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663A - 유전자변형 콩을 검정하기 위한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변형 콩의 검정방법 - Google Patents

유전자변형 콩을 검정하기 위한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변형 콩의 검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663A
KR20230161663A KR1020220061302A KR20220061302A KR20230161663A KR 20230161663 A KR20230161663 A KR 20230161663A KR 1020220061302 A KR1020220061302 A KR 1020220061302A KR 20220061302 A KR20220061302 A KR 20220061302A KR 20230161663 A KR20230161663 A KR 20230161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tically modified
positive control
modified soybean
soybean
base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모
이성진
정복남
김주현
전민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Priority to KR1020220061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663A/ko
Publication of KR2023016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66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31/00Reactions of nucleic acids characterised by
    • C12Q2531/10Reactions of nucleic aci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being amplify/increase the copy number of target nucleic acid
    • C12Q2531/113PC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Plant tra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자변형 콩을 검정하기 위한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변형 콩의 검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는 기존의 PCR 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유전자변형 콩 검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시중에서 유통 중이거나 수입되는 농산물 및 식품 등에서 다양한 형태의 유전자변형 콩 시료를 검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비용 및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전자변형 콩을 검정하기 위한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변형 콩의 검정방법{Positive control plasmid for screening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and method for screening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전자변형 콩을 검정하기 위한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변형 콩의 검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전자변형생물체(Living Modified Organism, LMO)는 인류가 직면한 식량부족, 환경변화, 대체에너지 개발 등 각종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여 다양한 작물에 대하여 연구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유전자변형 토마토가 처음으로 개발되어 상업화된 이후 다양한 작물에 대한 LMO가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는 의약품, 기능성 등의 가치를 지니는 LMO 개발로 확대되고 있다. 2008년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에 관한 법률(LMO법)'이 시행됨에 따라 LMO 수입의 용도별 수입 승인이 소관부처별로 의무화되고 국가차원에서 사후관리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또한, LMO 원료 및 생산물의 안전성 확보와 소비자의 알권리 제공의 일환으로 환경위해성 및 인체안전성 평가를 의무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유전자변형생물체로 옥수수, 콩, 면화 등이 있는데, 이 중 콩은 재배면적의 85%가 유전자변형 작물일 정도로 유전자변형 비율이 가장 높은 작물이다. 우리나라의 콩 자급률은 10%도 채 안 되는 7% 내외로, 우리가 먹는 대부분의 콩이 수입콩인 셈이다. 우리나라는 매년 100만 톤 이상의 콩을 미국과 브라질, 아르헨티나, 캐나다, 중국, 인도 등을 통해 수입하고 있다. 이 중 중국과 인도는 유전자변형 콩을 생산하고 있지 않지만 미국과 브라질, 아르헨티나, 캐나다 등 대부분의 나라는 유전자변형 콩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다. 식용으로 수입하는 콩은 크게 식품용과 가공용으로 나뉜다. 콩나물이나 두부, 두유처럼 식품용으로 직접 사용하는 콩은 대부분 일반 콩을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일반 콩 대부분은 GM 콩을 생산하지 않는 중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반면 간장이나 콩기름처럼 가공을 거치는 식품에는 가공용 수입 콩을 사용하는데, 가공용 콩 대부분은 유전자변형 콩이다.
최근들어 미승인 LMO의 불법생산, 불법유통 또는 환경방출(environmental release)이 국가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LMO 작물의 재배 및 유통 관리와 소비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LMO 검출 기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 개발되는 대부분의 LMO는 후대 교배종으로, 이에 대한 신속한 검출방법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현재 LMO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단백질의 항원항체반응을 이용한 스트립(strip) 및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분석법이 있으며,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분석법이 있다.
LMO의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다양한 이벤트(계통)에 대한 검출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이때 각 도입 유전자별 분석을 수행하여야 하나, 후대교배종 LMO의 경우 2~5개의 유전자가 집적되어 있어, 이들 유전자의 개별적 분석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비의도적 환경방출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알려져 있지 않는 수많은 LMO 이벤트들을 모두 검출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또한, 양성 시료는 구매가 어렵거나 고가이며, 반복 사용으로 인한 오염 문제가 우려되고 있으므로, 클론 형태의 양성대조군 확보가 요구된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2322080호에는 대두의 내인성 유전자 lectin, 터미네이터 T-nos 및 T-E9, 프로모터 P-RbcS4, pat 유전자, 유전자변형 대두 이벤트인 CV127, DP-305423-1 및 DP-356043-5에 특이적인 '유전자변형 대두 검출용 실시간 PC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RRS, A2704-12, MON89788, A5547-127, DP-356043-5, DP-305423-1, FG72, CV127, MON87701, MON87769, MON87705, DAS-68416-4, MON88708, DAS-44406-6, SYHTOH2, DAS-81419-2 및 MON87751의 유전자변형 콩 계통을 선별할 수 있는 '유전자변형 콩을 검정하기 위한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변형 콩의 검정방법'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유전자변형 콩 계통인 RRS, A2704-12, MON89788, A5547-127, DP-356043-5, DP-305423-1, FG72, CV127, MON87701, MON87769, MON87705, DAS-68416-4, MON88708, DAS-44406-6, SYHTOH2, DAS-81419-2 및 MON87751과 내재 유전자(lectin)에 각각 특이적인 프라이머 세트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를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양성대조군 서열을 주형으로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 양성대조군 서열의 제작에 사용된 각각의 프라이머 세트(표 1)가 비특이적 반응없이 예상되는 크기의 PCR 산물을 증폭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는 기존 PCR 검사법을 이용한 유전자변형 콩 검정 시 양성대조군으로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 검정용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를 포함하는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 검정용 플라스미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를 포함하는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 검정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전자변형 콩 시료의 핵산을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를 양성대조군으로 이용하여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의 특이적 염기서열을 증폭하는 PCR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표적 핵산을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를 검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는 기존의 PCR 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유전자변형 콩 검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시중에서 유통 중이거나 수입되는 농산물 및 식품 등에서 다양한 형태의 유전자변형 콩 시료를 검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비용 및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8개 농도(1 ng, 0.5 ng, 0.25 ng, 0.125 ng, 0.0625 ng, 0.0313 ng, 0.0156 ng, 0.0078 ng)의 양성대조군 서열(서열번호 1)을 주형으로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 검정용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유전자변형 콩'은 자연상태의 생리적 증식·재조합 또는 전통적인 교배·선발에서 사용되지 않는 현대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생물종의 유전물질을 인위적으로 변형시킨 LMO(Living modified organisms) 콩(soybean)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를 포함하는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 검정용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는 다양한 유전자변형 콩 계통과 콩 내재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세트의 염기서열(표 1 참고)에 대한 표적 부위를 포함하여 인공적으로 합성한 것으로, 비특이적 반응없이 각 프라이머 세트의 예측되는 증폭 산물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증폭 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합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는 유전자변형 콩 계통인 RRS, A2704-12, MON89788, A5547-127, DP-356043-5, DP-305423-1, FG72, CV127, MON87701, MON87769, MON87705, DAS-68416-4, MON88708, DAS-44406-6, SYHTOH2, DAS-81419-2 및 MON87751과 콩 내재 유전자(lectin)에 각각 특이적인 총 19개의 프라이머 세트에 대한 표적 부위의 염기서열과 인위적인 염기서열을 추가하여 인공적으로 합성한 염기서열로, 서열번호 1의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는 표 1에 개시된 총 19개의 프라이머 세트에 대한 양성대조군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를 포함하는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 검정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키트에서, 상기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 검정용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는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키트는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 유전자변형 콩 특이적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는 유전자변형 콩을 검정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표 1에 개시된 프라이머 세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있어서, 상기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은 DNA 폴리머라제, dNTPs 및 버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또한 최적의 반응 수행 조건을 기재한 사용자 안내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내서는 키트 사용법, 예를 들면, 역전사 완충액 및 PCR 완충액 제조 방법, 제시되는 반응 조건 등을 설명하는 인쇄물이다. 안내서는 팜플렛 또는 전단지 형태의 안내 책자, 키트에 부착된 라벨, 및 키트를 포함하는 패키지의 표면상에 설명을 포함한다. 또한, 안내서는 인터넷과 같이 전기 매체를 통해 공개되거나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전자변형 콩 시료의 핵산을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를 양성대조군으로 이용하여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의 특이적 염기서열을 증폭하는 PCR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표적 핵산을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를 검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시료는 유전자변형 콩과 관련된 식물, 식물 종자, 식물 세포, 후대 식물, 농업 생산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 검정용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는 PCR 방법을 이용하여 유전자변형 콩을 검정하는 과정에서 RRS, A2704-12, MON89788, A5547-127, DP-356043-5, DP-305423-1, FG72, CV127, MON87701, MON87769, MON87705, DAS-68416-4, MON88708, DAS-44406-6, SYHTOH2, DAS-81419-2 및 MON87751의 유전자변형 콩 계통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에 대한 양성대조군으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를 검정하는 방법은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의 핵산을 주형으로 하고, 각 유전자변형 콩의 특이적 염기서열을 증폭하는 단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염기서열의 증폭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1. 양성대조군 클론을 제작하기 위한 염기서열 설계 및 검증
본 발명자는 유전자변형(LMO) 콩 계통별 프라이머 세트들의 PCR 검사 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될 수 있는 콩 양성대조군 서열(이하, 콩 양성대조군 클론)을 제작하였다. 상기 양성대조군 클론은, 본 발명의 LMO 콩 18계통 및 콩 내재 유전자(lectin)에 각각 특이적인 총 19개의 프라이머 세트가 각각 비특이적 반응 없이 각 프라이머 세트의 예측되는 증폭산물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증폭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프라이머 염기서열과 인위적인 염기서열을 추가하여 설계한 염기서열(서열번호 1)이다(표 1). 본 발명에서는 양성대조군 염기서열을 설계한 후, pMG-Amp 벡터(Macrogen Inc.)에 클로닝된 형태로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양성대조군 클론은 유전자변형 콩 계통인 RRS, A2704-12, MON89788(1), MON89788(2), A5547-127, DP-356043-5, DP-305423-1, FG72, CV127, MON87701, MON87769, MON87705, DAS-68416-4, MON88708, DAS-44406-6, SYHTOH2, DAS-81419-2 및 MON87751과 콩 내재 유전자(lectin)에 특이적인 총 19개의 프라이머 세트의 염기서열과 인위적인 염기서열을 추가하여 합성한 염기서열이다.
2.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콩 양성대조군 클론의 초기 농도를 1 ng으로 하여, 2배씩 희석하는 방식으로 8개의 농도(1 ng, 0.5 ng, 0.25 ng, 0.125 ng, 0.0625 ng, 0.0313 ng, 0.0156 ng, 0.0078 ng)를 만들었다. PCR에 사용한 19개의 프라이머 세트는 LMO 콩 계통별 특이적 프라이머 세트와 내재 참조 유전자(lectin)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로 구성되었다.
PCR 과정은 전변성 95℃ 10분; 변성(denaturation) 95℃ 30초, 결합(annealing) 각 프라이머별 특정 온도(표 1 참고)에서 30초, 신장(extension) 72℃ 30초의 과정을 총 40회 반복; 최종 신장 72℃ 7분의 조건으로 수행하였으며, PCR 증폭 산물은 5300 Fragment analyzer(agilent)로 전기영동하여 확인하였고, 결과 데이터 수집은 Prosize 3.0으로 하였다.
실시예 1. LMO 콩 계통 검정용 양성대조군 클론의 검증
본 발명의 양성대조군 클론은 RRS, A2704-12, MON89788(1), MON89788(2), A5547-127, DP-356043-5, DP-305423-1, FG72, CV127, MON87701, MON87769, MON87705, DAS-68416-4, MON88708, DAS-44406-6, SYHTOH2, DAS-81419-2 및 MON87751의 유전자변형 콩 계통 검사용 및 콩 내재 유전자(lectin) 확인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콩 양성대조군 클론의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1 ng, 0.5 ng, 0.25 ng, 0.125 ng, 0.0625 ng, 0.0313 ng, 0.0156 ng, 0.0078 ng 농도의 양성대조군 클론을 주형으로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 콩 양성대조군 클론 제작에 사용된 프라이머 세트들이 8개 농도에서 모두 예상되는 크기의 PCR 산물을 증폭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내지 도 5).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양성대조군 클론은 1 ng에서 0.0078 ng까지 높은 검출 효율성을 보이고, ng 당 높은 카피수를 가지는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존에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검정하고자 하는 콩 계통과 내재 유전자를 주형으로 하여 각각 PCR을 수행한 후 증폭된 산물을 정제하고 핵산을 수득하는 과정을 통해 (양성)대조군을 제작하였는데, 기존의 방식으로 제조된 대조군은 검사시료 유래 증폭산물과 동일한 염기서열로 이루어져 있어 대조군의 실험실 오염 시에 구분이 불가하고, 각각의 대조군 핵산을 정제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반복 사용으로 인해 대조군의 오염에 대한 문제가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양성대조군 클론은 LMO 콩 계통별 및 콩 내재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세트 19개(표 1)의 염기서열 이외에 LMO 콩과 관련이 없는 인위적인 서열로 구성되어 있어 양성대조군의 오염 확인이 용이하며, 다양한 LMO 콩 계통 및 내재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세트가 모두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특이적 반응없이 19개의 프라이머 세트들이 각각 모두 예상되는 크기의 PCR 산물을 증폭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양성대조군 클론은 기존의 양성대조군에 비해 LMO 콩 식물체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검정할 수 있는 양성대조군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성대조군 클론은 표 1에 개시된 LMO 콩 계통별 및 콩 내재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 세트에 대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 PCR 검사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유전자변형 콩을 검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10> REPUBLIC OF KOREA(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120> Positive control plasmid for screening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and method for screening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using the same <130> PN22121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14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ositive control plasmid <400> 1 aaatgacgca caatcccact atctcggcaa aaaagcggtt agctcctgat cccgctctag 60 cgcttcaatg aacagttgcg cagcctgaat cctgtggtta tggcggtgcc atcggacaaa 120 gcccctcgaa acttgttccg ataggcccgt gttctctttt tggctacgat tctgcaggtc 180 ctgctcgagc agttcctcag ttacggatcc taccagtgca agacaccacg atgcctgtag 240 cacgactttt gcccgaggtc gttagccaac tatagcagcc aggttagaaa ttcacggcgt 300 agggcgaata catcagcatc agtggctaca gcctactcaa caaggtcagg gtacagagtc 360 gcaagtccca gtctcagaag accaaagggc tgctatattc tggttccaat ttatcgatgc 420 aagccctcct tatttatccc cttagtaagc accgcagcac gcttagtgtg tgtgtcaaac 480 atgggactgt ggtcatcaat acgtgcctca tgccctctac tccaccccca tcctcaattt 540 tcatccttaa acgaacctga cagcacttat tggtacttgt ccagttaact gcaggtcgac 600 ggatcccaca aaaaggcttg cagatgggca ctccatattg accatcatac tcattgccat 660 cggtgcctgt tgatccttgc agtgcccgta agatccgcga agagactcag ggtgttgtta 720 tcatcgaaca ttgcacgact cccatgagtt cgcgcaaact aggataaatt atcgcggagt 780 cgcttagata tcgagcggta cttgctcttg tcgtaagtca ataaattcgc atgaggctgc 840 taggcacccg ttggatatcc tgatttccag ataggcaacc ctaaaccaat ggcacacaga 900 gcatcatcac accaaaagtt aggcccatcc tggctacggg atcagggcat ccacgagctt 960 atccacgagc atcgatgtag atttcccgga catgaagctg cgcaccctac gattcagtgt 1020 cggctttcct acactgatag tttaaactga aggcgcctga aagaaaagac aagtgtcgag 1080 catacggtag agcaatcatg atggagctat ccgagcggtt tgaaattaga aagctcgcaa 1140 ttaaa 1145

Claims (5)

  1.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 검정용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
  2.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를 포함하는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 검정용 플라스미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는 RRS, A2704-12, MON89788, A5547-127, DP-356043-5, DP-305423-1, FG72, CV127, MON87701, MON87769, MON87705, DAS-68416-4, MON88708, DAS-44406-6, SYHTOH2, DAS-81419-2 또는 MON87751의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를 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 검정용 플라스미드 조성물.
  4.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를 포함하는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 검정용 키트.
  5. 유전자변형 콩 시료의 핵산을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를 양성대조군으로 이용하여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의 특이적 염기서열을 증폭하는 PCR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표적 핵산을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변형 콩 식물체를 검정하는 방법.
KR1020220061302A 2022-05-19 2022-05-19 유전자변형 콩을 검정하기 위한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변형 콩의 검정방법 KR20230161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302A KR20230161663A (ko) 2022-05-19 2022-05-19 유전자변형 콩을 검정하기 위한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변형 콩의 검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302A KR20230161663A (ko) 2022-05-19 2022-05-19 유전자변형 콩을 검정하기 위한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변형 콩의 검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663A true KR20230161663A (ko) 2023-11-28

Family

ID=8895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302A KR20230161663A (ko) 2022-05-19 2022-05-19 유전자변형 콩을 검정하기 위한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변형 콩의 검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6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62921B (zh) 用于检测黄瓜果肉颜色的snp标记及其应用
CN111733281B (zh) 一种用于鉴定小麦籽粒过氧化物酶活性的分子标记及其应用
CN105543222B (zh) 大豆百粒重主效QTL的分子标记InDeL_33及其应用
CN112159858B (zh) 与花椰菜紫色基因紧密连锁的分子标记及应用
TWI317382B (en) Method and kits for detect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CN108285927A (zh) 一种水稻镉积累相关基因OsHMA3的基因内分子标记Caps7及其应用
KR100919753B1 (ko) 메론 및 참외에서 유용한 흰가루병 저항성 연관 scar마커 및 이를 이용한 저항성 참외 품종 선발방법
CN107988409A (zh) 鉴别水稻耐盐基因OsRR22野生型或突变体的特异性CAPS标记、引物及该引物用途
Pinar et al. Determination of genetic diversity among wild grown apricots from Sakit valley in Turkey using SRAP markers
KR20070033780A (ko) 배추과 작물의 품종 구분 및 유용표지인자 개발수단으로서의 왜성전이인자, 이를 이용한 dna 표지인자제작용 프라이머, 및 이들을 이용한 배추과 작물의 품종구분방법
CN108384873A (zh) 用于西瓜绿凤凰杂交种子纯度鉴定的ssr标记及方法
CN108103220A (zh) 一种高通量的转基因元件筛选检测的方法
CN109517921B (zh) 大麦P3G和C3G合成主效QTL紧密连锁的InDel分子标记及其应用
CN108531642B (zh) 一组用于鉴别玉米品种的ssr分子标记及其应用
CN110592079A (zh) 水稻细长粒基因slg7分子标记引物及其应用
KR20230161663A (ko) 유전자변형 콩을 검정하기 위한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변형 콩의 검정방법
CN117230227A (zh) 与豇豆花青素含量紧密连锁的snp位点、kasp标记及其应用
Dida Molecular Markers in Breeding of Crops: Recent Progress and Advancements
CN108165652A (zh) 用于香榧苗期性别鉴定的特异性分子标记tgmi001
KR101820077B1 (ko) 유전자 변형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 검정용 프라이머,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검정 방법
CN103725777A (zh) 一种快速检测转基因大豆mon89788的实时荧光pcr方法
KR20230123623A (ko) 유전자변형 유채를 검정하기 위한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변형 유채의 검정방법
KR102543735B1 (ko) 유전자변형 옥수수를 검정하기 위한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변형 옥수수의 검정방법
KR20230123624A (ko) 유전자변형 면화를 검정하기 위한 양성대조군 플라스미드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변형 면화의 검정방법
Ejaz et al. Validation and use of DNA markers for sex determination in papaya (Carica papa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