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580A - 배관 부재 - Google Patents

배관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580A
KR20230155580A KR1020237035282A KR20237035282A KR20230155580A KR 20230155580 A KR20230155580 A KR 20230155580A KR 1020237035282 A KR1020237035282 A KR 1020237035282A KR 20237035282 A KR20237035282 A KR 20237035282A KR 20230155580 A KR20230155580 A KR 20230155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ing
diameter
outer member
peripheral surface
rota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5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로 와다
Original Assignee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5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3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with two lift valves being actuated to initiate the flow through the coupling after the two coupling parts are locked against withdraw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bstract

(과제) 핸들에 큰 충격이 가해져도 핸들 기구의 축부가 파손되기 어렵게 한 배관 부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당해 배관 부재의 핸들 기구 (14) 는, 배관 본체 (12) 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배관 본체 (12) 의 유체 통로 내에서 밸브 부재에 접속된 내측 부재 (30) 와, 배관 본체 (12) 의 외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외측 부재 (32) 와, 내측 부재 (30) 의 제 1 연결단부 (42) 와 외측 부재 (32) 의 제 2 연결단부 (46) 를 회동 방향에서 연결하는 연결 핀 (48) 을 구비한다. 배관 본체 (12) 는 제 2 연결단부 (46) 의 주위에 위치하는 지지면 (60a) 을 갖는다. 외측 부재 (32) 를 추동축선 (N1) 의 둘레로 추동시키는 방향으로의 힘이 외측 부재 (32) 에 작용하면, 제 2 연결단부 (46) 가 지지면 (60a) 에 걸어맞춰져 외측 부재 (32) 가 추동 방향에서 배관 본체 (12) 에 지지된다.

Description

배관 부재
본 발명은, 배관의 유체 통로 내에 배치된 밸브 부재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핸들 기구를 구비하는 배관 부재에 관한 것이다.
유체 통로 내에 배치된 밸브 부재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핸들 기구를 구비한 배관 부재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나타내는 배관 부재에 있어서는, 배관 본체의 유체 통로 내에 있어서 유체 통로의 길이축선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된 밸브 부재를 배관 본체의 외측에 배치된 핸들을 회동 (回動) 시킴으로써 개폐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핸들은, 유체 통로를 횡단하는 회전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축부에 고정되고, 밸브 부재는 이 축부에 링크 부재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핸들을 회전축선의 둘레로 회동시키면, 핸들과 함께 축부도 회동하여, 링크 부재의 끝에 접속되어 있는 밸브 부재가 유체 통로의 길이축선의 방향에서 변위한다. 밸브 부재가 길이축선의 방향에서 변위함으로써 유체 통로가 개폐된다.
특허문헌 1 에 나타내는 배관 부재에 있어서는, 핸들 기구의 축부는, 유체 통로를 횡단하도록 연장되어 배관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내측 축부와, 배관 본체의 외측에서 내측 축부의 단부에 연결 핀으로 고정된 외측 축부로 이루어져 있다. 외측 축부의 단부는 내측 축부의 단부를 동축상으로 수용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이 오목부에 내측 축부의 단부를 수용한 상태로 연결 핀이 외측 축부와 내측 축부의 각 단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1-21469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핸들 기구의 핸들은, 밸브 부재의 개폐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비교적 큰 사이즈로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핸들 기구는 비교적 큰 배관에 있어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배관 부재 전체의 중량도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운반시나 배관에의 장착시 등에 배관 부재를 실수로 낙하시킨 경우에, 배관 본체로부터 크게 돌출되어 있는 핸들부터 지면으로 낙하하는 등 해서 핸들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핸들에 고정된 축부에 그 충격이 전달되어, 축 부재가 구부러지거나 파손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특히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축 부재가 연결 핀으로 접속된 내측 축부와 외측 축부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가늘고 강도가 약한 내측 부재가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핸들에 큰 충격이 가해져도 핸들 기구의 축부가 파손되기 어렵도록 한 배관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유체 통로를 갖는 배관 본체와,
상기 유체 통로 내에 배치된 밸브 부재와,
상기 밸브 부재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핸들 기구를 구비하는 배관 부재로서,
상기 핸들 기구가,
상기 유체 통로를 횡단하는 회전축선의 둘레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배관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유체 통로 내에서 상기 밸브 부재에 접속된 축 (軸) 형상의 내측 부재로서, 상기 배관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 1 연결단부를 갖는 내측 부재와,
상기 배관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선의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외측 부재로서, 상기 제 1 연결단부를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제 2 연결단부 및 핸들을 갖는 외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가 상기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추동축선의 둘레로 상기 내측 부재에 대하여 추동 (樞動)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연결단부와 상기 제 2 연결단부를 상기 내측 부재의 회동 방향에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관 본체가 상기 제 2 연결단부의 주위에 위치하는 지지면을 갖고,
상기 외측 부재를 상기 추동축선의 둘레로 추동시키는 방향으로의 힘이 상기 외측 부재에 작용했을 때에, 상기 제 2 연결단부가 상기 지지면에 걸어맞춰져 상기 외측 부재가 추동 방향에서 상기 배관 본체에 지지되도록 된, 배관 부재를 제공한다.
당해 배관 부재에 있어서는, 핸들 기구의 외측 부재를 추동축선의 둘레로 추동시키는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했을 때, 외측 부재의 제 2 연결단부가 배관 본체의 지지면에 걸어맞춰져 외측 부재가 추동 방향에서 배관 본체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서술한 힘은 배관 부재에 의해 받아지고, 내측 부재에는 실질적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핸들 기구의 특히 내측 부재에 큰 힘이 작용하여 내측 부재가 구부러지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외측 부재가 상기 추동축선의 방향에서 상기 내측 부재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연결단부와 상기 제 2 연결단부를 연결하고 있고, 상기 외측 부재가 상기 내측 부재에 대하여 상기 추동축선의 방향으로 변위했을 때에, 상기 외측 부재의 상기 제 2 연결단부가 상기 지지면에 걸어맞춰져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측 부재에 추동축선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했을 때에도 내측 부재에 그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 1 연결단부와 상기 제 2 연결단부를 지나 상기 추동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 핀이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연결단부가 상기 연결 핀을 통과시키는 제 1 삽통공 (揷通孔) 을 갖고, 상기 제 2 연결단부가 상기 연결 핀을 통과시키는 제 2 삽통공을 갖고, 상기 제 1 삽통공과 상기 제 2 삽통공 중 일방이 상기 회전축선의 방향에서 상기 연결 핀의 외경보다 큰 제 1 내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외측 부재가 상기 회전축선과 상기 연결 핀의 길이축선에 직교하는 축선의 둘레에서도 상기 내측 부재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측 부재를 연결부의 부근을 중심으로 하여 추동시키는 어느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한 경우에도, 그 힘이 내측 부재에는 실질적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제 1 삽통공과 상기 제 2 삽통공 중 상기 일방이, 상기 회전축선과 상기 길이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연결 핀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제 2 내경을 갖는 단면 타원형의 구멍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단부가 제 1 직경을 갖는 단면 원형의 외주면을 갖고, 상기 제 2 연결단부가 제 2 직경을 갖는 단면 원형의 내주면과 제 3 직경을 갖는 단면 원형의 외주면을 갖고, 상기 지지면이 제 4 직경을 갖는 단면 원형의 내주면이며, 상기 제 1 직경과 상기 제 2 직경의 차가 상기 제 3 직경과 상기 제 4 직경의 차보다 크게 되어, 상기 외측 부재가 상기 내측 부재에 대하여 변위했을 때에 상기 제 1 연결단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연결단부의 내주면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외측 부재가 제 1 축방향 지지부를 갖고, 상기 배관 본체가 제 2 축방향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제 1 축방향 지지부와 상기 제 2 축방향 지지부가 상기 회전축선의 방향에서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외측 부재가 상기 회전축선의 방향에서 상기 배관 부재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관 본체가, 상기 배관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선의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통형상 유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면이 그 통형상 유지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축방향 지지부가 상기 통형상 유지부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배관 부재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배관 부재와 그것에 연결되는 이음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배관 부재와 이음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A-A 선에 있어서의 배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배관 부재에 이음 부재를 연결하고, 밸브 부재를 열림 위치로 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A 는, 도 2 의 핸들 기구의 내측 부재와 외측 부재의 연결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B 는, 핸들 기구의 외측 부재가 내측 부재에 대하여 추동축선 (N1) 의 둘레로 추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A 는, 도 5A 의 B-B 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B 는, 핸들 기구의 외측 부재가 내측 부재에 대하여 추동축선 (N2) 의 둘레로 추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C 는, 핸들 기구의 외측 부재가 내측 부재에 대하여 연결 핀의 길이축선 (M) 의 방향으로 변위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배관 부재의, 핸들 기구의 내측 부재와 외측 부재의 연결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배관 부재 (10) 는, 배관 본체 (12) 와, 배관 본체 (12) 에 장착된 핸들 기구 (14) 를 구비한다. 배관 본체 (12) 에는, 대응하는 이음 부재 (1) 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 본체 (12) 는, 전방 본체 부재 (16), 후방 본체 부재 (18), 및 내측 본체 부재 (20) 를 갖고, 이들에 의해 유체 통로 (22) 를 획정하고 있다. 유체 통로 (22) 내에는 밸브 부재 (24) 가 배치되어 있고, 이 밸브 부재 (24) 는 배관 본체 (12) 의 길이축선 (L) 의 방향에서 변위하여 유체 통로 (22) 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배관 본체 (12) 는 또한, 도면에서 보아 하측의 베어링 부재 (26) 및 상측의 베어링 부재 (28) 를 갖는다.
핸들 기구 (14) 는, 유체 통로 (22) 를 횡단하도록 하여 배관 본체 (12) 에 장착된 내측 부재 (30) 와, 배관 본체 (12) 의 외측에 배치된 외측 부재 (32) 를 갖는다. 내측 부재 (30) 는, 유체 통로 (22) 를 횡단하는 회전축선 (R) 을 따라 연장되는 축형상의 부재로서, 배관 본체 (12) 의 하측의 베어링 부재 (26) 와 상측의 베어링 부재 (28) 에 의해 회전축선 (R) 의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내측 부재 (30) 는, 링크 부재 (34) 를 개재하여 밸브 부재 (24) 에 접속되어 있다. 외측 부재 (32) 는, 링형상의 핸들 (36) 과, 핸들 (36) 로부터 회전축선 (R) 의 방향에서 내측 부재 (30) 를 향해 연장되는 외측 축부 (38) 와, 핸들 (36) 과 외측 축부 (38) 사이에 끼여서 고정된 원판형상 부재 (40) 를 갖는다. 내측 부재 (30) 는, 배관 본체 (12) 의 외측으로 돌출된 원기둥형상의 제 1 연결단부 (42) 를 갖고, 외측 부재 (32) 는 제 1 연결단부 (42) 를 동축상으로 수용하는 오목부 (44) 가 형성된 통형상의 제 2 연결단부 (46) 를 가지고 있다. 제 1 연결단부 (42) 와 제 2 연결단부 (46) 는, 원기둥형상의 연결 핀 (연결부) (48) 에 의해 회동 방향에서 연결되어 있다.
당해 배관 부재 (10) 의 배관 본체 (12) 의 유체 통로 (22) 내에 대응하는 이음 부재 (1) 를 삽입하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음 부재 (1) 는 배관 부재 (10) 에 연결된다. 이 연결 상태에서는, 배관 부재 (10) 의 시정자 (50) 가 이음 부재 (1) 의 환상 걸림홈 (52) 에 걸어맞춰지고, 시정자 (50) 는 슬리브 (54) 에 의해 환상 걸림홈 (52) 에 걸어맞춤된 위치에 유지된다. 이로써 이음 부재 (1) 는 배관 부재 (10) 에 연결되어 유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연결 상태에서 핸들 (36) 을 회동시키면, 연결 핀 (48) 으로 연결된 내측 부재 (30) 도 함께 회동한다. 그리고 내측 부재 (30) 가 회동하면, 링크 부재 (34) 를 개재하여 내측 부재 (30) 에 접속되어 있는 밸브 부재 (24) 는, 길이축선 (L) 을 따라 전방 (도면에서 보아 우측) 으로 변위된다. 이 때 이음 부재 (1) 의 밸브 부재 (56) 도 눌려서 변위된다. 이로써,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관 부재 (10) 의 유체 통로 (22) 와 이음 부재 (1) 의 유체 통로 (58) 가 개방되어 서로 연통된 상태가 된다.
도 5A 및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 본체 (12) 의 상측의 베어링 부재 (28) 는, 배관 본체 (12) 의 외주면 (12a) 으로부터 회전축선 (R) 의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통형상 유지부 (60) 를 구성하고 있다. 제 2 연결단부 (46) 는 이 통형상 유지부 (60) 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원판형상 부재 (40) 의 하면인 제 1 축방향 지지부 (62) 가 통형상 유지부 (60) 의 단면인 제 2 축방향 지지부 (64) 에 회전축선 (R) 의 방향에서 걸어맞춰짐으로써, 외측 부재 (32) 는 회전축선 (R) 의 방향에서 배관 부재 (10) 에 지지되어 있다. 내측 부재 (30) 의 제 1 연결단부 (42) 는 연결 핀 (48) 이 통과하는 제 1 삽통공 (66) 을 갖고, 외측 부재 (32) 의 제 2 연결단부 (46) 는 연결 핀 (48) 이 통과하는 제 2 삽통공 (68) 을 갖는다. 제 1 삽통공 (66) 은 연결 핀 (48) 이 끼워맞춰지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 핀 (48) 은 제 1 삽통공 (66) 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 2 삽통공 (68) 은 연결 핀 (48) 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있다. 외측 부재 (32) 가 회동되면 제 2 삽통공 (68) 이 연결 핀 (48) 에 걸어맞춰지고, 연결 핀 (48) 을 통해 외측 부재 (32) 가 내측 부재 (30) 에 회동 방향에서 연결된다.
제 1 연결단부 (42) 는, 제 1 직경 (D1) 을 갖는 단면 원형의 외주면 (42a) 을 갖는다. 제 2 연결단부 (46) 는, 제 2 직경 (D2) 을 갖는 단면 원형의 내주면 (46a) 과 제 3 직경 (D3) 을 갖는 단면 원형의 외주면 (46b) 을 갖는다. 통형상 유지부 (60) 는, 단면 원형의 제 4 직경 (D4) 을 갖는 단면 원형의 내주면 (60a) 을 갖는다. 제 1 연결단부 (42) 와 제 2 연결단부 (46) 는, 제 1 직경 (D1) 과 제 2 직경 (D2) 의 차 (Δ1) 가 제 3 직경 (D3) 과 제 4 직경 (D4) 의 차 (Δ2) 보다 커지도록 형상 및 사이즈가 설계되어 있다. 즉, 제 1 연결단부 (42) 와 제 2 연결단부 (46) 사이의 간극이, 제 2 연결단부 (46) 와 통형상 유지부 (60) 사이의 간극보다 커지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연결단부 (42) 의 외주면 (42a) 과 제 2 연결단부 (46) 의 내주면 (46a) 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외측 부재 (32)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연결 핀 (48) 에 의해 내측 부재 (30) 에 회동 방향에서 연결되어 있고, 회전축선 (R) 에 직교하는 연결 핀 (48) 의 길이축선 (M) 과 대략 일치하는 추동축선 (N1) 의 둘레로 내측 부재 (30) 에 대하여 추동 가능하다. 또한 제 2 연결단부 (46) 의 제 2 삽통공 (68) 은 연결 핀 (48) 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 부재 (32) 는 내측 부재 (30) 및 연결 핀 (48) 에 대하여 회전축선 (R) 과 길이축선 (M) 에 직교하는 추동축선 (N2) 의 둘레에서도 추동 가능하다. 또한 외측 부재 (32) 는 길이축선 (M) 방향에서도 내측 부재 (30) 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다.
외측 부재 (32) 의 핸들 (36) 에 힘이 작용하거나 하여 외측 부재 (32) 가 연결 핀 (48) 의 길이축선 (M) (추동축선 (N1)) 의 둘레로 추동하면,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연결단부 (46) 의 외주면 (46b) 이 그 주위에 위치하는 통형상 유지부 (60) 의 내주면 (지지면) (60a) 에 걸어맞춰져서 외측 부재 (32) 가 추동 방향에서 배관 본체 (12) 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축선 (R) 과 추동축선 (N1) 을 통과하는 가상 평면에 대해 서로 반대측의 위치 (P1) 와 위치 (P2) 에 있어서 제 2 연결단부 (46) 가 내주면 (60a) 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외측 부재 (32) 가 그 이상 추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 때 외측 부재 (32) 는, 제 1 축방향 지지부 (62) 의 도 5B 에서 보아 좌측의 위치에서도 제 2 축방향 지지부 (64) 에 걸어맞춰져 있다. 그 때문에 외측 부재는, 연결 핀 (48) 의 둘레로 추동되면서 도면에서 보아 상방으로 약간 변위되어 있다.
외측 부재 (32) 의 핸들 (36) 에 힘이 작용하는 등 해서 외측 부재 (32) 가 회전축선 (R) 과 길이축선 (M) 에 직교하는 추동축선 (N2) 의 둘레로 추동하면,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연결단부 (46) 의 외주면 (46b) 이 통형상 유지부 (60) 의 내주면 (60a) 에 걸어맞춰져서 외측 부재 (32) 가 추동 방향에서 배관 본체 (12) 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연결 핀 (48) 의 길이축선 (M) (추동축선 (N1)) 의 둘레로 추동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회전축선 (R) 과 추동축선 (N2) 을 통과하는 가상 평면에 대해 서로 반대측의 위치 (P3) 와 위치 (P4) 에 있어서 제 2 연결단부 (46) 가 내주면 (지지면) (60a) 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외측 부재 (32) 가 그 이상 추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외측 부재 (32) 의 핸들 (36) 에 힘이 작용하는 등 하여 외측 부재 (32) 가 연결 핀 (48) 의 길이축선 (M) 의 방향에 평행하게 변위하면, 도 6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연결단부 (46) 의 외주면 (46b) 이 일방의 측에서 통형상 유지부 (60) 의 내주면 (60a) 에 걸어맞춰져 외측 부재 (32) 가 길이축선 (M) 의 방향에서 배관 본체 (12) 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어느 방향으로 추동 또는 변위된 경우라도, 제 1 연결단부 (42) 의 외주면 (42a) 과 제 2 연결단부 (46) 의 내주면 (46a) 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당해 배관 부재 (10) 에 있어서는, 핸들 기구 (14) 의 핸들 (36) 에 대하여 회전축선 (R) 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했을 때에, 핸들 (36) 을 포함한 외측 부재 (32) 는 배관 본체 (12) 의 통형상 유지부 (60) 에 있어서 지지된다. 그 때문에, 핸들 (36) 이 받은 회전축선 (R) 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힘은 배관 본체 (12) 에 의해 받아지게 되고, 내측 부재 (30) 에는 실질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당해 배관 부재 (10) 를 낙하시키는 등 하여 핸들 (36) 에 큰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비교적 직경이 가늘고 강도가 작은 내측 부재 (30) 에 큰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내측 부재 (30) 가 구부러지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 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배관 부재에 있어서는, 외측 부재 (132) 의 제 2 연결단부 (146) 에 형성된 제 2 삽통공 (168) 이, 회전축선 (R) 의 방향으로 긴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 제 2 삽통공 (168) 의 회전축선 (R) 의 방향에서의 제 1 내경 (d1) 은 연결 핀 (148) 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고, 회전축선 (R) 과 길이축선 (M) 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제 2 내경 (d2) 은 연결 핀 (148) 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다. 제 1 내경 (d1) 이 연결 핀 (148) 보다 크게 되어 있음으로써, 회전축선 (R) 과 길이축선 (M) 에 직교하는 추동축선 (N2) 의 둘레로 외측 부재 (32) 가 추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 2 내경 (d2) 이 연결 핀 (148) 과 대략 동일한 크기임으로써, 외측 부재 (132) 와 내측 부재 (130) 사이의 회동 방향에서의 유격이 없어지거나 또는 극히 작아지고, 이로써 핸들의 조작이 내측 부재 (130) 및 그 앞의 밸브 부재에 보다 다이렉트로 전달되게 되어, 핸들의 조작성이 좋아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을 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내측 부재의 제 1 연결단부와 외측 부재의 제 2 연결단부를 회동 방향에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는, 연결 핀 대신에, 제 1 연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기부나, 제 2 연결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기부로 하는 등, 다른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 핀을 제 2 연결단부에 고정시켜, 연결 핀이 외측 부재와 함께 내측 부재에 대하여 추동 또는 변위 가능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연결단부의 외주면과 통형상 유지부의 내주면 (지지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간극이 없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외측 부재는 내측 부재 및 이음 본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추동 및 변위하지 않게 되지만, 외측 부재와 내측 부재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추동 및 변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그러한 추동 및 변위를 발생시키는 방향으로의 힘이 외측 부재에 작용했을 때에, 외측 부재는 배관 본체의 지지면에 의해 지지되어 그 힘은 배관 본체가 받고, 내측 부재에는 실질적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1 : 이음 부재
10 : 배관 부재
12 : 배관 본체
12a : 외주면
14 : 핸들 기구
16 : 전방 본체 부재
18 : 후방 본체 부재
20 : 내측 본체 부재
22 : 유체 통로
24 : 밸브 부재
26 : 하측의 베어링 부재
28 : 상측의 베어링 부재
30 : 내측 부재
32 : 외측 부재
34 : 링크 부재
36 : 핸들
38 : 외측 축부
40 : 원판형상 부재
42 : 제 1 연결단부
42a : 외주면
44 : 오목부
46 : 제 2 연결단부
46a : 내주면
46b : 외주면
48 : 연결 핀 (연결부)
50 : 시정자
52 : 환상 걸림홈
54 : 슬리브
56 : 밸브 부재
58 : 유체 통로
60 : 통형상 유지부
60a : 내주면 (지지면)
62 : 제 1 축방향 지지부
64 : 제 2 축방향 지지부
66 : 제 1 삽통공
68 : 제 2 삽통공
130 : 내측 부재
132 : 외측 부재
146 : 제 2 연결단부
148 : 연결 핀
168 : 제 2 삽통공
d1 : 제 1 내경
d2 : 제 2 내경
D1 : 제 1 직경
D2 : 제 2 직경
D3 : 제 3 직경
D4 : 제 4 직경
L : (배관 본체의) 길이축선
M : (연결 핀의) 길이축선
N1 : 추동축선
N2 : 추동축선
P1 : 위치
P2 : 위치
P3 : 위치
P4 : 위치
R : 회전축선

Claims (8)

  1. 유체 통로를 갖는 배관 본체와,
    상기 유체 통로 내에 배치된 밸브 부재와,
    상기 밸브 부재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핸들 기구를 구비하는 배관 부재로서,
    상기 핸들 기구가,
    상기 유체 통로를 횡단하는 회전축선의 둘레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배관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유체 통로 내에서 상기 밸브 부재에 접속된 축형상의 내측 부재로서, 상기 배관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 1 연결단부를 갖는 내측 부재와,
    상기 배관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선의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외측 부재로서, 상기 제 1 연결단부를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제 2 연결단부 및 핸들을 갖는 외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가 상기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추동축선의 둘레로 상기 내측 부재에 대하여 추동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연결단부와 상기 제 2 연결단부를 상기 내측 부재의 회동 방향에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관 본체가 상기 제 2 연결단부의 주위에 위치하는 지지면을 갖고,
    상기 외측 부재를 상기 추동축선의 둘레로 추동시키는 방향으로의 힘이 상기 외측 부재에 작용했을 때에, 상기 제 2 연결단부가 상기 지지면에 걸어맞춰져 상기 외측 부재가 추동 방향에서 상기 배관 본체에 지지되도록 된, 배관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외측 부재가 상기 추동축선의 방향에서 상기 내측 부재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연결단부와 상기 제 2 연결단부를 연결하고 있고, 상기 외측 부재가 상기 내측 부재에 대하여 상기 추동축선의 방향으로 변위했을 때에, 상기 외측 부재의 상기 제 2 연결단부가 상기 지지면에 걸어맞춰져 지지되도록 된, 배관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 1 연결단부와 상기 제 2 연결단부를 지나 상기 추동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 핀인, 배관 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단부가 상기 연결 핀을 통과시키는 제 1 삽통공을 갖고, 상기 제 2 연결단부가 상기 연결 핀을 통과시키는 제 2 삽통공을 갖고, 상기 제 1 삽통공과 상기 제 2 삽통공 중 일방이 상기 회전축선의 방향에서 상기 연결 핀의 외경보다 큰 제 1 내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외측 부재가 상기 회전축선과 상기 연결 핀의 길이축선에 직교하는 축선의 둘레에서도 상기 내측 부재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된, 배관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삽통공과 상기 제 2 삽통공 중 상기 일방이, 상기 회전축선과 상기 길이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연결 핀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제 2 내경을 갖는 단면 타원형의 구멍인, 배관 부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단부가 제 1 직경을 갖는 단면 원형의 외주면을 갖고, 상기 제 2 연결단부가 제 2 직경을 갖는 단면 원형의 내주면과 제 3 직경을 갖는 단면 원형의 외주면을 갖고, 상기 지지면이 제 4 직경을 갖는 단면 원형의 내주면이며, 상기 제 1 직경과 상기 제 2 직경의 차가 상기 제 3 직경과 상기 제 4 직경의 차보다 크게 되어, 상기 외측 부재가 상기 내측 부재에 대하여 변위했을 때에 상기 제 1 연결단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연결단부의 내주면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된, 배관 부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부재가 제 1 축방향 지지부를 갖고, 상기 배관 본체가 제 2 축방향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제 1 축방향 지지부와 상기 제 2 축방향 지지부가 상기 회전축선의 방향에서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외측 부재가 상기 회전축선의 방향에서 상기 배관 부재에 지지되도록 된, 배관 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본체가, 상기 배관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선의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통형상 유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면이 상기 통형상 유지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축방향 지지부가 상기 통형상 유지부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관 부재.
KR1020237035282A 2021-03-30 2022-03-02 배관 부재 KR202301555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56709 2021-03-30
JP2021056709 2021-03-30
PCT/JP2022/008720 WO2022209537A1 (ja) 2021-03-30 2022-03-02 配管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580A true KR20230155580A (ko) 2023-11-10

Family

ID=8345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5282A KR20230155580A (ko) 2021-03-30 2022-03-02 배관 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19062A1 (ko)
EP (1) EP4317756A1 (ko)
JP (1) JPWO2022209537A1 (ko)
KR (1) KR20230155580A (ko)
CN (1) CN117098946A (ko)
TW (1) TWI823288B (ko)
WO (1) WO202220953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21469A (ja) 2019-07-30 2021-02-18 日東工器株式会社 継手部材及び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3569A (en) * 1966-03-29 1969-10-21 Dover Corp Coupler
JPS4717835Y1 (ko) * 1968-05-02 1972-06-20
JPS54158957U (ko) * 1978-04-27 1979-11-06
JPS58122025U (ja) * 1982-02-15 1983-08-19 日本精工株式会社 自在継手
US5671777A (en) * 1995-07-17 1997-09-30 Dover Corporation Couplings for joining fluid conduits
US20080128034A1 (en) * 2006-12-01 2008-06-05 Dixon Valve And Coupling Company Handle Lever Locking Mechanism for Dry Disconnect Coupler
TWI753420B (zh) * 2019-07-30 2022-01-21 日商日東工器股份有限公司 閥構造體、接頭構件及管接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21469A (ja) 2019-07-30 2021-02-18 日東工器株式会社 継手部材及び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209537A1 (ko) 2022-10-06
TW202300807A (zh) 2023-01-01
US20240019062A1 (en) 2024-01-18
TWI823288B (zh) 2023-11-21
EP4317756A1 (en) 2024-02-07
CN117098946A (zh) 2023-11-21
WO2022209537A1 (ja)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5050B1 (en) Hinge device to be used for a foldable apparatus
US7401538B2 (en) F figure wrench
US7409817B1 (en) Bicycle chain splitter
US10995876B2 (en) Electro-mechanical valve servo apparatus for tool-free retrofit installation
JP4291037B2 (ja) スライドヒンジ
US4768750A (en) Valve joint connection
EP3026202B1 (en) Closer device and vehicle door locking device
KR101787191B1 (ko) 체인 텐셔너
FR2901465A1 (fr) Viseur pour chirurgie ligamentaire
US20070042826A1 (en) Universal joint
KR20180105042A (ko) 모따기 툴, 툴 지지 세트 및 모따기 시스템
US8826782B2 (en) Rotatable tool handle
KR20230155580A (ko) 배관 부재
JP4173185B1 (ja) 携帯端末
JP7017190B2 (ja) 逆入力遮断クラッチ
EP0456538B1 (fr) Dispositif d'obturation d'arbres d'entraînement à cannelures intérieures
KR101028505B1 (ko) 수동조작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자동밸브
KR100478094B1 (ko) 밸브장치
JP6912059B2 (ja) 鋼管継手装置
US6062539A (en) Valve gear and coupling mechanism for coupling the valve stem of the valve and the driving shaft of actuator
JP4237846B2 (ja) 押し回し機構付きバルブ
KR100683937B1 (ko) 유니버셜 조인트
WO2020225865A1 (ja) ピストンロッドへの転動ローラの組み付け構造
EP1694470B1 (fr) Dispositif d'assemblage du carter et du corps d'un brise-roche hydraulique
KR102319807B1 (ko) 개폐형 렌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