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000A -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 - Google Patents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000A
KR20230157000A KR1020220056404A KR20220056404A KR20230157000A KR 20230157000 A KR20230157000 A KR 20230157000A KR 1020220056404 A KR1020220056404 A KR 1020220056404A KR 20220056404 A KR20220056404 A KR 20220056404A KR 20230157000 A KR20230157000 A KR 20230157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subframe
outer pipe
mount structur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6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7000A/ko
Publication of KR20230157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00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in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 서브 프레임 내에 고정되는 위치에서, 내측에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이너 파이프, 이너 파이프가 삽입되고, 서브 프레임의 내주면에 압입되는 복수개의 아우터 파이프 및 이너 파이프의 외표면과 아우터 파이프의 내표면에 가류 접착되고, 이너 파이프의 최외각으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진 지점과 아우터 파이프의 최외각으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진 지점을 연결한 선이 이너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이루는 설정각을 갖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인슐레이터는 이너 파이프가 서로 인접하도록 가압되는 경우 설정각이 더 커지도록 변형되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Sub-frame bush mount structure with improved insulator}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서브 프레임의 소성변형을 방지하도록 복수개의 플라스틱 아우터 파이프를 구성하고, 이너 파이프가 인접하도록 가압되는 경우 인슐레이터의 설정각이 변경되어 서브 프레임과 부시마운트 사이 압축력을 증대시킨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운행함에 따라 소음 및 진동은 필수적으로 수반되기 마련이다. 최근 들어 차량에 적용되는 기술이 점차 발전하고 저진동 및 저소음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Noise), 진동(Vibration) 및 충격(Harshness) 등을 분석하여 승차감을 극대화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현상에는 엔진 시동시 및 정지시의 차체요동, 아이들링(idling)시의 차체진동, 엔진 고회전시의 차체진동 및 막힘 소리, 요철에 의한 진동, 고부하 작용시 차체요동, 발진시나 변속시에 따른 급격한 변화작용시의 충격, 과대 변위에 의한 간섭 및 파손 등이 있으며, 이러한 차량 진동의 가장 큰 원인은 엔진의 진동과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다. 이러한 차량의 진동을 감쇠하기 위하여 차량의 파워트레인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차체로 진동 및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양한 형태의 마운팅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오늘날 전기차량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는데, 전기차 플랫폼 개발시 모터/감속기룸의 패키지 단순화, 컴팩트화를 위하여 PE 마운트를 대부분 서브 프레임에 압입하여 제작한다. 하지만, 이러한 서브 프레임 압입구조는 차량을 제작할 때는 구조가 단순하여 장점이 될 수 있지만, 나중에 A/S할 경우에는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부시 파손 등으로 A/S할 경우 부시의 탈장착이 되지 않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주행중에 부시가 서브 프레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스틸(Steel)소재 아우터 파이프로 제작된 부시를 알루미늄(AL) 서브 프레임에 강제로 압입하여 강하게 조립한다. 이 과정에서 아우터 파이프는 알루미늄 서브 프레임을 소성 변형시키게 된다. 따라서, 향후 부시를 탈착할 경우 서브 프레임은 이미 소성 변형되어 부시를 다시 압입해도 꽉 끼워지지 못한다. 서브 프레임의 알루미늄 파이프 내경이 이미 커져버렸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시 파손 등의 간단한 부품 교환의 경우에도 서브 프레임을 모두 교환해야 하는 바 수선 용이성과 비용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576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브 프레임이 소성 변형됨을 방지하고자 서브 프레임의 양측에서 끼워 조립되는 복수개의 플라스틱 아우터 파이프가 적용된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서브 프레임과 부시마운트 사이 압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이너 파이프에 볼팅 체결시 설정각이 변경되면서 방사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구성되는 인슐레이터가 적용된 서브 프레임 압입타입 부시마운트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차체 서브 프레임 내에 고정되는 위치에서, 내측에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이너 파이프; 상기 이너 파이프가 삽입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의 내주면에 압입되는 복수개의 아우터 파이프; 및 상기 이너 파이프의 외표면과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내표면에 가류 접착되고, 상기 이너 파이프의 최외각으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진 지점과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최외각으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진 지점을 연결한 선이 상기 이너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이루는 설정각을 갖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인슐레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이너 파이프가 서로 인접하도록 가압되는 경우 상기 설정각이 더 커지도록 변형되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너 파이프가 상기 서브 프레임에 볼트 체결되는 경우, 상기 이너 파이프가 서로 인접하여 상기 설정각은 커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방사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구성되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방사 방향 신장력이 인가되어 외측으로 신장되도록 구성되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외측으로 2mm 내지 4mm 신장되도록 구성되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설정각은 90도가 되도록 구성되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제 1 홈 및 제 1 돌기가 형성되는 제 1 아우터 파이프; 및 제 2 홈 및 제 2 돌기가 형성되는 제 2 아우터 파이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은 상기 제 2 돌기와 체결되고, 상기 제 2 홈은 상기 제 1 돌기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제 1 아우터 파이프의 내표면에 가류 접착되는 제 1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 2 아우터 파이프의 내표면에 가류 접착되는 제 2 인슐레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경도값은 상이하도록 구성되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몰부; 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 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복수개의 플라스틱 아우터 파이프를 서브 프레임의 양측에서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서브 프레임을 소성 변형시키지 않고 부시 수선이 필요한 경우 수선의 용이성과 비용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너 파이프가 인접하도록 가압되는 경우 인슐레이터의 설정각이 변경되어 서브 프레임과 부시마운트 사이 압축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의 이너 파이프가 서브 프레임에 볼트 체결되기 전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의 이너 파이프가 서브 프레임에 볼트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의 인슐레이터가 신장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의 제 2 아우터 파이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의 제 1 아우터 파이프와 제 2 아우터 파이프가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의 함몰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방사 방향"은 이너 파이프(100)의 반경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신장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는 내측에서부터 외측으로 이너 파이프(100), 인슐레이터(300) 및 아우터 파이프(2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너 파이프(100)는 차체 서브 프레임(10) 내에 고정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파이프(100)는 내측에 볼트 체결홀(110)이 형성되고, 복수개가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이너 파이프(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파이프(100)는 서브 프레임(10)의 양측과 차체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너 파이프(100)는 내측에 볼트 체결홀(110)이 형성되고 마운팅 볼트가 관통하여 서브 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 파이프(200)는 이너 파이프(100)가 삽입되고, 서브 프레임(10)의 내주면에 압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파이프(200)는 원형 단면의 파이프 형상으로서 서브 프레임(10)의 부시 마운팅부에 압입 설치될 수 있다. 아우터 파이프(200)의 일단 가장자리 부분은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파이프(2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아우터 파이프(200)는 서브 프레임(10)에 압입되는 경우 서브 프레임(10)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파이프(200)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아우터 파이프(200)는 서브 프레임(10) 체결부의 양측에서 체결되어 서브 프레임(1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파이프(200)는 이너 파이프(100)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너 파이프(100)는 아우터 파이프(200)에 대응하는 원형 단면의 파이프 형상으로서 아우터 파이프(20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아우터 파이프(200)는 이너 파이프(100)의 외표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너 파이프(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300)는 이너 파이프(100)의 외표면과 아우터 파이프(200)의 내표면에 가류 접착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인슐레이터(300)는 이너 파이프(100)와 아우터 파이프(200)의 사이에서 이너 파이프(100)의 외표면과 아우터 파이프(200)의 내표면에 가류 접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의 이너 파이프가 서브 프레임에 볼트 체결되기 전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의 이너 파이프가 서브 프레임에 볼트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의 인슐레이터가 신장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인슐레이터(300)는 설정각(310)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300)는 이너 파이프의 최외각으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진 지점(320)과 아우터 파이프의 최외각으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진 지점(330)을 연결한 선(340)이 이너 파이프(100)의 길이방향과 이루는 설정각(310)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인슐레이터(300)의 끝단에서부터 이너 파이프의 최외각으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진 지점(320)간의 간격(A)과 인슐레이터(300)의 끝단에서부터 아우터 파이프의 최외각으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진 지점(330)간의 간격(A)은 동일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300)는 아우터 파이프(20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복수개의 인슐레이터(300)의 설정각(310)은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300)의 설정각(310)은 이너 파이프(100)가 맞닿는 부분과 인접한 지점에서 잰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너 파이프(100)가 서브 프레임(10)에 볼트 체결되기 전, 인슐레이터(300)의 설정각(310)은 90도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정각(310)이 커진다는 표현은 기설정각보다 이너 파이프(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90도에 인접한 위치로 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300)는 이너 파이프(100)가 서로 인접하도록 가압되는 경우 설정각(310)이 더 커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이너 파이프(100)가 서브 프레임(10)에 볼트 체결되는 경우 이너 파이프(100)가 서로 인접하여 설정각(310)은 더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인슐레이터(300)는 방사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파이프(200)는 인슐레이터(300)의 방사 방향 신장력이 인가되어 외측으로 신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아우터 파이프(200)는 외측으로 2mm 내지 4mm 신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파이프(200)는 이너 파이프(100)가 볼팅 체결되면서 발생하는 인슐레이터(300)의 방사 방향 신장력을 인가받아 외측으로 신장되어 서브 프레임(10)과 부시마운트 사이 압축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이너 파이프(100)가 서브 프레임(10)에 볼트 체결되는 경우 설정각(310)은 90도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300)는 이너 파이프(100)가 볼팅 체결되는 경우 설정각(310)이 커지면서 방사방향으로 신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이너 파이프(100)는 서브 프레임(10)에 볼트 체결되는 경우 서로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슐레이터(300)는 비압축성 물체로써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이너 파이프(100)가 인접하는 경우 설정각(310)이 커지면서 아우터 파이프(200)가 서브 프레임(10)에 강하게 압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서브 프레임(10)에 체결되기 전 이격되어 있던 이너 파이프(100)가 볼트 체결로 인해 인접하게 되면 인슐레이터(300)는 설정각(310)이 커지면서 방사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파이프(100)가 서브 프레임(10)에 체결되기 전 인슐레이터(300)는 이너 파이프(100)와 아우터 파이프(200) 사이에서 30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파이프(100)가 서브 프레임(10)에 볼트 체결되는 경우 이너 파이프(100)가 인접하여 붙게 되고, 설정각(310)이 커지게 되면 인슐레이터(300)가 이너 파이프(100)와 아우터 파이프(200) 사이에서 27mm로 압축될 수 있다. 이때, 인슐레이터(300)가 원래 가지고 있던 30mm 길이만큼 늘어나려는 신장력이 아우터 파이프(200)를 외측으로 3mm만큼 신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부시마운트는 반경 방향으로 50 kgf/mm 내지 60 kgf/mm 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너 파이프(100)가 서브 프레임(10)에 볼트 체결되는 경우 아우터 파이프(200)가 3mm의 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150kgf 내지 180kgf 의 힘이 반경 방향으로 가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프레임(10)으로부터 부시마운트 구조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하중이 증대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300)의 설정각(310)이 커짐으로 인해 인슐레이터(300)는 방사방향으로 신장되고,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아우터 파이프(200)는 외경이 증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브 프레임(10)에 아우터 파이프(200)가 압입된 상태에서, 이너 파이프(100)의 볼트 체결홀(110)을 통해 볼트 결합하면 인슐레이터(300)와 접착된 아우터 파이프(200)의 외경이 늘어나게 되면서 서브 프레임(10)으로부터 부시마운트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의 제 2 아우터 파이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의 제 1 아우터 파이프와 제 2 아우터 파이프가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아우터 파이프(200)는 일 실시 예로 제 1 아우터 파이프(210) 및 제 2 아우터 파이프(2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인슐레이터(300)는 제 1 인슐레이터(350) 및 제 2 인슐레이터(3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아우터 파이프(210)는 일측 끝단에 제 1 홈(211) 및 제 1 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고, 제 2 아우터 파이프(220)는 일측 끝단에 제 2 홈(221) 및 제 2 돌기(2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아우터 파이프(210) 및 제 2 아우터 파이프(220)의 타측 끝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파이프(200)를 서브 프레임(10)의 양측에서 조립하는 경우, 제 1 홈(211)은 제 2 돌기(222)와 체결되고, 제 2 홈(221)은 제 1 돌기(212)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2개의 아우터 파이프(200)가 조립되면서 제 1 홈(211)은 제 2 돌기(222)와 체결되고, 제 2 홈(221)은 제 1 돌기(212)와 체결되어 서브프레임 내부에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시마운트 구조의 방향을 고정하여 다각도에서 특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300)는, 제 1 아우터 파이프(210)의 내표면에 가류 접착되는 제 1 인슐레이터(350) 및 제 2 아우터 파이프(220)의 내표면에 가류 접착되는 제 2 인슐레이터(3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 1 인슐레이터(350) 및 제 2 인슐레이터(360)는 동일한 설정각(310)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인슐레이터(350) 및 제 2 인슐레이터(360)의 경도값은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 1 인슐레이터(350)의 경도값은 40kgf/mm 일 수 있고, 제 2 인슐레이터(360)의 경도값은 45kgf/mm 일 수 있다. 제 1 인슐레이터(350) 및 제 2 인슐레이터(360)가 조립된 상태에서 전체로써 42.5kgf/mm의 경도값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300) 경도값의 기준은 JIS K6301에 규정된 스프링식 고무경도계(Hardness Spring)로 측정된 값일 수 있다. 인슐레이터(300)의 경도값은 주행소음, 주행승차성능, 아이들 소음을 기준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의 함몰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아우터 파이프(200)는 아우터 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몰부(23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230)는 2개가 대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30)는 아우터 파이프(200)의 외면에 "U자형"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300)의 설정각(310)이 커지면서 아우터 파이프(200)에 신장력을 인가할 때, 함몰부(230)는 아우터 파이프(200)의 방사 방향 신장을 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슐레이터(300)의 신장력이 인가되어 함몰부(230)가 벌어지면서 아우터 파이프(200)가 신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2개의 아우터 파이프(200) 각각에 이너 파이프(100)를 삽입하고, 인슐레이터(300)와 접착될 수 있도록 이너 파이프(100)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인슐레이터(300)를 가류 접착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300)는 제 1 아우터 파이프(210)와 제 2 아우터 파이프(220)를 서브 프레임(10)에 조립하고, 볼트 체결홀(110)을 통해 볼팅 결합하면 설정각(310)이 증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서브 프레임(10)의 소성변형을 방지하도록 복수개의 플라스틱 아우터 파이프(200)를 구성하고, 이너 파이프(100)가 인접하도록 가압되는 경우 인슐레이터(300)의 설정각(310)이 변경되어 서브 프레임(10)과 부시마운트 사이 압축력을 증대시킨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서브 프레임
100: 이너 파이프
110: 볼트 체결홀
200: 아우터 파이프
210: 제 1 아우터 파이프
211: 제 1 홈
212: 제 1 돌기
220: 제 2 아우터 파이프
221: 제 2 홈
222: 제 2 돌기
230: 함몰부
300: 인슐레이터
310: 설정각
320: 이너 파이프의 최외각으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진 지점
330: 아우터 파이프의 최외각으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진 지점
340: 연결한 선
350: 제 1 인슐레이터
360: 제 2 인슐레이터

Claims (8)

  1. 차체 서브 프레임 내에 고정되는 위치에서, 내측에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이너 파이프;
    상기 이너 파이프가 삽입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의 내주면에 압입되는 복수개의 아우터 파이프; 및
    상기 이너 파이프의 외표면과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내표면에 가류 접착되고, 상기 이너 파이프의 최외각으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진 지점과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최외각으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진 지점을 연결한 선이 상기 이너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이루는 설정각을 갖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인슐레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이너 파이프가 서로 인접하도록 가압되는 경우 상기 설정각이 더 커지도록 변형되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파이프가 상기 서브 프레임에 볼트 체결되는 경우,
    상기 이너 파이프가 서로 인접하여 상기 설정각은 커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방사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구성되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방사 방향 신장력이 인가되어 외측으로 신장되도록 구성되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외측으로 2mm 내지 4mm 신장되도록 구성되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각은 90도가 되도록 구성되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제 1 홈 및 제 1 돌기가 형성되는 제 1 아우터 파이프; 및
    제 2 홈 및 제 2 돌기가 형성되는 제 2 아우터 파이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은 상기 제 2 돌기와 체결되고,
    상기 제 2 홈은 상기 제 1 돌기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제 1 아우터 파이프의 내표면에 가류 접착되는 제 1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 2 아우터 파이프의 내표면에 가류 접착되는 제 2 인슐레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경도값은 상이하도록 구성되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몰부; 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
KR1020220056404A 2022-05-09 2022-05-09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 KR20230157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404A KR20230157000A (ko) 2022-05-09 2022-05-09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404A KR20230157000A (ko) 2022-05-09 2022-05-09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000A true KR20230157000A (ko) 2023-11-16

Family

ID=8896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404A KR20230157000A (ko) 2022-05-09 2022-05-09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70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666A (ko) 2014-11-14 2016-05-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서브프레임용 부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666A (ko) 2014-11-14 2016-05-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서브프레임용 부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56635A1 (ja) タンク用ゴムクッション
US5975505A (en) Mount insulator
US20080084065A1 (en) Exhaust pipe connecting device
US8136646B2 (en) Cylindrical dynamic damper
WO2013046628A1 (ja) 防振装置
KR20160073183A (ko) 다이나믹 댐퍼
US20190346001A1 (en) Tubular vibration-damping device
JP2006283870A (ja) トルクロッド
US6439555B2 (en) Vibration-isolating apparatus and metal stopper therefor
CN111196306A (zh) 车辆方向盘
JP2000193003A (ja) 自動車用エンジンロールマウント
KR20230157000A (ko) 인슐레이터가 개선된 서브 프레임 부시마운트 구조
US10507715B1 (en) Mount assembly for vehicle
WO2019131511A1 (ja) 防振装置
US20200292026A1 (en) Mount for vehicle
KR20230126526A (ko) 압입타입 모터마운팅 이중절연 부시구조
WO2019180896A1 (ja) 電気自動車用の筒形モータマウントとその製造方法
KR20230154486A (ko) 서브 프레임 압입타입 부시마운트 구조
JP2007263154A (ja) 防振ブッシュ組立体
JP7527258B2 (ja) 複数種類のブラケット付き筒型防振装置
JP2004028250A (ja) 筒型マウント
JP2001165219A (ja) 防振ブッシュおよび防振ブッシュ組立体
JPH04302725A (ja) 円筒型防振装置
WO2012132105A1 (ja) 防振装置
JPH11101306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