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174A - Cdk를 저해하는 신규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Cdk를 저해하는 신규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174A
KR20230159174A KR1020220059200A KR20220059200A KR20230159174A KR 20230159174 A KR20230159174 A KR 20230159174A KR 1020220059200 A KR1020220059200 A KR 1020220059200A KR 20220059200 A KR20220059200 A KR 20220059200A KR 20230159174 A KR20230159174 A KR 20230159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nc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tereois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문
정성윤
최은경
박석순
권미리
박지수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5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9174A/ko
Priority to PCT/KR2023/006372 priority patent/WO2023219427A1/ko
Publication of KR2023015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17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14Pyrrolo-pyrimidine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00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ugar deriva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1로 표시되는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혈장 내 안정도가 증가되어, 화합물이 암세포에 도달할 때까지 구조가 유지되어, 기존 화합물보다 개선된 항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CDK를 저해하는 신규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A novel pyrrolopyrimidinone carboxamide compound that inhibits CDK, a stereoisomer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ancer treatment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CDK와 관련된 암을 치료하기 위해, 세포 주기 시스템을 제어하는 신규 CDK 억제제의 합성과 합성법에 관한 것으로, 난치성 항암 치료제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CDK는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s로써 세포 주기 및 성장을 조절하는데 핵심 역할을 하며, 암세포의 성장 및 증식에 대한 깊은 연관성으로 인하여 항암 치료의 표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하나의 역할만 하는 다른 CDK 패밀리들과 달리, 세포 주기 조절과 RNA 전사와 같이 다양한 역할을 하는 CDK 7은 다양한 항암 치료의 표적 단백질이 되며, 난치성 암의 치료제 개발을 위하여 현재 이에 대한 억제제 개발 및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CDK 7 억제제는 주로 THZ1과 같은 covalent inhibitor가 많이 연구되었지만. off-target effect와 약물 내성 문제로 인하여 현재 non-covalent inhibitor가 활발히 개발 중이다.
기존에 알려져 있던 화합물은 혈장 내 안정도가 낮아, 쥐 실험에서 기대한 효과보다 낮은 결과가 나타나,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합물의 혈장 내 안정도를 개선한 신규 억제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 화합물의 치환기를 변경하여 혈장 내 안정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
[화학식 1]
상기 R1은 R3C(=O)이고,
상기 R3는 직쇄 또는 분지쇄 C3-C10 알킬, C3-C10 사이클로알킬 및 C6-C10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이고,
상기 R2는 수소 또는 R4C(=O)이고, 상기 R4는 직쇄 혹은 분지쇄 C3-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인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3가 프로필 또는 부틸인 경우, 상기 R2는 수소가 아님.
또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CDK 억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기존 화합물에서 분해되기 쉬운 에스테르 그룹에 기존의 이소프로필 구조보다 더 부피가 큰 작용기를 도입하거나, 작용기를 화합물에 2개 도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R1은 R3C(=O)이고,
상기 R3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C3-C10 알킬, C3-C10 사이클로알킬 및 C6-C10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이고,
상기 R2는 수소 또는 R4C(=O)이고, 상기 R4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C3-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인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3가 프로필 또는 부틸인 경우, 상기 R2는 수소가 아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3는 이소프로필, 부틸, 펜틸 및 아다만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이며, 상기 R4는 이소프로필, 부틸 및 펜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4-히드록시-2-((이소부티릴옥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일 이소부티레이트;
(2)(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2-(((2,2-디메틸부타노일)옥시)메틸)-4-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2,2-디메틸부타노에이트;
(3)((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2,2-디메틸부타노에이트;
(4)(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4-히드록시-2-((피발로일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피발레이트; 및
(5)((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3S,5S,7S)-아다만탄-1-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R1은 R3C(=O)이고,
상기 R3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C3-C10 알킬, C3-C10 사이클로알킬 및 C6-C10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이고,
상기 R2는 수소 또는 R4C(=O)이고, 상기 R4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C3-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인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3가 프로필 또는 부틸인 경우, 상기 R2는 수소가 아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3는 이소프로필, 부틸, 펜틸 및 아다만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이며, 상기 R4는 이소프로필, 부틸 및 펜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 또는 폐암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폐암은 비소세포폐암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CDK 저해작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DK는 Cdk1, Cdk2, Cdk7 및 Cdk9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CDK 억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혈장 내 안정도가 증가되어, 화합물이 암세포에 도달할 때까지 구조가 유지되어, 기존 화합물보다 개선된 항암 효과를 나타낸다. 현재 다수를 차지하는 면역 기반의 간암 치료제들과는 다른 작용 메커니즘을 가짐으로써, 단독 및 병용 투여를 통해 면역 항암제를 보완 및 대체해 줄 수 있다. 또한, CDK 7과 관련된 암 치료제로의 활용과 같이 다각적인 측면으로 사업화 및 시장 진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합물 합성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된 화합물을 나타낸다.
도 3은 간세포암 세포주인 Huh-7 세포 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Y106과 Y108의 항암 효능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A: 암 성장 변화 비교, B: 마우스 체중 비교, C: 적출된 암 크기 비교, D: 적출된 암 무게 비교.
도 4는 간세포암 세포주인 Hep3B 세포 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Y106과 Y108의 항암 효능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A: 암 성장 변화 비교, B: 마우스 체중 비교, C: 적출된 암 크기 비교, D: 적출된 암 무게 비교.
도 5는 비소세포성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 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Y106과 Y108의 항암 효능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A: 암 성장 변화 비교, B: 마우스 체중 비교, C: 적출된 암 크기 비교, D: 적출된 암 무게 비교.
도 6은 간세포암 세포주인 Huh-7과 Hep3B 세포에서 세포 집락 형성 생존분석법 (colony forming assay)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신규 화합물을 합성하여, 신규 화합물을 암 조직을 형성시킨 동물모델에서 항암 효능을 평가하였으며, 기존 화합물보다 혈장 내 안정성이 개선되어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R1은 R3C(=O)이고,
상기 R3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C3-C10 알킬, C3-C10 사이클로알킬 및 C6-C10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이고,
상기 R2는 수소 또는 R4C(=O)이고, 상기 R4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C3-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인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3가 프로필 또는 부틸인 경우, 상기 R2는 수소가 아님.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독 또는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알킬"은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지정된 탄소수를 갖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사슬인 완전히 포화된 지방족 탄화 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C1-C10 알킬"은 부모 알칸의 단일 탄소 원자로 부터 하나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유도된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용어 "알킬"은 "C1-C10 알킬", 바람직하게는 "C3-C10알킬"을 의미한다.
단독 또는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알케닐"은 지정된 탄소수를 갖는 단일 불포화 또는 다중불포화일 수 있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사슬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C2-C8 알케닐"은 부모 알칸의 단일 탄소 원자로부터 하나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유도된 2, 3, 4, 5, 6, 7 또는 8개의 원자를 갖는 알케닐 라디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용어 "알케닐"은 "C2-C10 알케닐", 바람직하게는 "C2-C5 알케닐"을 의미한다.
단독 또는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알키닐"은 지정된 탄소수를 갖는 단일 불포화 또는 다중불포화일 수 있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C2-C8 알키닐"은 부모 알칸의 단일 탄소 원자로부터 하나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유도된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키닐 라디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용어 "알키닐"은 "C2-C10 알키닐", 바람직하게는 "C2-C5 알키닐"을 의미한다.
단독 또는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사이클로알킬"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모든 고리 원자가 탄소인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의 고리형을 나타낸다. "사이클로알킬" 또는 "카보사이클"은 단환기 또는 다환기를 지칭한다. 사이클로알킬 치환기와 관련되어 사용될 때, 용어 "다환"은 융합 및 비융합된 알킬 고리형 구조를 지칭한다. "사이클로알킬" 또는 "카보사이클"은 가교된 고리 또는 스 피로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사이클로알킬기는 하나 이상의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가질 수 있다. 용어 "사이클로알케닐"은 고리 정점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알케닐 불포화 부위를 갖는 사이클로알킬기를 지칭한다. 용어 "사이클로알키닐"은 고리 정점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알키닐 불포화 부위를 갖는 사이클로알킬기를 지칭한다. "사이클로알킬"이 C3-8사이클로알킬C3-8알킬렌에서와 같이 "알킬"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 사이클로알킬 부분은 명시된 수의 탄소 원자(예를 들어,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을 의미하고, 알킬렌 부분은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전형적인 사이클로알킬 치환기는 3 내지 8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다. 사이클로알킬의 예로는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1-사이클로헥세닐, 3-사이클로헥세닐, 사이클로헵틸 등을 포함한다.
단독 또는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아릴"은 6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다중불포화된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지칭하며, 단일 또는 다중 고리(3개 고리 이하)가 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융합되거나 공유 결합된다. 따라서, 문구에는 예로서 페닐, 비페닐, 안트라세닐, 나프틸과 같은 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비치환된 아릴기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및 4-비페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용어 "아릴"은 "C6-C12 아릴", 바람직하게는 "C6-C10 아릴"을 의미한다.
"아릴알킬" 또는 "아랄킬"은 아릴로 치환된 1가 알킬기를 지칭한다. 아릴알킬의 예로는 벤질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알킬 및 아릴은 모두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아릴 알킬의 예로는 벤질이 있다 "알콕시"는 -ORd를 나타내며, Rd는 본원에서 정의된 알킬이다. 알콕 시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메톡시, 에톡시, t-부톡시, 트리플루오로메톡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용어 "알콕시"는 "C1-C10 알콕시", 바람직하게는 "C1-C5 알콕시"를 의미한다.
"알콕시알킬"은 알콕시로 치환된 1가 알킬기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C1-C5알콕시C1-C5알킬"은 하나의 수소 원자가 C1-C5 알콕시로 치환됨으로써 유도된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콕시알킬의 예로는 메톡시메틸, 에톡시메틸, 에톡시에틸 및 2-메톡시에틸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릴옥시알킬" 또는 "아릴알킬옥시알킬"은 아릴옥시 또는 아릴 알킬옥시로 치환된 1가 알킬기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C6-C10아릴알킬옥시C1-C5알킬"은 하나의 수소 원자가 C6-C10아릴알킬옥시로 치환됨으로써 유도된 1 내지 5개의 탄소수를 갖는 알킬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콕시알콕시알킬"은 알콕시기에 의해 치환된 2가 알킬기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C1-C5알콕시(C1-C5알콕시)C1-C5알킬"은 2개의 수소 원자가 C1-C5 알콕시기로 각각 치환됨으로써 유도된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을 의미한다.
"아실"은 -C(=O)RC 기를 지칭하며, RC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이다. 아실은 "아세틸"기인 -C(=O)CH3을 포함한다.
"카보닐"은 2가 -C(=O)-기를 지칭한다. "카복시" 또는 "카복실"은 -CO2H기를 지칭한다. "카복실 에스테르" 또는 "카복시 에스테르"는 -C(=O)ORC 기를 지칭하며, Rc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이다.
"알콕시카보닐"은 -C(=O)ORd를 지칭하며, Rd는 알킬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각각의 용어(예를 들어, "알킬", "헤테로알킬", " 아릴" 및 "헤테로아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명시된 라디칼의 "비치환" 및 임의적으로 "치환된"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각 라디칼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0, 1, 2, 3 또는 5개의 치환기로 치환된다. 각 유형의 라디칼에 대한 치환기의 예는 하기에 제공된다.
"치환"은 탄소(들) 또는 수소(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결합이 비-수소 및 비-탄소 원자 "치환기"에 대한 결합에 의해 대체되기를 지칭하며, 예컨대 상기 치환기는 F, Cl, Br 및 I와 같은 할로겐 원자; 하이드록실기, 알콕시기, 아릴 옥시 및 아실옥시기와 같은 기 내의 산소 원자; 티올기, 알킬 및 아릴 설파이드기, 설폰기, 설포닐기 및 설폭사이드기와 같은 기 내의 황 원자; 아미노, 알킬아민, 디알킬아민, 아릴아민, 알킬아릴아민, 디아릴아민, 알콕시아미노, 하이드록시아미노, 아실아미노, 설포닐아미노, N-옥사이드, 이미드 및 에나민과 같은 기 내의 질소 원자; 및 다른 여러 기 내의 기타 헤테로원자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치환기"는 탄소(들) 또는 수소(들) 원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결합이 헤테로원자에 대한 고차원 결합(예를 들어, 이중 또는 삼중 결합)에 의해 대체되는 기를 포함하며, 예컨대 상기 헤테로원자는 옥소, 아실, 아미도, 알콕시카보닐, 아미노카보닐, 카복실 및 에스테르기 내의 산소; 이민, 옥심, 하이드라존 및 니트릴과 같은 기 내의 질소이다. "치환기"는 또한 탄소(들) 또는 수소(들) 원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결합이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기에 대한 결합으로 대체된 기를 포함한다. 특히 대표적인 "치환기"는 탄소 또는 수소 원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결합이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기에 대한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치환된 기를 포함한다. 또 다른 대표적인 "치환기"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및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함유하는 다른 기이다. 다른 대표적인 "치환기"는 탄소 또는 수소 원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결합이 산소 원자에 대한 결합으로 대체된 것을 포함하며, 치환된 알킬기는 하이드록실기, 알콕시 또는 아릴옥시기를 포함한다. 다른 대표적인 "치환기"는 아민,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 디알킬아민, 아릴아민, (알킬)(아릴)아민, 디아릴아민, 헤테로사이클릴아민, 디헤테로사이클릴아민, (알킬)(헤테로사이클릴)아민, 또는 (아릴)(헤테로사이클릴)아민을 갖는 알킬기이다. 또 다른 대표적인 "치환기"는 탄소(들) 또는 수소(들) 원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결합이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기에 대한 결합으로 대체된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된 기는 부가적으로 잘 인식된 치환기를 생성하기 위해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두어 및/또는 접미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3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C3-C10 알킬, C3-C10 사이클로알킬 및 C6-C10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이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 부틸, 펜틸 및 아다만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4는 이소프로필, 부틸 및 펜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일 수 있다.
실시예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4-히드록시-2-((이소부티릴옥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일 이소부티레이트;
(2)(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2-(((2,2-디메틸부타노일)옥시)메틸)-4-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2,2-디메틸부타노에이트;
(3)((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2,2-디메틸부타노에이트;
(4)(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4-히드록시-2-((피발로일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피발레이트; 및
(5)((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3S,5S,7S)-아다만탄-1-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R1은 R3C(=O)이고,
상기 R3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C3-C10 알킬, C3-C10 사이클로알킬 및 C6-C10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이고,
상기 R2는 수소 또는 R4C(=O)이고, 상기 R4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C3-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인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3가 프로필 또는 부틸인 경우, 상기 R2는 수소가 아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3는 이소프로필, 부틸, 펜틸 및 아다만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이며, 상기 R4는 이소프로필, 부틸 및 펜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은 본 발명의 키메라 화합물에 희석제 또는 담체와 같은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의미한다. 약학적 조성물은 치료 용도를 위한 조성물뿐만 아니라 화장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그 필요에 따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에게 투여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표현은 환자에게 비교적 비독성이고 무해한 유효작용을 갖는 농도로서 이 염에 기인한 부작용이 화학식 1의 염기 화합물의 이로운 효능을 떨어뜨리지 않는 화학식 1의 염기 화합물의 어떠한 유기 또는 무기 부가염을 의미한다. 이들 염은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질산, 황산, 과염소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젖산, 말레산, 푸마린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글리콘산, 숙신산, 타타르산, 갈룩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옥살산, (D) 또는 (L) 말산, 말레산, 메테인설폰산, 에테인설폰산, 4-톨루엔술폰산, 살리실산, 시트르 산, 벤조산 또는 말론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염은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등) 및 알칼리토금속염(칼슘염, 마그네슘염 등)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산부가염으로는 아세테이트, 아스파테이트, 벤 즈에이트, 베실레이트, 바이카보네이트/카보네이트, 바이설페이트/설페이트, 보레이트, 캄실레이트, 시트레이트, 에디실레이트, 에실레이트, 포메이트, 퓨마레이트, 글루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큐로네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하이벤제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디드/요오디드, 이세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말레이트, 말리에이트, 말로네이트, 메실레이트, 메틸설페이트, 나프틸레이트, 2-나프실레이트, 니코티네이트, 나이트레이트, 오로테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포스페이트/수소 포스페이트/이수소 포스페이트, 사카레이트, 스테아레이트, 석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토실레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알루미늄, 알기닌, 벤자틴, 칼슘, 콜린, 디에틸아민, 디올아민, 글라이신, 라이신, 마그네슘, 메글루민, 올아민, 칼륨, 나트륨, 트로메타민, 아연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과량의 유기산을 가하거나 무기산의 산 수용액의 가한 후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시켜서 부가염을 얻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의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투여시에 다양한 하기의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 시르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 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 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몸무게가 70 ㎏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1 ~ 1,000 ㎎/일이며, 바람직하게는 1 ~ 500 ㎎/일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이 간세포암 세포주인 Huh-7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무게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실시예 3 및 도 3), 또 다른 간세포암 세포주인 Hep3B 세포에서도 암세포의 성장 및 무게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및 도 4).
뿐만 아니라, 비소세포성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 이식 마우스 모델에서도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능을 평가한 결과, 암세포의 성장 및 무게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5 및 도 5).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 또는 폐암일 수 있다.
"폐암"이란, 폐에서 기원하는 악성 종양을 의미하며, 그 조직형태에 따라 크게 소세포폐암(small cell lung cancer)과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으로 구분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폐암은 비소세포폐암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CDK 저해작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DK는 Cdk1, Cdk2, Cdk7 및 Cdk9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CDK 억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화합물의 합성
1H 및 13C NMR-스펙트럼은 Agilent 400-MR DD2 자기 공명 시스템(400MHz) 및 Varian/Oxford As-500(500MHz) 분광 광도계로 측정되었다. 화학적 이동은 중성 화합물에 대한 클로로포름-d 또는 아세톤-D6의 프로브 온도에서 내부 표준으로서 테트라메틸실란으로부터 백만분율(δ 값)로 측정되었다. 커플링 상수는 다음 스펙트럼 패턴 지정과 함께 Hz로 제공되었다. s, singlet; d, doublet; t, triplet; q, quartet; quint, quintet; m, multiplet; br, broad; app, apparent. 조건이 필요한 반응은 표준 Schlenk 라인 기술을 사용하여 건조 N2의 양압 하에서 화염 건조 유리 제품에서 수행되었다. 용매의 증발은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감압하에 수행하였다. TLC는 알루미늄 시트(E. Merck, Art.5554)에 코팅된 실리카겔 60F254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Merck. 7734 또는 9385 Kiesel gel 60) 상에서 수행하였으며, 각 절차에서 용리액을 언급하였다. 원소 분석은 Thermo Scientific 모델 Flash 2000 기기(Waltham, MA, USA)에서 수행되었으며 결과는 이론값의 ±0.4% 이내이다. 고해상도 질량 스펙트럼(HRMS)은 ThermoFinnigan LCQ?? Classic, Quadrupole Ion-Trap 질량 분석기에서 기록되었다. HPLC 분석은 자동 샘플러, 4차 펌프, 광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DAD) 및 HP Chemstation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Agilent HP1100 시스템(Santa Clara, CA, USA)에서 수행되었다. 분리는 poroshell 120 EC-C18 컬럼 4.6 Х 50 mm. (2.7 νm 입자 크기)에서 수행되었다0.1% TFA in water(A) 및 acetonitrile(B)을 20°C에서 1mL/min의 유속으로 이동상으로 사용하였다. 방법: 100% A 및 0% B(0분), 50% A 및 50% B(5분), 5% A 및 95% B(15분), 5% A 및 95% B(22분), 100% A 및 0% B(23분), 100% A 및 0% B(25분). 각 반응 유형의 한 가지 예에 대한 세부 정보가 아래에 나와 있다. 모든 재료는 상업적 공급업체로부터 얻었고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추가 정제 없이 사용되었다.
<1-1> 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4-히드록시-2-((이소부티릴옥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일 이소부티레이트 (BMK-Y105, 2)의 제조
화합물 1(387 mg, 1.00 mmol)을 피리딘(5 mL)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이소부티르산 무수물(350 νL, 2.1.mmol)을 -40℃에서 30분에 걸쳐 주사기 펌프로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20mL)에 붓고, EtOAc(3 x 2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EtOAc 추출물을 포화 NaHCO3용액 및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농축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하여 이중-보호된 화합물 2(158 mg, 30%)를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클로로포름-d) δ 10.43(d, J = 4.9Hz, 1H), 8.30(d, J = 11.3Hz, 1H), 8.04(s, 1H), 7.14(s, 1H), 5. (s, 1H), 5.65(s, 1H), 5.45(s, 1H), 4.70(dd, J = 11.9, 3.4Hz, 1H), 4.47 - 4.29(m, 3H), 2.61(dp, J = 32.8 , 7.1Hz, 2H), 1.28 - 1.08(m, 12H). 13C NMR (125 MHz, 클로로포름) δ 177.14, 176.98, 166.11, 157.76, 144.15, 143.23, 124.91, 108.21, 104.91, 97.33, 83.88, 81.59, 75.01, 62.60, 33.82, 33.68, 18.9.9.93.93, 18.93, 18.93. HRMS(ESI) m/z: Anal. calcd. [M+H]+ C20H27BrN5O7: 528.1094, 실측치 528.1079. HPLC 순도: 99.9%.
<1-2> (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2-(((2,2 -디메틸부타노일)옥시)메틸)-4-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2,2-디메틸부타노에이트(BMK-Y106, 3)의 제조
화합물 1(387 mg, 1.00 mmol)을 피리딘(5 mL)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2,2-디메틸부티릴 클로라이드(288νL, 2.1mmol)를 -40℃에서 30분에 걸쳐 주사기 펌프로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20mL)에 붓고, EtOAc(3 x 2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EtOAc 추출물을 포화 NaHCO3용액 및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농축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하여 이중-보호된 화합물 3(129 mg, 22%)을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클로로포름-d) δ 10.61 - 10.49(m, 1H), 8.17(s, 1H), 7.98(s, 1H), 7.18(s, 1H), 5.76(s, 1H), 5 s, 1H), 5.39(d, J = 2.0Hz, 1H), 4.69(dd, J = 12.2, 3.6Hz, 1H), 4.48 - 4.33(m, 2H), 4.25(dt, J = 7.2, 3.5 , 1H), 1.59(dq, J = 12.6, 7.4Hz, 4H), 1.22 - 1.13(m, 13H), 0.85(dt, J = 14.8, 7.4Hz, 6H). 13C NMR (125 MHz, 클로로포름) δ 178.90, 178.33, 166.42, 158.25, 144.63, 143.67, 125.29, 108.66, 105.33, 97.74, 84.49, 82.12, 75.47, 63.00, 43.12, 33.72, 24, 24.4, 24.4, 24.0, 24.4, 24.4, 24.4, 24.4. , 9.70. HRMS(ESI) m/z: Anal. calcd. [M+H]+ C24H35BrN5O7: 584.1720, 실측치 584.1700. HPLC 순도: 99.9%.
<1-3> ((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2,2-디메틸부타노에이트(BMK-Y107, 4)의 제조
화합물 1(387 mg, 1.00 mmol)을 피리딘(5 mL)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2,2-디메틸부티릴 클로라이드(151νL, 1.1.mmol)를 -40℃에서 30분에 걸쳐 주사기 펌프로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20mL)에 붓고, EtOAc(3 x 2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EtOAc 추출물을 포화 NaHCO3용액 및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농축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하여 단일-보호된 화합물 4(126 mg, 26%)를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아세톤-d6) δ 10.56(s, 1H), 8.48(s, 1H), 7.50(s, 1H), 7.21(s, 1H), 6.86(s, 1H), 6.22(s, 1H) 1H), 5.99(d, J = 1.9Hz, 1H), 5.42 - 5.29(m, 1H), 4.68(s, 1H), 4.59 - 4.38(m, 3H), 4.22(s, 1H), 1.57(q , J = 7.5Hz, 2H), 1.14(d, J = 2.5Hz, 6H), 0.83(t, J = 7.5Hz, 3H). 13C NMR(125MHz, 아세톤-d6) δ 206.15, 144.36, 97.88, 82.48, 81.91, 77.77, 63.34, 33.97, 24.98, 24.97, 9. Anal. calcd. [M+H]+ C18H25BrN5O6: 486.0988, 실측치 486.0979. HPLC 순도: 99.9%.
<1-4> (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4-히드록시-2-((피발로일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피발레이트(BMK-Y108, 5)의 제조
화합물 1(387 mg, 1.00 mmol)을 피리딘(5 mL)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트리메틸아세틸 클로라이드(258νL, 2.1.mmol)를 -40℃에서 30분에 걸쳐 주사기 펌프로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20mL)에 붓고, EtOAc(3 x 2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EtOAc 추출물을 포화 NaHCO3용액 및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농축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하여 이중-보호된 화합물 5(145 mg, 26%)를 수득하였다.
1H NMR(500MHz, 클로로포름-d) δ 10.48(d, J = 5.0Hz, 1H), 8.27(d, J = 11.3Hz, 1H), 8.01(s, 1H), 7.16(s, 2H), 5.27 (s, 1H), 5.58(s, 1H), 5.40(s, 1H), 4.69(dd, J = 12.2, 3.3Hz, 1H), 4.45 - 4.39(m, 1H), 4.35(dd, J = 12.2 , 7.6Hz, 1H), 4.27(dt, J = 7.3, 3.4Hz, 1H), 1.22(d, J = 14.3Hz, 18H). 13C NMR (125 MHz, 클로로포름) δ 178.83, 178.63, 166.38, 157.96, 144.36, 143.53, 125.25, 108.41, 105.20, 97.56, 84.00, 81.85, 75.31, 62.98, 38.97, 38.95, 27.38, 38.97. Anal. calcd. [M+H]+ C22H31BrN5O7: 556.1407, 실측치 556.1400. HPLC 순도: 99.9%.
<1-5> ((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3S,5S,7S)-아다만탄-1-카복실레이트(BMK-Y109,6)의 제조
화합물 1(387 mg, 1.00 mmol)을 피리딘(5 mL)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1-adamantanecarbonyl chloride(182 νL, 1.1.mmol)를 -40℃에서 30분에 걸쳐 주사기 펌프로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20mL)에 붓고, 합한 EtOAc 추출물을 포화 NaHCO3용액 및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및 농축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단리하여 단일-보호된 화합물 6(138 mg, 2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아세톤-d6) δ 10.54(s, 1H), 8.48(s, 1H), 7.51(s, 1H), 7.21(s, 1H), 6.88(s, 1H), 6.17(s, 1H) 1H), 5.99(s, 1H), 5.47(s, 1H), 4.68(s, 1H), 4.47(dt, J = 18.7, 6.6Hz, 3H), 4.25(s, 1H), 1.96(s, 3H) ), 1.87(s, 6H), 1.78 - 1.64(m, 6H). 13C NMR(125MHz, 아세톤-d6) δ 206.20, 144.25, 97.77, 82.46, 81.86, 81.84, 77.62, 63.19, 39.51, 37.10, 28 Anal. calcd. [M+H]+ C23H29BrN5O6: 550.1301, 실측치 550.1296. HPLC 순도: 99.9%.
혈장 대사 안정성 분석
솔루션 준비
DMSO를 희석제로 사용하여 10mM 농도로 시험물질과 양성대조군의 원액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양성 대조군의 원액을 70%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0.2mM의 작업 농도로 희석한 다음, 테스트 물품의 원액을 70%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1mM의 작업 농도로 희석하였다. 켄칭 시약(quench reagent)은 톨부타미드(tolbutamide) 및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로 구성되었다(내부 표준으로 제공됨).
분석 절차
양성 대조군 및 시험품 작업 용액을 각각 1μM 및 5μM의 농도로 혈장에 스파이크하였다. 0분 샘플은 각 인큐베이션 혼합물의 80 μL 분취량을 320 μL 켄치 시약에 첨가하여 단백질을 침전시켜 준비했다. 혼합물을 37°C 수조에서 부드럽게 흔들면서 인큐베이션했다. 각 혼합물의 80 μL 분취량을 15, 30, 45, 60분에 단백질을 침전시키는 320 μL 켄치 시약을 포함하는 깨끗한 96-웰 플레이트로 제거하고 원심분리하였다(5000 xg, 15분). 100 μL의 상층액을 200 μL 초순수가 미리 첨가된 96-well assay plate에 넣고 LC-MS/MS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Treatment
T1/2(min)
Mouse Human
Compound Ibulocydine 2.85±0.02 4.57±0.09
Y105 2.67±0.20 20.53±0.34
Y106 7.10±0.07 >720
Y107 6.91±0.11 26.55±4.33
Y108 7.25±0.01 700.29±42.54
Y109 7.77±0.13 280.32±3.06
Reference Eucatropin 32.57±4.81 16.73±0.38
화합물 BMK-Y106과 BMK-Y108의 안정성이 각 군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호기의 수와 입체효과가 화합물의 반감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세포암 세포주인 Huh-7 세포 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Y106과 Y108의 항암 효능평가
생체 내(in vivo) 효능평가을 위해 누드 마우스 오른쪽 종아리에 Huh-7 세포 1x107개를 이식하여 암 조직을 형성시킨 후 새로운 조성물인 Y106과 Y108의 항암 효능을 기존 CDK 저해제인 Y102 또는 SNS-032와 비교하였다.
투여량은 모두 20 mg/kg로 같았으며, vehicle, Y102, Y106, Y108은 구강 투여를 하였고, SNS-032만 복강 투여를 하였다. 일주일에 5번, 2주간 투여하였고, 일주일에 2번 캘리퍼를 이용해 크기를 측정하여 14일간 암 성장의 변화와 마우스 몸무게를 측정한 다음 14일째 때 암조직을 적출하여 크기와 무게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Y106과 Y108을 투여한 그룹이 Y102, SNS-032을 투여한 그룹보다 현저히 암 성장을 저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도 3A), 이 때 암 크기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했다.
암 크기(Tumor volume) = [세로(length) x 가로(width)2] x 0.5
또한, 마우스의 체중은 SNS-032만 조금 감소하였으며(도 3B), 실험 종료 시점에서 모든 마우스의 암 조직을 적출하여(도 3C) 무게를 측정하였을 때도 Y106과 Y108을 투여한 그룹이 암 조직의 무게가 가장 적음을 확인하였다(도 3D).
간세포암 세포주인 Hep3B 세포 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Y106과 Y108의 항암 효능평가
또 다른 간세포암 세포주인 Hep3B 세포를 이용한 생체 내(in vivo) 효능평가을 위해 누드 마우스 오른쪽 종아리에 Hep3B 세포 3x106개를 이식하여 암 조직을 형성시킨 후 새로운 조성물인 Y106과 Y108의 항암 효능을 기존 CDK 저해제인 Y102 또는 SNS-032와 비교하였다.
투여량, 투여일정, 투여경로는 실시예3의 Huh-7 세포 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진행한 방법과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새로운 조성물과 기존 CDK 저해제들을 투여 후 27일간 암 성장의 변화와 마우스 몸무게를 측정한 다음 27일째 때 암조직을 적출하여 크기와 무게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Huh-7 세포 이식 마우스 모델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Y106과 Y108을 투여한 그룹이 Y102, SNS-032을 투여한 그룹보다 효과적으로 암 성장을 저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도 4A), 마우스의 체중 변화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도 4B). 실험 종료 시점에서 모든 마우스의 암 조직을 적출하여(도 4C) 무게를 측정하였을 때도 Y106과 Y108을 투여한 그룹이 암 조직의 무게가 가장 적음을 확인하였다(도 4D).
비소세포성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 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Y106과 Y108의 항암 효능평가
비소세포성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 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생체 내(in vivo) 효능평가를 위해 누드 마우스 오른쪽 종아리에 A549 세포 1x106개를 이식하여 암 조직을 형성시킨 후 새로운 조성물인 Y106과 Y108의 항암 효능을 기존 CDK 저해제인 Y102 또는 SNS-032와 비교하였다.
투여량은 모두 20 mg/kg로 같았으며, vehicle, Y102, Y106, Y108은 구강 투여를 하였고, SNS-032만 복강 투여를 하였다. 5일간 투여하였고, 일주일에 2번 캘리퍼를 이용해 크기를 측정하여 25일간 암 성장의 변화와 마우스 몸무게를 측정한 다음 25일째 때 암조직을 적출하여 크기와 무게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Y106과 Y108을 투여한 그룹이 Y102, SNS-032을 투여한 그룹보다 뚜렷히 암 성장을 저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도 5A), 마우스의 체중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도 5B). 실험 종료 시점에서 모든 마우스의 암 조직을 적출하여(도 5C) 암 무게를 측정하였을 때도 Y106과 Y108을 투여한 그룹이 암 조직의 무게가 가장 적음을 확인하였다(도 5D).
세포 집락 형성 생존분석
세포 내(in vitro)에서 Y106과 Y108의 항암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간세포암 세포주인 Huh-7과 Hep3B 세포에서 세포 집락 형성 생존분석법 (colony forming assay)을 수행하였다.
6 well plate에 세포를 500개씩 seeding 한 후 Y102, Y106, Y108, SNS-032을 1 νM, 3 νM로 12시간 처리 후 새로운 배지로 바꾸어준 다음 7~14일 뒤 20% 메탄올+0.5% Crystal Violet로 colony 염색하여 개수를 집계해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두 세포 모두 Y106과 Y108을 처리했을 때 Y102나 SNS-032을 처리했을 때 보다 현저히 집락 형성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가 있었고, 내용의 결과들을 도 6에 나타내었다.
종합하면, 본 발명은 CDK를 저해하는 새로운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세포암과 비소세포성 폐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세포암 세포주인 Huh-7과 Hep3B 세포 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새로이 합성된 Y106과 Y108의 항암 유효성 평가를 기존 CDK 저해제인 Y102, SNS-032와 비교한 결과 Y106과 Y108의 항암 효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소세포성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 이식 마우스 모델에서도 Y106과 Y108의 항암 효능이 Y102나 SNS-032 보다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세포 집락 형성 생존분석법 (colony forming assay)을 통해 확인했을 때도 Y102나 SNS-032 보다 Y106과 Y108가 세포 집락 형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간세포암 또는 비소세포성 폐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상기 R1은 R3C(=O)이고,
    상기 R3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C3-C10 알킬, C3-C10 사이클로알킬 및 C6-C10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이고,
    상기 R2는 수소 또는 R4C(=O)이고, 상기 R4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C3-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인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3가 프로필 또는 부틸인 경우, 상기 R2는 수소가 아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3는 이소프로필, 부틸, 펜틸 및 아다만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이며,
    상기 R4는 이소프로필, 부틸 및 펜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4-히드록시-2-((이소부티릴옥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일이소부티레이트;
    (2)(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2-(((2,2-디메틸부타노일)옥시)메틸)-4-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2,2-디메틸부타노에이트;
    (3)((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2,2-디메틸부타노에이트;
    (4)(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4-히드록시-2-((피발로일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피발레이트; 및
    (5)((2S,3S,4S,5S)-5-(4-아미노-6-브로모-5-카르바모일-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3S,5S,7S)-아다만탄-1-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R1은 R3C(=O)이고,
    상기 R3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C3-C10 알킬, C3-C10 사이클로알킬 및 C6-C10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이고,
    상기 R2는 수소 또는 R4C(=O)이고, 상기 R4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C3-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인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3가 프로필 또는 부틸인 경우, 상기 R2는 수소가 아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3는 이소프로필, 부틸, 펜틸 및 아다만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이며,
    상기 R4는 이소프로필, 부틸 및 펜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 또는 폐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폐암은 비소세포폐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CDK 저해작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DK는 Cdk1, Cdk2, Cdk7 및 Cdk9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3항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CDK 억제제.
  11. 제1항 내지 제3항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20059200A 2022-05-13 2022-05-13 Cdk를 저해하는 신규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1591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200A KR20230159174A (ko) 2022-05-13 2022-05-13 Cdk를 저해하는 신규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CT/KR2023/006372 WO2023219427A1 (ko) 2022-05-13 2023-05-10 Cdk를 저해하는 신규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200A KR20230159174A (ko) 2022-05-13 2022-05-13 Cdk를 저해하는 신규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174A true KR20230159174A (ko) 2023-11-21

Family

ID=8873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200A KR20230159174A (ko) 2022-05-13 2022-05-13 Cdk를 저해하는 신규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9174A (ko)
WO (1) WO202321942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1069B2 (en) * 1999-08-27 2004-12-14 Ribapharm Inc. Pyrrolo[2,3-d]pyrimidine nucleoside analogs
KR101198302B1 (ko) * 2010-11-02 2012-11-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Cdk를 저해하는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세포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2060482A1 (ko) * 2010-11-02 2012-05-10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Cdk를 저해하는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세포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9427A1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2590B2 (ja) 3-アザビシクロ[3,1,1]ヘプタン誘導体及びこれを含む薬学的組成物
TW201728583A (zh) 氨基噻唑化合物及其用途
JP2019505541A (ja) Rsk阻害剤として有用な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
US20090306201A1 (en) Selective inhibitors for transferases
RU2702904C1 (ru) Новые хиназолио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ингибирующие pi3k, и содержащая их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JP2019513703A (ja) NotchシグナリングのエンハンサーならびにNotchのアップレギュレーションにより治療可能ながんおよび悪性腫瘍の治療におけるその使用
CN112312899A (zh) 靶向癌症干细胞的癌症治疗
JP6779318B2 (ja) 抗転移性2H‐セレノフェノ[3,2‐h]クロメン、それらの合成、および同薬剤の使用方法
WO2016115463A1 (en) Inhibitors of phosphoglycerate dehydrogenase (phgdh) and uses thereof
TW201641492A (zh) 經取代1,2,3-三唑、其用途、以及包含其之醫藥組成物
US9669003B2 (en) Use of flavone and flavanone derivatives in preparation of sedative and hypnotic drugs
JP2013515766A (ja) イマチニブジクロロ酢酸塩及びそれを含む抗癌剤組成物
JP2019521193A (ja) 抗癌剤としての4−アニリノ−キノリン化合物
KR20230159174A (ko) Cdk를 저해하는 신규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3143147A1 (zh) 一种哒嗪并吡啶酮类化合物、其药物组合物及应用
JP2020518563A (ja) 抗ガン幹細胞性薬物
CN108864114B (zh) 选择性a2a受体拮抗剂
CA2733458A1 (en) Lipid compounds for suppression of tumorigenesis
JP6648108B2 (ja) 生物学的シグナル伝達を改変するためのイミダゾール及びチアゾール組成物
CA3058795C (en) Polysubstituted pyrimidines inhibiting the formation of prostaglandin e2, a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TW202222302A (zh) 麩醯胺酸類似物
JP3985856B2 (ja) ポリアリール抗腫瘍剤
WO2023070076A1 (en) Compounds for cancers driven by braf mutation
KR20230131133A (ko) 신규한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JPH0244298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