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248A - 피마자 추출물을 이용한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마자 추출물을 이용한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248A
KR20230158248A KR1020220057717A KR20220057717A KR20230158248A KR 20230158248 A KR20230158248 A KR 20230158248A KR 1020220057717 A KR1020220057717 A KR 1020220057717A KR 20220057717 A KR20220057717 A KR 20220057717A KR 20230158248 A KR20230158248 A KR 20230158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stor
weight
treating bu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박덕기
Original Assignee
이재성
박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성, 박덕기 filed Critical 이재성
Priority to KR1020220057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8248A/ko
Publication of KR20230158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24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6Clavicipitaceae
    • A61K36/068Cordy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마자 추출물을 이용한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환부에 적용시 가려움증 등의 부작용이 없고, 2차 감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뛰어나며, 피부재생 능력이 우수하여 빠른 시간 내에 흉터 없이 화상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마자 추출물을 이용한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burn treatment using castor extract}
본 발명은 피마자 추출물을 이용한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ⅰ) 피마자 추출물; 및 ⅱ)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환부에 적용시 가려움증 등의 부작용이 없으며, 피부 재생 능력이 우수하여 빠른 시간 내에 흉터 없이 화상을 치료할 수 있는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최근 화상은 치료기술의 발달로 치료율과 중증 환자의 생존율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차 감염과 미용상의 문제, 기능의 상실과 그로 인한 환자의 정신적 고통 등으로 다른 질환에 비하여 심한 후유증이 동반된다.
화상의 치료는 가능한 빨리 초기 화상 창상을 치유하거나 화상부위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 화상 환부 드레싱에서 감염 및 염증의 조절, 습윤 환경의 유지, 피부재생을 돕는 성장인자나 사이토카인의 투여, 국소적 헤파린 사용 등을 통한 심부 화상으로의 전환을 방지하는 초기 치료가 강조되고 있다. 화상 손상의 심각성을 고려할 때, 화상 손상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치료제가 개발된다면 화상 환자의 치료, 상태 개선 및 흉터 감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현재까지 피부 화상 및 창상 치유, 및 감염 방지 등의 목적으로 개발된 연고제들은 대부분 일정량의 항생제 및 부신피질스테로이드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중 부신피질호르몬제제들은 광범위한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 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2도 화상 치료에 설파다이아진(Sulfadiazi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연고제(실마진; silver sulfadiazine)가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이는 화상 치료 및 피부 재생 속도를 지연시키고 세포 독성으로 인해 피부가 괴사하는 부작용이 있어 광범위하게 장기간 투여하지 않도록 조심해서 처방해야 한다.
최근 건강에 관심이 높아지고 생활습관이 변화하고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들의 의약품의 안정성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소비자들은 합성의약품보다는 천연물을 이용한 소재나 한약과 같이 그 효능이 알려지고 비교적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천연물에 대한 사용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잘 팔리고 있는 의약품의 30% 정도가 천연물에서 유래한 물질이다. 이처럼 천연물은 의약품 개발에 중요한 물질이며 높은 이용가치가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화상 치료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피마자 추출물을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과 병용하는 경우 피부 재생 능력이 증폭되어 빠른 시간 내에 흉터 없이 화상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현저히 증대된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1229992 B
본 발명의 목적은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환부에 적용시 가려움증 등의 부작용이 없으며, 피부 재생 능력이 우수하여 빠른 시간 내에 흉터 없이 화상을 치료할 수 있는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ⅰ) 피마자 추출물; 및 ⅱ)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마자 추출물 및 복합추출물은 3 : 0.5-2의 중량비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마자 추출물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에 따라 추출된 오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시 이산화탄소의 유속은 50 내지 70 ㎖/min, 온도는 45 내지 55 ℃, 그리고 압력은 270 내지 290 ba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이 1 : 1-5의 중량부로 혼합된 혼합물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의 추출용매는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알코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의 추출용매는 1,2-헥산디올 및 1,3-부탄디올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부의 아마씨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밤(balm), 드레싱제, 연고제 및 패치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ⅰ) 피마자 추출물; 및 ⅱ)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상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ⅰ) 피마자 추출물; 및 ⅱ)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환부에 적용시 가려움증 등의 부작용이 없고, 2차 감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뛰어나며, 피부재생 능력이 우수하여 빠른 시간 내에 흉터 없이 화상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ⅰ) 피마자 추출물; 및 ⅱ)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ⅰ) 피마자 추출물; 및 ⅱ)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각각의 성분들 간의 상승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상기 피마자 추출물, 및 상기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함유하는 경우에는 화상 치료에 대한 상승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ⅰ) 피마자 추출물; 및 ⅱ)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조합은 피부재생을 촉진하여 빠른 시간 내에 흉터 없이 화상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최적의 조합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피마자 추출물은 피마자 종자에서 추출한 오일을 의미한다.
상기 피마자 추출물 및 상기 복합추출물은 3 : 0.5-2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3 : 0.5-1.5의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0.8-1.2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마자 추출물 및 상기 복합추출물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일 때 상기 성분들의 병용에 따른 피부 재생 및 화상 치료에 대한 상승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피마자 추출물은 피마자 종자를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와 열풍건조를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오일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와 열풍건조를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추출된 오일은 자연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또는 진공건조 등만을 수행한 후 추출된 오일에 비해 화상 치료 효능 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이크로 건조는 15 내지 20 kW 출력의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1분 내지 3분 동안 1회 또는 2회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건조는 50 내지 80℃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피마자 추출물은 압착법, 수증기 증류법, 냉침법, 온침법, 용매 추출법,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 등의 방법에 따라 추출한 오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 또는 수증기 증류법에 따라 추출한 오일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에 따라 추출한 오일일 수 있다. 상기 피마자 추출물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에 따라 추출된 것이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용매 추출된 것, 압착법에 의해 추출된 것, 또는 기타 추출법에 따라 추출된 것에 비해 화상 치료 효과가 월등하게 높은 것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확인하였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로서, 상기 초임계 추출시 이산화탄소의 유속은 50 내지 70 ㎖/min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임계 추출 온도는 45 내지 55 ℃이고, 압력은 270 내지 290 bar일 수 있다. 이산화탄소의 유속, 추출 온도 및 압력이 각각 상기 범위 내인 경우에 피마자 추출물의 화상 치료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복합추출물은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이 1 : 1-5의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 2-4의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5-3.5의 중량부로 혼합된 혼합물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복합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알코올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헥산디올 및 1,3-부탄디올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상기 복합추출물의 추출용매가 1,2-헥산디올 및 1,3-부탄디올의 혼합용매일 경우에는 상기 1,2-헥산디올 및 1,3-부탄디올이 1 : 1-3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5-2.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의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1,2-헥산디올 및 1,3-부탄디올이 1 :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용매를 3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고 10 내지 50 ℃의 온도에서 4 내지 30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은 동충하초 및/또는 노루궁뎅이버섯에 포함된 색소 또는 VOC 성분 등 추출물에 포함되지 않아야 하는 성분 및 화상 치료에 불필요한 성분의 함량은 최소화되고, 화상 치료에 효과적인 유효성분의 함량은 극대화된다.
상기 복합추출물은 상기 추출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추출액 그 자체를 사용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은 피마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마자 추출물”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혼합물”은 상기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뿐만 아니라 상기 혼합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은 화상 부위에 도포할 수 있도록 제형화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나,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의 가공물과 같은 형태로도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예상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혈장응고효소-음성 포도구균(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oNS)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의 의미는,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화상으로 손상된 피부 세포를 빠르게 재생시키고,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 대장균 및 혈장응고효소-음성 포도구균로부터 대표적으로 유발되는 2차 감염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은 2차 감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뛰어나며, 피부재생 능력이 우수하여 빠른 시간 내에 흉터 없이 화상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기에 바람직한 임의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의 함량은 0.0001 내지 99.9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혼합물에 의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본 발명의 혼합물이 조성물 내에 상기 범위로 포함됨으로써, 우수한 화상 치료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제형 및 제품 안정성을 가지며 경제성 면에서도 최적의 함량으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중량부의 아마씨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마씨유가 상기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에 대하여 상기 중량비로 포함될 때 화장 치료 효과가 더욱 좋아진다. 상기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에 대한 아마씨유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아마씨유의 첨가로 인한 효과가 미미해지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아마씨유의 첨가로 인해 증가하는 화상 치료 효과가 오히려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아마씨유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피마자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점증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또는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 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또는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드레싱제, 밤(balm), 패치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밤(balm), 드레싱제, 연고제 및 패치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적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기타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량으로 포함할 때 바람직한 화상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량'이라 함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화상 치료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이 0.01 내지 99.99% 포함될 수 있으며, 잔량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가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시는 상기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5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그리고 경구 투여시는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10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의 용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을 화상 치료 효능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과도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의 의미는, 화장료 조성물로써 화상 개선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은 효과적인 화상 개선 효능을 제공하기에 바람직한 임의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은 0.0001 내지 99.9 중량%일 수 있고, 0.0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은 조성물 전체의 부피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0 mg/mL로 함유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0 mg/mL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혼합물에 의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본 발명의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이 조성물 내에 상기 범위로 포함됨으로써, 우수한 화상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제형 및 제품 안정성을 가지며 경제성 면에서도 최적의 함량으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화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화장 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및 메이크업 제거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화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혼합물 이외에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피부연화제, 피부 침투 증강제, 점증제, 착색제, 방향제, 유화제, 농화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pH 조절제 및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점증제는 카보머(Carbomer), 세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폴록사머, 잔탄검, 카라기난검, 로커스트콩검, 겔란검, 폴리아크릴릭애시트(Polyacrylic acid), PAA, PAAc, 아크릴솔(Acrysol), 아큐머(Acumer), 알코스퍼스(alcosperse), 아쿠아트리트(Aquatreat), 및 소칼란(Sokalan)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pH 조절제는 트리에탄올아민, triethanolamine(트리에탄올아민),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소듐 하이드록시(sodium hydroxide), 소듐 시트레이트(Sodium citrate), 소듐 카보네이트(sodium carbonate), 소듐 보레이트(sodium borate), 세바식산(sebacic acid),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potassium hydroxide), 인산(phosphoric acid), 말릭산(malic acid),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magnesium hydroxide), 마그네슘 카보네이트(magnesium carbonate), 락토바이오산(lactobion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감마 리놀렌산(gamma linolen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디타놀아민(diethanolamine), 구연산(citric acid), 보레이트 (borate), 벤조익애씨드(benzoic acid), 아젤라익산(azelaic acid),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아미노메칠프로판올(aminomethyl propanol), 아세트산 (acet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헥실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 1,2-헥산디올, 판테놀, 베타인, 스쿠알란, 바셀린, 유동파라핀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밀 글루텐 중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다음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의 제조 - 3 : 1
(1) 피마자 추출물의 제조
피마자 종자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탈수시켰다. 이후, 상기 피마자 종자를 분쇄기로 2차에 걸쳐 분쇄하여 평균 입도 100 - 200 메쉬의 피마자 종자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후, 1 kg의 피마자 종자를 17 kW 출력의 회전식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에 넣고 2분 동안 가동시킨 후, 다시 2분 동안 재가동시켜 1차 건조시켰다. 이후, 1차 건조된 피마자 종자를 70 ℃에서 약 15분간 열풍건조하여 피마자 종자 건조재료를 준비하였다.
이후, 상기 피마자 종자 건조재료를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하기 위하여 초임계 유체 추출기(SFX 3560, ISCO Lincoln, USA)를 사용하였으며, 50 ℃, 280 bar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유속을 60 mL/min의 속도로 투입하여 2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이 완료된 후, 추출조 내부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압력을 없앤 다음 초임계 유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2)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의 제조
동충하초 자실체 및 노루궁뎅이버섯 자실체를 각각 건조한 후 분쇄하여 동충하초 분말 및 노루궁뎅이버섯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 동충하초 분말 및 노루궁뎅이버섯 분말을 1 : 3의 중량부로 혼합한 혼합물 1 중량부에, 1,2-헥산디올 및 1,3-부탄디올을 1 : 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20 rpm으로 교반을 하며 30 ℃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수득하였다.
(3)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의 제조
상기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을 3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의 제조 - 1 :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3) 단계에서 피마자 추출물, 및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을 1 : 1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아마씨유 추가
실시예 1의 (3)에서 제조한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마씨유 5 중량부를 추가로 혼합하여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아마씨유는 실시예 1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일을 제조하되, 피마자 종자 대신 아마씨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실시예 4: 피마자의 용매(헥산) 추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1) 단계에서 피마자 종자를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하는 대신 노르말 헥산과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용매 추출하여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피마자의 유압식 착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1) 단계에서 피마자 종자를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하는 대신 유압식 착유기를 이용하여 20분 동안 600 kgf/cm2 압력으로 착유한 후 침전물을 제거하여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자연건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1) 단계에서 피마자 종자를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와 열풍건조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건조시키는 대신 자연건조만 수행하여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피마자 추출물 단독
실시예 1의 (1)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마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 단독
실시예 1의 (2)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노루궁뎅이버섯 생략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2) 단계에서 노루궁뎅이버섯 분말을 생략한 동충하초 추출물만을 이용하여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동충하초 생략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2) 단계에서 동충하초 분말을 생략한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만을 이용하여 피마자 추출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통계 처리
모든 통계 분석은 SPSS 버전 18.0(IBM, Chicago, IL, USA)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Duncan의 post-hoc test를 이용한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실험군 간의 평균값의 차이(p <0.05)를 결정하였다. 하기 실험은 각각 적어도 3번 이상 반복하였으며, 각각의 실험데이터는 평균 ± 표준 편차(SD)로 표시하였다.
시험예 1 :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세포의 재생 효과 확인
1-1: 세포 재생율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HDF, Human Dermal Fibroblast)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피부 화상을 유도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배양 100 mm dish에서 HDF 세포가 80 % 증식했을 때 피부 화상과 주름 생성의 원인인 UVA (ultraviolet A : 320 ~ 380 nm)(630 mJ/cm2)와 UVB(280 ~ 350 nm)(100 mJ/cm2)를 30 분 동안 조사하였다. 이후 새로운 배지와 함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각각의 조성물 1 ㎍/㎖씩 주입한 후 세포 재생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세포의 증식은 MTT(methylthiazole-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분석 방법과 Diff quic stain을 이용하여 세포염색 후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구분 세포 재생율(% of 정상대조군)
UVA UVB
음성대조군 68.4 61.5
실시예 1 91.5 90.6
실시예 2 84.3 85.7
실시예 3 96.7 94.3
실시예 4 80.9 82.1
실시예 5 81.6 83.4
실시예 6 83.9 85.1
비교예 1 58.4 50.6
비교예 2 53.5 47.4
비교예 3 62.6 55.8
비교예 4 65.8 59.2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이 비교예에 비해 세포 재생을 현저히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2: 콜라겐 생성량
세포배양 100 mm dish에서 HDF 세포가 80 % 증식했을 때 피부 화상과 주름 생성의 원인인 UVA (ultraviolet A : 320 ~ 380 nm)(630 mJ/cm2)와 UVB(280 ~ 350 nm)(100 mJ/cm2)를 30 분 동안 조사하였다. 이후 새로운 배지와 함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각각의 조성물 1 ㎍/㎖씩 주입한 후 콜라겐 생성량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콜라겐 생성량은 콜라겐 분석 키트(collagen assay ki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분 콜라겐 생성량 (㎍/mL)
UVA UVB
음성대조군 8.2 6.9
실시예 1 22.8 17.5
실시예 2 18.6 15.4
실시예 3 26.4 19.6
실시예 4 16.7 14.2
실시예 5 17.4 14.9
실시예 6 18.3 15.7
비교예 1 12.2 10.3
비교예 2 9.4 7.8
비교예 3 10.6 8.6
비교예 4 11.1 9.7
상기 표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이 비교예에 비해 콜라겐 생성량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화상 후 감염균에 대한 항균 효과
상처, 화상 및 수술 후 치료 기간 중에 쉽게 감염되기 쉬운 대표적인 병원균으로는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Escherichia coli), 코아굴라세 스타필로코키(Coagulase staphylococci) 및 대장균군(Coliform bacilli) 등이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상 치료용 조성물의 상기 각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URDA (ultrasensitive radial diffusion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병원균주는 1 백금이를 TSB (tryptic soy broth) 배지에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37℃에서 pre-culture를 수행하였다. 활성화된 균은 6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균의 O.D 값이 0.01 (≒ 0.5 McF)이 되도록 준비하였다. 0.03% TSB, SDB(sabouraud’s dextrose broth), 1% agarose 및 10 mM phosphate buffer (pH 6.5)를 9.5 ㎖의 underlay gel에 각각의 농도로 희석된 균액 500 ㎕를 넣어 plate에 부어 굳혔다. 굳힌 plate에 직경 2.5 ㎜의 구멍을 뚫고 각 well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10 mg/㎖ 농도의 시료 10 ㎕씩 주입시켰다. 모든 sample은 0.01% acetic acid 10 ㎕를 사용하여 용매에 의한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3시간 동안 37℃에서 1차 배양한 뒤, 6% TSB, SDB, 1% agarose 및 10 mM phosphate buffer (pH 6.5)를 포함하는 10 ㎖의 overlay gel를 부어 상온에서 굳힌 후, 37 ℃에서 24시간 동안 2차 배양한 후 well에 생긴 clear zone의 직경(mm)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clear zone diameter(mm)
S. aureus P. aeruginosa E. coli C. staphylicocci
실시예 1 14.5 10.2 11.8 8.5
실시예 2 11.3 7.6 8.9 6.4
실시예 3 16.3 11.4 13.6 11.1
실시예 4 8.2 6.9 6.8 2.8
실시예 5 7.8 5.4 6.9 2.5
실시예 6 10.2 6.7 7.8 5.6
비교예 1 7.2 4.8 5.6 2.1
비교예 2 N.A. N.A. N.A N.A.
비교예 3 4.9 2.7 N.A. 3.5
비교예 4 6.9 5.1 7.5 N.A.
상기 표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이 비교예에 비해 더욱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피부 자극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사람(성인 남녀 20명)의 팔 피부(1.5×1.5㎠ 넓이)에 하루 2회씩(오전 9시 및 오후 9시) 13일 동안 도포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여부를 살펴보았다. 실험 시작 15일 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적용한 팔의 피부에서 특별한 이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사람 피부에 대하여 독성 및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화상 치료 효과에 대한 동물 실험
화상 유발 동물모델 제조
SD(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나라바이오, 서울, 한국)를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방법에서 사용되는 동물은 국립수의과학연구원 및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서 발행된 동물 보호 지침서에 의해 따라 사용되었다. 상기 실험동물은 사육장에서 1주일간 적응시킨 후 무게를 측정(180 ± 220 g)한 후 1 군당 6∼8마리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기간 중 고형사료와 물은 자유로이 섭취시키며, 사육실의 온도(21 ± 1℃) 및 습도(50 ± 5%)는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상기 동물모델을 화상모델로 만들기 위하여 흰쥐의 등 부위를 제모한 후, 알코올로 소독하고, 100 ℃의 물을 원뿔형태의 관에 담은 후 제모한 등 피부에 10초간 밀착시켜 일정한 면적에 2도의 열탕화상을 유발시켰다.
약물 투여
상기 화상 유발 동물모델에 화상을 유발시킨지 24시간 후, 각 실험동물의 화상을 입은 환부에 각각의 시료를 화상 부위가 덮일 정도로 0.15g씩 도포하였다. 화상 상처의 표면적을 7 일간 관찰하여 상처 표면적의 변화로써 치료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또한, 상기 시료 적용후 6시간이 경과한 뒤 진물이 나는 정도 및 상처가 완치된 후 흉터가 남는지도 관찰하였다. 상기 진물이 나는 정도는 9점 척도법(9=대단히 많이 흐른다; 8=많이 흐른다; 7=많이 흐르는 편이다; 6=보통 흐른다; 5=약간 흐르는 편이다; 4=약간 멈췄다; 3=많이 멈춘 편이다; 2=많이 멈췄다; 1=완전히 멈췄다)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각 실험동물의 무처리군에는 화상 유발 후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았고, 바세린군에는 바세린만을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에는 시판되는 화상연고인 1% 실마진(Silver sulfadiazine; SSD)을 처리하였고, 실험군에는 바세린 99 중량%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각각의 조성물 1 중량%를 혼합한 시료를 처리하였다.
화상유발 후 처리 상처 표면적(㎠) 진물이 흐르는 정도 완치시 흉터 면적 (% of 초기 상처표면적)
초기 7일 경과 후 감소량
무처리군 6.2 6.7 0.5 증가 7 70%
바세린군 6.1 6.2 0.1 증가 5 65%
양성대조군 6.3 4.2 2.1 4 30%
실시예 1 6.2 1.3 4.9 1 4.5% 미만
실시예 2 6.3 2.8 3.5 2 8%
실시예 3 6.2 0.8 5.4 1 3.0% 미만
실시예 4 6.1 3.6 2.5 3 15%
실시예 5 6.3 3.3 3.0 3 20%
실시예 6 6.1 3.0 3.1 3 20%
비교예 1 6.2 4.4 1.8 4 50%
비교예 2 6.2 4.6 1.6 4 55%
비교예 3 6.1 5.3 0.8 5 60%
비교예 4 6.3 5.9 0.4 5 60%
상기 표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대조군 및 비교예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화상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1 및 2에 따른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피부 재생 능력이 우수하여 완치가 된 후에도 흉터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화상유발 후 처리 상처 표면적의 감소량(㎠)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양성대조군 0.3 0.5 0.8 1.2 1.5 1.8 2.1
실시예 1 2.6 3.5 4.1 4.3 4.5 4.7 4.9
실시예 2 1.4 1.6 1.9 2.4 2.7 3.2 3.5
실시예 3 2.1 3.2 4.3 4.5 4.8 5.1 5.4
실시예 4 0.7 1.0 1.3 1.6 1.9 2.2 2.5
실시예 5 1.1 1.4 1.7 1.9 2.3 2.8 3.0
실시예 6 1.3 1.5 1.8 2.0 2.4 2.9 3.1
비교예 1 0.2 0.4 0.6 0.9 1.2 1.5 1.8
비교예 2 0.2 0.4 0.6 0.8 1.0 1.3 1.6
비교예 3 0.1 0.2 0.4 0.4 0.5 0.6 0.8
비교예 4 0.0 0.1 0.2 0.2 0.3 0.3 0.4
상기 표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대조군 및 비교예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화상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1 및 2에 따른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피부 재생 능력이 우수하여 화상 치료 효과가 즉각적으로 빠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제조예 1: 연고제의 제조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상 치료용 조성물 1.0 중량%, 밀납 1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5.0 중량%, 피이지-60 경화피마자 추출물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바셀린 5.0 중량%, 유동파라핀 10.0 중량% 및 정제수 잔량.
제조예 2: 드레싱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상 치료용 조성물 1 중량부와 젤 매트릭스 재료인 알긴산염 10 중량부를 골고루 혼합하고, 증류수 50 중량부를 넣어 잘 섞은 후, 60 ℃ 온도의 핫플레이트 상에서 충분히 혼합하고 유리판으로 옮겨 유리막대를 이용하여 얇게 펴주었다. 이때,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상 치료용 조성물, 알긴산염 및 물의 비율은 치료하고자하는 상처 또는 화상 부위, 상태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드레싱의 크기, 두께, 공극 등은 어떠한 형태로든 제조 가능하다. 또한, 알긴산염을 대신하여 히알루론산 등과 같은 통상의 젤 매트릭스 재료가 사용 가능하다.
제조예 3: 패치제의 제조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패치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 1.2 중량%, 헥실렌글리콜 20.0 중량%, 디에킬아민 0.7 중량%, 폴리아크릴산 1.0 중량%, 아황산나트륨 0.1 중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1.0 중량%, 폴리히드록시에틸렌세틸스테아릴에테르 1.0 중량%, 점성의 파라핀 오일 2.5 중량%, 카프릴산에스테르/카프르산에스테르 2.5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400 3.0 중량% 및 탈이온수 잔량.
제조예 4: 화장품(에센스)의 제조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화장품(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 1 mg, 글리세린 3.0 mg, EDTA 0.05 mg, 벤조페논-9 0.04 mg,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0.2 mg, 트리에탄올아민 0.18 mg, 옥시도테세스-25 0.6 mg,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mg, 방부제 0.01 mg, 향료 0.01 mg 및 정제수 잔량.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1)

  1. ⅰ) 피마자 추출물; 및 ⅱ)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마자 추출물 및 복합추출물은 3 : 0.5-2의 중량비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마자 추출물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에 따라 추출된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시 이산화탄소의 유속은 50 내지 70 ㎖/min, 온도는 45 내지 55 ℃, 그리고 압력은 270 내지 290 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이 1 : 1-5의 중량부로 혼합된 혼합물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의 추출용매는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의 추출용매는 1,2-헥산디올 및 1,3-부탄디올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부의 아마씨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ⅰ) 피마자 추출물; 및 ⅱ)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57717A 2022-05-11 2022-05-11 피마자 추출물을 이용한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30158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717A KR20230158248A (ko) 2022-05-11 2022-05-11 피마자 추출물을 이용한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717A KR20230158248A (ko) 2022-05-11 2022-05-11 피마자 추출물을 이용한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248A true KR20230158248A (ko) 2023-11-20

Family

ID=8897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717A KR20230158248A (ko) 2022-05-11 2022-05-11 피마자 추출물을 이용한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82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992B1 (ko) 2006-12-12 2013-02-05 수네브 파마 솔루션 리미티드 코오퍼레이트 상처 치료용 약초 제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992B1 (ko) 2006-12-12 2013-02-05 수네브 파마 솔루션 리미티드 코오퍼레이트 상처 치료용 약초 제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KR102200014B1 (ko)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97406A (ko) 1,2-헥산디올로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상기 보존제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EA032439B1 (ru)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для лечения поверхностных ран
KR20130108979A (ko) 미생물 감염의 치료에서의 사용을 위한 타마린드 씨 다당류
CN107670027B (zh) 治疗皮肤病况的组合物和方法
KR100973221B1 (ko) 판두라틴 에이 또는 그의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
CN1745639A (zh) 一种用于鞋垫抗真菌、消毒的中草药产品
KR102148808B1 (ko) 천연 항균제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0682979B1 (ko) 항균 감염증 및 항염증 작용에 대한 예방 치료용 조성물 및이를 이용하여 얻어진 무좀치료제
KR102059392B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CN107496792B (zh) 一种消炎抗菌治疗灰指甲的凝胶剂及其制备方法
KR20230158248A (ko) 피마자 추출물을 이용한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30055154A (ko)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748545B (zh) 一种三七根转化皂苷在制备抗真菌絮状表皮癣菌、红色毛癣菌、须毛癣菌药物方面的应用
KR102400090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8078868A (zh) 一种用于护肤品的抗过敏组合物
KR102337919B1 (ko) 황색 클로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358851A (zh) 一种用于治疗宠物皮肤病的凝胶剂及其制备方法
CN107149641B (zh) 一种用于治疗烧烫伤的组合物
CN111658586A (zh) 一种具有除螨祛痘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20148706A (ko)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8702A (ko) 누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CN117018053A (zh) 一种足部抗菌喷雾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