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708A -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 Google Patents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708A
KR20230157708A KR1020220057246A KR20220057246A KR20230157708A KR 20230157708 A KR20230157708 A KR 20230157708A KR 1020220057246 A KR1020220057246 A KR 1020220057246A KR 20220057246 A KR20220057246 A KR 20220057246A KR 20230157708 A KR20230157708 A KR 20230157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ocking
groove
p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학
Original Assignee
(주)버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버닛 filed Critical (주)버닛
Priority to KR1020220057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7708A/ko
Publication of KR2023015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70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좌판의 틸팅에 의해 좌판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고, 좌판의 위치가 조절되어 좌판의 지지력이 향상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원가적으로도 경쟁력을 구비할 수 있는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좌판에 조립설치된 좌판브래킷이 지지파이프에 안착될 시, 지지파이프와의 접촉 및 좌판의 자중에 의해 록킹핀의 끝단이 좌판의 록킹홈내로 삽입되어 좌판의 록킹이 이루어지고, 좌판브래킷이 조립설치된 좌판이 폴딩파이프를 중심으로 폴딩될 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핀이 좌판의 록킹홈에서 이격되어, 좌판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좌판에 구비된 좌판쉘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Folding type chair with sliding seat}
본 발명은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좌판의 틸팅에 의해 좌판의 록킹/언록킹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좌판의 전/후방향 이동 조절 및, 폴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는 사무실이나 서재와 같은 개인업무공간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사무의자와, 회의실이나 강의실 등 대규모 공간에서 사용되는 공용 사무의자가 있으며, 상기 개인용 사무의자는 대부분 장시간의 업무에도 피로감을 덜 느끼도록 등을 등받이에 기댈 때 뒤로 젖혀지는 틸트기능을 구비한 의자가 널리 사용되고, 상기 공용 사무의자는 경제성 및 견고성을 고려하여 단순한 착석기능만을 구비하도록 프레임에 등판과 좌판이 견고히 결합되는 프레임 의자 또는 좌판이 폴딩되는 접이식 의자가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 접이식 의자는 사용자의 등을 받치기 위한 등판부와 사용자의 둔부를 받치기 위한 좌판부 및, 등판부와 좌판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다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접이식 의자는 좌판부를 수평으로 펼쳐 사용하고, 의자의 사용후 정리 및 보관시에는 좌판부를 폴딩시켜 접어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접이식 의자는, 좌판부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등판부 방향으로 폴딩만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어, 장시간 착석하게 될 경우, 사용자의 허리에 부담이 유발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었다.
간혹 좌판에 움직임을 줄 수 있는 의자가 개발되고 있지만 이러한 의자들은 좌판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등을 기대였을 때 좌판이 움직이도록 하여 등판 틸팅기능을 대체하는 것일 뿐, 사용자에 따라 좌판의 위치 자체가 조절되는 구성은 아니다.
특히, 접이식 의자는 그 용도상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등판과 좌판의 위치가 고정된 의자에 오래 앉아 있을 경우 체형에 따라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게 되며, 사용자의 충분한 휴식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피로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들이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인체공학을 기초로 하여 허리보호를 목적으로 한 의자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인체공학적 의자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유지보수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될 뿐 아니라, 인체공학적 의자 역시, 등판부와 좌판부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등판부와 좌판부에 신체를 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볼 때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인체공학적 의자들은 설계비용 및 제조원가가 증가되어 간단한 구조하며, 저비용으로 생산되는 접이식 의자에는 현실적으로 적용되지 못하였다.
또한, 좌판이 슬라이딩되어 사용자의 피로감을 해소시키기 위한 의자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래에 개발되어진 좌판 슬라이딩 타입 의자는, 대부분 좌판프레임에 슬라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좌판부의 쿠션이 슬라이딩되도록 되어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전체적인 부품수 및 조립공정의 증가가 발생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43172(2017.05.29)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80482(2012.08.3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29781(2012.03.15)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54574(2018.04.26)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제작이 간편하고, 견고하면서도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좌판의 록킹/언록킹, 좌판의 전후방향 위치조정 및 좌판 폴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판의 틸팅에 의해 좌판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고, 좌판의 위치가 조절되어 좌판의 지지력이 향상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원가적으로도 경쟁력을 구비할 수 있는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좌판에 조립설치된 좌판브래킷이 지지파이프에 안착될 시, 지지파이프와의 접촉 및 좌판의 자중에 의해 록킹핀의 끝단이 좌판의 록킹홈내로 삽입되어 좌판의 록킹이 이루어지고, 좌판브래킷이 조립설치된 좌판이 폴딩파이프를 중심으로 폴딩될 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핀이 좌판의 록킹홈에서 이격되어, 좌판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좌판에 구비된 좌판쉘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좌판이 하부프레임에 안착될 시, 좌판이 자동록킹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좌판의 폴딩시 록킹이 자동 해제되면서 좌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간단한 조작에 의해 좌판의 깊이조절(전후방향 이동조절)이 다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척수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판에서 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작은 공간에서 다수의 의자에 대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판의 위치가 다단계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판이 록킹핀 또는, 록킹핀과 좌판쉘의 체결구에 의해 2점 지지되어 고정되므로, 좌판의 전후방향 유격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판과 프레임이 연결되는 좌판 브래킷과의 결합에 의해 좌판의 록킹, 슬라이딩 및 폴딩이 이루어지므로, 외관이 단순할 뿐 아니라, 좌판의 조립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므로, 소요 부품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 및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원가의 절감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판의 폴딩 및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면서도 네스팅(nesting)기능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좌판이 폴딩된 상태에서 복수개가 겹쳐져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과 좌판 브래킷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과 좌판 브래킷의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록킹 및 폴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슬라이딩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네스팅(nesting)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과 좌판 브래킷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과 좌판 브래킷의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록킹 및 폴딩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슬라이딩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좌판(10)에 조립설치된 좌판브래킷(50)이 지지파이프(82)에 안착될 시, 지지파이프(82)와의 접촉 및 좌판(10)의 자중에 의해 록킹핀(70)의 끝단이 좌판의 록킹홈(31)내로 삽입되어 좌판(10)의 록킹이 이루어지고, 좌판브래킷(50)이 조립설치된 좌판(10)이 폴딩파이프(81)를 중심으로 폴딩될 시, 록킹핀(70)이 스프링(71)의 탄성력에 의해 좌판의 록킹홈(31)에서 이격되어, 좌판(10)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좌판(10)에 구비된 좌판쉘(30)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0)이 좌판브래킷(50)에 의해 하부프레임(80)에 조립되어 폴딩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100)에 있어서;
상기 좌판(10)은, 좌판브래킷(50)에 고정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20)과, 슬라이딩 블록의 슬라이드 홀(21)을 따라 이동되도록 조립체(40)에 의해 슬라이딩 블록(20)과 연결되고, 하면에 다수의 록킹홈(31)이 구비된 좌판쉘(30)을 포함하고,
상기 좌판브래킷(50)은, 하부프레임(80)의 폴딩파이프(81)가 삽입되는 폴딩홈(61)이 구비되고, 폴딩홈(61)과 이격형성되어 하부프레임의 지지파이프(82)에 안착지지되는 지지홈(62)이 구비된 브래킷 몸체(60)와, 브래킷 몸체(60)를 관통하도록 지지홈(62)내에 스프링(71)지지되어 설치되는 록킹핀(7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80)은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0)과 좌판브래킷(50)이 연결조립되기 위한 폴딩파이프(81)와 지지파이프(8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지지파이프(82)는 폴딩파이프(81) 보다 접이식 의자의 전방 방향(F)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80)은 그 구조가 특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 예로 2개의 레그프레임이 지지파이프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프레임(80)은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90)이 연결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레그(83)와, 전방레그에 일체로 연결되는 한 쌍의 후방레그(84)와, 한 쌍의 후방레그(84)에 양단이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지지파이프(82)와, 지지파이프(82)에 양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ㄷ'자 형상의 폴딩파이프(81)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폴딩파이프(81)는 지지파이프(82)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도록 지지파이프(82)에 연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형성될 경우, 좌판브래킷(50)의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지파이프(82)에 의한 좌판(10)의 안정적인 지지 및, 폴딩파이프(81)를 중심으로 한 좌판(10)의 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80)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이 폴딩된 상태에서 복수의 의자가 겹쳐져 안정적으로 보관(nesting)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전방레그 간 거리(L1)가 한 쌍의 후방레그 간 거리(L2) 보다 더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는 한 쌍의 전방레그(83)에 등판(90)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한 쌍의 후방레그(84)에 등판(90)이 결합되도록 하부프레임(80)의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80)은 전방레그(83)와 후방레그(84)의 하단에 각각 캐스터(85)가 더 설치되어 이동성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판브래킷(50)은,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프레임(80) 및 좌판(10)에 연결되는 브래킷 몸체(60)와, 상기 브래킷 몸체(60)에 연결설치되어 좌판(10)의 위치를 고정하는 록킹핀(70)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 몸체(60)는 슬라이딩 블록(20)과의 조립에 의해 후방프레임(80)에 연결설치되는 것으로, 슬라이딩 블록(20) 방향으로 개구되어 소정 깊이를 구비하도록 폴딩홈(61)이 형성되고, 상기 폴딩홈(6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개구된 지지홈(62)이 폴딩홈(61)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록킹핀(70)이 삽입관통되는 핀홀(63)이 지지홈(62)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 몸체(60)는, 슬라이딩 블록(20)이 접촉설치되는 일면에 소정깊이를 구비하는 가이드홈(64)이 형성되어 있어, 좌판(10)의 슬라이딩 시, 가이드홈(64)내에서 조립체(4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핀(70)은, 스프링(71)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브래킷 몸체(60)에 연결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록킹핀(70)은 핀머리부(70a)가 브래킷 몸체의 지지홈(62)내에 위치하고, 핀몸체부(70b)가 브래킷 몸체의 핀홀(63)을 관통하며, 브래킷 몸체(60)와 핀머리부(70a)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71)에 의해 핀몸체부(70b)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조립설치된다.
이때, 상기 록킹핀(70)은 브래킷 몸체(60)의 핀홀(63)을 관통한 핀몸체부(70b)에 푸시와셔(72)가 결합되어, 록킹핀(70)의 이탈이 방지되면서, 록킹핀(70)의 이동범위가 제한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푸시와셔(72)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브래킷 몸체의 핀홀(63)을 따라 록킹핀(70)이 이동될 수 있도록 록킹핀의 핀몸체부(70b)에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이 조립설치된 록킹핀(70)은, 스프링(71)의 탄성력에 의해 푸시와셔(72)가 브래킷 몸체(60)에 접촉지지될 때까지 핀머리부(70a)가 지지홈(62)내로 이동되고, 지지파이프(82)와의 접촉 등에 의해 핀머리부(70a)에 일정 수준의 힘이 가해지면 핀머리부(70a)가 스프링(71)을 압축하며 이동되어, 푸시와셔(72)가 설치된 핀몸체부(70b)가 브래킷 몸체(60) 외측으로 돌출이동되어, 좌판(10)에 구비된 좌판쉘의 록킹홈(31)내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좌판브래킷 즉, 브래킷몸체의 지지홈(62)은,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이프(81)가 안착지지되는 메인지지홈(62a)과, 스프링(71)을 압축하며 록킹핀의 핀머리부(70a)가 삽입될 수 있는 보조지지홈(62b)을 포함하도록 2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지지홈(62)이 메인지지홈(62a)과 보조지지홈(62b)으로 2단 구성될 경우, 지지파이프(82)에 지지홈(62)이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지지되고, 록킹핀(70)의 가이드가 용이해져 작동성이 향상되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좌판(10)은, 도 2, 도 3,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쉘(30)과, 슬라이딩 블록(20) 및, 슬라이딩 블록(20)을 좌판쉘(30)에 연결하는 조립체(40)를 포함한다.
상기 좌판쉘(30)은 조립체(40)에 의해 슬라이딩 블록(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슬라이딩 블록의 슬라이드 홀(21)내로 삽입되도록 돌출형성되어 조립체(40)가 체결되는 체결구(32)와, 록킹핀(70)이 삽입되는 다수의 록킹홈(31)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구(32)는 슬라이드 홀(21)을 따라 의자의 전/후방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슬라이드 홀(21)내에서 의자의 좌우방향(W)으로는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좌판쉘(30)의 하면에 다수개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홈(31)은 록킹핀(70)의 끝단이 삽입되어 좌판쉘(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쉘(30)의 하면에 2개 이상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록킹홈(31)은 슬라이드 홀(21)을 따라 이동되는 체결구(32)와 록킹핀(70)의 상호작용 즉, 접촉지지에 의해 좌판쉘(30)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좌판쉘(3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록킹홈(31)은 도 7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핀(70)이 삽입되는 제1,2,3록킹홈(31a,31b,31c)으로 이루어지되, 제1록킹홈(31a)과 제2록킹홈(31b) 사이에 제1지지벽(31d)이 구비되고, 제2록킹홈(31b)과 제3록킹홈(31c) 사이에 제2지지벽(31e)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좌판쉘의 체결구(32)가 슬라이드 홀의 일측단(21a)에 접촉지지될 시, 제1록킹홈(31a)내로 삽입된 록킹핀(70)이 제1지지벽(31d)에 접촉지지되어, 좌판쉘(30)이 슬라이딩되지 않게 고정되고,
좌판쉘의 체결구(32)가 슬라이드 홀의 타측단(21b)에 접촉지지될 시, 제3록킹홈(31c)내로 삽입된 록킹핀(70)이 제2지지벽(31e)에 접촉지지되어, 좌판쉘(30)이 슬라이딩되지 않게 고정되며,
좌판쉘의 체결구(32)가 슬라이드 홀(21)내에 위치될 시, 제2록킹홈(31b)내로 삽입된 록킹핀(70)이 제1,2지지벽(31d,31e)에 접촉지지되어, 좌판쉘(30)이 슬라이딩되지 않게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판쉘(30)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어 있는 슬라이딩 블록의 슬라이드 롤러(22)가 구름접촉되도록 삽입되는 레일홈(33)이 더 형성되어, 좌판쉘(30)의 슬라이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홈(33)내에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롤러(22)에 접촉되는 다수의 돌기(33a)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드 롤러(22)와 돌기(33a)의 접촉에 의해 좌판쉘(30)의 위치가 쉽게 인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기(33a)는 슬라이드 롤러(22)가 구름접촉되며 이동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레일홈(33)은 좌판쉘(30)에 구비된 다수의 리브에 의해 즉, 리브 사이의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쉘의 체결구(32)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홀(21)과, 록킹핀(70)이 삽입되는 핀 가이드홀(23)과, 폴딩파이프(81)의 외면에 접촉되며 안내되도록 일측에 돌출형성된 폴딩지지돌기(24)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홀(21)은 체결구(32)의 삽입에 의해 좌판쉘(30)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이드 및 제한하는 기능 및, 조립체(40)에 의해 슬라이딩 블록(20)이 좌판쉘(30)에 조립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슬라이딩 블록(20)을 관통하여 소정길이를 구비하고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 가이드홀(23)은 록킹핀(70)이 삽입되어 좌판쉘의 록킹홈(31)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하는 것으로, 록킹핀(70)이 조립공차를 구비하며 삽입관통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블록(20)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핀 가이드홀(23)은 록킹핀의 핀 몸체부(70b)가 삽입관통되는 상단 가이드홀(23a)과, 록킹핀(70)의 핀몸체부(70b)에 결합된 푸시와셔(7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하단 가이드홀(23b)이 서로 다른 직경을 구비하고 단차를 구비하며 형성되어, 록킹홈(31)내로 삽입된 록킹핀(70)의 끝단이 좌판쉘(30)에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단 가이드홀(23b)는 테이퍼진 형상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핀 가이드홀(23)이 상단 가이드홀(23a)과 하단 가이드홀(23b)로 이루어질 경우, 록킹핀(70)에 의한 록킹이 이루어질 시, 푸시와셔(72)가 하단 가이드홀(23b)내로 삽입접촉됨으로써, 록킹핀(70)의 이동이 제한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좌판쉘(30)과 록킹핀(70)의 접촉에 따른 충격소음 및 록킹핀(70)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폴딩지지돌기(24)는 좌판 폴딩 시, 좌판(10)이 흔들림 없이 폴딩될 수 있도록 폴딩파이프(81)에 접촉지지되면서 이동되는 곡선형의 폴딩지지면(24a)을 구비하며, 하나 이상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쉘(30)에 구름접촉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롤러(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롤러(22)는 좌판쉘(30)의 하면에 구름접촉되어 좌판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슬라이딩 블록(20)에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롤러(22)는 그 설치위치가 특정되어지는 것은 아니나, 록킹핀(70)의 작동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좌판(10)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딩 블록(20)의 전/후단측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롤러(22)는 소정의 압축탄성력을 구비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조립체(40)에 의해 좌판쉘(30)에 슬라이딩 블록(20)이 연결될 시, 좌판쉘의 하면(30a)에 구름작동가능하도록 압축된 상태로 밀착 조립되어 좌판쉘(30)과 슬라이딩 블록(20)간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적절한 작동감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슬라이드 롤러(22)는 고무재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딩 블록(20)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나사(25)에 의해 좌판브래킷(50)과 일체로 조립되고,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40)에 의해 좌판쉘(3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은 돌출형성된 다수의 조립보스(20a)가 좌판브래킷(50)내로 삽입된 후, 조립나사(25)에 의해 좌판브래킷(50)과 일체로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슬라이딩 블록(20)과 좌판브래킷(50)이 결합될 경우, 좌판브래킷(50)과 슬라이딩 블록(20)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뿐 아니라, 슬라이딩 블록(20)과 좌판브래킷(50) 사이에 조립체(40)가 간섭없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64)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상기 조립체(40)는 좌판쉘(30)과 슬라이딩 블록(20)을 연결하는 것으로,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와셔(41)를 매개로 좌판쉘의 체결구(32)에 체결되어, 슬라이딩 블록의 슬라이드 홀(21)내에서 체결구(32)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예로 상기 조립체(40)는 공지의 조립나사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록킹 및 폴딩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2개의 슬라이드 홀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전/후단에 슬라이드 롤러가 구비된 슬라이딩 블록과, 제1,2지지벽에 의해 제1,2,3록킹홈이 구비된 좌판쉘로 이루어진 좌판구성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7 의 (a)는 록킹핀이 좌판쉘의 제2록킹홈내로 삽입되어 좌판이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폴딩파이프를 중심으로 좌판이 회전되어, 하부프레임의 지지파이프에 좌판브래킷의 지지홈이 안착지지되면, 좌판의 자중에 의해 지지파이프에 접촉된 록킹핀은 스프링을 압축하며 이동되어 록킹핀의 끝단 즉, 핀몸체부의 끝단이 좌판쉘의 제2록킹홈내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록킹핀의 끝단이 제2록킹홈내로 삽입될 경우, 록킹핀의 전후방향으로 제1,2지지벽이 접촉지지 또는 위치하게 되므로, 좌판쉘의 위치가 고정된다.
도 7 의 (b)는 좌판의 폴딩에 의해 좌판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폴딩파이프를 중심으로 좌판을 들어올려 폴딩시키면, 지지파이프에서 좌판브래킷의 지지홈이 이격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핀의 핀머리부가 지지홈내에 위치하도록 록킹핀의 이동이 이루어지며, 록킹핀의 이동에 의해 제2록킹홈내로 삽입되어 있던, 록킹핀의 핀몸체부가 슬라이딩 블록의 핀홀내로 이동되어, 좌판쉘에 대한 록킹이 해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좌판쉘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A 또는 B 방향으로 좌판쉘에 힘을 가하게 되면, 슬라이딩 블록의 가이드 홀을 따라 체결구 및 조립체가 이동되어 좌판쉘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8 의 (a)는 록킹핀이 좌판쉘의 제1록킹홈내로 삽입되어 좌판이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좌판의 폴딩에 의해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좌판쉘의 체결구가 가이드 홀의 일측단에 접촉되도록 사용자가 A방향으로 좌판쉘에 힘을 가하게 되면, 슬라이딩 블록의 가이드 홀을 따라 체결구 및 조립체가 A방향으로 이동되어 좌판쉘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좌판쉘의 체결구가 가이드 홀의 일측단에 접촉된 상태에서, 도 8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이프에 좌판브래킷의 지지홈이 안착지지되도록 폴딩파이프를 중심으로 좌판을 회전시키면, 좌판의 자중에 의해 지지파이프에 접촉된 록킹핀은 스프링을 압축하며 이동되어 록킹핀의 끝단 즉, 핀몸체부의 끝단이 좌판쉘의 제1록킹홈내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록킹핀의 끝단이 제1록킹홈내로 삽입될 경우, 좌판쉘의 체결구는 슬라이드 홀의 일측단에 접촉지지되고 록킹핀은 제1지지벽에 접촉지지되므로, 좌판쉘의 위치가 고정되며, 좌판쉘은 접이식 의자의 후방 방향(F`)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를 구비하게 된다.
도 9 의 (a)는 록킹핀이 좌판쉘의 제3록킹홈내로 삽입되어 좌판이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좌판의 폴딩에 의해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좌판쉘의 체결구가 가이드 홀의 일측단에 접촉되도록 사용자가 B방향으로 좌판쉘에 힘을 가하게 되면, 슬라이딩 블록의 가이드 홀을 따라 체결구 및 조립체가 B방향으로 이동되어 좌판쉘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좌판쉘의 체결구가 가이드 홀의 타측단에 접촉된 상태에서, 도 9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이프에 좌판브래킷의 지지홈이 안착지지되도록 폴딩파이프를 중심으로 좌판을 회전시키면, 좌판의 자중에 의해 지지파이프에 접촉된 록킹핀은 스프링을 압축하며 이동되어 록킹핀의 끝단 즉, 핀몸체부의 끝단이 좌판쉘의 제3록킹홈내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록킹핀의 끝단이 제3록킹홈내로 삽입될 경우, 좌판쉘의 체결구는 슬라이드 홀의 타측단에 접촉지지되고 록킹핀은 제2지지벽에 접촉지지되므로, 좌판쉘의 위치가 고정되며, 좌판쉘은, 접이식 의자의 전방 방향(F)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를 구비하게 된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슬라이딩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좌판쉘이 전방 방향(F)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를, (c)는 좌판쉘이 후방 방향(F`)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를, (b)는 좌판쉘이 전방 방향(F)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와 후방 방향(F`)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의 중간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판쉘은 록킹핀의 핀몸체부가 삽입되어 접촉지지되는 제2록킹홈이 다수개 연속하여 구비될 경우, 좌판쉘은 3단계가 아니라 그 이상의 다단계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즉, 상기 도 10 의 (b)와 같은 좌판쉘의 중간상태에서도 다단으로 좌판쉘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기재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좌판 (20) : 슬라이딩 블록
(20a) : 조립보스 (21) : 슬라이드 홀
(21a) : 일측단 (21b) : 타측단
(22) : 슬라이드 롤러 (23) : 핀 가이드홀
(23a) : 상단 가이드홀 (23b) : 하단 가이드홀
(24) : 폴딩지지돌기 (24a) : 폴딩지지면
(25) : 조립나사 (30) : 좌판쉘
(30a) : 하면 (31) : 록킹홈
(31a) : 제1록킹홈 (31b) : 제2록킹홈
(31c) : 제3록킹홈 (31d) : 제1지지벽
(31e) : 제2지지벽 (32) : 체결구
(33) : 레일홈 (33a) : 돌기
(40) : 조립체 (41) : 평와셔
(50) : 좌판브래킷 (60) : 브래킷 몸체
(61) : 폴딩홈 (62) : 지지홈
(62a) : 메인지지홈 (62b) : 보조지지홈
(63) : 핀홀 (64) : 가이드홈
(70) : 록킹핀 (70a) : 핀머리부
(70b) : 핀몸체부 (71) : 스프링
(72) : 푸시와셔 (80) : 하부프레임
(81) : 폴딩파이프 (82) : 지지파이프
(83) : 전방레그 (84) : 후방레그
(85) : 캐스터 (90) : 등판
(100) : 접이식 의자

Claims (10)

  1. 좌판(10)이 좌판브래킷(50)에 의해 하부프레임(80)에 조립되어 폴딩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100)에 있어서;
    좌판(10)에 조립설치된 좌판브래킷(50)이 하부프레임의 지지파이프(82)에 안착될 시, 지지파이프(82)와의 접촉 및 좌판(10)의 자중에 의해 록킹핀(70)의 끝단이 좌판의 록킹홈(31)내로 삽입되어 좌판(10)의 록킹이 이루어지고,
    좌판브래킷(50)이 조립설치된 좌판(10)이 폴딩파이프(81)를 중심으로 폴딩될 시, 스프링(71)의 탄성력에 의해 좌판의 록킹홈(31)에서 록킹핀(70)이 이격되어, 좌판(10)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좌판(10)에 구비된 좌판쉘(30)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좌판(10)은, 좌판브래킷(50)에 고정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20)과, 슬라이딩 블록의 슬라이드 홀(21)을 따라 이동되도록 조립체(40)에 의해 슬라이딩 블록(20)과 연결되고, 하면에 다수의 록킹홈(31)이 구비된 좌판쉘(30)을 포함하고,
    좌판브래킷(50)은, 하부프레임(80)의 폴딩파이프(81)가 삽입되는 폴딩홈(61)이 구비되고, 폴딩홈(61)과 이격형성되어 하부프레임의 지지파이프(82)에 안착지지되는 지지홈(62)이 구비되며, 지지홈(62)에 연통되도록 록킹핀(70)이 삽입관통되는 핀홀(63)이 구비된 브래킷 몸체(60)와, 상기 브래킷 몸체(60)를 관통하도록 지지홈(62)내에 스프링(71) 지지되어 설치되는 록킹핀(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3. 청구항 2 에 있어서;
    브래킷 몸체(60)는, 슬라이딩 블록(20)이 접촉설치되는 일면에 소정깊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좌판(10)의 슬라이딩 시, 조립체(40)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가이드홈(64)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4. 청구항 2 에 있어서;
    브래킷 몸체의 지지홈(62)은, 지지파이프(81)가 안착지지되는 메인지지홈(62a)과, 스프링(71)을 압축하며 록킹핀의 핀머리부(70a)가 삽입될 수 있는 보조지지홈(62b)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5. 청구항 2 에 있어서;
    슬라이딩 블록(20)은, 좌판쉘(30)의 일측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슬라이드 홀(21)과, 록킹핀(70)이 삽입되는 핀 가이드홀(23)과, 폴딩파이프(81)의 외면에 접촉되며 안내되도록 곡선형의 폴딩지지면(24a)을 구비하며 돌출형성된 폴딩지지돌기(24)를 포함하고,
    록킹핀(70)은, 핀머리부(70a)가 브래킷 몸체의 지지홈(62)내에 위치하고, 핀몸체부(70b)가 브래킷 몸체의 핀홀(63)을 관통하며, 브래킷 몸체(60)와 핀머리부(70a)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71)에 의해 핀몸체부(70b)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조립설치되고, 브래킷 몸체(60)의 핀홀(63)을 관통한 핀몸체부(70b)에 푸시와셔(72)가 결합되어, 록킹핀(70)의 이동범위가 제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6. 청구항 5 에 있어서;
    핀 가이드홀(23)은, 록킹핀의 핀 몸체부(70b)가 삽입관통되는 상단 가이드홀(23a)과, 록킹핀(70)의 핀몸체부(70b)에 결합된 푸시와셔(7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하단 가이드홀(23b)이 서로 다른 직경을 구비하고 단차를 구비하며 형성되어, 록킹홈(31)내로 삽입된 록킹핀(70)의 끝단이 좌판쉘(30)에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좌판쉘(30)은, 슬라이딩 블록의 슬라이드 홀(21)내로 삽입되도록 돌출형성되어 조립체(40)가 체결되는 체결구(32)와, 록킹핀(70)이 삽입되는 다수의 록킹홈(31)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구(32)는, 슬라이드 홀(21)을 따라 의자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슬라이드 홀(21)내에서 의자의 좌우방향으로는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좌판쉘(30)의 하면에 다수개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록킹홈(31)은, 좌판쉘(30)의 하면에 2개 이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8. 청구항 7 에 있어서;
    록킹홈(31)은, 록킹핀(70)이 삽입되는 제1,2,3록킹홈(31a,31b,31c)으로 이루어지되, 제1록킹홈(31a)과 제2록킹홈(31b) 사이에 제1지지벽(31d)이 구비되고, 제2록킹홈(31b)과 제3록킹홈(31c) 사이에 제2지지벽(31e)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좌판쉘의 체결구(32)가 슬라이드 홀의 일측단(21a)에 접촉지지될 시, 제1록킹홈(31a)내로 삽입된 록킹핀(70)이 제1지지벽(31d)에 접촉지지되어, 좌판쉘(30)이 슬라이딩되지 않게 고정되고,
    좌판쉘의 체결구(32)가 슬라이드 홀의 타측단(21b)에 접촉지지될 시, 제3록킹홈(31c)내로 삽입된 록킹핀(70)이 제2지지벽(31e)에 접촉지지되어, 좌판쉘(30)이 슬라이딩되지 않게 고정되며,
    좌판쉘의 체결구(32)가 슬라이드 홀(21)내에 위치될 시, 제2록킹홈(31b)내로 삽입된 록킹핀(70)이 제1,2지지벽(31d,31e)에 접촉지지되어, 좌판쉘(30)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9. 청구항 2 에 있어서;
    슬라이딩 블록(20)은 좌판쉘(30)에 구름접촉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롤러(22)가 더 포함되고,
    좌판쉘(30)은 슬라이드 롤러(22)가 구름접촉되도록 삽입되는 레일홈(33)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레일홈(33)내에는 슬라이드 롤러(22)에 접촉되는 라운드 형상을 구비하는 다수의 돌기(33a)가 돌출형성되어, 슬라이드 롤러(22)와 돌기(33a)의 접촉에 의해 좌판쉘(30)의 위치가 인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KR1020220057246A 2022-05-10 2022-05-10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KR20230157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246A KR20230157708A (ko) 2022-05-10 2022-05-10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246A KR20230157708A (ko) 2022-05-10 2022-05-10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708A true KR20230157708A (ko) 2023-11-17

Family

ID=8896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246A KR20230157708A (ko) 2022-05-10 2022-05-10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770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781B1 (ko) 2010-07-14 2012-03-23 오상효 좌판 슬라이딩 구조
KR101180482B1 (ko) 2010-10-25 2012-09-06 주식회사 코아스 의자
KR101743172B1 (ko) 2015-03-20 2017-06-15 김태철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
KR101854574B1 (ko) 2017-10-13 2018-05-03 성용기업 주식회사 좌판이 슬라이딩 되는 접철식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781B1 (ko) 2010-07-14 2012-03-23 오상효 좌판 슬라이딩 구조
KR101180482B1 (ko) 2010-10-25 2012-09-06 주식회사 코아스 의자
KR101743172B1 (ko) 2015-03-20 2017-06-15 김태철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
KR101854574B1 (ko) 2017-10-13 2018-05-03 성용기업 주식회사 좌판이 슬라이딩 되는 접철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686B1 (ko) 틸팅 타입 의자
WO2009048448A1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KR20190079955A (ko) 의자의 좌판부 슬라이드 구조
KR101009490B1 (ko) 앉는 위치가 조절되는 좌판부의 이동구조를 갖는 의자
KR101538342B1 (ko) 의자
KR100972233B1 (ko) 프레임 의자
EP3854264A1 (en) Armchair
KR20230157708A (ko)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JP2013132402A (ja) 椅子
KR102189085B1 (ko)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KR102072935B1 (ko) 일체형 등좌판의 이동고정기능을 구비한 의자좌판
JP7469860B2 (ja) 椅子
WO2020255195A1 (ja) 傾動椅子
JP6777281B2 (ja) 椅子
KR101941528B1 (ko) 좌판 이동이 가능한 의자
JP6593906B1 (ja) 椅子
KR102099146B1 (ko) 회전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2104922B1 (ko)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JP4486465B2 (ja) 椅子の背凭れ取付け構造
KR102491240B1 (ko) 틸트기능을 갖는 의자
JP4113713B2 (ja) 反力調整機構
JP6844802B1 (ja) ソファ
JP2008302084A (ja) ロッキング椅子
KR102115033B1 (ko) 팔걸이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의자
JP4152638B2 (ja) ロッキ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