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992B1 - 상처 치료용 약초 제제 - Google Patents

상처 치료용 약초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992B1
KR101229992B1 KR1020097014418A KR20097014418A KR101229992B1 KR 101229992 B1 KR101229992 B1 KR 101229992B1 KR 1020097014418 A KR1020097014418 A KR 1020097014418A KR 20097014418 A KR20097014418 A KR 20097014418A KR 101229992 B1 KR101229992 B1 KR 101229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ormulation
wounds
herb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519A (ko
Inventor
매니쉬 사세나
Original Assignee
수네브 파마 솔루션 리미티드 코오퍼레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네브 파마 솔루션 리미티드 코오퍼레이트 filed Critical 수네브 파마 솔루션 리미티드 코오퍼레이트
Publication of KR20090096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8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Azadirachta (ne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nc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Immu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Neu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및 동물에서 고도로 강력한 상처 치유 특성을 지닌 약초 제제에 관한 것이다. 이 제제의 조성물은 베르베리스 아리스타타(Berberis aristata), 강황(Curcuma longa), 감초(Glycyrrhiza glabra), 자스민(Jasminum officinale), 호황련(Picrorhiza kurrooa), 폰가미아 피나타(Pongamia pinnata), 갈퀴꼭두서니(Rubia cordifolia), 운목향(Saussurea lappa), 가자(Terminalia chebula), 트리초산테스 디오키아(Trichosanthes diocia), 고추(Capsicum), 스텔타 와일드(Stellata wild)의 약초와 함께 천연 오일의 양호하게 규정된 비율의 혼합물 중에, 인도멀구슬나무의 수성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인도멀구슬나무의 껍질로부터 수용성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약초 제제, 상처 치료, 인도멀구슬나무, 추출물

Description

상처 치료용 약초 제제{HERBAL FORMULATION FOR WOUND HEALING}
본 발명은 치료 특성을 지닌 약초 제제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인간의 임의의 자연의 외상, 특히 당뇨병성의 비치유 상처 및 욕창'이라고도 불리는 상처에 상당히 효과적인, 강력한 항균 특성, 항진균 특성 및 상처 치료 특성을 지니는 약초 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초 제제는 또한 동물의 상처 치료에도 상당히 효과적이다.
종래 기술에서 충분히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간이든 동물이든지 간에 상처의 치유를 위한 통상의 방법은 소정의 충분히 규정된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소파술(curettage)(죽은/감염된 조직의 제거), 소독(요오드나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소독제를 이용함) 및 항생제 요법(분말, 크림 혹은 분무 형태로, 국소 혹은 전신용)이다. 끝으로, 피부 및 가피 형성의 경화를 피하기 위하여, 바셀린, 실리콘 오일 혹은 글라이세롤계의 지방 보습제에 적신 거즈가 적용된다. 멸균 거즈를 이용한 상처의 드레싱은 통상 감염원, 예컨대, 환경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에 상처가 노출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상처로부터의 삼출물 및 분비물을 스며들게 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이들 붕대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제거될 필요가 있다. 열악한 위생 혹은 환경 조건, 예컨대, 개발도상국에 빈번하게 존재하는 상황에 있어서, 상처는 적절하게 관리될 수 없어 해당 상처에 중요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먼지나 환경적 감염에 노출된 채로 있게 된다.
효율적인 항균 치료 및 개선된 지지대책에도 불구하고, 상처 치료에는 여전히 막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침습성 감염, 둔기 손상, 전기 혹은 화학약품 사고에 의한 화상, 방사선 화상 등의 치료 및 치유는 매우 효과적이지 않아서 많은 요구사항이 여전히 남아 있다. 사실상,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항균제의 도입은 이러한 제제에 대해서 내성이 있는 박테리아 균주의 신속한 출현으로 초래한다.
인구가 노령화되고 있는 국가, 예컨대, 미국 등에 있어서, 환자의 다리 궤양이 주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다리 궤양 때문에 어림해서 2백만 작업일수를 잃고 있다.
사람들의 작업 일수의 손실과는 별도로, 이들 비치유 상처의 치료 비용은 엄청나게 많을 수 있다. 중장년층에서의 하체의 압력 궤양(욕창)의 발병률은 3 내지 11%로 추산되고 있다. 압력 궤양과 관련된 이환율 및 사망률은 상당하다. 압력 궤양 환자에서의 사망률은 압력 궤양이 없는 환자의 사망률보다 4배 이상이다. 또한, 압력 궤양을 지닌 패혈병성 중장년 환자의 병원 사망률이 50%를 초과하고 있다. 치료 비용은 집중적인 간호 보호뿐만 아니라 부가요법, 예컨대, 항압력장치, 예방 드레싱 및 피부 치료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고가일 수 있다.
당뇨병의 상처는 실제로 다루기 힘들고, 또한 통상 "불치성"(incurable)으로 간주된다. 사실상, 당뇨병은 다리 궤양의 중요한 선행 조건이다. 상처 치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리 궤양의 치료를 위한 각종 요법, 예컨대, 다층 압축-밴드 시 스템, 성장인자 유래의 국소 재조합 인간 혈소판, 피부 이식을 위한 인간 피부 등가물 등이 이용가능하다. 그러나, 이들 요법은 고가이며, 많은 환자에 대해 아주 비싼 것임에 틀림없다. 상처를 치료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당히 자주 감염된 사지의 절단으로 이어진다. 동물에서의 상처 관리는 부가적인 문제를 제기한다. 인간과 달리, 동물의 경우 환경적 감염에 상처가 노출될 기회가 훨씬 높다. 중요한 관심사는 상처를 악화시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 파리, 특히 마이아시제닉 파리(myiasigenic fly)(쉬파리과(sarcophagidae), 검정파리과(callyphoridae)) 또는 기타 다른 파리(집파리과(muscidae))에 의한 공격이다. 파리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처를 입은 동물의 경우에 채택되는 통상의 진료 관행은 상처난 영역에 크레올리나(creolina)(페놀과 타르의 혼합물)를 붓는 일이다. 이러한 요법은 축산 분야에서 충분히 확립되어 있을 지라도 상당한 제한과 단점을 지닌다. 조직 손상과 독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곤충 보호 혹은 퇴치' 작용은 매우 단기간이며, 즉 겨우 30분 정도에 불과하다. 다른 축산 분야의 진료 관행은 구더기 감염된 상처 혹은 궤양에 살충제를 직접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동물의 급성 혹은 만성 중독의 위험은 별도로, 이러한 진료 관행은 환경적인 위협을 불러일으키고, 또한, 동물이 인간 소비용 물품, 예컨대, 고기나 우유에 관여되어 있을 경우 먹이 사슬의 오염 위험성도 불러일으킨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위험성을 모두 제거한다.
따라서, 인간이든 동물이든 상처 치료 및 관리는 심각한 문제를 제기한다. 현대의 과학의 현행 요법은 특정 상처의 치료 및 치유를 하게 될 경우 제한을 가진다. 동물에 있어서, 상처 및 병변은 파리가 매우 활성적으로 될 경우 특히 고온 고습의 국소 조건 하에서 실제적인 문제를 제기한다. 이러한 조건은 또한 특히 위생 조건이 매우 완전히 부적합한 경우가 있는 개발도상국에 있어서 인간의 상처 치료에 영향을 미친다. 기생충, 세균 등으로 인한 합병증의 위험은 특히 허약하고 영양이 부족한 대상, 특히 어린이에 대해서는 가혹한 실상이다.
종래 기술의 논의
상해 및 상처 치료를 위한 많은 약초 제제가 당업계에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출원 제2006/0134229호에는 식물, 즉, 뱀무 변종(Geum Japonicum Thunb variant)의 유기 추출물로 이루어진 약초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상처의 치유가 아니라 골격 근육 손상의 치유 및 조직 치유를 위한 것이다.
국제 특허 출원 공개 공보 WO2005/115090 A2에는 강력한 항균 특성과 상처 치유 특성을 지닌 약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 애주번트와 혼합해서 유기 용매뿐만 아니라 수성 용매의 이용에 의해 제조된, 인도멀구슬나무(Azadirachta indica)와 함께 피쿠스 종(Ficus species)만의 추출물을 함유한다. 각각의 식물의 껍질을 이용하는 것이 강조되어 있다. 이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의 약초 조성물에는 어떠한 다른 성분도 첨가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천연 오일의 혼합물 중 수종의 약초와 함께 인도멀구슬나무 껍질(neem bark)의 수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규의 약초 조성물을 제공한다. 외부 혹은 국소 적용만을 의도한 이 조성물은 현저한 항균 및 상처 치유 특성을 발휘한다. 이것은 당업계의 상황에서 '불치성'으로 간주되는 상처의 치료 및 치유에 특히 유효하다. 약초 제제의 유효성 및 강력한 항균 작용은 그것에 존재하는 주된 식물 추출물인 성분의 상승작용에 기인한다.
본 발명은 상처 및 궤양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저렴한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 의하면, 인간 및 동물에서의 모든 종류의 상처 및 병변을 치료 및 치유하기 위하여, 외용 혹은 국소 적용용의 신규한 약초 제제가 제공된다. 이 약초 제제는 잘 규정된 비율로 수종의 약초와 함께 천연 오일의 혼합물 중에 인도멀구슬나무 껍질의 수성 추출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성물은 당업계의 상황에서 '불치성'으로 간주되는 상처의 치료 및 치유 시 현저한 효능을 발휘한다. 상기 약초 제제는, 본 발명자가 예의 연구를 수행하여 상처 치유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이고 활성적인 식물 추출물의 배합물을 확인함으로써 도달한 것이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전반적인 목적은 상처 치료용의 신규한 약초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지니는 일없이 저렴한 대안적인 상처 치료요법을 제공하는 약초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가 용이한 약초 제제를 개시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인간 및 동물에서의 다양한 유형의 상처/손상을 치료하여 절단의 예방을 돕는 데 이용되는 상처 치료용 약초 제제를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제제가 혈류를 향상시키고, 항균 특성, 항진균 특성, 항염증 특성 및 진통 특성에 부가해서 면역조절 특성을 지니는 점에 있다. 상기 제제는 또한 감염 및 만성 비치유 상처, 예컨대, 당뇨병성 족부 궤양, 건식 및 습식 괴저, 정맥 궤양, 정맥류, 전쟁 상처, 화상 상처, 수술후 상황 등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제제가 국소적으로, 예컨대 피부 용도 및/또는 외용(눈/귀/비강 점적제, 부인과진찰 용도 등)에 적용함으로써 작용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은 수성 추출물, 오일-약초 믹스를 기타 보조제와 함께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제의 조성물이다.
a) 수성 부분은 수중 4 내지 7%(즉, 중량%, 이하 마찬가지임) 범위, 바람직하게는 6%의 인도멀구슬나무의 껍질의 수성 추출물로 이루어진다.
b) 상기 오일-약초 믹스는 0.5 내지 4% 범위, 바람직하게는 1%의 12종의 약초, 즉, 베르베리스 아리스타타(Berberis aristata) 또는 베르베리스 불가리스(Berberis vulgaris), 강황(Curcuma longa)(6 내지 9%, 바람직하게는 7%), 감초(Glycyrrhiza glabra), 자스민(Jasminum officinale), 호황련(Picrorhiza kurrooa), 폰가미아 피나타(Pongamia pinnata), 갈퀴꼭두서니(Rubia cordifolia), 운목향(Saussurea lappa), 가자(Terminalia chebula), 트리초산테스 디오키아(Trichosanthes diocia)(6 내지 9%, 바람직하게는 7%), 고추(Capsicum) 및 스텔타 와일드(Stellata wild)와 함께, 피마자유, 겨자유, 코코넛유 및 검은 참깨 오일의 4종의 오일의 등비율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c) 적절한 보조제는 증점제, 방부제, 착색제, 향료 및 유백제를 포함한다.
상기 제제에 이용되는 약초의 적절한 부분은 이하의 표에 부여되어 있다:
일련 번호 과학적 명칭 제제에 이용되는 부분
1 인도멀구슬나무 껍질
2 베르베리스 불가리스
베르베리스 아리스타타
-
뿌리
3 강황 전체 뿌리
4 감초 줄기
5 자스민 줄기, 잎 및 꽃을 포함하는 전체 식물
6 호황련 근경(줄기)
7 폰가미아 피나타 종자 혹은 잎
8 갈퀴꼭두서니 줄기
9 운목향 근경
10 가자 열매
11 트리초산테스 디오키아 열매 혹은 잎
12 고추 열매
13 스텔타 와일드
당업자에게는, 상기 대략의 중량%가 일반적으로 개별 성분의 예측되는 유효성에 일반적으로 의존하며, 이에 따라 상대적인 중량%는 실질적으로 경우에 따라 상기 개별량과는 다를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이 전술한 상대적인 대략의 중량%에서의 각 성분의 함유를 필요로 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성분의 용이한 상업적 입수성, 추출물 및 완제품의 제조 용이성은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지니지 않으면서 저렴하고도 효율적인 대안적인 상처 치료 요법을 제공한다.
실시예 1
수성 추출물의 제조:
인도멀구슬나무의 껍질을 칭량하고 나서, 냉수에 철저히 세척하여, 어떠한 먼지, 흙, 바람직하지 않은 오염물 등도 제거하였다. 이어서, 증류수 혹은 탈이온수를 약초에 대해서 16:1의 건조 중량비(즉, 약초:물=1:16)로 첨가하고, 밤새 스며들도록 방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격렬하게 끓여서 물을 원래의 양의 1/4배로 감소시켰다. 이어서, 추출물을 여과하여 원치않는 불용성 재료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은 수성 추출물이었고, 이것은 적갈색이었다.
오일 믹스의 제조:
상기 열거된 바와 같은 건조 형태의 12종의 약초를 적절한 양으로 칭량하고 나서 냉수로 철저히 세척하였다. 이들을 건조하고 나서 분말로 만들었다. 각 약초의 건조중량%는, 강황과 트리초산테스 디오키아의 2종의 약초를 제외하고 1%였고, 이때 이들 2종의 약초의 건조 중량%는 7%였다. 상기 열거된 4종의 오일을 등비율(equal ratio)로 취하여 용기 내에서 혼합하고, 약초를 분말 형태로 건조시켜, 이 오일 믹스에 첨가하였다.
제제의 제조:
상기 수성 추출물을 오일 믹스에 가하고, 물이 모두 증발될 때까지 가열하였다. 이 단계를 실시한 결과, 인도멀구슬 나무의 껍질로부터 유래된 열안정성의 수용성 화합물이 다른 약초의 추출물과 함께 오일 믹스 상(phase) 내로 유입되었다. 이 뜨거운 제제에 약 1 내지 7중량%, 바람직하게는 2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증점제를 첨가하였다. 본 제제에 있어서, 밀랍이 증점제로서 이용되었다. 상기 제제를 소정의 유해한 증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적절한 방부제를 첨가할 필요가 있다. 이들 방부제로는 p-하이드록시벤조산의 알킬 에스터, 히단토인 유도체, 프로피온산염, 소르브산칼륨, 벤조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저농도의 황산구리의 이용은 또한 고대 인도 약전(Ayurveda)에 충분히 입증되어 있다. 본 제제에 있어서, 황산구리는 0.25%의 농도로 이용되었다. 상기 제제는 또한 냉각시키고 나서 시판 중인 적절한 필터를 이용해서 여과시켰다. 최종 제제는 황록색이었다.
실시예 2
깨끗이 건조된 인도멀구슬나무의 껍질을 칭량하고, 증류수 혹은 탈이온수에 16:1의 중량비(즉, 약초:물=1:16)로 밤새 스며들도록 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혼합물을 끓여서 원래의 양의 1/4배로 감소시켰다. 그 후, 추출물을 여과하여, 원치않는 불용성 재료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은 수성 추출물이었고, 적갈색이었다.
오일 믹스의 제조:
상기 열거된 바와 같은 특정 중량비의 깨끗이 건조된 약초를 분말로 만들었다. 모든 약초의 알코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나서 활성탄을 이용해서 탈색하고 여과하였다. 등비율로 취하여 용기 내에서 혼합한 전술한 4종의 오일에 상기 여과액을 혼합하였다.
제제의 조제:
수성 추출물을 상기 오일 믹스에 가하고 물과 알코올이 증발될 때까지 가열하였다. 얻어진 뜨거운 제제에 증점제로서 밀랍을 2중량%의 양으로 가하고, 또한 방부제로서 황산구리를 0.25%의 농도로 가하였다. 상기 제제는 냉각시키고 나서 시판 중인 적절한 필터를 이용해서 여과시켰다. 최종 제제는 거의 무색이었다.
소량의 보조제 성분과 함께 추가의 약초, 예를 들어, 섬플로코스 라세모사(Sumplocos racemosa) 및 이치니카퍼스 프룻에센스(Ichnicarpus frutesscens)를 상기 제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배합시켜도 된다. 상기 보조제 성분으로는 착색제, 향료, 유백제 등을 들 수 있다. 피부에 대한 효과는 또한 제제의 연화 열화의 방지를 돕도록 산화방지제로서도 작용하는 각종 비타민, 예컨대, 비타민 A, C 및 B와 영양소를 첨가함으로써 증강시킬 수도 있다.

Claims (8)

  1. 4 내지 7 중량%의 인도멀구슬나무 껍질의 수성 수출물;
    다음의 12 종의 약초 추출물로서 0.5 내지 4 중량%의 베르베리스 아리스타타 혹은 베르베리스 불가리스의 뿌리, 감초의 줄기, 자스민의 줄기, 잎 및 꽃, 호황련의 근경, 폰가미아 피나타의 종자나 잎, 갈퀴꼭두서니의 줄기, 운목향의 근경, 가자의 열매, 고추의 열매 및 스텔타 와일드의 꽃 추출물, 6 내지 9 중량%의 강황의 뿌리 및 트리초산테스 디오키아의 열매 및 잎의 추출물에, 등비율의 피마자유, 겨자유, 코코넛유 및 검은 참깨 기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오일-약초 믹스;가
    증점제, 방부제, 착색제, 탈색제, 향료, 유백제 및 비타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조제와 혼합되어 있는 국소 상처 치료용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초 추출물이 심플로코코스 라세모사 (Symplococcos racemosa) 또는 이크노카푸스 프룻에센스(Icnocarpus frutesscens)를 더 포함하는 것인, 국소 상처 치료용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가 황산구리인, 국소 상처 치료용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가 밀랍인, 국소 상처 치료용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색제가 활성탄인, 국소 상처 치료용 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가 0.1 내지 5 중량%의 비율로 존재하고, 상기 증점제가 1 내지 7 중량%의 비율로 존재하는 국소 상처 치료용 제제.
  7. 물과 인도멀구슬나무의 건조 껍질을 물 16부 대 해당 껍질 1부의 비율(중량비)로 취하여 끓여서 물을 원래의 농도의 1/4로 저감시키고 나서 여과시킴으로써 수성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피마자유, 겨자유, 코코넛유 및 검은 참깨 오일의 4종의 오일을 서로 등비율로 혼합하고, 이 오일 혼합물에 약초인 베르베리스 아리스타타, 강황, 감초, 자스민, 호황련, 폰가미아 피나타, 갈퀴꼭두서니, 운목향, 가자, 트리초산테스 디오키아, 고추, 스텔타 와일드의 건조 분말 부분/알코올 추출물을 첨가하여 오일-약초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인도멀구슬나무의 수성 추출물을 상기 오일-약초 혼합물에 4:1의 비율(중량비)로 첨가하고 물이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끓인 후, 증점제, 보존제, 탈취제, 착색제, 향료, 유백제 또는 비타민을 첨가함으로써 제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국소 상처 치료용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국소 상처 치료용 제제를 포함하며, 당뇨병성 족부 궤양, 건식 및 습식 괴저, 정맥 궤양, 정맥류, 전쟁 상처, 화상 상처 및 수술후 상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감염 또는 만성 비치유 상처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KR1020097014418A 2006-12-12 2007-11-28 상처 치료용 약초 제제 KR101229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648/DEL/2006 2006-12-12
IN2648DE2006 2006-12-12
PCT/IN2007/000557 WO2008072256A1 (en) 2006-12-12 2007-11-28 Herbal formulation for wound hea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519A KR20090096519A (ko) 2009-09-10
KR101229992B1 true KR101229992B1 (ko) 2013-02-05

Family

ID=3909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418A KR101229992B1 (ko) 2006-12-12 2007-11-28 상처 치료용 약초 제제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9056117B2 (ko)
EP (1) EP2112929B1 (ko)
JP (1) JP2010512381A (ko)
KR (1) KR101229992B1 (ko)
CN (1) CN101553241A (ko)
AT (1) ATE540724T1 (ko)
AU (1) AU2007331012A1 (ko)
BR (1) BRPI0718326A2 (ko)
CA (1) CA2673212A1 (ko)
CO (1) CO6190621A2 (ko)
MX (1) MX2009006269A (ko)
MY (1) MY147378A (ko)
NZ (1) NZ578363A (ko)
RU (1) RU2451518C2 (ko)
UA (1) UA98778C2 (ko)
WO (1) WO2008072256A1 (ko)
ZA (1) ZA20090484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195B1 (ko) * 2018-12-20 2019-05-30 주식회사 보타닉센스 자스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230158248A (ko) 2022-05-11 2023-11-20 이재성 피마자 추출물을 이용한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3667B2 (ja) * 2008-12-25 2014-04-09 株式会社スタイリングライフ・ホールディングス 皮膚外用剤
US8268368B2 (en) 2009-10-26 2012-09-18 Apptec, Inc. Herbal formulations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ulcers and wounds
US9233133B2 (en) 2010-10-25 2016-01-12 Manu Chaudhary Detoxifier herbal formulation
WO2012123962A2 (en) * 2011-02-17 2012-09-20 Patankar Suresh Balkrishna A novel herb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wound healing, a regenerative medicine
WO2015189858A1 (en) * 2014-06-12 2015-12-17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A synergistic herbal composition useful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US9999643B2 (en) 2016-10-19 2018-06-19 Sultan Qaboos Univeristy Therapeutic composition for treating gangrene
KR20200102018A (ko) 2019-02-20 2020-08-31 (주)허니스트 님트리 잎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CN111657467A (zh) * 2019-10-12 2020-09-15 刘树江 补钙制剂及其制备方法
US20230111432A1 (en) * 2021-10-07 2023-04-13 Freeport Minerals Corporation Acid mist suppression in copper electrowinn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3327A (en) 1995-07-12 1997-12-02 Shah; Eladevi Herbal compositions
GB2314269A (en) 1996-06-21 1997-12-24 M S Raptakos Brett & Co Ltd Anti-AIDS Ayurvedic medici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14136A (en) 1970-08-05 1973-04-18 Keimdiaet Gmbh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dental care
US5897865A (en) * 1997-06-30 1999-04-27 Nguyen; Van Bich Turmeric for treating skin disorders
JP3240553B2 (ja) * 1997-11-27 2001-12-17 カウンシィル オブ サイアンティフィック アンド インダストリアル リサーチ 薬草クリーム及び薬草クリーム用調製液
ZA982679B (en) * 1998-01-01 1999-12-29 Amar Internat Pvt Ltd L Medicin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burns, cuts and like wounds.
ZA983753B (en) * 1998-05-05 2000-01-26 Amar Internat Pvt Ltd L Medicin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burns, cuts and like wounds.
HU9802843D0 (en) * 1998-12-08 1999-02-01 Doka Extract from pepper
HU222619B1 (hu) * 1999-11-29 2003-09-29 Géza Dóka Paprikakivonat, eljárás elżállítására és a paprikakivonatot tartalmazó gyógyászati készítmény
DE10019670A1 (de) * 2000-04-19 2001-10-31 Diego Palermo Heilmittel auf Paprika-Basis und Verwendung desselben
JP2003306446A (ja) * 2002-02-14 2003-10-28 Fancl Corp 皮膚老化防止剤及び/又はニキビ改善剤キット
US7387801B2 (en) * 2002-12-10 2008-06-17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Organic extract of Geum japonicum Thunb variant and use thereof
WO2005115090A2 (en) 2004-05-05 2005-12-08 Dilip Sukhlal Mehta A herbal composition having potent antimicrobial and wound healing properti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3327A (en) 1995-07-12 1997-12-02 Shah; Eladevi Herbal compositions
GB2314269A (en) 1996-06-21 1997-12-24 M S Raptakos Brett & Co Ltd Anti-AIDS Ayurvedic medic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195B1 (ko) * 2018-12-20 2019-05-30 주식회사 보타닉센스 자스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230158248A (ko) 2022-05-11 2023-11-20 이재성 피마자 추출물을 이용한 화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9126461A (ru) 2011-01-20
ATE540724T1 (de) 2012-01-15
MX2009006269A (es) 2009-08-28
CA2673212A1 (en) 2008-06-19
EP2112929A1 (en) 2009-11-04
ZA200904843B (en) 2010-09-29
US9056117B2 (en) 2015-06-16
UA98778C2 (ru) 2012-06-25
AU2007331012A1 (en) 2008-06-19
BRPI0718326A2 (pt) 2013-11-12
WO2008072256A1 (en) 2008-06-19
KR20090096519A (ko) 2009-09-10
CN101553241A (zh) 2009-10-07
NZ578363A (en) 2012-02-24
EP2112929B1 (en) 2012-01-11
CO6190621A2 (es) 2010-08-19
US20100178367A1 (en) 2010-07-15
RU2451518C2 (ru) 2012-05-27
JP2010512381A (ja) 2010-04-22
MY147378A (en) 201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992B1 (ko) 상처 치료용 약초 제제
Vijayaraghavan et al. Efficacy of Chromolaena odorata leaf extracts for the healing of rat excision wounds.
Abd Elgadir et al. Carica papaya as a source of natural medicine and its utilization in selected pharmacetical applications
US11376298B2 (en)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substances having healing, repellent and biocidal properties for the treatment and the cure of external wounds
Yadav et al. Herbal wound healing agents
Belkhodja et al. In vitro and in vivo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eucalyptus globulus essential oil
KR20170051126A (ko) 통증 경감용 고약
KR100494348B1 (ko) 화상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88478A (ko) 화상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 et al. Healing effect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extract on second-degree burns in rats
Ling et al. Effectiveness of turmeric ethanol extract cream preparation (Curcuma longa) in speeding up wound healing in male wistar rats
ANaeem Comparative study between Nigella sativa and Ziziphus spina-christi effectiveness on skin a superficial burn healing in rabbits
Ma et al. Effect of Paris polyphylla extract on second-degree burns in rats
CN107050298B (zh) 一种治疗烧烫伤皮损的中药膏的制备方法
EP3006035A1 (en) Cicatrizing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and resolution of external lesions
Meng et al. Healing effect of Terminalia chebula Retz extract on second-degree burns in rats
CN115025162B (zh) 一种复方茶油烧伤药膏的制备方法
Ma et al. Retracted: Effect of Paris polyphylla extract on second-degree burns in rats
KR100289906B1 (ko) 피부용조성물
Waqiah et al. Potential Of Moringa Leaf Extract (Moringa Oleifera Lam) As Wound Medicine In Livestock
RU1836096C (ru) "Противоожоговое средство "Радона"
KR20220144070A (ko) 계란 껍데기 분말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Manuja et al. Indigenous herbs used by rural folk in veterinary medicine: a critical appraisal.
KHAN et al. Study of Wound healing activity In Dead space and burn woundleaf extract of Aglaia elaeagnoid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