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876A - 3d 에어후드 - Google Patents

3d 에어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876A
KR20230155876A KR1020220055664A KR20220055664A KR20230155876A KR 20230155876 A KR20230155876 A KR 20230155876A KR 1020220055664 A KR1020220055664 A KR 1020220055664A KR 20220055664 A KR20220055664 A KR 20220055664A KR 20230155876 A KR20230155876 A KR 20230155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od
main body
guide
inj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식
이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20055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876A/ko
Publication of KR20230155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87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2Room div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 본체의 전면에 흡입부가 형성되어, 상부장의 간섭없이 외기를 흡입하며, 이중 에어커튼 구조에 의해 사각지대의 유해물질 차단 효과를 갖는 3D 에어후드를 제공하는 것으로, 조리기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후드 본체, 상기 후드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흡입부 및 상기 후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후드 본체의 전면 측에 구비되는 전면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분사부는 전면 측에 설치되고, 공기를 유입하는 전면 팬부재 및 저면에 형성되며, 유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전면 토출구를 포함하는 3D 에어후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3D 에어후드{3D AIR HOOD}
본 발명은 후드 본체의 전면에 흡입부가 형성되어, 상부장의 간섭없이 외기를 흡입하며, 이중 에어커튼 구조에 의해 사각지대의 유해물질 차단 효과를 갖는 3D 에어후드에 관한 것이다.
주방용 후드는 음식물 조리 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및 음식냄새,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방의 공기오염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종래 주방용 후드는 주방용 조리기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오염물질을 배기팬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종래의 주방용 후드는 오염물질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실내로 확산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인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특허문헌 1에 기재되었듯이,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배기장치를 특허출원 하였다.
다만, 상기 배기장치는 에어커튼을 형성하기 위해 실내의 공기를 후드 본체 내로 흡입하는 흡입구가 상기 후드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었는데, 이로 인해 후드 본체의 상부에 서랍장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흡입구로의 공기의 흡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 은 종래의 배기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특허문헌 1의 배기장치(1)는 흡입구(3)가 후드 본체(2)의 상면에 형성되며, 전면 팬부재(4)에 의해 상기 흡입구(3)를 통해 상기 후드 본체(2) 내로 공기가 유입된다. 또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전면 토출구(5)를 통해 에어커튼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주방에서는 상부장(10)이 설치됨에 따라, 상기 흡입구(3)로의 공기 흡입이 방해되며 에어커튼의 풍량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전면 토출구(5)는 상기 후드 본체(2)의 일측인 내측으로만 에어커튼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에어커튼이 형성되는 유로의 바깥 측에 형성되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부분의 유해물질까지는 차단이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1) KR10-2020-0115182 A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후드 본체의 전면에 흡입부가 형성되어, 상부장의 간섭없이 외기를 흡입하며, 이중 에어커튼 구조에 의해 사각지대의 유해물질 차단 효과를 갖는 3D 에어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3D 에어후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조리기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후드 본체, 상기 후드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흡입부 및 상기 후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후드 본체의 전면 측에 구비되는 전면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분사부는 전면 측에 설치되고, 공기를 유입하는 전면 팬부재 및 저면에 형성되며, 유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전면 토출구를 포함하는 3D 에어후드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공기는 측단면상에서, 상기 전면 팬부재에 의해 수평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전면 흡입부를 통해 상기 전면 분사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분사부는 상기 전면 토출구에 설치되되, 토출되는 상기 공기를 가이드하는 전면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가이드는 제1 전면 가이드 및 상기 제1 전면 가이드보다 상기 후드 본체의 전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2 전면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면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 되는 공기는 측단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드 본체의 내측으로 내측 에어커튼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전면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 되는 공기는 측단면상에서,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드 본체의 외측으로 외측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내측 에어커튼은 측단면상에서,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한 선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제1 경사각을 이루고, 상기 외측 에어커튼은 측단면상에서,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한 선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제2 경사각을 이룰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경사각은 상기 제2 경사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경사각은 30°내지 45°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경사각은 5°내지 15°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후드 본체의 제1 측면측에 구비된 제1 측면 분사부 및 제2 측면측에 구비된 제2 측면 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분사부 및 제2 측면 분사부는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1 측면 토출구 및 제2 측면 토출구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분사부 및 제2 측면 분사부는 전면에 설치된 제1 측면 팬부재 및 제2 측면 팬부재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분사부 및 제2 측면 분사부는 상기 제1 측면 토출구에 구비된 제1 측면 가이드 및 상기 제2 측면 토출구에 구비된 제2 측면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가이드 및 제2 측면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 되는 공기는 상기 후드 본체의 외측으로 측면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에어후드의 구조를 통하여, 후드 본체의 전면에 흡입부가 형성되어, 상부장의 간섭없이 외기를 흡입하며, 이중 에어커튼 구조에 의해 사각지대의 유해물질 차단 효과를 갖는 3D 에어후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은 종래의 배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에어후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정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에어후드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에어후드(100)를 도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에어후드(100)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에어후드(100)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에어후드(100)의 정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에어후드(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에어후드(100)는 조리기기(20, 도 5 참고)의 상부에 위치하는 후드 본체(110), 전면 흡입부(120) 및 전면 분사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측단면상에서 보았을 때, 수평방향을 제 1 방향,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높이방향은 제2 방향일 수 있고, 정단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방향, 제 2 방향, 제 3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방향은 X 방향, 제 2 방향은 X 방향에 수직한 Y 방향, 및 제 3 방향은 상기 X 방향 및 Y 방향에 수직한 Z 방향이 될 수 있으며, 다르게 제 1 방향은 반경 방향, 제 2 방향은 원주 방향, 제 3 방향은 높이 방향이 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후드 본체(110)의 상기 제1 방향의 면을 전면 및 후면일 수 있고, 상기 후드 본체(110)의 상기 제2 방향의 면을 저면 및 상면일 수 있으며, 상기 후드 본체(110)의 상기 제3 방향의 면을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일 수 있다.
상기 후드 본체(110)는 평단면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납작한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3D 에어후드(100)는 조리기기(20, 도 5 참고)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후드 본체(110)의 저면에 구비된 흡입구(160, 도 5 참고)를 통해 유해물질을 흡입하고, 상기 배기덕트(200)를 통해 실외로 배기한다.
상기 후드 본체(110)의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한 전면에는 상기 후드 본체(11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게 전면 흡입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 흡입부(120)는 데코판넬과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흡입부(120)는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제1 전면 흡입구(120a)와 제2 전면 흡입구(120b)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전면 흡입구(120a) 및 제2 전면 흡입구(120b)는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분사부(130)는 상기 후드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후드 본체(110)의 전면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면 분사부(130)는 상기 전면 흡입부(12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 흡입부(120)를 통해 상기 후드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전면 분사부(1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면 흡입부(120)를 통해 유입된 상기 공기는 상기 전면 분사부(13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 흡입부(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실내공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드 본체(110)의 제3 방향에 위치한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는 제1 측면 분사부(140) 및 제2 측면 분사부(1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측면 분사부(140) 및 제2 측면 분사부(150)는 전면에 설치된 제1 측면 팬부재(141) 및 제2 측면 팬부재(151)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팬부재(141) 및 제2 측면 팬부재(151)는 상기 전면 흡입부(12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제1 측면 분사부(140) 및 제2 측면 분사부(150) 내측으로 각각 흡입할 수 있다. 즉, 도 2 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제1 전면 흡입구(120a)는 상기 제1 측면 분사부(140) 및 전면 분사부(130)에 걸쳐서 형성되고, 상기 제2 전면 흡입구(120b)는 상기 제2 측면 분사부(150) 및 전면 분사부(130)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상기 전면 흡입부(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전면 분사부(130), 제1 측면 분사부(140) 및 제2 측면 분사부(150)의 내부로 각각 흡입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면 분사부(130)는 전면 팬부재(131) 및 전면 토출구(132)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 팬부재(131)는 전면 측에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전면 팬부재(131)는 상기 전면 흡입부(120)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흡입부(120)를 통해 공기를 상기 전면 분사부(130)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때, 상기 전면 팬부재(131)는 축류팬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공기의 흐름 방향이 송풍기의 축과 평행하고, 상기 축류팬을 이용할 경우 상기 3D 에어후드(100)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토출구(132)는 저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 분사부(130) 내부에 유입된 상기 공기는 상기 전면 토출구(132)를 통해 상기 후드 본체(110)의 외부로 토출되며 에어커튼을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전면 분사부(130)는 전면 가이드(13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면 가이드(133)는 상기 전면 토출구(132)에 설치되고, 토출되는 상기 공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 가이드(133)는 복수의 전면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면 가이드(133a) 및 제2 전면 가이드(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전면 가이드(133b)는 상기 제1 전면 가이드(133a) 보다 상기 후드 본체(110)의 전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면 가이드(133a) 및 제2 전면 가이드(133b)는 도 3 에 도시되었듯이 대향하는 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원하는 방향으로 토출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면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더하여, 상기 제1 전면 가이드(133a) 및 제2 전면 가이드(133b)는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다른 측으로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 상기 제1 전면 가이드(133a) 및 제2 전면 가이드(133b)는 상기 후드 본체(110)의 내측 및 외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분사부(130)는 상기 전면 팬부재(131)에 의해 공기가 상기 후드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전면 흡입부(120)를 거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유입된다. 상기 후드 본체(110)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전면 토출구(132)를 통해 다시 상기 후드 본체(110) 외부로 토출되는데, 측단면상에서, 상기 제1 전면 가이드(133a)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드 본체(110)의 내측으로 토출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전면가이드(133b)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드 본체(110)의 외측으로 토출된다. 즉, 상기 제1 전면 가이드(133a)에 의해 가이드 되는 공기는 내측 에어커튼(AC 1)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전면 가이드(133b)에 의해 가이드 되는 공기는 외측 에어커튼(AC 2)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측단면상에서 상기 내측 에어커튼(AC 1)은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한 선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제1 경사각(θ1)을 이루고, 상기 외측 에어커튼(AC 2)은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한 선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제2 경사각(θ2)을 이룰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면가이드(133a)는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드 본체(110)의 내측으로 제1 경사각(θ1)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전면가이드(133b)는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드 본체(110)의 외측으로 제2 경사각(θ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경사각(θ1)은 상기 제2 경사각(θ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경사각(θ1)은 30°내지 45°일 수 있다. 즉, 상기 3D 에어후드(100)의 하부에 위치한 조리기기(20, 도 5 참고)의 내측을 향해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에어커튼(AC 1)은 상기 조리기기(20, 도 5 참고)의 내측을 급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2 경사각(θ2)은 5°내지 15°일 수 있다. 즉, 상기 3D 에어후드(100)의 하부에 위치한 조리기기(20, 도 5 참고)의 외측을 향해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에어커튼(AC 2)은 상기 조리기기(20, 도 5 참고)의 외측으로 토출됨에 따라 상기 조리기기(20, 도 5 참고)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이 상기 외측 에어커튼(AC 2)의 바깥 측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에어후드(100)는 상기 제1 전면가이드(133a) 및 제2 전면가이드(133b)에 의해 상기 조리기기(20, 도 5 참고)의 내·외측으로 이중 에어커튼 구조(AC 1, AC 2)를 갖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에어후드(100)는 제1 측면 분사부(140) 및 제2 측면 분사부(15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측면 분사부(140)는 제1 측면 팬부재(141, 도 2 참고), 제1 측면 토출구(142) 및 제1 측면 가이드(14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분사부(150)는 제2 측면 팬부재(151, 도 2 참고), 제2 측면 토출구(152) 및 제2 측면 가이드(15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측면 분사부(140) 및 제2 측면 분사부(15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 측면 토출구(152) 및 제2 측면 토출구(153)를 통해 토출되며, 측면 에어커튼을 형성한다.
나아가, 상기 제1 측면 가이드(143) 및 제2 측면 가이드(153)는 상기 제1 측면 토출구(142) 및 제2 측면 토출구(15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측면 토출구(142) 및 제2 측면 토출구(15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각각 상기 후드 본체(110)의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측면 가이드 및 제2 측면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 되는 공기는 상기 후드 본체(110)의 외측으로 측면 에어커튼(AC 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제1 측면 가이드(143)에 의한 에어커튼(AC 3)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2 측면 가이드(153)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커튼 또한 마찬가지이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측면 에어커튼(AC 3)은 조리기기(20, 도 5 참고)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의 기류가 상기 제3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에어후드(100)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 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에어후드(100)의 구조에 따르면, 상기 후드 본체(110)의 외부의 공기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전면 흡입부(120)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며, 상기 전면 분사부(130)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전면 토출구(132)를 통해 상기 후드 본체(110)의 외부로 다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제1 전면 가이드(133a) 및 제2 전면 가이드(133b)에 의해 가이드 되는 공기는 내측 에어커튼(AC 1) 및 외측 에어커튼(AC 2)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드 본체(110)의 상부에 상부장이 설치되더라도, 상기 공기의 흡입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전면 분사부(13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중 에어커튼 구조(AC 1, AC 2)를 갖으므로, 상기 내측 에어커튼(AC 1)에 의해 상기 조리기기(20, 도 5 참고)에서 상기 후드 본체(110)의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160)로 향하는 유로를 급기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외측 에어커튼(AC 2)에 의해 상기 조리기기(20, 도 5 참고)의 외측으로 확산되는 오염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더하여, 도 5 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내측 에어커튼(AC 1)의 바깥 측에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도 1 참고)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데드 스페이스 측으로 상승되는 유해물질 기류 중 일부는 슬립 조건에 의해 상기 내측 에어커튼(AC 1)을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하강하여 다시 상기 조리기기(20) 측의 상승 기류를 타고 상기 흡입구(16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드 스페이스 측으로 상승되는 유해물질 기류 중 나머지는 상기 외측 에어커튼(AC 2)을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하강하여 다시 상기 조리기기(20) 측의 상승 기류를 타고 상기 흡입구(16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에어후드(100)의 이중 에어커튼 구조(AC 1, AC 2)는 상기 내측 에어커튼(AC 1)의 바깥 측에 형성되는 데드 스페이스의 유해물질 기류를 다시 상기 흡입구(160) 측으로 유동하게 급기하는 역할과 상기 외측 에어커튼(AC 2)의 바깥 측으로는 확산되지 못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동시에 함에 따라 상기 3D 에어후드(100)의 배기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유해물질이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변화 없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3D 에어후드 110: 후드 본체
120: 전면 흡입부 120a: 제1 전면 흡입구
120b: 제2 전면 흡입구 130: 전면 분사부
131: 전면 팬부재 132: 전면 토출구
133: 전면 가이드 133a: 제1 전면 가이드
133b: 제2 전면 가이드 140: 제1 측면 분사부
141: 제1 측면 팬부재 142: 제1 측면 토출구
143: 제1 측면 가이드 150: 제2 측면 분사부
151: 제2 측면 팬부재 152: 제2 측면 토출구
153: 제2 측면 가이드 160: 흡입구
200: 배기덕트 AC 1: 내측 에어커튼
AC 2: 외측 에어커튼 AC 3: 측면 에어커튼

Claims (11)

  1. 조리기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후드 본체;
    상기 후드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흡입부; 및
    상기 후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후드 본체의 전면 측에 구비되는 전면 분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분사부는,
    전면 측에 설치되고, 공기를 유입하는 전면 팬부재; 및
    저면에 형성되며, 유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전면 토출구;
    를 포함하는 3D 에어후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는,
    측단면상에서, 상기 전면 팬부재에 의해 수평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전면 흡입부를 통해 상기 전면 분사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에어후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분사부는,
    상기 전면 토출구에 설치되되, 토출되는 상기 공기를 가이드하는 전면 가이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가이드는,
    제1 전면 가이드; 및
    상기 제1 전면 가이드보다 상기 후드 본체의 전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2 전면 가이드;
    를 포함하는 3D 에어후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면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 되는 공기는,
    측단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드 본체의 내측으로 내측 에어커튼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전면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 되는 공기는,
    측단면상에서,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드 본체의 외측으로 외측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3D 에어후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에어커튼은,
    측단면상에서,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한 선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제1 경사각을 이루고,
    상기 외측 에어커튼은,
    측단면상에서,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한 선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제2 경사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에어후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각은,
    상기 제2 경사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에어후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각은 30°내지 45°인 3D 에어후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각은 5°내지 15°인 3D 에어후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본체의 제1 측면측에 구비된 제1 측면 분사부 및 제2 측면측에 구비된 제2 측면 분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분사부 및 제2 측면 분사부는,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1 측면 토출구 및 제2 측면 토출구를 각각 포함하는 3D 에어후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분사부 및 제2 측면 분사부는,
    전면에 설치된 제1 측면 팬부재 및 제2 측면 팬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3D 에어후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분사부 및 제2 측면 분사부는,
    상기 제1 측면 토출구에 구비된 제1 측면 가이드 및 상기 제2 측면 토출구에 구비된 제2 측면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가이드 및 제2 측면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 되는 공기는,
    상기 후드 본체의 외측으로 측면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3D 에어후드.
KR1020220055664A 2022-05-04 2022-05-04 3d 에어후드 KR20230155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664A KR20230155876A (ko) 2022-05-04 2022-05-04 3d 에어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664A KR20230155876A (ko) 2022-05-04 2022-05-04 3d 에어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876A true KR20230155876A (ko) 2023-11-13

Family

ID=8874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664A KR20230155876A (ko) 2022-05-04 2022-05-04 3d 에어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58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0726B1 (en) Exhaust hood with an exhaust enhancement apparatus
JP4160356B2 (ja) 壁掛け型電子レンジ
KR100739156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FI82206B (fi) Avluftshuva.
KR20090055329A (ko) 밴트그릴
KR100677289B1 (ko) 배기 후드
JP2005513407A (ja) 台所用排気フード
JP2012511684A (ja) 吸入フード
JP2003207184A (ja) 給排型厨房換気装置の給気吹出し構造
KR100466663B1 (ko) 슬라이드타입 레인지후드
KR100536849B1 (ko) 음이온이 발생되는 에어커튼타입 가스레인지후드
KR100519857B1 (ko) 슬라이드타입 레인지후드
KR20230155876A (ko) 3d 에어후드
KR100741783B1 (ko) 배기 후드
KR200386369Y1 (ko) 신선공기 도입형 주방용 레인지후드
KR102381708B1 (ko) 주방 스마트 후드
KR101822828B1 (ko) 주방용 후드
ITPN20060077A1 (it) Apparecchio perfezionato per la cottura fronte-cliente
WO2006001065A1 (ja) 室内空気によるエアカーテンを形成するレンジフード
KR102176927B1 (ko) 숯불 화로
KR102657265B1 (ko) 오염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커튼이 형성되며 청정외기 도입에 의한 환기가 가능한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
KR100664068B1 (ko) 배기 후드
KR200266754Y1 (ko) 가스 구이장치
CN206247424U (zh) 一种吸油烟机推流机构
EP1630477B1 (en) kitchen exhaust h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