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226A - 선박용 프로펠러 - Google Patents

선박용 프로펠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226A
KR20230158226A KR1020220057675A KR20220057675A KR20230158226A KR 20230158226 A KR20230158226 A KR 20230158226A KR 1020220057675 A KR1020220057675 A KR 1020220057675A KR 20220057675 A KR20220057675 A KR 20220057675A KR 20230158226 A KR20230158226 A KR 20230158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shaft
fixing member
sealing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욱
김수로
한만철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7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8226A/ko
Publication of KR2023015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4Propeller shafts; Paddle-wheel shafts; Attachment of propellers on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선박용 프로펠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프로펠러는, 프로펠러 날개가 구비되는 프로펠러 보스; 일부가 상기 프로펠러 보스를 관통하는 프로펠러 샤프트; 상기 프로펠러 보스를 관통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고정연결되는 샤프트 고정부재;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를 덮도록 상기 프로펠러 보스에 연결되는 보스 캡; 및,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공간을 형성하는 밀봉공간 형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공간에는 밀봉유가 채워질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프로펠러{PROPELLER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프로펠러에 관한 것이다.
선박용 프로펠러(10)는, 선박의 엔진룸에 구비되는 메인엔진에 연결되어, 메인엔진의 구동으로 회전하여 추진력을 발생함으로써, 선박이 해상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용 프로펠러(10)는, 프로펠러 보스(20), 프로펠러 샤프트(30), 샤프트 고정부재(40) 및, 보스 캡(50)을 포함한다. 프로펠러 보스(20)에는 프로펠러 날개(PW)가 구비되고, 프로펠러 샤프트(30)의 일부가 프로펠러 보스(20)를 관통하며, 샤프트 고정부재(40)가 프로펠러 보스(20)를 관통한 프로펠러 샤프트(30)의 일측 단부에 고정연결되어, 프로펠러 샤프트(30)가 프로펠러 보스(20)에 고정연결된다.
또한, 보스 캡(50)이 프로펠러 샤프트(3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를 덮도록 프로펠러 보스(20)에 연결되어, 프로펠러 샤프트(3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가 해수 등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한편, 보스 캡(50) 내에는, 외부의 해수와의 온도차에 의해서 응결수가 발생하며, 이와 같이 보스 캡(50) 내에서 발생된 응결수가, 프로펠러 샤프트(3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 사이 및, 샤프트 고정부재(40)와 프로펠러 보스(20) 사이에 유입되면, 프로펠러 샤프트(3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 사이 및, 샤프트 고정부재(40)와 프로펠러 보스(20) 사이가 부식된다. 이에 의해서, 샤프트 고정부재(40)를 프로펠러 샤프트(3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어려워져서, 선박용 프로펠러(10)의 유지보수가 어려워진다.
이를 방지하고자, 종래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 캡(50) 내부 전체를 그리스(GREASE) 등의 밀봉유로 채웠다. 이에 따라, 프로펠러 샤프트(3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 사이 및, 샤프트 고정부재(40)와 프로펠러 보스(20) 사이에 응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비용 및 작업시간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었다.특히, 근래에는, 그리스 등의 밀봉유가 해양으로 누유되더라도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이오 그리스 등의 친환경 밀봉유를 사용하는데, 친환경 밀봉유는, 일반 밀봉유보다 가격이 비싸서, 친환경 밀봉유를 사용하여, 프로펠러 샤프트(3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 사이 및, 샤프트 고정부재(40)와 프로펠러 보스(20) 사이에 응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비교적 적은 비용 및 작업시간으로,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 사이 및, 샤프트 고정부재와 프로펠러 보스 사이에 응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밀봉공간 형성부재에 의해서,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공간을 형성하고, 밀봉공간에 밀봉유가 채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샤프트 고정부재와 프로펠러 보스 사이에 밀봉부재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선박용 프로펠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선박용 프로펠러는, 프로펠러 날개가 구비되는 프로펠러 보스; 일부가 상기 프로펠러 보스를 관통하는 프로펠러 샤프트; 상기 프로펠러 보스를 관통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고정연결되는 샤프트 고정부재;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를 덮도록 상기 프로펠러 보스에 연결되는 보스 캡; 및,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공간을 형성하는 밀봉공간 형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공간에는 밀봉유가 채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밀봉공간은,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로부터 돌출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의 부분을 둘러싸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공간 형성부재에는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밀봉공간을 이루는 밀봉공간 형성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밀봉공간 형성부재의 일측 단부가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밀봉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유는 그리스(GREAS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공간 형성부재에는, 밀봉유가 상기 밀봉공간에 유입되도록 하는 밀봉유 유입구와, 밀봉유의 유입시 상기 밀봉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와 상기 프로펠러 보스 사이에는 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공간 형성부재에 의해서,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공간을 형성하고, 밀봉공간에 밀봉유가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 고정부재와 프로펠러 보스 사이에 밀봉부재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적 적은 비용 및 작업시간으로,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 사이 및, 샤프트 고정부재와 프로펠러 보스 사이에 응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프로펠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프로펠러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의 일부확대도이다.
도4는 종래의 선박용 프로펠러의 도3과 같은 단면 일부 확대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선박용 프로펠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프로펠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프로펠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프로펠러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의 일부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프로펠러(100)의 일실시예는 프로펠러 보스(200), 프로펠러 샤프트(300), 샤프트 고정부재(400), 보스 캡(500) 및, 밀봉공간 형성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펠러 보스(20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 날개(PW)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펠러 보스(200)에는 날개 연결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며, 프로펠러 날개(PW)의 하단부의 연결부(도시되지 않음)가 프로펠러 보스(200)의 날개 연결홈에 끼워지는 것으로, 프로펠러 날개(PW)가 프로펠러 보스(2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프로펠러 날개(PW)가 프로펠러 보스(200)에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프로펠러 보스(20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멍(2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부가 관통구멍(210)을 관통하는 것으로,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부가 프로펠러 보스(200)를 관통할 수 있다.
프로펠러 샤프트(300)는 일부가 프로펠러 보스(200)를 관통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부가 프로펠러 보스(200)의 관통구멍(210)을 관통하는 것으로,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부가 프로펠러 보스(200)를 관통할 수 있다.
한편, 프로펠러 샤프트(300), 예컨대 프로펠러 보스(200)에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측의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부분은, 선박(도시되지 않음)의 엔진룸(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는 메인엔진(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의 메인엔진이 구동되면, 프로펠러 샤프트(300)가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 고정부재(400)는, 프로펠러 보스(200)를 관통한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에 고정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펠러 샤프트(300)가 프로펠러 보스(200)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선박의 메인엔진이 구동되어 프로펠러 샤프트(300)가 회전하면, 프로펠러 보스(200)도 회전하여, 프로펠러 보스(200)에 구비된 프로펠러 날개(PW)가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펠러 날개(PW)에 의해서 발생된 추진력이 선박에 작용하여 선박이 해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샤프트 고정부재(400)에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연결구멍(410)이 형성되고, 연결구멍(410)에는 암나사산(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고정부재(400)의 연결구멍(410)에 삽입되는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에는 수나산(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샤프트 고정부재(400)와,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샤프트 고정부재(400)가, 프로펠러 보스(200)를 관통한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보스 캡(500)은,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를 덮도록 프로펠러 보스(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가 보스 캡(500)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가 보스 캡(500)에 의해서 해수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가 해수에 의해서 부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스 캡(500)은 해수에 의해서 부식되지 않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봉공간 형성부재(600)는,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공간(IS)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밀봉공간(IS)에는 밀봉유가 채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 사이에 응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샤프트 고정부재(400)와 프로펠러 보스(200) 사이에는 밀봉부재(OR)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샤프트 고정부재(400)와 프로펠러 보스(200) 사이에 응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펠러 보스(200)와 접하는 샤프트 고정부재(400)의 부분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OR)가 구비되어, 샤프트 고정부재(400)와 프로펠러 보스(200) 사이에 밀봉부재(OR)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샤프트 고정부재(400)와 프로펠러 보스(200) 사이에 밀봉부재(OR)가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 사이 및, 샤프트 고정부재(400)와 프로펠러 보스(200) 사이에 응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 사이 및, 샤프트 고정부재(400)와 프로펠러 보스(200) 사이가 응결수에 의해서 부식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 고정부재(400)를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선박용 프로펠러(10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프로펠러(100)에서는, 도4에 도시된 종래의 선박용 프로펠러(10)과 같이 보스 캡(50) 내부 전체를 밀봉유로 채우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프로펠러(100)에서는, 비교적 적은 밀봉유로,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 사이에 응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밀봉유를 사용하지 않아도, 샤프트 고정부재(400)와 프로펠러 보스(200) 사이에 응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교적 적은 비용 및 작업시간으로,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 사이 및, 샤프트 고정부재(400)와 프로펠러 보스(200) 사이에 응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해양오염의 방지를 위해서 사용되나 비교적 가격이 비싼 바이오 그리스등의 친환경 밀봉유를 비교적 적은 양 사용하여도,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 사이에 응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밀봉유를 사용하지 않아도, 샤프트 고정부재(400)와 프로펠러 보스(200) 사이에 응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가급적 친환경 밀봉유를 사용하여,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 사이에 응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해양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밀봉공간 형성부재(600)와 보스 캡(500)에 의해서 이중으로 밀봉유의 해양으로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어서, 밀봉유의 해양으로의 누유를 최소화할 수 있고, 밀봉유에 의한 해양오염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보스 캡(500)이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를 덮도록 프로펠러 보스(200)에 연결되도록 하지 않고, 밀봉공간 형성부재(600)가 샤프트 고정부재(400)에 부착되도록 하여도,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의 부식을 방지하면서, 해수가 샤프트 고정부재(400)와 프로펠러 샤프트(300) 사이 및, 프로펠러 보스(200)와 프로펠러 샤프트(300) 사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과 반건조 선박을 동시에 건조하고 진수시키는 탠덤공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밀봉공간(IS)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고정부재(400)로부터 돌출된,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의 부분을 둘러싸서,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수나사산이,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400)로부터 돌출된,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의 부분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때에도,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 사이를 용이하게 밀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밀봉공간 형성부재(600)에는 일측이 개방되며 밀봉공간(IS)을 이루는 밀봉공간 형성공간(6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밀봉공간 형성부재(600)의 일측 단부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고정부재(400)에 부착되어 밀봉공간(IS)을 형성할 수 있다. 밀봉공간 형성부재(600)의 일측 단부는, 볼트 등에 의해서 샤프트 고정부재(4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밀봉공간 형성부재(6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 사이에는 밀봉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밀봉공간(IS)의 밀봉유가 밀봉공간(IS)의 밖으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 밀봉공간(IS)은, 샤프트 고정부재(400)로부터 돌출된,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의 부분의 측면만을 둘러싸서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 사이를 밀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밀봉공간 형성공간(610)은 링 형상일 수 있으며, 밀봉공간 형성부재(600)에는, 샤프트 고정부재(400)로부터 돌출된,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의 부분이 통과하는 통과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도 있다.
밀봉공간(IS)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 사이를 밀봉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밀봉공간(IS)에 채워지는 밀봉유는 그리스(GREASE)일 수 있다. 그러나, 밀봉공간(IS)에 채워지는 밀봉유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밀봉공간(IS)에 채워져서, 프로펠러 샤프트(300)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400) 사이에 응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밀봉공간 형성부재(600)에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유 유입구(IL)와, 공기 배출구(OL)가 구비될 수 있다. 밀봉유 유입구(IL)는 밀봉유가 밀봉공간(IS)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출구(OL)는 밀봉공간(IS)으로의 밀봉유의 유입시 밀봉공간(IS)에 존재하는 공기가 밀봉공간(IS)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밀봉유 유입구(IL)는 밀봉유 유동관(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밀봉유 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밀봉유 유동관에는 펌프(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펌프의 구동으로, 밀봉유 공급원의 밀봉유가, 밀봉유 유동관 등과 밀봉유 유입구(IL)를 통해, 밀봉공간(IS)에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밀봉공간(IS)에 존재하는 공기는 공기 배출구(OL)를 통해 밀봉공간(IS)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프로펠러를 사용하면, 밀봉공간 형성부재에 의해서,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공간을 형성하고, 밀봉공간에 밀봉유가 채워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샤프트 고정부재와 프로펠러 보스 사이에 밀봉부재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고, 비교적 적은 비용 및 작업시간으로,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와 샤프트 고정부재 사이 및, 샤프트 고정부재와 프로펠러 보스 사이에 응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선박용 프로펠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100 : 선박용 프로펠러 20, 200 : 프로펠러 보스
210 : 관통구멍 30, 300 : 프로펠러 샤프트
40, 400 : 샤프트 고정부재 410 : 연결구멍
50, 500 : 보스 캡 600 : 밀봉공간 형성부재
610 : 밀봉공간 형성공간 PW : 프로펠러 날개
IS : 밀봉공간 IL : 밀봉유 유입구
OL : 공기 배출구 OR : 밀봉부재

Claims (6)

  1. 프로펠러 날개가 구비되는 프로펠러 보스;
    일부가 상기 프로펠러 보스를 관통하는 프로펠러 샤프트;
    상기 프로펠러 보스를 관통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고정연결되는 샤프트 고정부재;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를 덮도록 상기 프로펠러 보스에 연결되는 보스 캡; 및,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공간을 형성하는 밀봉공간 형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공간에는 밀봉유가 채워지는 선박용 프로펠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공간은,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로부터 돌출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의 부분을 둘러싸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 사이를 밀봉하는 선박용 프로펠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공간 형성부재에는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밀봉공간을 이루는 밀봉공간 형성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밀봉공간 형성부재의 일측 단부가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밀봉공간을 형성하는 선박용 프로펠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유는 그리스(GREASE)인 선박용 프로펠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공간 형성부재에는, 밀봉유가 상기 밀봉공간에 유입되도록 하는 밀봉유 유입구와, 밀봉유의 유입시 상기 밀봉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구가 구비되는 선박용 프로펠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와 상기 프로펠러 보스 사이에는 밀봉부재가 구비되는 선박용 프로펠러.
KR1020220057675A 2022-05-11 2022-05-11 선박용 프로펠러 KR20230158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675A KR20230158226A (ko) 2022-05-11 2022-05-11 선박용 프로펠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675A KR20230158226A (ko) 2022-05-11 2022-05-11 선박용 프로펠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226A true KR20230158226A (ko) 2023-11-20

Family

ID=8897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675A KR20230158226A (ko) 2022-05-11 2022-05-11 선박용 프로펠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82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096B1 (ko)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의 축 씰링 장치
JP4633008B2 (ja) シール装置
KR100956719B1 (ko) 선박 추진장치
JP2006234101A (ja) 船舶用推進軸の軸封装置
CN104806736A (zh) 船用推进器桨轴密封结构
Smith et al. Marine auxiliary machinery
US20090101056A1 (en) Bow thruster for watercraft
US3933113A (en) Marine vessel propulsion system
KR20230158226A (ko) 선박용 프로펠러
US3240180A (en) Electrolysis preventer for propeller drives
KR101566439B1 (ko) 잠수함
KR101336221B1 (ko) 링형 선박 추진장치
JPH07251795A (ja) 二重反転プロペラ船用船尾管シール装置のドレン排水方法およびドレン排水管構造
KR20210089095A (ko) 선박
KR20140133171A (ko) 쓰러스터 보호 장치
KR101384120B1 (ko)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미관 시일 장치
US5234362A (en) Outboard motor with improved housing interface
JPS5945552B2 (ja) ウオ−タ−ジエツト推進装置の実験設備
CN206719514U (zh) 一种全回转式舵桨用密封系统
US4282712A (en) Devices for extracting energy from waves
KR200432673Y1 (ko) 워트제트 추진장치
CN205801422U (zh) 一种水面清洁船的冷却系统
RU2397105C1 (ru) Дейдву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2290342C2 (ru) Судовой пропульсивный комплекс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отоками текучей среды
CN102730178A (zh) 大型自航式半潜运输船电力推进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