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114A -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 - Google Patents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114A
KR20230157114A KR1020220056695A KR20220056695A KR20230157114A KR 20230157114 A KR20230157114 A KR 20230157114A KR 1020220056695 A KR1020220056695 A KR 1020220056695A KR 20220056695 A KR20220056695 A KR 20220056695A KR 20230157114 A KR20230157114 A KR 20230157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wheel
rim
hub
link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133B1 (ko
Inventor
장재용
Original Assignee
장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용 filed Critical 장재용
Priority to KR1020220056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133B1/ko
Publication of KR20230157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1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04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expan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5/00Rims built-up of several main parts ; Locking means for the rim parts
    • B60B25/02Segmented rims, e.g. with segments arranged in sections; Connecting equipment, e.g. hinges; Insertable flange ring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퀴의 중심에 배치되는 허브(hub)와;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어 바퀴의 둘레를 형성하는 복수의 림(rim)과; 상기 허브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림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바퀴의 중심에 대해 신축(伸縮)되는 복수의 스포크(spoke)와; 상기 스포크와 상기 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포크의 신축에 따라 상기 스포크의 축선에 대해 상기 림을 회전시키는 회전 유도 유닛을 포함하는,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Size variable wheel}
본 발명은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수단의 이동 과정에서 상황에 따라 이동 수단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에 관한 것이다.
바퀴는 기원전 4000년경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인류 최고의 발명품 가운데 하나이다. 이러한 바퀴는 이동 수단의 크기, 중량 또는 이동 수단이 다니는 길이나 도로 상태에 따라 여러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바퀴는 그 크기(직경)가 고정된 상태로 이동 수단에 부착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이동 수단의 형태, 이동 수단이 다니는 길이나 도로 상태에 따라 이동 수단의 원활한 이동에 대응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여행용 캐리어의 경우 공항이나 터미널 같이 평탄한 길에서는 작은 바퀴로도 이동하는데 큰 문제가 없으나, 외부의 울퉁불퉁한 길이나 자갈이 많은 길에서는 작은 바퀴로 인해 여행용 캐리어의 원활한 이동이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이동 수단의 이동 과정에서 원활한 이동을 위해 바퀴의 크기를 가변 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8-0098461호 (2018. 09. 04. 공개)
본 발명은 이동 수단의 이동 과정에서 상황에 따라 이동 수단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크기가 조절될 수 있는 바퀴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퀴의 지름을 줄이거나 키우더라도 바퀴의 둘레를 구성하는 림(rim)이 일정한 곡률을 유지하여 매끄럽게 잘 구르는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퀴의 중심에 배치되는 허브(hub)와;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어 바퀴의 둘레를 형성하는 복수의 림(rim)과; 상기 허브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림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바퀴의 중심에 대해 신축(伸縮)되는 복수의 스포크(spoke)와; 상기 스포크와 상기 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포크의 신축에 따라 상기 스포크의 축선에 대해 상기 림을 회전시키는 회전 유도 유닛을 포함하는,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가 제공된다.
상기 허브는, 상기 바퀴의 중심을 관통하는 허브축과; 상기 허브축이 관통하여 상기 허브축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허브통을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스포크는, 제1 힌지 핀을 중심으로 'X'자 형태로 결합되며 단부가 상기 한 쌍의 허브통에 각각 링크 결합되는 제1 링크바와 제2 링크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유도 유닛은, 상기 림의 하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림 회전축과; 상기 림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유도부와; 일단이 제2 힌지 핀에 의해 상기 제1 링크바 및 상기 제2 링크바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제3 힌지 핀에 의해 상기 회전 유도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3 링크바 및 제4 링크바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바와 상기 제2 링크바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3 힌지 핀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유도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 유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림 회전축을 상기 회전 유도부의 회전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림 회전축은 원통형이고, 상기 회전 유도부의 외주에는 상기 원통형에 상응하여 함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림 회전축의 외주에는 양측으로 한 쌍의 회전 설정핀이 연장되고, 상기 함입홈에는 상기 회전 설정핀의 삽입되어 상기 회전 유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림 회전축을 상기 회전 유도부의 회전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마주하는 상기 림의 단부에는 상기 림의 회전 방향에 상응하여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는, 상기 제1 링크바 및 상기 제2 링크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 스트럿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는, 상기 림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 고리와, 상기 회전 고리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로드를 구비하는 보강암을 더 구비하되, 서로 인접하는 연결로드는 단부가 링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는, 이동 수단의 이동 과정에서 상황에 따라 이동 수단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바퀴의 지름을 줄이거나 키우더라도 바퀴의 둘레를 구성하는 림(rim)이 일정한 곡률을 유지하여 매끄럽게 잘 구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크기가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크기가 축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단위 모듈의 크기가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단위 모듈의 크기가 축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회전 유도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림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보강암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크기가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크기가 축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단위 모듈의 크기가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단위 모듈의 크기가 축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회전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림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단위 모듈(11), 림(rim)(12), 허브축(14), 허브통(16), 허브(hub)(18), 스포크(spoke)(20), 회전 유도 유닛(22), 제1 힌지 핀(24), 제1 링크바(26), 제2 링크바(28), 림 회전축(30), 회전 유도부(32), 제2 힌지 핀(34), 제3 링크바(36), 제4 링크바(38), 제3 힌지 핀(40), 회전 설정핀(42), 함입홈(44), 가이드 홈(46), 경사면(48)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는, 바퀴의 중심에 배치되는 허브(18)(hub)와; 상기 허브(18)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어 바퀴의 둘레를 형성하는 복수의 림(rim)(12)과; 상기 허브(18)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림(12)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바퀴의 중심에 대해 신축(伸縮)되는 복수의 스포크(spoke)(20)와; 상기 스포크(20)와 상기 림(1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포크(20)의 신축에 따라 상기 스포크(20)의 축선에 대해 상기 림(12)을 회전시키는 회전 유도 유닛(22)을 포함한다.
허브(hub)(18)는 바퀴의 중심에 방사 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스포크(20)가 모이는 중심축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허브(18)는 원형의 바퀴의 중심을 가로 질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의 중심을 관통하는 허브축(14)과, 허브축(14)이 관통하여 허브축(14)이 관통하여 허브축(14)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허브통(16)을 포함할 수 있다.
허브축(14)은 원통 형상으로 그 내부에 이동 수단의 차축(미도시)이 관통하여 차축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바퀴가 회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허브축(14)의 외주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허브축(14)이 관통하는 허브통(16)의 내부에 허브축(14)의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는데, 허브축(14)의 회전에 따라 허브축(14)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서로 대향하는 허브통(16)이 상대적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복수의 림(12)은, 상기의 허브(18)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어, 바퀴의 둘레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바퀴의 둘레를 형성하는 림(12)이 복수 개로 분절되어 있어, 후술할 스포크(20)의 신축에 따라 복수의 림(12)이 스포크(20)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면서 바퀴의 크기가 줄거나 확장될 수 있다.
림(12)은 원호(圓弧) 형상으로, 복수 개의 원호 형상의 림(12)이 모여 둥근 바퀴의 둘레를 형성한다. 림(12)의 외주면에는 이동 수단의 이동에 따른 진동 흡수를 위해 고무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바퀴의 둘레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림(12)의 분절 개수는 필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8개의 림(12)으로 분절한 형태를 제시한다.
복수의 스포크(20)는, 허브(18)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림(12)에 각각 결합되며, 바퀴의 중심에 대해 신축(伸縮)된다. 스포크(20)는 이동 수단의 차축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림(12)을 전달하기 위한 구조로서, 차축이 결합되는 허브(18)를 중심으로 방사 상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포크(20)의 개수와 분절된 림(12)의 개수를 일치시켜, 허브(18)에서 연장된 각각의 스포크(20)의 단부가 그에 상응하는 림(12)의 중앙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하였다.
하나의 스포크(20)는 서로 상응하는 하나의 림(12)과 연결되어 단위 모듈(11)을 형성하고, 각각의 단위 모듈(11)은 서로 대향하는 허브통(16)의 상대적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작동된다. 단위 모듈(11)의 작동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스포크(20)는 바퀴의 중심에 대해 신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는데, 바퀴의 중심으로부터 스포크(20)의 길이가 신장된 경우 바퀴의 크기가 확장되고 스포크(20)의 길이가 축소된 경우 바퀴의 크기가 축소된다.
스포크(20)의 신축을 위해 각각 스포크(20)는 서로 직경이 다른 원통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인출입시켜 신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텔레스코프(telescope) 형태로 구성되거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중앙의 힌지 핀(24)을 중심으로 두 개의 링크 바(26, 28)를 'X'자 형태로 결합하여 스포크(20)를 신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포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 핀(24)을 중심으로 'X'자 형태로 결합되며 단부가 한 쌍의 허브통(16)에 각각 링크 결합되는 제1 링크바(26)와 제2 링크바(38)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대향하는 허브통(16)이 서로 가까워지는 경우 제1 링크바(26)와 제2 링크바(38)가 제1 힌지 핀(24)을 중심으로 오므려지면서 스포크(20)의 전체 길이가 신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허브통(16)이 서로 멀어지는 경우 제1 링크바(26)와 제2 링크바(38)가 제1 힌지 핀(24)을 중심으로 벌어지면서 스포크(20)의 전체 길이가 축소될 수 있다.
회전 유도 유닛(22)은, 스포크(20)와 림(12) 사이에 개재되어 스포크(20)의 신축에 따라 스포크(20)의 축선에 대해 림(12)의 회전을 유도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크(20)가 확장되면 복수의 개의 림(12)이 펼쳐져 서로 이어지면서 원형의 큰 바퀴를 이루게 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크(20)가 축소되면 복수의 림(12)이 스포크(20)의 축선에 대해 복수의 림(12)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작은 바퀴를 이루게 된다.
스포크(20)가 축소되어 바퀴의 크기가 축소됨에 따라 회전되는 림(12)들의 중심을 연결한 원(축소된 바퀴의 최외곽)의 곡률은 일정 비율로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축소된 바퀴가 완전한 원형을 형성하여 이동 수단의 이동 시 바퀴에 매끄러운 회전이 일어날 수 있다.
회전 유도 유닛(22)은, 스포크(20)의 신축에 연동되어 림(12)의 회전 정도를 유도함으로써 스포크(20)의 축소 정도에 맞게 회전되면서 림(12)이 형성하는 바퀴의 곡률을 일정하게 증가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유도 유닛(22)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12)의 하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림 회전축(30)과; 림 회전축(30)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유도부(32)와; 일단이 제2 힌지 핀(34)에 의해 제1 링크바(26) 및 제2 링크바(28)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제3 힌지 핀(40)에 의해 회전 유도부(32)에 각각 결합되는 제3 링크바(36) 및 제4 링크바(3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바(26)와 제2 링크바(28)의 작동에 따라 제3 힌지 핀(40)을 중심으로 회전 유도부(32)를 회전시키고, 회전 유도부(32)의 회전에 따라 림 회전축(30)을 회전 유도부(32)의 회전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회전 유도 유닛(2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를 참고하면, 림(12)의 하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림 회전축(30)은 원통형이고, 림 회전축(30)에 마주하는 회전 유도부(32)의 외주에는 원통형에 상응하여 함입홈(44)이 형성된다. 그리고, 림 회전축(30)의 외주에는 양측으로 한 쌍의 회전 설정핀(42)이 연장되고, 회전 유도부(32)의 함입홈(44)에는 회전 설정핀(42)의 삽입되어 회전 유도부(32)의 회전에 따라 림 회전축(30)을 회전 유도부(32)의 회전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이드 홈(46)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허브축(14)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허브통(16)이 서로 멀어지면, 제1 힌지 핀(24)을 중심으로 제1 링크바(26)와 제2 링크바(28)의 단부가 벌어지면서 스포크(20)의 길이가 축소된다. 제1 링크바(26)와 제2 링크바(28)의 양 단부가 서로 벌어짐에 따라, 제1 링크바(26) 및 제 2링크바의 단부에 일단이 제2 힌지 핀(34)을 중심으로 결합되는 제3 링크바(36)와 제4 링크바(38)의 타단이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제3 힌지 핀(4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회전 유도부(32)가 내측으로 회전된다. 회전 유도부(32)의 회전에 따라 서로 대향하는 회전 유도부(32)의 가이드 홈(46)에 각각 삽입된 회전 설정핀(42)에 의해 림 회전축(30)이 회전 유도부(32)의 회전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림 회전축(30)에 결합된 림(12)이 회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각 단위 모듈(11)의 스포크(20)가 축소됨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림(12)은 측단이 서로 맞닿도록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서 바퀴의 크기가 축소되고, 이때 회전되는 림(12)들의 중심을 연결한 원(축소된 바퀴의 최외곽)의 곡률은 스포크(20)의 축소 크기에 맞춰 일정 비율로 증가하면서 바퀴의 외주가 원형을 이루게 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림(12)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스포크(20) 길이의 축소에 따라 각각 림(12)이 회전할 때 서로 마주하는 림(12)의 단부에서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림(12)의 회전 방향과 회전 각도를 고려하여 서로 마주하는 림(12)의 단부에는 림(12)의 회전 방향에 상응하여 경사면(48)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각각의 림(12)이 회전함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림(12) 단부의 경사면(48)을 따라 림(12)의 단부가 이격되면서 서로 간섭없이 림(12)의 회전이 일어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보강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는, 림(rim)(12), 허브(hub)(18), 스포크(spoke)(20), 림 회전축(30), 회전 고리(50), 연결 로드(52), 보강 스트럿(54), 보강암(56), 링크 연결부(58)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18)를 중심으로 각각의 스포크(20)와 림(12)으로 구성된 단위 모듈(11)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 경우 이동 수단의 차축 회전에 따라 바퀴가 구동하는 경우, 허브(18)에 인접한 각각의 단위 모듈(11)의 스포크(20)에는 큰 전단응력이 발생하여 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각 스포크(20)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스포크(20)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포크(20)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스포크(20)를 구성하는 제1 링크바(26) 및 제2 링크바(28)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보강 스트럿(54)을 덧댄 형태를 제시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포크(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2 링크바(28) 사이에 제1 링크바(26)를 삽입하고 제1 힌지 핀(24)으로 링크 연결하여 X자로 구성한 형태로서, 한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제1 링크바(26)를 보강하기 위해 제1 링크바(26)에 보강 스트럿(54)을 덧댄 형태를 제시한다.
한편, 허브(18)를 중심으로 스포크(20)와 림(12)으로 구성된 단위 모듈(11)이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바퀴에 발생한 하중이 전체 바퀴로 분산되지 않고 해당 단위 모듈(11)에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단위 모듈(11)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바퀴에 가하는 하중을 바퀴 전체로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단위 모듈(11) 간을 연결하는 보강암(56)을 보강한 형태를 제시한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암(5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 회전축(30)이 삽입되는 회전 고리(50)와, 회전 고리(50)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 로드(52)를 구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암(56)의 회전 고리(50)를 림 회전축(30)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연결 로드(52)의 단부를 인접한 보강암(56)의 연결 로드(52)와 링크 연결시켜 링크 연결부(58)를 구성함으로써, 바퀴가 일체적으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바퀴의 크기 축소될 때는 서로 연결된 보강암(56)들이 링크 연결부(58)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접히면서 바퀴의 크기에 대응하여 축소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1: 단위 모듈 12: 림(rim)
14: 허브축 16: 허브통
18: 허브(hub) 20: 스포크(spoke)
22: 회전 유도 유닛 24: 제1 힌지 핀
26: 제1 링크바 28: 제2 링크바
30: 림 회전축 32: 회전 유도부
34: 제2 힌지 핀 36: 제3 링크바
38: 제4 링크바 40: 제3 힌지 핀
42: 회전 설정핀 44: 함입홈
46: 가이드 홈 48: 경사면
50: 회전 고리 52: 연결 로드
54: 보강 스트럿 56: 보강암
58: 링크 연결부

Claims (7)

  1. 바퀴의 중심에 배치되는 허브(hub)와;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어 바퀴의 둘레를 형성하는 복수의 림(rim)과;
    상기 허브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림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바퀴의 중심에 대해 신축(伸縮)되는 복수의 스포크(spoke)와;
    상기 스포크와 상기 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포크의 신축에 따라 상기 스포크의 축선에 대해 상기 림을 회전시키는 회전 유도 유닛을 포함하는,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바퀴의 중심을 관통하는 허브축과;
    상기 허브축이 관통하여 상기 허브축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허브통을 포함하며,
    상기 스포크는,
    제1 힌지 핀을 중심으로 'X'자 형태로 결합되며 단부가 상기 한 쌍의 허브통에 각각 링크 결합되는 제1 링크바와 제2 링크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도 유닛은,
    상기 림의 하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림 회전축과;
    상기 림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유도부와;
    일단이 제2 힌지 핀에 의해 상기 제1 링크바 및 상기 제2 링크바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제3 힌지 핀에 의해 상기 회전 유도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3 링크바 및 제4 링크바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바와 상기 제2 링크바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3 힌지 핀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유도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 유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림 회전축을 상기 회전 유도부의 회전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림 회전축은 원통형이고,
    상기 회전 유도부의 외주에는 상기 원통형에 상응하여 함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림 회전축의 외주에는 양측으로 한 쌍의 회전 설정핀이 연장되고,
    상기 함입홈에는 상기 회전 설정핀의 삽입되어 상기 회전 유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림 회전축을 상기 회전 유도부의 회전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
  5.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림의 단부에는 상기 림의 회전 방향에 상응하여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바 및 상기 제2 링크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 스트럿을 더 포함하는,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림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 고리와, 상기 회전 고리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로드를 구비하는 보강암을 더 구비하되,
    서로 인접하는 연결로드는 단부가 링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
KR1020220056695A 2022-05-09 2022-05-09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 KR102640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695A KR102640133B1 (ko) 2022-05-09 2022-05-09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695A KR102640133B1 (ko) 2022-05-09 2022-05-09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114A true KR20230157114A (ko) 2023-11-16
KR102640133B1 KR102640133B1 (ko) 2024-02-27

Family

ID=8896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695A KR102640133B1 (ko) 2022-05-09 2022-05-09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1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3548A2 (de) * 2011-05-31 2012-12-06 Reinhard Winter Rollstuhl, faltrad und klapprad
KR20160041117A (ko) * 2014-10-06 2016-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형 타이어
CN108032678A (zh) * 2017-12-21 2018-05-15 福建农林大学 变直径车轮及其变直径方法
KR20180098461A (ko) 2017-02-24 2018-09-04 김대희 자동차의 다양한 동작을 구현하게 하는 가변형 바퀴 장치와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3548A2 (de) * 2011-05-31 2012-12-06 Reinhard Winter Rollstuhl, faltrad und klapprad
KR20160041117A (ko) * 2014-10-06 2016-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형 타이어
KR20180098461A (ko) 2017-02-24 2018-09-04 김대희 자동차의 다양한 동작을 구현하게 하는 가변형 바퀴 장치와 방법
CN108032678A (zh) * 2017-12-21 2018-05-15 福建农林大学 变直径车轮及其变直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133B1 (ko)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8520B2 (en) Foldable wheel
EP2435256B1 (en) Airless tire comprising helical springs
CN105848919A (zh) 具有可变刚度的无气轮胎构造
US10040262B2 (en) Expandable belt and tread drum with varied curvature segments
KR102640133B1 (ko) 크기가 조절되는 바퀴
CN100354118C (zh) 轮胎成型鼓
CN105899382A (zh) 用于机动车辆的悬架组件,用于组件的连接球头节以及相应的安装方法
RU2581315C2 (ru) Шина для назем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BR102017020501B1 (pt) Pneu de serviço pesado
US10766300B2 (en) Expandable and retractable wheel assembly
CN105813861B (zh) 经增强的斜交帘布层或子午线帘布层轮胎
CN113681953A (zh) 机械鼓
EP3378636A1 (en) Belt drum
CN103269848B (zh) 配备有可移动元件的用于组装轮胎胎胚的支撑件
CN205930003U (zh) 一种轮辋及其与非匹配轮辐的组合结构
US20190040981A1 (en) Irrigation boot assembly
CN106574666A (zh) 具有不同倾斜角和最小径向间距的交叉沟道的球滑铰节
JP7321053B2 (ja) 非空気圧タイヤ
US1980314A (en) Automobile wheel
CN215620143U (zh) 机械鼓
CN103209843A (zh) 用于轮胎的防滑装置
KR20210131345A (ko) 역방향 오프셋 핑거를 갖는 팽창 가능한 벨트 및 트레드 드럼
JP7466285B2 (ja) 車輪
US20230415517A1 (en) Non-pneumatic tire with web structure
CN108248294A (zh) 一种具有高刚性结构的高性能轮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