Y1 KR200286627 Y1 KR 200286627Y1 KR 2019980023378 U KR2019980023378 U KR 2019980023378U KR 19980023378 U KR19980023378 U KR 19980023378U KR 200286627 Y1 KR200286627 Y1 KR 200286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dy
bolt
concrete
anchor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915U (ko
Inventor
이학서
Original Assignee
이학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서 filed Critical 이학서
Priority to KR2019980023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62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9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9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627Y1/ko

Links

Landscapes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구조물을 콘크리트에 부착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고정되는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부착코자 하는 구조물의 두께에 맞는 길이의 일반용 볼트를 사용할 수 있고, 너트를 죌 때 앵커몸체가 헛돌지 않고, 절개부의 벌어짐 정도를 크게 하는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한 쪽 끝에서부터 일정거리 만큼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부를 갖는 관형의 앵커몸체와, 앵커몸체의 절개부쪽에 삽입되는 너트와, 앵커몸체의 절개부 반대쪽으로 관통하여 너트와 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되어, 콘크리트에 뚫은 구멍에 앵커몸체를 박고 외부에서 볼트를 조임에 따라 앵커몸체의 절개부가 벌어져 콘크리트 구멍 내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앵커볼트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앵커볼트 { Anchor bolt for concrete }
본 고안은 콘크리트에 부착되는 각종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박혀서 고정되는 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벽에 구조물을 부착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 앵커볼트를 박아 넣은 후 이 앵커볼트에 구조물을 고정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앵커볼트에 대해 도1a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a보면, 종래의 콘크리트 앵커볼트는, 콘크리트에 뚫은 구멍 내로 삽입되는 앵커몸체(1), 앵커몸체(1) 내부를 관통하는 볼트(2), 볼트(2)와 결합되는 너트(3), 앵커몸체(1)와 너트(3) 사이에 필요에 따라 끼워지는 와셔(4)로 크게 구성된다.
앵커몸체(1)는 원통 형상을 하고 있는데, 한 쪽 끝에서 일정거리 절개되어 있다. 이렇게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각 절개부(5)는 복수로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3, 4 개로 절개되는 것이 좋다.
볼트(2)는 일반 볼트와는 달리 특수한 형상으로 가공되는데, 볼트머리(2a)의 가장 끝 부분의 외경은 앵커몸체(1)의 외경과 같지만 가운데 부분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져서 볼트의나사부(2b)와 외경이 같아지도록 테이퍼 가공된다. 도1a에서와 같이 볼트머리(2a)가 앵커몸체(1)의 절개부(5)에 맞닿도록 볼트(2)가 앵커몸체(1) 내부에 삽입된다.
앵커몸체(1) 밖으로 나온 볼트의나사부(2b)에 결합되는 너트(3)는 일반적인 너트와 같다. 너트(3)와 함께 와셔(4)가 끼워져서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콘크리트 앵커볼트의 작용을 설명한다. 앵커볼트가 콘크리트에 박힌 모습을 도1b에 나타내었다. 먼저, 콘크리트에 드릴로 구멍(6)을 뚫는다. 이 콘크리트 구멍(6)의 내경은 앵커몸체(1)의 외경보다 약간 큰 정도로, 깊이는 볼트머리(2a) 끝에서부터 앵커몸체(1) 반대쪽 끝까지의 길이 정도가 되도록 뚫는다. 콘크리트 구멍(6)에 앵커몸체(1)를 삽입하는데, 볼트(2)의 나사부(2b)가 콘크리트 외부로 나오도록 삽입한다. 외부로 나와 있는 볼트(2)에 구조물(7)을 걸고 너트(3)를 죈다. 너트(3)를 죔에 따라 구조물(7)이 콘크리트면(8)에 고정되는데, 계속 너트(3)를 죄면 볼트머리(2a)가 앵커몸체(1)의 내부로 파고든다. 그러면, 앵커몸체(1)의 절개부(5)가 볼트머리(2a)의 테이퍼면에 밀려서 방사상으로 벌어진다. 벌어진 절개부(5)는 볼트머리(2a)와 더불어 콘크리트 구멍(6) 내부의 측벽에 밀착되어 앵커볼트 전체가 견고하게 콘크리트에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앵커볼트에는 몇 가지 단점이 있다. 벽에 부착코자 하는 구조물의 두께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볼트길이에 여유를 주어야 하기 때문에, 구조물을 부착하고 나서도 볼트의 나사부가 불필요하게 길게 나오게 되는 일이 많아 외관상 좋지 않다. 도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조물(7) 밖으로 튀어나와 있는 부분(9)을 말한다. 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볼트를 잘라낼 수는 있지만 이렇게 되면 작업수가 더 느는 것이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설치비용이 늘게 된다. 또한, 잘린 볼트조각이 그대로 버려지기 때문에 재료의 낭비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콘크리트에 뚫은 구멍에 앵커몸체를 삽입하고 너트를 죌 때 볼트머리가 앵커몸체의 절개부를 벌릴 때까지는 앵커몸체가 콘크리트 구멍 내에서 헛도는 일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처음에 볼트 끝부분을 외부에서 붙잡아 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쁜 문제가 있다.
또, 볼트머리의 최대 외경이 앵커몸체의 외경보다는 많이 클 수 없기때문에, 볼트머리의 테이퍼면에 의해 앵커몸체의 절개부가 벌어지는 정도가 그리 크지 않아서, 앵커볼트가 콘크리트와 결합되는 힘이 그렇게 크지가 않다.
본 고안의 목적은 부착코자 하는 구조물의 두께에 맞는 길이의 일반용 볼트를 사용할 수 있고, 너트를 죌 때 앵커몸체가 헛돌지 않고, 절개부의 벌어짐 정도를 크게 하는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앵커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a는 종래의 콘크리트 앵커볼트의 사시도이다.
도1b는 도1a의 앵커볼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앵커볼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앵커몸체(1)볼트(2)볼트머리(2a)
나사부(2b)너트(3)와셔(4)
절개부(5)콘크리트 구멍(6)구조물(7)
콘크리트면(8)튀어나온 볼트 끝부분(9)
앵커몸체(11)볼트(12)너트(13)
절개부(15)홈(16)제1돌기(17)
제2돌기(18)옆날개(19)
도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앵커볼트를 설명한다. 본 콘크리트 앵커볼트의 전체적 구성은 종래기술의 앵커볼트와 유사하다. 즉, 콘크리트에 뚫은 구멍 내로 삽입되는 앵커몸체(11), 앵커몸체(11) 내부를 관통하는 볼트(12), 볼트(12)와 결합되는 너트(13), 앵커몸체(11)와 너트(13) 사이에 필요에 따라 끼워지는 와셔(미도시)로 크게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에 대한 본 발명의 특징에 관해 설명한다. 종래의 앵커볼트에서는 일반적인 너트를 사용하고 볼트를 특수하게 가공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것과 달리 볼트로서는 일반적인 것을 사용하고 너트(13)를 특수하게 가공하였다. 너트(13)가 종래 것의 볼트머리(도1a의 2a)와 같은 형상으로 가공되어 앵커몸체의 절개부에 삽입된다. 너트(13)의 외경 중 가장 큰 외경은 앵커몸체(11)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큰 정도이고, 가장 작은 외경은 앵커몸체(11)의 내경과 접해서 볼트(12)가 견고하게 결합될 정도로만 가공되면 된다. 너트(13)의 나사산은 보통 너트의 나사산과 같은 규격으로 가공된다. 너트(13)의 작은 외경 부분의 둘레에는홈(16)이 패여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앵커몸체(11)에도 특징이 있다. 앵커몸체(11)에는 종래의 것과 같은 절개부(15) 이외에도, 절개부(15)의 끝 쪽에 내측으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15)의 끝면에 가까운 쪽에 있는 제1돌기(17)는 원주를 둘러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절개부(15)의 끝면에서 먼 쪽에 있는 제2돌기(18)는 각 절개부(15)당 2개씩 부분적으로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돌기(17)는 도면에는 원주를 둘러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표시되어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간격으로 군데군데 형성되는 것이 작업성 향상 측면에서 좋을 수도 있다. 그렇게 하더라도 너트(13)의 홈(16)과 결합되는데는 지장이 없을 것이다. 또한, 이후에 설명할 것이지만, 제2돌기(18)는 앵커몸체(11)의 내경을 좁히기 위하여 형성하는 것으로서 각 절개부(15) 당 2개씩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앵커몸체(11)의 외부로는 두 개의 옆날개(19)가 벌어져 있다. 옆날개(19)는 앵커몸체(11)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외측으로 펼쳐서 형성한다. 펼치는 각도가 일정할 필요는 없지만, 절개된 부분과 펼쳐지는 부분 사이의 각이 90°이내인 것이 바람직한데, 약 30~6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앵커몸체(11)는, 철판을 둥글게 말아서 원통형으로 가공하는데, 평판상태에서 제1돌기(17)와 제2돌기(18)와 절개부(15)와 옆날개(19)를 프레스로 찍어 형성한 후 평판을 원통형으로 말아서 가공할 수 있다. 앵커몸체(11)의 가공방법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볼트(12)는 상기 너트(13)의 나사산 피치와 맞는 것이라면 아무 볼트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앵커몸체(11)와 볼트(12) 사이에 와셔가 사용될 수 있다. 와셔로서 스프링와셔(도1a의 4)를 사용하면 볼트(12)의 풀림을 억제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콘크리트 앵커볼트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기본적인 작용원리는 종래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특징이 되는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볼트에서는, 앵커몸체(11)의 절개부(15)를 벌리는 작용을 하는 것이 종래의 볼트머리(도1a의 2a)가 아니라 테이퍼 가공된 너트(13)이다. 즉, 앵커몸체(11)를 콘크리트 구멍에 삽입할 때 너트(13)가 함께 삽입된다.
그래서, 너트(13)에 패인 홈(16)은, 종래와 달리 너트(13)가 콘크리트 구멍에 앵커몸체(11)와 함께 삽입되므로 너트(13)가 앵커몸체(11)로부터 이탈되면 안 되기 때문에 추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앵커몸체(11)의 제1돌기(17)와 너트(13)의 홈(16)이 결합되어 너트(13)가 앵커몸체(11)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앵커몸체(11)의 제1돌기(17)가 너트(13)의 홈(16)에 끼워지도록 양자의 치수가 조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너트(13)를 앵커몸체(11)와 함께 콘크리트 구멍으로 매립시키기 때문에 밖에서는 단순히 볼트(12)만을 돌려서 박으면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13)의 나사산과 맞기만 하면, 어떠한 볼트라도 사용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는 콘크리트에 부착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크기에 맞게 적절한 볼트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볼트머리만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외관상으로도 미려하고 볼트를 잘라내야 할 일이 없어져 작업이 단순해질 수 있다.
앵커몸체(11) 외부로 펼쳐진 옆날개(19)에 대해 설명한다. 이 옆날개(19)가 약 30~60°로 펼쳐져 있기 때문에 앵커몸체(11)를 콘크리트 구멍에 끼울 때에 옆날개(19)가 안쪽으로 힘을 받게 되고 그에 대한 반발력이 콘크리트 구멍 내벽에 가해져 앵커몸체(11)가 콘크리트 구멍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12)를 죄어 절개부(15)가 벌어지지 않더라도 앵커몸체(11)가 콘크리트 구멍에서 헛도는 일이 생기지 않는다.
절개부(15) 끝 내부의 제1돌기(17)와 제2돌기(18)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돌기(17)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너트(13)의 홈(16)과 결합되어 너트(13)가 앵커몸체(11)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고 처음 볼트(12)를 죌 때에 헛돌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제1돌기(17)는 너트(13)의 홈(16)과 쉽게 맞물릴 수 있도록 그 돌출면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돌기(18)는 너트(13)의 테이퍼면에 직접 닿아서, 볼트(12)를 죔에 따라 너트(13)가 앵커몸체(11) 내부로 파고들 때에 절개부(15)의 벌어짐 정도를 더 크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돌기(18)가 실질적으로 앵커몸체(11) 내부의 직경을 좁히고 있다. 제2돌기(18)가 있으므로써 종래의 것보다 더 작은 테이퍼면의 외경부위에서 절개부(15)가 벌어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절개부(15)의 벌어짐이 종래의 것보다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앵커볼트가 콘크리트 내에서 고정되는 고정력이 훨씬 증가된다. 이와 같이, 제2돌기(18)는 너트(13)의 테이퍼면에 의해 절개부(15)를 밖으로 벌리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제2돌기(18)의 돌출면은 테이퍼면이 미끄러지기 쉽도록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일반적인 볼트를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튀어나온 볼트를 잘라낼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재료의 낭비를 없앨 수 있다. 또, 앵커몸체에 옆날개를 펼쳐 놓아서, 볼트를 죄기 전에도 앵커몸체가 콘크리트 구멍 내에서 헛돌지 않고, 너트의 홈과 앵커몸체의 제1돌기가 결합되어 볼트를 죄기 시작할 때에도 너트가 헛돌지 않는다. 또한, 절개부의 벌어짐 정도가 커지기 때문에 콘크리트 내에서 고정되는 힘이 증가된다.

Claims (3)

  1. 한 쪽 끝에서부터 일정거리 만큼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부(15)와 상기 절개부(15) 끝 부분의 내부로 돌출된 제2돌기를 포함하는 관형의 앵커몸체(11)와, 상기 앵커몸체(11)의 절개부(15) 끝 부분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앵커몸체(11)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앵커몸체(11)의 내경보다 큰 직경인 부분을 가지는 너트(13)와, 상기 앵커몸체(11)의 절개부(15) 반대쪽으로부터 상기 앵커몸체(11)의 내부로 관통하여 상기 너트(13)와 결합되는 볼트(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앵커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몸체(11)는 상기 앵커몸체(11)의 일부가 절개되어 외측으로 펼쳐져 형성된 옆날개(1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앵커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13)는 앵커몸체(11)로 삽입되는 쪽 외경이 그 반대쪽 외경보다 작도록 테이퍼 되어 있고 외경이 작은 쪽의 원주면에 홈(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앵커몸체(11)의 절개부(15) 쪽 끝에는 상기 너트(13)의 홈(16)과 결합되는 제1돌기(17)가 앵커몸체(11)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앵커볼트.
KR2019980023378U 1998-11-28 1998-11-28 콘크리트앵커볼트 KR200286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378U KR200286627Y1 (ko) 1998-11-28 1998-11-28 콘크리트앵커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378U KR200286627Y1 (ko) 1998-11-28 1998-11-28 콘크리트앵커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915U KR20000010915U (ko) 2000-06-26
KR200286627Y1 true KR200286627Y1 (ko) 2002-10-19

Family

ID=6950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378U KR200286627Y1 (ko) 1998-11-28 1998-11-28 콘크리트앵커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6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292A (ko) * 2002-05-22 2003-11-28 석금국 구조물 고정용 앵커보울트
KR100839228B1 (ko) * 2008-01-16 2008-06-19 김종성 앵커 볼트
KR102089600B1 (ko) * 2019-09-23 2020-03-16 문상열 앵커볼트
KR102089611B1 (ko) * 2019-09-23 2020-03-16 문상열 앵커너트
CN111273513B (zh) * 2020-03-27 2021-09-24 宁波华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直流电解法制得的透明显示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78295B1 (ko) * 2021-02-22 2023-09-14 홍석환 탄성 고정력을 갖는 앵커볼트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915U (ko) 200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6716B1 (en) Anchor bolt
KR950008324B1 (ko) 앵커
US5993129A (en) Bolt anchoring device with improved plug portion of bolt
JPH05240223A (ja) プラスチック拡張栓
JP2010065851A (ja) 留め具
SK17072001A3 (sk) Kotva na upevnenie na dutých a plných stavebných materiáloch
US4789282A (en) Expansion anchor stud
KR200286627Y1 (ko) 콘크리트앵커볼트
JPH01150008A (ja) アンダカツトされた作孔内に固定される拡張栓
US6746186B2 (en) Boring tool
KR100823850B1 (ko) 앵커볼트
CA2159865A1 (en) All-metal expansible anchor and nail assembly
WO1998001647A1 (en) Fastener for adjustable fastening of a frame in a wall-opening
JPH0979239A (ja) ビスとビス固定補助具の組合せ体
KR20020074778A (ko) 인서트 드릴
KR200406105Y1 (ko) 셋트 앙카 볼트
KR200352238Y1 (ko) 셋트 앵커볼트
EP1055074B1 (en) Self-cutting board anchor
KR100276988B1 (ko) 볼트고정장치
JPH03134308A (ja) 石膏ボード等の内装材に使用するドリルねじ
KR200402350Y1 (ko)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
KR100389028B1 (ko) 앵커볼트
KR200275978Y1 (ko) 셋트앵커볼트
KR200290213Y1 (ko) 앵커볼트의 로킹장치
FI117802B (fi) Tulpp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