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472B1 -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 Google Patents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472B1
KR101193472B1 KR1020120060765A KR20120060765A KR101193472B1 KR 101193472 B1 KR101193472 B1 KR 101193472B1 KR 1020120060765 A KR1020120060765 A KR 1020120060765A KR 20120060765 A KR20120060765 A KR 20120060765A KR 101193472 B1 KR101193472 B1 KR 101193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ball stud
switchgear
nu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산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산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산전기
Priority to KR1020120060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는, 전장품이 설치되는 장치 본체, 장치 본체를 떠받치는 받침판과 받침판으로부터 지면으로 향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측벽과 외측벽을 형성하는 지지벽을 구비하는 받침대, 소켓을 갖는 바닥 고정체와 소켓에 피봇 결합되는 볼과 그 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받침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볼 스터드와 볼 스터드에 나사 결합되어 받침대의 관통구멍 둘레에 걸림으로써 받침대와 볼 스터드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너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감쇠기구, 받침판의 수용홈에 수용되고 감쇠기구의 바닥 고정체를 수용하는 결합홈을 구비하며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바닥고정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는 장치 본체를 떠받치는 볼 스터드가 건물의 바닥에 놓이는 바닥 고정체에 피봇 결합되므로,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볼 스터드가 흔들리면서 외부 충격을 흡수한다. 따라서 장치 본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크게 저감시켜 장치 본체에 내장된 각종 전장품을 외부 진동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SWITCHBOARD HAVING EARTHQUAKE-PROOF DEVICE}
본 발명은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 배전반, 저전압 배전반, 분전반, MCC(motor control center)와 같은 바닥에 기립 상태로 설치되는 장치 본체를 지진 등에 의한 진동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빈번해지고 있는 지진과 태풍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구조물의 붕괴사고 및 그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발전소나 교량과 같은 중요 구조물이나 고층빌딩 같은 대형 건축물은 파괴시 엄청난 인명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이들에 대한 내진설계 기준은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진의 강도가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건물의 진동에 의해 건물 자체는 건전하여도 그 내부의 각종 전기장치나 물건들은 넘어지거나, 서로 충돌하면서 파손될 수 있다. 특히 제어반과 같은 중대형 전기장치는 외부의 진동에 취약한 제어회로, 소자, 스위치 등의 전장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계 구조적 강도가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중대형의 전기장치는 내진구조로 설치되어야 건물의 진동에 의한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전기장치를 지진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기술로 국내 공개특허 제2011-87748호(2011. 8. 3. 공개)에는 전기장치에 대한 내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내진장치는, 전기장치의 함체 양측에 바닥면으로부터 입설되는 서포트가 설치되고, 서포트로부터 함체의 측벽을 향하는 수평축이 마련되며, 수평축과 함체의 측벽 사이에 축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 가요성 부재가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내진장치는 전기장치의 함체 양측에 서포트를 설치하고, 함체와 서포트를 탄성 가요성 부재로 연결함으로써, 탄성 가요성 부재가 지닌 탄성력에 의해 축방향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운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지진파 등의 외부 진동 에너지를 탄성 가요성 부재에서 흡수함으로써 전기장치를 진동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 전기장치용 내진장치는 바닥면에 고정된 한 쌍의 서포트가 전기장치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어 전기장치를 바닥면으로부터 부상한 상태로 지지하므로, 전기장치가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기 쉽다. 즉 전기장치가 수평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쉽게 기울어질 수 있다. 특히 무게가 무거운 전기장치에 적용하려면 서포트나 수평축의 강도가 매우 커야하고, 탄성 가요성 부재의 탄성 강도 또한 매우 커야 하므로 설치 비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외부 진동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내장된 전장품을 보호할 수 있는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는, 전장품이 설치되는 장치 본체,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장치 본체의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를 떠받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지면으로 향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측벽과 외측벽을 형성하는 지지벽과 상기 받침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구멍과 상기 지지벽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를 구비하는 받침대, 소켓을 갖는 바닥 고정체와 상기 소켓에 삽입되어 피봇 결합되는 볼과 그 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받침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며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볼 스터드와 상기 볼 스터드의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의 관통구멍 둘레에 걸림으로써 상기 받침대와 볼 스터드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너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감쇠기구, 상기 지지벽에 의해 상기 받침판 하부에 구획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감쇠기구의 바닥 고정체를 수용하는 결합홈을 구비하며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바닥고정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는 장치 본체를 떠받치는 볼 스터드가 건물의 바닥에 놓이는 바닥 고정체에 피봇 결합되므로,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볼 스터드가 흔들리면서 외부 충격을 흡수한다. 따라서 장치 본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크게 저감시켜 장치 본체에 내장된 각종 전장품을 외부 진동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는 볼 스터드에 나사 결합되는 높이 조절 너트를 돌려 장치 본체의 하면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치 본체의 수평을 쉽게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는 감쇠기구가 사용자가 높이 조절 너트를 볼 스터드로부터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장치 본체의 높이 조절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는 장치 본체를 떠받치는 복수의 감쇠기구를 바닥에 고정되는 바닥고정 프레임에 결합하여 설치하므로 감쇠기구의 설치 위치를 맞추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가 나란히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의 감쇠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의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의 감쇠기구에 구비된 높이 조절 너트를 볼 스터드를 따라 이동시켜 받침대 및 이에 놓인 장치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의 감쇠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의 특징적 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의 감쇠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의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가 나란히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100)은 고전압 배전반, 저전압 배전반, 분전반, MCC(motor control center)와 같은 바닥에 기립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각종 전장품이 내장되는 장치 본체(110)와 각종 건물의 바닥에 설치되어 장치 본체(1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떠받치는 내진장치(120)를 포함한다. 내진장치(120)는 장치 본체(110)를 떠받침으로써 장치 본체(110)를 지진 등에 의해 건물의 바닥에 발생하는 진동으로부터 보호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진장치(120)는 장치 본체(110)의 하면에 결합되는 받침대(121)와, 받침대(121)를 탄력적으로 떠받치는 복수의 감쇠기구(127) 및 바닥에 고정되는 한 쌍의 바닥고정 프레임(146)을 포함한다. 감쇠기구(127)는 바닥고정 프레임(146)에 두 개씩 결합되고, 받침대(121)의 네 모서리 부분에 하나씩 배치되어 받침대(121)를 바닥과 평행하게 떠받친다.
받침대(121)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진다. 받침대(121)는 장치 본체(110)의 하면에 접하여 장치 본체(110)를 떠받치는 받침판(122)과 받침판(122)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측벽과 외측벽을 형성하는 지지벽(123)을 포함한다. 받침판(122)에는 복수의 관통구멍(124)이 마련되고, 외측벽을 형성하는 지지벽(123)에는 복수의 절개부(125)가 마련된다. 관통구멍(124)은 후술할 감쇠기구(127)의 볼 스터드(135)의 결합을 위한 것이고, 절개부(125)는 감쇠기구(127)의 바닥 고정체(128) 일부분을 받침대(121)의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받침판(122)의 하부에는 지지벽(123)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홈(126;도 4참조)이 마련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감쇠기구(127)는 받침대(121)를 떠받침으로써 받침대(121) 위에 놓이는 장치 본체(1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떠받친다. 감쇠기구(127)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10)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바닥 고정체(128)와, 바닥 고정체(128)에 피봇 결합되는 볼 스터드(135)와, 볼 스터드(135)에 나사 결합되어 받침대(121)를 지지하는 높이 조절 너트(140)와, 볼 스터드(135)에 나사 결합되어 받침대(121)를 높이 조절 너트(140) 쪽으로 가압하는 고정 너트(143)를 포함한다.
바닥 고정체(128)는 베이스 몸체(129)와 베이스 몸체(129)의 일측으로 연장된 브라켓(130)을 포함한다. 베이스 몸체(129)에는 볼 스터드(135)가 피봇 결합되는 소켓(131)이 구비되고, 브라켓(130)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바닥에 밀착되는 바닥 밀착부(132)와 볼트 등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가 삽입되는 삽입구멍(133)이 구비된다. 또한 브라켓(130)의 상부에는 브라켓(13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134)가 구비된다. 브라켓(130)의 바닥 밀착부(132)를 바닥에 밀착시키고 삽입구멍(133)에 고정부재(10)를 삽입하여 볼트 형상 고정부재(10)를 바닥을 뚫고 고정하면, 바닥 고정체(128)를 바닥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볼 스터드(135)는 하단에 소켓(131)에 피봇 결합되는 볼(137)이 구비되고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 1 나사축(136)과, 제 1 나사축(136)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 2 나사축(138)을 포함한다. 제 1 나사축(136)과 제 2 나사축(138)은 힌지 핀(139)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높이 조절 너트(140)나 고정 너트(143)를 볼 스터드(135)에 결합할 때는 제 2 나사축(138)을 제 1 나사축(136)과 직선을 이루도록 하여 높이 조절 너트(140)나 고정 너트(143)를 쉽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이 조절 너트(140)나 고정 너트(143)를 조일 때는 제 2 나사축(138)을 힌지 핀(139)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 1 나사축(136)과 수직 또는 교차하도록 함으로써 높이 조절 너트(140)나 고정 너트(143)를 쉽게 조일 수 있다.
높이 조절 너트(140)는 볼 스터드(135)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141) 및 너트부(141)의 하단에 너트부(141)의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마련된 플랜지부(142)를 포함한다. 고정 너트(143)는 높이 조절 너트(14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볼 스터드(135)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144) 및 너트부(144)의 하단에 너트부(144)의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마련된 플랜지부(145)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 너트(140)의 너트부(141)는 장치 본체(110)의 하면에 마련된 관통구멍(111)이나 받침대(121)에 구비된 관통구멍(124)의 크기보다 작고 높이 조절 너트(140)의 플랜지부(142)는 장치 본체(110)의 관통구멍(111)이나 받침대(121)의 관통구멍(124)보다 크다. 고정 너트(143)의 플랜지부(145)는 장치 본체(110)의 관통구멍(111)이나 받침대(121)의 관통구멍(124)보다 크다.
높이 조절 너트(140)의 플랜지부(142)는 받침대(121)를 떠받친다. 따라서 볼 스터드(135)에 나사 결합된 높이 조절 너트(140)를 돌려 높이 조절 너트(140)를 볼 스터드(135)를 따라 이동시키면 받침대(121) 및 이에 놓인 장치 본체(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너트(143)의 플랜지부(145)는 볼 스터드(135)에 결합되어 장치 본체(110)의 하면을 높이 조절 너트(140) 쪽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고정 너트(143)를 돌려 고정 너트(143)를 높이 조절 너트(140) 쪽으로 이동시키면 장치 본체(110)의 하면을 받침대(121)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바닥고정 프레임(146)은 바닥에 놓이는 바닥판(147)과 바닥판(147)의 둘레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측벽(148)을 갖는다. 바닥판(147)의 상부에는 측벽(148)에 의해 둘러싸인 결합홈(149)이 마련되고, 측벽(148)에는 한 쌍의 절개부(160)가 구비된다. 하나의 바닥고정 프레임(146)에는 두 개의 감쇠기구(127)가 결합된다. 감쇠기구(127)의 베이스 몸체(129)는 결합홈(149)에 수용되어 바닥판(147)의 상면과 밀착되고, 브라켓(130)은 절개부(160)를 통해 바닥고정 프레임(146)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바닥고정 프레임(146)을 이용하여 감쇠기구(127)를 바닥에 고정하면 장치 본체(110)를 바닥에 설치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바닥고정 프레임(146)이 없으면 장치 본체(110)의 하면에 맞춰 감쇠기구(127) 위치를 하나씩 조정해야 하지만, 한 쌍의 감쇠기구(127)를 바닥고정 프레임(146)에 결합하고 바닥고정 프레임(146)을 바닥에 배치하면 두 개의 감쇠기구(127) 위치를 한꺼번에 맞출 수 있어 편리하다.
도 5 및 도 6은 높이 조절 너트(140)를 볼 스터드(135)를 따라 이동시켜 받침대(121) 및 이에 놓인 장치 본체(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도 5는 높이 조절 너트(140)를 측면에서 파지할 수 있는 볼트 고정 공구(20)로 높이 조절 너트(140)를 잡고 볼 스터드(135)를 돌려 높이 조절 너트(140)를 볼 스터드(135)를 따라 이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받침대(121)의 절개부(125)를 통해 볼트 고정 공구(20)를 높이 조절 너트(140)가 놓인 받침대(121)의 안쪽으로 진입시켜 높이 조절 너트(140)의 플랜지부(142)를 파지한 후 볼 스터드(135)를 돌리면 높이 조절 너트(140)를 볼 스터드(135)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볼 스터드(135)는 바닥 고정체(128)에 피봇 결합되어 있으므로 바닥 고정체(128)가 바닥에 고정되어 있더라도 볼 스터드(135)에 회전력을 가하면, 볼 스터드(135)를 바닥 고정체(128)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볼 스터드(135)의 제 2 나사축(138)을 힌지 핀(139)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 1 나사축(136)과 교차하도록 꺾은 후 제 2 나사축(138)을 잡고 돌리면 볼 스터드(135)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은 볼트 조임 공구(30)로 높이 조절 너트(140)를 돌려 높이 조절 너트(140)를 볼 스터드(135)를 따라 이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높이 조절 너트(140)의 너트부(141)는 장치 본체(110)의 관통구멍(111)이나 받침대(121)의 관통구멍(124)보다 작으므로, 높이 조절 너트(140)의 너트부(141)는 장치 본체(110)의 관통구멍(111) 위쪽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높이 조절 너트(140)의 너트부(141)와 형합될 수 있는 헤드(31)를 갖는 볼트 조임 공구(30)를 장치 본체(110)의 관통구멍(111) 및 받침대(121)의 관통구멍(124)으로 밀어 넣으면 높이 조절 너트(140)의 너트부(141)를 잡을 수 있다. 이후, 볼트 조임 공구(30)를 돌리면 높이 조절 너트(140)를 볼 스터드(135)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다.
볼 스터드(135)는 바닥 고정체(128)에 피봇 결합되어 있으므로 볼 스터드(135)를 잡지 않고 높이 조절 너트(140)를 돌리면 볼 스터드(135)가 높이 조절 너트(1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높이 조절 너트(140)와 볼 스터드(135) 사이에 나사 운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높이 조절 너트(140)가 볼 스터드(135)를 따라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볼트 조임 공구(30)로 높이 조절 너트(140)를 돌릴 때 볼 스터드(135)를 고정하는 좋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볼 스터드(135)의 제 2 나사축(138)을 힌지 핀(139)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 1 나사축(136)과 교차하도록 꺾은 후 제 2 나사축(138)을 잡음으로써 볼 스터드(135)를 고정할 수 있다. 제 2 나사축(138)을 꺾은 상태에서 높이 조절 너트(140)의 너트부(141)를 파지할 수 있도록 볼트 조임 공구(30)의 헤드부(31)에는 꺽인 상태의 제 2 나사축(138)이 놓일 수 있는 개방부(32)가 마련된다.
한편, 도 7은 감쇠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감쇠기구(160)는 도 3에 도시된 감쇠기구(127)와 대부분의 구성이 같은 것으로, 볼트 등의 고정부재(10)에 의해 바닥에 고정되는 바닥 고정체(128)와, 바닥 고정체(128)에 피봇 결합되는 볼 스터드(161)와, 볼 스터드(161)에 나사 결합되어 받침대(121)를 지지하는 높이 조절 너트(140), 볼 스터드(161)에 나사 결합되어 받침대(121)를 높이 조절 너트(140) 쪽으로 가압하는 고정 너트(143)와, 볼 스터드(161)에 결합되는 볼 스터드 결합부재(16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바닥 고정체(128)와, 높이 조절 너트(140) 및 고정 너트(143)는 상술한 것과 같다.
볼 스터드(161)에는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구멍(162)이 마련되고, 볼 스터드 결합부재(163)는 결합구멍(162)에 삽입되는 삽입부(164)를 갖는다. 볼 스터드 결합부재(163)의 삽입부(164)를 볼 스터드(161)의 결합구멍(162)에 삽입함으로써 볼 스터드 결합부재(163)를 볼 스터드(161)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높이 조절 너트(140)나 고정 너트(143)를 볼 스터드(161)에 나사 결합할 때는 볼 스터드 결합부재(163)를 볼 스터드(161)로부터 분리하고, 높이 조절 너트(140)를 볼 스터드(161)를 따라 이동시킬 때는 볼 스터드 결합부재(163)를 볼 스터드(161)에 결합하고 상술한 것과 같이 볼트 고정 공구(20)나 볼트 조임 공구(30)를 이용함으로써 높이 조절 너트(140)를 볼 스터드(161)를 따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감쇠기구(127)(160)는 장치 본체(110)가 놓인 받침대(121)를 떠받친다. 받침대(121)를 지지하는 볼 스터드(135)(161)는 바닥 고정체(128)에 피봇 결합되므로,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볼 스터드(135)(161)가 흔들리면서 외부 충격을 흡수한다. 따라서 장치 본체(110)에 전달되는 충격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감쇠기구(127)(160)는 사용자가 높이 조절 너트(140)를 볼 스터드(135)(161)로부터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높이 조절 너트(140)의 이동에 의한 장치 본체(110)의 높이 조절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배전반(100)은 받침대(121)의 절개부(125)와 감쇠기구(127)(160)의 바닥 고정체(128)의 구조에 의해 장치 본체(110)를 지면에 고정하는 작업을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종래의 전기장치의 경우 지면에 가까운 구성부터 순차적으로 지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전기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기장치의 치수 오차 및 지면의 수평 정도에 따라 지면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지면에 가까운 구성부터 고정하면서 전기장치를 설치하면 전기장치가 전체적으로 기울어지고 수평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체 전기 장치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는 장치의 높이를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에 의하면, 전체 배전반(100)을 지면에 올려놓고 고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면에 대한 고정과 높이 조절을 할 수 있으므로, 장치 전체의 수평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전체적으로 배전반(100)이 지면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벽(123)의 절개부(12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바닥 고정체(128)의 브라켓(130)을 지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본 실시예의 배전반(100)을 설치하게 된다.
받침대(121) 위에 장치 본체(110)가 배치된 상태에서도, 브라켓(130)이 절재부(125)를 통해 지지벽(123)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작업자가 바닥 고정체(128)를 지면에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기가 용이하다. 즉, 작업자가 장치 본체(110)의 내부로 들어가서 작업하거나 미리 바닥 고정체(128)를 지면에 고정하고 받침대(121)를 설치하지 않고, 모든 장치의 지면 배치 작업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브라켓(130)에 형성된 삽입구멍(133)을 통해 고정부재(10)를 삽입하여 지면에 바닥 고정체(128)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바닥 고정체(128)의 지면 고정이 완료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너트(140)를 이용하여 받침대(121)의 감쇠기구(127)에 대한 높이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작업 방법에 의해, 지면의 수평 오차 및 장치 본체(110)와 받침대(121)의 형상 오차에 의한 전체적인 형상 오차를 바닥 고정체(128)와 받침대(121) 사이의 높이 조절에 의해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의 특징적 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감쇠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의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20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전반(100)과 비교하여 내진장치(210)의 일부 구성이 변경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200)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배전반(100)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200)은 각종 전장품이 내장되는 장치 본체(110)와 각종 건물의 바닥에 설치되어 장치 본체(1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떠받치는 내진장치(210)를 포함한다. 내진장치(210)는 장치 본체(110)의 하면에 결합되는 받침대(121)와, 받침대(121)를 탄력적으로 떠받치는 복수의 감쇠기구(211) 및 바닥에 고정되는 한 쌍의 바닥고정 프레임(216)을 포함한다.
감쇠기구(211)는 바닥고정 프레임(216)에 결합되는 바닥 고정체(212), 바닥 고정체(212)에 피봇 결합되는 볼 스터드(135)와, 볼 스터드(135)에 나사 결합되어 받침대(121)를 지지하는 높이 조절 너트(140)와, 볼 스터드(135)에 나사 결합되어 받침대(121)를 높이 조절 너트(140) 쪽으로 가압하는 고정 너트(143)를 포함한다.
바닥 고정체(212)는 볼 스터드(135)가 피봇 결합되는 소켓(214)이 구비된 베이스 몸체(213)와 베이스 몸체(213)의 하면에 결합되는 완충부재(215)를 포함한다. 완충부재(215)는 고무나 실리콘 등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베이스 몸체(213)의 하면에 결합되어 바닥고정 프레임(216)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킨다.
바닥고정 프레임(216)은 바닥에 놓이는 바닥판(217)과 바닥판(217)의 둘레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측벽(218)을 갖는다. 바닥판(217)의 상부에는 측벽(218)에 의해 둘러싸인 결합홈(219)이 마련되고, 결합홈(219)에는 한 쌍의 스토퍼(220)가 구비된다. 하나의 바닥고정 프레임(216)에는 두 개의 감쇠기구(211)가 놓이게 되고, 스토퍼(220)는 결합홈(219)에 수용된 베이스 몸체(213)와 접하여 베이스 몸체(213)를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도면에 자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바닥고정 프레임(216)은 볼트 등의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통해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전반(200) 역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전반(200)과 같이, 장치 본체(110)가 놓인 받침대(121)를 지지하는 볼 스터드(135)가 바닥 고정체(212)에 피봇 결합되므로,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볼 스터드(135)가 흔들리면서 외부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장치 본체(110)를 보호할 수 있다. 더욱이, 바닥 고정체(212)의 완충부재(216)가 바닥고정 프레임(216)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1차적으로 완충시킴으로써 장치 본체(110)에 전달되는 충격은 더욱 작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전반(200)은 장치 본체(110)를 떠받치는 높이 조절 너트(140)가 사용자에 의해 볼 스터드(135)로부터 쉽게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높이 조절 너트(140)의 이동에 의한 장치 본체(110)의 높이 조절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진장치(120)(2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면에 도시되고 앞서 설명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받침대(121)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감쇠기구(127)(160)(211)가 장치 본체(110)의 하면에 직접 결합된다. 그리고 감쇠기구(127)(160)(211)에 있어서 바닥 고정체(128)(212)나 볼 스터드(135)(161)의 구체적 구성 및 이들의 결합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200 :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110 : 장치 본체
120, 210 : 내진장치 121 : 받침대
122 : 받침판 123 : 지지벽
127, 160, 211 : 감쇠기구 128, 212 : 바닥 고정체
129, 213 : 베이스 몸체 130 : 브라켓
131, 214 : 소켓 134 : 보강부
135, 161 : 볼 스터드 136, 138 : 제 1, 2 나사축
137 : 볼 139 : 힌지 핀
140 : 높이 조절 너트 141, 144 : 너트부
142, 145 : 플랜지부 143 : 고정 너트
146, 216 : 바닥고정 프레임 163 : 볼 스터드 결합부재
215 : 완충부재

Claims (7)

  1.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전장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이 설치되는 장치 본체;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장치 본체의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를 떠받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지면으로 향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측벽과 외측벽을 형성하는 지지벽과, 상기 받침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구멍과, 상기 지지벽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를 구비하는 받침대;
    소켓을 갖는 바닥 고정체와, 상기 소켓에 삽입되어 피봇 결합되는 볼과 그 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받침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며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볼 스터드와, 상기 볼 스터드의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의 관통구멍 둘레에 걸림으로써 상기 받침대와 볼 스터드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너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감쇠기구; 및
    상기 지지벽에 의해 상기 받침판 하부에 구획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감쇠기구의 바닥 고정체를 수용하는 결합홈을 구비하며,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바닥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고정체는, 상기 소켓이 구비되며 상기 바닥고정 프레임의 결합홈에 수용되는 베이스 몸체와, 상기 베이스 몸체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받침대의 절개부 및 상기 바닥고정 프레임에 마련된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이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고정체는, 상기 소켓이 구비되며 상기 바닥고정 프레임의 결합홈에 수용되는 베이스 몸체와, 상기 베이스 몸체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바닥고정 프레임의 바닥면에 놓이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고정 프레임의 결합홈에는 상기 베이스 몸체에 접하여 상기 베이스 몸체가 상기 결합홈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막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스터드는 하단에 상기 볼이 마련된 제 1 나사축 및 상기 제 1 나사축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 2 나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너트는 상기 볼 스터드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 및 상기 너트부의 하단에 상기 너트부의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마련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본체의 관통구멍의 외경은 상기 너트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플랜지부의 외경보다 작아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장치 본체의 하면을 떠받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스터드에는 그 볼 스터드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감쇠기구는 상기 결합구멍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볼 스터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볼 스터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KR1020120060765A 2012-06-07 2012-06-07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1193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765A KR101193472B1 (ko) 2012-06-07 2012-06-07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765A KR101193472B1 (ko) 2012-06-07 2012-06-07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472B1 true KR101193472B1 (ko) 2012-10-24

Family

ID=4728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765A KR101193472B1 (ko) 2012-06-07 2012-06-07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472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350B1 (ko) * 2015-11-10 2016-02-29 탑인더스트리(주) 수배전반 어셈블리
KR101601803B1 (ko) 2015-05-04 2016-03-10 주식회사 리폼테크 배전반용 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진용 배전반
KR101608689B1 (ko) 2015-12-18 2016-04-04 탑인더스트리(주) 내진 구조체
KR101681108B1 (ko) 2016-08-02 2016-12-01 동일산전(주) 내진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1681111B1 (ko) 2016-08-02 2016-12-12 동일산전(주) 내진기능을 갖는 배전반
CN108173120A (zh) * 2018-01-24 2018-06-15 合肥名龙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易于安置维护的室外配电柜
KR20180128710A (ko) 2017-05-24 2018-12-04 주식회사 일렉콤 내진기능을 갖는 전기설비용 케이스
KR101964219B1 (ko) 2018-11-13 2019-04-01 김진복 수변전 설비용 내진장치
KR20200039191A (ko) 2018-10-05 2020-04-16 김원회 내진수단이 구비된 분전반
KR20200055315A (ko) 2018-11-13 2020-05-21 김진복 수변전 설비용 내진마운트
CN111817170A (zh) * 2020-06-16 2020-10-23 河南恒赛智控科技有限公司 一种总线集成式智能型抽出式低压成套开关装置
CN112085910A (zh) * 2020-09-28 2020-12-15 浙江天盛机械有限公司 紧急呼救的报警柱及其安装方法
KR20230018827A (ko) 2021-07-30 2023-02-07 박찬임 전기설비 케이스용 내진 받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475B1 (ko) 2009-06-23 2010-01-29 주식회사 일렉콤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0966166B1 (ko) 2009-12-08 2010-06-25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내진 및 방진 장치와, 내진 및 방진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과, 내진 및 방진 장치를 구비한 변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475B1 (ko) 2009-06-23 2010-01-29 주식회사 일렉콤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0966166B1 (ko) 2009-12-08 2010-06-25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내진 및 방진 장치와, 내진 및 방진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과, 내진 및 방진 장치를 구비한 변압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803B1 (ko) 2015-05-04 2016-03-10 주식회사 리폼테크 배전반용 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진용 배전반
KR101598350B1 (ko) * 2015-11-10 2016-02-29 탑인더스트리(주) 수배전반 어셈블리
KR101608689B1 (ko) 2015-12-18 2016-04-04 탑인더스트리(주) 내진 구조체
KR101681108B1 (ko) 2016-08-02 2016-12-01 동일산전(주) 내진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1681111B1 (ko) 2016-08-02 2016-12-12 동일산전(주) 내진기능을 갖는 배전반
KR20180128710A (ko) 2017-05-24 2018-12-04 주식회사 일렉콤 내진기능을 갖는 전기설비용 케이스
CN108173120A (zh) * 2018-01-24 2018-06-15 合肥名龙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易于安置维护的室外配电柜
KR20200039191A (ko) 2018-10-05 2020-04-16 김원회 내진수단이 구비된 분전반
KR101964219B1 (ko) 2018-11-13 2019-04-01 김진복 수변전 설비용 내진장치
KR20200055315A (ko) 2018-11-13 2020-05-21 김진복 수변전 설비용 내진마운트
CN111817170A (zh) * 2020-06-16 2020-10-23 河南恒赛智控科技有限公司 一种总线集成式智能型抽出式低压成套开关装置
CN112085910A (zh) * 2020-09-28 2020-12-15 浙江天盛机械有限公司 紧急呼救的报警柱及其安装方法
CN112085910B (zh) * 2020-09-28 2023-08-22 浙江天盛机械有限公司 紧急呼救的报警柱及其安装方法
KR20230018827A (ko) 2021-07-30 2023-02-07 박찬임 전기설비 케이스용 내진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472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1193469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1155995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1675222B1 (ko) 면진장치
KR101664179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KR101702349B1 (ko) 평상시 사용성이 개선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418247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326806B1 (ko)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의 내진장치
KR101800871B1 (ko) 내진 서포트
KR101049407B1 (ko)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구비한 내진형 배전반
KR101601803B1 (ko) 배전반용 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진용 배전반
KR101863763B1 (ko) 스프링 결합 구성을 갖춘 내진 배전반
KR101708339B1 (ko) 내진부재를 구비한 내진형 수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mcc반, 분전반)
KR102373213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625389B1 (ko) 우레탄 완충기 및 내진 스프링 결합형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KR101752842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2077294B1 (ko) 전방향 진동의 감쇠 기능을 갖는 전력변환장치용 면진 장치
KR101884171B1 (ko) 면진기능을 가지는 피봇형 배전반 내진장치와 이를 구비한 내진용 배전반
KR101820473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KR101972157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EP1908983B1 (en) Levelling and damping system for vibrations
KR101774284B1 (ko)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KR101870912B1 (ko) 내진형 수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mcc반, 분전반)
KR101757700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1757703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