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265B1 - 오염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커튼이 형성되며 청정외기 도입에 의한 환기가 가능한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염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커튼이 형성되며 청정외기 도입에 의한 환기가 가능한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7265B1 KR102657265B1 KR1020230087062A KR20230087062A KR102657265B1 KR 102657265 B1 KR102657265 B1 KR 102657265B1 KR 1020230087062 A KR1020230087062 A KR 1020230087062A KR 20230087062 A KR20230087062 A KR 20230087062A KR 102657265 B1 KR102657265 B1 KR 1026572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intake
- air supply
- air curtain
- inle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AHZWNYVWXNFOC-UHFFFAOYSA-N Sulphur dioxide Chemical compound O=S=O RAHZWNYVWXNFO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66 aller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MGWGWNFMUOTEHG-UHFFFAOYSA-N 4-(3,5-dimethylphenyl)-1,3-thiazol-2-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2N=C(N)SC=2)=C1 MGWGWNFMUOTEH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931705 Cica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4 alkalin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287 alkaline earth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42 alkaline earth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15 allerg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02 health probl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5 indoor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CXJVPUVTGWSNB-UHFFFAOYSA-N nitroge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N]=O JCXJVPUVTGWS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7 uniform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2—Room div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커튼이 형성되며 청정외기 도입에 의한 환기가 가능한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염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커튼이 형성되며 청정외기 도입에 의한 환기가 가능한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방용 흡기 후드 또는 환풍기는 주로 주방에서 요리를 할 때 생성되는 냄새, 열, 그리고 먼지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기기이다. 이러한 장치는 주방의 환경을 개선하고, 공기 품질을 유지하며, 화재 위험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가진다. 주방용 환풍기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설치 위치나 용도에 따라 선택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주방용 환풍기는 주방 천장에 설치되며, 구조상 가스레인지 또는 오븐 레인지의 직상방으로 상승되는 냄새 등을 배출시켜 주었지만 주위로 분산되어 배출범위를 벗어난 잔류물질인 연기, 냄새 등은 배출시켜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에어커튼을 설치하는 시도가 있어왔다.
에어커튼은 주로 건물의 입구에 설치되어 외부와 내부의 공기를 분리하여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냉난방 효율을 증가시키는 장치이다. 그러나 주방에 에어커튼이 사용될 경우에는 요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 냄새, 기름기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0814호, 에어 커튼이 구비된 조리용 가열수단은 열원 외주연에 위치되는 에어커튼발생수단과, 열원의 상부에 위치하는 배기후드를 이용하여 조리시에 발생하는 연기 또는 냄새가 배기후드 쪽으로 자연 유도되어 실내로 이들 연기 또는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실내 공기오염을 일소하는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에어커튼이 구비된 조리용 가열수단을 개시한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기술의 에어 커튼이 구비된 조리용 가열수단은 가스 레인지나 오븐을 위한 공간의 아래부분에 송풍기나 에어 챔버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 가스레인지나 오븐 아래에 설치 공간이 없는 환경에서는 종래 기술이 적용될 수 없는 새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다수의 인원을 위한 식사를 준비하는 주방에서는 대형 솥과 같은 큰 주방 기구의 사용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기구들은 그 크기와 무게 때문에 실용적으로 주방의 바닥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배치는 종래기술과 같은 빌트인 에어 커튼 장치를 설치하는데 제약을 가져온다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설치 환경, 다양한 조리 기구의 크기, 특히 대형 솥과 같은 큰 주방 기구에서 발생하는 오염 공기가 주위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오염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커튼이 형성되며 청정외기 도입에 의한 환기가 가능한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은 외기를 급기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커튼 모듈; 흡기 후드와 흡기 파이프를 포함하며, 오염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부; 외기를 도입하고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커튼 모듈은, 삼각 이상의 다각추 형상을 가지며, 상면의 흡기출구 및 저면의 흡기입구가 개구되고, 상기 흡기입구의 아래의 조리 공간의 공기를 상기 흡기입구와, 상기 흡기출구와 연결된 상기 흡기 파이프를 통해 흡기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흡기 후드에 설치되고, 상기 흡기 후드의 적어도 일 측면의 덥도록 설치되고, 상면의 급기입구와 저면의 급기출구가 개구되고, 상기 급기출구는 상기 흡기입구의 테두리의 일 변을 따르고, 상기 급기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외기를 급기출구를 통해 배출하여 조리 공간의 일 변에 아래를 향해 배출되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에어커튼부; 상기 급기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력을 제공받는 급기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커튼부는 상기 흡기 후드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설치되되, 상기 흡기 후드의 복수의 측면에 각각 설치된 상기 에어커튼부의 공기 통로들은 유체적으로 독립적일 수 있다.
상기 에어커튼부는 상기 급기입구로부터 상기 급기출구를 향해 가로방향의 길이가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되, 폭방향의 길이는 짧아짐으로써, 상기 급기출구를 향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어커튼부의 내부에는 두 개의 안내판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판은 상기 에어커튼부의 내부공간을 균등하게 구분하고, 상기 급기입구 및 상기 급기 파이프는 원형의 개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안내판은 상기 원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원형의 반지름의 0.53배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평행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급기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커튼부의 상기 급기출구의 하부에는 필터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에는 먼지필터, 유해가스 제거필터, 및 탈취강화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는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는 청정외기를 도입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에어커튼이 배출되는 부분에 설치된 필터부를 통하여 외기 중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알러지 유발 물질, 유해 가스, 연기, 및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주방 내 공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에어커튼 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한 설치 환경, 다양한 조리 기구의 크기에도 적응적으로 오염 공기가 주위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은 에어커튼부의 구조 및 에어커튼부에 설치되는 안내판을 통하여, 에어커튼을 위한 공기가 발사되는 영역에서 균일하게 공기가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이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이 설치된 다른 예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이 설치된 예의 단면도로서 오염 공기의 흡기 및 청정외기 도입에 의해 환기되는 공기의 흐름들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의 에어커튼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에서 안내판의 설치위치의 결정하기 위해 참조되는 원의 넓이를 계산하는 그림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이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이 설치된 다른 예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이 설치된 예의 단면도로서 오염 공기의 흡기 및 청정외기 도입에 의해 환기되는 공기의 흐름들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의 에어커튼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에서 안내판의 설치위치의 결정하기 위해 참조되는 원의 넓이를 계산하는 그림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이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이 설치된 다른 예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이 설치된 예의 단면도로서 오염 공기의 흡기 및 청정외기 도입에 의해 환기되는 공기의 흐름들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의 에어커튼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에서 안내판의 설치위치의 결정하기 위해 참조되는 원의 넓이를 계산하는 그림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1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10)은 에어커튼 모듈(100), 흡기부(200) 및 송풍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방용 환기 시스템(10)은 에어커튼 모듈(100)을 포함하는 또는 추가적으로 설치된 시스템 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주방용 환기 시스템(10)은 오염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커튼이 형성되며 청정외기 도입에 의한 환기가 가능할 수 있다.
에어커튼 모듈(100)은 에어커튼부(110), 급기 파이프(120)를 포함할 수 있고, 흡기부(200)는 흡기 후드(210) 및 흡기 파이프(220)를 포함하며, 오염 공기를 흡기할 수 있다. 송풍기(300)는 외기를 도입하고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송풍기(300)는 에어커튼 모듈(100)에 청정 외기를 공급하고, 흡기부(200)로부터 오염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송풍기(300)는 에어커튼 모듈(100) 및 흡기부(200) 각각을 위하여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송풍기(300)는 전원을 공급받아 내부에 구성된 팬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풍량을 발생시켜 압송하며 원심팬, 사류(斜流)팬, 축류팬, 시로코팬(sirrocco fan) 등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송풍이 가능한 팬이면 어느 팬이라도 무방하다. 송풍기(300)는 일반적으로 "블로워"(blower) 또는 "팬"(fan)이라는 용어로도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흡기부(200)는 흡기 후드(210) 및 흡기 파이프(220)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 후드(210)는 하부의 흡기입구(211)가 상부의 흡기출구(212)보다 큰 면적을 가진 사각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흡기 후드(210)는 흡기입구(211) 및 흡기출구(212)가 연통되는 내부의 흡기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사각추는 사각형을 기반으로 하는 피라미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단과 하단의 면이 평행하며, 네 개의 측면은 사다리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흡기 후드(210)의 상단의 개구된 면이 흡기출구(212)일 수 있고, 하단의 개구된 면이 흡기입구(211)일 수 있다.
흡기 후드(210)가 사각추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단의 흡기출구(212)가 좁고 하단의 흡기입구(211)가 넓은 형태를 가지는데, 이는 공기 흐름을 적절히 유도하여 조리 공간(CA, cooking area))에서 발생하는 냄새나 연기 등을 포함하는 오염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하고 제거하기 위함이다. 주방용 환기 시스템(10)의 아래에 위치하는 조리 기구(20)에서 발생하는 냄새, 연기를 포함하는 오염 공기는 흡기 후드(210)의 흡기입구(211)로부터 흡기출구(212)로 집중되어 이동할 수 있다. 흡기입구(211)는 흡기부(200)의 아래의 조리 공간(CA)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흡기 파이프(220)는 일 단이 흡기출구(212)와 연통되고, 타 단이 주방용 환기 시스템(10)이 설치된 공간의 벽(30)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기 후드(210)에서 흡기된 오염 공기가 주방용 환기 시스템(10)이 설치된 실내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흡기부(200)가 조리 공간(CA)에서 발생하는 오염 공기를 흡기 후드(210) 및 흡기 파이프(220)를 통해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은 흡기부(200)와 연결된 송풍기(3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커튼 모듈(100)은 에어커튼부(110) 및 급기 파이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커튼 모듈(100)은 필터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커튼부(110)의 상부의 급기입구(111)는 급기 파이프(120)와 연결될 수 있다. 급기입구(111)는 흡기부(200) 또는 흡기 후드(210)의 상부 또는 흡기출구(212)의 테두리(periphery)의 적어도 일 변을 따를(along with) 수 있다. 에어커튼부(110)의 하부의 급기출구(112)는 흡기부(200) 또는 흡기 후드(210)의 흡기입구(211)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 변을 따를 수 있다.
에어커튼부(110)의 급기 파이프(120)로부터 급기입구(111)로 공급되는 공기를 하부의 급기출구(112)를 통해 발사하여 청정외기로 형성된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에어커튼부(110)는 조리 공간(CA)을 커버하는 흡기부(200) 또는 흡기 후드(2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급기 파이프(120)로부터 급기된 공기를 하부로 발사하여 형성되는 에어커튼은, 조리 공간(CA)의 오염 공기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오염 공기가 모두 흡기부(20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복수의 에어커튼부(1110)가 흡기 후드(210)의 테두리를 따름으로써 흡기 후드(210)가 커버하는 조리 공간(CA)의 테두리에 에어커튼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커튼부(110)는 사각추 형상을 가진 흡기 후드(210)의 일 측면을 덮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흡기 후드(210)의 일 측면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에어커튼부(110)는 흡기 후드(210)의 일 측면의 형상을 따를 수 있다.
에어커튼부(110)는 상부의 급기입구(111) 및 하부의 급기출구(112)가 개방되고, 급기입구(111) 및 급기출구(112) 외에는 밀폐되는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커튼부(110)는 흡기 후드(210)의 형상을 따라, 상부의 급기입구(111)는 좁고 하부의 급기출구(112)는 넓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커튼부(110)는 흡기 후드(210)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껍데기(shell) 형상을 가짐으로써, 에어커튼으로서 급기출구(112)를 통해 하부로 발사될 공기가 연통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커튼부(110)는 에어커튼으로서 급기출구(112)를 통해 하부로 발사될 공기가 연통하는 공간을 별도로 가지는 내부가 빈 다각면체일 수 있다.
급기 파이프(120)는 일 단이 에어커튼부(110)의 상부의 급기입구(111)와 연통되고, 급기출구(112)의 상부와 연통되고 타 단이 주방용 환기 시스템(10)이 설치된 공간의 벽(30)을 관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주방용 환기 시스템(10)이 설치된 실내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급기 파이프(120)를 통해 청정외기를 에어커튼부(110)를 통해 실내로 유입시기키 위한 공기의 흐름은 송풍기(3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에어커튼 모듈(100)의 급기 파이프(120) 및 흡기부(200)의 흡기 파이프(220)는 천장의 벽(30)을 관통하지만 다양한 실시예에서 급기 파이프(120) 및 흡기 파이프(220)는 측벽 또는 창문 등을 통해서 연통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예에서는 흡기 후드(210)가 사각추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흡기 후드(2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흡기 후드(210)는 삼각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조리 공간(CA)은 실내의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리 공간(CA)의 두 측면은 벽으로 막혀 있고, 에어커튼 모듈(100)은 흡기 후드(210)가 벽과 마주하지 않는 일 변에만 에어커튼을 발생시키면, 조리 공간(CA)의 오염 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커튼부(110)는 흡기 후드(210)의 일 측면에만 설치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흡기 후드(210)는 사각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조리 공간(CA)은 실내의 일 벽에 부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리 공간(CA)의 일 측면은 벽으로 막혀 있고, 에어커튼 모듈(100)은 흡기 후드(210)의 일 변을 제외한 세 변에서 에어커튼을 발생시킴으로써 조리 공간(CA)의 오염 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커튼부(110)는 흡기 후드(210)의 세 측면에만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2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흡기부(200)에 설치되는 에어커튼 모듈(100)에는 에어커튼부(110)를 포함하는 복수의 에어커튼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에어커튼부(110)는 모듈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흡기부(200)에 설치되는 복수의 에어커튼부(110)에는 각각의 급기 파이프(120)가 연결되고 독립적으로 에어커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에어커튼부(110)는 서로 유체적으로 또는 공기 통로가 독립적 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에어커튼부(110)는 급기입구(111)로 유입된 공기를 급기출구(112)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급기입구(111)는 급기 파이프(120)와 연결될 수 있다. 에어커튼부(110)는 급기 파이프(120)를 통해 외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급기출구(112)는 필터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급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는 필터부(130)를 통과할 수 있다.
에어커튼부(110)는 급기 파이프(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급기출구(112)로 배출하고, 급기출구(112)로 배출된 청정외기가 조리 공간(CA)의 일 변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급기입구(111)를 통해 공급되는 외기가, 급기출구(112)에서 균일하고 빠른 속도로 배출되기 위하여, 에어커튼부(110)는 상부의 급기입구(111)로부터 하부의 급기출구(112)까지 폭은 가로방향(또는 길이방향)은 넓어지되, 폭은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에어커튼부(110)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 형상을 가지되 상부와 하부(또는 상면과 하면)이 급기입구(111) 및 급기출구(112)로서 개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에어커튼부(110)의 가로방향의 길이는 급기입구(111)로부터 급기출구(112)를 향해 갈수록 길어질 수 있으나 반대로 폭의 길이는 좁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커튼부(110)를 B-B단면 및 C-C단면에서 절단한 부분 단면도를 살펴보면, B-B단면에서의 가로방향의 길이(L1), 및 C-C단면에서의 가로방향의 길이(L2)는 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B-B단면에서의 폭방향의 길이(W1), 및 C-C단면에서의 폭방향의 길이(W2)는 선형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급기입구(111)로 유입된 외기는 급기출구(112)로 배출되면서 보다 빠른 속도를 가지고, 급기출구(112)의 길이방향에서 균일한 분포로 배출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커튼부(11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안내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판(140)은 급기입구(111)를 통해 에어커튼부(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가 급기출구(112)에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커튼부(110)는 두 개의 안내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에어커튼부(110)는 제1 안내판 (141) 및 제2 안내판(1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안내판 (141) 및 제2 안내판(142)은 급기입구(111)로부터 급기출구(112)까지 에어커튼부(110)의 내부의 제1 안내판 (141) 및 제2 안내판(142)에 의해 나뉘는 단면적이 균일하게 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커튼부(110)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또는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안내판 (141) 및 제2 안내판(142)은 중심에서 이격되며,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의 측변을 따라 기울어진 형상일 가질 수 있다. 제1 안내판 (141) 및 제2 안내판(142)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내판 (141) 및 제2 안내판(142)에 의해 각각 구분되는 A-A단면에서의 면적 S1들은 서로 같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 안내판 (141) 및 제2 안내판(142)에 의해 각각 구분되는 B-B단면에서의 면적 S2들은 서로 같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 안내판 (141) 및 제2 안내판(142)에 의해 각각 구분되는 C-C단면에서의 면적 S3들은 서로 같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에어커튼부(110)에서 제1 안내판 (141) 및 제2 안내판(142)에 의해 구분되는 공기의 통로는, 가로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서로 같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커튼부(110)를 통과하는 외기가 균등하게 확산될 수 있다.
에어커튼부(110)에서 제1 안내판 (141) 및 제2 안내판(142)에 의해 구분되는 공기의 통로는 세로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길어지는 가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안내판 (141) 및 제2 안내판(142)은 직선형이지만, 에어커튼부(110)의 형상 등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서 구부러진 곡선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커튼부(110)에서 제1 안내판 (141) 및 제2 안내판(142)에 의해 구분되는 외기의 통로는 세로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짧아지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내판 (141) 및 제2 안내판(142)에 의해 각각 구분되는 A-A단면에서의 면적 S1과, B-B단면에서의 면적 S2와, C-C단면에서의 면적 S3은 세로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급기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같은 유량이 급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야 하므로, 더 빠른 속도로 균등하게 급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고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B-B단면에서의 면적 S2와, C-C단면에서의 면적 S3이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도록, 각 단면에서의 길이방향 및 세로방향은 선형적으로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다.
한편, 급기 파이프(120)는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일 수 있고, 급기 파이프(120)와 직접 연결되는 급기입구(111)도 원형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도 4와 같이 A-A단면에서의 안내판(140)에 의해 구분되는 면적 S1은 서로 같은 면적을 가져야 하므로, 제1 안내판 (141) 및 제2 안내판(142)은 제1 안내판 (141) 및 제2 안내판(142)에 의해 구분되는 면적 S1이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호(arc)와 호의 양 끝점을 직선(c)으로 이은 도형(이하 원형 세그먼트(circular segment)의 면적(초록색)이 원의 전체 면적의 1/3이 되게 하는 직선(c)의 위치를 계산하도록 하자. 이하 원형 세그먼트의 면적과 원의 면적의 1/3이 동일함을 나타내는 수학식 1 및 역산하는 수학식 2를 통해 부채꼴의 각도를 계산하면 는 2.6053 rad 일 수 있다. 이 때, 원의 중심으로부터 직선(c)까지의 거리는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계산하면 0.265R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안내판 (141) 및 제2 안내판(142)은 중심거리가 급기 파이프(120)의 반지름(R)의 약 0.53배일 수 있다. 또는 제1 안내판 (141) 및 제2 안내판(142)은 각각 원의 중심으로부터 급기 파이프(120)의 반지름(R)의 약 0.265배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커튼부(110)의 급기출구(112) 하단에는 필터부(130)가 설치될 수 있고, 필터부(130)에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130)는 제1 필터(410), 제2 필터(420) 및 제3 필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410), 제2 필터(420) 및 제3 필터(430)는 각각 먼지필터, 유해가스 제거필터, 탈취강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필터(4110), 제2 필터(420) 및 제3 필터(430)는 각각 그 순서를 달리하여 적층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각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다.
먼지필터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와 알러지 유발 물질, 미세먼지와 같은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주로 공기 중의 고체 입자를 포착하며, 그 크기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먼지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먼지필터는 예를 들어,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는 0.3 미크론 이상의 입자를 99.97% 이상 걸러낼 수 있다.
유해가스 제거필터는 공기 중의 유해 가스를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이산화황, 이산화 질소, 이산화 탄소와 같은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유형에는 활성탄 필터, 화학 필터, 알칼리토금속과 산화물을 이용한 필터 등이 있다. 활성탄 필터는 특히 흡착력이 강하여 다양한 가스와 악취를 잘 제거할 수 있다.
탈취강화 필터는 주방에서 요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 담배 연기, 반려동물의 냄새 등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탈취강화 필터는 주로 활성탄을 이용한 필터로, 활성탄은 표면이 매우 퍼져 있어 냄새를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부(130)에 포함된 먼지필터는 실내 공기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알레르기와 호흡기 질환 등의 건강 문제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유해가스 제거필터는 실내 공기의 가스 오염 수준을 감소시키고 건강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탈취강화 필터는 상쾌하고 청결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필터부(130)에 설치되는 제1 필터(410), 제2 필터(420) 및 제3 필터(430)는 매미고리, 원터치 래치, 또는 마그네틱 캐치와 같은 경첩을 통해 필터부(130)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10)에 있어서, 에어커튼 모듈이 설치되는 흡기 후드(210)는 삼각 이상의 다각추 형상을 가지며, 상면의 흡기출구(212) 및 저면의 흡기입구(211)가 개구되고, 상기 흡기입구(211)의 아래의 조리 공간(CA)의 공기를 상기 흡기출구(212)에 연결된 흡기 파이프(220)를 통해 흡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주방용 흡기 후드에 설치가능한 에어커튼 모듈은: 상기 흡기 후드(210)의 사다리꼴 형상의 적어도 일 측면의 덥도록 설치되고, 상면의 급기입구(111)와 저면의 급기출구(112)가 개구되고, 상기 급기출구(112)는 상기 흡기입구(211)의 테두리의 일 변을 따르고, 상기 급기입구(111)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급기출구(112)를 통해 배출하여 조리 공간(CA)의 일 변에 아래를 향해 배출되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에어커튼부(110); 상기 급기입구(111)와 연결되는 급기 파이프(120); 및 상기 급기 파이프(120)에 송풍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송풍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커튼부(110)는 상기 흡기 후드(210)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설치되되, 상기 흡기 후드(210)의 복수의 측면에 각각 설치된 에어커튼부(110)는 서로 독립되는 공기통로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주방용 흡기 후드에 설치가능한 에어커튼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부(110)는 상기 급기입구(111)로부터 상기 급기출구(112)를 향해 가로방향의 길이가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되, 폭방향의 길이는 짧아짐으로써, 상기 급기출구(112)를 향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주방용 흡기 후드에 설치가능한 에어커튼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부(110)의 내부에는 두 개의 안내판(140)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판(140)은 상기 에어커튼부(110)의 내부공간을 균등하게 구분하고, 상기 급기입구(111) 및 상기 급기 파이프(120)는 원형의 개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안내판(140)은 상기 원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원형의 반지름의 0.53배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평행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급기입구(111)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주방용 흡기 후드에 설치가능한 에어커튼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부(110)의 상기 급기출구(112)의 하부에는 필터부(13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130)에는 먼지필터, 유해가스 제거필터, 및 탈취강화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 외기를 급기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커튼 모듈;
흡기 후드와 흡기 파이프를 포함하며, 오염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부; 및
외기를 도입하고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커튼 모듈은,
삼각 이상의 다각추 형상을 가지며, 상면의 흡기출구 및 저면의 흡기입구가 개구되고, 상기 흡기입구의 아래의 조리 공간의 공기를 상기 흡기입구와, 상기 흡기출구와 연결된 상기 흡기 파이프를 통해 흡기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흡기 후드에 설치되고,
상기 흡기 후드의 적어도 일 측면을 덥도록 설치되고, 상면의 급기입구와 저면의 급기출구가 개구되고, 상기 급기출구는 상기 흡기입구의 테두리의 일 변을 따르고, 상기 급기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외기를 급기출구를 통해 배출하여 조리 공간의 일 변에 아래를 향해 배출되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에어커튼부; 및
상기 급기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력을 제공받는 급기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커튼부는 상기 흡기 후드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설치하되, 상기 흡기 후드의 복수의 측면에 각각 설치된 상기 에어커튼부의 공기 통로들은 유체적으로 독립적이며,
상기 에어커튼부는 상기 급기입구로부터 상기 급기출구를 향해 가로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고 폭방향의 길이는 상기 에어커튼부의 횡단면적이 선형적으로 작아지도록 짧아짐으로써, 상기 급기출구를 향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고,
상기 에어커튼부의 내부에는 두 개의 안내판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판은 상기 에어커튼부의 내부공간을 균등하게 구분하고,
상기 급기입구 및 상기 급기 파이프는 원형의 개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급기출구는 흡기입구의 테두리의 일 변을 장변으로 가지는 사각형이며,
상기 두 개의 안내판은 상기 급기입구에서 상기 원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원형의 반지름의 0.53배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평행하여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급기출구에서 상기 테두리를 균등하게 삼등분하여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부의 상기 급기출구의 하부에는 필터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에는 먼지필터, 유해가스 제거필터, 및 탈취강화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7062A KR102657265B1 (ko) | 2023-07-05 | 2023-07-05 | 오염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커튼이 형성되며 청정외기 도입에 의한 환기가 가능한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7062A KR102657265B1 (ko) | 2023-07-05 | 2023-07-05 | 오염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커튼이 형성되며 청정외기 도입에 의한 환기가 가능한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57265B1 true KR102657265B1 (ko) | 2024-04-15 |
Family
ID=9071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7062A KR102657265B1 (ko) | 2023-07-05 | 2023-07-05 | 오염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커튼이 형성되며 청정외기 도입에 의한 환기가 가능한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7265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56419A (en) * | 1987-05-15 | 1989-08-15 | Takeo Imai | Process for collecting a contaminated substance and apparatus thereof |
KR960002602U (ko) * | 1994-06-29 | 1996-01-22 | 스틸 룰 | |
KR20100116265A (ko) * | 2009-04-22 | 2010-11-01 | 이수식 | 주방용 에어 밀폐식 흄후드 시스템 |
KR101930814B1 (ko) | 2017-08-04 | 2018-12-19 | 강삼태 | 에어 커튼이 구비된 조리용 가열수단 |
CN212005851U (zh) * | 2020-04-26 | 2020-11-24 | 浙江松科电器有限公司 | 一种静音式风幕抽油烟机 |
-
2023
- 2023-07-05 KR KR1020230087062A patent/KR1026572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56419A (en) * | 1987-05-15 | 1989-08-15 | Takeo Imai | Process for collecting a contaminated substance and apparatus thereof |
KR960002602U (ko) * | 1994-06-29 | 1996-01-22 | 스틸 룰 | |
KR20100116265A (ko) * | 2009-04-22 | 2010-11-01 | 이수식 | 주방용 에어 밀폐식 흄후드 시스템 |
KR101930814B1 (ko) | 2017-08-04 | 2018-12-19 | 강삼태 | 에어 커튼이 구비된 조리용 가열수단 |
CN212005851U (zh) * | 2020-04-26 | 2020-11-24 | 浙江松科电器有限公司 | 一种静音式风幕抽油烟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00665B2 (en) | Combination appliance having a cooktop and steam extraction device | |
US6347626B1 (en) | Ventilation system for a kitchen | |
JP5626588B2 (ja) | 空調システム | |
KR20130054722A (ko) |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 |
JP2005513407A (ja) | 台所用排気フード | |
JP2012511684A (ja) | 吸入フード | |
KR20120040689A (ko) | 캐노피 후드 배기장치 | |
CN104344438B (zh) | 一种多功能一体式油烟机 | |
KR102657265B1 (ko) | 오염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커튼이 형성되며 청정외기 도입에 의한 환기가 가능한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 | |
KR101586379B1 (ko) | 인덕션 수·유증기 포집이 가능한 배출장치 | |
KR100384700B1 (ko) | 주방용 배기 후드 | |
KR101822828B1 (ko) | 주방용 후드 | |
KR102381708B1 (ko) | 주방 스마트 후드 | |
KR101985797B1 (ko) |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 |
KR200429243Y1 (ko) | 주방용 후드 구조 | |
US20230167979A1 (en) | Tabletop Cooking Assembly | |
KR100608704B1 (ko) | 주방용 후드의 월제트 배기장치 | |
JP2002228222A (ja) | レンジフード | |
WO2006001065A1 (ja) | 室内空気によるエアカーテンを形成するレンジフード | |
KR101431508B1 (ko) | 자동 공기순환 덕트장치 | |
CN209459012U (zh) | 一种风帘式家用抽油烟机 | |
KR100556835B1 (ko) | 주방용 배기후드 | |
KR102611747B1 (ko) | 공기정화형 후드 시스템 | |
KR200495257Y1 (ko) | 주방 스마트 후드 | |
KR20230155876A (ko) | 3d 에어후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