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172B1 -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172B1
KR101743172B1 KR1020150039205A KR20150039205A KR101743172B1 KR 101743172 B1 KR101743172 B1 KR 101743172B1 KR 1020150039205 A KR1020150039205 A KR 1020150039205A KR 20150039205 A KR20150039205 A KR 20150039205A KR 101743172 B1 KR101743172 B1 KR 101743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bar
fixed
rai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841A (ko
Inventor
김태철
Original Assignee
김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철 filed Critical 김태철
Priority to KR102015003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17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를 구성하는 좌판부와 다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좌판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기능과, 다리부에 배치된 승강 실린더의 감압밸브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Seat board for chair assembly securing operational safety}
본 발명은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를 구성하는 좌판부와 다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좌판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기능과, 다리부에 배치된 승강 실린더의 감압밸브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의자는, 고정식으로 사무실, 학교, 버스등에 사용되는 의자는 등받이와 좌판이 고정된 상태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의자들은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의 피로와 불괘감을 야기시키는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의자의 등받이에 기대어 휴식을 하려고 할때 사용자의 엉덩이가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자세는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에 사용자의 몸이 밀착되지 않으면 피로를 쉽게 느끼며 잘못된 자세로 인해 척추등에 무리가 가해져 요통 등의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발생하는 사례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사무직종에 근무하는 사람들은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작업을 하므로써 척추에 무리가 생겨 디스크 등의 허리와 관련된 병이 발생되어 왔던 것이다.
착석자의 신장 차이로 인하여 좌판의 깊이가 착석자의 신체구조에 맞지 아니함으로써 허리와 관련된 병 등이 발생될 가능성도 농후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인체공학을 기초로 하여 허리보호 를 목적으로 한 의자들이 속속 계발되어 시제품으로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의자들도 등받이와 좌판이 고체형태로 부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허리를 등받이에 의식적으로 밀착시키고, 좌판에 엉덩이를 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볼 때 허리가 등받이에 견고하게 밀착되지 않고, 또한 엉덩이가 의자 앞쪽으로 쏠리게 되어 허리에 좋지 않은 자세로 업무를 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좌판부와 다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좌판부의 진퇴를 통한 위치변경하는 것으로, 진퇴암의 정형화된 진퇴를 통해 좌판부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하여 조작에 따른 편리성을 확보하고, 특히 진퇴암의 정형화된 진퇴를 도모하고 진퇴암을 탄지하는 지지 스프링의 영구변형을 억제한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는,
길이방향의 가이드가 좌우 양편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바닥 중앙에 다리부의 지지대를 삽입시켜 고정하는 고정공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와;
폭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평행하는 한 쌍의 레일바를 포함하는 가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좌판을 상부에 고정한 가동체가 고정 플레이트의 가이드를 따라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좌판부를 변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가이드에는 외측으로 개방된 복수의 위치 고정홈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와 외접하는 레일바에는 진퇴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진퇴공에는 지지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진퇴암이 진퇴구조로 설치되어서, 상기 가동체는 가이드의 위치 고정홈에 외측으로 진입되는 진퇴암에 의해 위치 고정되며,
상기 가동체의 레일바 외측에는 한 쌍의 조립편 사이에 지지편이 형성된 'ㄷ'자형의 가이드 클립이 배치되고, 상기 레일바의 외벽과 마주하는 지지편에는 상기 진퇴공과 연통하는 가이드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진퇴암은 가이드 클립에 형성된 가이드공과 레일바에 형성된 진퇴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가이드 클립과 레일바 사이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클립의 가이드공을 관통한 진퇴암에는 가이드 클립의 내벽에 후미를 지지한 지지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진퇴암에는 지지 스프링의 선단을 압축된 상태로 지지하며, 진퇴암과 진퇴암의 선단에 형성된 구속단부를 구획하는 지지림이 배치되어서,
상기 진퇴암의 구속단부는 지지림에 의해 설정된 길이로 레일바의 내벽에 돌출되어 고정 플레이트의 구속홈을 견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진퇴암은 정원형의 봉체로 구성되고, 상기 진퇴암의 선단에 형성된 구속단부는 각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림에는 상기 구속단부가 관통하는 각축공이 구비되어, 구속단부가 관통된 지지림은 진퇴암에 단차구조로 견착하여 고정되는 한편,
상기 각축으로 이루어진 구속단부는 레일바에 형성된 진퇴공을 관통한 다음, 가이드에 형성된 위치 고정홈에 면상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 클립이 배치되는 레일바의 진퇴공 양편에는 조립공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 클립의 조립편의 단부에는 조립공에 삽입되는 조립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클립은 레일바의 외측에 형성된 조립공에 조립돌기를 삽입시켜 레일바의 외측에 위치 고정된 후, 용접에 의해 고착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의 외벽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부쉬가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는 슬라이딩 부쉬를 통해 레일바의 내벽에 지지되어서, 금속재로 이루어진 가이드와 레일바 사이의 직접적인 마찰 발생이 억제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쉬의 양편에는 공극부를 갖는 탄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극부가 형성된 탄지부를 통해 레일바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쉬에는 그리스를 주입시켜 저장한 저유조가 형성되고, 상기 저유조와 판상 탄지부 사이에는 그리스의 배유경로인 배유로가 형성되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쉬는 슬라이딩 과정에 탄성 변형되면서 저유조에 저장된 그리스를 레일바의 레일홈의 내벽과 외접한 판상 탄지부의 탄지면에 지속적으로 주입하여서, 지속적인 윤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정 플레이트와 가동체 사이에 측방향으로 진퇴하는 진퇴암을 포함하는 스토핑 구조를 마련하여, 상기 진퇴암의 진퇴에 의해 가동체의 위치가 구속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클립과 진퇴암을 구획하는 지지림을 포함하여, 진퇴암이 정형화되게 진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향상된 조립성 및 작동성을 겸비하고 또 지지 스프링이 설정된 구간 내에서 신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토핑 구조의 내구성을 확보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금속재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 플레이트 및 가동체를 진퇴구조로 조립함에 있어, 이들 사이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부쉬를 부가하여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고정 플레이트와 가동체 사이의 직접적인 마찰을 예방하여, 좌판의 전후 이송과정에 발생되는 소음 발생과 마찰 발생을 최소화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의자용 금속제 좌판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의자용 금속제 좌판 어셈블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의자용 금속제 좌판 어셈블리를 통한 다리부와 좌판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의자용 금속제 좌판 어셈블리 세부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6과 도 7은 상기 도 4에서 'A'부분과 'B'부분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의자용 금속제 좌판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의자용 금속제 좌판 어셈블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의자용 금속제 좌판 어셈블리를 통한 다리부와 좌판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의자용 금속제 좌판 어셈블리 세부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6과 도 7은 상기 도 4에서 'A'부분과 'B'부분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자(100)를 구성하는 좌판부(120)와 다리부(110) 사이에 배치되어 좌판부(120)를 다리부(110)의 상부에 고정하는 의자 전용 구성품이다.
상기 좌판 어셈블리(1)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판부(120)의 저면에 고정되는 가동체(20)와; 다리부(110)의 지지대(111) 상단부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와 가동체(20)는 프레스 가공 등을 통해 성형된 금속 가공품으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가동체(20)와 고정 플레이트(10)를 진퇴구조로 조립하여 다리부(110)의 상부에 배치된 가동체(20)가 전후로 진퇴하도록 함으로써, 가동체(20)의 상부에 고정된 좌판부(120)가 전후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의 양편에는 길이방향의 가이드(11)가 돌출되게 형성하고, 중앙부에 다리부(110)의 지지대(111)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는 연결공(12)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체(20)는 폭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고정바(21)와, 상기 고정바(21)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평행하는 한 쌍의 레일바(22)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직교하여 교차하는 레일바(22)와 고정바(21)의 교차부위를 용접을 통해 고정시켜 이들이 단일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에 상기 좌판부(120)가 고정된 가동체(20)는 고정 플레이트(10)의 가이드(1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부에 고정된 좌판부(120)를 전후로 변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동체(20)의 레일바(22)에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이 개방된 'ㄷ'자형의 레일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22a)에는 고정 플레이트(10)의 가이드(11)가 진입되어서, 고정 플레이트(10)와 가동체(20)는 진퇴구조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에 형성된 가이드(11)의 외벽에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된 슬라이딩 부쉬(26)가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11)는 슬라이딩 부쉬(26)를 통해 레일바(22)의 내벽에 지지되어서 금속재로 이루어진 가이드(11)와 레일바(22) 사이의 직접적인 마찰 발생을 억제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부쉬(26)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극부(26a)와 상기 공극부(26a)의 외측에 형성된 판상 탄지부(26b)를 구비하여, 상기 판상 탄지부(26b)를 통해 레일바(22)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부쉬(26)에는 그리스를 주입시켜 저장한 저유조(26c)가 형성되고, 상기 저유조(26c)와 판상 탄지부(26b) 사이에는 그리스의 배유경로인 배유로(26d)가 형성되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쉬(26)는 슬라이딩 과정에 탄성 변형되면서 저유조(26c)에 저장된 그리스를 레일바(22)의 레일홈(22a)의 내벽과 외접한 판상 탄지부(26b)의 탄지면에 지속적으로 주입하여서, 지속적인 윤활을 도모한다.
또한, 상기 레일바(22)의 선단부에는 절개 및 내향 절곡된 스토퍼편(22c)이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바(22)의 후단부에는 스토퍼핀(22d)이 관통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레일바(22)에 슬라이딩 구조로 설치된 고정 플레이트(10)의 가이드(11)는 스토퍼편(22c)과 스토퍼핀(22d)에 의해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좌판부(120)와 등판부(130)를 고정한 가동체(20)가 도 4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0)의 가이드(11)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진퇴하면 상기 좌판부(120) 및 등판부(130)는 도 1과 같이 전후로 위치 이동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과 착석 자세 등을 고려하여 좌판부와 등판부를 위치를 조절하여서 최적의 착석 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체(20)와 고정 플레이트(10) 사이에 가이드 클립(25)을 포함하는 개량된 스토핑 구조를 마련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의 가이드(11)를 따라 전후로 진퇴한 가동체(20)의 안정된 위치 고정이 도모되도록 한다.
이를 도 2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하자면,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의 가이드(11)에 외측으로 개방된 복수의 위치 고정홈(13)들을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11)와 외접하는 레일바(22)에는 진퇴공(22b)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진퇴공(22b)에는 지지 스프링(24)에 의해 탄지된 진퇴암(23)을 진퇴구조로 설치하여, 레일바(22)의 측방향에서 진퇴하는 진퇴암(23)이 가이드(11)에 형성된 위치 고정홈(13)들 중 어느 하나의 위치 고정홈(13)을 견착시켜 가동체(20)의 위치를 고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의 가이드(11)를 따라 전후로 진퇴한 가동체(20)는 가이드(11)의 위치 고정홈(13)에 외측으로 진입되는 진퇴암(23)의 구속단부(23a)에 의해 견착되어 위치 고정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이격된 한 쌍의 조립편(25a) 사이에 지지편(25b)이 형성된 'ㄷ'자형의 가이드 클립(25)을 가동체(20)의 레일바(22) 외측에 배치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클립(25)이 배치되는 레일바(22)의 진퇴공 양편에는 조립공(22e)을 대칭되게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클립(25)의 조립편(25a)의 단부에 조립공에 삽입되는 조립돌기(25a-a)를 형성하고 지지편(25b)에는 진퇴공(22b)과 연통하는 가이드공(25b-a)을 관통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클립(25)은 레일바(22)의 외측에 형성된 조립공(22e)에 조립돌기(25a-a)를 삽입시켜 레일바(22)의 외측에 정위치 고정된 다음 용접을 통해 레일바(22)의 외측에 고착되고, 상기 진퇴암(23)은 가이드 클립(25)에 형성된 가이드공(25b-a)과 레일바(22)에 형성된 진퇴공(22b)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가이드 클립(25)과 레일바(22) 사이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클립(25)의 가이드공(25b-a)을 관통한 진퇴암(23)에는 가이드 클립(25)의 내벽에 후미를 지지한 지지 스프링(24)이 설치되고, 상기 진퇴암(23)에는 지지 스프링(24)의 선단을 압축된 상태로 지지하며 진퇴암(23)과 진퇴암(23)의 선단에 형성된 구속단부(23a)을 구획하는 지지림(23b)이 배치된다.
상기 진퇴암(23)은 정원형의 봉체로 구성되고 상기 구속단부(23a)는 각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림(23b)에는 구속단부(23a)가 관통하는 각축공이 형성되어, 진퇴암(23)의 구속단부(23a)가 관통된 지지림(23b)은 진퇴암(23)의 선단부에 단차구조로 견착하여 고정되는 한편, 상기 각축으로 이루어진 구속단부(23a)는 레일바(22)에 형성된 진퇴공(22b)을 관통한 다음 가이드(11)에 형성된 위치 고정홈(12)에 면상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진퇴공(22b)은 각형으로 이루어져, 각형으로 이루어진 진퇴암(23)의 구속단부(23a)와 규합되어 진퇴암(23)의 임의 회동을 억제함으로써, 진퇴암(23)의 후미에 배치된 손잡이의 배치방향이 임의 전환되는 현상을 예방한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의 바닥면에는 절개 및 상향 절곡된 한 쌍의 절곡 힌지편(16)을 포함하는 힌지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곡 힌지편(16)은 재단과정을 통해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절개되고, 이후 벤딩 공정을 통해 고정 플레이트(10)의 바닥면에서 상향 절곡되어 기립된다.
따라서, 상기 절곡 힌지편(16)들은 고정 플레이트(10) 자체를 절개 및 절곡을 통해 성형되므로, 별도 절곡 힌지편(16)을 제작 및 이를 고정하는 번거롭고 복잡한 작업공정의 삭제가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절곡 힌지편(16)에는 가압레버(17)가 힌지구조로 설치되어, 도 3과 같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의 연결공(12)을 관통한 지지대(111)의 상단에 형성된 승강 실린더의 가압밸브(111a)는 가압레버(17)의 가압점에 의해 가압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1)는 가동체(20)의 진퇴를 통한 좌판부(120) 및 등판부(130)의 진퇴가 가능하고, 또 상기 진퇴암(23)의 구속단부(23a)는 지지림(23b)에 의해 설정된 길이로 레일바(22)의 내벽에 돌출되어서 고정 플레이트(10)의 가이드(11)에 형성된 위치 고정홈(13)을 정형화되게 견착하여 구속하여 좌판부의 안정된 위치 고정을 도모한다.
1.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
10. 고정 플레이트
11. 가이드 11a. 가압밸브
12. 연결공 13. 위치 고정홈
14. 연결클립 14a. 고정공
15. 고정공 16. 절곡 힌지편
17. 가압레버
20. 가동체 21. 고정바
22. 레일바 22a. 레일홈
22b. 진퇴공 23. 진퇴암
23a. 구속단부 23b. 지지림
22c. 스토퍼편 22d. 스토퍼핀
22e. 조립공
24. 지지 스프링 25. 가이드 클립
25a. 조립편 25b. 지지편
25a-a. 조립돌기 25b-a. 가이드공
26. 슬라이딩 부쉬 26a. 공극부
26b. 판상 탄지부
100. 의자
110. 다리부 111. 지지대
120. 좌판부 130. 등판부

Claims (3)

  1. 길이방향의 가이드가 좌우 양편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바닥 중앙에 다리부의 지지대를 삽입시켜 고정하는 고정공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와;
    폭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평행하는 한 쌍의 레일바를 포함하는 가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좌판을 상부에 고정한 가동체가 고정 플레이트의 가이드를 따라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좌판부를 변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가이드에는 외측으로 개방된 복수의 위치 고정홈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와 외접하는 레일바에는 진퇴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진퇴공에는 지지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진퇴암이 진퇴구조로 설치되어서, 상기 가동체는 가이드의 위치 고정홈에 외측으로 진입되는 진퇴암에 의해 위치 고정되며,
    상기 가동체의 레일바 외측에는 한 쌍의 조립편 사이에 지지편이 형성된 'ㄷ'자형의 가이드 클립이 배치되고, 상기 레일바의 외벽과 마주하는 지지편에는 상기 진퇴공과 연통하는 가이드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진퇴암은 가이드 클립에 형성된 가이드공과 레일바에 형성된 진퇴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가이드 클립과 레일바 사이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클립의 가이드공을 관통한 진퇴암에는 가이드 클립의 내벽에 후미를 지지한 지지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진퇴암에는 지지 스프링의 선단을 압축된 상태로 지지하며, 진퇴암과 진퇴암의 선단에 형성된 구속단부를 구획하는 지지림이 배치되어서,
    상기 진퇴암의 구속단부는 지지림에 의해 설정된 길이로 레일바의 내벽에 돌출되어 고정 플레이트의 고정홈을 견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진퇴암은 정원형의 봉체로 구성되고, 상기 진퇴암의 선단에 형성된 구속단부는 각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림에는 상기 구속단부가 관통하는 각축공이 구비되어, 구속단부가 관통된 지지림은 진퇴암에 단차구조로 견착하여 고정되는 한편,
    상기 각축으로 이루어진 구속단부는 레일바에 형성된 진퇴공을 관통한 다음, 가이드에 형성된 위치 고정홈에 면상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 클립이 배치되는 레일바의 진퇴공 양편에는 조립공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 클립의 조립편의 단부에는 조립공에 삽입되는 조립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클립은 레일바의 외측에 형성된 조립공에 조립돌기를 삽입시켜 레일바의 외측에 위치 고정된 후, 용접에 의해 고착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의 외벽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부쉬가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는 슬라이딩 부쉬를 통해 레일바의 내벽에 지지되어서, 금속재로 이루어진 가이드와 레일바 사이의 직접적인 마찰 발생이 억제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쉬의 양편에는 공극부를 갖는 탄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극부가 형성된 탄지부를 통해 레일바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쉬에는 그리스를 주입시켜 저장한 저유조가 형성되고, 상기 저유조와 판상 탄지부 사이에는 그리스의 배유경로인 배유로가 형성되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쉬는 슬라이딩 과정에 탄성 변형되면서 저유조에 저장된 그리스를 레일바의 레일홈의 내벽과 외접한 판상 탄지부의 탄지면에 지속적으로 주입하여서, 지속적인 윤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KR1020150039205A 2015-03-20 2015-03-20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 KR101743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205A KR101743172B1 (ko) 2015-03-20 2015-03-20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205A KR101743172B1 (ko) 2015-03-20 2015-03-20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841A KR20160112841A (ko) 2016-09-28
KR101743172B1 true KR101743172B1 (ko) 2017-06-15

Family

ID=5710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205A KR101743172B1 (ko) 2015-03-20 2015-03-20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1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085B1 (ko) 2020-05-15 2020-12-17 조효석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KR20230157708A (ko) 2022-05-10 2023-11-17 (주)버닛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0492A1 (de) * 2017-05-15 2018-11-15 Bock 1 Gmbh & Co. Kg Armlehne, insbesondere für einen Bürostuhl
KR102529207B1 (ko) * 2021-10-18 2023-05-08 대원산업 주식회사 풀 베드 시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378769U (zh) 2013-07-19 2014-01-08 湖州奥圣家具有限公司 一种带滑动装置的椅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378769U (zh) 2013-07-19 2014-01-08 湖州奥圣家具有限公司 一种带滑动装置的椅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085B1 (ko) 2020-05-15 2020-12-17 조효석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KR20230157708A (ko) 2022-05-10 2023-11-17 (주)버닛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841A (ko)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172B1 (ko)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의자용 좌판 어셈블리
JP6810107B2 (ja) 椅子
EP2897498A2 (en) Chair assembly
KR20120007213A (ko) 좌판 슬라이딩 구조
JP5529502B2 (ja) 椅子
WO2014047279A1 (en) Chair assembly
KR100972233B1 (ko) 프레임 의자
JP6172988B2 (ja) 椅子
CN108652303B (zh) 椅子的头枕的上下调整结构
JP2013132402A (ja) 椅子
KR200425803Y1 (ko) 시트쿠션체가 슬라이딩되는 쇼파
JP5860513B2 (ja) 椅子
JP6140419B2 (ja) ランバーサポート及び椅子
KR101706126B1 (ko) 자세 교정용 좌판
KR20120118575A (ko) 허리받침기능을 갖는 의자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의자
JP4255804B2 (ja) 椅子
JP4936270B2 (ja) 椅子
JP6343801B2 (ja) 椅子の面材取付構造、椅子の身体支持部材及び椅子
JP4145409B2 (ja) 椅子の肘掛け高さ調節装置
JP6279883B2 (ja) 椅子における表装部材の取付構造
JP6030391B2 (ja) 椅子
JP6410886B2 (ja) 椅子の背支持構成要素およびこれを備える椅子
KR200319589Y1 (ko) 슬라이딩 의자
KR102341836B1 (ko) 전후방 이동부를 구비한 의자
KR200458497Y1 (ko)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