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124Y1 -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124Y1
KR940004124Y1 KR2019940002253U KR19940002253U KR940004124Y1 KR 940004124 Y1 KR940004124 Y1 KR 940004124Y1 KR 2019940002253 U KR2019940002253 U KR 2019940002253U KR 19940002253 U KR19940002253 U KR 19940002253U KR 940004124 Y1 KR940004124 Y1 KR 940004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bstrate
clamping
screw
open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2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 로리그 제임스
에이. 쉬에럴 죤
Original Assignee
휴즈 에어크라프트 캄파니
원다 케이. 덴슨-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즈 에어크라프트 캄파니, 원다 케이. 덴슨-로우 filed Critical 휴즈 에어크라프트 캄파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1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edge clamping, e.g. wed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05K7/142Spacers not being card gu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62Clamp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 록킹장치
제1도는 전형적인 두개의 모서리 조립 시스템 내부에 수용된 한쌍의 인쇄회로기판의 투시도.
제2a도 및 제2b도는 록킹 이전 및 록킹 완료후의 위치를 나타낸 단부를 부분적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클램핑 부품의 단면도.
제4도는 클램핑 부품의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추가 실시태양으로, 제2도와 유사한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서리 지지섀시 12,14 : 인쇄회로기판
16,18 : 측벽 20,22 : 횡벽
24 : 록킹장치 28,30 : 리쎄스
32 : 중앙벽 34 : 개구부
36 : 나사 38 : 슬롯머리
40 : 클램프 부품 42,44 : 스트립
45 : 페루울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기판을 개별적인 리쎄스 내부에 모서리 록킹하기 위한, 가변형 클램프 록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은 일반적으로 전기 절연 물질로 만들어진 직사각형의 베이스를 구비하고, 회로 구성요소가 베이스 표면상에 조립되고, 회로 구성요소간의 상호연결은 소정의 패턴내에 건조된 전도성 물질인 침착된 납에 의해 이루어진다. 기판간이나, 기판과 다른 장치간의 상호연결은, 기판 모서리를 따라 배열된 침착된 전극을 경유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와 상호연결용 납을 보호하기 위해, 기판을 전형적인 모서리 지지방식으로 조립된다.
인쇄회로기판을 고착하기 위한 공지된 시스템의 주된 분류는 세가지이고, 첫째로, 소위 “컴플리트 페러메터 시스템”은 기판의 전 테두리를 클램프로 맞물리게 하는 장치를 구비한다.
두번째 시스템은, 기판을 고착시키도록 협동하는 절연된 패드를 구비한다. 세째로, 조립상의 고효율 및 서로 평행한 대향 조립형태와 용이함이 요구될 때, 특히, 두개의 모서리 조립 시스템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판의 두 모서리 조립용으로 유용한 클램핑 장치는 인쇄회로기판 구조상의 지지섀시에 대한 대단히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클램핑 장치는 자주 단일 나사를 사용하여 장치를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결과로 인한 배열은 고하중을 상대적으로 좁은 지역에 발생시켜, 결국 구조적인 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장치들은 최소 진동 제동을 그 이하로 제공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제조비용이 비싸고, 재질상의 응력 완화 및 크리이프가 발생된 이후에는 소망하는 최소예비하중을 제공하지 못한다. 더우기, 예를 들면 미사일 제어장치와 같이, 장시간 동안의 저장이후의 확대된 반대 상황에서 기판 또는 지지형 구조물이 반드시 존속되야만 한다는 점에서, 유용한 두개의 모서리 조립장치도 전적으로 만족스럽지는 않다.
따라서, 현재 공지된 두개의 모서리 조립형 시스템이 갖는 결핍상황을 적어도 제거시키는 정도로, 두개의 모서리 조립형 시스템을 향상시키는 것이 소망된다.
본 고안의 록킹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의 지지섀시와 상당히 유리하게 겸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지지섀시는 한쌍의 기판을 대향 분리 이격된 상태로 수용하는 구조를 갖고, 한 쌍의 양측 모서리를 구비한 각 기판은 개별적인 리쎄스내에 수용된다. 특히, 상기 구조는 한 쌍의 횡벽에 의해 이격된 외측벽을 갖고, 각각의 외측벽 끝단에 횡벽이 하나씩 위치되고, 리쎄스가 횡벽의 내측 표면상에 위치한다.
본 고안의 제1의 실시태양에 따라, 횡벽중 적어도 하나가 중앙벽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중앙벽은 두개의 리쎄스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중앙벽의 양측 측벽은 서로를 향해 경사를 이루고, 상기 기판의 양측 모서리는 리쎄스 내에 위치한다. 복수개의 과규격의 축방향 개구부는 상기 중앙벽내에서 개별적인 기계나사를 수용하고, 각 기계나사의 슬롯머리는 상기 구조물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각 기계나사는 상기 중앙벽으로 부터 바깥으로 연장되는 끝단부를 갖기 위해 충분한 신장을 갖는다.
연장된 클램핑 부품은 중앙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중앙벽내의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동일한 복수개의 분리이격된 나사형 개구부를 갖는다. 가변형 클램핑 스트립은 하측 방향으로 확장되고, 상기 클램핑 부품의 중앙부의 각 측벽면상에 스트립을 하나씩 구비하도록 제공된다. 나사를 상기 클램핑 부품속으로 전진시키면, 상기 부품이 상기 경사진 중앙벽 상으로 당겨지고, 상기 중앙벽은 상기 클램핑 스트립을 굽혀 상기 기판과 맞물리게 하여, 상기 기판의 소망하는 클램핑 고착을 달성하게 된다. 사실상, 각 기판은 상기 구조물의 외측벽과 바깥으로 벌어진 클램핑 스트립 사이에서 쐐기로 죄어진다.
본 고안의 제2의 실시태양은 상기 횡벽에 일체인 경사진 중앙벽부를 대신해서 주로 원주형상인 복수개의 금속성 페루울을 사용하고, 사용시, 나사가 상기 클램핑 부품속으로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나사가 상기 클램핑 스트립을 상기 페루울에 의해 바깥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하여, 상기 클램핑 스트립으로 하여금, 상기 회로기판을 맞물리게 한다.
이제, 제1도의 도면을 특별히 참조하면, 전형적인 두개의 모서리 지지섀시(10)로서, 한쌍의 양측 모서리로 제1 및 제2인쇄회로기판(12, 14)을 이격 분리된 상태로 끼우기 위한 상기 지지섀기(10)가 도시된다. 상세하게, 상기 지지섀시는 한 쌍의 측벽(16, 18)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16, 18)은 각기 상측 및 하측 횡벽(20, 22)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더욱 세밀하게 설명될 것으로, 본 고안의 록킹장치(24)는 상기 섀시 중공버(26)내의 상기 기판(12, 14)모서리를 상기 횡벽의 범위내에 자유롭게 고착시킨다.
상기 록킹장치의 상세한 설명을 돕기 위해, 우선 제2a도 및 제2b도를 참조한다. 상기 횡벽(22)은 섀시의 양측벽(16, 18)과 일체로 연결되어 제1 및 제2리쎄스(28, 30)를 구비하고, 상기 리쎄스(28, 30)내부에서는 상기 기판(12, 14)의 하측모서리가 각기 수용된 것으로 나타난다. 돌출된 중앙벽(32)이 상기 측벽사이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측벽사이에서 상기 두개의 기판의 하측모서리를 지나도록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를 향해 상방향으로 경사진 측면을 갖는다. 분리 이격된 개구부(34)는 상기 중앙벽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동일 수의 기계나사(36)가 각각 개별적인 개구부(34)내부에 미끄러져 수용된 정도의 직경 및 전신장을 구비하여, 상기 횡벽의 바깥측에서 그것의 슬롯머리(38)로 상기 개구부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나사의 내측 끝단이 상기 중앙벽(32)의 바깥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된 클램핑 부품(40)은 중앙벽에 있는 개구부(34)에 이격되고, 동일한 갯수인 복수개의 개구부를 구비하여, 두 세트의 개구부가 일직선으로 맞춰질 수 있다. 상기 클램핑 부품의 개구부는 상기 기계나사를 동일하게 수용하기 위해 나삿니가 내어져 있다. 또한, 상기 부품(40)은 한 쌍의 가변형 클램핑 스트립(42, 44)을 각측면에 하나씩 구비하고, 상기 스트립(42, 44)은 일정 각도로 상기 클램핑 부품의 몸체로 부터 연장된다. 제2a도에 잘 도시된 것으로, 상기 클램핑 부품이 상기 나사(36)상으로 최초로 나삿니가 내질대 및 록킹이전에, 나사 클램핑 스트립은 단지 상기 경사진 중앙벽의 상측 모서리에 접촉한 상태이다. 또한, 이러한 때에, 상기 클림핑 스트립의 외부표면이 상기 기판을 현재로서는 접촉하지 않는다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상기 기판은 상기 지지섀시(10)내부의 알맞은 위치에서 록킹하고자 할 때, 종래의 스크루 드라이버(도면상에 보이지 않음)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상기 슬롯머리(38)에 대고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계나사(36)가 상기 클램핑 부품(40)속으로 전진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스트립이 아래로 당겨져 상기 중앙벽(32)상에 닿아, 상기 중앙벽(32)이 상기 스트립을 바깥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밀어 변형시키게 되고, 제2b도에 도시된 것 같이 상기 기판에 대고 클램프하게 된다. 상기 두개의 기판은 이제, 상기 지지섀시의 측벽에 기대어 고착방식으로 클램프된 상태의 모서리부를 갖는다.
제5도는 본 고안의 택일적인 실시태양을 설명한 것으로, 상기 설명된 제1의 실시태양과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상기 지지섀시의 횡벽(22)과 일체인 상기 중앙벽(3)을 제거시킨 것이다.
그 대신, 상기 지지섀시의 횡벽은 단지 평면화되고, 복수개의 원주형 페루울(46)이 각 개구부(34)용으로 하나씩 제공된다.
상기 페루울은 적당한 칫수를 가져, 상기 나사(36)가 상기 클램핑 부품(40)속으로 나사결합될 때, 상기 클램핑 스트립이 상기 페루울의 상측 모서리상에서 변형되어, 상기 제1의 실시태양에서 처럼 상기 기판에 대고 클램프 하게 된다.
상기 클램핑 부품(40) 및 클램핑 스트립(42, 44)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형태로 주조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는, 상기 클램핑 부품이 다수 또는 복합 금속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인쇄회로기판의 록킹장치는 기판의 규격(신장 또는 길이)에 관계없이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소형용으로 적합하다. 또한, 일정한 상황하에서 요구되거나, 필수적이기까지 한 외부작동입구를 제공하는 것을 추가하여, 상기 기판의 모서리중 특정부에 예비 하중을 선택적으로 가하기 위해, 상기 설명된 장치가 가변 탄성계수를 갖게 만들어질 수 있다. 더우기, 클램프의 예비하중의 크기는, 클램프 부품의 형태 및 조절나사의 수와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서 높여진다. 다른 장점은, 상기 클램프의 힘이 분배되기 때문에, 기판 재료의 응력계수 및 깨지기 쉬운 성질을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설명으로 부터 잇점이 되는 결과는, 짧은 기간의 응력이완 및 장기간의 크리이프 현상이 발생되어 치뤄진 이후에 제공될 수 있는 최소 가용 예비하중이 존재할 것이라는 점이다. 또한, 나사 조립체의 토오크범위내에서 상대적으로 방대한 변형이 적용될 수 있다. 더우기, 예비하중을 가해야 할 영역은, 고강도나 고가인 장치없이도, 촉감만으로된 찾아낼 수 있다.
어떠한 운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로킹 장치사이에서 발생될 때, 상기 운동은 상기 부품간의 마찰력에 의해 제동(소위 “정전제동”이라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록킹장치의 물질이 방해받을 때, 소위 이격 현상이라는 제동이 내부 마찰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두 경우에 있어서, 에너지는 열발생을 통해 방출되어 기판이동이 제동되는 상태를 초래한다.
비록 본 고안이 바람직한 실시태양과 결부되어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정신내에 속하게 되고, 또한, 본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내에 있는 변형이 당업자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록 단지 하나의 기판모서리 록킹장치가 기판의 하측 모서리를 록킹하는 장치로 설명되었지만, 제2의 동일한 장치가 상기 기판의 반대측 모서리를 클램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나사대신 오버센터(over­center)메카니즘이 상기 록킹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상측 및 하측 횡벽에 의해 분리 연결된 한 쌍의 외측 측벽을 구비한 지지섀시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횡벽중 최소한 하나의 횡벽에 모서리로 지지되는 한 쌍의 분리 이격된 인쇄회로기판용 록킹장치로서 ;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상기 횡벽과 일체이고, 서로 대향된 회로기판의 모서리부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중앙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벽 수단의 양측면의 표면이 서로를 향해 경사를 이루고, 최소한 두개의 개구부가 상기 중앙벽 수단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횡벽과 인접하고 ; 클램핑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클램핑 수단이 ; 상기 중앙벽 수단의 개구부와 일렬로 정렬되는 두개의 개구부를 구비한 연장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면과 각기 일체이고, 상기 몸체로 부터 바깥으로 벌어진 제1 및 제2클램핑 스트립, 및 상기 지지섀시의 외측으로 부터 상기 중앙벽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개구부속으로 나사결합되는 기계나사를 포함하고 ; 상기 나사가 상기 몸체의 개구부속으로 나사선을 따라 전진된 상태로, 상기 클램핑 스트립을 상기 중앙벽의 경사진 측면위로 당겨, 상기 경사진 측면이 상기 스트립을 바깥방향으로 변형시켜, 상기 기판의 모서리부를 상기 지지섀시를 측면벽에 기대어 클램프하게 되는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이 연장된 몸체 및 클램핑 스트립이 가변성 합성 플라스틱 물질로 구조된 록킹장치.
  3. 상측 및 하측 횡벽에 의해 분리된 제1 및 제2외측 측면을 구비하고 있는 지지섀시내에 위치된 분리 이격된 인쇄회로기판용 록킹장치로서,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횡벽중 최소한 하나의 횡벽에 모서리를 지지되고 ; 완전히 관통되어 연장된 중앙 구멍을 갖는 최소한 두개의 원주형 페루울을 구비하고, 상기 페루울의 구멍이 횡벽내의 개별적인 개구부와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상기 페루울이 위치되고 ; 클램핑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클램핑수단이 ; 상기 횡벽 및 페루울과 일렬로 정렬 가능한 두개의 개구부를 구비한 연장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변과 각기 일체이고, 상기 몸체로 부터 바깥으로 벌어진 제1 및 제2클램핑 스트립, 및 상기 지지섀시의 외측으로 부터 상기 횡벽의 개구부, 페루울의 개구부 및 클램핑 수단의 몸체 개구부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기계나사를 포함하고 ; 상기 나사가 상기 몸체 개구부속으로 나삿니를 따라 전진된 상태로, 상기 클램핑 스트립을 바깥방향으로 변형시켜, 상기 기판의 모서리부분을 상기 지지섀시의 측벽에 기대어 클램프하게 되는 록킹장치.
  4. 횡벽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분리된 제1 및 제2측벽에 의해 형성된 지지섀시 챔버내부에, 제1 및 제2인쇄회로기판을 해체 가능하게 록킹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기판은 각기 상기 횡벽의 내측표면을 접촉하는 모서리를 구비하고, 서로 분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기판의 모서리부를 대향하면서 위치하고 ; 상기 기판의 분리 이격된 부분 사이의 상기 횡벽에 위치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단이 상기 대향하는 기판의 모서리부 사이에서 상기 기판의 모서리부를 접촉하지 않고 연장되는 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수단이 상기 횡벽내의 개구부와 일렬로 정렬된 복수개의 개구부를 갖고 ; 상기 몸체 부품의 양측면에 고착된 제1 및 제2판재와 같은 스트립을 갖고 상기 부품으로 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바깥으로 벌어진 연장된 몸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부품 및 판재와 같은 스트립이 상기 부품위에 조립되고, 일정한 직경을 가져 상기 기판의 분리 이격된 모서리 사이에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 수단이 또한 상기 수단 및 횡벽내의 개구부와 각기 일렬로 정렬 가능한 복수개의 보통 평행한 개구부를 구비하고 ; 상기 지지섀시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연결된 상태로 이동하는 끝단을 갖고, 각각의 상기 일렬로 정렬된 개구부내에 수용된 나삿니를 낸 나사를 포함고, 각 나사가 소정의 치수를 가져, 상기 횡벽 및 수단내의 상기 개구부를 미끄러지며 통과하게 되고, 상기 몸체 부품에는 나삿니를 따라 나사결합으로 수용되고 ; 상기 몸체 부품 내부로 전진한 상태의 상기 나사가 상기 판재와 같은 스트립을 상기 수단위로 당겨, 상기 수단이 상기 스트립을 상기 기판의 모서리부를 향해 변형시켜, 그것과 접촉시키고, 기판을 상기 지지섀시의 측벽에 기대어 클램프하는 록킹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 및 판재와 같은 스트립이 일체로 주형된 합성 플라스틱 구조인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횡벽과 일체인 벽을 구비하고, 상기 벽이 상기 횡벽으로 부터 멀어지는 상태로 서로를 향해 경사진 양측의 표면을 구비하는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복수개의 페루울을 각 수단의 개구부에 하나씩 구비하고, 상기 페루울이 나사로 하여금 미끄러지면서 상기 구멍을 통과하게 하는 단면을 갖는 구멍을 구비하는 장치.
KR2019940002253U 1990-05-09 1994-02-05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 록킹장치 KR94000412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21,306 1990-05-05
US07/521,306 US5016141A (en) 1990-05-09 1990-05-09 Printed circuit board edge-locking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404A Division KR910021193A (ko) 1990-05-09 1991-05-08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124Y1 true KR940004124Y1 (ko) 1994-06-20

Family

ID=240762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404A KR910021193A (ko) 1990-05-09 1991-05-08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 록킹장치
KR2019940002253U KR940004124Y1 (ko) 1990-05-09 1994-02-05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 록킹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404A KR910021193A (ko) 1990-05-09 1991-05-08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 록킹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016141A (ko)
EP (1) EP0456022A1 (ko)
JP (1) JPH07123190B2 (ko)
KR (2) KR910021193A (ko)
AU (1) AU631741B2 (ko)
CA (1) CA2039741A1 (ko)
IL (1) IL97812A0 (ko)
NO (1) NO911588L (ko)
TR (1) TR251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0976A (en) * 1993-06-30 1996-05-28 Simmonds Precision Products Inc. Composite enclosure for electronic hardware
US5700342A (en) * 1993-06-30 1997-12-23 Simmonds Precision Products Inc. Composite enclosure for electronic hardware
US5381308A (en) * 1993-10-20 1995-01-10 Wolpert; Richard W. Electrical component arranged for locking and electrically conecting in an opening of a panel fromexternally of the panel
US5504653A (en) * 1994-11-21 1996-04-02 Delco Electronics Corp. Heat sinking assembly for electrical components
GB9600638D0 (en) * 1996-01-12 1996-03-13 Mita Uk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fastening devices
US5937578A (en) * 1997-08-15 1999-08-17 Dolan; Thomas M. Garage door safety sensor mounting assembly
DE29909182U1 (de) * 1999-05-26 2000-09-28 Ramsauer Dieter Klemmbügelbefestigung zur Montage von Scharnieren, Verschlüssen oder dgl. Bauteilen in einer dünnen Wand
DE50305983D1 (de) * 2002-10-14 2007-01-25 Siemens Ag Verfahren zur montage eines schaltungsmoduls
KR100939382B1 (ko) * 2009-06-24 2010-01-29 (주)엘포인트 엘이디 모듈 기판과 섀시의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US20120051014A1 (en) * 2010-08-27 2012-03-01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Printed circuit board housing with tapered locking rails
KR101717931B1 (ko) 2010-10-01 2017-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0173A (en) * 1970-01-02 1972-03-21 Bunker Ramo Positive locking snap-fastener
DE2018117A1 (de) * 1970-04-15 1971-11-04 Lindner H Spreizklemmbolzen zur Befestigung einer Haltevorrichtung an dünnwandigen Flächen
US3975805A (en) * 1975-08-25 1976-08-24 International Electronic Research Corporation Slide guide re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11588D0 (no) 1991-04-22
EP0456022A1 (en) 1991-11-13
IL97812A0 (en) 1992-06-21
JPH04229695A (ja) 1992-08-19
JPH07123190B2 (ja) 1995-12-25
AU631741B2 (en) 1992-12-03
US5016141A (en) 1991-05-14
KR910021193A (ko) 1991-12-20
AU7635391A (en) 1991-11-21
NO911588L (no) 1991-11-11
CA2039741A1 (en) 1991-11-06
TR25141A (tr) 199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4124Y1 (ko)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 록킹장치
US5757621A (en) Heat sink assembly employing spring-loaded standoffs
US5340318A (en) Conductive elastomeric element electronic connector assembly
US3704394A (en) Receptacle for printed circuit structures with bus bar mounting means
CA2218432C (en) Module support structure
EP0140554A1 (en) Diamond heatsink assemblies
US5561588A (en) Electrical capacitor, particularly an electrolyte capacitor
JPH1057159A (ja) 取り付け機構
US6341059B1 (en) Holding device for computer memory drive carriers
JPH0637588Y2 (ja) 六角ナット付きコネクタ
JPS645913Y2 (ko)
JPH0648918Y2 (ja) プリント基板隔離材
US5492490A (en) Insert mounting and method for inserting and mounting components in printed wiring board holes
JPH08236965A (ja) プリント基板取付構造
JPH0321154Y2 (ko)
JPH051106Y2 (ko)
JPH0537500Y2 (ko)
JPS6343645Y2 (ko)
JPH0214190Y2 (ko)
JPH0731509Y2 (ja) 端子盤
JPH0546308Y2 (ko)
DE3810716A1 (de) Halter fuer flache bauelemente
JPS638025Y2 (ko)
JPH0440308Y2 (ko)
KR0121332Y1 (ko) 회로부품 접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