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6474A -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 - Google Patents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6474A
KR20230156474A KR1020220055873A KR20220055873A KR20230156474A KR 20230156474 A KR20230156474 A KR 20230156474A KR 1020220055873 A KR1020220055873 A KR 1020220055873A KR 20220055873 A KR20220055873 A KR 20220055873A KR 20230156474 A KR20230156474 A KR 20230156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ablet
parts
core
potass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걸
이성능
박상미
남진아
김혜인
이지한
Original Assignee
에니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니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니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5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6474A/ko
Publication of KR20230156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647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86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 A61K9/209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containing drug in at least two layers or in the core and in at least on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8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29Antimony or bismuth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45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only substituted in position 1, e.g. propipocaine, diper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4Esters of 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과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에 관한 것으로, 좀더 바람직하기로는,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핵정과,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과 수크랄페이트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장질환 치료용 핵정 복합정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Composite tablet for treating stomach and intestines disease}
본 발명은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과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에 관한 것으로, 좀더 바람직하기로는,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핵정과,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과 수크랄페이트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장질환 치료용 핵정 복합정제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록사티딘(Roxatidine)은 라니티딘, 시메티딘, 니자티딘, 파모티딘 등과 함께 H2 수용체 차단제에 속하는 약물의 일종이다. 이러한 H2 수용체 차단제들은 위장내 산 분비작용을 억제하여 위염, 위궤양 및 역류성 식도염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효능이 있으며, 부작용이 적고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다.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Tripotassium bismuth dicitrate)은 비스무스 서브시트레이트(Bismuth subcitrate)라고도 하며, 위 또는 십이지장 궤양 부위를 보호하고, 특히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을 사멸할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물이다.
수크랄페이트(Sucralfate)는 위액의 산성 조건에서 점성 물질로 변화하여 위벽을 보호하며, 추가적으로 점액 분비촉진, 제산작용, 점막세포의 재생촉진, 프로스타그라딘의 분비자극 등을 통해 위궤양 등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이처럼 H2 수용체 차단제와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는 상호 보완적인 약리작용을 가지며, 임상적으로 충분한 효능이 입증되어 있어서 이들 3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다양한 복합제들이 개발 및 시판되고 있다.
예를 들면, 국내 특허 제10-119031호(1997년 07월 26일)에는, 라니티딘을 과립화하여 제조되는 핵정과, 비스무스 서브시트레이트 및 수크랄페이트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층으로 이루어진 위장관 치료용 정제가 소개되어 있다.
특허 제10-0453179호(2004년 10월 06일)에는, 라니티딘과 비스무스 서브시트레이트 및 수크랄페이트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고, 피막 파열시간이 20~90분인 피막형성 조성물로 코팅된 경구용 위장질환 치료용 약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4-0072673호(2014년 06월 13일)에는, 라니티딘을 포함하는 핵정과 비스무스 서브시트레이트 및 수크랄페이트를 함유하는 외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핵정의 피막 파열시간이 5~10분인 유핵 정제가 개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특허 제10-1801064호(2017년 11월 20일)에는, 라니티딘 염산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중간층과,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 수화물을 포함하는 상층 및 하층으로 이루어진 삼중층 정제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와 함께 사용되는 H2 수용체 차단제로는 모두 라니티닌을 사용하여 왔다. 그런데, 2019년 9월 14일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라니티딘에서 소량이지만 구토, 간 기능 이상 및 발암의 원인이 되는 니트로소 디메틸아민(N-Nitroso dimethylamine)이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반영하여 국내 식품의약품 안전처에서도 2019년 9월 26일부로 라니티딘 성분이 포함된 단일제 및 복합제의 제조와 수입 및 판매를 전면 중단 하였으며, 이러한 조치에 따라 현재 라니티딘과 비스무스 시트르산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복합제의 제조 및 판매가 모두 중단되어 있다.
특허 제10-119031호(1997년 07월 26일) 특허 제10-0453179호(2004년 10월 06일) 공개특허 제10-2014-0072673호(2014년 06월 13일) 특허 제10-1801064호(2017년 11월 20일)
상술한 바와 같은 상황에 따라 라니티딘을 대신할 수 있는 H2 수용체 차단제와 비스무스 시트르산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새로운 위장관 치료용 복합제의 개발이 요구되지만, 이러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복합제는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비스무스 시트르산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는 산성 조건의 위액에서 점성물질로 변화한 후 위벽에 도포되어 위벽을 보호하기 때문에 H2 수용체 차단제의 흡수를 저해한다. 따라서 새로운 복합제는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에 알려진 H2 수용체 차단제들에 대하여 각각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와의 상호 반응성과 안정성 및 적합성 여부를 시험한 결과, 록사티딘이 본 발명의 목적에 가장 부합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니티딘과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래의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와 거의 동등한 약리효능을 갖되, 상기 라니티딘에 의한 부작용, 즉 발암물질인 니트로소 디메틸아민에 의한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조성의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니티딘을 대신할 H2 수용체 차단제로서 록사티딘을 사용하되,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가 록사티딘의 물성을 변화시키거나 흡수율을 저하시키기 않고, 모든 활성성분들이 체내에서 정상적으로 방출 및 흡수되며, 나아가 제조공정이 신속 간편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한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는,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과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는,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핵정과,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과 수크랄페이트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핵정은, 인체의 위장관 내에서 피막 파열시간이 15분 이상인 지연 방출형 핵정피막에 의해 코팅되어 있고, 상기 핵정피막은, 히프로멜로오스, 메타아크릴산 코폴리머, 히프로멜로오스 프탈레이트, 에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핵정은, 록사티딘 아세테이트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결정셀룰로오스 130~150 중량부,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8~15 중량부,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8~15 중량부,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4~8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층은, 수크랄페이트 수화물 및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결정 셀룰로오스 30~40 중량부,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4~6 중량부, 크로스 카멜로오스 나트륨 4~6 중량부,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8~1.2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연 방출형 핵정피막이 코팅되어 있는 핵정과, 상기 핵정을 둘러싸는 둘러싸는 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장질환 치료용 유핵 복합정제에 있어서,
상기 핵정은, 록사티딘 아세테이트염 37.4 중량%, 미결정셀룰로오스 52.6 중량%,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4.0 중량%,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4.0 중량%, 활택제인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0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핵정피막은, 히프로멜로오스 62.5 중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6.3 중량%, 산화티탄 31.2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층은, 수크랄페이트 수화물 52.1 중량%,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17.4 중량%, 미결정 셀룰로오스 22.8 중량%,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3.5 중량%, 크로스 카멜로오스 나트륨 3.5 중량%,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7 중량%로 이루어지고,
정제 1정당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 37.5~75mg와, 비스무트 시트르산염 칼륨 100~200mg, 수크랄페이트 수화물 300~600m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는, 라니티딘과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래의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와 거의 동등한 약리효능을 갖되, 상기 라니티딘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발암물질인 니트로소 디메틸아민에 의한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는, 상호 보완적인 약리 효능을 갖는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과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가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이들 유효성분들이 상호작용에 의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인체 내에서 효과적인 방출 패턴과 흡수 효율을 유지하기 때문에 고질적인 급만성 위장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명시된 구성요소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는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과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은 H2 수용체 차단제의 일종으로서 종래의 라니티딘과 동일한 약리효과를 나타내면서도, 라니티딘과 달리 니트로소 디메틸아민과 같은 발암물질을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는, 핵정(core tablet)과 이를 둘러싸는 외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핵정은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외층은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과 수크랄페이트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핵정의 표면에는 지연 방출형 핵정피막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층은 산성 조건인 위장 내에서 먼저 용해되어 활성성분인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과 수크랄페이트를 방출한다. 그러나 상기 핵정은 지연 방출형 핵정피막이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산성 조건인 위장 내에서 용해되지 않고, 알칼리성 조건인 소장 내에서 용해되어 활성성분인 록사티딘을 방출한다.
상기 핵정은 구체적으로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희석제 130~150 중량부, 결합제 8~15 중량부, 붕해제 8~15 중량부 및 활택제 4~8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층은 구체적으로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과 수크랄페이트 수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희석제 30~40 중량부, 결합제 4~6 중량부, 붕해제 4~6 중량부, 및 활택제 0.8~1.2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희석제로는 미결정셀룰로오스를 사용하고, 상기 결합제로는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사용하며, 상기 붕해제로는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을 사용하고, 상기 활택제로는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핵정피막은 인체의 위장관 내에서 피막 파열시간이 15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핵정피막의 파열시간이 15분 미만이면, 본 발명의 유핵 정제가 인체 내에서 소장에 도달하기 전에 핵정이 용해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록사티딘의 흡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핵정피막을 구성하는 피막조성물은, 히프로멜로오스, 메타아크릴산 코폴리머, 히프로멜로오스 프탈레이트, 에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여기에 추가적으로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산화티탄, 시트르산 트리에틸, 탈크, 글리세린 지방에스테르, 디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리드, 경질 무수규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층의 외면에는 통상적인 정제에 사용되는 필름 코팅기제를 사용하여 외부피막을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핵 복합정제는 정제 1개의 단위 중량이 699~1398mg 이고, 1정당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 37.5~75mg과,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100~200mg, 그리고 수크랄페이트 수화물 300~600mg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 37.5mg 또는 75mg과,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100mg 또는 200mg, 수크랄페이트 수화물 300mg 또는 600mg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핵 복합정제는 위장관 내부에서 먼저 외층이 용해되면서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과 수크랄페이트 수화물이 방출되어 위벽의 궤양 부위를 보호하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사멸한다. 또한 점액분비를 촉진하여 제산작용 작용을 수행한다.
그리고, 핵정은 핵정피막의 작용으로 인해 방출이 지연되어 알칼리성 조건인 소장으로 이동한 후에 용해되면서 록사티틴을 방출한다. 이와 같이 활성성분인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과 수크랄페이트 수화물이 먼저 작용한 이후에, 시차를 두고 록사티틴이 지연 방출되기 때문에 양쪽 활성성분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는 통상적인 경구용 정제의 타정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나, 습식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먼저 록사타딘 아세테이트 염산염과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및 활택제를 비율에 따라 혼합하여 핵정 조성물을 준비하고, 이를 과립, 건조 및 정립하여 타정한 다음, 그 표면에 핵정피막을 코팅하여 핵정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과 수크랄페이트 수화물,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및 활택제를 비율에 따라 혼합하여 외층 조성물을 준비하고, 이를 과립, 건조 및 정립한 다음, 미리 타정해 둔 핵정을 중심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외면에 상기 외층 조성물로 외층을 타정 한 후 외부피막을 코팅 함으로써 본 발명의 유핵 복합정제를 완성할 수 있다.
이때,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 수화물을 포함하는 외층 조성물은 건조물의 입자가 매우 약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흐름성을 가진 과립물을 제조하기 위해 오실레이터(Oscilater) 정립기 또는 코밀(CO-mill)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에서 각 구성성분의 함량 및 비율을 나타내는 숫자는 현실적인 실험 오차 또는 계산 오차 등으로 인해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둔다.
[H2 수용체 차단제의 적합성 시험]
먼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4종의 H2 수용체 차단제, 즉 록사티딘, 시메티딘, 파모티딘 및 니자티딘에 대하여 각각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 수화물과의 적합성을 시험하였다.
시험방법은 상기 H2 수용체 차단제 각각 50 중량부와,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100 중량부, 수크랄페이트 3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에틸렌 병 용기에 넣고, 가속 조건의 안정성 챔버에 10일 동안 보관한 다음, 각 H2 수용체 차단제의 유연물질을 측정하였다.
시험 시작 후 최초 시점과 10일 경과 이후의 시점에서 기지 및 미지의 유연물질의 양과 주성분인 각 H2 수용체 차단제의 양을 측정한 다음, 그 비율(%)을 다음 [표 1]에 수록하였다.
구분 록사타딘 시메티딘 파모티딘 니자티딘
측정시점 최초 10일 후 최초 10일 후 최초 10일 후 최초 10일 후
기지 유연물질 1.23% 1.33% - - 1.25% 1.48% - -
미지 유연물질 0.21% 0.24% - - - - 0.98% 1.38%
주성분의 비율 101.1% 99.3% 99.7% 97.6% 100.9% 97.8% 99.7% 96.8%
참고로 상기 [표 1]에서 시메티딘은 기지 및 미지 유연물질에 관한 시험결과가 없고, 니자티딘은 기지 유연물질에 관한 시험결과가 없는 것은, 각 성분별 완제품의 공정서를 따라 상기 [표 1]의 시험을 실시하였기 때문이다.
상기 [표 1]과 같이, 4종의 H2 수용체 차단제들 모두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 수화물과의 반응에 있어서 유연물질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만, 유연물질의 증가량과 주성분의 감소량이 상대적으로 가장 적은 것은 록사티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록사티딘이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 수화물과의 적합성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유핵 복합정제의 제조]
다음 [표 2] 내지 [표 4]와 같은 구성성분 및 함량비율에 따라 핵정 조성물(표 2)과 피막 조성물(표 3) 및 외층 조성물(표 4)을 각각 조제 하였다. 상기 핵정 조성물100mg을 통상적인 습식법으로 과립화 하고, 건조 및 정립하여 핵정을 타정한 다음, 그 외면에 상기 피막 조성물 3mg으로 핵정피막을 코팅하였다.
또한 상기 외층 조성물 575mg을 통상적인 습식법으로 과립화 하여 건조 및 정립한 후 반제품을 제조하였다. 이어 상기 핵정의 외면에 상기 외층 조성물을 적층하여 타정한 후 그 위에 통상의 필름 코팅기제 21mg으로 외부피막을 코팅하여 정제 1개당 단위 중량이 699mg인 유핵 복합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에서는 [표 3]과 같이 피막 조성물의 구성만 변경하였다. 비교예 1~3에서는 [표 2] 내지 [표 4]와 같이 핵정 조성물과 외층 조성물을 변경하고, 피막 조성물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피막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핵정 조성물의 처방 (단위 ; 중량%)
구성 성분 실시예 1~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 37.4 37.4 37.4 37.4
미결정 셀룰로오스 52.6 - 26.3 52.6
유당 수화물 - 52.6 26.3 -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4.0 4.0 4.0 4.0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4.0 4.0 4.0 4.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0 2.0 2.0 2.0
합 계 100 100 100 100
피막 조성물 (단위 ; 중량%)
구성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3
히프로멜로오스 62.5 - - - - 62.5
메타아크릴산 코폴리머 - 90.7 - - - -
히프로멜로오스 프탈레이트 - - 80.4 - - -
에틸 셀룰로오스 - - - 90.1 - -
폴리비닐 알콜 - - - - 40.0 -
폴리에틸렌 글리콜 6.3 - - - 20.2 6.3
산화티탄 31.2 - 4.0 - 25.0 31.2
시트르산 트리에틸 - 9.0 - - - -
탈크 - 0.3 7.6 - 14.8 -
글리세린 지방에스테르 - - 8.0 - - -
디아세틸화 모노글리세리드 - - - 7.7 - -
경질 무수규산 - - - 2.2 - -
합 계 100 100 100 100 100 100
외층 조성물 (단위 ; 중량%)
구성 성분 실시예 1~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수크랄페이트 수화물 52.1 52.1 52.1 52.1
비시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17.4 17.4 17.4 17.4
미결정 셀룰로오스 22.8 - 11.4 -
유당 수화물 - 22.8 11.4 -
만니톨 - - - 22.8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3.5 3.5 3.5 3.5
크로스 카멜로오스 나트륨 3.5 3.5 3.5 3.5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7 0.7 0.7 0.7
합 계 100 100 100 100
먼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같이, 핵정 조성물의 희석제로서 유당 수화물을 사용한 경우, 핵정 조성물의 흐름성이 불량하여 핵정을 타정하는 공정 중에 타정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같이 외층 조성물의 희석제로서 유당 수화물을 사용하거나, 비교예 3과 같이 만니톨을 사용한 경우, 외층이 용해되는 과정에서 수크랄페이트와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이 수용성인 유당 수화물 및 만니톨이 같이 엉키는 겔화 현상이 발생하면서 유효성분들의 정상적인 약물 방출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핵정 조성물과 외층 조성물의 희석제로서 각각 미결정 셀룰로오스를 사용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핵정을 제조하는데 아무런 타정 장애가 발생하지 않았고, 외측이 용해되는 과정에서 유효성분의 방출을 저해하는 현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지연방출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유핵 복합정제를 각각 5개씩 시료로 취하여 온도 37±0.5℃, pH 1.2인 염산 용액에 투입하고, 외층이 파열되어 육안으로 핵층이 보일 때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한 다음, 각 실시예 별로 5개 시료의 평균값을 다음 [표 5]에 수록하였다.
시험군 5개 시료의 평균시간
실시예 1 17.6 분
실시예 2 19.6 분
실시예 3 20.6 분
실시예 4 18.7 분
실시예 5 18.5 분
상기 [표 5]의 시험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핵 복합정제는 핵정의 방출 시점이 외층에 비해 17분 내지 20분 정도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층에 포함된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과 수크랄페이트 수화물에 비해 핵정에 포함된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의 방출이 17~20분 정도 지연됨으로써 이들 유효성분들이 상호 간섭없이 효율적으로 체내에 흡수될 수 있다.

Claims (6)

  1.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과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및 수크랄페이트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핵정과, 상기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과 수크랄페이트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핵정은 인체의 위장관 내에서 피막 파열시간이 15분 이상인 지연 방출형 핵정피막에 의해 코팅되어 있고, 상기 핵정피막은, 히프로멜로오스, 메타아크릴산 코폴리머, 히프로멜로오스 프탈레이트, 에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
  4. 제2항 있어서, 상기 핵정은, 록사티딘 아세테이트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결정셀룰로오스 130~150 중량부,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8~15 중량부,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8~15 중량부,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4~8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수크랄페이트 수화물 및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결정 셀룰로오스 30~40 중량부,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4~6 중량부, 크로스 카멜로오스 나트륨 4~6 중량부,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8~1.2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
  6. 지연 방출형 핵정피막이 코팅되어 있는 핵정과, 상기 핵정을 둘러싸는 둘러싸는 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핵 복합정제에 있어서,
    상기 핵정은, 록사티딘 아세테이트염 37.4 중량%, 미결정셀룰로오스 52.6 중량%,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4.0 중량%,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4.0 중량%, 활택제인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0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핵정피막은, 히프로멜로오스 62.5 중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6.3 중량%, 산화티탄 31.2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층은, 수크랄페이트 수화물 52.1 중량%, 비스무스 시트르산염 칼륨 17.4 중량%, 미결정 셀룰로오스 22.8 중량%,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3.5 중량%, 크로스 카멜로오스 나트륨 3.5 중량%,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7 중량%로 이루어지고,
    정제 1정당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 37.5~75mg와, 비스무트 시트르산염 칼륨 100~200mg, 수크랄페이트 수화물 300~600m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질환 치료용 유핵 복합정제.
KR1020220055873A 2022-05-06 2022-05-06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 KR20230156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873A KR20230156474A (ko) 2022-05-06 2022-05-06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873A KR20230156474A (ko) 2022-05-06 2022-05-06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6474A true KR20230156474A (ko) 2023-11-14

Family

ID=8874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873A KR20230156474A (ko) 2022-05-06 2022-05-06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647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179B1 (ko) 1999-06-21 2004-10-15 주식회사 대웅 피복된 라니티딘, 비스마스 서브시트레이트 및수크랄페이트를 함유하는 경구용 위장질환 치료용 약제조성물
KR20140072673A (ko) 2012-12-05 2014-06-13 (주)한국파비스제약 경구용 위장질환 치료를 위한 정제
KR101801064B1 (ko) 2015-07-20 2017-11-27 안국약품 주식회사 위장질환 치료용 삼중층 정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179B1 (ko) 1999-06-21 2004-10-15 주식회사 대웅 피복된 라니티딘, 비스마스 서브시트레이트 및수크랄페이트를 함유하는 경구용 위장질환 치료용 약제조성물
KR20140072673A (ko) 2012-12-05 2014-06-13 (주)한국파비스제약 경구용 위장질환 치료를 위한 정제
KR101801064B1 (ko) 2015-07-20 2017-11-27 안국약품 주식회사 위장질환 치료용 삼중층 정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994B1 (ko) 위산 분비의 억제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1908748B1 (ko) 구강내 붕괴정
US20160045444A1 (en) Composite formulation comprising a film coating layer containing rosuvastati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SA97170553B1 (ar) اشكال معايرة جرعات صيدلانية تعطى بالفم تتضمن مثبط مضخة البروتون proton pump inhibitor وعامل مضاد للحموضة او الجينات alginate
EA030433B1 (ru) Энтеросолюбильная таблетка
NZ281236A (en) Tablet (composition) comprising paracetamol (aceta-minophen) and domperidone (5-chloro-1-[1-[3-(2,3-dihydro-2-oxo-1H-benzimidazol -1-yl) propyl]-4-piperidinyl]-1,3-dihydra-2H-benzimidazol-2-one)
JP2007091648A (ja) ベンズイミダゾール系プロトンポンプ阻害剤及びh2受容体拮抗剤含有医薬組成物
TW202227066A (zh) 為錠劑形式之含奧美拉唑、埃索美拉唑或其醫藥上可接受鹽之醫藥組成物及其製備程序
JP2007091648A6 (ja) ベンズイミダゾール系プロトンポンプ阻害剤及びh2受容体拮抗剤含有医薬組成物
JP2013510128A (ja) 固形製剤
KR20140021985A (ko) Mups (다중단위 펠릿 시스템) 태블릿 형태의 경구형 에소메프라졸 약학 제형
JP2019532960A (ja) エソメプラゾール含有複合カプセル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45945A (ko) 프로톤 펌프 저해제 및 제산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N1321642C (zh) 泮托拉唑钠肠溶微丸
KR20140140353A (ko) 안정성 및 약물상호작용이 개선된 경구용 복합 정제 조성물
KR20230156474A (ko) 위장질환 치료용 복합정제
KR101801064B1 (ko) 위장질환 치료용 삼중층 정제
US20160045442A1 (en)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mesalamine
WO2010084637A1 (ja) 崩壊性及び溶出性に優れた内服用錠剤
KR102312604B1 (ko) 장용성의 프로톤펌프억제제 및 서방성의 모사프리드 제제를 포함하는 경질캡슐 제제
KR102334699B1 (ko) 프로톤펌프억제제 및 모사프리드를 포함하는 유핵정 제제
KR101387839B1 (ko) Ph-의존성 용해도를 갖는 활성 성분의 연장 방출형 제제
KR101567937B1 (ko) 안정성이 개선된 다층 고형 제제
KR101809886B1 (ko) 소형화된 클래리트로마이신 경구투여 제제
JP5208348B2 (ja) ナフトピジルを含有する医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