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700A - 외부아웃렛박스 - Google Patents

외부아웃렛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700A
KR20100050700A KR1020080109721A KR20080109721A KR20100050700A KR 20100050700 A KR20100050700 A KR 20100050700A KR 1020080109721 A KR1020080109721 A KR 1020080109721A KR 20080109721 A KR20080109721 A KR 20080109721A KR 20100050700 A KR20100050700 A KR 20100050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pipe
extension
body portion
extens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5393B1 (ko
Inventor
강영주
Original Assignee
강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주 filed Critical 강영주
Priority to KR1020080109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393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아웃렛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장방형상단면의 외부메인관바디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가 내부아웃렛박스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내부아웃렛박스에 고정되는 외부메인관부와,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보다 작은 장방형상단면의 외부연장관바디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가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에 연통한 상태로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메인관부에 결합되는 외부연장관부를 갖는 외부아웃렛박스에 있어서, 상기 외부메인관부는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내표면 적어도 한 쌍의 대칭영역에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각각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내표면으로부터 외향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진입방지면과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내표면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면의 내측에서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면보다 큰 외향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인출안내면을 갖는 연장관진입방지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연장관부는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외표면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대향영역에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각각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면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진입방지작용면과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외표면 상기 연장관진입방지작용면의 외측에서 상기 연장관인출안내면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인출안내작용면을 갖는 연장관진입방지작용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 관진입방지작용돌부가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사이영역에서 치합하도록 상기 외부메인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외부메인관부에 결합된 상태로 외부연장관부를 내부아웃렛박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아웃렛박스, 메인관, 연장관, 벽체

Description

외부아웃렛박스{Outer Outlet Box}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의 결합사시도,
도3, 도4, 도5, 도6, 도7, 도8 및 도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의 사용상태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의 분해사시도,
도11 및 도12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의 결합사시도,
도13 및 도14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의 사용상태도,
도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의 분해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의 결합사시도,
도17은 종래의 외부아웃렛박스의 분해사시도,
도18, 도19, 도20, 도21 및 도22는 각각 종래의 외부아웃렛박스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 10",110 : 외부메인관부 11, 11', 11",111 : 외부메인관바디부
13, 13' 113 : 고정리브 14 : 외부메인관스프링지지관
15, 15', 15" : 연장관진입방지돌부 20, 20', 20" 120 : 외부연장관부
21, 21'21", 121 : 외부연장관바디부 22, 22' : 외부연장관걸림플랜지
23, 23', 23": 연장관진입방지돌부 24 : 외부연장관스프링지지관
26 : 외부연장관보조플랜지 28' : 보조관진입방지돌부
40', 40" : 외부보조관부 41', 41" : 외부보조관바디부
43', 43": 보조관진입방지작용돌부 122 : 외부연장관지지플랜지
본 발명은 외부아웃렛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벽체를 통과하여 포설되는 전기선, 전화선 등의 일단을 실내공간으로 인입하기 위해 벽체에 설치되는 박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선, 전화선 등은 실내공간에서 콘센트잭판, 스위치, 전화기 잭 등에 연결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아웃렛박스(Outlet box)를 벽체에 설치하고 있다.
아웃렛박스는 외벽체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벽에 매입 설치되는 부분(내부아웃렛박스)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콘크리트벽에 매입 설치되는 부분에 더하여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벽의 내측에 배치되는 다른 벽구조물(마감재, 단열벽, 벽돌벽)에 매입 설치되는 부분(외부아웃렛박스)을 포함할 수 있다.
도17은 종래의 외부아웃렛박스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외부아웃렛박스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태의 외부메인관바디부(111)를 갖는 외부메인관부(110)와, 외부메인관바디부(111)에 결합되는 외부연장관부(120)를 갖고 있다.
외부메인관부(110)는 외부메인관바디부(111)에 더하여 외부메인관바디부(111)의 내측단 전 둘레구간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외부메인관지지플랜지(112)와, 외부메인관바디부(111)의 내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고정리브(113)를 갖고 있다.
외부메인관바디부(111)는 내표면 대향영역에 각각 외부메인관걸림홈(111a)이 그룹을 이루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메인관걸림홈(111a)은 외부메인관바디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메인관걸림홈(111a)은 디귿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메인관바디부(111)는 상면에 안내요홈부(111b)가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리브(113)는 중앙영역에 나사통과공(113a)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연장관부(120)는 관형태의 외부연장관바디부(121)와, 외부메인관바디부(111)의 외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외부연장관지지플랜지(122)를 갖고 있다.
외부연장관바디부(121)는 내표면에 외부연장관걸림돌부(121a)가 외부메인관걸림홈(111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연장관바디부(121)는 내표면에 한 쌍의 부품고정돌부(121c)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슬라이딩돌부(121b)가 안내요홈부(111b)에 대 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외부연장관부(120)는 외부연장관바디부(121)가 외부메인관바디부(111)에 연통하도록 외부메인관부(1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외부메인관부(110)에 대한 외부연장관부(120)의 결합은 외부연장관걸림돌부(121a)와 외부메인관걸림홈(111a)이 걸림작용을 하도록 이루어진다.
외부연장관부(120)가 외부연장관바디부(1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연장관부(120)를 외부메인관부(110)를 향해 가압하거나 외부메인관부(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잡아당기면 외부연장관부(120)를 외부메인관바디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외부메인관부(110)에 대한 외부연장관부(120)의 이동위치는 외부연장관걸림돌부(121a)와 외부메인관걸림홈(111a)사이의 걸림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외부아웃렛박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8 내지 도2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블럭(211a)을 벽체철근(203)에 고정시켜 내부아웃렛박스(210)를 콘크리트벽(201)에 설치한다(도18 참조).
다음에 외부메인관바디부(111)를 내부아웃렛박스(210)의 내부공간에 연통시킨 상태에서 나사통과공(113a)을 통해 관고정돌부(213a)에 나사를 조임으로써, 외부메인관부(110)를 내부아웃렛박스(210)에 고정시킨다(도19 참조).
다음에 외부연장관걸림돌부(121a)와 외부메인관걸림홈(111a)이 걸림작용을 하도록 외부연장관부(120)를 외부메인관부(110)에 결합시킨다(도19 참조). 여기서 외부연장관부(120)의 결합은 외부연장관부(120)가 내부아웃렛박스(210)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에 외부연장관부(120)를 내부아웃렛박스(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외부연장관부(120)를 외부메인관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도20 참조). 여기서 외부연장관부(120)의 이동은 콘크리트벽(201)의 내측에 설치되는 벽돌벽(202)의 두께만큼 외부연장관지지플랜지(122)가 외부메인관지지플랜지(112)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에 부품고정돌부(121c)에 콘센트잭판(205)을 나사 결합시킨다(도21 참조).
다음에 외부메인관부(110)와 외부연장관부(120)의 둘레영역에 벽돌벽(202)을 형성한다(도22 참조).
그런데 종래의 외부아웃렛박스에 따르면, 외부메인관걸림홈(111a)이 디귿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메인관부(110)에 결합된 상태로 외부연장관부(120)를 내부아웃렛박스(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메인관부에 결합된 상태로 외부연장관부를 내부아웃렛박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외부아웃렛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장방형상단면의 외부메인관바디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가 내부아웃렛박스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내부아웃렛박스에 고정되는 외부메인관부와,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보다 작은 장방형상단면의 외부연장관바디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가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에 연통한 상태로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메인관부에 결합되는 외부연장관부를 갖는 외부아웃렛박스에 있어서, 상기 외부메인관부는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내표면 적어도 한 쌍의 대칭영역에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각각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내표면으로부터 외향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진입방지면과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내표면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면의 내측에서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면보다 큰 외향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인출안내면을 갖는 연장관진입방지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연장관부는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외표면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대향영역에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각각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면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진입방지작용면과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외표면 상기 연장관진입방지작용면의 외측에서 상기 연장관인출안내면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인출안내작용면을 갖는 연장관진입방지작용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관진입방지작용돌부가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사이영역에서 치합하도록 상기 외부메인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아웃렛박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외부연장관부를 외부메인관부의 내부공간에 완전히 진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는 내표면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외측 영역에 한 쌍의 외부메인관걸림리브가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보다 크지 않은 높이로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는 외측단이 상기 외부메인관걸림리브와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연장관부는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를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내부로 이동시킬 때 상기 외부메인관걸림리브와 걸림 작용을 하도록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외부연장관걸림플랜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연장관부가 선택되지 않은 이동위치를 벗어나 내부아웃렛박스를 향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메인관부는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내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리브와 상기 고정리브로부터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립형성된 외부메인관스프링지지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연장관부는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고정리브에 대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외부연장관보조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메인관스프링지지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부메인관스프링지지관에 장착된 진입방지스프링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입방지스프링의 신축동작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연장관부는 상기 외부메인관스프링지지관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상기 외부연장관보조플랜지로부터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립 형성된 외부연 장관스프링지지관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아웃렛박스에 대한 부품고정돌부의 이격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부연장관부는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내표면 적어도 한 쌍의 대칭영역에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각각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내표면으로부터 외향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보조관진입방지면과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내표면 상기 보조관진입방지면의 내측에서 상기 보조관진입방지면보다 큰 외향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보조관인출안내면을 갖는 보조관진입방지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보다 작은 장방형상단면의 외부보조관바디부와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의 외표면 상기 보조관진입방지돌부의 대향영역에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각각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상기 보조관진입방지면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보조관진입방지작용면과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의 외표면 상기 보조관진입방지작용면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관인출안내면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보조관인출안내작용면을 갖는 보조관진입방지작용돌부를 가지고, 상기 보조관진입방지작용돌부가 상기 보조관진입방지돌부의 사이영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연장관부에 결합되는 외부보조관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연장관부와 외부보조관부를 외부메인관부의 내부공간에 완전히 진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부메인관부바디부는 내표면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외측 영역에 한 쌍의 외부메인관걸림리브가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보다 크지 않 은 높이로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는 외측단이 상기 외부메인관걸림리브와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표면 상기 보조관진입방지돌부의 외측 영역에 한 쌍의 외부연장관걸림리브가 상기 보조관진입방지돌부보다 크지 않은 높이로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연장관부는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를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내부로 이동시킬 때 상기 외부메인관걸림리브와 걸림 작용을 하도록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외부연장관걸림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는 외측단이 상기 외부연장관걸림리브와 상기 보조관진입방지돌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보조관부는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를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내부로 이동시킬 때 상기 외부연장관걸림리브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외부보조관걸림플랜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는 내표면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외측 영역에 한 쌍의 외부메인관걸림리브가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보다 크지 않은 높이로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는 외측단이 상기 외부메인관걸림리브와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보조관부는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를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내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를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내부로 이동시킬 때 상기 외부메인관걸림리브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외부보조관걸림플랜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의 결합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태의 외부메인관바디부(11)를 갖는 외부메인관부(10)와, 외부메인관바디부(11)에 결합되는 외부연장관부(20)와, 외부메인관부(10)에 설치된 진입방지스프링(31)을 갖고 있다.
외부메인관부(10)는 외부메인관바디부(11)에 더하여 외부메인관바디부(11)의 내표면 네모서리영역에 형성된 연장관진입방지돌부(15)와, 외부메인관바디부(11)의 내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고정리브(13)와, 고정리브(13)로부터 외부메인관바디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립 형성된 외부메인관스프링지지관(14)을 갖고 있다.
외부메인관바디부(11)는 장방형상단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 대향하는 두 변에는 한 쌍의 외부메인관걸림리브(11a)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외부메인관걸림리브(11a)는 연장관진입방지돌부(15)의 외측 영역에서 연장관진입방지돌부(15)보다 크지 않은 높이로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장관진입방지돌부(15)는 외부메인관바디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장관진입방지돌부(15)는 외부메인관바디부(11)의 내표면으로부 터 외향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진입방지면(15a)과 외부메인관바디부(11)의 내표면 연장관진입방지면(15a)의 내측에서 연장관진입방지면(15a)보다 큰 외향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인출안내면(15b)을 갖고 있다.
각 고정리브(13)는 외부메인관바디부(11)의 축선에 접근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중앙영역에는 나사통과공(13a)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메인관스프링지지관(14)은 각 고정리브(13)에 한 쌍씩 형성되어 있다.
외부연장관부(20)는 장방형상단면의 외부연장관바디부(21)와,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외측단에 절곡 형성된 외부연장관걸림플랜지(22)와,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외표면 네모서리영역에 형성된 연장관진입방지작용돌부(23)와,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외측단으로부터 고정리브(13)에 대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외부연장관보조플랜지(26)와, 외부연장관보조플랜지(26)에 형성된 외부연장관스프링지지관(24)과,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내표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부품고정돌부(25)를 갖고 있다.
외부연장관바디부(21)는 외부메인관바디부(11)보다 작은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외부연장관바디부(21)는 외측단이 외부메인관걸림리브(11a)와 연장관진입방지돌부(1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외부연장관걸림플랜지(22)는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전 둘레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중심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연장관바디부(21)를 외부메인관바디부(11)의 내부로 이동시킬 때 외부연장관걸림플랜지(22)와 외부메인관걸림리브(11a)는 걸림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연장관진입방지작용돌부(23)는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장관진입방지작용돌부(23)는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외표면으로부터 연장관진입방지면(15a)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진입방지작용면(23a)과,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외표면 연장관진입방지작용면(23a)의 외측에서 연장관인출안내면(15b)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인출안내작용면(23b)을 갖고 있다.
외부연장관스프링지지관(24)은 외부메인관스프링지지관(14)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립 형성되어 있다.
각 부품고정돌부(25)에는 부품고정공(25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외부연장관부(20)는 외부연장관바디부(21)가 외부메인관바디부(11)에 연통하도록 외부메인관부(1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외부연장관부(20)가 외부메인관부(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연장관부(20)를 외부메인관부(10)를 향해 가압하면 외부연장관부(20)를 외부메인관바디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부메인관부(10)에 대한 외부연장관부(20)의 결합은 연장관진입방지작용돌부(23)가 연장관진입방지돌부(15)의 사이영역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진입방지스프링(31)은 외부메인관스프링지지관(14)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외 부메인관스프링지지관(14)에 장착된다.
그리고 진입방지스프링(31)은 수축상태에서 연장관인출안내면(15b)과 연장관인출안내작용면(23b)사이의 걸림작용을 극복하고 외부연장관바디부(21)를 외부메인관바디부(11)에 대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갖도록 제작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3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블럭(211a)을 벽체철근(203)에 고정시켜 내부아웃렛박스(210)를 콘크리트벽(201)에 설치한다(도3 및 도4 참조).
다음에 외부메인관바디부(11)를 내부아웃렛박스(210)의 내부공간에 연통시킨 상태에서 나사통과공(13a)을 통해 관고정돌부(213a)에 나사를 조임으로써, 외부메인관부(10)를 내부아웃렛박스(210)에 고정시킨다(도4 참조).
다음에 연장관진입방지작용돌부(23)가 연장관진입방지돌부(15)의 사이영역에 배치되도록 외부연장관부(20)를 외부메인관부(10)에 결합시킨다(도5 참조). 여기서 외부연장관부(20)의 결합은 외부연장관부(20)가 내부아웃렛박스(210)에 가장 멀리 이격되도록 이루어진다(진입방지스프링이 수축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다음에 부품고정돌부(25)에 콘센트잭판(205)을 나사결합시킨다(도3 및 도6 참조).
다음에 외부메인관부(10)와 외부연장관부(20)의 둘레영역에 벽돌벽(202)을 형성한다(도7 참조).
다음에 외부연장관부(20)를 가압하여 외부연장관부(20)를 내부아웃렛박 스(2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도8 참조). 여기서 외부연장관부(20)의 이동은 콘크리트벽(201)의 내측에 설치되는 벽돌벽(202)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에 외부연장관부(20)를 벽돌벽(202)에 고정시킨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내부아웃렛박스(210)에 대한 콘센트잭판(205)의 이격거리가 외부연장관부(20)의 길이구간으로 제한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내부아웃렛박스(210)에 대한 콘센트잭판(205)의 이격거리를 더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1 및 도12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의 결합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태의 외부메인관바디부(11')를 갖는 외부메인관부(10')와, 외부메인관바디부(11')에 결합되는 외부연장관부(20')와, 외부연장관부(20')에 결합되는 외부보조관부(40')를 갖고 있다.
외부메인관부(10')는 외부메인관바디부(11')에 더하여 외부메인관바디부(11')의 내표면 네모서리영역에 형성된 연장관진입방지돌부(15')와, 외부메인관바디부(11')의 내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고정리브(13')를 갖고 있다.
외부메인관바디부(11')는 장방형상단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 대향하는 두 변에는 한 쌍의 외부메인관걸림리브(11'a)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외부메인관걸림리브(11'a)는 연장관진입방지돌부(15')의 외측 영역에서 연장관진입방지돌부(15')보다 크지 않은 높이로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장관진입방지돌부(15')는 외부메인관바디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장관진입방지돌부(15')는 외부메인관바디부(11')의 내표면으로부터 외향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진입방지면(15'a)과 외부메인관바디부(11')의 내표면 연장관진입방지면(15'a)의 내측에서 연장관진입방지면(15'a)보다 큰 외향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인출안내면(15'b)을 갖고 있다.
각 고정리브(13')는 외부메인관바디부(11')의 축선에 접근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중앙영역에는 나사통과공(13'a)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연장관부(20')는 장방형상단면의 외부연장관바디부(21')와,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외표면 네모서리영역에 형성된 연장관진입방지작용돌부(23')와,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내표면 네 모서리영역에 따라 형성된 보조관진입방지돌부(28')와,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외측단에 절곡 형성된 외부연장관걸림플랜지(22')를 갖고 있다.
외부연장관바디부(21')는 외부메인관바디부(11')보다 작은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표면 대향하는 두 변에는 한 쌍의 외부연장관걸림리브(21'a)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외부연장관걸림리브(21'a)는 보조관진입방지돌부(28')보다 크지 않은 높이로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부연장관걸림플랜지(22')는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전 둘레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중심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연장관바디부(21')를 외부메인관바디부(11')의 내부로 이동시킬 때 외부연장관걸림플랜지(22')와 외부메인관걸림리브(11'a)는 걸림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연장관진입방지작용돌부(23')는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장관진입방지작용돌부(23')는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외표면으로부터 연장관진입방지면(15'a)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진입방지작용면(23'a)과,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외표면 연장관진입방지작용면(23'a)의 외측에서 연장관인출안내면(15'b)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인출안내작용면(23'b)을 갖고 있다.
보조관진입방지돌부(28')는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보조관진입방지돌부(28')는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내표면으로부터 외향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보조관진입방지면(28'a)과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내표면 보조관진입방지면(28'a)의 내측에서 보조관진입방지면(28'a)보다 큰 외향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보조관인출안내면(28'b)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외부연장관부(20')는 외부연장관바디부(21')가 외부메인관바디부(11')에 연통하도록 외부메인관부(1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외부연장관부(20')가 외부메인관부(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연장관부(20')를 외부메인관부(10')를 향해 가압하거나 외부메인관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잡아당기면 외부연장관부(20')를 외부메인관바디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외부메인관부(10')에 대한 외부연장관부(20')의 이동위치는 연장관인출안내작용면(23'b)과 연장관인출안내면(15'b)사이의 걸림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그리고 외부메인관부(10')에 대한 외부연장관부(20')의 결합은 연장관진입방지작용돌부(23')가 연장관진입방지돌부(15')의 사이영역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외부보조관부(40')는 장방형상단면의 외부보조관바디부(41')와, 외부보조관바디부(41')의 외측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외부보조관걸림플랜지(42')와, 외부보조관바디부(41')의 외표면 네모서리영역에 형성된 보조관진입방지작용돌부(43')와, 외부보조관바디부(41')의 내표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부품고정돌부(45')를 갖고 있다.
외부보조관바디부(41')는 외부연장관바디부(21')보다 작은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외측단이 외부연장관걸림리브(21'a)와 보조관진입방지돌부(28')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외부보조관걸림플랜지(42')는 외부보조관바디부(41')의 전 둘레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외부보조관바디부(41')의 중심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부보조관바디부(41')가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내부로 이동할 때 외부연장관걸림리브(21'a)와 외부보조관걸림플랜지(42')는 걸림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보조관진입방지작용돌부(43')는 외부보조관바디부(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보조관진입방지작용돌부(43')는 외부보조관바디부(41')의 외표면으로부터 보조관진입방지면(28'a)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보조관진입방지작용면(43'a)과, 외부보조관바디부(41')의 외표면 보조관진입방지작용면(43'a)의 외측에서 보조관인출안내면(28'b)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보조관인출안내작용면(43'b)을 갖고 있다.
각 부품고정돌부(45')에는 부품고정공(45'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외부보조관부(40')는 외부보조관바디부(41')가 외부연장관바디부(21')에 연통하도록 외부연장관부(2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외부보조관부(40')가 외부연장관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보조관부(40')를 외부연장관부(20')를 향해 가압하거나 외부연장관부(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잡아당기면 외부보조관부(40')를 외부연장관바디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외부연장관부(20')에 대한 외부보조관부(40')의 이동위치는 보조관인출안내작용면(43'b)과 보조관인출안내면(28'b)사이의 걸림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그리고 외부연장관부(20')에 대한 외부보조관부(40')의 결합은 보조관진입방지작용돌부(43')가 보조관진입방지돌부(28')의 사이영역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를 사용하 는 방법을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의 경우와 같이 내부아웃렛박스(210)를 콘크리트벽(201)에 설치하고, 외부메인관부(10')를 내부아웃렛박스(210)에 고정시킨다.
다음에 연장관진입방지작용돌부(23')가 연장관진입방지돌부(15')의 사이영역에 배치되도록 외부연장관부(20')를 외부메인관부(10')에 결합시킨다(도13 참조). 여기서 외부연장관부(20')의 결합은 외부연장관부(20')가 내부아웃렛박스(210)에 가장 멀어지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에 보조관진입방지작용돌부(43')가 보조관진입방지돌부(28')의 사이영역에 배치되도록 외부보조관부(40')를 외부연장관부(20')에 결합시킨다(도13 참조). 여기서 외부보조관부(40')의 결합은 외부보조관부(40')가 외부메인관부(10')에 가장 접근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에 외부보조관부(40')를 내부아웃렛박스(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외부보조관부(40')를 외부연장관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도14 참조). 여기서 외부보조관부(40')의 이동은 콘크리트벽(201)의 내측에 설치되는 벽돌벽(202)의 두께만큼 외부보조관지지플랜지(42')가 고정리브(13')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에 부품고정돌부(25')에 콘센트잭판(205)을 나사결합시킨다(도15 참조).
다음에 외부메인관부(10'), 외부연장관부(20') 및 외부보조관부(40')의 둘레영역에 벽돌벽(202)을 형성한다(도16 참조).
한편 도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외부메인관바디부(11')와 외부연장관부(20')에 상호 걸림작용을 하는 외부메인관걸림리브(11'a)와 외부연장관걸림플랜지(22')를 각각 형성하고 외부연장관바디부(21')와 외부보조관부(40')에 상호 걸림작용을 하는 외부연장관걸림리브(21'a)와 외부보조관걸림플랜지(42')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고 있으나, 도15 및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연장관걸림리브(21'a)와 외부연장관걸림플랜지(22')를 형성하는 것을 생략하고 외부메인관바디부(11")와 외부보조관부(40")에 상호 걸림작용을 하는 외부메인관걸림리브(11"a)와 외부보조관걸림플랜지(42")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15 및 도1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아웃렛박스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시(")를 추가하여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관진입방지면(15a)과 연장관진입방지면(15a)보다 작은 경사각도의 연장관인출안내면(15b)을 갖는 연장관진입방지돌부(15)를 외부메인관부(10)에 형성하고 각각 연장관진입방지면(15a)과 연장관인출안내면(15b)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연장관진입방지작용면(23a)과 연장관인출안내작용면(23b)을 갖는 연장관진입방지작용돌부(23)를 외부연장관부(20)에 형성함으로써, 외부메인관부(10)에 결합된 상태로 외부연장관부(20)를 내부아웃렛박스(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부연장관부(20)를 외부메인관부(10)에 대하여 탄성지지하는 진입방지스프링(31)을 추가함으로써, 외부연장관부(20)가 선택되지 않은 이동위치를 벗어나 내부아웃렛박스(210)를 향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연장관부(20)를 내부아웃렛박스(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더욱 더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연장관부(20)에 외부연장관스프링지지관(24)을 형성함으로써, 진입방지스프링(31)의 신축동작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관진입방지면(28'a)과 보조관진입방지면(28'a)보다 작은 경사각도의 보조관인출안내면(28'b)을 갖는 보조관진입방지돌부(28')를 외부연장관부(20')에 형성하고 각각 보조관진입방지면(28'a)과 보조관인출안내면(28'b)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보조관진입방지작용면(43'a)과 보조관인출안내작용면(43'b)을 갖는 보조관진입방지작용돌부(43)를 외부보조관부(40')에 형성함으로써, 내부아웃렛박스(210)에 대한 부품고정돌부(45')의 이격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메인관바디부(11, 11')에 외부메인관걸림리브(11a, 11'a)를 형성하고 외부연장관부(20, 20')에 외부연장관걸림플랜지(22, 22')와 외부연장관걸림리브(21'a)를 형성하며 외부보조관부(40', 40")에 외부보조관걸림플랜지(42', 42")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연장관부(20, 20', 20") 또는 외부보조관부(40', 40")를 외부메인관부(10, 10', 10")의 내부공간에 완전히 진입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장관진입방지면과 연장관진입방지면보다 작은 경사각도의 연장관인출안내면을 갖는 연장관진입방지돌부를 외부메인관부에 형성하고 각각 연장관진입방지면과 연장관인출안내면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연장관진입방지작용면과 연장관인출안내작용면을 갖는 연장관진입방지작용돌부를 외부연장관 부에 형성함으로써, 외부메인관부에 결합된 상태로 외부연장관부를 내부아웃렛박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장방형상단면의 외부메인관바디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가 내부아웃렛박스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내부아웃렛박스에 고정되는 외부메인관부와,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보다 작은 장방형상단면의 외부연장관바디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가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에 연통한 상태로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메인관부에 결합되는 외부연장관부를 갖는 외부아웃렛박스에 있어서,
    상기 외부메인관부는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내표면 적어도 한 쌍의 대칭영역에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각각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내표면으로부터 외향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진입방지면과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내표면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면의 내측에서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면보다 큰 외향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인출안내면을 갖는 연장관진입방지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연장관부는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외표면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대향영역에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각각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면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진입방지작용면과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외표면 상기 연장관진입방지작용면의 외측에서 상기 연장관인출안내면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연장관인출안내작용면을 갖는 연장관진입방지 작용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관진입방지작용돌부가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사이영역에서 치합하도록 상기 외부메인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아웃렛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는 내표면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외측 영역에 한 쌍의 외부메인관걸림리브가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보다 크지 않은 높이로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는 외측단이 상기 외부메인관걸림리브와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연장관부는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를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내부로 이동시킬 때 상기 외부메인관걸림리브와 걸림 작용을 하도록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외부연장관걸림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아웃렛박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메인관부는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내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리브와 상기 고정리브로부터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립형성된 외부메인관스프링지지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연장관부는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고정리 브에 대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외부연장관보조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메인관스프링지지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부메인관스프링지지관에 장착된 진입방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아웃렛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장관부는 상기 외부메인관스프링지지관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상기 외부연장관보조플랜지로부터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립 형성된 외부연장관스프링지지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아웃렛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장관부는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내표면 적어도 한 쌍의 대칭영역에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각각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내표면으로부터 외향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보조관진입방지면과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내표면 상기 보조관진입방지면의 내측에서 상기 보조관진입방지면보다 큰 외향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보조관인출안내면을 갖는 보조관진입방지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보다 작은 장방형상단면의 외부보조관바디부와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의 외표면 상기 보조관진입방지돌부의 대향영역에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각각 상기 외부보조 관바디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상기 보조관진입방지면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보조관진입방지작용면과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의 외표면 상기 보조관진입방지작용면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관인출안내면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보조관인출안내작용면을 갖는 보조관진입방지작용돌부를 가지고, 상기 보조관진입방지작용돌부가 상기 보조관진입방지돌부의 사이영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연장관부에 결합되는 외부보조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아웃렛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메인관부바디부는 내표면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외측 영역에 한 쌍의 외부메인관걸림리브가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보다 크지 않은 높이로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는 외측단이 상기 외부메인관걸림리브와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표면 상기 보조관진입방지돌부의 외측 영역에 한 쌍의 외부연장관걸림리브가 상기 보조관진입방지돌부보다 크지 않은 높이로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연장관부는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를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내부로 이동시킬 때 상기 외부메인관걸림리브와 걸림 작용을 하도록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외부연장관걸림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는 외측단이 상기 외부연장관걸림리브와 상기 보조관 진입방지돌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보조관부는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를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내부로 이동시킬 때 상기 외부연장관걸림리브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외부보조관걸림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아웃렛박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는 내표면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외측 영역에 한 쌍의 외부메인관걸림리브가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보다 크지 않은 높이로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는 외측단이 상기 외부메인관걸림리브와 상기 연장관진입방지돌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보조관부는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를 상기 외부메인관바디부의 내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를 상기 외부연장관바디부의 내부로 이동시킬 때 상기 외부메인관걸림리브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외부보조관바디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외부보조관걸림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아웃렛박스.
KR1020080109721A 2008-11-06 2008-11-06 외부아웃렛박스 KR101015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721A KR101015393B1 (ko) 2008-11-06 2008-11-06 외부아웃렛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721A KR101015393B1 (ko) 2008-11-06 2008-11-06 외부아웃렛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700A true KR20100050700A (ko) 2010-05-14
KR101015393B1 KR101015393B1 (ko) 2011-02-22

Family

ID=4227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721A KR101015393B1 (ko) 2008-11-06 2008-11-06 외부아웃렛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53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9146A1 (en) * 2019-04-25 2020-10-29 Elemental LED, Inc. Electrical gang box with integrated driver
US11312691B2 (en) 2017-02-21 2022-04-26 Lg Chem, Ltd. Heterocyclic compound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988B1 (ko) * 2002-03-26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스카핑라인의 슬라브 이동거리 측정장치
KR200377282Y1 (ko) 2004-12-06 2005-03-11 김현덕 잇몸맛사지용 칫솔
KR100708601B1 (ko) 2007-01-26 2007-04-18 (주)건일엠이씨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
KR101087496B1 (ko) * 2008-03-07 2011-11-29 강영주 외부아웃렛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2691B2 (en) 2017-02-21 2022-04-26 Lg Chem, Ltd. Heterocyclic compound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WO2020219146A1 (en) * 2019-04-25 2020-10-29 Elemental LED, Inc. Electrical gang box with integrated dr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5393B1 (ko) 201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51354A1 (en) Electrical box extension
KR101015393B1 (ko) 외부아웃렛박스
KR200448330Y1 (ko) 신축 콘센트박스
KR100963843B1 (ko) 아웃렛박스
KR200392746Y1 (ko) 에어댐퍼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KR101221964B1 (ko) 엠바 조립체
JP5265225B2 (ja) 化粧カバー
KR101087495B1 (ko) 외부아웃렛박스
KR101087496B1 (ko) 외부아웃렛박스
US20150147902A1 (en)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KR20150001401A (ko) 변형 방지 조립식 수로관
KR200398652Y1 (ko) 매입형 전선함의 후면 지지봉
KR200445441Y1 (ko) 아웃렛박스용 간격재
JP4166729B2 (ja) 配線ボックス
KR200447257Y1 (ko) 가변 콘센트박스
KR101738450B1 (ko) 공동주택용 케이블 안내판 체결장치
JP5450234B2 (ja) 配線ボックス
KR20160136557A (ko) 전선인입안내대
CN211579500U (zh) 一种新型预埋线盒
KR200341330Y1 (ko) 슬라브 매립형 전선관 연결부재
JP5912342B2 (ja) 配線ボックス
CN110402315B (zh) 卡扣式连接器
EP3514900B1 (en) Junction box
KR101396724B1 (ko) 벽붙이 수전 체결용 박스
JP5863376B2 (ja) 配線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