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284B1 -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 Google Patents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284B1
KR101774284B1 KR1020160158287A KR20160158287A KR101774284B1 KR 101774284 B1 KR101774284 B1 KR 101774284B1 KR 1020160158287 A KR1020160158287 A KR 1020160158287A KR 20160158287 A KR20160158287 A KR 20160158287A KR 101774284 B1 KR101774284 B1 KR 10177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haft
horizontal screw
horizontal
switchboar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신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신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신기전
Priority to KR1020160158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F16F15/085Use of both rubber and meta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를 인입하기 위한 장비와 전기를 분배하기 위한 장비가 내장되어진 수배전반용 면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의 프레임체의 각 코너 상부에 면진체결구를 고정 형성하되, 상기 면진체결구는 탄력 지지된 수평축 및 상기 수평축에 결합된 고정브라켓과, 이들 수평축 및 고정브라켓이 결합되는 회전결합체와 상기 회전결합체가 편심 고정되게 한 고정설치판으로 구성함에 따라,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 수배전반 또는 전기기기 외함의 하중을 지지하고 있는 수평축에 대한 다양한 방향의 탄지스프링 및 완충블록으로 인해 효과적인 완충 및 감쇄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수평축을 포함한 고정브라켓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각 면진체결구에 대한 수배전 또는 전기기기 외함과의 체결방향을 달리하여 수배전반 또는 전기기기 외함에 작용하는 진동을 사방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며, 지진의 진동주기에 비하여 수배전반 또는 전기기기 외함에 작용하는 진동주기를 길게 만들어 지진의 강주기 대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수평축 주변에 배치되는 사방으로의 탄지스프링 및 다양한 회전이 가능한 고정브라켓과 회전결합체로 인해 수배전반 또는 전기기기 외함에 작용하는 상,하 및 전후, 좌우 방향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화 및 흡수하여 수배전반 및 전기기기 외함을 포함한 각종 내부 장치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Seismic isolating device}
본 발명은 전기를 인입하기 위한 장비와 전기를 분배하기 위한 장비가 내장되어진 수배전반용 면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 기초부와 수배전반 또는 전기기기 외함의 사이에 위치하여 충격이나 지진으로 인한 진동 등이 수배전반 또는 전기기기 외함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 수배전반 및 전기기기 외함은 물론 내부 각종 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내에서 전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기 선로로부터 전기를 인입시키기 위한 수전장비가 필요한 것이고, 인입된 전기를 다시 건축물의 각 내부 공간으로 분배하기 위해서는 이에 합당한 배전장비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따라, 건축물 및 구조물에는 수배전반이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고, 상기의 수배전반은 별도의 외함을 통해 안전하게 보호 및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배전반용 외함은 통상적으로 지상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프레임 형태로 된 골조가 세워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의 골조에는 도어와 측판 및 지붕판이 각기 결합됨에 따라 상기의 수배전장비를 안전하게 보호 및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근자에 들어 우리나라에도 지진이 자주 발생하므로 상기와 같은 수배전반용 외함 역시 이와 같은 지진에 의한 진동으로부터 안전하다 볼 수 없을 것이므로, 수배전 장비를 안전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외함에 대한 내진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대한전기협회(한국전기기술 기준위원회)가 발행한 "건축전기설비 내진설계 시공지침서"의 내용과 전기통신연구소가 공고한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정"에 따른 "전기통신설비의 내진 시험방법(전파연구소공고 제2009-3호)"에 따르면, 고압 및 특고압의 전기기계기구 및 모선 등을 시설하는 수전 및 배전실 등 전기설비의 정착 및 고정을 위한 설계와 시공물은 반드시 내진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수배전반용 외함에 대한 내진 설계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구조물이 지진에 의해 진동하는 경우 구조물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대한 지진하중과, 구조물에 작용하는 진동주기와 진동형태를 고려하는 구조물의 동적특성과, 지반의 특성 및 구조물의 연성 그리고 구조물의 중요성을 모두 감안하여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 수배전반용 외함의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골조를 이용하여 수전장비와 배전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의 수전장비는 이를 받쳐주기 위한 고감쇠고무(HDR;High Damping Rubber) 상에 설치되어 있고, 배전장비 역시 이를 받쳐주기 위한 고감쇠고무(HDR;High Damping Rubber) 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골조를 이용하여 상기의 고감쇠고무를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이들 고감쇠고무 상에 수전장비 또는 배전장비를 장착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고감쇠고무는 지진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그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하여 수전장비 및 배전장비에 대한 파손이나 고장 등을 예방하고자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외함의 골조는 수직 및 수평의 프레임 연결부에 대하여 대각 또는 경사 형태로 된 코너 버팀대(brace)를 덧대어 조립함에 따라 골조 자체로서의 내진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즉, 특허등록 제10-1027917호와 같은 내진 골조구조로 된 수배전반용 외함 및 특허출원 제10-2011-0120380호와 같은 골조 내 면진장치가 장착된 수배전반용 외함과 같이 수배전반용 외함의 골조에 대한 내진구조 및 면진구조가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내진 설계 구조를 갖는 기존의 수배전반용 외함은, 면진장치의 일종인 고감쇠고무를 적용하여 내진 설계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의 면진장치는 지진의 발생시 외함의 골조에 작용하는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것이므로 실질적으로 외함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면진 설계는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다.
즉, 외함이 지진에 의한 진동에 노출되는 경우 상기의 외함은 지진파의 특성에 따라 전,후 방향이나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거나 복합적으로 흔들리게 되는 것인데, 상기의 고감쇠고무는 이와 같이 외함에 작용하는 진동이 수배전 장치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역할만 할 것이므로 결국 상기와 같은 진동으로 인해 외함 골조 자체의 피로파괴나 전단 또는 휨이나 비틀림 등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외함 골조 자체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내부의 수배전반을 안전하게 보호하거나 정착하는데 소홀함이 발생할 것이므로 상기와 같은 수배전반용 외함에 대한 직접적인 면진 설계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사각의 프레임체의 각 코너 상부에 면진체결구를 고정 형성하되, 상기 면진체결구는 탄력 지지된 수평축 및 상기 수평축에 결합된 고정브라켓과, 이들 수평축 및 고정브라켓이 결합되는 회전결합체와 상기 회전결합체가 편심 고정되게 한 고정설치판으로 구성함에 따라,
지진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수배전반 또는 전기기기 외함이 체결된 고정브라켓 및 수평축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한 미세한 회전 및 상기 회전결합체에 대한 수평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다방향으로 작용하는 지진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인 완충 및 면진 효과가 연출되도록 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 기초부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 프레임체의 각 코너 상부에 각기 면진체결구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면진체결구 상에 수배전반 또는 전기기기 외함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면진체결구에 의해 수배전반 또는 전기기기 외함에 작용하는 진동이 완화 및 감쇄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면진체결구는, 상기 프레임체에 고정되는 고정설치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설치판의 상부에는 고정설치판으로부터 회전되게 한 회전결합체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회전결합체의 상부 양측에는 유동공이 관통된 지지대를 고정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의 사이에는 탄지스프링 및 완충블럭이 내장된 하우징을 삽입 형성하며, 상기 유동공 및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별도로 구비된 수평나사축을 삽입하고, 상기 수평나사축에는 양측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을 결합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 수배전반 또는 전기기기 외함의 하중을 지지하고 있는 수평축에 대한 다양한 방향의 탄지스프링 및 완충블록으로 인해 효과적인 완충 및 감쇄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수평축을 포함한 고정브라켓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각 면진체결구에 대한 수배전 또는 전기기기 외함과의 체결방향을 달리하여 수배전반 또는 전기기기 외함에 작용하는 진동을 사방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며, 지진의 진동주기에 비하여 수배전반 또는 전기기기 외함에 작용하는 진동주기를 길게 만들어 지진의 강주기 대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수평축 주변에 배치되는 사방으로의 탄지스프링 및 다양한 회전이 가능한 고정브라켓과 회전결합체로 인해 수배전반 또는 전기기기 외함에 작용하는 상,하 및 전후, 좌우 방향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화 및 흡수하여 수배전반 및 전기기기의 외함을 포함한 각종 내부 장치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진장치 및 수배전반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면진장치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고정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면진장치의 평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면진장치에 적용되는 면진체결구의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면진장치에 적용되는 면진체결구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면진장치의 면진체결구 내 탄지스프링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면진장치의 면진체결구에 대한 전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면진장치의 면진체결구에 대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면진장치의 면진체결구 내 고정브라켓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면진장치의 면진체결구에 대한 평면 회전 작동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진장치 및 수배전반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면진장치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고정 설치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면진장치의 평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면진장치에 적용되는 면진체결구의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면진장치에 적용되는 면진체결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진장치는 사각 파이프 혹은 형강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프레임체(110)와 상기 프레임체(110)의 각 코너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면진체결구(100)(10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체(110)는 수배전반(120) 또는 전기기기 외함이 설치될 바닥 기초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수배전반(120)은 상기 면진체결구(100)(100')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면진체결구(100)(100')에 의해 프레임체(110)와 수배전반(120)을 연결 형성함에 따라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 프레임체(110)를 통해 수배전반(12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상기 면진체결구(100)(100')로부터 완화 및 감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면진체결구(100)(100')는 상기 프레임체(110)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설치판(10)과, 상기 고정설치판(1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도 고정설치판(10)으로부터 회전되는 회전결합체(2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상기 회전결합체(20)에는 탄지스프링(30)(30') 및 완충블럭(40)(40')이 내장된 하우징(50)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결합체(20) 및 하우징(50)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수평나사축(60) 및 상기 회전결합체(2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도 상기 수평나사축(60)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7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고정설치판(10)은 사방으로 장착공(11)(11')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착공(11)(11')을 이용하여 프레임체(110) 상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고정설치판(10)의 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는 조립공(12)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설치판(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회전결합체(20)는 일측에 상기 조립공(12)과 대응하는 편심회전공(23)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유동공(21)이 형성된 지지대(22)(22')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설치판(10)의 상부에 회전결합체(20)를 올려놓고 회전결합체(20)의 편심회전공(23)으로부터 고정설치판(10)의 조립공(12)을 통과하도록 축볼트(24)을 삽입하고 상기 축볼트(24)의 하단에 고정너트(25)를 체결함에 따라 상호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회전결합체(20)는 상기 축볼트(24)를 회전축으로 하여 고정설치판(10)으로 횡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결합체(20)의 지지대(22)(22') 사이에는 별도로 구비된 하우징(50)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의 하우징(50)은 사각의 관체를 지지대(22)(22')의 이격 거리만큼 절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양측이 개방된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50)의 내부에는 도 6 및 도 7, 도 8의 도시와 같이 탄지스프링(30)(30')과 완충블럭(40)(40') 및 금속판재(41)(41')가 삽입되는 것이고, 이러한 하우징(50)의 내부로 상기 수평나사축(60)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탄지스프링(30)(30') 및 완충블럭(40)(40')이 상기 수평나사축(60)의 외면을 감싸듯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연출하게 된다.
즉, 상기 하우징(50)의 중앙으로 삽입된 수평나사축(60)을 기준으로 수평나사축(60)의 하부에는 하우징(50)의 내측 저면에 하부 탄지스프링(30)이 복수개 연속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하부 탄지스프링(30)의 외측부에는 연질 탄력재로 된 하부 완충블럭(40)이 각기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나사축(60)의 양측부에는 측부 탄지스프링(30')이 수평나사축(60)과 밀착되도록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측부 탄지스프링(30') 역시 복수 개 삽입되어 있는 것이고, 이들 측부 탄지스프링(30')과 수평나사축(60)의 상부에는 비교적 넓은 형태의 상부 완충블럭(40')이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하우징(50) 내의 수평나사축(60)은 하측의 탄지스프링(30)과 양측의 탄지스프링(30') 및 상부의 완충블럭(40')에 의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구속되어 있는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고, 하측의 탄지스프링(30)은 양측의 하부 완충블럭(40)에 의해 횡방향으로의 유동은 억제되어 있는 상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들 수평나사축(60)과 탄지스프링(30)(30') 및 완충블럭(40)(40')은 하우징(50) 내에서 일정 수준 압축된 상태로 긴밀하게 삽입되어 있어 상기 수평나사축(60)이 임의로 유동할 수 없는 구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하부 완충블럭(40)의 상면과 상부 완충블럭(40')의 저면에는 각기 금속판재(41)(41')를 삽입 형성함에 따라 수평나사축(60)에 하중이 작용하여 유동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금속판재(41)(41')를 통해 보다 넓은 면적으로 하중을 전달하여 이들 탄지스프링(30)(30') 및 완충블럭(40)(40')이 효과적으로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나사축(60)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70)은 양측 끝단이 하향 절곡된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상기 양측 절곡부에는 관통의 삽입공(71)(71')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체결공(72)(72')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라켓(70)의 삽입공(71)(71')으로 수평나사축(60)을 삽입하게 되면 상기 고정브라켓(70)은 도 9의 도시와 같이 수평나사축(6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고정브라켓(70)은 양측부가 회전결합체(20)의 지지대(22)(22')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브라켓(70)의 양측 내면과 지지대(22)(22')의 외면 사이에는 상기 수평나사축(60)에 끼워지는 완충부싱(80)(80')이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완충부싱(80)(80')은 고정브라켓(70)에 작용하는 횡방향으로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고정브라켓(70)과 회전결합체(20)가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수평나사축(60) 양단에는 와셔(61)와 이중의 체결너트(62)(62')를 순차적으로 삽입 및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설치판(10) 상에 회전결합체(20)를 올려놓고 축볼트(24) 및 고정너트(25)를 이용하여 상호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한 후, 내부에 탄지스프링(30)(30') 및 완충블럭(40)(40')과 금속판재(41)(41')가 삽입된 상태의 하우징(60)을 회전결합체(20)의 지지대(22)(22') 사이로 끼워넣은 상태에서, 전산볼트로 이루어진 수평나사축(60)의 일측 끝단을 지지대(22)의 유동공(21)으로 삽입한 후 상기 하우징(60)의 내부를 관통하여 타측 지지대(22')의 유동공(21)으로 삽입하되, 수평나사축(60)의 삽입 과정에서 상기의 고정브라켓(70) 및 완충부싱(80)(80')이 함께 결합되게 하면 되는 것이고, 삽입이 종료된 수평나사축(60)의 양측 끝단에 와셔(61) 및 체결너트(62)(62')를 순차적으로 삽입 및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탄지스프링(30)(30')은 수평나사축(60)에 작용하는 하중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중에 따라 수평나사축(60)이 유동하면서 탄지스프링(30)(30')을 압축하게 되면 연속하여 배열된 탄지스프링(30)(30') 간에 간섭이 발생하여 원활한 압축과 복원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 탄지스프링(30)(30')에 별도로 구비된 보호관(31)을 삽입하되, 상기 보호관(31)은 탄지스프링(30)(30')의 길이에 비하여 짧게 형성함에 따라 탄지스프링(30)(30')의 압축 및 복원 작용에는 지장을 주지 않게 하면서도 인접한 탄지스프링(30)(30')과의 상호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된 본 발명의 면진체결구(100)(100')는 고정브라켓(70)이 수평나사축(60)을 축으로 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고, 상기 고정브라켓(70)을 포함한 회전결합체(20)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고정설치판(1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고정브라켓(70)과 연결된 수평나사축(60)은 사방의 탄지스프링(30)(30') 및 완충블럭(40)(40')으로부터 둘러싸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면진체결구(100)(100')는 수배전반(120)의 하부에 장착되어 수배전반(120)에 작용하는 진동 및 충격 등을 완화 및 감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인데, 상기 프레임체(110)에 결합된 각 면진체결구(100)(100')의 고정 설치판(10)으로부터 각각의 회전결합체(20)를 동일 방향이 아닌 각기 다른 방향으로 일정 각도 혹은 불균일의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이들 고정브라켓(70)의 체결공(72)(72')을 이용하여 수배전반(120)을 고정 및 장착하는 경우 더욱 효과적인 면진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수배전반(120)에 대하여 각 면진체결구(100)(100')를 동일 방향으로 고정 설치하는 경우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에 대하여 취약할 수 있을 것이므로, 각각의 면진체결구(100)(100') 내 회전결합체(20) 및 고정브라켓(70)의 고정 방향을 각기 달리 설정하는 경우 횡방향으로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각기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이 서로 달라 진동의 감쇄 및 억제력을 연출하게 되므로 더욱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진동 대응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면진체결구(100)(100')를 이용하여 바닥 기초부 상에 고정 설치된 프레임체(110)에 수배전반(120)이 장착된 상태에서 지진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수배전반(120)에 대한 횡방향 또는 수직방향 혹은 복합 방향으로 흔들림이 발생할 것이고, 이러한 수배전반(120)에 대한 흔들림은 고정브라켓(70)을 통해 수평나사축(60)으로 전달될 것이므로 상기 수평나사축(60) 역시 다양한 방향으로의 유동이 발생할 것이다.
이때, 상기의 수평나사축(60)은 하우징(50) 내부의 탄지스프링(30)(30') 및 완충블럭(40)(40')에 의해 구속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수평나사축(60)에 대한 흔들림이 발생하면 탄지스프링(30)(30')의 압축과 복원 및 완충블럭(40)(40')의 압축과 복원을 반복하면서 진동을 감쇄 및 약화시키면서 효과적인 면진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나사축(60)이 삽입되는 지지대(22)(22')의 유동공(21)은 수평나사축(6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설계하여 상기 유동공(21) 내에서 수평나사축(60)의 다양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할 것이고, 수평나사축(60)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은 고정브라켓(70)과 지지대(22)(2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완충부싱(80)(80')에 의해 진동의 감쇄가 이루어지므로 지진파의 종류와 관계없이 모든 방향에 대하여 면진 효과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면진장치는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 수배전반(120) 또는 전기기기 외함에 가해지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감쇄시킬 수 있어 수배전반(120) 및 전기기의 외함은 물론 각종 내부 장치 및 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그에 따른 안전사고 및 기체의 파손이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 고정설치판 11,11' : 장착공
12 : 조립공
20 : 회전결합체 21 : 유동공
22,22' : 지지대 23 : 편심회전공
24 : 축볼트 25 : 고정너트
30,30' : 탄지스프링 31 : 보호관
40,40' : 완충블럭 41,41' : 금속판재
50 : 하우징
60 : 수평나사축 61 : 와셔
62,62' : 체결너트
70 : 고정브라켓 71,71' : 삽입공
72,72' : 체결공
80,80' : 완충부싱
100,100' : 면진체결구
110 : 프레임체
120 : 수배전반

Claims (8)

  1. 바닥 기초부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 프레임체(110)의 상부에 각기 면진체결구(100)(10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면진체결구(100)(100') 상에 수배전반(120)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면진체결구(100)(100')에 의해 수배전반(120)에 작용하는 진동이 완화 및 감쇄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면진체결구(100)(100')는 상기 프레임체(110)에 고정되는 고정설치판(1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설치판(10)의 상부에는 회전결합체(2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회전결합체(20)의 상부 양측에는 유동공(21)이 관통된 지지대(22)(22')를 고정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22)(22')의 사이에는 탄지스프링(30)(30') 및 완충블럭(40)(40')이 내장된 하우징(50)을 삽입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22)(22')에는 유동공(21) 및 하우징(5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별도로 구비된 수평나사축(60)을 삽입하고, 상기 수평나사축(60)에는 양측에 삽입공(71)(7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체결공(72)(72')이 형성된 고정브라켓(70)을 결합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하우징(50)의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수평나사축(60)의 주변으로 탄지스프링(30)(30') 및 완충블럭(40)(40')이 배치되도록 구성하되,
    수평나사축(60)의 하측으로 수평나사축(6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 탄지스프링(30)을 배열 형성하고, 상기 하부 탄지스프링(30)의 양측에는 하부 완충블럭(40)을 배치하며, 상기 수평나사축(60)의 양측으로 수평나사축(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측부 탄지스프링(30')을 배치 형성하고, 상기 측부 탄지스프링(30') 및 수평나사축(60)의 상측에는 상부 완충블럭(40')을 삽입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50) 내에서 이들 탄지스프링(30)(30') 및 완충블럭(40)(40')과 수평나사축(60)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탄지스프링(30)(30')은 탄지스프링(30)(30')의 길이보다 짧은 보호관(31)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탄지스프링(30)(30')과 완충블럭(40)(40')의 사이에는 금속판재(41)(41')를 삽입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회전결합체(20)의 지지대(22)(22') 외면과 고정브라켓(70)의 측부 내면 사이에는 완충부싱(80)(80')을 삽입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수평나사축(60)은 전산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산볼트에 의한 수평나사축(60)의 양측 끝단에는 와셔(61) 및 이중의 체결너트(62)(62')를 결합하여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프레임체(110)에 고정되는 사방의 면진체결구(100)(100')는 각각의 회전결합체(20) 및 고정브라켓(70)이 서로 다른 방향 및 각도를 갖고 수배전반(120)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각기 다른 방향 및 각도를 갖고 체결된 면진체결구(100)(100')에 의해 수배전반(120)에 작용하는 진동이 분산 및 억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KR1020160158287A 2016-11-25 2016-11-25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KR101774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287A KR101774284B1 (ko) 2016-11-25 2016-11-25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287A KR101774284B1 (ko) 2016-11-25 2016-11-25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284B1 true KR101774284B1 (ko) 2017-09-06

Family

ID=5992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287A KR101774284B1 (ko) 2016-11-25 2016-11-25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2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0380A (zh) * 2017-11-14 2019-05-21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安装底座和净水机
KR20230027824A (ko) *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전주용 지지대
KR102582757B1 (ko) * 2023-04-06 2023-09-26 주식회사 안성시스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995B1 (ko) 2011-10-21 2012-06-18 주식회사 일산전기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1548218B1 (ko) 2015-06-04 2015-09-04 합자회사 한화전력 진동흡수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995B1 (ko) 2011-10-21 2012-06-18 주식회사 일산전기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1548218B1 (ko) 2015-06-04 2015-09-04 합자회사 한화전력 진동흡수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0380A (zh) * 2017-11-14 2019-05-21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安装底座和净水机
KR20230027824A (ko) *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전주용 지지대
KR102652873B1 (ko) * 2021-08-20 2024-03-29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전주용 지지대
KR102582757B1 (ko) * 2023-04-06 2023-09-26 주식회사 안성시스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285B1 (ko) 구면와셔와 압축스프링과 면진블록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KR101749580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774276B1 (ko) 판스프링과 적층식 면진판을 이용한 수배전반 외함용 면진장치
KR101644920B1 (ko) 방진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KR100939475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049407B1 (ko)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구비한 내진형 배전반
KR101904483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155995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1730418B1 (ko) 내진 및 면진 구조물을 구비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704468B1 (ko) 수직보강부재를 구비한 내진 수배전반
KR101774284B1 (ko)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KR101193469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20160115193A (ko) 면진장치
KR102321758B1 (ko) 수배전반의 진동흡수장치
KR101601803B1 (ko) 배전반용 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진용 배전반
KR101625389B1 (ko) 우레탄 완충기 및 내진 스프링 결합형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KR20210115257A (ko) 복합 탄성을 이용한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2427497B1 (ko)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KR101321057B1 (ko) 제진용 유체탱크를 갖는 수배전반용 외함
KR102341159B1 (ko) 진동감쇠기능이 구비된 함체
KR101027917B1 (ko) 내진 골조구조로 된 수배전반용 외함
KR101742051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1785946B1 (ko) 내진용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의 지지 구조
KR101705585B1 (ko) 상시 진동방진구와 감쇠 스톱퍼를 구비한 내진 수배전반
KR101757703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