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478A - 화상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478A
KR20100088478A KR1020090007730A KR20090007730A KR20100088478A KR 20100088478 A KR20100088478 A KR 20100088478A KR 1020090007730 A KR1020090007730 A KR 1020090007730A KR 20090007730 A KR20090007730 A KR 20090007730A KR 20100088478 A KR20100088478 A KR 20100088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owder
burns
burn
cuc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선
신하섭
Original Assignee
김형선
신하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선, 신하섭 filed Critical 김형선
Priority to KR1020090007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8478A/ko
Publication of KR20100088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47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57Birds; Materials from birds, e.g. eggs, feathers, egg white, egg yolk or endothelium corneum gigeriae gal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9Sanguisorba (bu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난황; 오이풀 분말; 및 알로에 분말을 포함하여 환부에 도포시 화기열감과 통증을 완화시키고 피부 재생 능력이 우수하여 빠른 시간내에 흉터없이 화상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가려움증등의 부작용이 없고 3 도 이상의 중증 화상에도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제조 방법이 복잡하지 않고 제조 원가도 저렴하여 다량 생산 및 다량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도 유용하다.
화상, 난황, 오이풀 분말, 알로에 분말

Description

화상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a burn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난황,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분말 및 알로에 분말을 포함하여 사용시 가려움증등의 부작용이 없고 통증을 완화하며 피부재생능력이 우수하여 빠른 시간내에 흉터없이 화상을 치료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은 원인에 따라 전류에 의한 화상, 화학약품에 의한 화상, 열에 의한 화상등으로 구분되는데, 누구라도 일상생활에서 부주의나 예기치 못한 사고를 통해 경미한 또는 심각한 화상을 입을 수 있다. 화상을 입었을때는 초기 치료가 가장 중요하다. 화상은 초기에 제대로 치료를 하지 않거나 잘못된 응급치료를 하게 되면 피부에 흉터가 남게 되고 치료기간이 길어지고, 기타 다른 피부질환이 동반될 수 있다.
화상 정도는 화상의 넓이와 깊이에 따라 1도, 2도, 3도 및 4도 화상으로 나뉘어진다. 1도 화상은 피부의 표피층과 진피 유두부에만 화상이 국한된 것으로 피부가 빨갛게 되고, 부종이 있거나 따끔거리는 통증이 수반되고 물집은 없으며, 여름철에 해수욕장에서 피부가 타서 껍질이 벗겨지는 정도로서 대체로 흉터없이 치료될 수 있다. 2도 화상은 피부의 진피층까지 화상이 있는 것을 말하며 물집이 생기고 상피 잔유물 및 피부부속기 상피로부터 상피형성이 되어 치유되며 색소침착이나 색소탈락은 나타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2도 화상까지는 심한 반흔은 남기지 않는다. 3도 화상은 표피, 진피뿐만 아니라 피하조직층까지 피부전층에 화상을 입은 것을 말하며 신경이 손상되어 통증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는 부분적인 신경마비 증상이 오고, 그 정도가 심할 경우 생명을 잃을 위험도 있다. 3도 화상은 피양성 창상(ulcerating wound)을 형성하고 반흔을 남기고 치유되며, 피부이식으로 반흔 형성을 줄일 수 있다. 켈로이드라는 붉은 군살이 생기며 흉터로 남는다. 4도 화상은 화상을 입은 부위의 조직이 탄화되어 검게 변한 경우로 3도 화상의 심한 형태이다.
일반적인 화상 치료제로는 화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합성 의약품 및 기타 천연재료로서 식물에서 추출된 성분등을 가진 치료제, 무균 바세린 거즈나 피부질환 치료제 연고등이 사용되기도 하나, 2-3도의 심한 화상의 경우에는 무균 바셀린 거즈로 상처부위를 감싸고 2차 감염을 막기위해 페니실린, 설파민제등의 항생제등이 사용되며, 화상으로 인한 통증을 줄이기 위해 진통제가 별도로 투여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치료제는 치료기간이 길고 상당한 비용이 소모될뿐만 아니라 완치가 어렵고 그 적용면에서도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거즈타 입의 화상 치료제의 경우 환부를 외부 공기와 차단함으로써 오히려 피부 스스로의 회복을 더디게 할 수 있고, 진물과 거즈가 붙어서 거즈를 제거할 때 통증이 있으며, 둘째, 크림타입의 연고제의 경우 환부에 연고를 바를때 통증 및 자극이 수반될 수 있고, 화상 부위의 열기가 식기 전에 연고를 바르게 되면 이로 인해 열기가 미처 빠지지 못하여 화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으며, 바른 후에는 끈적임이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환부에 적용시 가려움증등의 부작용이 없으며, 통증을 완화하고 피부재생 능력이 우수하여 흉터없이 화상을 치료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난황; 오이풀 분말; 및 알로에 분말을 포함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난황은 조성물에 대하여 50 내지 8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이풀 분말은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로에 분말은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난황은 유정란으로부터 얻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난황, 오이풀 분말 및 알로에 분말의 혼합물을 300 내지 500 ℃ 에서 20 내지 60 분 동안 가열하는 가열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천연물을 포함하여 인체에 무해하며 피부에 도포시 가려움증의 부작용이 거의 없다.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환부에 도포하면 화상으로 인한 통증이 완화된다.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피부재생 능력이 우수하여 흉터없이 화상을 치료하며 치료기간이 짧다.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크림 타입의 연고, 액상 스프레이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가 가능하여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제조 방법이 복잡하지 않고 생산 원 가가 저렴하여 다량 생산 및 다량 사용이 요구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난황, 오이풀 분말 및 알로에 분말을 포함한다. 상기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하며 환부에 도포시 가려움증등의 부작용이 없고 피부재생 능력이 우수하여 비교적 빠른 시간안에 화상을 흉터없이 치료한다.
상기 난황은 화상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50 내지 8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5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피부재생 속도가 느리고 제형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80 중량% 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의 함량이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화상치료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난황은 난생 동물의 알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물질로 바람직하게는 계란 노른자가 사용될 수 있다. 계란 노른자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계란은 무정란보다 유정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정란을 사용한 경우보다 유정란을 사용한 경우에 화상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
난황에는 레시틴(lecithin)이 다량 존재한다. 레시틴은 글리세린 인산을 포함하고 있는 인지질의 하나로 필수 지방산과 인, 비타민 B군의 일종인 콜린, 이노 시톨이 결합된 복합물질이다. 레시틴은 셍체막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으로 피부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레시틴이 화상으로 손상된 피부의 재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상기 오이풀 분말은 화상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피부 재생이 느리고 화상 치료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30 중량% 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피부에 도포시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오이풀 분말은 오이풀의 잎, 줄기, 뿌리등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이풀의 잎으로부터 오이풀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오이풀 분말은 오이풀을 깨끗이 세척하여 손질한 뒤 자연 건조 또는 열풍 건조등 당업계에 공지된 건조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하여 건조하고, 분쇄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이풀 분말은 오이풀 추출물을 분말화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오이풀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손질한 오이풀을 물 또는 유기용매에 3 내지 48 시간 동안 침지한 뒤 여과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분말화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하여 오이풀 분말을 얻는다. 상기 유기용매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인체에 무해한 물 또는 물로 희석한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은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곧고 윗부분에서 분지하며, 줄기에 나는 잎부분은 윗부분으로 갈수록 소형이 되고 잎에서 오이냄새가 진하게 난다. 뿌리줄기는 곧고 옆으로 뻗으며 다수의 가늘고 긴 뿌리가 달려있다. 오이풀은 설사, 대장염, 악창등에 민간약으로 사용하며, 특히 지혈작용이 강하여 갖가지 출혈에 피를 멎게 하는데 많이 쓰인다. 또한, 오이풀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무기질이 골고루 들어있어 식용으로도 이용되며 인체에 무해하다.
상기 알로에 분말은 화상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피부 재생 속도가 느려 화상 치료 효과가 신속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30 중량% 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의 함량이 감소하여 화상 치료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알로에 분말은 알로에를 세척하여 손질한 뒤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의해 건조하고, 분쇄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건조는 바람직하게는 수분이 거의 없을때까지 자연 건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알로에 분말은 알로에 추출물을 분말화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알로에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용매 및 추출법을 제한없이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깨끗이 손질한 알로에를 추출 용매에 3 내지 48 시간동안 침지한 후 여과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 의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렌 글리콜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인체에 무해한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상기 분말화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로에(Aloe)는 백합과 식물로 노회 또는 나무노회라고도 한다. 잎은 뿌리와 줄기에 달리며 어긋나고 반원기둥 모양이며 잎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 모양의 가시가 있고 밑 부분은 넓어서 줄기를 감싸며 로제트 모양으로 퍼진다. 잎 뒷면은 둥글고 앞면은 약간 들어간다. 알로에는 세균과 곰팡이에 대한 살균력이 있고 독소를 중화하는 알로에틴, 궤양에 효과가 있는 알로에우르신 및 항암효과가 있는 알로미틴이 들어 있다. 이 밖에도 스테로이드, 아미노산, 사포닌, 항생물질, 무기질 등 다양한 성분이 들어 있다. 알로에는 과로로 인한 피로 회복과 과음으로 인한 숙취 해소 등에 효과가 있고, 알로에의 잎을 잘라두면 유난히 쓴 황색 물질이 흘러나오는데, 이것은 변비에 특히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는 알로에 잎의 액즙을 위장병에 내복하기도 한다. 또한 건성 피부와 지성 피부를 중성화시키고 피부 보습 효과가 있어 화장품 원료로도 쓰인다. 알로에에는 피부 보습효과가 있어 본 발명의 다른 성분들과 병행하여 화상 부위에 적용시 피부 재생 능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혼합 단계(S1); 가열 단계(S2); 및 냉각 단계(S3)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고온으로 가열하여 난황, 오이풀 분말 및 알로에 분말이 완전히 혼합되도록 하며, 천연물에 있을지 모르는 독성을 제거한다.
상기 혼합 단계(S1)는 난황, 오이풀 분말 및 알로에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난황, 오이풀 분말 및 알로에 분말이 균일하게 섞이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가열 단계(S2)는 상기 혼합물을 300 내지 500℃ 에서 20 내지 60 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400 ℃ 로 30 분동안 가열할 수 있다. 300℃ 미만의 온도로 가열하는 경우 난황, 오이풀 분말 및 알로에 분말의 혼합이 균일하게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며, 500 ℃ 를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하는 경우 난황, 오이풀 분말 및 알로에 분말등이 탄화될 수 있다. 또한, 20 분 미만으로 가열하는 경우 난황, 오이풀 분말 및 알로에 분말의 혼합이 균일하게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며, 60 분을 초과하여 가열하는 경우 가열이 지나쳐 오이풀 분말 및 알로에 분말등의 성분이 탄화되어 원하는 생성물을 얻지 못할 수 있다. 고온으로 가열하기 때문에 오이풀과 알로에는 액상이 아닌 분말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이풀 또는 알로에 자체를 사용하거나 액상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수분에 의해 탄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냉각 단계(S3)는 상기 가열 후에 얻어진 조성물을 상온으로 냉각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로 냉각할 수 있다. 냉각 후 난황, 오이풀 분말 및 알로에 분말이 혼합된 액체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폴리비닐 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등의 결합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전분글리콜 산나트륨등의 붕해제; 옥수수전분, 유당, 콩기름, 결정셀룰로오스, 만니톨등의 희석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알파 또는 베타 싸이클로 덱스트린, 비타민 C, 구연산, 백납등의 안정제;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등의 보존제; 또는 향료등과 혼합하여 정제, 다공성 막, 분말제, 겔제, 연고제, 크림제, 액제, 스프레이제등의 약학적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외부감염균에 의한 추가적인 진피감염을 막기 위하여 상용량의 공지된 항생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투여방법, 투여시간 및 화상의 정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통상 성인(70kg 기준)의 경우 비경구로 1 일 1 회 내지 5 회 0.01 내지 0.1 g/㎠ 의 양으로 화상부위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증상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화상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오이풀과 알로에를 세척한 뒤 24시간동안 자연건조하고 분쇄기로 분쇄하여 각각 분말화하였다. 계란 노른자 70중량%, 상기 오이풀 분말 15중량% 및 알로에 분말 15중량% 를 믹서기로 혼합하였다. 상기 계란은 유정란을 사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가열용기에 넣고 400℃ 에서 30 분간 가열하였다. 가열후에 상온까지 냉각하였으며, 담갈색의 액체를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4> 화상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표 1 의 조성으로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의 단위는 중량% 이다.
성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계란 노른자 70 50 50 80
오이풀 분말 15 30 20 10
알로에 분말 15 20 30 10
100 100 100 100
<비교예 1>
일반적인 가정용 D 약품회사 크림타입의 베타 시토스테롤을 함유하는 M 연고제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화상 치료 효과등을 실험하였다.
<비교예 2>
일반적인 병원용 바세린 거즈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화상 치료 효과등을 실험하였다.
<실험예 1> 피부 자극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4 에서 제조한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하루 2회씩 13일 동안 사람의 팔 1.5×1.5㎠ 넓이의 피부에 적용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여부를 살펴보았다. 15일 후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 에서 제조한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적용한 팔의 피부에서 특별한 이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4 에서 제조한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사람 피부에 대하여 독성 및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화상 치료 효과에 대한 동물실험
6 마리의 렛트를 표본으로 삼아 등 또는 다리 부위에 털을 제거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2 도 화상을 유발시켰다. 화상을 입은 환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2 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1 일 3 회씩 도포하였다. 화상 상처의 표면적을 7 일간 관찰하여 상처 표면적의 변화로써 치료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또한, 상기 화상 치료용 조성물 적용후 6시간이 경과한 뒤 진물이 나는 정도 및 상처가 완치된 후 흉터가 남는지도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상처 표면적(㎠) 진물
흉터
(완치시)
초기 7일 경과후 감소량
실시예 1 5.1 1.2 3.9 멈춤 5% 미만
실시예 2 5.2 1.5 3.7 멈춤 5% 미만
실시예 3 5.0 1.6 3.4 멈춤 5% 미만
실시예 4 4.9 1.9 3.0 멈춤 5% 미만
비교예 1 4.9 3.0 1.9 흐름 60%
비교예 2 5.2 3.2 2.0 흐름 70%
상기 표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 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화상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화상 부위에 도포한지 6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진물이 멈추고 피부의 붉은기가 사라지면서 각질이 생기고 각질이 제거되면서 새살이 올라오기 시작하였다. 피부 재생 능력이 우수하여 완치가 된 후에도 흉터가 거의 없었다.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연고제와 병원에서 사용되는 화상용 거즈를 사용한 비교예 1 및 2 의 화상 치료제의 경우 환부에 적용한지 6시간이 경과하여도 진물이 멈추지 않았고 완치후에도 상당히 흉터가 남아 실시예의 조성물보다 그 치료효과가 우수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화상 치료 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2 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의 화상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 도의 화상을 입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4 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 및 비교예 1 및 2 의 화상 치료제를 1일 3회 환부에 도포하고 7 일간 관찰하였다.
화상 직후 1일후 2일후 3일후 4일후 5일후 6일후 7일후
실시예 1 X X X
실시예 2 X X X
실시예 3 X X X
실시예 4 X X X
비교예 1 X X X X X
비교예 2 X X X X X
X: 심한 고통을 호소하면 환부에는 수포가 생겨있음
△: 환부에 열이 나며, 통증이 있음
○: 따끔거리는 느낌이 사라지고, 환부 접촉시 약간의 통증이 있음
◎: 환부가 95% 이상 완치되었으며, 흉터는 거의 남지 않고 화상부위의 피부색의 과침착 정도도 알아보기 힘들정도로 치료됨
상기 표 3 의 결과에 의하면, 실시예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의 경우 화상 부위에 도포시 빠른 시간안에 화기 열감과 통증이 사라짐을 알 수 있다. 또한, 피부 재생 능력이 뛰어나 빠른 시간안에 흉터가 거의 없이 완치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도포한 환자들에게서는 가려움증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교예의 화상 치료제를 사용한 환자들은 가려움증을 호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화상 치료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려움증등의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화상 치료 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4 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의 화상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1 도 내지 4 도의 화상을 입은 환자를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4 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1 일 3 회 환부에 도포하고 14일 후의 완치여부를 조사하였다. 완치 여부는 새살이 돋고 피부 과침착증이 사라져 반흔이 없어진 것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 와 같다. 하기 표는 실시예 1 내지 4 의 화상용 조성물에 대한 평균을 나타낸다.
피검
환자수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8일 9일 10일 11일 12일 13일 14일
1도 화상 10 - - 1 7 2
2도 화상 10 - - - - 1 2 5 2
3도 화상 7 - - - - - - - - - - - 1 1 4
4도 화상 2 - - - - - - - - - - - - - -
상기 표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기존의 화상 치료제보다 화상 치료 효과가 빨라, 2도 화상은 7일 정도, 3 도의 중증 화상도 14일 정도면 완치가 됨을 알 수 있다. 4 도 화상의 경우 최소 한달 정도가 지나야 완치가 되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화상 부위에 도포하는 경우 단시간 내에 화기열감과 통증이 사라지며 가려움증등의 부작용이 없고,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피부재생 능력이 우수하여 3 도 이상의 화상에서도 흉터없이 화상을 치료할 수 있다.

Claims (7)

  1. 난황;
    오이풀 분말; 및
    알로에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황은 화상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 50 내지 8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이풀 분말은 화상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 10 내지 3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 분말은 화상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 10 내지 3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황은 유정란으로부터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 물.
  6. 난황, 오이풀 분말 및 알로에 분말의 혼합물을 300 내지 500 ℃ 에서 20 내지 60 분 동안 가열하는 가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난황을 50 내지 80 중량%, 상기 오이풀 분말을 10 내지 30 중량% 및 상기 알로에 분말을 10 내지 30 중량% 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090007730A 2009-01-30 2009-01-30 화상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88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730A KR20100088478A (ko) 2009-01-30 2009-01-30 화상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730A KR20100088478A (ko) 2009-01-30 2009-01-30 화상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478A true KR20100088478A (ko) 2010-08-09

Family

ID=4275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730A KR20100088478A (ko) 2009-01-30 2009-01-30 화상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84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0701A (zh) * 2013-05-08 2014-06-18 阳俊才 一种治疗刀口创口伤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3893318A (zh) * 2014-04-02 2014-07-02 高建 烧伤组合物及其在制备防治烧伤瘢痕中的应用
CN104173569A (zh) * 2014-09-10 2014-12-03 吕铝淼 一种治疗烧烫伤的药物
CN104623237A (zh) * 2015-03-08 2015-05-20 牛启敏 一种治疗烧烫伤的药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0701A (zh) * 2013-05-08 2014-06-18 阳俊才 一种治疗刀口创口伤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3893318A (zh) * 2014-04-02 2014-07-02 高建 烧伤组合物及其在制备防治烧伤瘢痕中的应用
CN104173569A (zh) * 2014-09-10 2014-12-03 吕铝淼 一种治疗烧烫伤的药物
CN104623237A (zh) * 2015-03-08 2015-05-20 牛启敏 一种治疗烧烫伤的药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8986B1 (en) A product for topical administration
EP3466447A1 (en)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multiple forms of skin wound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29992B1 (ko) 상처 치료용 약초 제제
CN103751725A (zh) 一种抗炎杀菌去痘美白的药物
CN108186711A (zh) 促进伤口愈合的药物组合物
CN110292602A (zh) 一种复方五黄烧伤油配方及其制备方法
CN101837082B (zh) 治疗烧伤的中药制剂
KR20100088478A (ko) 화상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146014A (zh) 一种复方烟酸薄荷酯植物多糖乳膏及其制备方法
CN105943666B (zh) 一种用于婴幼儿敏感肌肤护理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374537B1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화상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494348B1 (ko) 화상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183893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CN101690760B (zh) 一种治疗创伤的药物组合物及其药膏制备方法、应用
CN103920124B (zh) 一种杀菌护肤冻疮膏
CN102846799A (zh) 烧烫伤中药外用膏及其制备方法
CN110624032A (zh) 一种治疗烧烫伤的膏剂及其制备方法
CN112439008A (zh) 茵栀黄制剂的医药用途
KR100552307B1 (ko) 항노화 효과가 있는 한약제 추출물이 첨가된 화장료
CN1156301C (zh) 治疗烧、烫伤的药膏及其制法
CN108379374A (zh) 一种用于治疗冻疮的药膏及其制备方法
CN115414427B (zh) 治疗慢性皮肤瘙痒症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用途
JP6590233B1 (ja) 皮膚疾患治療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89906B1 (ko) 피부용조성물
CN107714834A (zh) 一种山茶油外用制剂的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