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257Y1 - 주방 스마트 후드 - Google Patents

주방 스마트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257Y1
KR200495257Y1 KR2020210003025U KR20210003025U KR200495257Y1 KR 200495257 Y1 KR200495257 Y1 KR 200495257Y1 KR 2020210003025 U KR2020210003025 U KR 2020210003025U KR 20210003025 U KR20210003025 U KR 20210003025U KR 200495257 Y1 KR200495257 Y1 KR 200495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pening
pipe
hood body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계주
Original Assignee
유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계주 filed Critical 유계주
Priority to KR2020210003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2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2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가 경사진 개구부로 형성된 후드본체; 후드본체의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구획하는 제1 칸막이; 제2 개구부와 연통하는 배기구가 마련되고, 배기구에 내부필터가 구비된 제2 칸막이; 급기수단이 연결되는 급기덕트플렌치; 배기수단이 연결되는 배기덕트플렌치; 및 후드본체의 제2 개구부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설치되되, 공기를 경사 분사하도록 경사 에어노즐들이 마련된 에어스크린 파이프를 포함하며,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게 하고,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실내의 쾌적한 공기를 유지하며, 조리사와 화구 사이에 에어 스크린으로 조리사와 유해가스를 차단시키고, 양측 후방에서 제공되는 바람으로 유해가스의 확산을 방지하여 조리사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주방 스마트 후드{SMART HOOD FOR KITCHEN}
본 고안은 주방 스마트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에 설치되어 조리 시에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흡입 및 배기 처리하는 주방 스마트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조리도구의 상측에는 조리 시에 발생되는 연기, 증기 또는 유증기를 포함한 각종 유해물질을 배기하여 처리할 수 있는 주방용 후드가 설치된다.
이러한 주방용 후드는 하부가 넓고 상부 측으로 작아지며, 필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팬으로 배기 처리하는 덕트와 연결된 것으로서, 일반 가정용 주방이나 사업용 식당 및 대형 단체 식당의 주방의 처리 용량에 따라 적절히 설치된다.
이전에는 주방에서 조리 시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과 같은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방출하는 레인지후드,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가 별도로 구성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배기를 위해 조리사는 레인지 후드와 공조장치를 별도로 작동시켜야 하며 이에 대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선행기술로 특허등록번호 '10-1998489-0000' "하이브리드 레인지후드" 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 컨트롤러가 설치되는 후드케이스와 먼지 또는 이물질을 거르고 실내에서 흡입한 냄새, 유증, 열을 배출할 수 있도록 후드케이스에 설치되는 후드배기관과 공조장치로부터 흡기되어 공조흡기 덕트와 흡기연결 덕트를 거쳐 공급되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구를 가지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는 공급관과 실외 공기의 유입 시 실내 온도와 같은 온도로 공급함은 물론 온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기전력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공급관 내측에 설치되는 열전소자로 구성된다.
제시된 상기의 하이브리드 레인지후드는, 외부공기 흡기와 내부공기 배기를 통한 실내 공기 정화의 우수성이 있지만, 조리사와 화구 사이의 차단막이 없어 화구와 가까운 조리사가 '조리 흄'과 같은 유해물질을 직접적으로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기가 힘든 점이 있다. 또한 아파트와 같은 가정용 주방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실에 있는 대형 회전식 국, 튀김 솥과 같은 큰 화구들에 적용하기에 있어 힘든 점이 있다.
한편, 조리흄(cooking fume)이나 조리기름 흄(cooking oil fume)은 일반적으로 기름으로 튀길 때 발생하는데 가시적인 배출물을 말하는데, 산업위생학적 측면에서 흄은 뜨거운 증기의 냉각에 의해 생성된 초미세화된 고체 미립자로 정의하고 있다(Svendsen K 등, 2002).
음식업 등 조리 산업에 종사하는 조리 노동자들의 건강 위해요소는 조리 흄으로부터의 자극물질, 알레르기 유발물질, 다환방향족탄화수소, 소음, 연기, 극단적인 온도, 혼잡, 스트레스, 전자파 등으로서, 이로 인한 사고성 재해, 피부염, 천식, 요통 및 직업 관련성 상지장애 등 근골격계 질환, 심리사회적 장애, 구강 및 후두암이 증가한다는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그리들(griddle)과 같이 철판을 사용한 볶음 및 고기구이 요리가 증가하는 추세에서, 철판 요리 중에 발생하는 조리흄은 장기간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가능성이 충분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8907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14830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369호
본 고안은,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게 하고,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실내의 쾌적한 공기를 유지하며, 조리사와 화구 사이에 에어 스크린으로 조리사와 유해가스를 차단시키고, 양측 후방에서 제공되는 바람으로 유해가스의 확산을 방지하여 조리사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주방 스마트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주방 스마트 후드는, 주방의 급기부로 사용되는 제1 개구부와 주방의 배기부로 사용되는 제2 개구부가 저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가 제2 개구부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2 개구부가 경사진 개구부로 형성된 후드본체; 상기 후드본체의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구획하되, 상기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사이에서 상기 제2 개구부의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후드본체의 측면부와 상면부에 결합되는 제1 칸막이; 상기 제1 칸막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칸막이와 반대로 경사지도록 상기 후드본체의 측면부와 배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개구부와 연통하는 배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배기구에 내부필터가 구비된 제2 칸막이; 상기 후드본체의 상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주방으로 공기를 불어 넣는 급기수단이 연결되는 급기덕트플렌치; 상기 후드본체의 상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주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배기수단이 연결되는 배기덕트플렌치; 및 상기 후드본체의 제2 개구부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설치되되, 상기 급기수단 또는 다른 급기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개구부의 하부로 공기를 경사 분사하도록 경사 에어노즐들이 상호 간격을 두고 마련된 루프 형상의 에어스크린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후드본체는 상기 제1 칸막이의 경사 배치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보다 상측으로 넓은 급기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칸막이의 경사 배치에 상기 배기구가 상기 제2 개구부에 대응한다.
본 고안은 상기 제1 개구부에 마련되며, 공기의 급기 방향이 조절되도록 회전 가능한 복수의 에어 베인을 구비한 에어 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는, 상기 에어 베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제1 개구부 측으로 근접하는 작업자는 감지하는 작업 감지센서; 및 상기 작업 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 감지센서에 의해 작업자가 감지됨에 따라 작업자 측으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어 베인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후드본체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리모컨 작동을 위한 리모컨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수단과 배기수단을 더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급기수단은 상기 에어스크린 파이프에 연결되는 송풍기로 마련되되, 상기 에어스크린 파이프는 상기 제2 개구부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ㄷ"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드본체는, 저면부가 경사지게 절단되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서, 전면부에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창이 마련되며, 상기 제1 개구부에 대해 설치되는 급기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은,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게 하고,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실내의 쾌적한 공기를 유지하며, 조리사와 화구 사이에 에어 스크린으로 조리사와 유해가스를 차단시키고, 양측 후방에서 제공되는 바람으로 유해가스의 확산을 방지하여 조리사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주방 스마트 후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스마트 후드의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스마트 후드의 작동을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도면 복합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예들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들의 조합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 또는 임의 구조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이 포함되거나 포함 가능한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이나 세부 구조로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인 내용으로 그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내재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관용적인 사항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실질적인 구현성이 높으며,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스마트 후드를 설명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스마트 후드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스마트 후드는, 후드본체(100), 제1 칸막이(110), 제2 칸막이(112), 급기덕트플렌치(120), 배기덕트플렌치(121), 및 에어스크린 파이프(130)를 주요 구성으로 포함한다.
후드본체(100)는 저면부가 경사지게 절단되어 개방된 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서, 주방의 급기부로 사용되는 제1 개구부(101)와 주방의 배기부로 사용되는 제2 개구부(102)가 저면부에 형성되며, 제1 개구부(101)가 제2 개구부(102)보다 작게 형성되며, 제2 개구부(102)가 경사진 개구부로 형성된다.
이러한 후드본체(100)는 전판(103), 배판(104), 상판(105), 및 한 쌍의 측판(106)을 포함하며, 측판(106)의 하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전판(103)이 배판(104)보다 짧게 하방으로 연장된 높이를 갖는 것으로서, 실제적으로 조리기 상에 설치 시에 제1 개구부(101)가 작업자 높이로 배치되며, 제2 개구부(102)가 조리기에 인접하게 하방으로 연장됨으로써 급기와 배기 성능을 높이게 된다.
후드본체(100)는 급기부와 배기부가 구획된 것으로서, 제1 개구부(101)와 제2 개구부(102)가 급기부와 배기부로 사용되도록 내부적으로 구획된다. 급기부와 배기부에는 급기를 위한 급기수단으로 급기용 에어컴프레셔가 연결되며, 배기부에는 배기수단으로 흡기팬이 연결될 수 있다.
후드본체(100)의 내부에는 제1 칸막이(110)와 제2 칸막이(112)가 상호 반대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제1 칸막이(110)는 배기부에 대해 급기부를 분리하는 것으로서, 후드본체(100)의 제1 개구부(101)와 제2 개구부(102)를 구획하도록 제1 개구부(101)와 제2 개구부(102) 사이에서 제2 개구부(102)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후드본체(100)의 측면부와 상면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 칸막이(110)는 경사 패널 형태로서, 후드본체(100)에 결합 가능한 스테인리스 패널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단부에 칸막이로서 연장되어 후드본체(100)의 상판(105)에 용이하게 결합되기 위한 수직 결합부재(11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칸막이(110)는 일면부가 급기 안내를 위한 급기부의 급기통로를 형성하면서 타면부가 배기부의 배기통로를 형성하게 되며, 경사진 설치에 의해 조리 시 발생되는 응결 액체가 제2 개구부(102)의 하방에 있는 조리기를 회피하면서 타고 흘러 바닥으로 배출될 수 있게 만든다.
제2 칸막이(112)는 제1 칸막이(110)에 연결되어 제1 칸막이(110)와 반대로 경사지도록 후드본체(100)의 측면부와 배면부에 결합되며, 제2 개구부(102)와 연통하는 배기구(113)가 마련되고, 배기구(113)에 내부필터(115)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2 칸막이(112)는 제1 칸막이(110)와 “ㅅ”형상을 이루도록 후드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후드본체(100)의 경사진 제2 개구부(102)보다 더 경사진 양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칸막이(112)는 배기통로의 상측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배기구(113)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경사진 형상에 의해 조리 시 발생되는 응결 액체가 제2 개구부(102)의 하방에 있는 조리기를 회피하면서 타고 흘러 바닥으로 배출될 수게 만든다.
상기와 같이 제1 칸막이(110)와 제2 칸막이(112) 설치된 후드본체(100)는 제1 칸막이(110)의 경사 배치에 의해 제1 개구부(101)보다 상측으로 넓은 급기 통로가 형성되며, 제2 칸막이(112)의 경사 배치로 배기구(113)가 제2 개구부(102)에 대응한다.
한편, 후드본체(100)의 상면부에는 각각 급기덕트와 배기덕트가 연결되는 급기덕트플렌치(120)와 배기덕트플렌치(121)가 설치된다.
급기덕트플렌치(120)는 후드본체(100)의 상면부에 설치되며, 제1 개구부(101)를 통해 주방으로 공기를 불어 넣는 급기수단이 연결되는 것이며, 배기덕트플렌치(121)는 후드본체(100)의 상면부에 설치되며, 제2 개구부(102)를 통해 주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배기수단이 연결된다.
후드본체(100)는 후드본체(100)의 제2 개구부(102)의 테두리에는 대응하여 에어스크린 파이프(130)가 설치된다.
에어스크린 파이프(130)는 하나의 송풍기등의 급기수단 또는 다른 급기수단에 연결되어 제2 개구부(102)의 하부로 공기를 경사 분사하도록 경사 에어노즐(134)들이 상호 간격을 두고 마련된 루프 형상으로서, 상기 에어스크린 파이프(130)는 제1파이프(131), 제2파이프(132), 제3파이프(133)로 "ㄷ"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ㄷ" 형상을 이루는 제1파이프(131), 제2파이프(132), 제3파이프(133) 중에서 제3파이프(133)의 경사 에어노즐(134)의 간격은 급기수단과 접하는 제1파이프(131) 또는 제2파이프(132)에 형성된 경사 에어노즐(134)의 간격 보다 좁게 형성되어 뒤쪽으로 에어커튼이 강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에어스크린 파이프(130)와 제1 개구부(101)의 급기는 후드본체(100)의 하방으로 작업자 측으로 조리기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에어커튼(135)을 형성하게 된다.
에어스크린 파이프(130)의 에어노즐(134)들은 후드본체(100)의 하방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공기를 분사하도록 분사 방향이 형성된다. 즉 에어노즐(134)들은 에어스크린 파이프(130)의 저면 중앙에서 내측으로 배치되어 파이프의 원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에어노즐(134)들이 형성되어 에어노즐(134)에서 분사된 에어는 "ㄷ" 형상의 파이프보다 안쪽으로 분사되고 분사된 공기는 오염된 공기와 함께 제2 개구부(102)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급기덕트플렌치(120) 내부에는 에어스크린에 사용되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공기냉각장치(에어컨디셔닝; Air-Conditioning ; 170)의 방열기를 설치하여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에어스크린에 사용되는 공기를 냉각시킴으로 사용자가 좀 더 쾌적하게 조리에 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후드본체(100)의 제1 개구부(101)에는 공기의 급기 방향이 조절되도록 회전 가능한 복수의 에어 베인(141)을 구비한 에어 벤트(140)가 마련된다.
이러한 에어 벤트(140)는, 에어 베인(141)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42), 제1 개구부(101) 측으로 근접하는 작업자는 감지하는 작업 감지센서(143), 및 작업 감지센서(143)에 연결되어 구동모터(14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5)를 포함한다.
제어부(145)는 작업 감지센서(143)에 의해 작업자가 감지됨에 따라 작업자 측으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에어 베인(14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5)는 후드본체(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제어부(145)의 리모컨 작동을 위한 리모컨 센서(14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급기수단과 배기수단을 더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조리를 위해 조리기 측으로 다가오면, 작업 감지센서(143)에 의해 작업자의 감지가 제어부(145)에서 이루어지며, 제어부(145)는 작업자의 감지를 인식하여 에어 베인(141)을 작업자 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급기부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충분히 공급받을 수 있으며, 또한 동시에 에어스크린 파이프(130)에 의해 발생되는 에어커튼(135)에 의해 조리기로부터 발생되는 조리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5)는 작업자 주위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공기냉각장치(170)을 작동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작업자 급기부 측으로 급기수단과 다른 급기수단은 하나의 에어컴프레셔를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급기수단은 에어스크린 파이프(130)에 별도로 연결되는 송풍기(150)로 마련될 수 있다. 송풍기(150)는 별도의 에어컴프레셔로 사용이 가능하다.
즉, 급기수단이 연결되어 제1 개구부(101)를 통해 주방으로 공기를 불어 넣게되어 공급된 대부분의 외부공기가 에어 벤트(140)를 통하여 작업자 앞의 에어커튼에 사용되어 에어스크린 파이프(13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송풍기(150)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별도의 송풍기(150)를 통하여 에어스크린 파이프(130)에 공기를 공급하여 주방용기에서 생성된 오염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상부의 배기구(11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급기수단에는 제1 개구부(101)에 대해 설치되는 급기필터(155)가 구비될 수 있다. 급기필터(155)는 작업자에게 제공되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급기라인에 설치되거나 후드본체(100)의 상측에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후드본체(100)의 전면부에는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창(16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점검창(160)은 회전식 또는 투명창으로서, 후드본체(100)의 내부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컨으로 원격 구동이 가능한 에어컴프레셔로 강한 바람을 조리사와 화구 사이에 불어 넣고 후드의 4면에서, 예를 들어 솥을 감싸는 형태로 바람을 공급하여 폐암의 주 원인인 ‘조리흄‘과 각종 가스를 조리사와 차단시키고 주변으로의 확산을 방지하여 그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공기필터에 해당되는 급기필터를 설치하여 외부공기는 청정하게 조리 실내로 유입시키고, 내부공기필터에 해당되는 내부필터를 거쳐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급식실 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화구마다 바로 위에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급식실의 미흡한 환기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급식실 내의 덕트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닌 기존의 덕트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공조장치에서 후드 쪽으로 실외공기가 공급되도록 연결하고 후드에 설치된 리모컨 센서를 통해 에어컴프레셔를 구동시켜 급기덕트 플렌치 및 후드전방의 에어컴프레셔와 양측방, 후방으로 에어컴프레셔와 연결된 소형팬과 스텐 파이프의 급기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게 하고, 공조장치의 배기덕트 플렌치를 통해 급식실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실내의 쾌적한 공기를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응용 예는, 상기에 나타난 실시 양태들로 제한되진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 항들을 적절히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00: 후드본체 101: 제1 개구부
102: 제2 개구부 103: 전판
104: 배판 105: 상판
106: 측판 110: 제1 칸막이
111: 수직 결합부재 112: 제2 칸막이
113: 배기구 115: 내부필터
120: 급기덕트플렌치 121: 배기덕트플렌치
130: 에어스크린 파이프 134: 에어노즐
135: 에어커튼 140: 에어 벤트
141: 에어 베인 142: 구동모터
143: 작업 감지센서 145: 제어부
150: 송풍기 155: 급기필터
160: 점검창

Claims (5)

  1. 주방의 급기부로 사용되는 제1 개구부(101)와 주방의 배기부로 사용되는 제2 개구부(102)가 저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101)가 제2 개구부(102)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2 개구부(102)가 경사진 개구부로 형성된 후드본체(100);
    상기 후드본체(100)의 제1 개구부(101)와 제2 개구부(102)를 구획하되, 상기 제1 개구부(101)와 제2 개구부(102) 사이에서 상기 제2 개구부(102)의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후드본체(100)의 측면부와 상면부에 결합되는 제1 칸막이(110);
    상기 제1 칸막이(11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칸막이(110)와 반대로 경사지도록 상기 후드본체(100)의 측면부와 배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개구부(102)와 연통하는 배기구(113)가 마련되고, 상기 배기구(113)에 내부필터(115)가 구비된 제2 칸막이(112);
    상기 후드본체(100)의 상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101)를 통해 주방으로 공기를 불어 넣는 급기수단이 연결되는 급기덕트플렌치(120);
    상기 후드본체(100)의 상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개구부(102)를 통해 주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배기수단이 연결되는 배기덕트플렌치(121); 및 상기 후드본체(100)의 제2 개구부(102)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설치되되, 상기 급기수단 또는 다른 급기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개구부(102)의 하부로 공기를 경사 분사하도록 경사 에어노즐(134)들이 상호 간격을 두고 마련된 루프 형상의 에어스크린 파이프(130)를 포함하며,
    상기 후드본체(100)는 상기 제1 칸막이(110)의 경사 배치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101)보다 상측으로 넓은 급기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칸막이(112)의 경사 배치에 상기 배기구(113)가 상기 제2 개구부(102)에 대응하며,
    또한, 상기 후드본체(100)는 전판(103), 배판(104), 상판(105), 및 한 쌍의 측판(106)을 포함하며, 측판(106)의 하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전판(103)이 배판(104)보다 짧게 하방으로 연장된 높이를 갖는 것으로서, 실제적으로 조리기 상에 설치 시에 제1 개구부(101)가 작업자 높이로 배치되며, 제2 개구부(102)가 조리기에 인접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개구부(101)에 마련되며, 공기의 급기 방향이 조절되도록 회전 가능한 복수의 에어 베인(141)을 구비한 에어 벤트(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 벤트(140)는,
    상기 에어 베인(141)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42);
    상기 제1 개구부(101) 측으로 근접하는 작업자를 감지하는 작업 감지센서(143); 및 상기 작업 감지센서(143)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4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5)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5)는 상기 작업 감지센서(143)에 의해 작업자가 감지됨에 따라 작업자 측으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어 베인(141)을 회전시키며,
    또한, 상기 후드본체(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45)의 리모컨 작동을 위한 리모컨 센서(14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5)는 상기 급기수단과 배기수단을 더 제어하고,
    상기 다른 급기수단은 상기 에어스크린 파이프(130)에 연결되는 송풍기(150)로 마련되되,
    상기 에어스크린 파이프(130)는 상기 제2 개구부(102)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제1파이프(131), 제2파이프(132), 제3파이프(133)로 "ㄷ" 형상이고,
    상기 "ㄷ" 형상을 이루는 제1파이프(131), 제2파이프(132), 제3파이프(133) 중에서 제3파이프(133)의 경사 에어노즐(134)의 간격은 급기수단과 접하는 제1파이프(131) 또는 제2파이프(132)에 형성된 경사 에어노즐(134)의 간격 보다 좁게 형성되며,
    또한, 에어스크린 파이프(130)의 에어노즐(134)들은 에어노즐(134)들은 에어스크린 파이프(130)의 저면 중앙에서 내측으로 배치되어 파이프의 원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에어노즐(134)들이 형성되어 에어노즐(134)에서 분사된 에어는 "ㄷ" 형상의 파이프보다 안쪽으로 분사되고 분사된 공기는 오염된 공기와 함께 제2 개구부(102)를 통해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스마트 후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10003025U 2021-10-06 2021-10-06 주방 스마트 후드 KR200495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25U KR200495257Y1 (ko) 2021-10-06 2021-10-06 주방 스마트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25U KR200495257Y1 (ko) 2021-10-06 2021-10-06 주방 스마트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257Y1 true KR200495257Y1 (ko) 2022-04-08

Family

ID=8118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025U KR200495257Y1 (ko) 2021-10-06 2021-10-06 주방 스마트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257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679A (ja) * 1992-06-25 1994-02-04 Fuji Kogyo Kk レンジフード
JPH11351631A (ja) * 1998-06-04 1999-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ンジフード
KR200386369Y1 (ko) 2005-03-30 2005-06-13 (주)대성기연 신선공기 도입형 주방용 레인지후드
JP2008070049A (ja) * 2006-09-14 2008-03-27 Toto Ltd レンジフード
KR102038907B1 (ko) 2018-05-18 2019-10-31 (주)한국필터시험원 에어커튼을 갖춘 산업용 후드 장치
CN210861243U (zh) * 2019-06-27 2020-06-2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吸油烟机
KR20200114830A (ko)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배기장치와 그 제어방법, 급기장치와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679A (ja) * 1992-06-25 1994-02-04 Fuji Kogyo Kk レンジフード
JPH11351631A (ja) * 1998-06-04 1999-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ンジフード
KR200386369Y1 (ko) 2005-03-30 2005-06-13 (주)대성기연 신선공기 도입형 주방용 레인지후드
JP2008070049A (ja) * 2006-09-14 2008-03-27 Toto Ltd レンジフード
KR102038907B1 (ko) 2018-05-18 2019-10-31 (주)한국필터시험원 에어커튼을 갖춘 산업용 후드 장치
KR20200114830A (ko)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배기장치와 그 제어방법, 급기장치와 그 제어방법
CN210861243U (zh) * 2019-06-27 2020-06-2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吸油烟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0665B2 (en) Combination appliance having a cooktop and steam extraction device
US20120204855A1 (en) Cooking Device with Ventilation and Filtration System
KR101478038B1 (ko) 무연 그릴
KR20130054722A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KR20210090474A (ko) 환기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AU2020220259A1 (en) Hob system
KR102381708B1 (ko) 주방 스마트 후드
KR20210036942A (ko) 연기 추출 디바이스
KR20060087209A (ko) 조리기구용 배기시스템
CN202973262U (zh) 内循环聚烟型抽油烟机
KR200495257Y1 (ko) 주방 스마트 후드
JP2017153670A (ja) 空気調和機付きシステムキッチン
US20230167979A1 (en) Tabletop Cooking Assembly
KR102381710B1 (ko) 청정공기가 분사되는 스마트 주방 후드
CN202973261U (zh) 内循环自隔断抽油烟机
JP2002228222A (ja) レンジフード
KR20070011772A (ko) 에어커튼형 가스레인지
KR100601216B1 (ko) 공기조화기를 구비한 주방용 후드
JPH0439550A (ja) 加熱調理装置
KR102522380B1 (ko) 친환경 학교 급식소 전용 급배기 시스템 및 작동방법
KR102657265B1 (ko) 오염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커튼이 형성되며 청정외기 도입에 의한 환기가 가능한 주방 후드용 환기시스템
CN109915876A (zh) 风墙式吸油烟机
KR102611747B1 (ko) 공기정화형 후드 시스템
KR102050542B1 (ko) 주방용 환기 시스템
KR102580717B1 (ko) 조리기구의 폐가스 및 조리 흄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