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262A -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 - Google Patents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262A
KR20230155262A KR1020220054915A KR20220054915A KR20230155262A KR 20230155262 A KR20230155262 A KR 20230155262A KR 1020220054915 A KR1020220054915 A KR 1020220054915A KR 20220054915 A KR20220054915 A KR 20220054915A KR 20230155262 A KR20230155262 A KR 20230155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er
insertion hole
finishing
finishing materials
finish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1824B1 (ko
Inventor
김기문
추승민
김서윤
김도윤
Original Assignee
김기문
추승민
김서윤
김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문, 추승민, 김서윤, 김도윤 filed Critical 김기문
Priority to KR1020220054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824B1/ko
Publication of KR20230155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 E04F21/183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for setting a plurality of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탄 대상의 마감재 두께에 따라 기구 몸체에서 평탄기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어 마감재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기구 몸체의 일측에 다양한 크기의 간격재를 결합할 수 있어 간격재가 마감재와 마감재 사이에 삽입하여 다수 개의 마감재를 균일한 간격으로 시공할 수 있고, 마감재의 시공이 완료되면 평탄기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기구 몸체와 평탄기를 마감재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가능하며, 평탄기의 몸체와 고정핀, 간격재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어 평탄 대상의 마감재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평탄기 이송구를 이용하여 평탄기를 기구 몸체에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평탄 대상의 마감재 두께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LEVELING TOOL OF FINISHING MATERIALS FOR A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탄 대상의 마감재 두께에 따라 기구 몸체에서 평탄기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어 마감재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기구 몸체의 일측에 다양한 크기의 간격재를 결합할 수 있어 간격재가 마감재와 마감재 사이에 삽입하여 다수 개의 마감재를 균일한 간격으로 시공할 수 있고, 마감재의 시공이 완료되면 평탄기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기구 몸체와 평탄기를 마감재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가능하며, 평탄기의 몸체와 고정핀, 간격재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어 평탄 대상의 마감재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평탄기 이송구를 이용하여 평탄기를 기구 몸체에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평탄 대상의 마감재 두께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한층 더욱 돋보이게 하기 위해 건축물의 몰탈로 도포된 바닥면 또는 벽면에 천연석, 인조석, 타일, 목재 등을 안착하여 마감시공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감재 시공은 예를 들어 바닥마감재를 일정한 간격과 높낮이를 유지하기 위해 임의로 설치한 줄을 기준으로 바닥마감재의 높이를 설정하고, 바닥마감재를 일일이 망치로 두드리고 보완함으로써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며, 작업에도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시공은 숙련공의 기술에만 의존해야 하는 기술적이면서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숙련공이라 할지라도 작업도중 불규칙한 간격과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전후, 좌우를 비교하여 일일이 망치로 두드리고 보완해 가야하는 불편함 때문에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런 수작업을 진행하는 숙련공이 되기까지 많은 경험과 오랜 시간이 필요하므로 숙련공의 인력난이 갈수록 심화되어 가고 있으며, 현장 여건이 최악인 경우 바닥이 고르지 못할 때 제품의 시공이 어려워 마감재가 단시간 내에 작은 충격에도 갈라지거나, 바닥면과 분리되어 시공 만족도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재시공 보수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마감재의 높이가 상호간에 다르게 형성되면 물 고임으로 인한 미끄럼 사고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흰색 시멘트를 주입하기 전에 타일 레벨링 작업이 필요하다.
종래 타일 레벨링 작업은 많은 경험이 필요한 어려운 작업이어서 숙련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져야 원하는 품질을 얻을 수 있었고, 숙련된 작업자가 작업하는 경우에도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DIY(do it yourself furniture) 시장이 점차 넓어짐에 따라 소비자가 타일 시공까지 직접 하는 현실을 고려해볼때, 비숙련된 일반 소비자도 큰 어려움 없이 타일 레벨링 작업을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평준화 된 품질을 얻을 수 있는 타일 레벨링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8-0098721호(2018. 09. 05.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5862호(2004. 08. 02.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탄 대상의 마감재 두께에 따라 기구 몸체에서 평탄기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어 마감재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구 몸체의 일측에 다양한 크기의 간격재를 결합할 수 있어 간격재를 마감재와 마감재 사이에 삽입하여 다수 개의 마감재를 균일한 간격으로 시공할 수 있는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재의 시공이 완료되면 평탄기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기구 몸체와 평탄기를 마감재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평탄기의 몸체와 고정핀, 간격재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어 평탄 대상의 마감재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탄기 이송구를 이용하여 평탄기를 기구 몸체에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평탄 대상의 마감재 두께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비숙련 작업자 또는 일반 소비자가 어려움 없이 마감재의 평탄화 작업을 할 수 있는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는 판 형상으로 하단면은 마감재(F)에 밀착되며,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평탄기 삽입공(110)이 구비되며, 상기 평탄기 삽입공(110)의 양측에 수평방향의 외측으로 오목하게 상하로 관통되는 ㅅ한 쌍의 고정핀 삽입홈(12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 삽입홈(120)과 직각 방향의 평탄기 삽입공(110)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13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 삽입홈(120)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간격재 삽입공(140)이 구비되는 기구 몸체(100); 원통형으로 상하로 연장되는 평탄기 몸체(210)가 구비되며, 상기 평탄기 몸체(210)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판(220)이 구비되고, 상기 평탄기 몸체(210) 하부에 ⊥형상으로 인접하는 마감재(F)의 사이 줄눈으로 삽입되어 양측 마감재(F)를 하단부를 지지하는 고정핀(230)이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판(220)과 고정핀(230)의 동일한 방향 평탄기 몸체(210)의 양측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기구 몸체(100)의 걸림돌기(130)가 결합되도록 복수 개의 위치 고정톱니(240)가 구비되는 평탄기(200); 및 상기 기구 몸체(100)의 간격재 삽입공(140)에 삽입되는 간격재 몸체(310)가 구비되며, 상기 간격재 몸체(310)의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인접하는 마감재(F)와 마감재(F) 사이의 줄눈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간격돌기(320)가 구비되는 간격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구 몸체(100)의 걸림돌기(130)는 상부면은 수평면을 이루며, 하부면은 내측 끝단부에서 평탄기 삽입공(110) 내주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평탄기(200)의 위치 고정톱니(240)는 하부면은 수평면을 이루며, 상부면은 하부면 끝단부를 향해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구 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평탄기(200)의 평탄기 몸체(210)를 기구 몸체(100)의 평탄기 삽입공(110)에서 상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비되는 평탄기 이송구(400)를 포함하되, 상기 평탄기 이송구(400)는 평탄기(200)의 평탄기 몸체(210)가 삽입되도록 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단부는 기구 몸체(10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높이 조절판(410); 상기 한 쌍의 높이 조절판(410)에 상하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상하 이송공(420); 상기 한 쌍의 높이 조절판(410)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며, 선단부 하부가 기구 몸체(100)의 상면에 밀착되어 한 쌍의 높이 조절판(41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판(430); 선단부에 좌우로 관통되는 힌지 삽입공(441)이 구비되며, 상기 상하 이송공(420)을 관통하여 힌지 삽입공(441)에 삽입되는 힌지핀(442)이 구비되며, 선단부에 평탄기 몸체(310)가 삽입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향으로 돌출되어 평탄기(200)의 손잡이판(220) 양측 하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443)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핀(442)을 중심으로 지지돌기(443)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회동바(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는 평탄 대상의 마감재 두께에 따라 기구 몸체에서 평탄기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어 마감재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구 몸체의 일측에 다양한 크기의 간격재를 결합할 수 있어 간격재를 마감재와 마감재 사이에 삽입하여 다수 개의 마감재를 균일한 간격으로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재의 시공이 완료되면 평탄기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기구 몸체와 평탄기를 마감재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평탄기의 몸체와 고정핀, 간격재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어 평탄 대상의 마감재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탄기 이송구를 이용하여 평탄기를 기구 몸체에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평탄 대상의 마감재 두께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비숙련 작업자 또는 일반 소비자도 어려움 없이 마감재의 평탄화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의 기구 몸체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의 평탄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의 간격재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의 기구 몸체가 마감재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의 기구 몸체에 평탄기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의 평탄기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10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의 평탄기 이송구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는 기구 몸체(100)와 평탄기(200), 간격재(300), 평탄기 이송구(400)로 구성된다.
먼저 기구 몸체(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하단면은 마감재(F)에 밀착되며,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평탄기 삽입공(110)이 구비되고, 상기 평탄기 삽입공(110)의 양측에 수평방향의 외측으로 오목하게 상하로 관통되는 한 쌍의 고정핀 삽입홈(1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 삽입홈(120)과 직각 방향의 평탄기 삽입공(110)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13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 삽입홈(120)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간격재 삽입공(1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기구 몸체(100)는 원형 또는 사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구 몸체(100)의 걸림돌기(130)는 상부면은 수평면을 이루며, 하부면은 내측 끝단부에서 평탄기 삽입공(110) 내주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탄기(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상하로 연장되는 평탄기 몸체(210)가 구비되며, 상기 평탄기 몸체(210)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판(220)이 구비되고, 상기 평탄기 몸체(210) 하부에 ⊥형상으로 인접하는 마감재(F)의 사이 줄눈으로 삽입되어 양측 마감재(F)를 하단부를 지지하는 고정핀(23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판(220)과 고정핀(230)의 동일한 방향 평탄기 몸체(210)의 양측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이에 기구 몸체(100)의 걸림돌기(130)가 삽입되도록 복수 개의 위치 고정톱니(2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평탄기(200)의 위치 고정톱니(240)는 하부면은 수평면을 이루며, 상부면은 하부면 끝단부를 향해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격재(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 몸체(100)의 간격재 삽입공(140)에 삽입되는 간격재 몸체(310)가 구비되며, 상기 간격재 몸체(310)의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인접하는 마감재(F)와 마감재(F) 사이의 줄눈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간격돌기(3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간격재(300)의 간격재 몸체(310)와 간격돌기(320)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으로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구 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평탄기(200)의 평탄기 몸체(210)를 기구 몸체(100)의 평탄기 삽입공(110)에서 상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비되는 평탄기 이송구(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기(200)의 평탄기 몸체(210)가 삽입되도록 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단부는 기구 몸체(100)의 상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높이 조절판(410)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높이 조절판(410)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상하 이송공(4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높이 조절판(41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며, 선단부 하부가 기구 몸체(100)의 상면에 밀착되어 한 쌍의 높이 조절판(410)을 지지하는 지지판(430)이 구비된다.
또한 선단부에 좌우로 관통되는 힌지 삽입공(441)이 구비되며, 상기 상하 이송공(420)을 관통하여 힌지 삽입공(441)에 삽입되는 힌지핀(442)이 구비되고, 선단부에 평탄기 몸체(310)가 삽입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향으로 돌출되어 평탄기(200)의 손잡이판(220) 양측 하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443)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핀(442)을 중심으로 지지돌기(443)가 상하로 회동되는 회동바(44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감재(타일)을 시공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기(200)의 고정핀(2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감재(F)와 인접하는 마감재(F)의 사이 간격(줄눈)을 벌려서 시공한다.
그리고 마감재(F)와 마감재(F) 사이 줄눈 상부에 기구 몸체(100)를 올려 놓고 간격돌기(320)가 줄눈 사이에 삽입되도록 간격재 삽입공(140)에 간격재(300) 간격재 몸체(310)를 삽입한다.
이때 작업자는 원하는 마감재(F)의 줄눈(스페이스)의 간격만큼 간격돌기(320)의 폭(g)을 이루는 간격재(300)를 사용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원하는 마감재(F)의 줄눈(스페이스)의 간격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감재(F)와 마감재(F) 사이에 간격재(300)의 간격돌기(320)를 삽입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기(200)의 고정핀(230) 양측단을 기구 몸체(100)의 고정핀 삽입홈(120)으로 삽입하여 상기 고정핀(230)이 마감재(F)와 마감재(F) 사이 줄눈(스페이스)으로 삽입되어 마감재 하부에 위치되도록 평탄기 몸체(210)를 평탄기 삽입공(110)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평탄기(200)의 평탄기 몸체(210)를 기구 몸체(100)의 평탄기 삽입공(110)에 삽입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평탄기 몸체(210)의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판(220)을 손으로 잡고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판(200)을 회전시키면 ⊥ 형상의 고정핀(230)도 회전되어 하단부 양측단이 인접한 양측 마감재(F) 하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손잡이판(200)을 회전시키면 평탄기 몸체(210)의 양측 외주면에 구비된 위치 고정톱니(240)와 위치 고정톱니(240) 사이에 기구 몸체(100)의 평탄기 삽입공(110)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복수 개의 걸림돌기(130)가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이때 상기 기구 몸체(100)의 걸림돌기(130)는 상부면은 수평면을 이루며, 하부면은 내측 끝단부에서 평탄기 삽입공(110) 내주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평탄기(200)의 위치 고정톱니(240)는 하부면은 수평면을 이루며, 상부면은 하부면 끝단부를 향해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평탄기 몸체(210)는 평탄기 삽입공(110)에서 하부로 이송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기구 몸체(100)의 걸림돌기(130)와 평탄기(200)의 위치 고정톱니(2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기 이송구(400)의 지지판(430)은 마감재(F) 상부에 밀착되며, 한 쌍의 높이 조절판(410) 사이로 평탄기(200)의 평탄기 몸체(210)가 삽입되도록 위치시킨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440)의 끝단부를 눌러 상하 이송공(420)을 관통하여 힌지삽입공(411)에 결합된 지지핀(442)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회동바(440)의 끝단부가 하향으로 회동되면 회동바의 선단부에 평탄기 몸체(310)가 삽입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돌기(443)가 평탄기(200)의 손잡이판(220) 양측 하단부를 지지하면서 평탄기 몸체(210)를 상향으로 이송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향으로 이송된 평탄기 몸체(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구 몸체(100)의 걸림돌기(130)는 상부면은 수평면을 이루며, 하부면은 내측 끝단부에서 평탄기 삽입공(110) 내주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평탄기(200)의 위치 고정톱니(240)는 하부면은 수평면을 이루며, 상부면은 하부면 끝단부를 향해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평탄기 몸체(210)는 평탄기 삽입공(110)에서 하부로 이송되지 않고 상향으로 이송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평탄기 몸체(210)가 상향으로 이송되며, 하부에 구비된 고정핀(230)이 인접한 양측 마감재(F)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향으로 이송시켜 마감재(F)의 평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동바(440)는 상하 이송공(420)을 통해 힌지핀(442)의 높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위치에 따라 회동바(440)를 회동시 평탄기 몸체(210)가 상향으로 이송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는 상기와 같이 마감재(F)에 기구 몸체(100)와 간격재(300), 평탄기(200)를 차례대로 설치할 수 있고, 자주 사용하는 간격 및 두께의 마감재(F)에 따라 기구몸체(100)에 평탄기(200)와 간격재(300)를 평소에 결합한 상태에서 현장에서 바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평탄기 이송구(400)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 대상인 좌측 마감재(F)와 우측 마감재(F)의 단차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좌측과 우측 평탄 대상인 마감재(F)에 서로 다른 힘을 가하여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감재(F)의 평탄이 이루어지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기(200)로부터 평탄기 이송구(400)를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마감재(F)의 줄눈에 평탄기(200)를 설치한 후 일정 시간 경과후 평탄기(20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평탄기(200)의 손잡이판(220)을 손으로 잡고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평탄기 몸체(210)와 위치 고정톱니(240)가 평탄기 삽입공(110)에서 손잡이판(22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평탄기(200)의 위치 고정톱니(240)가 기구 몸체(100)의 걸림돌기(130)와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평탄기 몸체(210)가 회전되면 작업자는 손잡이판(220)을 잡고 상향으로 이송시키면 평탄기 몸체(210)는 편탄기 삽입공(110)으로부터 상향으로 분리되며 하부에 구비된 고정핀은 기구 몸체(100)의 고정핀 삽입홈(120)을 따라 상향으로 이송되어 평탄기(200)가 기구 몸체(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평탄기(200)를 기구 몸체(100)로부터 분리한 후 마감재(F) 상부 설치된 기구 몸체(100)를 마감재(F)로부터 분리하면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는 마감재의 시공이 완료되면 평탄기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기구 몸체와 평탄기를 마감재로부터 분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평탄 대상의 마감재 두께에 따라 기구 몸체에서 평탄기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어 마감재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기구 몸체의 일측에 다양한 크기의 간격재를 결합할 수 있어 간격재를 마감재와 마감재 사이에 삽입하여 다수 개의 마감재를 균일한 간격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평탄기의 몸체와 고정핀, 간격재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어 평탄 대상의 마감재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평탄기 이송구를 이용하여 평탄기를 기구 몸체에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평탄 대상의 마감재 두께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비숙련 작업자 또는 일반 소비자도 어려움 없이 마감재의 평탄화 작업을 할 수 있다.
100 : 기구 몸체
110 : 평탄기 삽입공 120 : 고정핀 삽입홈
130 : 걸림돌기 140 : 간격재 삽입공
200 : 평탄기
210 : 평탄기 몸체 220 : 손잡이판
230 : 고정핀 240 : 위치 고정톱니
300 : 간격재
310 : 간격재 몸체 320 : 간격돌기
400 : 평탄기 이송구
410 : 높이 조절판 420 : 상하 이송공
430 : 지지판 440 : 회동바
441 : 힌지 삽입공 442 : 힌지핀
443 : 지지돌기
F : 마감재

Claims (5)

  1. 판 형상으로 하단면은 마감재(F)에 밀착되며,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평탄기 삽입공(110)이 구비되며, 상기 평탄기 삽입공(110)의 양측에 수평방향의 외측으로 오목하게 상하로 관통되는 한 쌍의 고정핀 삽입홈(12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 삽입홈(120)과 직각 방향의 평탄기 삽입공(110)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13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 삽입홈(120)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간격재 삽입공(140)이 구비되는 기구 몸체(100);
    원통형으로 상하로 연장되는 평탄기 몸체(210)가 구비되며, 상기 평탄기 몸체(210)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판(220)이 구비되고, 상기 평탄기 몸체(210) 하부에 ⊥형상으로 인접하는 마감재(F)의 사이 줄눈으로 삽입되어 양측 마감재(F)를 하단부를 지지하는 고정핀(230)이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판(220)과 고정핀(230)의 동일한 방향 평탄기 몸체(210)의 양측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기구 몸체(100)의 걸림돌기(130)가 결합되도록 복수 개의 위치 고정톱니(240)가 구비되는 평탄기(200);
    상기 기구 몸체(100)의 간격재 삽입공(140)에 삽입되는 간격재 몸체(310)가 구비되며, 상기 간격재 몸체(310)의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인접하는 마감재(F)와 마감재(F) 사이의 줄눈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간격돌기(320)가 구비되는 간격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구 몸체(100)의 걸림돌기(130)는
    상부면은 수평면을 이루며, 하부면은 내측 끝단부에서 평탄기 삽입공(110) 내주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탄기(200)의 위치 고정톱니(240)는
    하부면은 수평면을 이루며, 상부면은 하부면 끝단부를 향해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구 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평탄기(200)의 평탄기 몸체(210)를 기구 몸체(100)의 평탄기 삽입공(110)에서 상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비되는 평탄기 이송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평탄기 이송구(400)는
    평탄기(200)의 평탄기 몸체(210)가 삽입되도록 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단부는 기구 몸체(10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높이 조절판(410);
    상기 한 쌍의 높이 조절판(410)에 상하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상하 이송공(420);
    상기 한 쌍의 높이 조절판(410)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며, 선단부 하부가 기구 몸체(100)의 상면에 밀착되어 한 쌍의 높이 조절판(41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판(430);
    선단부에 좌우로 관통되는 힌지 삽입공(441)이 구비되며, 상기 상하 이송공(420)을 관통하여 힌지 삽입공(441)에 삽입되는 힌지핀(442)이 구비되고, 선단부에 평탄기 몸체(310)가 삽입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향으로 돌출되어 평탄기(200)의 손잡이판(220) 양측 하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443)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핀(442)을 중심으로 지지돌기(443)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회동바(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
KR1020220054915A 2022-05-03 2022-05-03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 KR102631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915A KR102631824B1 (ko) 2022-05-03 2022-05-03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915A KR102631824B1 (ko) 2022-05-03 2022-05-03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262A true KR20230155262A (ko) 2023-11-10
KR102631824B1 KR102631824B1 (ko) 2024-02-01

Family

ID=88742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915A KR102631824B1 (ko) 2022-05-03 2022-05-03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8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8475B1 (de) * 2006-10-25 2012-02-08 Simmer, Jane-Beryl Distanzteil zur Befestigung von Bohlen an einer Unterkonstruktion
US20170044779A1 (en) * 2015-08-13 2017-02-16 Ching-Tien Teng Tile Leveler
US20170211282A1 (en) * 2016-01-22 2017-07-27 Ching-Tien Teng Tile Leveler
KR20180098721A (ko) 2017-02-27 2018-09-05 이주용 타일의 간격과 평면을 맞춰주는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8475B1 (de) * 2006-10-25 2012-02-08 Simmer, Jane-Beryl Distanzteil zur Befestigung von Bohlen an einer Unterkonstruktion
US20170044779A1 (en) * 2015-08-13 2017-02-16 Ching-Tien Teng Tile Leveler
US20170211282A1 (en) * 2016-01-22 2017-07-27 Ching-Tien Teng Tile Leveler
KR20180098721A (ko) 2017-02-27 2018-09-05 이주용 타일의 간격과 평면을 맞춰주는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824B1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6093B1 (en) Height-adjustable tile spacers
US7244079B1 (en) Retaining wall system
US7818923B2 (en) Tile spacer
WO2009067302A1 (en) Low-obscuring tile installation spacer
US20130074425A1 (en) Spacer and Associated Method for Laying Tile
US2009012003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aying marble tile flooring
KR102631824B1 (ko) 건축용 마감재 평탄화 기구
KR100767645B1 (ko) 갱폼 레벨 및 수직 조절장치
US7070667B1 (en) Method and tool for installing tile on a wall
RU17340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плиток
US10167626B1 (en) Masonry support apparatus
CN211548609U (zh) 墙砖支撑调平装置
CN202108235U (zh) 一种抹灰冲筋模板
KR100916326B1 (ko) 바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41211B1 (ko) 타일형 바닥재 시공용 균일성 유지장치
US49533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masonry structure
CN203701588U (zh) 一次成型免抹灰现浇楼梯用定型钢模
KR101461084B1 (ko) 경계석 시공장치
KR100884779B1 (ko) 바닥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6158894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面の仕上げ方法とそれに用いる天端設定装置
US85565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expansion joints
JP2017089291A (ja) コンクリート打設面のひび割れ防止溝の形成方法とそれに用いる装置
US20070215786A1 (en) Form bracket
CN219973954U (zh) 一种控制砌体水平灰缝厚度的木制定型卡具
JP3110385U (ja) ブロック施工用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