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031A - 태양전지 패널 제조 중 이송 유닛 설치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패널 제조 중 이송 유닛 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031A
KR20230154031A KR1020237030997A KR20237030997A KR20230154031A KR 20230154031 A KR20230154031 A KR 20230154031A KR 1020237030997 A KR1020237030997 A KR 1020237030997A KR 20237030997 A KR20237030997 A KR 20237030997A KR 20230154031 A KR20230154031 A KR 20230154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lines
line
cell module
trans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 도나투스 마틴 잔
귄터 슈나이데라이트
도미니크 젤
Original Assignee
엠10 솔라 이퀴프먼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10 솔라 이퀴프먼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엠10 솔라 이퀴프먼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54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03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76Particular processes or apparatus for batch treatment of the devices
    • H01L31/18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utomatic inter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전지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이 설명되며, 태양전지 소자는 결합되어 열을 형성하고, 각 열은 적어도 2개의 태양전지 소자를 포함하며, 태양전지 패널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열로 형성된다. 태양전지 패널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한 번의 작업으로 최소 2열의 태양전지 소자를 집어서 태양전지 패널 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태양전지 패널을 장착하기 위해 해당 열은 해당 정도까지만 공동으로 낮춰야 한다. 태양전지 패널을 장착할 열만 태양전지 패널과 접촉하게 된다.

Description

태양전지 패널 제조 중 이송 유닛 설치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전지 요소는 결합되어 라인을 형성하고, 각 라인은 적어도 2개의 태양전지 요소를 포함하고, 태양전지 모듈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라인으로 구성된다.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되는 태양전지 요소는 태양 전지, 광기전(photovoltaic) 태양 전지, 광기전 전지 또는 이들의 부분적으로 절단된 부분일 수 있으며, 이는 지붕패널로 알려진 것, 즉 예를 들어 태양 전지 지붕패널 또는 광기전 전지 지붕패널이다.
그러한 방법에서, 개별 태양전지 요소 또는 태양전지의 기본 요소는 전송 유닛 (transfer)상의 라인으로 이송될 수 있고, 전송 유닛(transfer unit)은 조립 영역으로 옮겨질 수 있으며, 조립 영역에서 태양전지 요소는 라인으로 트레이 또는 다른 이송 유닛, 특히 전동식 이송 유닛에 탑재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하기 위해 전동식 이송 유닛에 태양전지 소자를 배치하는 것은 태양전지 모듈을 장착하는 것으로도 지칭된다. 따라서 조립 영역은 설치, 장착 또는 구성 영역이라고도 한다.
태양전지 모듈, 특히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의 설치를 위해, 라인, 즉 태양전지 요소의 라인 또는 라인으로 배열된 태양전지 요소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라인들의 길이방향축을 따라 서로 중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중첩되는 영역에는 옆에 배치된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접착제나 기타 고정수단이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는 예를 들어 태양전지 소자 또는 이송 장치에 위치한 라인에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 도포를 위해 전달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를 선형 도포할 수 있는 디스펜서(dispenser)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착제는 인쇄 장치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는 웹 공급(web-fed) 인쇄 또는 스크린 인쇄와 같은 인쇄 방법을 통해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가 제공된 라인은 전동식 이송 유닛 상에서 서로 정렬되고 서로 연결되어 결합되어 태양전지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US 2016/163914 A1 및 US 2018/175233 A1은 태양전지 모듈을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개별 태양전지 요소를 제공하는 것과 태양전지 모듈에 개별 태양전지 요소를 장착하는 것 사이에 필요한 시간(사이클 시간이라고도 함)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사이클 시간이 단축되면 전체 태양전지 모듈을 생산하는 공정 시간이 상당히 단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은 태양전지 모듈을 생산하는 방법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것, 특히 그러한 방법을 가속화하는 것이다.
도입부에서 언급된 유형의 방법의 경우, 이 목적은 특히 태양전지 모듈을 장착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라인이 한 번의 작업으로 픽업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준비되어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태양전지 모듈 위의 높이, 그리고 태양전지 모듈을 장착하기 위해 라인은 각 경우에 현재 장착될 해당 라인만이 태양전지 모듈과 접촉하는 정도까지 함께 낮아진다.
본 발명은 복수의 태양 전지에 대해 개별적인 방법 단계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사이클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복수의 라인, 즉 적어도 2개의 라인은 이들 라인들을 후속 단계에서 전동식 이송 장치에 두도록, 픽업 장치에 의해 이송 유닛으로부터 한번의 작업으로 픽업된다. 전동식 이송 유닛은 예를 들어 트레이 또는 컨베이어 벨트를 구성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탑재 후에 중첩되는 적어도 2개의 라인이 연속적으로 탑재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태양전지 모듈의 생산 공정 내에서 픽업 공정의 수와 픽업 장치의 이동이 감소되고, 생산 방법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방법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한 가지 개선에서는 나머지 라인이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되어 유지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2개 또는 3개의 라인이 픽업 장치에 의해 동시에 픽업되어 태양전지 모듈 위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픽업 장치는 제1 라인 또는 현재 장착될 라인이 태양전지 모듈과 접촉할 때까지 예를 들면, 수직 방향으로 태양전지 모듈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전에 놓여진 라인과 겹치고, 제2 및 제3 라인, 또는 나머지 라인이 태양전지 모듈이 제1 라인과 접촉할 때 수직 간격만큼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수직으로 계속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픽업 장치는 다수의 라인을 동시에 가이드하면서 태양전지 모듈에 라인을 장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 탑재 단계에서, 태양전지 모듈에는 추가 라인이 장착될 수 있다.
한 개선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복원력에 반하여 수직으로 조정 가능한 흡착판(sucker)에 의해 라인을 집어 올릴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일렬로 배열된 태양전지 요소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흡착판에 의해 픽업된다. 이 경우, 제1 라인용 흡착판이 제2 라인용 흡착판보다 픽업되는 라인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2 라인의 흡착판은 라인 방향 등으로 추가 제3 라인의 흡착판을 넘어 수직으로 돌출할 수 있다. 이는 개별 라인의 선택적 픽업 또는 선택적 탑재, 예를 들어 제1 라인의 탑재를 가능하게 한다. 제2 라인을 탑재하지 않고. 예를 들어 복원력에 대항하여 수직으로 조정 가능한 흡착판은 제1 라인이 픽업되거나 배치된 후, 특히 하나 이상의 추가 제3 라인이 픽업되기 전에 추가의 제2 라인이 픽업되어 탑재되도록 허용한다. 즉, 이는 특히 공동으로 픽업된 라인들의 후속 선택적 탑재에 의해 복수의 라인이 공동으로 픽업되는 것을 허용한다.
서두에서 언급된 유형의 방법의 경우, 서두에서 언급된 목적은 특히 두 개의 연속 라인이 장착 프로세스 동안 서로 다른 거리를 커버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 대안적으로 달성된다. 예를 들어, 픽업 장치는 장착 프로세스 동안 라인에 대해 수직으로, 즉 라인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제1 라인과 적어도 제2 라인이 픽업 장치에 의해 픽업된다. 이 경우 픽업 장치가 이동된다. 예를 들어 제1 라인이 전동식 이송 유닛 상에 배치된 후 그리고 제2 라인을 전동식 이송 유닛 상에 탑재하기 전에, 제1 라인에 대해 수직으로, 전동식 또는 기계적 방식으로 변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착 동안, 전동식 이송 유닛의 움직임은 픽업 장치의 움직임에 의해 보완 및/또는 대체되며, 이는 라인을 이송 유닛으로부터 이송 유닛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개별 라인이 시간 및 공간 측면에서 효과적인 방식으로 이송 유닛에 배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프로세스 동안 한 번의 작업으로 2개의 연속 라인이 픽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 과정 동안 2개의 연속 라인이 서로 다른 길이의 거리를 커버하기 위해 제공된다.
한 가지 개선에서는 두 개의 연속적인 라인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태양전지 모듈이 위치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제공된다. 즉, 이 개선에서는 장착 중에 이송 장치가 움직이지 않는다. 본 개선예에서는, 제1 라인이 배치된 후, 태양전지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제2 라인이 이송 유닛에 인접하도록 탑재되도록 픽업 장치가 배치된 제1 라인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라인의 상대적 배열은 적어도 픽업 장치의 이동에 의해 결정 가능하거나 설정 가능한다. 대안으로, 이송 장치는 장착 중에 이동된다.
한 가지 개선에서는 태양전지 모듈이 두 개의 장착 프로세스 사이에서 클록식(clocked)으로 이동된다. 태양전지 모듈 또는 이송 유닛의 클록식 움직임은 전송 유닛을 라인에 장착하는 동안 유리할 수 있다. 장착하는 동안 라인은 서로 정렬되고 전송 유닛에서 서로 연결된다. 클록식 전진 이동을 통해 전송 유닛에 새로운 열을 배열할 수 있는 공간을 장착 위치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픽업 장치가 모든 픽업 라인을 연속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이동하는 한편, 픽업 장치가 새로운 하중을 픽업하려고 할 때 전송 유닛이 이동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 개선예에서, 태양전지 모듈이 2개의 장착 프로세스 사이, 즉 한 작업에서 픽업된 라인의 탑재와 다음 작업에서 픽업된 추가 라인의 탑재 사이에서 클록식으로 이동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착 중 라인의 상대적 배열은 픽업 장치의 움직임에 의해서만 결정될 수 있는 반면, 전송 유닛의 움직임은 장착 중 픽업 장치의 더 작은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더 짧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송 유닛의 장착은 단순화된 방식, 특히 더욱 빠른 방식 및 향상된 정밀도로 수행될 수 있다.
한 가지 개선에서는 장착 과정 중에 태양전지 모듈이 계속해서 움직일 수 있도록 제공된다. 특히, 태양전지 모듈은 장착 과정에서 라인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한다. 즉, 이송 장치는 장착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태양전지 모듈의 생산 공정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모듈에 이 라인을 장착하는 동안 및 장착한 후에 라인이 더 이동하여 후속 방법 단계가 더 빠르게 도달하기 때문이다.
후속 방법 단계에서, 태양전지 모듈은 예를 들어 열처리를 위해, 즉 열 작용 영역, 예를 들어 노 내에서 접착 수단의 경화를 위해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 모듈은 여전히 이송 유닛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 유닛의 연속적인 이동이 유리하다. 이는 클록식 이동이 열 작용 하에서 태양 전지 열(row)의 서로 다른 체류 시간에 의해 생성된 열 작용의 중첩 영역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열 작용이 너무 강하거나 약해 줄무늬 패턴이 발생한다. 대조적으로, 태양전지 모듈 또는 이송 유닛이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경우, 태양전지 모듈은 열 작용 영역을 통해 균일하게 이동하며, 라인에 도포된 접착제와 라인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는 해당 영역에서 경화된다.
이송 시스템의 움직임은 라인의 탑재 동안 픽업 장치의 대응하는 움직임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라인 탑재 동안 픽업 장치에 대한 이송 유닛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탑재 프로세스의 기간은 특히 라인 탑재 동안 설명된 상대 이동이 무시될 정도로 짧게 선택될 수 있다.
서두에서 언급된 목적은 특히 태양전지 모듈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며, 여기서 태양전지 요소는 결합되어 라인을 형성하고, 각 라인은 적어도 두 개의 태양전지 요소를 포함하고 태양전지 모듈은 전기적으로 구성된다. 상호 연결된 라인으로서, 이 장치는 태양전지 모듈을 장착하기 위해 한 번의 작업으로 적어도 두 개의 라인을 픽업하고 태양전지 모듈 위의 서로 다른 높이에서 이를 준비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계된 픽업 장치를 포함한다. 태양전지 모듈을 장착할 때 현재 장착할 해당 라인만 태양전지 모듈과 접촉하는 정도까지만 라인을 함께 낮추십시오.
한 개선예에서는, 픽업 장치가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나머지 라인을 유지하도록 설계되도록 제공된다.
한 개선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복원력에 반하여 수직으로 조정 가능하고 라인을 픽업하도록, 특히 하나의 작업 단계에서 라인을 공동으로 픽업하도록 설계된 흡입기를 포함하는 픽업 장치가 제공된다.
서두에서 언급된 목적은 특히 태양전지 모듈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며, 여기서 태양전지 요소는 결합되어 라인을 형성하고, 각 라인은 적어도 두 개의 태양전지 요소를 포함하고 태양전지 모듈은 전기적으로 구성된다. 상호 연결된 라인으로서, 장치는 장착 프로세스 동안 적어도 두 개의 연속 라인에 대해 서로 다른 거리를 커버하도록 설계된 픽업 장치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픽업 장치는 이송 장치의 주행 방향 및/또는 수직 방향, 예를 들어 라인을 따르는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프로세스 동안 한 번의 작업으로 적어도 두 개의 연속적인 라인을 픽업하도록 구성되는 픽업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픽업 장치가 장착 프로세스 동안 적어도 두 개의 연속 라인에 대해 서로 다른 길이의 거리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한 개선예에서, 픽업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장착 프로세스 동안 태양전지 모듈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특히 라인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픽업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장착 공정 동안 라인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나의 개선예에서, 장치는 태양전지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이송 유닛을 포함하고, 장치는 2개의 연속적인 라인을 갖춘 장착 프로세스 동안 이송 유닛을 위치적으로 고정되도록 설계되도록 설계된다.
한 개선예에서, 두 개의 장착 프로세스 사이에서 클록식으로 이송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장치가 설계되도록 제공된다. 한 개선예에서, 두 개의 장착 프로세스 사이, 즉 한 번의 작업에서 픽업된 라인의 탑재와 추가 라인의 탑재 사이에 클록식으로 이송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장치가 설계되도록 제공된다. 추가 작업에서 픽업되었다.
한 개선예에서는, 특히 장착 공정 동안 이송 유닛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장치가 설계되도록 제공된다.
도 1a는 태양전지 모듈을 생산하기 위한 제1 장치의 3차원 도면을 보여준다.
도 1b는 제1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태양전지 모듈을 생산하기 위한 제2 장치의 3차원 도면을 보여준다.
도 2b는 제2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c는 제2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태양전지 모듈을 생산하기 위한 제3 장치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하고,
도 3b는 제3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c는 제2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의 A 내지 H는 제1, 제2 또는 제3 장치의 제1 픽업 장치, 전송 유닛 및 이송 유닛을 측면도로 도시하며, 서로 다른 방법 단계에 따른 서로 다른 배열을 도시한다.
도 5a는 제1, 제2 또는 제3 장치의 제2 픽업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제1, 제2 또는 제3 장치의 이송 유닛 위에 있는 제2 픽업 장치의 3차원 도면 및 또한 픽업 장치의 확대된 세부 사항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태양전지 모듈(14)을 생산하기 위한 제1 장치(1)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장치(1)는 이송 유닛(2), 전송 유닛(3) 및 픽업 장치(4)를 포함한다.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 소자(15)는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되는 전송 유닛(3)에 배열된다. 본 예에서, 태양전지 요소(15)는 지붕패널(shingle)로 알려진 형태의 긴 디자인이다. 웨이퍼의 스트립인 태양전지 소자(15)는 지붕패널이라고도 지칭된다. 전송 유닛(3) 상에 배열된 라인들은 픽업 장치(4)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 유닛(2) 상에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선행 단계에서, 태양전지 소자(15)는 제공 유닛(5) 상에 제공되고 핸들링 유닛(6)에 의해 전송 유닛(3) 상에 배치된다. 선행 단계 또는 단계들은 모니터링 시스템(13), 예를 들어 센서 및/또는 카메라 시스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열의 개별 태양전지 소자(15)는 각각 열에 수직인 방향(또는 열의 길이방향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전송 유닛(3)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열의 개별 태양전지 소자(15)는 열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열에 대해 길이방향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될 수 있다. 이는 벽 패턴으로 알려져 있다.
전송 유닛(3)은 이송 유닛(2)에 배치된 라인에 평행하게, 즉 라인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송 유닛(3)은 이송 유닛(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송 유닛(3)은 핸들링 유닛(6)에 의해 전송 유닛(3)에 태양전지 요소(15)가 장착되는 제1 위치에서 라인이 픽업 장치(4)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 장치 상에 놓이는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태양전지 요소(15) 또는 라인에는 적어도 라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접착 수단이 제공된다. 접착 수단은 복수의 전달 유닛에 의해, 도시된 예에서는 복수의 디스펜서(7)에 의해, 예를 들어 라인당 하나의 디스펜서에 의해 도포된다. 대안으로서, 접착 수단은 단 하나의 디스펜서(7)에 의해서만 도포될 수 있다(도 3a 내지 도 3c 참조). 대안적으로, 접착 수단은 인쇄 방법,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 또는 웹 공급 인쇄, 인쇄 유닛,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 유닛 또는 웹 공급 인쇄 유닛에 의해 도포된다.
접착 수단이 도포된 후, 전송 유닛(3)에 배열된 라인은 픽업 장치(4)에서 상기 이송 유닛(4)에 이미 배치된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새로 배치된 라인은 새로 배치될 라인이 이전에 이미 배치된 라인에 부분적으로 겹치는 방식으로 배치됨으로써 연결되며, 접착 수단은 이전에 이미 배치된 라인과 접촉하게 된다. 즉, 픽업 장치(4)에 배열된 라인은 특히 도포된 접착 수단의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겹친다.
후속 방법 단계에서, 이송 유닛(2) 상에 배열되고 결합되어 태양전지 모듈(14)을 형성하는 라인은 이송 유닛(2)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송 유닛(2)은 예를 들어 트레이 또는 컨베이어 벨트이다. 이송 유닛(2)은 전동식 이송 유닛일 수 있다. 다음 방법 단계에서, 장착된 태양전지 모듈(14)은 접착제를 경화시켜 태양전지 모듈(14) 내의 라인을 서로 고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열 작용 영역, 예를 들어 로(furnace)로 안내된다.
이송 유닛(2)은 장착 공정 동안 및/또는 장착 공정 후에 연속적으로 또는 클록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이송 유닛(2)은 장착 공정 동안 및 장착 공정 후에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송 유닛(2)은 장착 프로세스 동안 및 장착 프로세스 이후에 연속적으로 또는 클록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제1 장치(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에는 동일한 참조 명칭이 제공된다.
도 2a는 태양전지 모듈(14)을 생산하기 위한 제2 장치(1A)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제2 장치(1A)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제1 장치(1)와 유사하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에는 동일한 참조 명칭이 제공된다. 장치(1)의 전송 유닛(3) 대신에, 장치(1A)는 전송 유닛(3A)을 포함한다. 전송 유닛(3A)은 컨베이어 벨트로 설계된다. 컨베이어 벨트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전송 유닛(3)의 제1 위치로부터 전송 유닛(3)의 제2 위치까지 연장된다. 즉, 컨베이어 벨트는 라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송 유닛(3A)에 배치되고 일렬로 배열된 태양전지 소자(15)는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로부터 이들은 리셉터클에 의해 이송 유닛(2) 상에 적재된다.
도 2b는 제2 장치(1A)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c는 제2 장치(1A)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은 각 경우에 동일한 참조 명칭으로 제공된다.
도 3a는 태양전지 모듈(14)을 생산하기 위한 제3 장치(1B)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제3 장치(1B)는 도 1a-1b 및 2a-2c에 도시된 제1 장치(1) 및 제2 장치(1A)와 유사하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에는 동일한 참조 명칭이 제공된다.
제1 장치(1)의 이송 유닛(2) 대신에, 장치(1B)는 컨베이어 벨트로서 설계된 이송 유닛(2A)을 포함한다. 제2 장치(1A)의 전송 유닛(3A) 대신에, 상기 이송 유닛은 도 2a 및 2b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3 장치(1B)는 컨베이어 벨트로서 설계된 이송 유닛(3B)을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3B)는 컨베이어 벨트에 배열된 라인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에 대응하여, 이송 유닛(2A), 이송 유닛(3B), 핸들링 유닛(6) 및 제공 유닛(5)은 이송 유닛(2A) 및 전송 유닛(3B) 상의 라인에 대해 수직으로 일렬로 배열된다.
도 3a에 도시된 제3 장치(1B)의 배열과 유사하게,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제1 장치(1)의 전송 유닛(3)이 이송 유닛(2), 핸들링 유닛(6) 및 이송 유닛(6)과 직렬로 배열되는 것이 고려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서, 이송 유닛(3B)과 유사하게, 전송 유닛(3)은 전송 유닛(3) 또는 이송 유닛(2) 상에 배열된 라인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배열 유닛(3)에 핸들링 유닛(6)에 의해 태양전지 요소(15)가 장착되는 전송 유닛(3)의 제1 위치는 태양전지 요소(15)가 픽업되는 전송 유닛(3)의 제2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픽업 장치(4)에 의해 전송 유닛(3)으로부터 이송되어 이송 유닛(2) 상에 적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송 유닛은 로딩과 언로딩 사이에서 이동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배열은 특히 운송 유닛(3B)이 픽업 장치(4)에 의해 언로드되고 핸들링 유닛(6)에 의해 로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3b는 제3 장치(1B)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c는 제3 장치(1B)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은 각 경우에 동일한 참조 명칭으로 제공된다.
도 4의 A는 이송 장치(3) 위에 배치된 픽업 장치(4)를 도시한다. 전송 유닛(3)은 차례로 이송 유닛(2) 위에 배치된다. 즉, 전송 유닛(3)은 이송 장치의 제2 위치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제1 장치(1)의 전송 유닛(3)은 제2 장치(1A)의 전송 유닛(3A) 또는 제3 장치(1B)의 이송 유닛(3B)일 수 있다. 제1 장치(1)의 이송 유닛(2)은 제3 장치(1B)의 이송 유닛(2A)일 수 있다.
픽업 장치(4)는 하나 이상의 흡착판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픽업 장치는 열로 배열되고 픽업 장치(4)에 의해 라인이 픽업될 수 있는 복수의 흡착판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흡착판은 3개로 배열된다.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흡착판 열은 이미지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픽업 장치(4)가 전송 유닛(3)을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 후, 제1열에 배치된 제1 흡착판 또는 제1 열(도 4에서 흡착판의 왼쪽 열)에 배열된 복수의 흡착판이 접촉하도록 흡착판이 배열된다. 전송 유닛(3), 라인 또는 라인의 하나 이상의 태양열 요소(15), 추가 열의 하나 이상의 다른 흡착판(도 4에서 흡착판의 중간 및 오른쪽 열의 흡착판)은 수직으로 이격되어 있다.
전송 유닛(3) 방향으로 픽업 장치(4)의 수직 이동이 계속되면, 추가 흡착판은 추가 라인 또는 추가 라인의 추가 태양전지 소자(15)를 향해 이동한다. 이러한 추가 수직 이동의 경우, 즉 제1 흡착판 또는 제1 흡착판 열이 이미 태양 전지와 접촉한 후 이송 장치(3)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는 경우, 이는 또는 이러한 제1 흡착판은 예를 들어 복원력에 대항하여 수직으로 조정된다. 흡착판의 수직 조정은 흡착판이 태양열 요소(15)와 접촉한 후 프로세스에서 태양전지 요소(15)를 파괴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픽업 장치(4)의 수직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수직 조정을 통해 흡착판을 서로에 대해 동일한 높이로 배열할 수 있다. 픽업 장치(4)가 전송 유닛(3) 방향으로 더 수직으로 이동하면 결과적으로 다수의 제2 흡착판, 도시된 예에서는 중간 열의 흡착판, 결국에는 다수의 제3 흡착판이 발생하게 된다. 예시된 흡착판의 오른쪽 열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추가 태양전지 소자(15)와 접촉하게 된다.
픽업 장치(4)가 전송 유닛(3)으로부터 멀어지는 수직 이동은 개별 접촉된 태양전지 요소(15)가 픽업 장치(4)에 의해 전송 유닛(3)으로부터 픽업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서로 다른 열의 흡착판이 이송 장치(3) 및 이송 장치(2)에 대해 서로 다른 간격을 갖도록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에 있게 된다. 이는 도 4의 C에 설명되어 있다. 흡착판 또는 흡착판 열의 수직 배열이 다르기 때문에, 픽업된 태양전지 요소(15) 또는 라인은 전송 유닛(3) 및 이송 유닛(2)에 대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수직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픽업 장치(4)는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에 수직인 방향으로 또는 태양전지 모듈(14)을 향해 병진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흡착판 또는 흡착판 열의 서로 다른 수직 배열로 인해, 픽업된 태양전지 요소(15) 또는 라인은 이송 유닛(2)에 대해 서로 다른 높이로 수직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픽업 장치(4)는 수직으로 조정 가능하지 않은 흡착판, 예를 들어 흡착판의 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유닛(3) 또는 이송 유닛(2)에 대해 가장 큰 수직 간격을 갖는 흡착판 열은 수직으로 조정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표시된 예에서 이것은 흡착판의 오른쪽 열이다.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라인은 이송 유닛(2) 또는 이송 유닛(2)에 이미 배열된 라인과 접촉하게 되고, 추가 라인, 도시된 예에서는 중간의 제2 라인과 오른쪽의 제3 라인이 접촉하게 된다. 이송 유닛(2) 또는 태양전지 모듈(14) 위에 수직 간격으로 배열된다. 즉, 태양전지 모듈(14)을 장착하기 위해 라인은 각 경우에 현재 해당 라인만이 허용되는 정도까지만 함께 낮아진다.
픽업 장치(4) 및/또는 이송 유닛(2)의 라인에 대해 또는 라인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면 픽업 장치(4)에 의해 픽업된 추가 라인이 다음과 같이 될 수 있다. 도 4의 G 및 H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송 유닛(2) 상에 배치된다. 즉, 태양전지 모듈(14)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제2 라인(도시된 예에서 중간 라인)은 제1 라인(도시된 예에서 왼쪽 라인)보다 다른, 즉 더 긴 거리를 커버한다.
따라서, 도 4의 E-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 요소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픽업 장치(4)를 이송 유닛(2)의 방향으로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 라인이 적합한 탑재 위치 위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흡착판열에 의해 픽업된 15개는 이송 유닛(2) 또는 이전에 퇴적된 라인과 접촉한다.
이 과정에서, 도 4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기의 제1 열은 이송 유닛(2)에 의해 접촉된다. 이송 유닛(2) 방향으로의 픽업 장치(4)의 수직 이동은 운반 후에 계속된다. 장치 2가 제1 열의 흡착판과 접촉하면 제1 열의 흡착판이 수직으로 조정된다.
도 4의 D 내지 H에 도시된 장착 프로세스 동안, 태양전지 모듈(14) 또는 이송 유닛(2)은 예를 들어 위치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거나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2개의 장착 프로세스 사이, 즉 픽업된 3개 라인의 태양전지 요소(15)의 탑재와 추가 3개의 픽업된 태양전지 요소(15)의 탑재 사이에서, 태양전지 모듈(14) 또는 이송 유닛(2)은 예를 들어 장착 목적으로 이송 유닛(2)에 추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및/또는 클록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a는 도 1a-4h에 도시된 제1 픽업 장치(4)와 유사한 제2 픽업 장치(4A)를 도시한다. 제2 픽업 장치(4A)는 측면에서 볼 때 두 줄로 배열된 다수의 흡착판(8)을 포함한다. 흡착판(8)은 제1 픽업 장치(4)의 흡착판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열에 배열된 흡착판(8)은 픽업 장치(4A) 아래에 배열된 기준 평면, 예를 들어 전송 유닛(3) 또는 이송 유닛(2)에 대해 수직으로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제2 열은 기준 평면에 대해 제2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제2 간격은 제1 간격보다 크다. 제1 간격과 제2 간격은 기준면에 대한 픽업 장치(4A)의 수직 이동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제1 열에 배열된 흡착판(8)이 기준면에 부딪히고 픽업 장치(4A)의 기준면 방향으로의 수직 이동이 계속되면, 이 흡착판(8)은 수직으로 조정되고, 특히 상대 이동된다. 픽업 장치(4A)에. 도시된 예에서, 흡착판(8)은 픽업 장치(4A)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 즉 기준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픽업 장치(4A)에 대해 이동된다. 수직 조정은 도시된 예에서 스프링 요소(9)에 의해 제공되는 복원력에 반하여 수행된다.
흡착판(8) 각각은 진공 흡착판(10), 예를 들어 흡인 헤드를 포함한다. 진공흡착기(10)는 태양전지 소자(15)의 표면에 부압을 발생시켜 태양전지 소자(15)를 흡입할 수 있고, 주변 압력을 재설정하거나 양압을 발생시켜 태양전지 소자(15)를 탑재시킬 수 있다. 각각의 압력 상태는 예를 들어 흡착판(8)에 연결된 펌핑 장치(미도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이송 유닛(2 또는 2A) 및 전송 유닛(3, 3A 또는 3B) 상의 태양전지 소자(15)는 태양전지 요소(15)의 일측면(예를 들어 픽업 장치(4) 및/또는 핸들링 유닛(6)에서 대면하는)에 부압을 발생시킴으로써 각각의 이송 유닛 또는 전송 유닛에 고정될 수 있다. 부압은 예를 들어 펌핑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각각의 이송 유닛 또는 전송 유닛의 개구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5a는 이송 유닛(2) 위에 배열된 픽업 장치(4A)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가 제공된다. 도시된 예에서, 흡착판(8)은 스프링 요소(9) 외에 고정 링(11) 및 스프링 플런저(12)를 포함한다.
1: 태양전지 모듈 제조용 제1 장치
1A: 태양전지 모듈 제조용 제2 장치
1B: 태양전지 모듈 제조용 제3 장치
2: 제1 및 제2 장치의 이송 유닛
2A: 제3장치의 이송 유닛
3: 제1 장치의 전송 유닛
3A: 제2 장치의 전송 유닛
3B: 제3장치의 전송 유닛
4: 제1 픽업 장치
4B: 제2 픽업 장치
5: 제공 유닛
6: 핸들링 유닛
7: 디스펜서
8: 흡착판
9: 스프링 요소
10: 진공흡착기
11: 고정링
12: 스프링 플런저
13: 모니터링 시스템

Claims (16)

  1. 태양전지 모듈(14)을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태양전지 소자(15)가 결합되어 라인을 형성하고, 각 라인은 적어도 2개의 태양전지 소자(15)를 포함하고, 태양전지 모듈(14)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라인으로 구성되는 태양전지 모듈 생산방법에 있어서, 태양전지 모듈(14)의 장착을 위해, 적어도 두 개의 라인이 한 번의 작업으로 픽업되어 태양전지 모듈(14) 위의 서로 다른 높이로 준비되고, 태양전지 모듈(14)의 장착을 위해, 상기 라인들은 각 경우에 현재 장착될 각 라인만이 태양전지 모듈(14)과 접촉하는 정도까지만 함께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나머지 라인은 태양전지 모듈(14)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복원력에 반하여 수직으로 조정 가능한 흡착판(8)에 의해 픽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태양전지 모듈(14)을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특히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태양전지 모듈을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태양전지 요소(15)는 라인을 형성하도록 결합되고, 각 라인은 적어도 2개의 태양전지 요소(15)를 포함하고, 태양전지 모듈(14)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라인으로 구성되며, 두 개의 연속 라인이 장착 프로세스 동안 서로 다른 거리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14)은 두 개의 연속적인 라인을 장착하는 과정 동안 위치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14)은 두 개의 장착 프로세스 사이에서 클록식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태양전지 모듈(14)은 특히 장착 공정 중에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웨이퍼의 스트립이 태양전지 소자(15)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태양전지 모듈(14)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로서, 태양전지 요소(15)는 결합되어 라인을 형성하고, 각 라인은 적어도 2개의 태양전지 요소(15)를 포함하고, 태양전지 모듈(14)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라인으로 구성되는 태양전지 모듈 생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태양전지 모듈(14)을 장착하기 위해 한 번의 작업으로 적어도 두 개의 라인을 픽업하고 태양전지 모듈(14) 위에 서로 다른 높이에서 준비 상태로 유지하며, 태양전지 모듈(14)을 장착하기 위해 현재 장착될 각 라인만이 태양전지 모듈(14)과 접촉하는 정도까지만 각 경우에 라인을 함께 낮추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생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장치(4, 4A)는 태양전지 모듈(14)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나머지 라인을 유지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픽업 장치(4, 4A)는 흡착판(8)을 포함하고, 상기흡착판(8)은 바람직하게는 복원력에 대해 수직으로 조정 가능한 카운터이고, 상기 라인들을 픽업하도록 특히 한 작업 단계에서 라인들을 픽업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태양전지 모듈(14)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요소(15)는 라인을 형성하도록 결합되고, 각 라인은 적어도 2개의 태양전지 요소(15)를 포함하고, 태양전지 모듈(14)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라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장치는 장착 프로세스 동안 적어도 두 개의 연속 라인에 대해 서로 다른 거리를 커버하도록 설계된 픽업 장치(4, 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장치(4, 4A)는 바람직하게는 장착 과정 동안 태양전지 모듈(14)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특히 라인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14)을 수용하기 위한 이송 유닛(2, 2A)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이송 유닛(2, 2A)을 두 개의 연속 라인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위치가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두 개의 장착 공정 사이에서 클록식으로 이송 유닛(2, 2A)을 이동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는 특히 장착 공정 중에 이송 유닛(2, 2A)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237030997A 2021-03-11 2022-02-01 태양전지 패널 제조 중 이송 유닛 설치 KR202301540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05987.9A DE102021105987B4 (de) 2021-03-11 2021-03-11 Bestückung einer Transporteinheit beim Herstellen von Solarmodulen
DE102021105987.9 2021-03-11
PCT/EP2022/052330 WO2022189070A1 (de) 2021-03-11 2022-02-01 Bestückung einer transporteinheit beim herstellen von solarmodul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031A true KR20230154031A (ko) 2023-11-07

Family

ID=8046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997A KR20230154031A (ko) 2021-03-11 2022-02-01 태양전지 패널 제조 중 이송 유닛 설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2) EP4343860A3 (ko)
JP (1) JP2024514403A (ko)
KR (1) KR20230154031A (ko)
CN (1) CN116982162A (ko)
BR (1) BR112023017413A2 (ko)
CA (1) CA3212955A1 (ko)
DE (1) DE102021105987B4 (ko)
MX (1) MX2023010421A (ko)
WO (1) WO2022189070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9546B2 (en) * 2014-12-05 2018-02-20 Tesla, Inc. Photovoltaic cells with electrodes adapted to house conductive paste
US20180175233A1 (en) * 2016-12-21 2018-06-21 Solarcity Corporation Alignment markers for precision automation of manufacturing solar panels and methods of use
CN110212059A (zh) 2019-07-15 2019-09-06 宁夏小牛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串设备叠串移动方法及移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3010421A (es) 2023-09-18
CN116982162A (zh) 2023-10-31
WO2022189070A1 (de) 2022-09-15
DE102021105987B4 (de) 2023-07-13
BR112023017413A2 (pt) 2023-09-26
EP4343860A2 (de) 2024-03-27
JP2024514403A (ja) 2024-04-02
CA3212955A1 (en) 2022-09-15
EP4186107A1 (de) 2023-05-31
EP4343860A3 (de) 2024-04-10
DE102021105987A1 (de)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4699B2 (en) Separating and assembling semiconductor strips
EP25819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hotovoltaic modules
JP6383152B2 (ja) 移載方法、保持装置及び移載システム
US9064920B2 (en) Electrostatic charge removal for solar cell grippers
KR20140110851A (ko) 기판 프로세싱 시스템 및 방법
JP2019091883A (ja) ウェハ位置決め及び載置システム
KR20150081458A (ko) 시트재의 접착제 도포 방법
KR20180033598A (ko) 기판제조장치 및 기판제조방법
JPS58191494A (ja) 部品の載置方法および装置
US7122399B2 (en) Size reduction of chip mounting system
KR20230154031A (ko) 태양전지 패널 제조 중 이송 유닛 설치
KR102098337B1 (ko) 반도체 패키지의 다중 클립 본딩 장치
KR100709504B1 (ko) 보호막 도포 장치
EP1051893B1 (en) Component placement apparatus
KR101749181B1 (ko) 세라믹 필름 적층 장치용 다품종 적재식 로딩 시스템
JP3132351B2 (ja) 導電性ボールの搭載装置および搭載方法
JP2004047927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KR20230096390A (ko) 세라믹기판의 자동분할시스템
CN117099216A (zh) 用于制造太阳能模块的方法和设备
CA3238798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olar modules
KR100412512B1 (ko) 형광 표시관 조립 장치
AU2012261682A1 (en) Separating and assembling semiconductor strips