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330Y1 - 신축 콘센트박스 - Google Patents

신축 콘센트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330Y1
KR200448330Y1 KR2020090010755U KR20090010755U KR200448330Y1 KR 200448330 Y1 KR200448330 Y1 KR 200448330Y1 KR 2020090010755 U KR2020090010755 U KR 2020090010755U KR 20090010755 U KR20090010755 U KR 20090010755U KR 200448330 Y1 KR200448330 Y1 KR 200448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ariable body
interior material
variable
outle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열
Original Assignee
김세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열 filed Critical 김세열
Priority to KR2020090010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3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3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내장재의 위치 및 두께에 대응하여 콘센트를 설치할 수 있는 신축 콘센트박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는, 벽체에 콘센트를 설치하기 위한 콘센트박스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내장되고, 관형상을 가지는 본체; 관형상을 가지고,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를 따라 전후 이동이 가능한 가변체; 상기 본체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가변체 외면에서, 상기 제1걸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2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변체는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내장재를 향해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내장재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가변체의 외면과 상기 내장재가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와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할 수 있다.
콘센트, 커버, 내장재, 벽체, 신축, 높이

Description

신축 콘센트박스{EXPANSION AND CONTRACTION RECEPTACLE BOX}
본 고안은, 신축 콘센트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에 콘센트를 설치하기 위한 신축 콘센트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축물에서 전기선 또는 신호선(전화선, TV안테나선 광케이블 등) 등을 필요로 하는 각종 건축물의 벽체에는 콘센트가 설치되는데, 이 콘센트는 벽체에 매설된 콘센트박스를 통해 설치 고정되며, 외부의 습기나 이물질이 콘센트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콘센트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1 내지 3은 종래의 콘센트박스의 설치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콘센트박스(10)는 건물 시공 시 전기선, 전화선 등과 같은 전선이 배선될 수 있게 하며, 도1과 같이 콘크리트 등에 매립되어 벽체(30)에 고정되고, 전면에 콘센트(20) 등의 전장부가 설치된다.
하지만 이러한 콘센트박스(10)는 건물의 내측 벽체(30)에 고정 설치되므로 차후 벽면에 설치되는 합판과 같은 내장재(40)의 두께, 또는 내장재(40)가 벽면으 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의 이격 높이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콘센트박스(10)는 콘센트박스(10)의 깊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합판의 위치에 따라 재설치하거나, 도2와 같이 나사(12)를 이용하여 콘센트(20)와 콘센트커버(21)의 위치를 콘센트박스(10)로부터 이격하여 위치시켜야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콘센트박스(10)는 합판 등과 같은 내장재(40)가 설치되는 경우, 이에 대응할 수 없고, 나사(12)를 이용하여 콘센트(20)와 콘센트커버(21)의 위치를 콘센트박스(10)로부터 돌출시켜 위치시킬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 경우에 콘센트(20)가 콘센트박스(10)로부터 돌출되므로, 콘센트(20)가 콘센트박스(10)에 의해 보호될 수 없고, 콘크리트 분진과 같은 각종 이물질에 노출되며, 이로 인하여 합선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센트박스(10)와 내장재(40)가 서로 이격되므로 콘크리트 분진이나 각종 이물질이 콘센트박스(10) 내부로 유입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콘센트박스(10)가 내장재(40)의 높이에 대응하는 경우에 도3과 같이 콘센트박스(10)의 전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돌출판(11)에 의해 내장재(40)의 내측에 접촉하고, 내장재(40)의 두께만큼 콘센트(20)가 돌출해야 한다. 이 경우 돌출판(11)이 내장재(40)의 내측에 밀봉 결합되는 것이 아니므로, 돌출판(11)과 내장재(40)의 사이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콘센트박스, 즉 내장재의 설치 위치에 따라 자유로운 대응이 가능하고,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콘센트박스를 사용할 수 있다면, 대단히 유용할 것이다.
본 고안은 내장재의 설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는 신축 콘센트박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내장재와 벽 내측으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신축 콘센트박스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시공이 매우 용이한 신축 콘센트박스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는, 벽체에 콘센트를 설치하기 위한 콘센트박스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내장되고, 관형상을 가지는 본체; 관형상을 가지고,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를 따라 전후 이동이 가능한 가변체; 상기 본체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가변체 외면에서, 상기 제1걸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2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변체는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내장재를 향해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내장재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가변체의 외면과 상기 내장재가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와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볼트헤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볼트; 상기 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지지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지지너트부; 및 상기 지지볼트가 관통하여 상기 지지너트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가변체의 상기 너트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지지볼트 관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볼트헤드가 상기 지지볼트 관통공을 완전히 통과할 수 없도록 상기 지지볼트 관통공의 내부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헤드가 상기 단턱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상기 가변체는 상기 본체로부터 소정 높이 이상 돌출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장재측을 향하는 상기 가변체 일단부의 외면을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되고, 상기 내장재를 관통하여 상기 내장재와 밀착될 수 있는 삽입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삽입돌출부에 의해 상기 가변체는 상기 본체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안내홈; 및
상기 가변체 외면에서, 상기 안내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안내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변체가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이동할 때, 상기 안내돌출부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변체의 이동이 정확히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에는 상기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내장재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경우의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 사이의 마찰력은, 상기 가변체가 상기 내장재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로 삽입되는 경우의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은 측단면이 좌우 비대칭으로서 상기 내장재 측을 향하는 면의 경사가 반대면의 경사보다 완만하고, 상기 반대면은 상기 내장재측을 향하는 수평면으로부터 65° 내지 120°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는, 벽체에 콘센트를 설치하기 위한 콘센트박스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내장되고, 관형상을 가지는 본체; 관형상을 가지고,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를 따라 전후 이동이 가능한 중간가변체; 및 관형상을 가지고, 상기 중간가변체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가변체를 따라 전후 이동이 가능한 가변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변체는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내장재를 향해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내장재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가변체의 외면과 상기 내장재가 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요철지게 형성되는 제1마찰걸림부; 상기 중간가변체 외면에서, 상기 제1걸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요철지게 형성되는 제2마찰걸림부; 상기 중간가변체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요철지게 형성되는 제3마찰걸림부; 및 상기 가변체 외면에서, 상기 제3걸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요철지게 형성되는 제4마찰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간가변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내장재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경우의 상기 제1마찰걸림부와 상기 제마찰2걸림부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가변체가 상기 중간가변체로부터 상기 내장재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경우의 상기 제3마찰걸림부와 상기 제4마찰걸림부 사이의 마찰력은, 각각 상기 중간가변체가 상기 내장재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로 삽입되는 경우의 상기 제1마찰걸림부와 상기 제2마찰걸림부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가변체가 상기 내장재측으로부터 상기 중간가변 체로 삽입되는 경우의 상기 제3마찰걸림부와 상기 제4마찰걸림부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콘센트박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
상기 중간가변체 외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1가이드돌출부; 상기 중간가변체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 및 상기 가변체 외면에서, 상기 제2가이드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2가이드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간가변체가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이동할 때, 상기 제1가이드돌출부가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중간가변체의 이동이 정확히 지지될 수 있고, 상기 가변체가 상기 중간가변체에 삽입되어 이동할 때, 상기 제2가이드돌출부가 상기 제2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변체의 이동이 정확히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은 측단면이 좌우 비대칭으로서 상기 내장재 측을 향하는 면의 경사가 반대면의 경사보다 완만하고, 상기 반대면은 상기 내장재측을 향하는 수평면으로부터 65° 내지 120°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신축 콘센트박스에 따르면, 내장재의 설치 위치에 따라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공사 시, 또는 공사 후의 설계 변경에도 간단히 콘센트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공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장재 내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콘 센트 오염 및 합선 사고 발생의 방지가 가능하고, 가변체의 삽입 이동함에 있어서 저항력이 크므로 시공시에 원치않는 가변체의 삽입 이동으로 인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의 사시도, 및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는 본체(100), 가변체(200), 및 지지볼트(3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내부가 관통되는 사각의 관형상으로서, 내면의 양측에 각각 2개의 안내홈(110)이 함몰하여 형성되고, 이웃하는 안내홈(110)과 안내홈(110)의 사이 에 제1걸림부(120)가 형성되는데, 제1걸림부(120)에는 복수의 요철이 반복적으로 함몰 형성된다. 본체(100)의 일측 모서리 내측, 및 대각선 방향의 타측 모서리 내측에는 내부가 관통되는 원관형의 지지너트부(130)가 형성되는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너트부(130)의 전방측 내부에는 너트가 구성된다. 또한, 본체(100)의 후방측에는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는 커버판(140)이 형성된다.
가변체(200)는 내부가 관통되는 사각의 관형상으로서, 본체(100)의 내부에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100) 내부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이고, 내부의 상측 및 하측에는 콘센트(20)를 결합하기 위한 너트부를 가지는 콘센트결합부(240)가 형성된다. 가변체(200)의 일측 모서리에는 본체(100)의 지지너트부(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너트부(13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함몰되는 함몰부(231)가 형성되는데, 대각선 방향으로 두 개의 함몰부(231)가 형성된다. 또한, 함몰부(231)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변체(200)의 전방측에는 본체(100)의 지지너트부(130)에 대응하여 지지볼트 관통공(230)이 형성된다. 가변체(200)의 외면 후방 모서리측에는 본체(100)의 안내홈(1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돌출부(210)가 형성되어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안내홈(110)에 끼워질 수 있는데, 이때, 본체(100)의 안내홈(110)의 전단측과 후단측에 걸림턱(111)이 형성되어 가변체(200)의 안내돌출부(210)가 걸림으로써, 본체(100)에 끼워진 가변체(200)가 본체(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의 제1 및 제2걸림부 측단면의 부분확대도로서, 가변체(200)의 외면 양측에는 본체(100)의 제1걸림부(120)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제2걸림부(220)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제1걸림부(120) 및 제2걸림부(220)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본체(100)와 가변체(20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가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이때, 제2 걸림부(220)의 요철의 일면은 도6에서와 같이, 가변체(200)면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90°의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고, 제1걸림부(120) 또한 제2 걸림부(2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가변체(200)가 본체(100)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도6에서 가변체(20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걸림부(120) 및 제2걸림부(220) 사이의 걸림 저항이 작지만, 가변체(200)가 본체(100)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도6에서 가변체(200)가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걸림부(120) 및 제2걸림부(220) 사이의 걸림 저항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가변체(200)를 본체(100)로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돌출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지지볼트(300)는 지지볼트 관통공(230)을 통하여 지지너트부(130)에 결합되는데,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볼트(300)의 볼트헤드(310)가 지지볼트 관통공(230)을 통과할 수 없도록 지지볼트 관통공(230) 내부에 단턱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볼트(300)는 가변체(200)가 본체(100)로부터 최대한 돌출되는 경우에도 지지너트부(130)에 결합되어 본체(100)와 가변체(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진다.
도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의 설치를 나타내는 측면 도로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가변체(200)의 전방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내장재(40)의 관통공에 가변체(200)를 본체(100)로부터 돌출시켜 삽입하는데, 내장재(40)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삽입한다. 지지볼트(300)를 지지볼트 관통공(230)에 삽입 관통시켜 본체(100)의 지지너트부(130)에 결합시키고, 내장재(40)를 관통한 가변체(200)의 높이까지 지지볼트(300)를 조인다. 따라서, 가변체(200)는 지지볼트(300)에 의해서 내장재(40)로부터 더 이상 돌출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지지볼트(300)가 대각선 방향으로 일측과 타측에 복수 구성됨으로써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볼트(300)가 이미 지지너트부(13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지볼트(300)를 지지너트부(130)로부터 풀면서 가변체(200)를 본체(100)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콘센트(20)는 내장재(40)를 관통한 가변체(200)의 콘센트결합부(240)에 나사 결합되며, 콘센트(20) 전방에는 콘센트커버(21)가 결합된다. 이때, 가변체(200)의 상하 길이는 콘센트(20)의 상하 길이보다 짧도록 형성되므로 콘센트(20)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내장재(40)에 걸림으로써 가변체(200)가 본체(100)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콘센트(20)가 설치된 상태에서 가변체(200)는 지지볼트(300)에 의해 내장재(40) 외측으로 밀려나오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콘센트(20)에 의해 내장재(40)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8과 같이 가변체(200)의 전단부에 소정 높이와 넓이를 가지는 삽입돌출부(700)를 형성하여 가변체(200)가 본체(10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변체(200)가 본체(10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에 작업자가 가변체(200)를 본체(100)로부터 돌출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하지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작업자는 삽입돌출부(700)를 이용하여 가변체(200)를 본체(100)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삽입돌출부(700)의 높이와 넓이는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나, 높이는 본체(100)와 평행할 수 있도록 대략 본체(100)의 두께 정도의 높이이고, 넓이는 일반적인 내장재(40)의 두께인 8mm 내지 1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100)와 가변체(200) 사이에 중간가변체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중간가변체는 가변체(200)와 같이 사각의 관형상이고 본체(100) 내부와 가변체(200) 외부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짐으로써, 중간가변체가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고, 가변체(200)가 중간가변체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가변체(200)의 함몰부(231), 지지볼트 관통공(230), 안내돌출부(210), 제2걸림부(220)와 같은 구성을 중간가변체의 외측에 형성하고, 본체(100)의 안내홈(110), 제1걸림부(120)와 같은 구성을 중간가변체의 내측에 형성함으로써, 본체(100), 중간가변체, 및 가변체(200)의 3단으로 길이를 가변할 수 있으며, 더하여 중간가변체를 둘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함으로써 4단 이상으로 가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9와 같이 본체(100) 내면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2개의 지지안내홈(800)이 함몰하여 형성되고, 가변체(200) 외면의 상측 및 하측에 본체(100)의 지지안내홈(700)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리고, 본체(100)의 안내홈(110)에 대응하는 폭과 높이로 돌출하는 지지안내돌출부(801)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안내돌출부(801)는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지지안내홈(800)에 끼워짐으로써, 본체(100)와 가변체(200)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10과 같이 본체(100) 상측을 돌출시켜 지지안내홈(900)의 깊이와 넓이를 증가시키고, 이에 대응하여 지지안내돌출부(901)의 폭과 높이, 및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가변체(200)의 이동 시, 및 정지 시에 본체(100)와 가변체(200)를 더욱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0)의 안내홈(110), 및 가변체(200)의 안내돌출부(210), 또는 지지안내홈(800, 900), 및 지지안내돌출부(801, 901)를 생략하거나, 제1걸림부(120), 및 제2걸림부(220)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도11a 내지 도11e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의 제1 및 제2걸림부 측단면의 부분확대도로서, 도11a 내지 도11e에서 돌출되는 제2걸림부(220)의 좌측면이 가변체(200)면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약 65° 내지 120°의 각도(α)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고, 제1걸림부(120)는 제2걸림부(2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가변체(200)를 본체(100)로 삽입시키기 위한 외력이 가변체(200)를 본체(100)로부터 돌출시키기 위한 외력보다 더욱 클 수 있는 소정의 각도(α)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90°일 수 있다. 또한, 도11c 내지 도11e와 같이 제1 및 제2 걸림부(120, 220)를 곡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12a, 및 도12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 의 제1 및 제2걸림부 측단면의 부분확대도이다. 가변체(200)를 본체(100)로 삽입시키기 위한 외력이 가변체(200)를 본체(100)로부터 돌출시키기 위한 외력보다 더욱 클 수 있다면, 도12a, 및 도12b에서와 같이 제1걸림부(120)와 제2걸림부(220)가 서로 대응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신축 콘센트박스에 따르면, 가변체(200)가 본체(100)로부터 전후 이동 가능하여 내장재(40)의 설치 위치에 따라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므로 공사 시에 내장재(40)의 위치에 따라 콘센트(20)를 설치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특히 공사 후의 설계 변경에도 간단히 콘센트(2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여 공사를 위한 노동력, 공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가변체(200)가 내장재(40)를 관통하여 콘센트(20)가 설치되므로, 내장재(40) 내부로부터 콘센트(20)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어 콘센트(20) 오염 및 이로 인한 합선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시공 시에 가변체(200)에 원치 않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시공자의 의지와 상관 없이 가변체(200)가 본체(100)로 깊이 삽입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시공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의 신축 콘센트박스에 따르면, 가변체(200)를 본체(100)로 삽입시키기 위하여 보다 큰 외력이 필요하도록 구성되어 상기와 같은 시공상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1 내지 3은 종래의 콘센트박스의 설치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의 분해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의 제1 및 제2걸림부 측단면의 부분확대도,
도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의 설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의 사시도,
도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의 사시도,
도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의 사시도,
도11a 내지 도11e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의 제1 및 제2걸림부 측단면의 부분확대도, 및
도12a, 및 도12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 콘센트박스의 제1 및 제2걸림부 측단면의 부분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10: 안내홈
120: 제1걸림부 130: 지지너트부
200: 가변체 210: 안내돌출부
220: 제2걸림부 230: 지지볼트 관통공
240: 콘센트결합부

Claims (10)

  1. 삭제
  2. 벽체에 콘센트를 설치하기 위한 콘센트박스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내장되고, 관형상을 가지는 본체;
    관형상을 가지고,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를 따라 전후 이동이 가능한 가변체;
    상기 본체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1걸림부;
    상기 가변체 외면에서, 상기 제1걸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2걸림부;
    볼트헤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볼트;
    상기 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지지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지지너트부; 및
    상기 지지볼트가 관통하여 상기 지지너트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가변체의 상기 지지너트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지지볼트 관통공
    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체는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내장재를 향해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내장재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가변체의 외면과 상기 내장재가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와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고, 상기 볼트헤드가 상기 지지볼트 관통공을 완전히 통과할 수 없도록 상기 지지볼트 관통공의 내부에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헤드가 상기 단턱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상기 가변체는 상기 본체로부터 소정 높이 이상 돌출하는 것이 저지되고, 상기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에는 상기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가변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내장재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경우의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 사이의 마찰력은, 상기 가변체가 상기 내장재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로 삽입되는 경우의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콘센트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측을 향하는 상기 가변체 일단부의 외면을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되고, 상기 내장재를 관통하여 상기 내장재와 밀착될 수 있는 삽입돌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돌출부에 의해 상기 가변체는 상기 본체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콘센트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안내홈; 및
    상기 가변체 외면에서, 상기 안내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 성되는 안내돌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체가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이동할 때, 상기 안내돌출부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변체의 이동이 정확히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콘센트박스.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측단면이 좌우 비대칭으로서 상기 내장재 측을 향하는 면의 경사가 반대면의 경사보다 완만하고, 상기 반대면은 상기 내장재측을 향하는 수평면으로부터 65° 내지 120°의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콘센트박스.
  7. 삭제
  8. 벽체에 콘센트를 설치하기 위한 콘센트박스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내장되고, 관형상을 가지는 본체;
    관형상을 가지고,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를 따라 전후 이동이 가능한 중간가변체;
    관형상을 가지고, 상기 중간가변체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가변체를 따라 전후 이동이 가능한 가변체;
    상기 본체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요철지게 형성되는 제1마찰걸림부;
    상기 중간가변체 외면에서, 상기 제1마찰걸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요철지게 형성되는 제2마찰걸림부;
    상기 중간가변체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요철지게 형성되는 제3마찰걸림부; 및
    상기 가변체 외면에서, 상기 제3마찰걸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요철지게 형성되는 제4마찰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체는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내장재를 향해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내장재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가변체의 외면과 상기 내장재가 밀착될 수 있고, 상기 중간가변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내장재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경우의 상기 제1마찰걸림부와 상기 제2마찰걸림부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가변체가 상기 중간가변체로부터 상기 내장재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경우의 상기 제3마찰걸림부와 상기 제4마찰걸림부 사이의 마찰력은, 각각 상기 중간가변체가 상기 내장재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로 삽입되는 경우의 상기 제1마찰걸림부와 상기 제2마찰걸림부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가변체가 상기 내장재측으로부터 상기 중간가변체로 삽입되는 경우의 상기 제3마찰걸림부와 상기 제4마찰걸림부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콘센트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
    상기 중간가변체 외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1가이드돌출부;
    상기 중간가변체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 및
    상기 가변체 외면에서, 상기 제2가이드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2가이드돌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가변체가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이동할 때, 상기 제1가이드돌출부가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중간가변체의 이동이 정확히 지지될 수 있고, 상기 가변체가 상기 중간가변체에 삽입되어 이동할 때, 상기 제2가이드돌출부가 상기 제2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변체의 이동이 정확히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콘센트박스.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측단면이 좌우 비대칭으로서 상기 내장재 측을 향하는 면의 경사가 반대면의 경사보다 완만하고, 상기 반대면은 상기 내장재측을 향하는 수평면으로부터 65° 내지 120°의 각도를 가지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콘센트박스.
KR2020090010755U 2009-08-18 2009-08-18 신축 콘센트박스 KR200448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755U KR200448330Y1 (ko) 2009-08-18 2009-08-18 신축 콘센트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755U KR200448330Y1 (ko) 2009-08-18 2009-08-18 신축 콘센트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330Y1 true KR200448330Y1 (ko) 2010-04-01

Family

ID=4422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755U KR200448330Y1 (ko) 2009-08-18 2009-08-18 신축 콘센트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330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851B1 (ko) * 2012-04-04 2012-09-04 주식회사 서린 전기배선박스
KR101442205B1 (ko) * 2014-05-12 2014-09-22 백순례 아웃렛 박스의 연결조절박스
WO2015168221A1 (en) * 2014-04-29 2015-11-05 Bretford Manufacturing, Inc. Recessed power system
KR101914340B1 (ko) * 2016-11-02 2018-11-01 서영곤 높이조절용 지중 저압접속함
KR102076632B1 (ko) * 2018-12-06 2020-02-13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용 커버의 높이 조절장치
KR102254348B1 (ko) * 2020-03-19 2021-05-20 신세욱 가구용 전기 콘센트
KR20220145942A (ko) * 2021-04-20 2022-10-31 에스엔비테크 주식회사 지중 저압 접속함체
KR20230123137A (ko) * 2022-02-16 2023-08-23 임종완 단열벽체의 높이연장연결박스에서 슬라이드조절장치로 높이를 조절하는 인출구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637B1 (ko) * 2008-03-21 2008-10-07 주식회사 에디슨전기 매립형 멀티 전기 콘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637B1 (ko) * 2008-03-21 2008-10-07 주식회사 에디슨전기 매립형 멀티 전기 콘센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851B1 (ko) * 2012-04-04 2012-09-04 주식회사 서린 전기배선박스
WO2015168221A1 (en) * 2014-04-29 2015-11-05 Bretford Manufacturing, Inc. Recessed power system
US10285297B2 (en) 2014-04-29 2019-05-07 Bretford Manufacturing, Inc. Recessed power system
KR101442205B1 (ko) * 2014-05-12 2014-09-22 백순례 아웃렛 박스의 연결조절박스
KR101914340B1 (ko) * 2016-11-02 2018-11-01 서영곤 높이조절용 지중 저압접속함
KR102076632B1 (ko) * 2018-12-06 2020-02-13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용 커버의 높이 조절장치
KR102254348B1 (ko) * 2020-03-19 2021-05-20 신세욱 가구용 전기 콘센트
KR20220145942A (ko) * 2021-04-20 2022-10-31 에스엔비테크 주식회사 지중 저압 접속함체
KR102540322B1 (ko) 2021-04-20 2023-06-08 에스엔비테크(주) 지중 저압 접속함체
KR20230123137A (ko) * 2022-02-16 2023-08-23 임종완 단열벽체의 높이연장연결박스에서 슬라이드조절장치로 높이를 조절하는 인출구박스
KR102697490B1 (ko) 2022-02-16 2024-08-20 임종완 단열벽체의 높이연장연결박스에서 슬라이드조절장치로 높이를 조절하는 인출구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330Y1 (ko) 신축 콘센트박스
CA2976073C (en) Expandable while-in-use electrical box cover
US7355130B2 (en) Cable sealing device
KR102034855B1 (ko) 전기공사의 콘센트 박스 고정장치
JP5435733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
KR200447257Y1 (ko) 가변 콘센트박스
KR20170067781A (ko) 슬라이딩 도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 및 캐비닛 가구
EP4270698A1 (en) Cable threading component and sealing box
KR102085569B1 (ko) 건축용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JP6600165B2 (ja) カウンタ
US10829922B2 (en) Linear drain system including drain channel and support bracket assembly
KR101291742B1 (ko) 케이블 트로프
KR200401184Y1 (ko) 단자함
JP2006204046A (ja) フロアコンセント装置
US6455780B2 (en) Branch connection accessory for fitting at a junction between two lengths of trunking
JP6626184B2 (ja) 摺接防止体及び配線器具取付体装置
CN109296905B (zh) 具有螺母保持槽的电气装置
KR102418296B1 (ko) 리드 스루 시스템용 웨지
KR102610082B1 (ko) 저압 또는 중성 전선지지용 랙크
JP4288271B2 (ja) 自在間仕切り構造
JP4410144B2 (ja) 配線・配管用ボックス及び配線・配管用ボックス装置
KR102607868B1 (ko) 릴레이 설치 구조
KR20100050700A (ko) 외부아웃렛박스
US10157717B2 (en) Switch device mounting structure
JP6470194B2 (ja) 配線器具取付体装置、配線ボックス装置及びボックス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