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238Y1 - 셋트 앵커볼트 - Google Patents

셋트 앵커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238Y1
KR200352238Y1 KR20-2004-0007625U KR20040007625U KR200352238Y1 KR 200352238 Y1 KR200352238 Y1 KR 200352238Y1 KR 20040007625 U KR20040007625 U KR 20040007625U KR 200352238 Y1 KR200352238 Y1 KR 200352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anchor bolt
incision
ho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양근
Original Assignee
최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양근 filed Critical 최양근
Priority to KR20-2004-0007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2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2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F16B13/06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fastened by extracting a separate expander-part, actuated by the screw, nail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셋트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간판이나 각종 구축물을 설치하기 위해 앵커볼트를 고정하게 될때 건축물의 콘크리트벽체에 매설고정되는 앵커볼트선단과 외장재의 관통구멍에 관통되어 위치하게 되는 앵커볼트부분을 각각 견고하게 고정시킬수 있도록 한 셋트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즉, 나사부(22)와 경사부(24)로 형성된 볼트(20)와, 볼트(20)에 삽입설치되고 전방절개부(26)가 확개되는 확개관(25)에 의해 벽체에 볼트(20)선단이 매설고정되고 상기 벽체(10)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외장재(12)의 관통구멍(14)부분에 볼트(20)를 관통상태로 고정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전방절개부(26)가 형성된 확개관(25)후단에 후방절개부(27)가 형성되고 그 후방절개부(27)내측에 경사면(29)이 형성된 쐐기부재(28)가 협지되게 구성된 제1고정구와, 나사부(32)와 후방절개부(34)가 형성된 확개부재(30)가 볼트(20)에 나사결합되고 후방절개부(34)내측에 경사면(38)이 형성된 쐐기부재(36)가 협지되게 구성된 제2고정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앵커볼트이다.

Description

셋트 앵커볼트{SET ANCHOR BOLT}
본 고안은 셋트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간판이나 각종 구축물을 설치하기 위해 앵커볼트를 고정하게 될때 건축물의 콘크리트벽체에 매설고정되는 앵커볼트선단과 외장재의 관통구멍에 관통되어 위치하게 되는 앵커볼트부분을 각각 견고하게 고정시킬수 있도록 한 셋트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공되는 건축물은 콘크리트 벽체로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의 벽체를 미려하게 하기 위해 대리석등의 외장재를 설치하되 외장재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벽체에 일정간격으로 매설고정시킨 앵커볼트에 브라켓을 결합하여 브라켓으로 외장재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장재를 설치하게 됨과 아울러 외장재 외측에 간판이나 각종 구축물을 설치하게 될때는 벽체에 앵커볼트의 선단을 매설고정시키고 외장재의 관통구멍에 관통되어 위치하게 되는 앵커볼트부분을 각각 고정구로 고정상태를 각각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경사부가 형성된 앵커볼트선단을 콘크리트벽체구멍에 끼우고 전방절개부가 형성된 확개관을 전방으로 강제압지시켜 확개되는 전방절개부에 의해서만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경사부에서 앵커볼트후단에 중량물인 간판이나 구축물이 설치된후 중량물의 자중에 의해 확개관이 후퇴하여 앵커볼트가 요동되거나 고정상태가 미약해질 염려가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실용신안등록제138240호에서는 앵커볼트선단의 경사부에 확개관을 압지시킨다음 확개관후단은 쐐기부재가 나사결합되어 쐐기부재의 단턱으로 밀착고정하고 또다른 구성의 확개관에 형성된 전방절개부가 쐐기부재 외측으로 확개되도록 강제 압지시켜 이중으로 협지시키는 수단에 의해 견고한 고정을 할수 있었으나 이는 전방확개관이 형성된 2개의 확개관과 나사구멍이 형성된 쐐기부재로 구성되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볼트후단부를 통해 볼트선단부까지 쐐기부재를 나사 결합하는데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통구멍부분에서의 앵커볼트 고정수단은 도 6에서와 같이 경사면(2)갖고 나사구멍(3)이 형성된 쐐기부재(1)를 볼트(20)에 나사결합으로 끼운다음 전방절개부(5)로 확개되는 확개부재(4)를 후방에서 강제압지시켜 쐐기부재(1)에 의해 확개되어지는 확개부재(4)의 전방절개부(5)가 외장재(12)의 관통구멍(14)에 밀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확개부재(4)의 전방절개부(5)확개부위가 외장재(12)의 관통구멍(14) 전방부분 즉, 내측단부에 위치하게 되는바, 이는 대리석등으로 되어 있는 외장재(12)에 관통구멍(14)을 천공하게 될때 외장재(12)의 관통구멍(14)내측단부가 떨어져서 나가거나 금이가게 되어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부위에 확개부재(4)의 전방절개부(5)가 확개되어 밀착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수 없었으며 이를 감안하여 관통구멍의 중간지점에 절개부가 확개되도록 하면 외장재 외측으로 확개부재가 돌출되므로 와셔(7)및 너트(6)을 체결할수 없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벽체에 매설고정되고 경사부를 가진 볼트선단에 전ㆍ후방절개부가 형성되어 확개되게 한 확개관이 삽입되고 확개관의 후방절개부에 쐐기부재가 협지되게하여 전ㆍ후방절개부가 각각 확개되어 벽체에 고정되게 한 제1고정구와, 외장재에 천공되는 관통구멍부분에는 볼트에 나사결합되고 후방절개부에 의해 확개되어지는 확개부재에 경사면을 가진 쐐기부재를 압지시켜 협지되게 한 구성으로 내구성이 좋은 관통구멍의 중간지점 또는 후방지점에 후방절개부가 확개되어 밀착되게 한 제2고정구의 구성으로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 셋트앵커볼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앵커볼트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제1고정구로 볼트 선단이 고정된 상태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에 의한 제2고정구로 관통구멍에 볼트가 고정되기전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제2고정구로 관통구멍에 볼트를 고정시킨 상태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관통구멍에 볼트를 고정시킨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제1고정구 B : 제2고정구
10 : 벽체 12 : 외장재
14 : 관통구멍 16 : 브라켓
20 : 볼트 22 : 나사부
24 : 경사부 25 : 확개관
26 : 전방절개부 27: 후방절개부
28 : 쐐기부재 29 : 경사면
30 : 확개부재 32 : 나사부
34 : 후방절개부 36 : 쐐기부재
38 : 경사면
나사부(22)와 경사부(24)로 형성된 볼트(20)와, 볼트(20)에 삽입설치되고 전방절개부(26)가 확개되도록한 확개관(25)에 의해 건축물의 콘크리트벽체(10)에 매설고정되고 상기 벽체(10)와 일정간격을 두고 브라켓(16)에 의해 외장재(12)가 설치되어 그 외장재(12)에 천공되는 관통구멍(14)부분에 볼트(20)를 관통상태로 고정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전방절개부(26)가 형성된 확개관(25)후단에 후방절개부(27)가 형성되고 그 후방절개부(27)내측에 경사면(29)이 형성된 쐐기부(28)가 협지되게한 제1고정구(A)와, 볼트(20)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22)가 형성되고 후방절개부(34)가 형성된 확개부(30)의 후방절개부(34)내측에 경사면(38)이 형성된 쐐기부재(36)가 협지되게한 제2고정구(B)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콘크리트벽체(10)와 일정간격을 두고 브라켓(16)에 의해 대리석등의 외장재(12)를 설치하되 외장재(12)외측에 간판이나 각종 구축물을 설치하기 위해 앵커볼트(20)의 선단은 콘크리트벽체(10)에 매설고정시키고 외장재(12)의 관통구멍(14)부분에서 관통되는 볼트(20)를 요동되지 않도록 고정설치하게 된다.
콘크리트벽체(10)구멍에 앵커볼트(20)의 선단을 고정하게 될때는 제1고정구(A)로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볼트(20)선단부분에 전ㆍ후방절개부(26)(27)가 형성된 확개관(25)과 경사면(29)이 형성된 쐐기부재(28)가 차례로 끼워진 상태에서 도3과 같이 볼트(20)선단의 경사부(24)에 의해 확개관(25)의 전방절개부(26)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벽체 구멍에 협지되고 후방절개부(27)는 강제압지되는 쐐기부재(28)의 경사면(27)에 의해 후방절개부(27)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벽체 구멍에 협지되는바, 이는 벽체(10)구멍에 확개관(25)의 전ㆍ후방절개부(26)(27)가 각각협지되어 긴밀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관통구멍(14)부분에서의 볼트(20)고정은 제2고정구(B)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도 4와 같이 볼트(20)에 확개부재(30)의 나사부(32)를 나사결합하되 후방절개부(34)가 관통구멍(14)의 후방부분에 놓여지도록 한 상태에서 경사부(38)를 가진 쐐기부재(36)로 강제압지시켜 협지되게 함으로서 도5와 같이 후방절개부(34)가 확개되어 볼트(20)를 고정시키게 된다.
즉, 확개부재(30)의 나사결합위치는 관통구멍(14)의 전방부분에 놓여지게 되는 것으로 그 결합위치는 외장재(12)의 관통구멍(14)길이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나 확개부재(30)의 후방절개부(34)는 관통구멍(14)의 중간지점 또는 후방지점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확개부재(30)는 외장재(10)의 내측으로 돌출되므로 외장재(12)의 외측에서 와셔(7)및 너트(6)를 체결하는데 지장을 주지않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은 확개부재(30)의 확개되는 후방절개부(34)가 외장재(12)의 관통구멍(14)에서 내구성이 좋은 부분 즉, 관통구멍(14)의 중간지점 또는 후방부분에 놓여져서 밀착고정되므로 요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건축물의 콘크리트벽체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대리석등의 외장재외측에 간판이나 각종 구축물을 설치하게 될때 앵커볼트의 선단은 전ㆍ후단에 전ㆍ후방절개부가 각각 형성된 확개관과 후방절개부에 협지되는 쐐기부재로 벽체에 견고하게 매설고정되고 외장재에 천공되는 관통구부분의 볼트는 나사부와 후방절개부로 확개되게 한 확개부재가 볼트에 나사결합되어 쐐기부재에 의해 후방절개부가 확개되는 구성으로 앵커볼트가 요동되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할수 있고 외장재의 외측에 와셔 및 너트등의 체결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에 의해 앵커볼트가 견고하게 각각 고정되어 간판이나 각종 구축물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나사부(22)와 경사부(24)로 형성된 볼트(20)와, 볼트(20)에 삽입설치되고 전방절개부(26)가 확개되는 확개관(25)에 의해 벽체에 볼트(20)선단이 매설고정되고 상기 벽체(10)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외장재(12)의 관통구멍(14)부분에 볼트(20)를 관통상태로 고정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전방절개부(26)가 형성된 확개관(25)후단에 후방절개부(27)가 형성되고 그 후방절개부(27)내측에 경사면(29)이 형성된 쐐기부재(28)가 협지되게 구성된 제1고정구와, 나사부(32)와 후방절개부(34)가 형성된 확개부재(30)가 볼트(20)에 나사결합되고 후방절개부(34)내측에 경사면(38)이 형성된 쐐기부재(36)가 협지되게 구성된 제2고정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트앵커볼트
KR20-2004-0007625U 2004-03-19 2004-03-19 셋트 앵커볼트 KR200352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625U KR200352238Y1 (ko) 2004-03-19 2004-03-19 셋트 앵커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625U KR200352238Y1 (ko) 2004-03-19 2004-03-19 셋트 앵커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238Y1 true KR200352238Y1 (ko) 2004-06-04

Family

ID=4934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625U KR200352238Y1 (ko) 2004-03-19 2004-03-19 셋트 앵커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23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882B1 (ko) * 2015-10-01 2016-03-02 주식회사 삼일지앤드엠 유리패널 고정구조
KR101896987B1 (ko) * 2018-02-13 2018-09-10 정정순 건축물 내장 또는 외장 마감재 고정장치
KR101906106B1 (ko) * 2018-03-23 2018-10-08 이양희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앵커볼트
KR101906673B1 (ko) * 2016-10-28 2018-10-10 강준우 내구성이 강화된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2352255B1 (ko) * 2020-12-24 2022-01-17 정철웅 외벽치장벽돌 고정용 앵커의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882B1 (ko) * 2015-10-01 2016-03-02 주식회사 삼일지앤드엠 유리패널 고정구조
KR101906673B1 (ko) * 2016-10-28 2018-10-10 강준우 내구성이 강화된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1896987B1 (ko) * 2018-02-13 2018-09-10 정정순 건축물 내장 또는 외장 마감재 고정장치
KR101906106B1 (ko) * 2018-03-23 2018-10-08 이양희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앵커볼트
KR102352255B1 (ko) * 2020-12-24 2022-01-17 정철웅 외벽치장벽돌 고정용 앵커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4324A (en) Hollow wall screw anchor
KR930009114B1 (ko) 분해 가능한 조립식 원목문
CA2420718A1 (en) Wall mounted toggle hook
US20100005756A1 (en) Wall Anchor
EP0523195A1 (en) Wall anchor
RU2002124440A (ru) Дистанциони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предмета на стене, имеющей слой изоляции
CA2728241C (en) Improved hollow wall fastener
KR200352238Y1 (ko) 셋트 앵커볼트
US20100011696A1 (en) Engagement bushing for cover panels with support core
KR20090036835A (ko) 셋트 앵커볼트
WO2013133755A1 (en) Wall screw anchor
KR200286627Y1 (ko) 콘크리트앵커볼트
JP2004270193A (ja) 化粧パネル材の取付金物及び化粧パネル材の取付金物製造方法
KR20080105665A (ko) 앵커볼트
KR20160149895A (ko) 부채살 돌출형 기능성 앙카볼트
JP2006009275A (ja) 屋根化粧パネル取付金具
KR200406105Y1 (ko) 셋트 앙카 볼트
KR200362505Y1 (ko) 세트 앵커볼트
KR200402350Y1 (ko)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
JPH02225811A (ja) 拡張栓
JP5004605B2 (ja) ボルト受け金物及び木製骨組部材の接合部構造
KR200462013Y1 (ko) 웨이 앵카볼트
US20040065795A1 (en) Anchoring device
GB2460121A (en) Hollow wall fixing
KR200487599Y1 (ko) 건물외장재 설치용 앵커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