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485A - 결합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결합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485A
KR20230160485A KR1020220059990A KR20220059990A KR20230160485A KR 20230160485 A KR20230160485 A KR 20230160485A KR 1020220059990 A KR1020220059990 A KR 1020220059990A KR 20220059990 A KR20220059990 A KR 20220059990A KR 20230160485 A KR20230160485 A KR 20230160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art
fastening
contact portion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10976B1 (ko
Inventor
이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전진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전진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전진계전
Priority to KR1020220059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0976B1/ko
Publication of KR20230160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0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0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2Details of mechanic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4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with the possibility for the connection to absorb deformation, e.g. thermal or vibrati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는 합성수지재로써 중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접촉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배치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접촉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 1 체결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배치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제 2 접촉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 2 체결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상기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는 서로 착탈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분전반에 포함되는 상부판과 하부판 간의 간격이 다소 변경되는 경우에도,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분전반의 상부판과 하부판 간 견고한 결합을 이루면서도, 분전반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 지진 등과 같은 상황 시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에도 결합 부분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결합용 구조체{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결합용 구조체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간격의 결합 폭에 대응 가능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을 이루고,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진동에 용이하게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결합용 구조체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는 분전반의 결합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분전반은 건물 또는 아파트와 같은 대형 건물에서 소요되는 전력을 영역 별로 분배하고, 과전류를 차단하는 장치이다.
상기 분전반은 각종 차단기와 부스바들을 포함하는 하부판과 상기 구성품들을 상부에서 덮어 노출을 방지하는 상부판을 포함한다.
종래, 상기 분전반의 상부판과 하부판을 볼트로 체결함에 따른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결합용 구조체를 출원하였다.(공개번호 10-2016-0121875 호)
상기 출원에서는, 결합용 구조체의 몸체부(610) 상단부(630)에 제 1 결합부(620)가 배치되고, 하단부(650)에 제 2 결합부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부(620)는 상기 상단부(630)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상단부(63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부(640)는 볼트축으로 구성되되, 상기 하단부(650)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결합부(64)는 예를 들어 인서트 사출과 같은 제조 공정에 의해,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상기 하단부(65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절두 원추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제 1 결합부(620)를 분전반의 상부판에 형성되는 결합개구 내로 삽입하여 거치시키고, 상기 제 2 결합부(640)는 대면하는 하부판에 형성되는 결합개구 내로 삽입하여 거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부(640)에 너트를 결합함으로써, 분전반의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제 1 결합부(620) 부분이 상기 상단부(630) 부분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이 상기 제 1 결합부(620)를 분전반의 상부판 또는 하부판에 형성되는 결합개구 내로 삽입하기에는 용이하지만, 상하부판 간의 결함을 이룬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간의 상대적 유동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분전반에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결합부(620) 부분 역시 유동되어 분전반의 상부판과 하부판 역시 들썩이게 되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유동으로 인해 상기 제 1 결합부(620) 부분이 파손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서는 몸체부(610)의 상단부(630)와 하단부(650) 사이의 폭에 대해서만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폭보다 다소 크거나 작을 경우에는 견고한 결합을 이루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간격의 결합 폭에 대응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결합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견고한 결합을 이루면서도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합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진 등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진동에 용이하게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결합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중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접촉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배치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접촉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 1 체결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배치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제 2 접촉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 2 체결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상기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는 서로 착탈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체결부에서 상기 제 2 체결부를 대면하는 측에는 나사산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부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체결부에서 상기 제 2 접촉부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너트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체결부에서 상기 제 1 접촉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단부는 4분할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체결부의 4분할 형성되는 돌출단부에서 분전반에 접촉되는 표면에는 탄성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에서 분전반에 접촉되는 표면에는 방사상 방향을 따르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분전반에 포함되는 상부판과 하부판 간의 간격이 다소 변경되는 경우에도,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분전반의 상부판과 하부판 간 견고한 결합을 이루면서도, 분전반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지진 등과 같은 상황 시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에도 결합 부분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종래 결합용 구조체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의 단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구조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는 상기 결합용 구조체가 분전반의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체결부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접촉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의 단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구조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는 상기 결합용 구조체가 분전반의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체결부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접촉부의 사시도이다.
도 2 와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중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접촉부(20)와,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접촉부(30)와, 상기 몸체부(10) 내부에 배치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접촉부(2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 1 체결부(40)와, 상기 몸체부(10) 내부에 배치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제 2 접촉부(3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 2 체결부(50)와, 상기 몸체부(10) 내부에서 상기 제 1 체결부(40)와 제 2 체결부(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체결부(40)와 제 2 체결부(5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부(6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체결부(40)와 제 2 체결부(50)는 서로 착탈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전체적으로 중공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합성수지재로써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봉을 가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1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 1 접촉부(20)가 결합된다.
상기 제 1 접촉부(20)는 분전반의 상판 또는 하판의 내면에 접촉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단부(22)는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접촉부(20)에서 상기 상단부(22) 부분은 나머지 부분에 비해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촉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일측 단부에 나사산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 2 접촉부(30)가 결합된다.
상기 제 2 접촉부(30)는 상기 제 1 접촉부(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접촉부(20) 역시 분전반의 상판 또는 하판의 내면에 접촉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단부(32)는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접촉부(30) 역시 상기 상단부(32) 부분은 나머지 부분에 비해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접촉부(30) 역시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에 나사산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 내부에서 일측에는 상기 제 1 체결부(40)가 배치된다.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체결부(4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부몸체부(42)와 상기 체결부몸체부(4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단부(4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몸체부(42)에는 걸림턱부(44)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부(44)는 상기 체결부몸체부(42)에 비해 더욱 큰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부(44)는 상기 스프링부(60)에 의해 지지되어, 도 2 에서 상기 제 1 체결부(40)는 상시 상방을 향하여 힘을 받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단부(46)는 전체적으로 절두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4분할 형성되어 방사상 방향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돌출단부(46)가 절두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2분할 형성되어, 방사상 방향을 향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40)가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단부(46)는 상기 제 1 접촉부(2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체결부(40)에서 상기 제 2 체결부(50)를 대면하는 측에는 나사산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개구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체결부(50)와 나선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 내부에서 타측에는 제 2 체결부(50)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체결부(50)는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체결부(50) 내부에도 걸림턱부(56)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부(56) 역시 상기 제 2 체결부(50)에 비해 더욱 큰 외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걸림턱부(56) 부분이 상기 스프링부(60)에 의해 지지되어, 도 2 에서 상기 제 2 체결부(50)는 상시 하방을 향해 힘을 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림턱부(56)는 상기 제 2 체결부(50)에 결합될 수 있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결부(50)는 상기 몸체부(10) 내부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일측 단부가 상기 제 2 접촉부(3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 1 체결부(40)의 하단부와 제 2 체결부(50)의 상단부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부(60)가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부(60)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체결부(40)와 제 2 체결부(50)의 걸림턱부(44, 56)를 통해 탄성력을 인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체결부(40)에 형성되는 나사산개구 부분에 볼트축으로 형성되는 제 2 체결부(50)의 상부(54)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즉, 도 2 에서 상기 제 2 체결부(5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체결부(50)의 상부(54) 부분이 상기 제 1 체결부(40)의 나사산개구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결부(50)를 역방향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체결부(40)와 제 2 체결부(50) 간의 결합을 해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체결부(50)에서 상기 제 2 접촉부(30)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52)에는 너트(7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체결부(40)의 돌출단부(46)를 분전반의 하판(110)에 형성되는 결합용 개구(112) 내로 삽입한다.
그리하여, 상기 돌출단부(46)가 상기 결합용 개구(112)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결부(50)를 분전반의 상판(120)에 형성되는 결합용 개구(122) 내로 삽입한다.
그리하여, 상기 제 2 체결부(50)의 단부(52) 부분은 상기 분전반 상판(1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체결부(50)를 상기 제 1 체결부(40) 측으로 이동 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제 2 체결부(50)의 단부(54) 부분이 상기 제 1 체결부(40)의 나사산개구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4 에서 상기 제 2 체결부(50)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체결부(40)와 결합한다면, 상기 제 1 체결부(40)의 돌출단부(46)는 조금씩 상방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분전반의 하판(110)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은 제 1 체결부(40)의 상방 이동에 의해, 상기 돌출단부(46)와 상기 분전반의 하판(110)이 견고히 서로 밀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돌출단부(46)와 분전반의 하판(110)이 서로 견고히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분전반의 상판(120) 외부로부터 상기 제 2 체결부(50)의 단부에 상기 너트(70)를 체결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원발명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가 분전반(100)의 상판(120)과 하판(1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매우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120)과 하판(110) 사이의 폭이 다소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도 5 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체결부(40)의 4분할 형성되는 돌출단부(46)에서 분전반에 접촉되는 표면에는 탄성층(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층(80)은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탄력적인 합성수지재 수지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가 분전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분전반에 외부로부터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층(80)으로써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6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접촉부(20)와 제 2 접촉부(30)에서 분전반에 접촉되는 표면(22, 32)에는 방사상 방향을 따르는 오목부(24, 34)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24, 34)들의 단면에서 모서리 부분들이 분전반 표면에 마찰력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가 분전반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가 더욱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히 분전반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된 "포함된다" 또는 "구성된다" 의 용어는 해당 구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외 다른 구성 요소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몸체부
20: 제 1 접촉부
30: 제 2 접촉부
40: 제 1 체결부
50: 제 2 체결부
60: 스프링부
70: 너트
80: 탄성층

Claims (6)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중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접촉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배치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접촉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 1 체결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배치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제 2 접촉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 2 체결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상기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는 서로 착탈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에서 상기 제 2 체결부를 대면하는 측에는 나사산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부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부에서 상기 제 2 접촉부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너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에서 상기 제 1 접촉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단부는 4분할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의 4분할 형성되는 돌출단부에서 분전반에 접촉되는 표면에는 탄성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에서 분전반에 접촉되는 표면에는 방사상 방향을 따르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 구조체.
KR1020220059990A 2022-05-17 2022-05-17 결합용 구조체 KR102710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990A KR102710976B1 (ko) 2022-05-17 2022-05-17 결합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990A KR102710976B1 (ko) 2022-05-17 2022-05-17 결합용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485A true KR20230160485A (ko) 2023-11-24
KR102710976B1 KR102710976B1 (ko) 2024-09-30

Family

ID=88972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990A KR102710976B1 (ko) 2022-05-17 2022-05-17 결합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09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231A (ko) * 2006-09-29 2008-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길이가변형 볼트구조와 이를 이용한 상용 차량의 적재함장착구조
KR20130066729A (ko) * 2011-12-13 2013-06-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결합장치
KR20160121875A (ko) * 2015-04-13 2016-10-21 이선호 결합용 구조체
KR102201228B1 (ko) * 2020-05-25 2021-01-11 사단법인 행복드림복지회 충격 완화장치를 구비한 내진분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231A (ko) * 2006-09-29 2008-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길이가변형 볼트구조와 이를 이용한 상용 차량의 적재함장착구조
KR20130066729A (ko) * 2011-12-13 2013-06-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결합장치
KR20160121875A (ko) * 2015-04-13 2016-10-21 이선호 결합용 구조체
KR102201228B1 (ko) * 2020-05-25 2021-01-11 사단법인 행복드림복지회 충격 완화장치를 구비한 내진분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10976B1 (ko) 202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591B1 (ko) 고정 장치, 기기의 고정 구조, 기기의 고정 방법
KR960009735B1 (ko) 케이블 부싱을 위한 조임장치
KR101193472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2140527B1 (ko) 내진 성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마운트 구조
KR20150121405A (ko) 수변전 및 배전설비용 내진장치
JPH10231894A (ja) 一定の水平方向固有振動数の振動を絶縁するマウントパッドインサート
KR200448330Y1 (ko) 신축 콘센트박스
CN108869626A (zh) 一种金字塔型可调节式隔振平台
KR20230160485A (ko) 결합용 구조체
KR102454872B1 (ko) 스프링을 이용한 내진용 외장재 고정장치
US9752330B2 (en) Base isolation floor structure
US10688628B2 (en) Fixing structure
KR100475692B1 (ko) 방음판 고정용 록킹장치
KR940004124Y1 (ko)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 록킹장치
WO2017175412A1 (ja) 構造物用支承装置
KR101733038B1 (ko) 실링 및 절연 평와셔
KR101233132B1 (ko) 전(全)방향 진동 및 충격 방지를 위한 엣지 락
CN210807802U (zh) 一种两层堆叠电路板空间结构
JP6420954B2 (ja) 二重床用の支持脚及び二重床設備
KR200335548Y1 (ko) 악세스 플로어 지지대
KR101895222B1 (ko) 서랍용 인서트 너트
JP6591310B2 (ja) 使用済燃料貯蔵ラック
JP7359741B2 (ja) 粘着マット付き固定部材及び粘着マット付き固定部材の設置構造
JP7239318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KR101209402B1 (ko) 와셔 일체형 케이블 덕트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