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373A -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373A
KR20230154373A KR1020220053780A KR20220053780A KR20230154373A KR 20230154373 A KR20230154373 A KR 20230154373A KR 1020220053780 A KR1020220053780 A KR 1020220053780A KR 20220053780 A KR20220053780 A KR 20220053780A KR 20230154373 A KR20230154373 A KR 20230154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e
metal
carbon nanomaterial
metal complex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진
김미정
김정모
박종환
서선희
이건웅
정승열
한중탁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53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4373A/ko
Publication of KR20230154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37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2Fullerenes
    • C01B32/15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8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94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98Graphene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1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5Diamond
    • C01B32/28After-treatment, e.g. purification, irradiation, separation or recove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40Fibres of 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탄소나노소재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 탄소나노소재와 복합화되는 금속 입자;를 포함하고, 복합화는, 탄소나노소재와,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 및 금속 전구체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의 분자간 비공유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금속 입자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이 열처리를 통하여 입자화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CARBON NANOMATERIAL-METAL COMPOSITE FIBER USING AMINE-METAL COMPLEX, ITS MANUFACTURUNG METHOD}
본 발명은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나노소재는 경량성 및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전기전도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전도성 소재로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탄소나노소재로 제조된 섬유는 미래 웨어러블 소자의 전극으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EMI차폐, 대전방지, 초고용량 축전지, 센서, 배터리, 열선 또는 엑츄에이터의 전극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탄소나노소재 기반 섬유가 갖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금속에 준하는 전기전도성을 발현하기가 어려우며, 이를 해결할 목적으로 탄소나노소재와 금속의 복합화 연구가 필수적이다.
탄소나노소재와 금속의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중에서 탄소나노소재와 금속의 복합필러를 우선적으로 형성한 후 섬유 고분자와 혼합하여 도프(페이스트)를 제조하고 이를 습식방사 혹은 압출하는 방식이 있다. 특허문헌 1(기능화된 탄소물질계 전도성 필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 등록번호: 10-2087248)에서 아민기와 금속 전구체 이온의 공유결합을 통해 탄소나노소재와 금속의 복합필러를 형성하는 내용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탄소나노소재의 표면을 아민기로 기능화하고, 금속 전구체를 결합시킨 후 금속 이온을 환원하게 된다.
탄소나노소재와 금속의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은 탄소나노소재 구조체로 이루어진 섬유를 제조한 후, 추가 공정을 통해 금속을 복합화하는 방식이다. 관련하여 특허문헌 2(금속도금 탄소 섬유의 제조방법, 등록번호: 10-2010366)에서 암모늄바이카보네이트 전해질 용액에 흑연을 표준전극으로 넣고 상대 전극으로 탄소 섬유를 사용하고, 탄소 섬유에 양전압을 인가하여 탄소 섬유 표면을 음(-)전하화하는 활성화 과정을 거친 후, 음전하가 인가된 탄소 섬유의 표면에 금속을 도금한, 금속도금 탄소 섬유를 제조함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복합섬유의 기계적,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들에 더해 최근 경제적 효율 증대 및 환경적 측면에서 공정 개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들은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의 제조에 추가적인 환원제를 투입하고 추후 환원제를 제거해야 하는 등 고전도성 섬유 제조를 위해서는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하며, 전기전도도 향상 측면에서 한계점을 갖는다. 또한 도금을 통한 복합섬유 공정 시에는 공정비용 상승과 더불어 도금 약품의 환경 오렴에 대한 문제가 앞으로 해결해야할 과제로 남아있다.
따라서, 전기적 응용에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 금속과 탄소나노소재를 복합화한 섬유 구현을 위해서는 입자 형태 금속의 밀도 조절 및 균일성을 도모할 수 있는 복합섬유의 개발이 필요하며, 제조 공정 효율 증대를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기술적 요구에 착안하여 화학적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탄화수소 치환기를 가지는 아민과 금속의 착화합물을 도입하고 탄소나노소재와 화학적 상호작용을 유도함으로서, 탄소나노소재에 금속 입자의 균일한 결합을 통하여 집적화된 복합섬유를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87248호, 2020.03.04.자 등록.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10366호, 2019.08.07.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과, 금속 전구체의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하여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소나노소재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 및 상기 탄소나노소재와 복합화되는 금속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화는, 상기 탄소나노소재와,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 및 금속 전구체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의 분자간 비공유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 입자는, 상기 아민-금속 착화합물이 열처리를 통하여 입자화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민-금속 착화합물은, 상기 금속 전구체와, 상기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을 1 : 1 내지 20의 몰 비로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은, 하기 화학식 1, 하기 화학식 2, 하기 화학식 3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단,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에서 R1 내지 R6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알릴, (C1~C18) 알킬, (C4~C20) 아릴 또는 (C6~C30) 아르알킬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 치환기는, 하이드록실기,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에스테르기 및 에테르기 중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소재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CNT),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ouble-walled carbon nanotube, DWCNT),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 산소 함유 관능기로 표면이 기능화된 탄소나노튜브, 그라파이트, 카본블랙, 나노다이아몬드, 그래핀 및 산화그래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전구체의 금속은, 구리(Cu), 금(Au), 은(Ag), 아연(Zn), 코발트(Co), 니켈(Ni), 철(Fe), 스칸듐(Sc), 티타늄(Ti), 바나듐(V), 크롬(Cr), 망간(Mn), 이트륨(Y), 지르코늄(Zr), 니오븀(Nb), 몰리브덴(Mo), 테크네듐(Tc), 루테늄(Ru), 로듐(Rh), 팔라듐(Pd), 카드뮴(Cd), 하프늄(Hf), 탄탈럼(Ta), 텅스텐(W), 레늄(Re), 오스뮴(Os), 이리듐(Ir), 백금(Pt), 수은(Hg),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주석(Sn), 탈륨(Tl), 납(Pb) 및 비스무트(B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 및 금속 전구체를 혼합하여 용액상의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형성하고, 탄소나노소재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아민-금속 착화합물에 상기 섬유 구조체를 침지시킨 후 열처리하여 상기 탄소나노소재에 금속 입자가 복합화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합화는, 상기 탄소나노소재와,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 및 금속 전구체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의 분자간 비공유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 입자는, 상기 열처리를 통하여 상기 아민-금속 착화합물이 입자화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민-금속 착화합물은, 상기 금속 전구체와, 상기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을 1 : 1 내지 20의 몰 비로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적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탄화수소 치환기를 포함한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함으로서, 탄소나노소재의 기능화 유무에 상관없이 금속의 복합화를 위한 추가적인 환원제의 사용이 불필요하고, 양극산화와 같은 별도의 표면 처리를 하지 않고도 복합화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용액상의 아민-금속 착화합물에 섬유 구조체를 침지시킨 후 열처리를 통한 간단한 열에너지 도입만으로 금속 입자화를 이룰 수 있어,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등 단독의 탄소나노소재가 갖는 전기전도도 보다 2 내지 10배 증가된 전기전도도 값을 가지므로, 고전도성 섬유, 차폐-방열 섬유 또는 에너지 저장 소자용 전극 등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소재와, 아민-금속 착화합물의 상호작용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구리 복합섬유를 나타낸 SEM 사진.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단일벽 탄소나노튜브-구리 복합섬유를 나타낸 SEM 사진.
도 5는 실시예 3에 따른 산화그래핀-산화그래핀환원물-구리 복합섬유를 나타낸 SEM 사진.
도 6은 비교예 1에 따른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나타낸 SEM 사진.
도 7은 비교예 2에 따른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나타낸 SEM 사진.
도 8은 비교예 3에 따른 산화그래핀-산화그래핀환원물 섬유를 나타낸 SEM 사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에 관한 것이다. 관련하여,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의 형성 과정을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는 탄소나노소재(110)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100)와, 탄소나노소재(110)와 복합화되는 금속 입자(300)를 포함한다. 특히 탄소나노소재(110)는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과, 금속 전구체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200)과의 분자간 비공유 상호작용(noncovalent interaction)을 통하여 탄소나노소재 및 아민-금속 착화합물이 침지 상태로 혼합체를 형성하며, 또한 금속 입자(300)는 탄소나노소재(110)와 분자간 비공유 상호작용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200)이 열처리를 통하여 금속 입자화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을 갖는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는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 함유 용액 및 금속 전구체의 교반을 통해 아민-금속 착화합물이 형성되고, 이러한 용액상의 아민-금속 착화합물에 탄소나노소재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를 투입해서, 상기 아민-금속 착화합물이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유도하여 탄소나노소재와 분자간 비공유 상호작용하여 섬유 구조체에 침지되는 것이다.
비공유 상호작용은 일종의 분자간 힘으로서, 전자 공유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공유결합과는 다르다. 탄소나노소재와 아민-금속 착화합물이 분자간 비공유 상호작용을 하므로, 탄소나노소재의 기능화 유무에 상관없고, 양극산화와 같은 표면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어 탄소나노소재 구조 자체에 결함을 유도할 필요가 없어서 탄소나노소재 고유의 성질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소재(110)와, 아민-금속 착화합물(200)의 상호작용 관계를 예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 함유 용액과 금속 전구체는 아민-금속 착화합물 용액을 형성하고, 아민-금속 착화합물 용액에 탄소나노소재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100)를 투입하여, 아민-금속 착화합물(200)은 탄소나노소재(110)와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탄소나노소재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100)의 내부로 침지되면서 섬유 구조체(100)를 이루는 탄소나노소재(110)와 혼합 구조체를 형성하게 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탄소나노소재(110) 즉, 여기서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로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에 아민-금속 착화합물(200)이 상호작용될 수 있으며, 도 2(a)처럼 아민-금속 착화합물(200)의 아민에 치환된 탄화수소가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형성하여 탄소나노소재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아민-금속 착화합물(200)에 있어서, 탄소나노소재(110)에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영역은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 영역일 수도 있으며, 금속 영역이 될 수도 있는데, 금속 전구체에서 소수성 인터렉션을 일으키고, 금속 이온이 극성이기 때문에, 이로부터 유발되는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해서 탄소나노소재(110)와 아민-금속 착화합물(200)이 분자간 비공유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금속 전구체의 금속(210)과, 상기 금속(210)에는 아민(221)에 탄화수소 치환기(22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200)을 확인할 수 있고, 이때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220)은 탄화수소 치환 아민이라 할 수 있다.
탄소나노소재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CNT),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ouble-walled carbon nanotube, DWCNT),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 산소 함유 관능기로 표면이 기능화된 탄소나노튜브, 그라파이트, 카본블랙, 나노다이아몬드, 그래핀 및 산화그래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아민-금속 착화합물은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과 금속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액체로서, 탄화수소를 치환기로 갖는 아민과 금속의 착화합물이라 할 수 있다.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구성함에 있어,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은 하기 화학식 1, 하기 화학식 2, 하기 화학식 3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아민계 물질일 수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1은 1차 아민계 물질이고, 화학식 2는 2차 아민계 물질이며, 화학식 3은 3차 아민계 물질로서,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에서 R1 내지 R6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알릴, (C1~C18) 알킬, (C4~C20) 아릴 또는 (C6~C30) 아르알킬기이다. 상기 알릴, 알킬, 아릴 또는 아르알킬기에는 하이드록실기,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에스테르기 및 에테르기 중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아민과 착화합물을 구성하는 금속은 구리(Cu), 금(Au), 은(Ag), 아연(Zn), 코발트(Co), 니켈(Ni), 철(Fe), 스칸듐(Sc), 티타늄(Ti), 바나듐(V), 크롬(Cr), 망간(Mn), 이트륨(Y), 지르코늄(Zr), 니오븀(Nb), 몰리브덴(Mo), 테크네듐(Tc), 루테늄(Ru), 로듐(Rh), 팔라듐(Pd), 카드뮴(Cd), 하프늄(Hf), 탄탈럼(Ta), 텅스텐(W), 레늄(Re), 오스뮴(Os), 이리듐(Ir), 백금(Pt), 수은(Hg),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주석(Sn), 탈륨(Tl), 납(Pb) 및 비스무트(B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세히 아민 함유 용액에는 상술한 금속을 포함하는 전구체가 첨가되는데, 금속 전구체로는 예를 들어 구리(Cu) 전구체, 니켈(Ni) 전구체, 은(Ag) 전구체 및 아연(Zn) 전구체 중 하나 이상의 금속 전구체 화합물일 수 있다.
구리(Cu) 전구체 화합물로는 구리폼산염(Cu(HCOO)2), 시안화동(Cu(CN)2), 구리옥살산(Cu(COO)2), 구리아세트산(CH3COOCu), 구리탄산염(CuCO3), 염화제2구리(CuCl2), 염화제1구리(CuCl), 황산구리(CuSO4), 질산구리(Cu(NO3)2), 수산화구리(Cu(OH)2) 및 이들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니켈(Ni) 전구체 화합물로는 육수화질산화니켈(nickel nitrate hexahydrate), 육수화황산화니켈(nickel sulfate hexahydrate), 염화니켈(nickel chloride), 탄산니켈(nickel carbonate), 산화니켈(nickel oxide), 아황화니켈(nickel subsulfide) 또는 이들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아연(Zn) 전구체 화합물로는 아연 클로라이드(zinc chloride), 니트레이트(zinc nitrate), 아연 아세테이트(zinc acetate), 아연 아세틸아세토네이트(zinc acetylacetonate) 및 이들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단, 상기 금속 전구체들은 반드시 상술한 종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치환기를 갖는 아민과 결합할 수 있는 금속 전구체라면 다양하게 사용 가능하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는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과, 금속 전구체를 혼합하여 용액상의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형성하고, 아민-금속 착화합물 용액과는 별도로 탄소나노소재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를 준비하는 단계(S10)와, 아민-금속 착화합물에 섬유 구조체를 침지시킨 후 저온에서 열처리하여, 탄소나노소재에 금속 입자가 복합화된 탄소나노소재-금속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S20)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먼저,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과, 금속 전구체를 혼합하여 용액상의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형성하고, 그리고 탄소나노소재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를 준비한다(S10).
우선 탄소나노소재가 응집 또는 번들링된 섬유 구조체를 액상 아민인 아민 함유 용액 및 금속 전구체가 착화합물을 이룬 아민-금속 착화합물 용액에 dipping하거나, 섬유 구조체에 아민-금속 착화합물 용액을 soaking하는 방식으로 침지가 이루어진다.
금속 전구체와 액상 아민은 1 : 1 내지 20의 몰 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전구체 대비 액상 아민이 1 몰 비 미만으로 첨가되면 고체상의 형태를 이루는 비중이 커져 아민-금속 착화합물이 탄소나노소재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 내부로 침지되기 어려우며, 20 몰 비를 초과하면 탄소나노소재에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충분히 유도하지 못하는 초과물로 인해 형성되는 금속 입자의 밀도가 현저히 낮아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금속 전구체와 액상 아민이 1 : 1 내지 6의 몰 비로 혼합될 수 있다.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 함유 용액과 금속 전구체를 포함하는 용액을 교반하게 되면 아민과 금속 전구체가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형성하게 된다. 교반의 경우 magnetic stirrer, shaker, 임펠러, thinky mixer, 균질기 및 초음파 처리기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교반 방식은 상기 종류에 한정하지 않으며,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교반 방식이라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아민-금속 착화합물에 상기 섬유 구조체를 침지시킨 후 열처리하여, 탄소나노소재에 금속 입자가 복합화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를 제조한다(S20).
용액상의 아민-금속 착화합물이 형성되고, 탄소나노소재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가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의 지지체가 되며, 이러한 지지체를 아민-금속 착화합물 용액에서 일정 시간 동안 탄소나노소재 및 아민-금속 착화합물과의 분자간 비공유 상호작용을 통하여 침지한 후 탄소나노소재 및 아민-금속 착화합물 혼합체를 형성하고, 이를 열처리하여 탄소나노소재에 금속 입자가 결합된 복합섬유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열처리는 저온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열처리 온도는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다만 경제성 문제 등을 고려하여 130 내지 480℃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MWCNT-CuNP 복합섬유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를, 2-ethyl-1-hexyl amine과 Copper(Ⅱ) formate hydrate로 제조한 아민-구리 착화합물 용액에 1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상기 침지 과정을 거친 섬유 구조체를 아르곤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200℃에서 열처리하여,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에 구리 입자가 결합된 MWCNT-CuNP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SWCNT-CuNP 복합섬유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를, 2-ethyl-1-hexyl amine과 Copper(Ⅱ) formate hydrate로 제조한 아민-구리 착화합물 용액에 1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상기 침지 과정을 거친 섬유 구조체를 아르곤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200℃에서 열처리하여,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에 구리 입자가 결합된 SWCNT-CuNP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GO-rGO-CuNP 복합섬유
산화그래핀 및 환원된 산화그래핀인 산화그래핀환원물의 혼합체(GO+rGO)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를, 2-ethyl-1-hexyl amine과 Copper(Ⅱ) formate hydrate로 제조한 아민-구리 착화합물 용액에 1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상기 침지 과정을 거친 섬유 구조체를 아르곤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200℃에서 열처리하여, 산화그래핀 및 산화그래핀환원물 혼합섬유에 구리 입자가 결합된 GO-rGO-CuNP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MWCNT 섬유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2> SWCNT 섬유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3> GO-rGO 섬유
산화그래핀과, 산화그래핀을 환원시킨 산화그래핀환원물의 혼합체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를 준비하였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복합섬유를 주사 전자 현미경(SEM)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a)와 도 4(b)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MWCNT-CuNP 복합섬유를 250배율과 2.5만배율로 각각 측정한 SEM 사진으로, 특히 도 3(b)에서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구리 입자가 결합된 모습이 확인된다.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복합섬유를 SEM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a)와 도 4(b)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SWCNT-CuNP 복합섬유를 250배율과 5만배율로 각각 측정한 SEM 사진이다. 도 4(b)를 참고하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구리 입자가 결합된 모습을 알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 3에 따른 복합섬유를 SEM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a)와 도 5(b)는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GO-rGO-CuNP 복합섬유를 300배율과 1만배율로 각각 측정한 SEM 사진이다. 도 5를 확인하여 보면 입자 형태의 구리가 섬유 구조체를 이루는 산화그래핀-산화그래핀환원물 혼합섬유에 결합되고, 이를 통해 그래핀 소재들 또한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하여 복합섬유를 형성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6은 비교예 1에 따른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SEM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비교예 2에 따른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SEM 사진이며, 도 8은 비교예 3에 따른 산화그래핀 및 환원된 산화그래핀의 혼합섬유를 나타낸 SEM 사진이다.
상기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섬유, 비교예 2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섬유, 비교예 3의 산화그래핀과 산화그래핀환원물의 혼합섬유와는 달리,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구리 입자가 탄소나노소재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면서 섬유 구조체의 내부에도 삽입이 잘 됨을 알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 1 내지 3과, 도 6 내지 도 8의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전기전도도와 관련하여, 우선 비교예 1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전기전도도는 848 S cm-1인 반면,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섬유에 구리 입자가 복합화된 실시예 1에 따른 MWCNT-CuNP 복합섬유의 전기전도도는 1,763 S cm-1이다. 비교예 2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전기전도도는 1,886 S cm-1이고,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섬유에 구리 입자가 복합화된 실시예 2에 따른 SWCNT-CuNP 복합섬유의 전기전도도는 11,318 S cm-1이다. 비교예 3의 산화그래핀과 산화그래핀환원물의 혼합섬유가 갖는 전기전도도는 32 S cm-1으로 매우 낮은 전기전도도 값을 가지는 반면, 산화그래핀 및 산화그래핀환원물의 혼합섬유에 구리 입자가 복합화된 실시예 3에 따른 GO-rGO-CuNP 복합섬유의 전기전도도는 314 S cm-1이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3의 전기전도도 값을 정리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1,763 S cm-1 848 S cm-1
2 11,318 S cm-1 1,886 S cm-1
3 314 S cm-1 32 S cm-1
탄소나노소재 섬유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산화그래핀 등 어떤 소재로 구성되느냐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달라지는데, 상기 탄소나노소재 섬유의 전기전도도와 대비하여, 탄소나노소재에 금속 입자가 결합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의 전기전도도는 2 내지 10배 변화되어 증가한 값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섬유 자체 보다 실시예 1의 구리 입자가 복합화된 섬유의 전기전도도가 약 2배(200%) 상승하였다. 비교예 2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섬유와 비교하여 실시예 2의 SWCNT-CuNP 복합섬유는 전기전도도가 약 6배(600%) 증가되었다. 비교예 3의 산화그래핀 및 산화그래핀환원물의 혼합섬유가 갖는 전기전도도 값과 비교해서는 산화그래핀 및 산화그래핀환원물의 혼합섬유에 구리 입자가 결합된 실시예 3의 복합섬유가 갖는 전기전도도가 약 10배(1,000%) 증가한 값을 갖는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탄소나노소재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와, 탄소나노소재에 결합되는 금속 입자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여기서 탄소나노소재는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과, 금속 전구체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과의 분자간 비공유 상호작용을 통하여 혼합체를 형성하며, 특히 금속 입자는 탄소나노소재와 분자간 비공유 상호작용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이 열처리됨에 따라 금속 입자화되면서 형성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탄소나노소재 표면의 기능화 유무에 상관없고, 양극산화와 같은 표면 처리하지 않고도,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활용하여 탄소나노소재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기계적 특성이 개선되고 경량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의미가 있다.
특히 아민-금속 착화합물 용액에 탄소나노소재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를 침지시킨 후 열처리와 같은 간단한 열에너지를 도입하는 것만으로, 아민-금속 착화합물의 금속 입자화를 이룰 수 있으므로, 금속화를 이루기 위해 환원제를 사용한 후 사용을 다 한 환원제를 제거해야만 했던 종래 방식에서 탈피하여 전도성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경제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섬유 구조체
110: 탄소나노소재
200: 아민-금속 착화합물
210: 금속
220: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
221: 아민
222: 탄화수소 치환기
300: 금속 입자

Claims (8)

  1. 탄소나노소재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 및
    상기 탄소나노소재와 복합화되는 금속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화는, 상기 탄소나노소재와,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 및 금속 전구체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의 분자간 비공유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 입자는, 상기 아민-금속 착화합물이 열처리를 통하여 입자화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금속 착화합물은, 상기 금속 전구체와, 상기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을 1 : 1 내지 20의 몰 비로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은, 하기 화학식 1, 하기 화학식 2, 하기 화학식 3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단,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에서 R1 내지 R6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알릴, (C1~C18) 알킬, (C4~C20) 아릴 또는 (C6~C30) 아르알킬기이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 치환기는, 하이드록실기,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에스테르기 및 에테르기 중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소재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CNT),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ouble-walled carbon nanotube, DWCNT),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 산소 함유 관능기로 표면이 기능화된 탄소나노튜브, 그라파이트, 카본블랙, 나노다이아몬드, 그래핀 및 산화그래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전구체의 금속은, 구리(Cu), 금(Au), 은(Ag), 아연(Zn), 코발트(Co), 니켈(Ni), 철(Fe), 스칸듐(Sc), 티타늄(Ti), 바나듐(V), 크롬(Cr), 망간(Mn), 이트륨(Y), 지르코늄(Zr), 니오븀(Nb), 몰리브덴(Mo), 테크네듐(Tc), 루테늄(Ru), 로듐(Rh), 팔라듐(Pd), 카드뮴(Cd), 하프늄(Hf), 탄탈럼(Ta), 텅스텐(W), 레늄(Re), 오스뮴(Os), 이리듐(Ir), 백금(Pt), 수은(Hg),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주석(Sn), 탈륨(Tl), 납(Pb) 및 비스무트(B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
  7.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 및 금속 전구체를 혼합하여 용액상의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형성하고, 탄소나노소재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아민-금속 착화합물에 상기 섬유 구조체를 침지시킨 후 열처리하여 상기 탄소나노소재에 금속 입자가 복합화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합화는, 상기 탄소나노소재와,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 및 금속 전구체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의 분자간 비공유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 입자는, 상기 열처리를 통하여 상기 아민-금속 착화합물이 입자화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금속 착화합물은, 상기 금속 전구체와, 상기 탄화수소 치환기를 갖는 아민을 1 : 1 내지 20의 몰 비로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KR1020220053780A 2022-04-29 2022-04-29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KR20230154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780A KR20230154373A (ko) 2022-04-29 2022-04-29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780A KR20230154373A (ko) 2022-04-29 2022-04-29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373A true KR20230154373A (ko) 2023-11-08

Family

ID=8874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780A KR20230154373A (ko) 2022-04-29 2022-04-29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43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515A1 (ko) * 2022-10-21 2024-04-25 한국전기연구원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 전자파차폐 시트,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366B1 (ko) 2018-02-14 2019-08-14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도금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KR102087248B1 (ko) 2018-08-08 2020-03-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능화된 탄소물질계 전도성 필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섬유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366B1 (ko) 2018-02-14 2019-08-14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도금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KR102087248B1 (ko) 2018-08-08 2020-03-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능화된 탄소물질계 전도성 필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섬유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515A1 (ko) * 2022-10-21 2024-04-25 한국전기연구원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 전자파차폐 시트,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213B1 (ko) 화학환원법을 이용한 코어-쉘 구조의 은 코팅 구리 나노 와이어의 제조방법
JP5920643B2 (ja) コア−シェル粒子の製造方法
EP2394973B1 (en) Method for preparing graphite particle/copper composite material
JP6616287B2 (ja) 強磁性金属ナノワイヤー分散液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07919B1 (ko) 담체-나노입자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촉매
EP3159078A1 (en) Silver-coated copper nanowi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1331112B1 (ko) 탄소나노튜브 및 금속산화물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5858201B1 (ja) 銅粉及びそれを用いた銅ペースト、導電性塗料、導電性シート
JP5649901B2 (ja) 多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集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185628A1 (ja) 銀コート銅粉及びそれを用いた銅ペースト、導電性塗料、導電性シート、並びに銀コート銅粉の製造方法
JP5920540B1 (ja) 銅粉及びそれを用いた銅ペースト、導電性塗料、導電性シート
Dong et al. Selective reduction–oxidation strategy to the conductivity-enhancing Ag-decorated Co-based 2D hydroxides as efficient electrocatalyst in oxygen evolution reaction
JP2013091824A (ja) カーボン複合金属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54373A (ko)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KR101473752B1 (ko) 간단한 합성 방법을 통한 질소가 도핑된 탄소 나노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합성된 질소가 도핑된 탄소 나노구조체
KR101894964B1 (ko) 그래핀 액정섬유-전이금속계 촉매 섬유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139598A (ja) 銀コート銅粉、及びそれを用いた銅ペースト、導電性塗料、導電性シート
Raj et al. In-situ evolution of bimetallic Fe/Ni/Co nanohybrids on MXene for improved electrocatalytic oxygen evolution reaction
JP6586665B2 (ja) 透明導電膜、色素増感太陽電池用光電極及びタッチパネル並びに色素増感太陽電池
CN104493195B (zh) 一种非晶态铜铂合金纳米管及其制备方法
KR101692852B1 (ko) 코발트 기반 산소환원반응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33652A (ko) 고 전기 전도성 탄소나노튜브-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JP2017168385A (ja) 白金触媒、その製造方法及び当該白金触媒を用いた燃料電池
Chao et al. Preparation of an ultrathin Pt electrocatalyst via a galvanic replacement reaction of electrodeposited CuCl for the oxidation of methanol in an alkaline medium
KR20240056353A (ko) 아민-금속 착화합물을 이용한 탄소나노소재-금속 복합 전자파차폐 시트, 그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